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001B1 - System for supportting unit, Method for supportting unit, Unit and Playing method of motion picture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supportting unit, Method for supportting unit, Unit and Playing method of motion pictur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001B1
KR101494001B1 KR20070106807A KR20070106807A KR101494001B1 KR 101494001 B1 KR101494001 B1 KR 101494001B1 KR 20070106807 A KR20070106807 A KR 20070106807A KR 20070106807 A KR20070106807 A KR 20070106807A KR 101494001 B1 KR101494001 B1 KR 101494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terminal
caption
information
subti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068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41217A (en
Inventor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106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001B1/en
Publication of KR2009004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2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0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로 동영상 파일 및 이에 대응하는 자막파일을 전송하는 단말기 지원 시스템 및 단말기 그리고 이들의 파일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영상의 자막파일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와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주변제어모듈과;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특징 테이블로부터 자막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를 독출하여, 자막파일의 포멧을 상기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지원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 지원 정치가 상기 자막파일을 상기 단말기가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변형하여 전송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동영상 파일 및 자막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단말기상에서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70106807

단말기, 동영상, 자막, 특징 테이블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support system and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 moving picture file and a corresponding subtitle file to a terminal, and a file transmission method theref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support system for transmitting a caption file of a moving picture to a terminal, the terminal support system comprising: a peripheral control module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terminal; And a support control module for reading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caption information or display information from the feature table stored in the terminal, converting the format of the caption file to correspond to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terminal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rminal support policy transforms the subtitle file into a form that can be outputted by the terminal, the user can conveniently download the video file and the subtitle file and reproduce it on the terminal.

Figure R1020070106807

Terminal, video, subtitle, feature table

Description

단말기 지원 시스템 및 단말기 그리고 이들의 단말기 지원방법 및 동영상 파일의 재생방법 { System for supportting unit, Method for supportting unit, Unit and Playing method of motion picture thereof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support system and a terminal, and a method of supporting the terminal and a method of reproducing a video file,

본 발명은 단말기로 동영상 파일 및 이에 대응하는 자막파일을 전송하는 단말기 지원 시스템 및 단말기 그리고 이들의 파일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support system and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 moving picture file and a corresponding subtitle file to a terminal, and a file transmission method therefor.

통상의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정보의 송수신, 정보의 청취 및/또는 시청을 가능하게 한다. 휴대 장치는 휴대 전화기, 휴대 재생기 및 휴대 수신기 등의 단일 기능의 것에서 재생 기능이 부가된 휴대형 멀티미디어 형태로 진화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장치는, 최근, 신호의 처리 및 제어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당한 부분의 하드웨어(Hardware) 블록들 대신 소프트웨어(Software) 블록들을 도입하고 있다. 이는 부가적인 기능의 추가와 사용 환경에 따른 신호의 처리 및 제어 로직의 변경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기인한다.A typical portable device enables a user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listen to information, and / or view information on the move. Portable devices have evolved from a single function, such as a portable telephone, a portable player, and a portable receiver, to a form of portable multimedia with a playback function. Such portable devices have recently introduced software blocks instead of a substantial portion of hardware blocks in order to implement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it is easy to add additional functions, process signals according to usage environment, and change control logic.

한편, 재생 기능을 가지는 휴대 장치는 이동 중에 음향 및/또는 영상 정보의 청취 또는 시청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재생 기능의 휴대 장치는,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록매체 교체 형태에서 기록매체 내장 형태로 대체되고 있다. 기록매체 내장형의 휴대 장치는 필요한 음향 및/또는 영상 정보의 데이터 화일이 자체 내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다운로드 되게 하고,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화일을 재생한다. 이러한 기록매체 내장형 휴대 장치는 집적 회로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더 많은 데이터 화일들을 저장할 수 있게 개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portable apparatus having a reproducing function enables listening or viewing of sound and / or image information on the move. Such a portable apparatus having a reproducing function has been replaced with a built-in recording medium in the form of replacement of the recording medium in that it can be made compact and lightweight. A portable device with a built-in recording medium causes a data file of necessary sound and / or image information to be downloaded to a recording medium (e.g., a hard disk or a nonvolatile memory) in itself and reproduces the data file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Such a recording medium built-in portable device is being developed so that more data files can be stored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ircuit technology.

재생 기능의 휴대 장치에 다운로드 될 데이터 화일에는, 영화와 같은 동영상 파일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위한 자막파일이 포함된다.A data file to be downloaded to the mobile device having the playback function includes a movie file such as a movie. And a subtitle file for the moving picture fil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즉,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지원하는 자막파일의 종류를 사용자가 미리 파악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자막파일의 형식을 상기 단말기가 지원하는 형식으로 변환하여야 했다. 따라서, 자막파일의 전송이 복잡하고, 사용자가 미숙한 경우, 자막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to grasp the type of the subtitle file supported by the terminal in advance and convert the format of the subtitle file to be transmitted to the format supported by the terminal. Therefor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ransmission of the subtitle file is complicated and the subtitle is not output when the user is immature.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영화와 같은 동영상 파일의 전송시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 파일과 함께, 자막파일을 전송하여야 하므로 전송할 파일의 개수가 많아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영상 파일의 전송하여 시청하는 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related art, the number of files to be transmitted is increased because a user must transmit the subtitle file together with the moving picture file when transmitting a moving picture file such as a movi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viewing a moving picture file by the user becomes complic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동영상 파일 및 자막파일을 단말기로 전송할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support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conveniently transmit a moving image file and a subtitle file to a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동영상 파일 및 자막파일을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동영상 파일 및 자막파일을 수신하여 이를 재생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for receiving the moving picture file and the caption file from the terminal support system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transmit the moving picture file and the caption file to th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동영상 파일 및 자막파일을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지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support method which enables a user to conveniently transmit a video file and a caption file to a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동영상 파일 및 자막파일을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지원 방법에 의해 수신된 동영상 파일 및 자막파일을 상기 단말기 상에서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producing a moving picture file and a subtitle file received by the terminal supporting method so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transmit a moving picture file and a caption file to the termina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동영상의 자막파일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와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주변제어모듈과;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특징 테이블로부터 자막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를 독출하여, 자막파일의 포멧을 상기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지원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support system for transmitting a caption file of a moving picture to a terminal, the terminal support system comprising: a peripheral control module connected to the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terminal; And a support control module for reading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caption information or display information from the feature table stored in the terminal, converting the format of the caption file to correspond to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terminal information to the terminal.

여기서, 상기 자막파일의 포멧 변환은, 상기 특징 테이블에 상기 자막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자막파일의 포멧을 상기 자막정보에 대응하도록 변환하고, 상기 특징 테이블에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자막파일의 포멧을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환하되; 상기 자막정보 및 디스플레이 정보가 모두 포함된 경우, 상기 자막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자막파일의 포멧이 변환될 수도 있다.Here, the format conversion of the caption file may include converting the format of the caption file to correspond to the caption information when the cap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eature table, and when the feature information includes the display information, Converting a format of the subtitle file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information; If both the caption information and the display information are included, the format of the caption file may be converted to correspond to the caption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자막정보에는, 휴대용 단말기가 지원하는 자막파일의 형식정보와, 자막의 크기, 색상 및 폰트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The caption information may include format information of the caption file supported by the portable terminal, size, color, and font information of the caption.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는, 디스플레이의 종류, 해상도, 화면크기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information may include a display type, resolution, and screen size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지원제어모듈은, 상기 자막파일을 단말기로 전송함에 있어, 상기 단말기의 자막파일 지원여부 및 동영상 파일의 형식에 따라 상기 자막파일을 변환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control module may convert the subtitle file according to whether the subtitle file is supported by the terminal and the format of the moving picture file, and transmit the subtitle file to the terminal.

또한, 상기 단말기의 자막파일 지원여부는 상기 특징테이블에 저장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ther or not the terminal supports the caption file may be stored in the feature table.

그리고 상기 단말기가 자막파일을 지원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이 자막삽입이 가능한 경우, 상기 자막파일은 상기 동영상파일의 헤더 또는 테일에 삽입되어 상기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If the terminal supports the caption file and the caption of the moving picture file can be inserted, the caption file may be inserted into the header or tail of the moving image file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또한, 상기 단말기가 자막파일을 지원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이 자막삽입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자막파일은 상기 동영상 파일과 함께 별도의 파일로 전송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supports the caption file and the caption file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caption file, the caption file may be transmitted as a separate file together with the video file.

그리고 상기 단말기가 자막파일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동영상 파일의 영상에 상기 자막파일이 합성되어 생성된 파일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If the terminal does not support the caption file, the caption file may be combined with the video of the video file to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generated file.

한편, 본 발명은 단말기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동영상의 자막파일을 수신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지원 시스템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접속인터페이스와; 상기 단말기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동영상 파일 또는 자막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지원 시스템에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는 특징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동영상 파일 또는 자막파일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메인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for receiving a caption file of a moving picture from a terminal support system, the terminal comprising: a connection interface for connecting to and receiving data from the terminal support system;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feature table for storing a moving image file or a caption fil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upport system and providing terminal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upport system; And a main controller for outputting the moving picture file or the caption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an output unit.

