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405B1 - 실내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405B1
KR101494405B1 KR20130111288A KR20130111288A KR101494405B1 KR 101494405 B1 KR101494405 B1 KR 101494405B1 KR 20130111288 A KR20130111288 A KR 20130111288A KR 20130111288 A KR20130111288 A KR 20130111288A KR 101494405 B1 KR101494405 B1 KR 101494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einforcing
foam
water
hd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주
Original Assignee
(주)알포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포메 filed Critical (주)알포메
Priority to KR2013011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보강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발수 기능을 갖는 코팅층을 압출기로 용융상태의 LDPE재를 토출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코팅층이 냉각되기 전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HDPE시트를 부착한 스크림을 폼의 양측에 설치하고 가열 압착하여 내습성과 인장강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실내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케나프, 황마, 아마, 양마 및 코코넛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소재와 저융점 단섬유로 이루어진 기지재와 상기 기지재의 일면에는 발수기능과 접착 기능을 하도록 압출되어 냉각된 LDPE재로 이루어진 발수층과 HDPE시트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부착된 반대면에는 발수기능을 갖는 발수코팅층으로 이루어진 보강스크림을 발포된 시트 또는 매트형의 폼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폼과 양측에 설치된 보강스크림 사이에 열융착필름을 적층하여 가열 압착하여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실내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the interior of a roo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실내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보강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발수 기능을 갖는 코팅층을 압출기로 용융상태의 LDPE재를 토출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코팅층이 냉각되기 전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HDPE시트를 부착한 스크림을 폼의 양측에 설치하고 가열 압착하여 내습성과 인장강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실내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음재나 마감재, 또는 내장재 등은 건축물의 실내ㆍ외에서부터 자동차의 실내 천정에까지 매우 다양한 곳에서 쓰여 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마감재 제조공정은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 마감재 제조에 필요한 길이 이상의 폴리우레탄폼(100)이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에 따라 이송된다. 그리고 폴리우레탄폼(10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4개의 롤이 구비되어 있다. 이 롤 들에는 내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각각 부직포(300)와 제1수지필름(310), 글래스매트(320)와 제2수지필름(330)이 안내되어 해당 위치에서 이송되는 폴리우레탄폼(100)의 상면과 하면에 위치되도록 이송된다.
즉, 1차적인 폴리우레탄폼(100)의 일면 접착 및 라미네이팅을 위하여 각 롤에 권취된 제1수지필름(310)과 제2수지필름(330), 글래스매트(320)와 부직포(300)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어 폴리우레탄폼(100)을 실어서 프레스 및 히트챔버(500) 사이에 위치된다.
히트챔버 및 프레스(500)는 그 사이에 폴리우레탄폼(100)이 위치되었을 때 승강 및 하강에 의하여 폴리우레탄폼(100)과 글래스매트(320) 및 부직포(300)를 열압착시킨다.
한편 실내 내장 마감재의 다른 제조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04445호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부직포 상면에 제1열융착재와 유리섬유를 적층 또는 산포시킨 후 가열부를 통해 상기 제1열융착재가 융해되어 상기 유리섬유가 상기 부직포에 융착되도록 하여 스크림을 제조한 후 상기 스크림을 폼의 양쪽에 공급한 후 열융착시켜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04445호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은 내습성과 인장력이 약하여 쉽게 박리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04445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2883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7989호. 일본 특허등록 평1-150533.