KR101494601B1 - 가스공급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박막증착장치 - Google Patents

가스공급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박막증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601B1
KR101494601B1 KR20130071638A KR20130071638A KR101494601B1 KR 101494601 B1 KR101494601 B1 KR 101494601B1 KR 20130071638 A KR20130071638 A KR 20130071638A KR 20130071638 A KR20130071638 A KR 20130071638A KR 101494601 B1 KR101494601 B1 KR 101494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rocess gas
channel
substrat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8125A (ko
Inventor
황상수
이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스
Priority to KR20130071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60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59Diffusion of reactive gas to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23Pulsed gas flow or change of composition over time
    • C23C16/45525Atomic layer deposition [ALD]
    • C23C16/45544Atomic layer deposition [ALD]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63Gas nozzles
    • C23C16/45565Showe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공급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박막증착장치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공급유닛은 내부에 공정가스가 유동하는 공정가스공급채널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공정가스공급채널에 구비되어 상기 공정가스가 확산되도록 하는 확산부재, 상기 확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정가스가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샤워헤드, 상기 샤워헤드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정가스가 유동하는 미세유로 및 상기 미세유로에서 공급된 공정가스의 분사방향을 가이드하는 공정가스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공급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박막증착장치 {Gas supply unit an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스공급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박막증착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층증착법에 의해 박막을 증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박막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공급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박막증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웨이퍼 등의 기판(이하, '기판'이라 함) 상에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법으로 종래에 화학기상증착법(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 들어 원자층증착법(ALD ; Atomic Layer Deposition)의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박막 증착법 중 원자층증착법에 관한 기본 개념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4를 참조하여 원자층증착법의 기본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면, 원자층증착법은 기판 상에 트리메틸알루미늄(TMA ; TriMethyl Aluminium) 같은 원료를 포함하는 원료가스를 분사한 후 아르곤(Ar) 등의 불활성 퍼지 가스 분사 및 미반응 물질 배기를 통해 기판상에 단일 원자층을 흡착시키고, 상기 원료와 반응하는 오존(O3) 같은 반응물을 포함하는 반응가스를 분사한 후 불활성 퍼지 가스 분사 및 미반응 물질/부산물 배기를 통해 기판상에 단일 원자층(Al-O)을 형성하게 된다.
원자층증착법에 사용되는 종래 박막증착장치는 원료가스, 반응가스, 퍼지가스 등의 각종 가스를 기판면에 주입하는 방향 및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그런데, 원자층증착법에 의한 박막증착장치는 우수한 품질의 박막을 얻기 위하여 원료가스 및 반응가스를 포함하는 공정가스를 기판을 향해 공급하는 경우에 기판을 향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가스공급부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간편한 구조에 의해 공정가스를 고루 분산시키는 가스공급부에 대한 필요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정가스를 기판을 향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여 공급함으로써 박막의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박막증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활성화가스를 공급하는 경우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기판 이외의 불필요한 영역에 박막이 증착되지 않도록 하는 박막증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활성화가스를 공급하는 경우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기판 이외의 불필요한 영역에 박막이 증착되지 않도록 하는 박막증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공정가스가 유동하는 공정가스공급채널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공정가스공급채널에 구비되어 상기 공정가스가 확산되도록 하는 확산부재, 상기 확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정가스가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샤워헤드, 상기 샤워헤드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정가스가 유동하는 미세유로 및 상기 미세유로에서 공급된 공정가스의 분사방향을 가이드하는 공정가스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확산부재와 샤워헤드 사이의 거리는 상기 확산부재와 상기 공정가스공급채널의 천정 사이의 거리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스공급유닛은 상기 샤워헤드의 하부에 상기 공정가스가 확산되는 확산공간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확산공간의 내벽과 상기 미세유로의 내벽은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구비되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세유로의 길이는 상기 샤워헤드와 상기 미세유로 사이의 거리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는 상기 미세유로에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벽에서 소정길이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는 그 단부에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는 상기 공정가스가 소정의 경사를 이루면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는 상기 미세유로의 단부에서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의 단부까지 이어진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에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는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와 소정거리를 이루면서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 또는 가스공급부가 직선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 공정가스를 비롯한 각종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기판 표면에 증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우수한 품질의 박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공급부는 가스활성화유닛 중에 플라즈마 발생부를 구비하여 라디칼을 제공함으로써 박막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증착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특히, 라디칼을 제공하는 경우에, 챔버 상부에서 플라즈마 발생부가 구비된 채널로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반응가스를 집접 공급하지 않고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채널에서 분사된 반응가스가 플라즈마 발생부가 구비된 채널의 하부로 공급되는 간접 공급 방식을 채용하여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우수한 품질의 박막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공급부는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반응가스에 의해 잔류가스를 퍼지시킴으로써 별도의 퍼지가스를 공급하지 않으므로 증착공정에 사용되는 전체 가스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장비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생산단가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박막증착장치는 공정가스를 공급하는 경우에 가스공급유닛에 의해 기판을 향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여 증착작업 중에 우수한 품질의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증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반응가스의 활성화 단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4 내지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공정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유닛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가스공급유닛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증착장치의 기본 증착개념을 도시한 개략도,
도 14는 종래 ALD 장치의 기본 개념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박막증착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증착장치(10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박막증착장치(10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여 기판이 내부에 수용되어 증착 작업이 수행되는 챔버(110)와 기판을 인입 및 인출하는 기판인입인출수단(미도시)을 구비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챔버(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진공 또는 대기압 상태로 전환이 가능한 로드록실 및 증착을 진행할 기판이 적재되어 있는 복수개의 보트와 증착이 완료된 기판을 적재하는 복수개의 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박막증착장치(10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챔버(110)와, 상기 챔버(110) 내부에 구비되어 기판(W)이 안착되는 기판지지부(150)와, 가스공급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공급부(200)는 상기 기판(W)을 향해 공정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정가스공급채널(도 2 참조, 210, 230)과 상기 공정가스를 활성화시키는 가스활성화유닛(도 2 참조, 300)을 구비하는 활성화채널(도 2 참조, 24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기판지지부(150)와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기판지지부(150)와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기판(W)을 챔버(110)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또는 챔버(110) 내부에서 인출시키는 기판인입인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110)는 내부에 기판(W)을 수용하여 기판에 대한 증착 작업 등을 수행하며, 각종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나아가,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펌프(미도시)와 같은 진공장비에 의해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증착 작업 등과 같은 기판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챔버(110)는 구체적으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며 상부가 개구된 챔버몸체(130)와 챔버몸체(130)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는 챔버리드(120)를 포함한다. 챔버몸체(130)의 일측에는 기판(W)이 챔버(110)의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개구부(13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인입인출수단은 챔버(110)에 연결되어 챔버(110) 내부로 기판을 인입하거나 또는 증착이 완료된 기판(W)을 챔버(110) 외부로 인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기판(W)이 대형화되는 경우에 기판인입인출수단은 기판(W)을 챔버(110) 내부로 인입하는 기판 인입부와 기판(W)을 챔버(110) 외부로 인출하는 기판 인출부를 별개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챔버(110)의 챔버리드(120)에는 공정가스 및 퍼지가스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200)를 구비하는 바,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살펴본다.