이때, 상기 특징테이블은, 휴대용 단말기가 지원하는 자막파일의 형식정보와, 자막의 크기, 색상 또는 폰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막정보; 또는 디스플레이의 종류, 해상도, 화면크기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eature table may include: cap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ormat information of a caption file supported by the portable terminal and size, color or font information of the caption; Or display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isplay type, resolution, and screen size information.

이때,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이 묶음 파일인 경우, 상기 동영상 파일의 헤더 또는 테일 부분에 저장된 자막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에 싱크되어 출력가능한 형태로 변환 또는 저장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If the moving picture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a bundle file, the main controller extracts a subtitle file stored in a header or a tail portion of the moving picture file, converts the subtitle file into a form that can be output to the moving picture file, You may.

그리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이 자막파일이 합성되어 생성된 파일인 경우, 상기 동영상 만을 출력할 수도 있다.The main controller may output only the moving image when the moving image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a file generated by combining subtitle files.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저장부에 동영상 파일과 이에 상응하는 자막파일이 함께 저장된 경우, 상기 자막파일을 상기 동영상 파일에 싱크시켜 상기 동영상 파일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The main controller may sink the subtitle file to the moving image file and output the subtitle file together with the moving image file when the moving image file and the corresponding subtitle file are stored together in the storage unit.

한편, 본 발명은 동영상 자막파일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자막파일 지원여부 및 동영상 파일의 형식에 따라 상기 자막파일의 형태를 다르게 변형하여 전송하는 단말기 지원 방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support method for transmitting a moving picture caption file to a terminal, the method including a terminal supporting method for transforming a shape of the caption file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supports the caption file and / .

이때, 상기 자막 파일의 형태 변형은, (A) 단말기가 자막파일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자막파일에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자막이 가능한 형식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단말기가 자막파일을 지원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이 자막삽입이 가능한 경우, 상기 자막파일을 상기 동영상파일에 삽입하여 묶음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단말기가 자막파일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동영상 파일의 영상에 상기 자막파일을 결합시켜 합성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morphing of the subtitle file may include: (A)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supports a subtitle file; (B) determining whether the moving picture file corresponding to the caption file is in a format capable of captioning; (C) generating a bundle file by inserting the subtitle file into the moving image file when the terminal supports the subtitle file and the subtitle can be inserted into the moving image file; And (D) when the terminal does not support the caption file, combining the caption file with an image of the moving image file to generate a combined file.

그리고 상기 자막파일은, 상기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도록 그 포멧이 변형된 형태의 자막파일일 수도 있다.The caption file may be a caption file whose format is modified to correspond to the terminal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자막파일의 포멧 변환은, (a) 접속된 단말기에 저장된 특징 테이블을 독출하는 단계와; (b) 상기 특징 테이블에 자막정보가 포함되어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특징 테이블에 상기 자막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자막파일에 포멧을 자막정보에 일치하도록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특징 테이블에 상기 자막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자막파일의 포멧을 디스플레이 정보 에 일치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The format conversion of the subtitle file may include: (a) reading a feature table stored in the connected terminal; (b) determining whether cap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eature table; (c) if the feature table includes the caption information, converting the format into the caption file to match the caption information; And (d) if the subtitle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feature table, converting the format of the subtitle file to match the display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은 단말기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파일 및 이의 자막파일을 단말기에서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 재생할 동영상 파일이 묶음파일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Ⅱ) 상기 제 (Ⅰ)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동영상 파일이 묶음 파일인 경우, 상기 묶음 파일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Ⅲ) 상기 동영상 파일에 상기 추출된 자막 데이터를 싱크(sync)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producing a moving picture file and its subtitle file received from a terminal support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 determining whether a moving picture file to be played is a bundled file; (II) extracting caption data from the bundle file if the moving picture file is a bundle fi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ing in step (I); And (III) synchronizing the extracted caption data with the moving image file and outputting the synchronized caption data together with the moving image data.

이때, 상기 제 (Ⅱ) 단계의 자막데이터의 추출은, 상기 묶음파일의 헤더 또는 테일 부분에 포함된 자막데이터를 추출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aption data of the (II) step may be extracted by extracting the caption data included in the header or tail portion of the bundle file.

이때, 상기 추출된 자막데이터는 버퍼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extracted caption data may be stored in the buffer memory.

또한, 본 발명은 (Ⅳ) 상기 제 (Ⅰ)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동영상 파일이 묶음 파일이 아닌경우, 상기 동영상 파일이 합성파일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Ⅴ) 상기 제 (Ⅳ)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동영상 파일이 합성파일인 경우, 상기 동영상 파일을 단독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a moving picture file, the method comprising: (i) determining whether the moving picture file is a combined file if the moving picture file is not a bundled file; (V) If the moving picture file is a composite fi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ing in the step (IV), the moving picture file may be reproduced alone.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지원 시스템 및 단말기 그리고 이들의 단말기 지원방법 및 동영상 파일의 재생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terminal support system an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support method and the moving picture file playback method,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단말기가 지원하는 자막파일의 종류를 단말기 지워 시스템이 파악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자막파일의 형식을 상기 단말기가 지원하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 송하므로, 사용자의 자막파일의 전송이 손쉬워지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 system recognizes the type of the subtitle file supported by the terminal, and converts the format of the subtitle file to be transmitted to the format supported by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ransfer the subtitle file. have.

그리고 본 발명은 자막파일을 영상파일 내에 포함시켜 전송하므로 자막파일일 전송되지 않아(사용자의 실수 또는 네트워크의 불안정 등의 용인에 의함) 동영상 파일의 자막을 시청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subtitle file is transmitted by including the subtitle file in the video file, the subtitle file can not be transmitted (due to the user's mistake or instability of the network) have.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지원 시스템과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detailed embodiments of a terminal support system and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과 결부되어 본 발명에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용 지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의 단말기용 지원 시스템은 지원 제어 모듈(110)에 접속된 비디오 제어기(120), 메인 메모리(130), 하드 디스크(140), 입력 제어기(150), 주변 제어 모듈(160) 및 통신 모듈(170)을 구비한다. 지원 제어 모듈(110)은 주변 제어 모듈(150)에 접속되는 단말기(200)를 지원한다. 이를 상세히 하면, 지원 제어 모듈(110)은 단말기(200)의 유지보수 및 기능갱신을 위한 단말기(200)로의 갱신 프로그램의 다운로딩과 영상 및/또는 음향 정보의 시청 또는 청취를 위한 단말기(200)로의 재생 가능한 데이터 파일의 다운로딩 등을 수행한다. 이에 더하여, 지원 제어 모듈(110)은 통신 모듈(170)을 통한 사용자 정보 등록과 갱신용 프로그램 및 재생 가능한 데이터 파일의 다운로드를 수행한다. 이러한 지원 제어 모듈(110)의 지원 동작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 이다. 지원 동작 외에도, 지원 제어 모듈(110)은 비디오 제어기(120), 메인 메모리(130), 하드 디스크(140), 입력 제어기(150), 주변 제어 모듈(160) 및 통신 모듈(170)의 제어, 자료의 연산 및 논리의 조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지원 제어 모듈(110)은 중앙 처리 유니트(Central Process Unit; 이하 "CPU"라 함)(112)에 직렬 접속된 노스 브리지(North Bridge)(114) 및 사우스 브릿지(South Bridge)(116)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upport system for 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ncludes a video controller 120 connected to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a main memory 130, a hard disk 140, an input controller 150, a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170).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supports the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50.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may download the update program to the terminal 200 for maintenance and function update of the terminal 200 and download the updated program to the terminal 200 for viewing or listening to the video and / And downloading a reproducible data file to the server. In additio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performs registration of the user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and downloads of the update program and the reproducible data file. The support operation of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flowchart shown in FIG. In addition to the support operations,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controls the video controller 120, the main memory 130, the hard disk 140, the input controller 150,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Performs operations of data and logic.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includes a North Bridge 114 and a South Bridge 116 connected in series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

CPU(112)는 단말기(200)의 유지보수 및 기능갱신을 위한 단말기로의 갱신 프로그램의 다운로딩과 영상 및/또는 음향 정보의 시청 또는 청취를 위한 단말기(200)로의 재생 가능한 데이터 파일의 다운로딩 등을 수행한다. 또한, CPU(112)는 통신 모듈(170)을 통한 사용자 정보 등록과 갱신용 프로그램 및 재생 가능한 데이터 파일의 다운로드를 수행한다. 이에 더하여, CPU(112)는 노스 브릿지(114), 사우스 브릿지(116), 비디오 제어기(120), 메인 메모리(130), 하드 디스크(140), 입력 제어기(150), 주변 제어 모듈(160) 및 통신 모듈(170)의 제어, 자료 연산 및 논리 조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CPU(112)는 산술 논리 연산 장치(ALU), 제어 유니트(Control Unit), 레지스터(Register) 및 기억장치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The CPU 112 downloads the update program to the terminal for maintenance and function update of the terminal 200 and downloads the reproducible data file to the terminal 200 for viewing or listening to the video and / And so on. Also, the CPU 112 performs registration of user information, download of a program for updating and download of a reproducible data fil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 In addition, the CPU 112 includes a north bridge 114, a south bridge 116, a video controller 120, a main memory 130, a hard disk 140, an input controller 150, a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and performs data operation and logical operation. To this end, the CPU 112 includes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control unit, a register, a storage device interface, and the like.