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기지재에 발수 기능을 갖는 발수시트를 프레스로 압착시켜 인장력 및 내습력과 생산성 등이 향상되며, 또한 천연소재를 이용한 보강스크림을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할 경우 발포된 폼의 양측에 용이하게 부착 설치할 수 있는 편리성과 오랜 기간 사용시에도 박리가 되지 않는 등의 이점이 있는 실내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나프, 황마, 아마, 양마 및 코코넛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소재와 저융점 단섬유로 이루어진 기지재와 상기 기지재의 일면에는 발수기능과 접착 기능을 하도록 압출되어 냉각된 LDPE재로 이루어진 발수층과 HDPE시트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부착된 반대면에는 발수기능을 갖는 발수코팅층으로 이루어진 보강스크림을 발포된 시트 또는 매트형의 폼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폼과 양측에 설치된 보강스크림 사이에 열융착필름을 적층하여 가열 압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 마감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의 HDPE시트와 LDPE재로 이루어진 발수코팅층에는 부직포 또는 표피재가 더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 마감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보강스크림과 폼 사이에 유리섬유매트가 더 설치되고 열융착필름에 의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 마감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한 실내 내장 마감재를 구현하는 제조방법으로는 케나프, 황마, 아마, 양마 및 코코넛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소재와 저융점 단섬유를 혼합하여 시트 형태의 기지재를 형성시키는 기지재제조공정과; 상기 기지재제조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기지재의 일면에 용융된 LDPE재를 압출기로 도포시키 발추층을 형성시키는 제1발수층도포공정과; 상기 도포된 용융상태의 LDPE재로 이루어진 발수층 위에 HDPE재로 이루어진 HDPE시트를 압착하여 부착시키는 보강층형성공정과; 상기 기지재에 적층 형성된 발추층과 HDPE시트를 가압하여 부착시키는 압착공정과; 상기 지지부재의 압착공정 후 기지재를 뒤집는 뒤집기공정과; 상기 뒤집어진 기지재의 일면에 용융된 LDPE재를 압출기로 도포시킨 후 압착시켜 발수층을 형성시키는 제2발수층도포공정; 및 상기 제2발수층도포공정 수행으로 제조된 보강스크림을 일정한 크기 또는 권취된 보강스크림과 발포된 폼을 공급하되 폼의 양쪽 면에 보강스크림을 공급하되 보강스크림과 폼 사이에는 열융착필름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원료투입공정과; 상기 폼과 양측에 설치된 보강스크림 및 보강스크림과 발포된 폼 사이에 공급되는 열융착필름을 가열 압착하는 압착공정 순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 마감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기지재에 발수 기능을 갖는 발수시트를 프레스로 압착시켜 인장력 및 내습력과 생산성 등이 향상되며, 또한 천연소재를 이용한 보강스크림을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할 경우 발포된 폼의 양측에 용이하게 부착 설치할 수 있는 편리성과 오랜 기간 사용시에도 박리가 되지 않는 등의 이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실내 내장 마감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인 실내 내장 마감재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실내 내장 마감재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제조 공정도.
도 5는 종래 실내 내장 마감재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제조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실내 내장 마감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내 내장 마감재(1)은 케나프, 황마, 아마, 양마 및 코코넛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소재와 저융점 단섬유로 이루어진 기지재(10)와 상기 기지재(10)의 일면에는 발수기능과 접착 기능을 하도록 압출되어 냉각된 LDPE재로 이루어진 발수층(21)과 HDPE시트(22)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20)가 부착된 반대면에는 발수기능을 갖는 발수코팅층(30)으로 이루어진 보강스크림(2)을 발포된 시트 또는 매트형의 폼(3)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폼과 양측에 설치된 보강스크림(2) 사이에 열융착필름(4)을 적층하고 가열 압착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지지부재(20)는 LDPE재를 압출기(T-다이)에서 용융된 상태로 압출시켜 시트 형태로 기지재(10)의 일면에 도포시켜 발수층(21)을 형성시킨 후 용융상태의 LDPE재가 냉각되기 전에 HDPE시트(22)를 적층시키고 가압하여 부착시킨다. 한편 상기 천연소재는 장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폼(3)은 폴리우레탄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폼(3)은 열성형이 가능한 반경질 폼 제품으로서 건식과 습식용으로 구분된다. 특히, 건식제품의 특징은 열성형이 가능한 코어 온도가 180 ∼ 190℃ 로서 성형 후 형상변형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습식제품의 경우는 130∼150℃의 저온에서도 성형이 가능하다.
이들 제품의 특징으로는 성형 후 형상변형이 없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형상제품에 대한 디자인 성형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성형 후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며, 제품의 중량저감 및 N.V.H(흡음 기능성)에 있어서 탁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 열융착필름(4)은 부직포를 접착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열융착필름(4)으로는 핫멜트 나일론 필름이나 올레핀계열 열융착필름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열융착필름(4)은 가공처리된 얇은 수지재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DPE시트에는 부직포가 더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40)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섬유와 화학섬유로 이루어지고, 특히 성형후 가로 및 세로방향의 수치변화와 같은 물성치 및 인장강도가 높은 부직포를 이용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스크림(2)과 폼(3) 사이에 유리섬유매트(5)를 더 설치하고 열융착필름(4a)에 의해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매트(5)는 단섬유 형태의 유리섬유를 시트형태로 펼친 후 핫멜트 파우더를 살포시켜 가열 압착하여 제조한 형태이다.