챔버(110)의 내부에는 기판(W)이 안착되는 기판지지부(150)가 구비된다. 기판지지부(150)는 가스공급부(200)와 상대이동을 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기판지지부(150)와 상기 가스공급부(200) 중에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거리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스공급부(200) 및 기판지지부(150)가 모두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가스공급부(200) 및 기판지지부(150) 중에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공급부(200)는 고정되고 기판지지부(150)가 이동을 하거나 또는 기판지지부(150)와 가스공급부(200)가 모두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기판(W)이 대형화, 대면적화 되는 경우에 챔버(110) 내부에서 기판(W)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챔버(110)의 대형화를 필요로 하며, 이는 장치 전체의 설치면적(footprint)을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대형화, 대면적화된 기판(W)에 대해서도 증착작업이 가능하도록 증착작업 중에 기판(W)이 고정되고 가스공급부(200)가 기판(W)에 대해 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공급부(200)는 기판(W)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거리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기판(W)이 직선경로를 따라 상대 이동하게 되면, 기판의 표면 영역이 모두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게 되므로 증착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증착 두께가 달라질 우려가 없게 된다.
한편 기판지지부(150)의 하부에는 기판(W)을 가열하는 가열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열부(170)는 기판(W)을 지지하는 기판지지부(150)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하부에 구비되어 기판(W)을 가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가열부(170)는 기판지지부(150)의 이동경로를 따라 구비된다. 가열부(170)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플레이트(172)와 상기 가열플레이트(172)를 지지하는 지지부(1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열플레이트(172)는 기판(W)을 가열하기 위하여 기판(W)을 지지하는 기판지지부(15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가스공급부(2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도 1에서 가스공급부(200)를 확대해서 도시한 단면도로서, 가스공급부(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가스공급부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스공급부(200)는 기판(W)을 향해 공정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정가스공급채널(210, 230)과, 상기 공정가스를 활성화시키는 가스활성화유닛(300)을 구비하는 활성화채널(24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가스활성화유닛(300)은 공정가스를 활성화시켜 활성화 원자 또는 라디칼 형태의 공정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가스활성화유닛(300)은 플라즈마 발생부, 초고주파 발생부, 자외선 조사부, 레이저 조사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가스활성화유닛(300)이 초고주파 발생부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초고주파 발생부는 109 Hz 이상의 초고주파를 이용하여 공정가스를 활성화시킨다. 초고주파 발생부가 초고주파를 인가하게 되면, 공정가스가 활성화 원자 또는 라디칼 상태로 전환되어 기판(W)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가스활성화유닛(300)이 자외선 조사부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자외선 조사부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공정가스가 활성화 원자 또는 라디칼 상태로 전환되어 기판(W)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가스활성화유닛(300)이 레이저 조사부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레이저 조사부에 의해 조사된 레이저에 의해 공정가스가 활성화 원자 또는 라디칼 상태로 전환되어 기판(W)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스활성화유닛(300)으로 플라즈마 발생부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가스활성화유닛(300)으로 플라즈마 발생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활성화채널(240)의 일측 내벽에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전극(310)이 구비되고, 활성화채널(240)의 타측 내벽이 접지되어 접지전극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활성화채널(240)의 일측 내벽에 차폐부재(312)를 포함하고, 차폐부재(312)에 의해 전원전극(310)을 지지할 수 있다. 차폐부재(312)에 의해 전원전극(310)과 가스공급부(200)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전원전극(310)이 가스공급부(200)로부터 전기적으로 차폐된다. 이 경우, 차폐부재(312)는 전원전극(310)을 전기적으로 차폐할 뿐만 아니라, 전원전극(310)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역할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스공급부(200)는 상기 기판(W)을 향해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 공급채널(210)과, 상기 기판(W)을 향해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제2 공급채널(230)을 구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2 공급채널(230)에서 공급되는 반응가스가 상기 활성화채널(240)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즉, 가스활성화유닛(300)이 구비된 활성화채널(240)로 반응가스를 직접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제2 공급채널(230)에서 공급되는 반응가스가 활성화채널(240)로 유입 또는 공급되도록 하는 소위 '간접공급'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이 가스활성화유닛(300)으로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경우에 간접공급방식을 채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가스활성화유닛을 활용하여 공정가스를 활성화시켜 기판에 대한 증착을 수행하는 장치의 경우, 상기 가스활성화유닛이 구비된 공간, 영역 또는 채널 등으로 공정가스 중에 하나, 예를 들어 O2 와 같은 반응가스를 직접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반응가스는 상기 가스활성화유닛에 의해 활성화되어 하부의 기판을 향해 공급되어 증착공정이 수행된다.
