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729B1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729B1
KR101493729B1 KR20140146245A KR20140146245A KR101493729B1 KR 101493729 B1 KR101493729 B1 KR 101493729B1 KR 20140146245 A KR20140146245 A KR 20140146245A KR 20140146245 A KR20140146245 A KR 20140146245A KR 101493729 B1 KR101493729 B1 KR 101493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hared
terminal
room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62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12228A (en
Inventor
송수미
정하영
정서빈
채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20140146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729B1/en
Publication of KR20150012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2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7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메모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컨텐트 공유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의 자기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 컨텐트로 설정하고,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설정된 상기 공유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Specifically,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ent sharing server; And setting at least one of content stored in a magnetic cloud account of the content sharing server or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as a shared content and requesting a sharing room to share the shared content set in the content sharing serv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0001]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0002]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트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shar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동 단말기의 기능 증대로 이동 단말기가 취급할 수 있는 파일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저장 용량이 민감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의 저장 공간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서비스 중 하나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는 것이다. As the types of files that can be handled by a mobile terminal have diversified due to an increase in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the storage capacity of the mobile terminal has become a sensitive issue. One of the proposed services for solving the insufficient storage space of the mobile terminal is the use of the cloud server.

다만,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트를 다른 단말과 공유하는 것에는 아직까지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구체적으로, 다른 이동 단말기와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가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 후,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다운로드 받은 뒤, 이를 다른 이동 단말기에게 전송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트를 공유하는 데에는 이동 단말기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는 시간 및 수신한 컨텐트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시간이 필연적으로 수반되어, 컨텐트를 공유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haring content stored in the cloud server with other terminals is still inconvenient. Specifically, in order to share content stored in another mobile terminal and a cloud server, a mobile terminal accesses a cloud server, downloads content to be shared, and transmits the content to another mobile terminal. In order to share the content stored in the cloud ser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time required for the mobile terminal to receive the content from the cloud server and a time to transmit the received content to another mobile terminal, .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for enhanc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are clarifi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메모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컨텐트 공유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의 자기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 컨텐트로 설정하고,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설정된 상기 공유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방에 참가 중인 참가자들과 상기 공유 컨텐트를 함께 보는 동안, 상기 공유 컨텐트가 상기 공유방의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ent sharing server; And setting at least one of content stored in a magnetic cloud account of the content sharing server or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as a shared content and requesting a sharing room to share the shared content set in the content sharing serv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hared content to be set as the background image of the sharing room while viewing the shared content together with th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oom.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컨텐트 공유 서버로 로그인 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에 저장된 컨텐트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 컨텐트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상기 공유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공유방에 참가 중인 참가자들과 상기 공유 컨텐트를 함께 보는 동안, 상기 공유 컨텐트를 상기 공유방의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tep in which a mobile terminal logs into a content sharing server; The mobile terminal establishi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sharing server and the content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s shared content; And requesting the mobile terminal to open a shared room for sharing the shared content with the content sharing server.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can set the shared content as the background image of the shared room, while viewing the shared content together with th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hared room.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손쉬운 컨텐트 공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easy content sharing method can be provided to a user.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도 1은 컨텐트 공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제 1 메시징 서비스 및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피공유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공유자 단말에서 공유자의 제 1 메신저 계정에 대한 친구 목록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공유방을 개설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은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전화번호부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제 2 클라우드 계정으로 공유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피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공유 컨텐트가 피공유자에게 제공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대화 중 혼자서 공유 컨텐트를 보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대화 중 공유방의 참가자들과 함께 공유 컨텐트를 보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공유방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동영상의 함께 보기를 요청 받은 이동 단말기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가상 키패드가 출력될 때의 이동 단말기의 출력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모드에 따른 컨텐트의 출력 방식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기존 공유방에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29은 특정 공유방에서의 공유 컨텐트가 재공유되는 것의 예시도이다.
도 30은 공유자 단말 및 피공유자 단말이 라이브 영상을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1은 컨텐트 공유 서버로 라이브 영상을 요청하기 위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공유자 단말 및 피공유자 단말이 동일한 라이브 영상을 보면서 대화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기 개설한 공유방에 참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5는 컨텐트 공유 서버의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tent sharing system.
2 and 3 are flowcharts of a method of sharing content using a first messaging service and a second messaging service, respectively.
4 is a diagram illustrating output of a sharer terminal for selecting content to be shared with a sharer.