상기 유리섬유매트(5)를 설치할 경우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내 내장 마감재(1)을 구현하기 위한 제조방법으로는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나프, 황마, 아마, 양마 및 코코넛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소재와 저융점 단섬유를 혼합하여 압축기로 압출시키면서 가열 및 압착하여 기지재(10)를 시트 형태로 형성시키는 기지재제조공정(S100)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케나프, 황마, 아마, 양마 및 코코넛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소재는 장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융점 단섬유는 용융되어 접착제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접착력을 높여 기지재(10)의 인장력 및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PP파우더를 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지재제조공정(S100)에 의해 만들어진 기지재(10)의 일면에 용융된 LDPE재를 압출기로 도포시키 발추층(21)을 형성시키는 제1발수층도포공정(S200)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도포된 용융상태의 LDPE재로 이루어진 발수층(21) 위에 HDPE재로 이루어진 HDPE시트(22)를 압착하여 부착시키는 보강층형성공정(S300)을 수행한다.
상기 제1발수층도포공정(S200)과 보강층형성공정(S300)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기지재(10)의 일면에 지지부재(20)를 형성시키게 되는데, 상기 지지부재(20)는 LDPE재를 압출기(T-다이)에서 용융된 상태로 압출시켜 시트 형태로 기지재(10)의 일면에 도포시켜 발수층(21)을 형성시킨 후 용융상태의 LDPE재가 냉각되기 전에 HDPE시트(22)를 적층시켜 가압하여 부착시킨다.
상기 지지부재(20)의 압착공정(S400) 후 기지재(10)를 뒤집는 뒤집기공정(S500)에 의해 상기 기지재(10)를 180도 회전시켜 상하면을 뒤집은 다음 기지재(10)의 일면에 용융된 LDPE재를 압출기로 도포시킨 후 압착시켜 발수코팅층(30)을 형성시키는 제2발수층도포공정(S600) 순으로 보강스크림을 제조한다.
이때 로울러를 이용하여 용융상태의 발수층(21) 및 발수코팅층(30)를 가압하면 인장력과 평활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공정에 따라서 가열 후 냉각기를 통해 급속으로 냉각할 수도 있다. 이렇게 얻어진 보강스크림(2)은 도면상 미 도시된 절단기를 통해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거나 롤에 권취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2발수층도포공정(S600) 수행으로 제조된 보강스크림(2)을 일정한 크기 또는 권취된 보강스크림(2)과 발포된 폼(3)을 공급하되 폼(3)의 양쪽 면에 보강스크림(2)을 공급하되 보강스크림(2)과 폼(3) 사이에는 열융착필름(4)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원료투입공정(S700)과 상기 폼(3)과 양측에 설치된 보강스크림(2) 및 보강스크림(2)과 발포된 폼(3) 사이에 공급되는 열융착필름(4)을 가열 압착하는 압착공정(S800) 순으로 제조한 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다.