그런데, 종래 장치의 구성에 따르면 가스활성화유닛이 구비된 공간, 영역 또는 채널 등으로 반응가스가 직접 공급되므로 반응가스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가스활성화유닛 및/또는 상기 가스활성화유닛이 구비된 영역의 내벽 등에 원하지 않는 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막이 형성되는 경우에 가스활성화유닛의 효율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상기 원하지 않는 영역에 증착된 막을 주기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증착장치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늘리게 된다. 또한, 종래 장치의 경우에 가스활성화유닛에 의해 반응가스가 활성화되면 플라즈마가 형성되는데, 상기 플라즈마는 라디칼 상태뿐만 아니라 이온 상태의 반응가스를 포함하게 되어, 상기 이온상태의 반응가스에 의해 기판(W)이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공급부(20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스활성화유닛(300)을 구비하는 경우에 가스활성화유닛(300)이 장착된 활성화채널(240)로 직접 반응가스를 공급하지 않으며,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제2 공급채널(230)에서 공급된 반응가스가 활성화채널(240)로 유입 또는 공급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활성화채널(240)은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의 기판(W)을 향해 개방된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활성화채널(240)의 상부는 챔버리드(120)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20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한편, 가스공급부(200)에서 상기 제2 공급채널(230)과 상기 활성화채널(240)은 서로 이웃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활성화채널(240)과 이웃하여 제2 공급채널(230)을 구비하고, 제2 공급채널(230)의 하부를 통해 공급된 공정가스 및/또는 반응가스가 이웃한 활성화채널(240)로 유입되도록 한다. 활성화채널(2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W)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활성화채널(240)의 하부에 개구부(242)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242)를 통해 상기 제2 공급채널(230)에서 공급되는 공정가스가 상기 활성화채널(240)로 공급되어 가스활성화유닛(300)에 의해 활성화된다. 나아가, 상기 가스활성화유닛(300)에 의해 활성화된 공정가스가 상기 활성화채널(240)을 통해 기판(W) 상으로 공급되어, 상기 기판(W) 및 가스공급부(200) 사이에서 유동하는 비활성 공정가스를 활성화시키게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공급부(200)에서 반응가스가 활성화되는 반응과정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웃한 제2 공급채널(230)에서 공급된 반응가스, 예를 들어 O2 가스는 기판(W)의 상부를 따라 유동하는 중에 활성화채널(24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242)를 통하여 활성화채널(240)의 내부로 유입된다. 활성화채널(240)의 내부로 유입된 O2 가스는 가스활성화유닛(300)에 의해 활성화되어 이온 또는 라디칼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이온 또는 라디칼 상태로 전환된 O2 가스는 이웃한 O2 가스에도 영향을 미치어 이웃한 비활성화된 O2 가스도 이온 또는 라디칼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따라서, 가스활성화유닛(300)에 인접한 영역(A)에서는 가스활성화유닛(300)에 의해 직접 활성화된 O2 가스가 존재하게 되며, 가스활성화유닛(300)에서 다소 이격된 영역(B), 예를 들어 활성화채널(240)의 하부 영역, 또는 활성화채널(240)과 기판(W) 사이의 영역에는 활성화된 가스에 의해 간접적으로 활성화된 O2 가스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기판(W)을 향해서 반응가스가 공급되는 경우에 이온에 의한 손상을 줄이어 기판(W)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서는 활성화채널(240)로 직접 반응가스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가스활성화유닛(300) 등에 증착되는 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장치의 가스공급부의 가스활성화유닛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가스공급부(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스공급부(200)는 챔버리드(120)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202)를 구비한다.
커버(202)는 챔버리드(1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챔버리드(120)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버(202)와 챔버리드(120) 사이에는 밀폐를 위한 가스킷(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202)에는 이후 상세히 살펴보는 공정가스공급채널(210, 230)로 공정가스를 공급하거나, 또는 배기되는 가스를 위한 각종 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202)에는 원료가스(또는 '제1 공정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라인(41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공급라인(410)은 원료가스 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되어 원료가스를 후술하는 가스공급부(200)의 제1 공급채널(210)로 공급하게 된다. 나아가, 커버(202)에는 반응가스(또는 '제2 공정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라인(4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공급라인(430)은 반응가스 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되어 반응가스를 제2 공급채널(230)을 향해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커버(202)에는 공정가스공급채널(210, 230)에서 공급된 공정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라인(420, 4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기라인(420, 440)은 펌핑부(미도시)와 연결되어 펌핑부의 펌핑에 의해 챔버(110) 내부의 잔류가스를 배기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공급부(200)는 공정가스, 즉, 원료가스 및/또는 반응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정가스공급채널(210, 230)을 구비하게 된다. 공정가스공급채널(210, 230)은 가스공급부(200)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바람직하게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정가스공급채널은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공급채널(210)과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공급채널(23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가스공급부(200)는 상기 기판(W) 및 가스공급부(200) 사이에서 유동하는 잔류가스를 배기하는 배기채널(220, 2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공급부(200)는 중앙에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상기 제1 공급채널(210)을 구비하고, 제1 공급채널(21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공급유닛(21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급유닛(212)의 내측에 제1 공급채널(2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기판(W)과 가스공급부(200)의 상대적인 이동이 소정거리를 왕복하는 왕복운동인 경우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기판(W)이 소정 길이의 직선경로를 구비한 이동경로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경우에 가스공급부(200)를 하나 구비하는 경우에도 상기 가스공급부(200)의 하부를 따라 이동하는 기판(W)에 충분한 증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판(W)이 일방향 및 상기 일방향에 반대되는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경우에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도 증착이 이루어지도록 가스공급부(200)는 중앙부의 제1 공급채널(21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1 공급채널(210)은 전술한 제1 공급라인(410)에서 원료가스를 공급받아 하부의 기판(W)을 향해 공급하게 된다. 한편, 가스공급부(200)는 상기 제1 공급채널(210)의 양측으로 원료가스를 배기하는 한 쌍의 제1 배기채널(22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공급채널(210)에서 공급된 원료가스가 후술하는 반응가스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공급채널(210)을 중심으로 한 쌍의 제1 배기채널(220)을 대칭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1 배기채널(220)에 인접해서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제2 공급채널(23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공급채널(230)은 전술한 제1 공급채널(21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공급채널(230)은 전술한 제2 공급라인(430)에서 반응가스를 공급받아 하부의 기판(W)을 향해서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2 공급유닛(232)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공급유닛(232)의 내측에 제2 공급채널(2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제1 배기채널(220)은 제1 공급유닛(212)과 제2 공급유닛(232) 사이의 공간에 구비된다. 즉, 제1 배기채널(220)을 위한 별도의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가스공급부를 구성하는 재료비를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전체 부피도 줄일 수 있다.