노스 브리지(114)는 사우스 브리지(116)를 포함하여 비교적 빠르게 동작하는 주변기기인 비디오 제어기(120) 및 메인 메모리(130) 각각과 CPU(112)와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중계한다. 또한, CPU(112)의 제어하에 노스 브리지(114)는 비디오 제어기(120), 메인 메모리(130) 및 사우스 브리지(116)를 제어한다.The north bridge 114 relays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video controller 120 and the main memory 130, which are relatively fast peripherals including the south bridge 116, and the CPU 112, respectively. Under control of the CPU 112, the north bridge 114 controls the video controller 120, the main memory 130, and the south bridge 116.

사우스 브리지(116)는 비교적 속도가 느린 주변장치들 각각의 입력 및 출력 을 관리하는 일종의 레지스터 집합체이다. 이 사우스 브리지(116)는 하드 디스크(140), 입력 제어기(150), 주변 제어 모듈(160) 및 통신 모듈(170) 각각과 노스 브리지(114)를 경유하여 접속된 CPU(112)간의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중계한다. 이에 더하여, 사우스 브리지(116)는, 노스 브리지(114)를 경유하는 접속된 CPU(112)의 제어하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140), 입력 제어기(150), 주변 제어 모듈(160) 및 통신 모듈(170)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사우스 브리지(116)은 PCI 버스(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노스 브리지(114)와 연결된다.The south bridge 116 is a kind of register set that manages the input and output of each of the relatively slow peripheral devices. The south bridge 116 is connected to the CPU 112 connected to the hard disk 140, the input controller 150,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via the north bridge 114, Relay the transmission. In addition, the south bridge 116 is connected to the hard disk drive 140, the input controller 150,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6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nected CPU 112 via the north bridge 114 (170). To this end, the south bridge 116 is connected to the north bridge 114 by a PCI bus (not shown).

비디오 컨트롤러(120)는 지원 제어 모듈(110)(즉, CPU(112))에 의하여 처리된 데이터가 음극선관(Cathod Ray Tub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게 한다. 이를 위하여, 비디오 컨트롤러(120)는 AGP (Accelerated Graphic Port)에 의해 노스 브리지(114)와 연결될 수 있다.The video controller 120 causes the data processed by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i.e., the CPU 112)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 cathode ray tube or LC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o this end, the video controller 120 may be coupled to the north bridge 114 by an AGP (Accelerated Graphic Port).

메인 메모리(130)는 지원 제어 모듈(110), 상세하게는 CPU(112)의 작업공간을 마련한다. 다시 말하여, 메인 메모리(130)는 지원 제어 모듈(110) 내의 CPU(112)에 의하여 처리되었거나 또는 처리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메인 메모리(130)는 노스 브리지(114)에 접속된다.The main memory 130 provides a work space for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specifically, the CPU 112. In other words, the main memory 130 temporarily stores data to be processed or processed by the CPU 112 i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To this end, the main memory 130 is connected to the north bridge 114.

하드 디스크(140)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운영체제와 같은 시스템 프로그램 및 각종 응용프로그램들은 ROM으로 불리우는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하드 디스크(140)에 저장된 운영체제는 시스템 부팅 동작에 의해 메인 메모리(130)에 업 로드(Up Load)되어 실행된다. 하드 디스크(140)에 저장된 각종의 응용 프로그램들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메인 메모리(130)에 업-로드되어 실행된다.The hard disk 140 stores various programs including an operating system (OS). System programs such as an operating system an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may be stored in a separate memory called a ROM. The operating system stored in the hard disk 140 is uploaded to the main memory 130 by the system boot operation and is execute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stored in the hard disk 140 are uploaded to the main memory 130 at the user's choice and executed.

입력 제어기(150)은 키보드(Key Board) 및 마우스(Mouse) 등과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사우스 브리지(116) 및 노스 브리지(114)를 경유하여 CPU(112)에 전달한다.The input controller 150 transmits data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to the CPU 112 via the south bridge 116 and the north bridge 114.

주변 제어 모듈(160)은 지원 시스템과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한다. 다시 말하여, 주변 제어 모듈(160)은 지원 제어 모듈(110)(구체적으로는, CPU(112))과 지원될 단말기(200)와의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중계한다. 상기 주변제어모듈(160)과 단말기(200) 사이의 연결은 다양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장치로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에 의하여 상기 주변제어모듈(160)이 지원될 단말기(200)과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controls data input / output between the support system and the terminal 200. In other words,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relays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specifically, the CPU 112) and the terminal 200 to be support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and the terminal 200 may be performed by various interface device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is connected to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through the universal serial bus (USB) To be supported by the terminal 200 to be support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통신 모듈(170)은 지원 시스템과 통신망과의 양방향 통신을 중계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 모듈(170)은 공중전화망 또는 근거리 통신망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지원 제어 모듈(110)(즉, 사우스 브리지(116) 및 노스 브리지(114)을 경유하여 CPU(112))쪽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지원 제어 모듈(110)로부터 부터의(즉, CPU(112)로부터 노스 브리지(114) 및 사우스 브리지(116)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공중전화망 또는 근거리 통신망 쪽으로 송출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 모듈(170)은 PCI 또는 USB에 의하여 사우스 브리지(116)에 접속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70) relay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supporting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transmits data from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or the local area network to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i.e., via the south bridge 116 and the north bridge 114 to the CPU 112) Or transmits data from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i.e., transmitted from the CPU 112 via the north bridge 114 and the south bridge 116) to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or the local area network.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is connected to the south bridge 116 by PCI or USB.

주변 제어 모듈(160)에 접속되는 단말기(200)는 휴대 전화기, 휴대 수신기 휴대 재생기, 또는 재생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전화기 또는 휴대 수신기 등(PDA, PMP, MP3 player 등)이 될 수 있다. The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may be a mobile phone, a portable receiver portable player, a portable phone having a playback function, a portable receiver (PDA, PMP, MP3 player, etc.).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단말기 지원 시스템과 함께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together with the terminal support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이때, 도 2에서는 상기 단말기 지원 시스템의 구성은 도 1에서 상세히 살펴보았으므로 그 중요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FIG. 2,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support system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refore only important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 지원시스템(100)은 도 1에서 살핀 바와 같이, 지원제어모듈(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원제어모듈(100)의 사우스 브리지(116)에 연결된 주변제어모듈(160)에는 접속인터페이스(180)가 연결된다. 상기 접속인터페이스(180)는 단말기(200)와 단말기 지원 시스템(100) 간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USB 인터페이스 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살핀바와 같다.As shown in FIG. 2, the terminal support system 100 includes a support control module 110, as shown in FIG. A connection interface 180 is connected to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connected to the south bridge 116 of the support control module 100. The connection interface 180 allow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terminal support system 100 so that a USB interface device can be applied.

한편,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메인 컨트롤러(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210)는 상기 단말기 지원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파일을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재생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재생하는 부분이다. 상기 데이터 파일의 재생방법은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the terminal 200 includes a main controller 21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main controller 210 stores the data fil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upport system 100 in the storage unit 230 and reproduces the stored data file when there is a playback request from the user. Hereinafter, the method of reproducing the data fi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ile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메인 컨트롤러(210)에는 상기 접속인터페이스(180)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 지원 시스템(100)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속인터페이스(28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인터페이스(180)가 USB 인터페이스 장치라면, 상기 접속인터페이스(280) 역시 USB 인터페이스 장치가 된다.The main controller 21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interface 280 for enabl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support system 10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interface 180. Accordingly, if the connection interface 180 is a USB interface device, the connection interface 280 is also a USB interface device.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210)에는 상기 단말기 지원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되어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220)가 연결된다. 상기 출력부(220)는 비디오 출력부 및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비디오 출력부는 LCD, PDP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main controller 210 is connected to an output unit 220 for displaying the data fil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upport system 100 to the user. The output unit 220 may include a video output unit and an audio output unit. The video output unit may include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n LCD and a PDP.