5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a buddy list for a first messenger account of a sharer is output from a buddy terminal.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output of a sharer terminal provided with a shared room.
Figure 7 illustrates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friends lists of the first cloud account as the supplicant.
FIGS. 8 and 9 illustrate the sel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friends lists of the first messenger account as the sharer.
Figures 10 and 11 illustrate the sel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telephone directories as a sharer.
12 and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output of a client terminal for requesting provision of shared content in a second cloud account.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of a sharer terminal for explaining information on whether shared content is provided to a sharer.
15 to 17 are views illustrating output of a mobile terminal for viewing shared content by itself during a conversation.
18 to 21 illustrate output of a mobile terminal for viewing shared content together with participants in a shared room during a conversation.
2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moving pictures are played back in a shared room.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of a mobile terminal that is requested to view a moving image together.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hange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virtual keypad is output.
2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an output method of a content according to an output mode of the mobile terminal.
2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entering an existing shared room.
FIGS. 27 to 29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shared content in a specific shared area is reshared.
30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sharing a live image by a sharrier terminal and a sharer's terminal.
3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of a sharer terminal for requesting a live image to a content sharing server.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harrier terminal and a sharer's terminal are talking while viewing the same live video image.
FIG. 3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articipation in a shared room that is already established.
34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35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sharing server.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컨텐트 공유 서버 및 메신저 서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 content sharing server, and a messenger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도 1은 컨텐트 공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및 컨텐트 공유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 공유 시스템은 메신저 서버(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tent sharing system. Referring to FIG. 1,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100 and a content sharing server 30. The content shar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messenger server (40).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에 접속하여, 컨텐트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자의 이동 단말기(100)와 피공유자의 이동 단말기(100)로 구분될 수 있다. 공유자의 이동 단말기(10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컨텐트 공유 서버(30)에 저장된 컨텐트를 피공유자와 공유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피공유자의 이동 단말기(10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공유자 이동 단말기(100)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1 may access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to upload or download the content. The mobile terminal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100 of a sharer and a mobile terminal 100 of a sharer. The sharer's mobile terminal 100 may request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to share the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with the sharer.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sharer can receive the content that the sharer mobile terminal 100 wants to share from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공유자의 이동 단말기(100)를 공유자 단말(10)이라 호칭하고, 피공유자의 이동 단말기(100)를 피공유자 단말(20)이라 호칭하기로 한다.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을 구분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100)라 기재한 것은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 모두를 의미하는 것이거나, 문맥에 따라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sharer will be referred to as a sharer terminal 1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sharer will be referred to as the sharer terminal 2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to be noted that the sharer terminal 10 and the sharer terminal 20 are not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both the sharer terminal 10 and the sharer terminal 20 are referred to as the mobile terminal 100, (10) and the supplicant terminal (20).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이동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PMP(Portable 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PDA, 태블릿(Tablet) 컴퓨터, 랩탑(Labtop) 컴퓨터 등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smart phone, a portable 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n MP3 player, a PDA, a tablet computer, . ≪ / RTI >

도 1에 도시된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이동 단말기(100)가 업로드하는 컨텐트를 저장하고, 저장된 컨텐트를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웹 스토리지(Web Storage)로 활용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shown in FIG. 1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store content to be upload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and provide the stored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provide a cloud service that is used as web storage of the mobile terminal 100.

아울러,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과 피공유자 단말(20) 사이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로 공유자 단말(10)의 친구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provide a messaging service capable of conducting a conversation between the sharer terminal 10 and the sharer terminal 20.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provide the friend list of the sharer terminal 10 to the sharer terminal 10. [

즉,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메시징 서비스 등 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be understood to provide a hybrid service such as a cloud service and a messaging service.

메신저 서버(4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와는 별개의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한다. 메신저 서버(40)는 공유자 단말(10)로 공유자 단말(10)의 친구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메신저 서버(40)가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와 구분하기 위해,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 1 메시징 서비스라 호칭하고, 메신저 서버(40)가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 2 메시징 서비스라 호칭하기로 한다.The messenger server (40) provides a messaging service that is separate from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The messenger server 40 can provide the friend list of the sharer terminal 10 to the sharer terminal 10. [ A messaging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is referred to as a first messaging service in order to distinguish the messaging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from the messaging service provided by the instant messenger server 40, 40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messaging service.