또한, 가스공급부(200)는 상기 제2 공급채널(230)에 이웃해서 활성화채널(240)을 구비할 수 있다. 활성화채널(240)은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에 개구부(242)가 형성되어 기판(W)을 향해 열린 형상을 가지게 된다. 활성화채널(2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반응가스를 활성화시키는 가스활성화유닛(300)을 구비하며, 이웃한 제2 공급채널(230)에서 공급되는 반응가스가 하부의 개구부(242)를 통하여 활성화채널(240)로 유입되어 활성화된 반응가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활성화채널(24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가스공급부(200)는 상기 제1 공급채널(210)을 중심으로 잔류가스를 배기하는 제1 배기채널(220),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제2 공급채널(230)이 대칭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급채널(230)에 이웃하여 상기 활성화채널(240)을 구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활성화채널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제1 공급채널과 제2 공급채널 사이, 즉, 활성화채널은 제1 공급유닛과 제2 공급유닛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스공급부(200)는 상기 활성화채널(240)의 외주에 잔류가스 또는 반응가스를 배기하는 제2 배기채널(2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공급채널(230)에서 공급되는 반응가스는 활성화채널(240)의 하부를 통해 활성화채널(240)로 유입되거나, 또는 활성화채널(240)을 지나쳐 가스공급부(200)의 가장자리로 공급될 수 있다. 가스공급부(200)에서 반응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면 기판(W)과 가스공급부(200)가 상대이동에 의해 증착을 수행하는 경우에 후속하는 증착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가스공급부(200)의 가장자리, 즉, 활성화채널(240)의 바깥쪽에 제2 배기채널(250)을 더 구비하여 잔류가스, 즉 공급된 반응가스를 배기하게 된다.
결국, 가스공급부(200)는 중앙부에 위치하여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 공급채널(21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되며, 차례대로 제1 배기채널(220),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제2 공급채널(230), 가스활성화유닛(300)을 구비하여 반응가스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채널(240) 및 제2 배기채널(250)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1 공급채널(210)에서 공급된 원료가스는 기판(W) 상부에 단일 원자층을 형성하고 제1 배기채널(220)을 통하여 배기된다. 이어서, 제2 공급채널(230)을 통해 기판(W)을 향해 공급된 반응가스는 기판(W) 상부를 따라 이동하여 이웃한 활성화채널(240)의 개구부(242)를 통하여 활성화채널(240)로 유입된다. 활성화채널(240)로 유입된 반응가스는 가스활성화유닛(300)에 의해 활성화되며, 순차적인 반응에 의해 활성화채널(240) 하부의 반응가스도 활성화되어 결국 기판(W)의 원료가스와 반응하여 단일 원자층의 박막을 형성시키게 된다. 활성화채널(240)을 지나친 잔류가스는 제2 배기채널(250)에 의해 배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공급부(200)는 아르곤(Ar) 등의 불활성가스로 구성된 퍼지가스를 공급하지 않는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증착장치의 기본 증착개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박막증착장치는 기판 상에 원료를 포함하는 원료가스를 분사한 후 불활성 퍼지 가스의 공급없이 단순히 배기를 통해 미반응 잔류가스를 배기한다. 이에 의해, 기판상에 단일 원자층을 흡착시키고, 상기 원료와 반응하는 오존(O3) 같은 반응물을 포함하는 반응가스를 분사한 후 불활성 퍼지 가스의 공급없이 단순히 배기를 통해 미반응 물질/부산물을 배기하여 기판상에 단일 원자층(Al-O)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단순히 배기공정에 의해 잔류가스를 배기하고 반응가스와 원료가스의 혼합을 방지하게 되어 별도의 퍼지가스 공급이 필요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박막증착장치(1000)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박막증착장치(1000)는 가스공급부(200)에 의해 기판(W) 상으로 원료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기판(W) 상에 상기 원료가스가 흡착된다. 이 경우, 상기 원료가스는 가스공급부(200)의 제1 공급채널(210)을 통해 기판(W) 상으로 공급된다. 기판(W) 상으로 공급된 원료가스는 상기 기판(W)에 흡착된다. 상기 기판(W)에 흡착되지 않은 원료가스는 가스공급부(200)의 제1 배기채널(220)에 의해 외부로 배기된다.
한편, 상기 가스공급부(200)에서 상기 기판(W) 상으로 반응가스를 공급한다. 이 경우, 반응가스는 가스공급부(200)의 제2 공급채널(230)에서 기판(W) 상으로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응가스는 기판(W)으로 공급되어 기판(W)과 가스공급부(200) 사이를 따라 유동하며, 일부는 활성화채널(240)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W) 상으로 분사되어 상기 기판(W) 및 가스공급부(200) 사이에서 유동하는 반응가스는 활성화된다. 상기 활성화단계는 상기 가스공급부(200)에 구비된 가스활성화유닛(300)에 의해 반응가스를 1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제1 활성화 단계와 상기 제1 활성화 단계에서 활성화된 반응가스가 상기 기판(W) 및 상기 가스공급부(200) 사이에서 유동하는 반응가스를 2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제2 활성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제1 활성화단계에서는 활성화채널(240)로 유입된 반응가스를 가스활성화유닛(300)에 의해 직접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 활성화단계에서는 상기 제1 활성화단계에서 활성화된 반응가스가 상기 기판(W) 및 상기 가스공급부(200) 사이에서 유동하는 비활성화된 반응가스를 간접적으로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2차적으로 간접적으로 활성화된 반응가스가 상기 기판(W)에 흡착된 원료가스와 화학반응하여 단일 원자층의 박막을 증착하게 된다. 상기 박막이 증착된 후에 잔류하는 가스는 제2 배기채널(250)에 의해 배기되다. 한편, 상기 각 단계에서 상기 기판(W) 및 가스공급부(200) 중에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상대 이동하게 된다.