한편, 상기 메인 컨트롤러(210)에는 상기 단말기 지원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230)에는 상기 단말기의 특성을 저장한 특징테이블이 저장된다.Meanwhile, the main controller 210 is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230 for storing the data fil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upport system 10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30 stores a characteristic table storing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

도 3에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적용되는 특징테이블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3 shows an example of a feature table applied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징 테이블에는 기본 정보, 사용자 정보, DRM 정보가 포함된다. 기본 정보는 제작사, 모델명칭, 제품 종류, 제품식별번호, 일련번호, 파트번호, OS프로그램 버젼을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이름, 사용자 접속 번호, 사용자 비밀번호가 포함된다. 이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다. DRM 정보에는 영상 및/또는 음향 정보에 대한 데이터 파일의 제작자에 따라 다양한 DRM 수단 중 해제가 가능한 DRM 수단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된다. 이들 기본 정보, 사용자 정보 및 DRM 정보 외에도, 가능한 초기 언어, 코덱 정보, 표시 정보, 주파수 변조 정보, 기록 기능, 음향 효과, 기록매체의 종류 및 배터리 지원 정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As shown, the feature table includes basic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DRM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includes manufacturer, model name, product type, product identification number, serial number, part number, and OS program version.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a user name, a user access number, and a user password. This user information is recorded by the user. The DRM information includes data on DRM means capable of releasing among various DRM means according to the creator of the data file of the video and / or audio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se basic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DRM information, possible initial language, codec information, display information, frequency modulation information, recording function, sound effect, kind of recording medium and battery support information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특징 테이블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정보 및 자막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 및 자막정보는 자막 파일을 휴대용 장치에 최적화하기 위한 데이터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는 디스플레이의 종류, 해상도, 크기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자막정보에는 휴대용장치가 지원하는 자막파일의 형식인 지원가능 파일형식정보와, 자막크기, 자막색상 및 폰트 정보가 저장된다. As shown in FIG. 3, display information and caption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feature table. The display information and the caption information are data for optimizing the caption file to a portable device, and the display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type, resolution, and size of the display. In the caption information, supportable file format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caption file supported by the portable device, caption size, caption color, and font information are stored.

따라서, 상기 지원 제어 모듈(110)은 자막파일을 단말기(200)에 전송시 먼저 자막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자막정보에 저장된 형식으로 상기 자막파일의 포멧을 변경한다. 이때, 상기 자막파일의 형식이 휴대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형식이라면, 이를 상기 단말기(200)가 지원하는 형식으로 변환시켜주는 것도 가능하다.Therefore, when the subtitle fil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first searches the subtitle information and changes the format of the subtitle file in the format stored in the subtitle information. At this time, if the format of the subtitle file is not supported by the portable terminal, it may be converted into a format supported by the terminal 200.

그러나 상기 자막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통하여 자막파일의 포멧을 변환한다. 즉, 디스플레이 해상도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정한 자막파일의 포멧을 설정한다.However, if the caption information can not be obtained, the format of the caption file is converted through the display information. That is, the proper format of the subtitle file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display resolution and the size.

한편, 상기 지원 제어 모듈(110)은, 접속된 단말기(200)가 자막파일을 지원하는 단말기인지 검사하여, 자막파일을 지원하지 않는(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MP3 등의 기기는 지원하지 않음) 경우, 상기 변환된 자막파일을 동영상 파일과 결합하여(이하 결합 된 파일을 '합성파일'이라 한다) 전송한다. 이때, 상기 자막파일은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에 붙여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checks whether the connected terminal 200 is a terminal supporting the subtitle file. If the terminal 200 does not support the subtitle file (for example, it does not support devices such as MP3) , The converted subtitle file is combined with a moving image fi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mbined fil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title file is pasted to the moving picture file using a filter.

또한, 상기 지원제어모듈(110)은 상기 접속된 단말기(200)가 자막파일을 지원하는 단말기이고, 전송할 파일 데이터(영상 파일을 말한다)가 변환가능하여 자막파일을 영상파일 내에 삽입가능한 형태의 파일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파일 데이 터(영상 파일)를 변환하여 상기 파일 데이터 내에 자막파일을 포함시켜 변형된 파일(이하 '묶음파일'이라 한다)을 생성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is a terminal supporting the subtitle file, and the file data (referred to as a video file) to be transmitted can be converted and the subtitle file can be inserted into the video file In the case of data, the file data (image file) is converted to include a subtitle file in the file data to generate a modified fi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undle file).

상기 묶음파일의 생성방법에 대하여는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bundled fi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지원 시스템의 지원 방법(동영상 파일 전송방법)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upporting a terminal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ing picture file transmission method).

먼저, 사용자로부터 단말기(200)로 데이터 파일의 전송 명령을 입력받은 지원 제어 모듈은 상기 전송 명령된 데이터 파일 내에 자막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10, S120). 여기서 본 발명은 동영상 파일의 전송시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파일은 동영상 파일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파일 내에 자막파일이 포함되었다 함은 전송 명령된 동영상 파일과 같은 파일명을 갖는 자막파일이 동일 폴더 내에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First, the support control module, which receives the transmission command of the data file from the user to the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caption file exists in the transmission commanded data file (S110, S120). Here, it is assum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ving picture file, and that the data file to be transmitted is a moving picture file. In addition, the caption file is included in the data file, including the case where a caption file having a file name such as a moving picture file to be transmitted exists in the same folder.

이는 상기 데이터 파일이 국내의 동영상 파일인 경우에 자막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각 단계를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 120 단계의 판단결과 자막파일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파일을 바로 전송한다(S150). This is because there is no caption when the data file is a domestic moving picture file, and it is not necessary to go through each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120 that the subtitle file does not exist, the data file is directly transmitted in operation S150.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파일에 자막파일이 포함된 경우, 접속된 단말기(200)에 저장된 특징 테이블 상에 자막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이는 상기 자막데이터의 포멧 변경의 기준으로는 후술할 디스플레이 정보보다 상기 자막정보가 우선하기 때문이다. Next, when the subtitle file is included in the data file, it is determined whether subtitle information exists on the feature table stored in the connected terminal 200 (S130). This is because the subtitle information has priority over the display information described below as a reference for format change of the subtitle data.

상기 자막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지원 제어 모듈(110)은 상기 자막파일의 포 멧을 상기 자막정보에 대응하도록 변환한다(S134). 즉, 상기 자막파일을 자막 크기, 색상, 폰트가 재설정된다. If the caption information exists,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converts the caption file format to correspond to the caption information (S134). That is, the caption size, color, and font of the caption file are reset.

한편, 상기 특징 테이블 상에 자막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자막파일의 포멧을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환한다(S136). 즉, 상기 자막파일의 크기, 색상, 폰트 설정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크기에 적절하도록 재설정된다. 상기 적절한 값은 사용자 또는 프로그램 설계자에 의해 저장 및 변경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re is no caption information on the feature table, the format of the caption file is conver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information (S136). That is, the size, color, and font settings of the subtitle file are reset to be appropriate to the resolution and size of the display. The appropriate value may preferably be stored and changed by the user or program designer.

상기 자막파일의 포멧이 변경되었으면, 다음으로 접속된 단말기(200)가 자막파일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여기서, 상기 자막파일을 지원하지 않는 기종이란, 별도의 자막파일을 저장하고, 이에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자막파일을 상기 동영상 파일과 싱크 시켜 재생시키는 기능이 없는 단말기를 말한다. 이러한 단말기에서 자막을 포함하여 동영상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상기 동영상 파일에 상기 자막을 입혀 하나의 동영상 파일을 만들어야 한다.If the format of the caption file is chang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rminal 200 connected next supports the caption file (S140). The terminal not supporting the caption file refers to a terminal that does not have a function of storing another caption file and synchronizing the caption file with the video file when the corresponding video file is played back. In order to listen to a moving picture including a caption in such a terminal, the caption must be added to the moving picture file to form one moving picture file.

따라서, 상기 제 140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200)가 자막파일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동영상 파일에 자막파일을 결합하여 합성파일을 생성한다(S146). 그리고 자막과 일체화된 합성파일을 전송한다(S150).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140 that the terminal 200 does not support the caption file, the caption file is combined with the caption file to generate a combined file (S146). Then, the composite file integrated with the caption is transmitted (S150).

만약 상기 제 140 단계의 판단 결과, 접속된 단말기(200)가 자막파일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동영상 파일의 종류가 자막삽입이 가능한 파일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142).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140 that the connected terminal 200 supports the subtitle fi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ype of the moving picture file to be transmitted is a subtitle-insertable file (S142).

이는 상기 지원제어모듈(110)이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전송하기 전에 상기 동 영상 파일의 헤더(header) 또는 테일(tail) 부분에 자막파일을 삽입하는데, 상기 지원제어모듈(110)이 이를 지원하는 파일 형식이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말한다.This is because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inserts a caption file in a header or a tail portion of the video file before transmitting the video file, It is to determine whether it is type.

물론, 대표적인 동영상 파일의 형식은 상기 지원제어모듈의 그 변환을 지원할 것이나, 대표적이지 않은 수 많은 형식의 동영상 파일을 모두 지원할 수는 없으므로 상기의 단계를 거친다.Of course, the format of the representative video file will support the conversion of the support control module, but it can not support all of the non-representative formats of video files, so the above steps are performed.

이후, 상기 동영상파일이 자막삽입 가능한 형식의 동영상 파일이라면, 상기 동영상파일에 자막파일을 부가하여 묶음파일을 생성한다(S150).Thereafter, if the moving picture file is a moving picture file of a subtitle-insertable format, a subtitle file is added to the moving picture file to generate a bundled file (S150).