컨텐트 공유 방법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content sharing method.

도 2 및 도 3은 각각, 제 1 메시징 서비스 및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제 1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메신저 서버(40)가 제공하는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 2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2 and 3 are flowcharts of a method of sharing content using a first messaging service and a second messaging service, respectiv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harter terminal 10 includes a first application for using a first messaging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nd a second application for providing a second messaging service provided by the messenger server 40 2 applications are installed.

나아가,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제 1 메시징 서비스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계정을 '클라우드 계정'이라 호칭하고, 메신저 서버(40)가 제공하는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계정을 '메신저 계정'이라 호칭하기로 한다. 공유자 및 피공유자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유자의 계정들에는 '제 1'의 첨두어를 붙이고, 피공유자의 계정들에는 '제 2'의 첨두어를 붙이기로 한다.Further, a user account for using the first messaging service and the cloud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is referred to as a 'cloud account', and a user for using a second messaging service provided by the messenger server 40 The account is referred to as a 'messenger account'. If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sharer and the shar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harer's accounts shall be marked with a "first" and the sharer's accounts shall be referred to with a "second" suffix.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공유자 단말(10)에서,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제 1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201,S301),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자신의 제 1 클라우드 계정을 이용하여 컨텐트 공유 서버(30)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S202,S302).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을 인증하고(S203,S303), 인증 결과를 기초로, 공유자 단말(10)의 접속 허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공유자 단말(10)의 접속이 허용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로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업로드된 컨텐트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S204,S304). 여기서, 공유자 단말(10)의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업로드된 컨텐트는 사전에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트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공유자는 공유자 단말(10)뿐만 아니라, 컴퓨터 등의 고정형 장치를 통해서도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접속하여 컨텐트를 업로드할 수 있다.2 and 3, when the first application for using the first messaging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is executed in the sharter terminal 10 (S201, S301), the sharer terminal 10 may attempt to connect to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using their own first cloud account for using the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S202, S302).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uthenticates the sharer terminal 10 (S203, S303), and can determine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the sharer terminal 10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If the connection of the sharer terminal 10 is permitted,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provide the content list uploaded to the first cloud account to the sharer terminal 10 (S204, S304). Here, the content uploaded to the first cloud account of the sharter terminal 10 may be a content previously uploaded by a user. The sharer can access the first cloud account and upload the content not only through the sharer terminal 10 but also through a fixed device such as a computer.

컨텐트 목록을 수신한 공유자 단말(10)은 공유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트 목록 중 피공유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S205,S305).Upon receiving the content list, the sharter terminal 10 can select the content to be shared with the sharer among the content lis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harer (S205, S305).

일예로, 도 4는 피공유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은 피공유자와 공유할 수 있는 컨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피공유자와 공유할 수 있는 컨텐트 목록은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된 컨텐트에 관한 것일 수도 있고, 공유자 단말(10)에 저장된 컨텐트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클라우드 버튼은 공유자의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된 컨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고, 폰 버튼은 공유자 단말(10)에 저장된 컨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FIG. 4 illustrates output of a sharer terminal for selecting content to be shared with a sharer.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a), the sharter terminal 10 can display a list of contents that can be shared with the sharer. At this time, the content list that can be shared with the sharer may be related to the content stored in the first cloud account, or may be related to the content stored in the sharer's terminal 10.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the cloud button is for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cloud account of the sharer, and the phone button may be for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stored in the sharer terminal 10.

공유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트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폴더별로 컨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타입별(예컨대, 사진(photo), 비디오(video), 음악(music) 및 문서(document) 등)로 컨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The sharter terminal 10 can display a list of contents by folder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4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desired content. Furthermore, the sharter terminal 10 may display a list of content by content type (e.g., photo, video, music and document).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가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제 1 메시징 서비스 또는 메신저 서버(40)가 제공하는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선택된 컨텐트의 공유를 시도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to be shared is selected, the sharter terminal 10 attempts to share the selected content using the first messaging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or the second messaging service provided by the instant messenger server 40 .