한편, 원자층증착법은 기판 상에 트리메틸알루미늄(TMA ; TriMethyl Aluminium (CH3)3Al, 이하 'TMA'라 함)같은 원료가스를 분사하여 기판에 단일 원자층을 흡착시키고, 상기 원료와 반응하는 오존(O3) 같은 반응물을 포함하는 반응가스를 분사하여 기판에 단일 원자층(Al-O)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원자층증착법에서는 공급되는 공정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원료가스인 상기 TMA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원자층증착법은 단일 증착공정에 의해 단일 원자층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증착공정을 반복하여 원하는 두께의 박막을 형성하게 된다. 만약, 한번의 증착공정에 의해 단일 원자층 대신에 복수의 원자층이 형성된다면 박막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고, 나아가 증착공정의 횟수에 따른 박막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와 같이 단일 원자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원료가스인 TMA를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TMA의 공급양이 증착공정 중에 필요한 공급유량 이상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TMA의 양이 상기 공급유량 이상으로 공급되면 기판 상에 복수의 원자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단일 원자층이 아니라 복수 원자층의 박막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상기 TMA를 상기 공급유량 이하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원료가스인 TMA를 공급하는 원료가스 공급원 또는 제1 공급라인을 조절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 TMA는 가압되어 증기압에 의해 공급되므로 공급되는 양을 상기 공급유량 이하로 줄이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나아가, 원자층증착법에 의한 박막증착장치의 경우, 기판(W)을 향해 공급된 원료가스와 반응가스가 직접적으로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원료가스인 TMA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원료가스와 반응가스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정가스의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정가스가이드부를 구비한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는 원료가스의 분사방향을 조절하는 제1 가이드부(500, 도 4 참조)와 반응가스의 분사방향을 조절하는 제2 가이드부(600, 도 6 참조)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제1 공급채널(210)의 하부에 제1 가이드부(500)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공급부(200)는 기판(W)에 대한 원료가스의 분사량 또는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원료가스의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가이드부(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급채널(210)의 길이는 상기 제1 배기채널(220)의 길이에 비해 더 짧을 수 있으며 제1 가이드부(500)는 상기 제1 공급채널(210)을 포함하는 제1 공급유닛(212)의 하부에 제1 공급채널(210)에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된 원료가스를 배기하는 제1 배기채널(220)은 제1 공급채널(210)의 양측에 구비되며, 제1 가이드부(500)와 제1 배기채널(220)의 내벽(즉, 제2 공급유닛(232)의 외벽) 사이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공급슬릿(505)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공급채널(210)을 통해 공급된 원료가스는 제1 가이드부(500)에 의해 그 방향이 절곡되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제1 배기채널(220)을 통해 배기되며,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 상기 공급슬릿(505)을 통해 하부의 기판(W)을 향해 공급된다. 결국, 제1 공급유닛(212)의 하부에 제1 가이드부(500)를 구비하여 기판(W)을 향해 공급되는 원료가스의 분사방향을 조절하여 원료가스의 공급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5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도 4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가이드부(510)가 제1 공급유닛(212)에서 이격되어 제1 배기채널(220)의 단부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경우, 제1 가이드부(510)는 상기 제1 배기채널(220)의 단부, 즉 제2 공급유닛(232)의 단부에서 제1 공급채널(210)을 향해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공급채널(210)의 길이는 상기 제1 배기채널(220)의 길이에 비해 더 짧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부(510)는 제2 공급유닛(232)의 외벽에서 제1 공급채널(210)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가이드부(510)가 제2 공급유닛(232)의 외벽에서 각각 제1 공급채널(210)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부(510) 사이가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공급슬릿(512)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공급채널(210)에서 공급된 원료가스는 제1 공급채널(210)과 제1 가이드부(510) 사이의 공간으로 확산되며, 상대적으로 대부분의 양은 제1 배기채널(220)을 통하여 배기되며,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 상기 공급슬릿(512)을 통해 기판(W)으로 공급된다.
