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050B1 -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 - Google Patents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050B1
KR101494050B1 KR20120086452A KR20120086452A KR101494050B1 KR 101494050 B1 KR101494050 B1 KR 101494050B1 KR 20120086452 A KR20120086452 A KR 20120086452A KR 20120086452 A KR20120086452 A KR 20120086452A KR 101494050 B1 KR101494050 B1 KR 101494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plow
excavation
excavating
harve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8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119A (ko
Inventor
강완배
유동석
Original Assignee
강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완배 filed Critical 강완배
Priority to KR20120086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0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땅속작물의 열매를 지상으로 노출시켜 수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단은 농기계(20)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공(13)이 형성되는 판상형의 굴착부(11); 및 상기 굴착부(11)의 양단에서 상기 굴착부(11)의 일단 및 타단이 노출되게 연결되는 날개부(15);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15)는 상기 굴착부(11)의 일단에 대응하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경사면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PLOW FOR HARVESTING UNDER GROUND CROP}
본 발명은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땅속작물의 열매를 지상으로 노출시켜 수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에 관한 것이다.
땅속작물은 감자, 고구마, 땅콩, 인삼, 무, 마늘, 양파 등 땅속에 열매를 맺는 식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땅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땅을 일정 깊이 파내어 상기 땅속작물의 열매가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땅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한 농기계는 많은 종류가 개발되고 있고, 대부분 경운기타 트랙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쟁기로 땅을 파내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농기계에서 사용되는 쟁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쟁기(1)는 전방이 좁고 후방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며, 후방에는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농기계(7)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공(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쟁기(1)는 진행방향으로 중앙부가 볼록하도록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쟁기(1)는 도 2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즉, 하단이 비교적 뾰족한 형태(도 2의 (a) 및 (b) 참조)와 굴곡져 있는 형태(도 2의 (c) 참조)로 구분되고, 하단이 뾰족한 형태에서는 다시 측면이 굴곡으로 전방까지 이어진 형태(도 2의 (a) 참조)와 측면에서 각진 형태(도 2의 (b) 참조)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쟁기(1)는 땅의 굴토를 위하여 전방이 좁게 형성되지만, 지중에 삽입되는 전체 단면적이 커서 지중의 저항을 크게 받을 뿐만 아니라, 땅을 깊게 파 들어가는 데에도 저항을 크게 받아 깊게 굴토하려면 많은 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땅속작물은 쟁기(1)로 파내면 쟁기를 타고 넘어 지상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수확되는데, 종래의 쟁기는 땅을 파내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땅속작물의 열매가 땅이 뒤집히면서 지상으로 노출되지 않고 파내지는 흙에 의해 쟁기의 양측면의 흙에 묻혀 완전히 지상으로 노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쟁기(1)의 단면적이 커서 땅속작물의 열매가 작업도중 긁히거나 손상되는 확률이 보다 높이 발생하여 열매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땅속작물의 열매를 수확할 때 보다 적은 동력으로 깊이 토굴할 수 있는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땅속작물의 열매가 보다 용이하게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땅속작물의 열매를 최대한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수확할 수 있는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에 관한 것으로, 일단은 농기계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는 판상형의 굴착부; 및 상기 굴착부의 양단에서 상기 굴착부의 일단 및 타단이 노출되게 연결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굴착부의 일단에 대응하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경사면을 구비한다.
상기 굴착부의 전면은, 지중에 진입하면서 지중에 의한 진입저항을 최소화하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착부와 날개부는 진행방향으로 중앙부가 볼록하도록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날개부는 상기 굴착부가 진행방향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굴착부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상기 굴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착부와 날개부 중 하나 이상에는 전진에 따른 토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흙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공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통공의 후단으로 연장되어 흙의 흐름을 유도하면서 쟁기의 수평진행을 유도하는 유도편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날개부에는 전진에 따른 토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흙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절개편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의 끝단에는, 상기 날개부와 함께 포집하면서 땅속작물의 상승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날개부에 대해 전방으로 경사진 곡면을 형성하는 포집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포집부에는, 전진에 따른 토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흙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절개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에 의하면, 땅속작물의 열매를 수확할 때 보다 적은 동력으로 깊이 토굴할 수 있어 동일한 동력의 농기계로 한번에 보다 넓은 면적의 작물을 수확하면서도 그 수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땅속작물의 열매가 보다 용이하게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열매의 채취가 보다 용이하여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땅속작물의 열매를 최대한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수확할 수 있어 작물의 상품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쟁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쟁기 및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의 사용상태도,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의 (b)는 도 7의 (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의 (a), 도 9의 (a)는 제2실시예에 따른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의 (b) 및 도 9의 (b)는 각각 도 8의 (a)의 C-C'선 및 도 9의 (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쟁기 및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쟁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10)는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농기계(20)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굴착부(11)의 일단에는 농기계(20)에 연결을 위한 체결공(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굴착부(11)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직사각 형태로 그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굴착부(11)는 판상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에는 체결공(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굴착부(11)의 타단, 즉 전면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진입하면서 지중에 의한 진입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날개부(15)는 상기 굴착부(11)의 양단에서 상기 굴착부(11)의 일단 및 타단이 노출되도록 연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날개부(15)는 상기 굴착부(11)의 길이(A)보다 짧은 길이(C)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15)는 상기 굴착부(11)의 타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굴착부(11)에 장착되므로, 상기 굴착부(11)가 땅을 굴착할 때는 굴착부(11)의 타단만이 지중을 파 들어가게 되어 진입저항이 보다 저하된다.