상기 변환 파일의 생성 방법은 이하에서 도 5a 및 도 5b와 함께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A method of generating the transformed fi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그리고, 상기 묶음파일이 생성된 이후에는 상기 생성된 변환 파일을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50).After the bundle file is generated, the converted fil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S150).

이하에서는, 상기 지원제어모듈이 상기 변화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the change file by the support control module will be described.

도 5a 에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송 파일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 에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RIFF 구조의 파일 헤더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FIG. 5A shows a structure of a transmission fil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shows a file header portion of a RIFF structur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파일의 데이터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데이터는 실제 DATA가 저장되는 패킷과 상기 패킷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붙는 헤더와 테일을 갖는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data structure of the moving picture file includes a packet in which actual data is stored and a header and a tail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acket.

상기 지원제어모듈(110)은 상기 헤더 또는 테일 부분에 자막데이터를 포함시 켜 묶음파일을 생성한다.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generates a bundle file by including caption data in the header or tail portion.

이때, 상기 헤더 또는 테일의 구조는 각 동영상 파일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따라서, 상기 지원제어모듈(110)은 대표적인 동영상 파일 종류에 따라, 상기 자막 데이터를 삽입할 헤더 또는 테일의 구조를 알고 있어야 한다.At this time, the structure of the header or the tail is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each moving picture file. Therefore,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needs to know the structure of the header or tail to insert the caption data according to a typical video file type.

이때, 상기 지원제어모듈(110)이 파악하지 못한 헤더 또는 테일의 구조를 갖는 동영상 파일은 상기 지원제어모듈(110)에 의해 자막 삽입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At this time,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determines that the subtitle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moving picture file having the header or tail structure that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can not grasp.

도 5b에는 동영상 파일 중 AVI 형식의 파일에서 헤더에 자막 데이터를 삽입하는 위치를 표시한 도면이다.FIG. 5B is a diagram showing a position of insertion of caption data in a header in an AVI format file of a moving image file.

도시된 바와 같은 AVI 파일의 헤더에서, "LIST ('info' " 부분에 자막파일을 삽입하여 묶음파일을 생성한다.In the header of the AVI file as shown, a bundle file is created by inserting a subtitle file in the part of "LIST ('info'".

이하에서는, 상기 동영상 파일을 수신한 단말기(200)가 상기 수신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the terminal 200 receiving the moving image file to play the received moving image file will be described.

도 6에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동영상파일의 재생방법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producing a moving picture fil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200)는 단말기(200)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파일을 저장부(230)에 저장한다(S210). 이때, 자막파일이 함께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자막파일도 상기 동영상 파일과 함께 저장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moving picture file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 supporting system in the storage unit 230 (S210). At this time, if the caption file is received together, the received caption file is also stored together with the video file.

그리고, 상기 동영상 파일에 대한 재생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동영상 파일 이 자막이 삽입된 변환 파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상기 판단은 상기 동영상 파일의 헤더 또는 테일 부분을 살핌에 의해 이루어진다.If there is a reproduction command for the moving picture fi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oving picture file is a converted file in which the caption is inserted (S220). The determination is made by examining a header or a tail portion of the moving image file.

이때, 상기 동영상 파일인 경우에는, 상기 동영상 파일의 헤더 또는 테일에 삽입된 자막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버퍼에 저장한다(S230, S232). 물론, 상기 자막데이터를 모두 추출하여 하나의 자막파일을 생성해내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moving picture file, the subtitle data inserted in the header or tail of the moving picture file is extracted and stored in the buffer (S230, S232).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extract all the caption data and generate one caption file.

이후, 상기 동영상 파일과 자막 데이터를 함께 재생하는데, 이때 상기 자막 데이터는 상기 동영상 파일에 싱크되어 재생된다(S234).Subsequently, the moving picture file and the caption data are played back together. At this time, the caption data is synchronized with the moving picture file and played back (S234).

한편, 상기 제 220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동영상 파일이 변환 파일이 아닌 경우, 상기 저장부(230)에 상기 동영상 파일과 매칭되는 자막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220 that the moving picture file is not a transformed file, it is determined whether a subtitle file matching the moving picture file exists in the storage unit 230 in operation S240.

이후 상기 자막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자막파일과 상기 동영상 파일을 함께 재생한다(S234).If the subtitle file exists, the subtitle file and the moving image file are played together (S234).

그러나 상기 자막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는 상기 동영상 파일이 원래 자막이 없는 동영상 파일이거나, 상기 동영상 파일에 자막이 결합되어 생성된 동영상 파일(합성파일, 제146단계 참조) 이므로 상기 동영상 파일 만을 단독으로 재생하게 된다(S242).However, if the subtitle file does not exist, it means that the moving picture file is a moving picture file without original subtitles or a moving picture file (composite file, see step 146) generated by combining subtitles in the moving picture file, (S24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단말기 지원 시스템의 전체적인 단발기 지원 방법 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피도록 한다.Hereinafter, it will be seen how the present invention works within the overall single device support method of the terminal support system.

도 7에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단말기 지원 시스템의 단말기 지원 방법의 전체적인 순서가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verall procedure of a terminal support method of a terminal support system includ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원 제어 모듈(110)은 주변 제어 모듈(160)에 재생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200)이 접속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주변 제어 모듈(160)을 감시하면서 대기한다(제S310 단계). 주변 제어 모듈(160)에 상기 단말기(200)이 접속된 것이 검출되면, 지원 제어 모듈(110)은 주변 제어 모듈(160)를 경유하여 상기 단말기(200)에 저장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징 테이블을 판독한다(제S312 단계). 또한, 지원 제어 모듈(110)은 지원 메뉴 정보를 비디오 제어기(120)을 경유하여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하여 지원 메뉴가 표시장치상에 표시되게 한다(제S314 단계). 지원 메뉴가 표시장치상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지원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지원 메뉴에는 테이블의 갱신 모드, 펌 웨어 갱신 모드, 온라인 등록 모드, 파일 다운로딩 모드 및 온라인 다운로딩 모드가 포함된다. 지원 메뉴의 표시 후, 지원 제어 모듈(110)은 입력 제어기(150)에 연결된 입력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테이블 갱신 모드, 펌웨어 갱신 모드, 온라인 등록 모드, 파일 다운로딩 모드 및 온라인 다운로딩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제S316 내지 제S324 단계).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waits while monitoring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periodically until the terminal 200 having the playback function is connected to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in operation S310.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controls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to transmit the feature The table is read (operation S312). In additio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supplies support menu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not shown) via the video controller 120 so that the support menu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step S314). When the support menu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user can select any of the support menus. The support menu includes a table update mode, a firmware update mode, an online registration mode, a file downloading mode, and an online downloading mode. After displaying the support menu,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receives a table update mode, a firmware update mode, an online registration mode, a file downloading mode, and an online downloading mode from an input devi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input controller 150 And waits until a command for designating any one is inputted (steps S316 to S324).

제S316 단계에서 테이블 갱신 모드의 지정 명령이 입력 제어기(150)로부터 입력되면, 지원 제어 모듈(110)은 갱신 가능한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비디오 제어기(120)를 경유하여 표시장치에 공급하여 갱신 가능한 항목들이 표시장치상에 표시되게 한다(제S326 단계). 지원 제어 모듈(110)은 입력 제어기(150)에 접속된 입력장치를 스캔하여 사용자가 갱신하고자 하는 갱신 정보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제S328 단계). 제S328 단계에서 갱신 정보가 입력되었으면, 지원 제어 모듈(110)은 입력된 사용자의 갱신 정보를 주변 제어 모듈(160)에 연결된 상기 단말기(200)에 로드하여 단말기(200) 내의 특징 테이블 상의 해당 항목의 정보가 사용자의 입력 정보로 갱신되게 한다(제S330 단계). 이 때, 갱신될 수 있는 단말기(200) 내의 특징 테이블 상의 항목은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이름, 사용자 접속 번호 및 사용자 비밀번호이다. 이러한 사용자에 의한 특징 테이블의 갱신은 타인에 의한 단말기(200)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단말기(200) 내의 특징 테이블 상의 항목 중에서 초기 언어 및 주파수 변조 정보도 갱신될 수 있다. 초기 언어는 단말기(200)가 사용될 국가에 적합하게 사용자 또는 보급자에 의해 재 세트 될 수 있으며, 주파수 변조 정보도 마찬가지로 단말기(200)가 사용될 국가 또는 환경에 따라 사용자 또는 보급자에 의해 재 세트 될 수 있다.When the instruction for designating the table update mode is inputted from the input controller 150 in step S316,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supplies information on the updatable items to the display device via the video controller 120, So that the item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Step S326).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scans th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controller 150 to check whether the update information that the user wants to update is inputted (step S328). If the update information is input in step S328,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loads the update information of the inputted user into the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and stores the corresponding item on the feature table in the terminal 200 To be updated with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operation S330). At this time, items on the feature table in the terminal 200 that can be updated are a user name, a user access number, and a user password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The updating of the feature table by the user can prevent the use of the terminal 200 by another person. In addition, the initial language and frequency modulation information among the items on the feature table in the terminal 200 can also be updated. The initial language may be reset by the user or supplier according to the country in which the terminal 200 is to be used and the frequency modulation information may likewise be reset by the user or supplier according to the country or environment in which the terminal 200 is to be used .