한편, 전술한 제1 가이드부(500, 510)는 상기 제1 공급채널(210)을 형성하는 제1 공급유닛(212)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개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제1 공급유닛(212)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반응가스와 원료가스의 혼합을 방지하며 반응가스 및/또는 원료가스의 분사방향을 가이드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각 도면에서 상기 가스공급부(200)는 제2 공급채널(230)에서 공급되는 반응가스가 원료가스와 혼합되지 않도록 하며, 나아가 활성화채널(240)을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면 중에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도 2, 도 4 및 도 5의 가스공급부에 제2 가이드부(600)를 더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나아가, 도 9는 원료가스와 반응가스가 직접적으로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1 공급채널(210)의 길이가 제1 배기채널(220)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되며, 나아가 제2 가이드부(600)를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가이드부(600)는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제2 공급채널(230)을 형성하는 제2 공급유닛(232)의 단부에 구비되며, 제2 공급채널(230)에서 공급된 반응가스의 유로가 활성화채널(240)을 향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부(600)는 상기 제2 공급채널(230)을 포함하는 제2 공급유닛(232)에서 소정길이만큼 활성화채널(24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공급채널(230)에서 공급되는 반응가스는 원료가스와 혼합되지 않고 활성화채널(240)을 향하게 된다. 상기 제2 가이드부(600)는 상기 제2 공급채널(230)을 형성하는 제2 공급유닛(232)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개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제2 공급유닛(232)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서 제1 가이드부(500, 510)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공급부(200)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스공급부와 비교해보면 원료가스를 배기하는 제1 배기채널(220)이 한 쌍이 아니라 하나만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스공급부(200)는 상기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 공급채널(210)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급채널(210)의 양측 중 일측에 제1 배기채널(220)을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제1 배기채널(220)은 상기 제1 공급채널(210) 및 제2 공급채널(230A) 사이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공급채널(210)을 포함하는 제1 공급유닛(212)과 제2 공급채널(230A)을 포함하는 제2 공급유닛(232A) 사이에 제1 배기채널(220)이 구비된다. 나아가,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공급채널(230A, 230B)과, 상기 제2 공급채널(230A 230B)의 일측에 배치되어 잔류가스를 배기하는 제2 배기채널(250)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배기채널(220)의 단부는 제1 공급채널(210)의 단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급채널(230A, 230B)과 제2 배기채널(250)은 제1 공급채널(210)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정가스 중의 하나인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 공급채널(210)의 일측에 원료가스를 배기하는 제1 배기채널(220)을 구비한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공급채널(210)의 양측에 한 쌍의 배기채널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제1 공급채널(210)의 일측에만 제1 배기채널(220)을 구비한다. 도면에서는 제1 공급채널(210)의 우측에 제1 배기채널(220)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공급채널(210)의 좌측에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 공급채널(210)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공급채널(230B)은 서로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배기채널(220)을 하나만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배기채널(220)이 구비되지 않은 쪽을 살펴보면, 제1 공급채널(210)과 제2 공급채널(230B)이 서로 접하여 구비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공급채널(210)을 포함하는 제1 공급유닛(212)과 제2 공급채널(230B)을 포함하는 제2 공급유닛(232B)이 서로 접하게 구비된다. 또한, 전술한 제1 배기채널(220)이 구비되지 않은 상기 제1 공급채널(210)의 타측, 즉, 상기 제1 공급채널(210)의 타측과 제2 공급채널(230B) 사이에는 잔류가스를 배기하는 배기부가 구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공급채널(210)의 일측에만 배기채널을 구비하게 되면 가스공급부(200)의 전체 구성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스공급부(200)의 전체 체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제1 공급채널(210)의 일측,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급채널(210)의 오른쪽에만 제1 배기채널(220)이 구비되므로 기판(W)의 이동방향에 따라 원료가스의 배기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10과 같은 구성에서 가스공급부(200)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기판(W)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 공급채널(210)에서 공급되는 원료가스가 상대적으로 제1 배기채널(220)로 원활하게 배기된다. 반면에, 가스공급부(20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기판(W)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 공급채널(210)에서 공급되는 원료가스가 상대적으로 제1 배기채널(220)로 원활하게 배기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공급채널(210)에서 공급되는 원료가스의 유동방향을 전환시켜주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도 4 및 도 5의 제1 가이드부와 비교하여 도 10에 도시된 상기 제1 가이드부(520)는 제1 공급채널(210)을 형성하는 제1 공급유닛(212)의 단부에서 제1 배기채널(220)을 향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또는 소정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면에서는 제1 가이드부(520)가 제1 공급채널(210)의 단부에서 제1 배기채널(220)을 향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가이드부(520)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원료가스가 공급되는 방향, 또는 원료가스가 기판(W)을 향해 공급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520)는 상기 제1 공급채널(210)을 형성하는 제1 공급유닛(212)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개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제1 공급유닛(212)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급채널(210)에서 공급되는 원료가스는 상기 제1 가이드부(520)에 의해 유동방향이 제1 배기채널(220)을 향하도록 전환되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제1 배기채널(220)로 배기되며,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 기판(W)을 향해 공급된다. 결국, 제1 가이드부(520)에 의해 원료가스의 유동방향을 전환시켜 배기채널에 의한 배기를 보다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기판을 향해 공급되는 원료가스의 양을 줄이어 보다 정확한 증착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제1 가이드부(520)는 제1 공급유닛(212)에서 이격되어 제1 배기채널(22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배기채널(220)의 단부에서 제1 공급채널(210)을 향해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가스공급부(200)는 중앙에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 공급채널(210)과, 잔류가스를 배기하는 제1 배기채널(220)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급채널(210)과 제1 배기채널(22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제2 공급채널(230A, 230B), 가스활성화유닛(300)을 구비하는 활성화채널(240) 및 제2 배기채널(250)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본 가스공급부(200)도 전술한 제2 가이드부(6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600)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공정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유닛은 공급되는 공정가스가 기판(w)을 향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여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기판 상부에 원료가스가 균일하게 분산 및 공급되어야 기판 상부에 일정하게 균일한 원료가스의 단일 원자 층이 흡착될 것이며, 이에 따라 후속하여 공급되는 반응가스가 상기 원료가스와 반응하여 균일한 두께의 박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기판을 향해 공정가스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할 수 있는 가스공급유닛의 구조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도 10에 따른 실시예에서 공정가스 중에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공급유닛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도 10에 따른 가스공급부 이외의 구조에도 물론 적용이 가능하며,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유닛에도 물론 적용이 가능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공급유닛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A)는 가스공급유닛의 측단면도이며, 도 11(B)는 도 11(A)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공정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유닛(1200)은 내부에 공정가스가 유동하는 공정가스공급채널(1211)을 구비하는 하우징(1210), 상기 공정가스공급채널(1211)에 구비되어 상기 공정가스가 확산되도록 하는 확산부재(1220), 상기 확산부재(12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정가스가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홀(1232)을 구비하는 샤워헤드(1230), 상기 샤워헤드(12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정가스가 유동하는 미세유로(1240) 및 상기 미세유로(1240)에서 공급된 공정가스의 분사방향을 가이드하는 공정가스가이드부(1250)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우징(1210)은 상기 가스공급유닛(1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다수의 조립부재를 구비하여 조립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10)은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정가스가 유동하는 공정가스공급채널(1211)을 구비한다. 상기 가스공급유닛이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가스는 원료가스에 해당하며, 상기 공정가스공급채널은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 공급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공급유닛이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가스는 반응가스에 해당하며, 상기 공정가스공급채널은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제2 공급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스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가스의 종류를 특정하지 않고 '공정가스', '공정가스공급채널'로 정의한다.