보강스크림(2), 열융착필름(4), 폼(3)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기 위하여 자재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횡방향으로 히팅 및 가압을 하는 가열/가압장치가 위치된다. 상기 가열/가압장치를 통과하는 상기 폴리우레탄폼(3)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보강스크림(2)이 위치되어 상기 폴리우레탄폼(3)과 동일하게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스크림(3)과 상기 폴리우레탄폼(2) 사이에는 상기 열융착필름(4)가 위치된다. 여기서, 열융착필름(4)은 필름 형태 수지 즉 핫멜트 필름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층이 용이하고 융점이 낮기 때문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DPE시트(22)에 부직포(40)를 더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보강스크림(2)과 폼(3) 사이에 유리섬유매트(5)가 더 설치되고 열융착필름(4)에 의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직포(40)를 사용하는 이유는 마감재로 사용하기 위함이며 유리섬유매트(5)를 더 설치하는 이유는 제조의 변형방지 및 인장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천연소재를 사용하는 기지재에 발수 기능을 갖는 발수시트를 압착시켜 인장력 및 내습력 향상과 또한 천연소재를 이용한 보강스크림을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할 경우 발포된 폼의 양측에 용이하게 부착 설치할 수 있는 편리성과 오랜 기간 사용시에도 박리가 되지 않는 등의 이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2 : 보강스크림 3 : 폼부재
4 : 열융착필름 5 : 유리섬유매트
10 : 기지재 20 : 지지부재
21 : 발수층 22 : HDPE시트
30 : 발수코팅층 40 : 부직포
S100 : 기지재제조공정 S200 : 제1발수층도포공정
S300 : 보강층형성공정 S400 : 압착공정
S500 : 뒤집기공정 S600 : 제2발수층도포공정
S700 : 원료투입공정 S800 : 압착공정

Claims (4)

  1. 케나프, 황마, 아마, 양마 및 코코넛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소재와 저융점 단섬유로 이루어진 기지재와 상기 기지재의 일면에는 발수기능과 접착 기능을 하도록 압출되어 냉각된 LDPE재로 이루어진 발수층과 HDPE시트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부착된 반대면에는 발수기능을 갖는 발수코팅층으로 이루어진 보강스크림을 발포된 시트 또는 매트형의 폼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폼과 양측에 설치된 보강스크림 사이에 열융착필름을 적층하여 가열 압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DPE시트에는 부직포가 더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 마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스크림과 폼 사이에 유리섬유매트가 더 설치되고 열융착필름에 의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 마감재.
  4. 삭제
KR20130111288A 2013-09-16 2013-09-16 실내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9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288A KR101494405B1 (ko) 2013-09-16 2013-09-16 실내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288A KR101494405B1 (ko) 2013-09-16 2013-09-16 실내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405B1 true KR101494405B1 (ko) 2015-02-23

Family

ID=5259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1288A KR101494405B1 (ko) 2013-09-16 2013-09-16 실내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4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621A (ko) * 1997-12-11 1998-03-30 유내형 자동차의 엔진후드용 흡차음 및 진동흡수를 위한 시트
KR101108874B1 (ko) 2008-05-13 2012-01-30 한일이화주식회사 경량성 다층 구조물 및 제조방법
KR20130031996A (ko) * 2011-09-22 2013-04-0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내장용 천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74748B1 (ko) 2011-06-27 2013-06-17 한일이화주식회사 친환경 경량화 다층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621A (ko) * 1997-12-11 1998-03-30 유내형 자동차의 엔진후드용 흡차음 및 진동흡수를 위한 시트
KR101108874B1 (ko) 2008-05-13 2012-01-30 한일이화주식회사 경량성 다층 구조물 및 제조방법
KR101274748B1 (ko) 2011-06-27 2013-06-17 한일이화주식회사 친환경 경량화 다층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31996A (ko) * 2011-09-22 2013-04-0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내장용 천정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7287B (zh) 聚氨酯多层复合板的生产方法
KR100225617B1 (ko) 종이 뜨는 방법의 스탬퍼블 시트, 경량 스탬퍼블 시트 성형체 및 경량 스탬퍼블 시트 성형체의 제조방법
EP0231013B1 (en) Laminated structure for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method of production
AU2012203228A1 (en) Lightweight composite thermoplastic sheets including reinforcing skins
WO1996028297A1 (fr) Element insonorisant
ES2536176T3 (es) Guarnecido de techo y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un guarnecido de techo para vehículos
JP2002144976A (ja) 車両用成形天井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94405B1 (ko) 실내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59686U (ko) 내장재 적층체
JP2002046545A (ja) 車両用成形天井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40180A (ja) 多孔質積層体および接着性分散法スタンパブルシート
KR101458105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보강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3758Y1 (ko) 내장재 적층체
JP2004122545A (ja) 熱成形性芯材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内装材
KR101052593B1 (ko) 도트 무늬를 갖는 부직포 및 그 부직포의 제조방법
JP2004090413A (ja) 成形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08376176U (zh) 客车顶板用连续纤维增强热塑性发泡板
KR200142815Y1 (ko) 내장재 적층체
JP7438838B2 (ja) 自動車内装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74182B2 (ko)
KR100412096B1 (ko) 저용량 필름의 부직포 라미네이션 합지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43367A (ko) 특수목적 차량용 샌드위치패널
JP4067283B2 (ja) 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成形品
KR101456460B1 (ko) 보강된 처짐 방지용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386525A (ja) 内装用複合基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