제S318 단계에서 펌웨어 갱신 모드의 지정 명령이 입력 제어기(150)으로부터 입력되면, 지원 제어 모듈(110)은 판독한 특징 테이블에서 단말기(200)의 제작사 명칭 및 모델명을 검색한다(제S332 단계). 그 검색된 단말기(200)의 제작사 명칭을 이용하여 통신 모듈(170)에 접속된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200)의 제작사의 온라인 사이트에 접속한다(제S334 단계). 또한, 지원 제어 모듈(110)은 해당 제작사의 온라인 사이트로부터 검색된 모델명에 해당하는 펌웨어를 다운로드 한다(제S336 단계). 이 때, 다운로드 된 펌웨어(Firmware)는 메인 메모리(130)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어서, 지원 제어 모듈(110)은 다운로드 된 펌웨어를 주변 제어기(160)에 연결된 단말기(200)에 다시 다운로드 하여 단말기(200) 내의 펌웨어가 갱신되게 한다(제S338 단계). 이렇게 단말기(200) 내의 펌웨어가 갱신됨으로써, 단말기(200)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거나, 새로운 기능이 단말기(200)에 용이하게 부가되거나 또는 불안정한 기능이 용이하게 보강될 수 있다.If the firmware update mode designa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input controller 150 in step S318,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searches the read feature table for the manufacturer name and model name of the terminal 200 (step S332). And accesses the online site of the manufacturer of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using the name of the manufacturer of the searched terminal 200 (step S334). In additio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downloads the firmware corresponding to the model name retrieved from the online site of the manufacturer (Step S336). At this time, the downloaded firmware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main memory 130. The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downloads the downloaded firmware to the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peripheral controller 160 to update the firmware in the terminal 200 (step S338). Updating the firmware in the terminal 200 can facilitate maintenance of the terminal 200, easily add a new function to the terminal 200, or reinforce unstable functions.

제S320 단계에서 온라인 등록 모드의 지정 명령이 입력 제어기(150)으로부터 입력되면, 지원 제어 모듈(110)은 판독한 특징 테이블에서 단말기(200)의 제작사 명칭 및 일련번호를 검색한다(제S340 단계). 그 검색된 단말기(200)의 제작사 명칭을 이용하여 통신 모듈(170)에 접속된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200)의 제작사의 온라인 사이트에 접속한다(제S342 단계). 또한, 지원 제어 모듈(110)은 검색된 일련번호를 단말기(200)의 제작사의 온라인 사이트 쪽으로 전송하여 단말기(200)의 일련번호가 제작사의 온라인 사이트에 등록되게 한다(제S344 단계). 이어서, 지원 제어 모듈(110)은 입력 제어기(150)에 접속된 입력장치를 스캔하여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즉,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제S346 단계). 제S346 단계에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지원 제어 모듈(110)은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통신 모듈(170) 및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200)의 제작사의 온라인 사이트 쪽으로 전송하여 사용자 정보가 제작사의 온라인 사이트에 등록되게 한다(제S348 단계). 사용자 정보에는 단말기(200)의 사용자 이름, 사용자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의 등록은 분실 또는 도난된 단말기(200)의 추적을 가능하게 하여 분실 및 도난의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 정보의 등록은 일련번호 라벨의 제거를 수반한 도난 제품의 판매 및 도매업자의 덤핑 판매 등의 불법적인 단말기(200)의 보급자의 추적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사용자 정보의 온라인 등록 후, 지원 제어 모듈(110)은 제작자의 온라인 사이트로부터 통신망 및 통신 모 듈(170)을 경유하여 쿠폰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이렇게 다운로드 받은 쿠폰은 지원 제어 모듈(110)에 의하여 주변 제어 모듈(160)을 경유하여 다시 단말기(2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쿠폰의 다운로딩은 시이트 형태의 쿠폰의 위조 또는 변조에 의한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시이트 형태의 쿠폰의 분실로 인한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도 있다.If the instruction for designating the on-line registration mode is input from the input controller 150 in step S320,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searches the title table and the serial number of the terminal 200 on the read feature table (step S340) . And accesses the online site of the manufacturer of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using the name of the manufacturer of the searched terminal 200 (step S342). In additio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transmits the searched serial number to the online site of the manufacturer of the terminal 200 so that the serial number of the terminal 200 is registered in the online site of the manufacturer (Step S344). The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scans an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controller 150 to check whe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i.e., user information) is input (step S346). If the user information is input in step S346,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transmits the inputted user information to the online site of the manufacturer of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Step S348).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a user name, a user address, and a telephone number of the terminal 200. Registration of such user information enables tracking of the lost or stolen terminal 200, thereby preventing loss and theft. In addition, the registration of user information enables tracking of the illegal distribution of the terminal 200, such as the sale of stolen goods accompanied by the removal of the serial number label and the dumping sale of wholesalers. Further, after the online registration of the user informatio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may download the coupon from the manufacturer's online site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 The coupon thus downloaded may be stored in the terminal 200 again via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by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Such downloading of the coupon can prevent unauthorized use of the coupon by forgery or alteration of the coupon in the form of a sheet, and can prevent a case in which the coupon is not benefited from the loss of the coupon in the form of a sheet.

제S322 단계에서 파일 다운로딩 모드의 지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 지원 제어 모듈(110)은 판독한 특징 테이블 상의 DRM 정보에 근거하여 하드 디스크(140)에 저장되어진 영상 및/또는 음향 정보에 관한 데이터 파일들 중 단말기(200)에서 재생 될 수 있는 데이터 파일들을 검색한다. 또한, 지원 제어 모듈(110)은 검색된 데이터 파일들을 목록의 형태로 작성하여 그 작성된 데이터 파일 목록을 비디오 제어기(120)을 경유하여 표시 장치에 공급하여 재생 가능한 데이터 파일 목록이 표시되게 한다(제S350 단계). 이어서, 지원 제어 모듈(110)은 입력 제어기(150)에 접속된 입력장치를 스캔하여 데이터 파일 목록 중에서 다운로드 될 데이터 파일들의 지정이 있는가를 검사한다(제S352 단계). 제S352 단계에서 다운로드 될 데이터 파일들의 지정이 있으면, 지원 제어 모듈(110)은 지정된 데이터 파일들이 하드 디스크(140)로부터 판독하여 그 판독된 데이터 파일들을 단말기(200)에 의해 재생되기 적합하게끔 최적화한다(제S354 단계). In step S322, when the designation command of the file downloading mode is input,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generates data on the image and / or sound information stored in the hard disk 140 based on the DRM information on the read feature table And retrieves data files that can be reproduced from the terminal 200 among the files. In additio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creates the retrieved data files in the form of a list, and supplies the created data file list to the display device via the video controller 120 to display the reproducible data file list (S350 step). The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scans th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controller 150 to check whether there is a designation of data files to be downloaded from the data file list (step S352). If there is a designation of the data files to be downloaded in step S352,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optimizes the designated data files to read from the hard disk 140 and appropriately to be reproduced by the terminal 200 (Step S354).

이때, 상기 제 354 단계의 최적화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파일이 동영상 파일인 경우,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이 적용된다.At this time, in the optimization of operation 354, when the data file is a moving image file, the method described in FIG. 4 is applied.

이후, 지원 제어 모듈(110)은 그 최적화된 데이터 파일들이 주변 제어 모 듈(160)을 경유하여 단말기(200)에 다운로드 되게 한다(제S356 단계). 이렇게 하드 디스크(140)에 미리 저장된 영상 및/또는 음향 정보에 대한 데이터 파일들중 해제 가능한 DRM 수단의 데이터 파일들만이 선택될 수 있게 하여 재생 가능한 데이터 파일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단말기(200)에 다운로드 시킬 수 있게 한다.The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causes the optimized data files to be downloaded to the terminal 200 via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step S356). In this way, only the data files of the DRM means which can be released from among the data files of the video and / or audio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hard disk 140 can be selected and the user can easily download the reproducible data file to the terminal 200 .