상기 하우징(1210)은 그 상부에 상기 공정가스가 공급되는 공급유로(1212)를 구비한다. 상기 공급유로(1212)는 전술한 커버(202)에 구비되어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410) 또는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제2 공급라인(4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공급라인(410) 또는 제2 공급라인(430)에서 공급되는 원료가스 또는 반응가스가 공급유로(1212)를 통해 하우징(1210) 내부의 공정가스공급채널(1211)로 공급된다.
상기 확산부재(1220)는 상기 하우징(1210)의 내부에서 상기 공급유로(1212)의 하부에 수직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공급유로(1212)를 통해 공급되는 공정가스의 방향과 수직하도록 확산부재(1220)가 구비된다. 이는 공급유로(1212)를 통해 공급되는 공정가스가 수직하게 구비된 확산부재(1220)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부재(1220)의 좌우로 널리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공급유로(1212)의 단부와 상기 확산부재(1220) 사이의 공간을 제1 확산공간(1300)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확산부재(1220)는 공정가스가 충분히 확산되도록 하며, 나아가 상기 제1 확산공간(1300)을 구획하기 위하여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확산부재(1220)의 길이는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수치로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확산부재(1220)의 하부에는 샤워헤드(1230)가 구비된다. 상기 샤워헤드(1230)는 상기 확산부재(1220)와 소정의 거리(b)를 가지도록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확산부재(1220)와 샤워헤드(1230) 사이의 거리(b)는 확산부재(1220)에 의해 분산된 공정가스가 균일하게 샤워헤드(1230)로 공급되기에 충분한 거리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확산부재(1220)와 샤워헤드(1230) 사이의 거리(b)는 상기 확산부재(1220)와 상기 공정가스공급채널(1211)의 천정 사이의 거리(a) 이상이 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샤워헤드(123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공정가스가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홀(1232)을 구비한다. 따라서, 확산부재(1220)에 확산된 공정가스는 샤워헤드(1230)의 관통홀(1232)을 통과하면서 후술하는 미세유로(1240)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워헤드(1230)의 하부에는 소정의 제2 확산공간(140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확산공간(1400)의 하부에 미세유로(1240)를 구비한다. 즉, 샤워헤드(1230)의 관통홀(1232)을 관통한 공정가스는 제2 확산공간(1400)에서 전방위로 균일하게 확산되어 미세유로(1240)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제2 확산공간(1400)과 미세유로(1240)가 점선(141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연결되는 경우에 공정가스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샤워헤드(1230)를 통과하여 제2 확산공간(1400)에서 미세유로(1240)로 공정가스가 유입되는 경우에 유동저항에 의해 공정가스가 용이하게 미세유로(1240)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스공급유닛(1200)은 상기 제2 확산공간(1400)의 내벽과 미세유로(1240)의 내벽 사이에 구비되어 소정각도로 경사진 연결부(141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1410)는 제2 확산공간(1400)과 미세유로(124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1410)에 의해 샤워헤드(1230)를 관통한 공정가스가 제2 확산공간(1400)에서 미세유로(1240)로 진입하는 경우에 유동저항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세유로(1240)의 길이(e)는 공정가스를 균일하게 분산 및 공급하기 위하여 충분히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세유로(1240)의 길이(e)는 상기 샤워헤드(1230)와 상기 미세유로(1240) 사이의 거리(c + d)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미세유로(1240)의 길이(e)가 상대적으로 길도록 구성되어야 샤워헤드(1230)를 통해 균일하게 분산된 공정가스의 유동이 유지되어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미세유로(1240)의 단부에는 공정가스의 분사방향을 가이드하는 공정가스가이드부(12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1250)는 상기 미세유로(1240)에 대략 수직하게 구비되어, 공정가스가이드부(1250)와 하우징(1210)의 일측 하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분사유로(1260)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1250)는 미세유로(1240)를 따라 공급된 공정가스의 유동방향을 절곡시키게 된다.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1250)의 길이 및 각도에 따라 기판을 향해 공급되는 공정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나아가 상기 분사유로(1260)의 높이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공정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는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12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10)과 별개 부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1210)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정가스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스공급유닛의 상부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공정가스가이드부(2250)는 상기 하우징(1210)의 외벽에서 소정길이(L)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공정가스가이드부(2250)의 단부는 하우징(1210)의 외벽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하우징(1210)의 외벽이 이루는 가상의 평면에서 소정길이(L)만큼 돌출하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미세유로(1240) 및 분사유로(1260)를 통해 방향이 절곡되어 공급된 공정가스는 공정가스가이드부(2250)에 의해 직진성이 강화되어 기판을 향해 공급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기판을 향해 공급되는 공정가스의 양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한편, 도 12의 (B) 및 도 12의 (C)에 따른 공정가스가이드부는 그 단부에 경사부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살펴본다.
도 12의 (B) 및 도 12의 (C)를 참조하면, 공정가스가이드부(3250, 4250)의 길이는 그 단부가 대략 하우징(1210)의 외벽이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에 일치하도록 결정된다. 또한, 공정가스가이드부(3250, 4250)는 그 단부에 경사부(3252, 4252)를 구비한다.
따라서, 도 12의 (A)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12의 (B) 및 도 12의 (C)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공정가스가이드부(3250, 425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으며, 나아가 그 단부에 경사부(3252, 4252)를 구비함으로써 기판을 향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공정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정가스가이드부의 단부에 경사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도를 달리하여 공급되는 공정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2의 (B)의 공정가스가이드부(3250)의 경사부(3252)의 제1 경사각도(θ1)와 도 12의 (C)의 공정가스가이드부(4250)의 경사부(4252)의 제2 경사각도(θ2)를 비교해보면 제1 경사각도(θ1)가 제2 경사각도(θ2)에 비해 더 큰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도 12의 (C)의 공정가스가이드부(4250)의 경사부(4252)의 길이가 도 12의 (B)의 공정가스가이드부(3250)의 경사부(3252)의 길이에 비해 더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2의 (C)의 공정가스가이드부(4250)에서 분사되는 공정가스의 유동에 비해 도 12의 (B)의 공정가스가이드부(3250)에서 분사되는 공정가스의 유동이 보다 더 큰 직진성을 가지게 된다. 결국, 도 12의 (B)의 가스공급유닛과 도 12의 (C)의 가스공급유닛에 의해 기판을 향해 공급되는 공정가스의 양을 비교해보면, 도 12의 (B)의 가스공급유닛에 비해 도 12의 (C)의 가스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공정가스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게 된다.