또한 날개부(15)의 길이(C)에 의해 굴착부(11)에서 날개부(15) 후단까지의 길이(B)가 전체 길이(A)에 비해 짧아지게 되므로, 땅속식물의 열매가 날개부(15)를 타고 올라 뒤집히기 위한 단턱이 낮아지게 된다. 즉, 굴착부(11)에서 날개부(15) 후단까지의 길이(B)는 종래기술에서 체결공(13)이 형성된 부위를 제외한 쟁기(10)부분의 길이(A)보다 짧다. 따라서 땅속식물의 열매는 날개부(15)를 따라 파헤쳐진 흙속에 묻히지 않고 날개부(15)의 단턱을 넘어 뒤집혀 지므로, 상기 열매는 지중에 노출되게 되어 채집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날개부(15)는, 상기 굴착부(11)의 일단에 대응하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경사면을 구비한다. 이러한 경사면의 형태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및 타단만이 경사진 대략 사다리꼴 형태일 수도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경사진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굴착부(11)와 날개부(15)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부(11)와 날개부(15)가 전체적으로 곡면을 형성하도록 진행방향으로 중앙부가 볼록하도록 굴곡진 형태로 이루질 수도 있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굴착부(11)에 일정 각도로 결합된 날개부(15)에 의해 굴곡진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굴착부(11)가 진행방향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굴착부(11)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상기 날개부(15)가 상기 굴착부(1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땅속작물의 열매를 수확할 때 굴착부(11)에 대한 지중 진입저항이 최소화되므로 보다 적은 동력으로 깊이 토굴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동력의 농기계(20)로 한번에 보다 넓은 면적의 작물을 수확하면서도 그 수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땅속작물의 열매가 날개부(15)의 낮은 단턱을 넘어 지상에 노출되므로 상기 열매의 채취가 보다 용이하여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이 증대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땅속작물의 열매가 날개부(15)의 전면을 타고 올라 넘게 되므로 땅속작물의 열매를 최대한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수확할 수 있어 작물의 상품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의 (a), 도 9의 (a)는 제2실시예에 따른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의 (b) 및 도 9의 (b)는 각각 도 8의 (a)의 C-C'선 및 도 9의 (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굴착부(11) 및 날개부(15)에는 다수개의 통공(16)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16)은 쟁기(10)의 전진에 따라 쟁기에 가해지는 토압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통공(16)을 통해 흙이 통과한다. 이때 상기 통공으로는 흙은 통과하되, 땅속작물은 통과하지 않도록 수확할 땅속작물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통공(16)은 굴착부(11)와 날개부(15)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공(16)의 전방은, 도 7의 (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착부(11)와 날개부(15)를 따라 상승하는 땅속작물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곡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통공(16)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의 후단으로 연장되어 흙의 흐름을 유도하면서 쟁기의 수평진행을 유도하는 유도편(1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은 상기 통공의 하단에 유도편이 형성된 예이고, 도 9는 상기 통공의 상단에 유도편이 형성된 예이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실시예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15)에는, 전진에 따라 가해지는 토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흙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된 다수개의 절개편(18)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편 사이로는 흙은 통과하되, 땅속작물은 통과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편(18)의 테두리는, 제2실시예의 통공과 같이, 상기 날개부(15)를 따라 상승하는 땅속작물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곡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굴착부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통공(16)이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 및 제2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부(15)와 함께 포집하면서 땅속작물의 상승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날개부(15)에 대해 전방으로 경사진 곡면을 형성하는 포집부(19)가 상기 날개부(15)의 끝단에 연장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포집부(19)에는 제3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전진에 따른 토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흙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절개편(19a)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땅속작물이 쟁기의 전진에 따라 승강하면서 날개부(15)의 측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땅속작물은 날개부(15)와 포집부(19)를 따라 상승하면서 날개부(15)를 넘게 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므로, 땅속작물의 수확이 보다 용이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쟁기 11 : 굴착부
13 : 체결공 15 : 날개부