제S324 단계에서 온라인 다운로딩 모드의 지정 명령이 입력되면, 지원 제어 모듈(110)는 판독된 특징 테이블에서 DRM 정보를 검색한다(제S358 단계). 검색된 DRM 정보에 근거하여 지원 제어 모듈(110)은 단말기(200)와 호환 가능한 컨텐츠 서버들의 목록을 작성한다(제S360 단계). 또한, 지원 제어 모듈(110)은 입력 제어기(150)에 접속된 입력장치를 스캔하여 호환 가능한 컨텐츠 서버 목록의 컨텐츠 서버들 중 억세스 될 컨텐츠 서버의 지정이 있는 가를 검사한다(제S362 단계). 제S362 단계에서 억세스 될 컨텐츠 서버의 지정이 있으면, 지원 제어 모듈(110)은 통신 모듈(170) 및 통신망을 경유하여 선택된 컨텐츠 서버와 접속하고, 그 접속된 컨텐츠 서버에서 제공하는 영상 및/또는 음향 정보에 대한 데이터 파일들의 목록을 비디오 제어기(120)을 경유하여 표시장치 상에 표시한다(제S364 단계). 이 때, 사용자는 호환 가능한 컨텐츠 서버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파일 목록 중의 데이터 파일들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제S364 단계의 수행 후, 지원 제어 모듈(110)은 입력 제어기(150)에 접속된 입력장치를 스캔하여 컨텐츠 서버의 데이터 파일 목록 중에서 다운로드 될 데이터 파일들의 지정이 있는가를 검사한다(제S356 단계). 제S352 단계에서 다운로드 될 데이터 파일들의 지정이 있으면, 지원 제어 모듈(110)은 지정된 데이터 파일들에 대한 최적화를 접속된 컨텐츠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제S368 단계). 이 데이터 파일의 최적화 요구가 있으면, 컨텐츠 서버는 요청 받은 데이터 파일들을 최적화하고 최적화된 데이터 파일들이 통신망을 통해 지원 시스템의 통신 모듈(170) 쪽으로 전송되게 한다. 여기서 데이터 파일의 최적화 과정은,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In step S324,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searches for the DRM information in the read feature table if the instruction for specifying the online download mode is input (operation S358). Based on the retrieved DRM informatio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creates a list of content servers compatible with the terminal 200 (operation S360). In step S362,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scans th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controller 150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ontent server to be accessed among the content servers in the compatible content server list. If there is a designation of a content server to be accessed in step S362,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connects with the content server selected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video and / A list of data files for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via the video controller 120 (Step S364). At this time, the user can select the data files in the data file list provided by the compatible content server. After step S364,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scans an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controller 150 to check whether there is a designation of data files to be downloaded from the data file list of the content server (step S356). If there is a designation of data files to be downloaded in step S352,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may request optimization of the specified data files to the connected content server (step S368). If there is an optimization request for this data file, the content server optimizes the requested data files and allows the optimized data files to be transmitted over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of the support system. Here, the optimization process of the data file is as described in FIG.

그리고, 지원 제어 모듈(110)은 통신망 및 통신 모듈(170)을 경유하여 접속된 컨텐츠 서버로부터 최적화된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게 된다(제S370 단계). 선택된 데이터 파일들에 대한 최적화 요구를 하지 않은 경우, 지원 제어 모듈(110)은 접속된 컨텐츠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지정한 데이터 파일들을 최적화되지 않은 상태로 다운로드 받게 된다. 이어서, 지원 제어 모듈(110)은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 파일들이 주변 제어 모듈(160)을 경유하여 단말기(200)에 다시 다운로드 되게 한다(제S372 단계). 이렇게 단말기(200)와 호환 가능한 컨텐츠 서버들의 선택을 안내함으로써, 지원 제어 모듈(110)은 단말기(200)에서 재생 가능한 데이터 파일들 만이 온라인 다운로드 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하는 데이터 파일들을 온라인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한다.The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downloads the optimized data file from the content server connected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step S370). If the optimization request for the selected data files is not made,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downloads the data files designated by the user from the connected content server in an unoptimized state. Then,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causes the downloaded data files from the downloaded content server to be downloaded again to the terminal 200 via the peripheral control module 160 (step S372). Thus, by guiding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servers compatible with the terminal 200,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enables only the data files that can be reproduced from the terminal 200 to be downloaded online. Further, the user can easily download desired data files online.

이상과 같은, 단말기용 지원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은 도 1에 도시된 지원 시스템의 하드 디스크(140)에 저장되는 대신 단말기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용 지원 시스템은 통상의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로 대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가 지원 시스템(즉,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된 경우, 휴대 재생 장치(200)에 저장된 다운로딩 방법의 프로그램은 지원 시스템(즉,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140)에 다운로드 된 후 다시 메인 메모리(130)에 업-로드 되 어 지원 제어 모듈(1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program implementing the support method for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in the terminal instead of being stored in the hard disk 140 of the support system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support system for the terminal may be replaced with a normal personal computer. When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upport system (that is, the personal computer), the program of the downloading method stored in the portable playback apparatus 200 is downloaded to the hard disk 140 of the support system (i.e., the personal computer) Loaded into the memory 130 and performed by the support control module 110. [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본 발명은 단말기로 동영상 파일 및 이에 대응하는 자막파일을 전송하는 단말기 지원 시스템 및 단말기 그리고 이들의 파일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가 지원하는 자막파일의 종류를 단말기 지워 시스템이 파악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자막파일의 형식을 상기 단말기가 지원하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므로, 사용자의 자막파일의 전송이 손쉬워지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support system and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 moving picture file and a corresponding subtitle file to a terminal, and a file transmiss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recognizes the format of the subtitle file and converts the format of the subtitle file to be transmitted to the format supported by the terminal, thereby transmitting the subtitle file of the user is advantageous.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용 지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upport system for a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지원 시스템 및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support system and a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적용되는 특징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eature table applied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지원 시스템의 지원 방법(동영상 파일 전송방법)을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upporting a terminal support system (moving picture fil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송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FIG. 5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ransmission fil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RIFF 구조의 파일 헤더 부분을 도시한 예시도.FIG. 5B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ile header portion of a RIFF structur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동영상파일의 재생방법을 도시한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producing a moving picture fil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단말기 지원 시스템의 단말기 지원 방법의 전체적인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verall procedure of a terminal support method of a terminal support system, includ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 단말기 지원 시스템 110 : 지워제어모듈100: terminal support system 110: erase control module

112 : CPU 114 : 노스 브리지112: CPU 114: Northbridge

116 : 사우스 브리지 120 : 비디오 제어기116: south bridge 120: video controller

130 : 메인 메모리 140 : 하드 디스크130: main memory 140: hard disk

150 : 입력제어기 160 : 주변제어모듈150: input controller 160: peripheral control module

170 : 통신모듈 180, 280 : 접속 인터페이스170: communication module 180, 280: connection interface

200 : 단말기 210 : 메인 컨트롤러200: terminal 210: main controller

220 : 출력부 230 : 저장부220: output unit 230: storage unit

Claims (25)