한편, 도 12의 (D)를 살펴보면,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5250)는 상기 공정가스가 소정의 경사를 이루면서 공급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공정가스가이드부(5250)에 의해 형성되는 분사유로(1260)가 미세유로(1240)에 대해서 90도를 초과하여 180도 미만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공정가스가 기판을 향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5250)는 상기 미세유로(1240)의 단부에서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5250)의 단부까지 이어진 경사부(5252)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5250)에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1210)의 단부는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5250)와 소정거리를 이루면서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분사유로(1260)를 형성하게 된다.
결국, 전술한 도 12의 (A), 도 12의 (B), 도 12의 (C) 및 도 12의 (D)에 따른 가스공급유닛에서 기판으로 공급되는 공정가스의 양을 비교해보면, 도 12의 (A)의 실시예가 가장 적으며, 도 12의 (B), 도 12의 (C) 및 도 12의 (D)의 순서로 공급되는 공정가스의 양이 많아진다. 즉, 도 12의 (D)의 실시예에 의해 공급되는 공정가스의 양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게 된다. 따라서, 도 12의 (A), 도 12의 (B), 도 12의 (C) 및 도 12의 (D)에 따른 실시예 중에서 적절한 구조를 선택하여 기판을 향해 공급되는 공정가스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10...챔버 200...가스공급부
210...제1 공급채널 220...제1 배기채널
230...제2 공급채널 240...활성화채널
250...제2 배기채널 300...가스활성화유닛
500...제1 가이드부 600...제2 가이드부
1000...박막증착장치

Claims (10)

  1. 내부에 공정가스가 유동하는 공정가스공급채널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공정가스공급채널에 구비되어 상기 공정가스가 확산되도록 하는 확산부재;
    상기 확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정가스가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샤워헤드;
    상기 샤워헤드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정가스가 확산되는 확산공간;
    상기 확산공간의 하부에 구비되며, 소정각도로 경사진 연결부에 의해 상기 확산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공정가스가 유동하는 미세유로; 및
    상기 미세유로에서 공급된 공정가스의 분사방향을 가이드하는 공정가스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재와 샤워헤드 사이의 거리는 상기 확산부재와 상기 공정가스공급채널의 천정 사이의 거리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유닛.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로의 길이는 상기 샤워헤드와 상기 미세유로 사이의 거리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는 상기 미세유로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벽에서 소정길이 돌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는 그 단부에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는 상기 공정가스가 소정의 경사를 이루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는 상기 미세유로의 단부에서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의 단부까지 이어진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에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는 상기 공정가스가이드부와 소정거리를 이루면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공급유닛.
KR20130071638A 2013-06-21 2013-06-21 가스공급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박막증착장치 KR101494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638A KR101494601B1 (ko) 2013-06-21 2013-06-21 가스공급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박막증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638A KR101494601B1 (ko) 2013-06-21 2013-06-21 가스공급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박막증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125A KR20140148125A (ko) 2014-12-31
KR101494601B1 true KR101494601B1 (ko) 2015-02-23

Family

ID=5259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1638A KR101494601B1 (ko) 2013-06-21 2013-06-21 가스공급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박막증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6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613A (ko) * 2005-05-13 2006-11-17 주식회사 테스 반도체 제조 장치
KR20100005004U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테스 가스 분사 유닛
JP2010263112A (ja) * 2009-05-08 2010-11-18 Sumco Corp エピタキシャル成長装置及びシリコンエピタキシャルウェーハ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613A (ko) * 2005-05-13 2006-11-17 주식회사 테스 반도체 제조 장치
KR20100005004U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테스 가스 분사 유닛
JP2010263112A (ja) * 2009-05-08 2010-11-18 Sumco Corp エピタキシャル成長装置及びシリコンエピタキシャルウェーハ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125A (ko)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14877A1 (en) Radical Reactor with Multiple Plasma Chambers
US20120027953A1 (en) Rotating Reactor Assembly for Depositing Film on Substrate
KR102076467B1 (ko) 박막증착장치
KR101347046B1 (ko) 박막증착장치
KR101526861B1 (ko) 가스공급부 및 이를 구비한 박막증착장치
KR101560562B1 (ko) 박막증착장치
KR101488672B1 (ko) 박막증착장치
KR101430658B1 (ko) 원자층 증착장치
KR101983334B1 (ko) 박막 증착장치 및 박막 증착방법
KR101494601B1 (ko) 가스공급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박막증착장치
KR101488760B1 (ko) 전극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박막증착장치
KR101394916B1 (ko) 박막증착장치
KR101394912B1 (ko) 박막증착장치
KR101430657B1 (ko) 원자층 증착장치
KR101564592B1 (ko) 가스공급부 및 이를 구비한 박막증착장치
KR101519366B1 (ko) 박막증착장치
KR101511490B1 (ko) 박막증착장치
KR101812651B1 (ko) 기판 셔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상 증착 장치
KR101460012B1 (ko) 대면적 기판 처리 장치
KR101464939B1 (ko) 박막증착장치
KR101430656B1 (ko) 원자층 증착장치 및 그 증착방법
KR101394914B1 (ko) 박막증착장치
KR20240035313A (ko) 가스 분사 장치, 기판 처리 장치 및 박막 증착 방법
KR20240007595A (ko) 가스 분사 장치, 기판 처리 장치 및 박막 증착 방법
KR20170108485A (ko) 증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