16 : 통공 17 : 유도편
18 : 절개편 19 : 포집부
19a : 절개편 20 : 농기계

Claims (8)

  1. 일단은 농기계(20)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공(13)이 형성되는 판상형의 굴착부(11); 및
    상기 굴착부(11)의 양단에서 상기 굴착부(11)의 일단 및 타단이 노출되게 연결되는 날개부(15);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15)는 상기 굴착부(11)의 일단에 대응하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굴착부(11)의 전면은, 지중에 진입하면서 지중에 의한 진입저항을 최소화하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굴착부(11)와 날개부(15)는 진행방향으로 중앙부가 볼록하도록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부(15)는 상기 굴착부(11)가 진행방향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굴착부(11)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상기 굴착부(1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부(11)와 날개부(15) 중 하나 이상에는 전진에 따른 토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흙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통공(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16)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통공의 후단으로 연장되어 흙의 흐름을 유도하면서 쟁기의 수평진행을 유도하는 유도편(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15)에는 전진에 따른 토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흙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절개편(1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15)의 끝단에는, 상기 날개부(15)와 함께 포집하면서 땅속작물의 상승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날개부에 대해 전방으로 경사진 곡면을 형성하는 포집부(19)가 더 구비되고,
    상기 포집부(19)에는, 전진에 따른 토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흙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절개편(19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
KR20120086452A 2012-08-07 2012-08-07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 KR101494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6452A KR101494050B1 (ko) 2012-08-07 2012-08-07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6452A KR101494050B1 (ko) 2012-08-07 2012-08-07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119A KR20140021119A (ko) 2014-02-20
KR101494050B1 true KR101494050B1 (ko) 2015-02-17

Family

ID=5026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86452A KR101494050B1 (ko) 2012-08-07 2012-08-07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0842A (zh) * 2016-05-07 2016-09-28 安徽科技学院 一种弯曲式深松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327Y1 (ko) * 1984-06-08 1986-09-20 임선진
US4730679A (en) * 1986-11-17 1988-03-15 Tallerico James V Garden tool with hoe parts, pointed nose and arched projections
KR20030093775A (ko) * 2002-06-05 2003-12-11 제주도(농업기술원) 트랙터용 쟁기
KR20110006603U (ko) * 2009-12-24 2011-06-30 방득규 큰 모종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327Y1 (ko) * 1984-06-08 1986-09-20 임선진
US4730679A (en) * 1986-11-17 1988-03-15 Tallerico James V Garden tool with hoe parts, pointed nose and arched projections
KR20030093775A (ko) * 2002-06-05 2003-12-11 제주도(농업기술원) 트랙터용 쟁기
KR20110006603U (ko) * 2009-12-24 2011-06-30 방득규 큰 모종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119A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647B1 (ko) 수확기용 채굴장치
KR101323850B1 (ko) 뿌리작물 수확장치
CN103733797B (zh) 长根茎类中草药挖掘收获机
KR102022832B1 (ko) 기능성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JP2009100659A (ja) 深耕爪を装備した成形培土器ユニット
KR101494050B1 (ko) 땅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쟁기
KR20120124241A (ko) 트랙터용 써레
JP2013220035A (ja) 草取り鎌
KR101832293B1 (ko) 농작물 수확기용 돌 제거장치
KR20200110827A (ko) 경사지 채굴이 용이한 구근 수확장치
KR20140032592A (ko) 땅속작물 수확기
US5373904A (en) Cultivator blade
CN105637990A (zh) 四齿钉扒
CN102668797B (zh) 长根茎作物收获机
KR20120003248U (ko) 땅속 작물 수확기용 흙 공급구조
US2563177A (en) Peanut digger
RU2303340C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аров
CN210137615U (zh) 药材收获机深度挖掘铲
CN206165183U (zh) 菊苣联合收获机
CN202514294U (zh) 一种长根茎作物收获机
KR101399098B1 (ko) 뿌리작물 수확장치
US11076523B2 (en) Tillage point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with improved shank protection
JP2007228880A (ja) 心土作溝土層改良機
RU180837U1 (ru) Лаповый копатель-отделитель корнеплодов
CN206909068U (zh) 新型可调式起垄成形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