동영상의 자막파일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A terminal support system for transmitting a caption file of a moving picture to a terminal, 단말기와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주변제어모듈과; 그리고A peripheral control module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terminal; And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특징 테이블로부터 자막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를 독출하여, 자막파일의 포멧을 상기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지원 제어모듈을 포함하고;And a support control module for reading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caption information or display information from the feature table stored in the terminal, converting the format of the caption file to correspond to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terminal information to the terminal; 상기 지원제어모듈에 의한 자막파일의 포멧 변환은,Wherein the format conversion of the subtitle file by the support control module comprises: 상기 특징 테이블에 상기 자막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자막파일의 포멧을 상기 자막정보에 대응하도록 변환하고,And converting the format of the caption file to correspond to the caption information if the cap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eature table, 상기 특징 테이블에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자막파일의 포멧을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환하되;If the display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eature table, converting a format of the subtitle file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information; 상기 자막정보 및 디스플레이 정보가 모두 포함된 경우, 상기 자막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자막파일의 포멧이 변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 시스템.Wherein the format of the subtitle file is converted to correspond to the subtitle information when the subtitle information and the display information are all includ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자막정보에는,In the caption information, 휴대용 단말기가 지원하는 자막파일의 형식정보와, 자막의 크기, 색상 및 폰트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 시스템.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format information of a caption file supported by the portable terminal, and size, color, and font information of the cap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는,The display information includes: 디스플레이의 종류, 해상도, 화면크기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 시스템.A display type, a resolution, and a screen size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단말기가 자막파일을 지원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이 자막삽입이 가능한 경우,When the terminal supports a caption file and the caption of the video file can be inserted, 상기 자막파일은 상기 동영상파일의 헤더 또는 테일에 삽입되어 상기 단말기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 시스템.Wherein the subtitle file is inserted into a header or a tail of the moving picture file and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단말기가 자막파일을 지원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이 자막삽입이 불가능한 경우,If the terminal supports a caption file and the caption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video file, 상기 자막파일은 상기 동영상 파일과 함께 별도의 파일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 시스템.Wherein the subtitle file is transmitted as a separate file together with the moving picture fi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단말기가 자막파일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If the terminal does not support a subtitle file, 상기 동영상 파일의 영상에 상기 자막파일이 합성되어 생성된 파일 형태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 시스템.And the subtitle file is synthesized in an image of the moving picture file and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generated file.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말기 지원시스템과;A terminal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4, and 7 to 9; 상기 단말기 지원 시스템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접속인터페이스;A connection interface for connecting to the terminal support system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상기 단말기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동영상 파일 또는 자막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지원 시스템에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는 특징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부; 그리고A storage unit for storing a feature table for storing a moving image file or a caption fil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support system and providing terminal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upport system; And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동영상 파일 또는 자막파일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메인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nd a main controller for outputting the moving picture file or the subtitle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an output unit.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특징테이블은,Wherein the feature table comprises: 휴대용 단말기가 지원하는 자막파일의 형식정보와, 자막의 크기, 색상 또는 폰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막정보; 또는Cap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ormat information of a caption file supported by the portable terminal and size, color or font information of the caption; or 디스플레이의 종류, 해상도, 화면크기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nd display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isplay type, a resolution, and a screen size information.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The main controller includes: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이 묶음 파일인 경우,If the moving picture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a bundle file, 상기 동영상 파일의 헤더 또는 테일 부분에 저장된 자막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에 싱크되어 출력가능한 형태로 변환 또는 저장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Extracts a caption file stored in a header portion or a tail portion of the video file, and converts the caption file into a form that can be output to the video file and outputs the converted video file.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The main controller includes: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이 자막파일이 합성되어 생성된 파일인 경우,If the moving picture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a file generated by combining subtitle files, 상기 동영상 만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nd outputs only the moving image.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The main controller includes: 상기 저장부에 동영상 파일과 이에 상응하는 자막파일이 함께 저장된 경우,If the moving picture file and the corresponding subtitle file are stored together in the storage unit, 상기 자막파일을 상기 동영상 파일에 싱크시켜 상기 동영상 파일과 함께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Wherein the subtitle file is synchronized with the moving picture file and output together with the moving picture file. 동영상 자막파일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지원 방법에 있어서,A terminal supporting method for transmitting a moving picture caption file to a terminal, (A)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특징 테이블로부터 자막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A) reading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caption information or display information from a feature table stored in a storage unit of the terminal; (B) 단말기가 자막파일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supports a caption file; (C) 상기 자막파일에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자막이 가능한 형식인지 판단하는 단계;(C) determining whether a moving picture file corresponding to the caption file is in a format capable of being subtitled; (D) 상기 단말기가 자막파일을 지원하고, 동영상파일이 자막 삽입이 가능한경우, 상기 자막파일을 동영상파일에 삽입하여 묶음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D) generating a bundle file by inserting the subtitle file into a moving image file if the terminal supports the subtitle file and the moving image file is capable of subtitle insertion; And (E) 상기 단말기가 자막파일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동영상 파일의 영상에 상기 자막파일을 결합시켜 합성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지원 방법.(E) if the terminal does not support a caption file, combining the caption file with an image of the video file to generate a composite file. 삭제delete 제 15 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묶음 파일은,The bundle file includes: 상기 동영상 파일의 헤더 영역 또는 테일 영역에 상기 자막파일의 자막데이터를 삽입함에 의해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 방법.Wherein the subtitle data is generated by inserting subtitle data of the subtitle file into a header area or a tail area of the moving picture file. 삭제delete 제 15 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자막파일은,Wherein the subtitle file includes: 상기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도록 그 포멧이 변형된 형태의 자막파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 방법.Wherein the format of the subtitle file is a format in which the format is modified to correspond to the terminal information. 제 19 항에 있어서,20.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자막파일의 포멧 변환은,The format conversion of the subtitle file includes: (a) 접속된 단말기에 저장된 특징 테이블을 독출하는 단계와;(a) reading a feature table stored in a connected terminal; (b) 상기 특징 테이블에 자막정보가 포함되어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b) determining whether cap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eature table; (c) 상기 특징 테이블에 상기 자막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자막파일에 포멧을 자막정보에 일치하도록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c) if the feature table includes the caption information, converting the format into the caption file to match the caption information; And (d) 상기 특징 테이블에 상기 자막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자막파일의 포멧을 디스플레이 정보에 일치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 방법.(d) converting the format of the subtitle file to match the display information if the subtitle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feature table. 제 20 항에 있어서,21.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는 디스플레이의 종류, 해상도 또는 화면크기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Wherein the display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type of display, resolution, or screen size information; 상기 자막정보는 단말기가 지원하는 자막파일의 형식정보, 자막의 크기, 색상 또는 폰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 방법. Wherein the cap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format information of the caption file supported by the terminal, size of the caption, color, and font information. 제 15 항, 제 17 항,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말기 지원방법에 의하여 송신된 동영상 파일을 단말기에서 재생하는 방법으로;A method of playing a moving picture file transmitted by a terminal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17, 19, 21, (Ⅰ) 재생할 동영상 파일이 묶음파일인지 판단하는 단계와;(I) determining whether a moving picture file to be played is a bundle file; (Ⅱ) 상기 제 (Ⅰ)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동영상 파일이 묶음 파일인 경우, 상기 묶음 파일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II) extracting caption data from the bundle file if the moving picture file is a bundle fi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ing in step (I); And (Ⅲ) 상기 동영상 파일에 상기 추출된 자막 데이터를 싱크(sync)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영상 파일 재생방법.(Ⅲ) synchronizing the extracted caption data to the moving picture file and outputting the synchronized caption data together with the moving picture data. 제 22 항에 있어서,23. 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제 (Ⅱ) 단계의 자막데이터의 추출은,The extraction of the caption data in the step (II) 상기 묶음파일의 헤더 또는 테일 부분에 포함된 자막데이터를 추출함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영상 파일 재생방법.And extracting subtitle data included in a header or a tail portion of the bundle file. 제 23 항에 있어서,24. The method of claim 23, 상기 추출된 자막데이터는 버퍼 메모리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영상 파일 재생방법.And the extracted subtitle data is stored in a buffer memory. 제 22 항에 있어서,23. The method of claim 22, (Ⅳ) 상기 제 (Ⅰ)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동영상 파일이 묶음 파일이 아닌경우, 상기 동영상 파일이 합성파일인지 판단하는 단계와;(IV) determining whether the moving picture file is a combined file if the moving picture file is not a bundled fi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ing in step (I); (Ⅴ) 상기 제 (Ⅳ)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동영상 파일이 합성파일인 경우, 상기 동영상 파일을 단독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동영상 파일 재생방법.(V) If the moving picture file is a composite fi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IV),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playing the moving picture file alone.
KR20070106807A 2007-10-23 2007-10-23 System for supportting unit, Method for supportting unit, Unit and Playing method of motion picture thereof KR1014940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6807A KR101494001B1 (en) 2007-10-23 2007-10-23 System for supportting unit, Method for supportting unit, Unit and Playing method of motion pictur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6807A KR101494001B1 (en) 2007-10-23 2007-10-23 System for supportting unit, Method for supportting unit, Unit and Playing method of motion pictur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217A KR20090041217A (en) 2009-04-28
KR101494001B1 true KR101494001B1 (en) 2015-02-17

Family

ID=4076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06807A KR101494001B1 (en) 2007-10-23 2007-10-23 System for supportting unit, Method for supportting unit, Unit and Playing method of motion pictur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00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492B1 (en) * 2012-11-30 2013-04-11 (주)진명아이앤씨 A matrix switch system adopting n-screen and the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350A (en) * 2004-06-07 2005-12-12 (주)잉카엔트웍스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nd providing multimedia data for portabl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350A (en) * 2004-06-07 2005-12-12 (주)잉카엔트웍스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nd providing multimedia data for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217A (en)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6027B2 (en) Digital content reproduction, data acquisition, metadata management, and digital watermark embedding
US8942549B2 (en) Resume point for digital media playback
CN101395572B (en) Auxiliary display gadget for distributed content
JP2004005454A (en) Receiver, printer and firmware update system
JP20080843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content in mobile terminal
KR1006138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nd providing multimedia data for portable device
WO2008068940A1 (en) Video and audio reproducing device
US20070025197A1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JPH08306167A (en) Method for storing data in storage medium, reproducing device of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of storage medium using storage medium, and use method of storage medium
US200602013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playback system and contents transfer method
KR101494001B1 (en) System for supportting unit, Method for supportting unit, Unit and Playing method of motion picture thereof
KR100657928B1 (en) System and method of supportting portable handler
US200802186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text-based subtitles
JP4578831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recording / reproducing video signal and / or audio sig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781907B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esenting a scene
JP2009032234A (en) Content type registration apparatus and content type registration program
KR101323979B1 (en) System and Method of Supportting Portable Handler
US8195314B2 (en) Method of reproducing previous audio file in multimedia device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JP2010283707A (en) Onboard electronic device and image update system for the same
JP2003289506A (en) Synchronism management apparatus for video-audio media and application, synchronism management method, synchronism managemen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such synchronism management program
KR101221222B1 (en) System and Method of Down-Loading the Data to Portable Device
US201002629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rtual image files
KR101446352B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contents of audio/video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5777532B2 (en) Audio equipment
JP5162970B2 (en) REPRODUCTION CONTROL DEVICE, REPRODUCTION CONTROL METHOD, PROGRAM, AND DATA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