도 4의 (a)에 도시된 컨텐트 목록 중 피공유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가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제 1 메시징 서비스 또는 제 2 메시징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선택된 컨텐트의 공유를 시작할 수 있다. 일예로, 도 4의 (a)에서 '공유' 버튼(410)은 제 1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선택된 컨텐트 공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4의 (a)에서 '메뉴' 버튼(420)이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통해 선택된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기타 수단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4의 (b)는 메뉴 버튼(420)이 선택되었을 때,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의 (b)에서 '메신저로 전송하기' 항목(422)은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선택된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선택한 컨텐트를 메신저 서버(40)가 제공하는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공유하도록 설정된 경우, 공유자 단말(10)은 제 2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306), 메신저 서버(4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 1 메신저 계정을 이용하여 메신저 서버(40)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S307). 메신저 서버(40)는 공유자 단말(10)을 인증하고(S308), 인증 결과를 기초로, 공유자 단말(10)의 접속 허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공유자 단말(10)의 접속이 허용되면, 메신저 서버(40)는 공유자 단말(10)로 제 1 메신저 계정에 대한 친구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S309). 공유자 단말(10)은 메신저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친구 목록을 이용하여 선택한 컨텐트를 공유하고자 하는 피공유자를 선택할 수 있다(S310).
When the content to be shared with the sharer among the list of contents shown in FIG. 4A is selected, the sharter terminal 10 can start sharing the selected content using the first messaging service or the second messaging service or the like have. For example, the 'Share' button 410 in FIG. 4 (a) may be for sharing selected content using the first messaging service. When the 'menu' button 420 is selected in FIG. 4 (a), the sharter terminal 10 can control to display a list of other means for sharing the selected content. For example, FIG. 4B illustrates the output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menu button 420 is selected. The 'send to messenger' item 422 in FIG. 4B may be provided to share selected content using a second messaging service. The selected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The sharrier terminal 10 executes the second application for using the second messaging service (S306), and transmits the first messenger service for using the service provided by the messenger server 40 The user can attempt to access the messenger server 40 using the account (S307). The messenger server 40 authenticates the sharer terminal 10 (S308), and can determine the connection destination of the sharter terminal 10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If the connection of the sharer terminal 10 is permitted, the messenger server 40 can provide the friend terminal 10 with the friend list of the first messenger account (S309). The sharter terminal 10 can select a sharer to which the selected content is to be shared using the list of friends received from the messenger server 40 (S310).

*일예로, 도 5는 공유자 단말에서 공유자의 제 1 메신저 계정에 대한 친구 목록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은 메신저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컨텐트를 공유하고자 하는 피공유자를 선택할 수 있다. For example, FIG. 5 illustrates how a buddy list for a first messenger account of a sharer is output from a buddy terminal.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the sharter terminal 10 may display a list of friends of the first messenger account received from the messenger server 40. FIG. The user can select the recipient of the content to share among the friends list of the first messenger account.

컨텐트를 공유하고자 하는 피공유자가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메신저 서버(40)에게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고(S311), 메신저 서버(40)에게는 컨텐트를 공유하고자 하는 피공유자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S312).The sharter terminal 10 can request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to transmit the content to be shared to the messenger server 40 in step S311 and send the content to the messenger server 40 40) can provide the information of the sharer to which the content is to be shared (S312).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메신저 서버(40)로 전송하면(S313), 메신저 서버(40)는 피공유자 단말(20)로 컨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S314). 이때, 메신저 서버(40)는 피공유자 단말(20)에게 푸쉬 메시지의 형태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transmits the content to be shared to the messenger server 40 at step S313, the messenger server 40 can transmit the content to the sharer terminal 20 at step S314. At this time, the messenger server 40 may provide the content to the supplicant terminal 20 in the form of a push message.

도 3에 도시된 예에서와는 달리, 메신저 서버(40)는 피공유자 단말에게 컨텐트를 전송하는 대신, 컨텐트에 접속할 수 있는 컨텐트 접속 주소(예컨대,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전송할 수도 있다. 메신저 서버(40)가 피공유자 단말에게 컨텐트 접속 주소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컨텐트 공유 서버(30) 역시, 메신저 서버(40)에게 컨텐트 대신 컨텐트에 접속할 수 있는 컨텐트 접속 주소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Unlik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messenger server 40 may send a content access address (e.g.,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address) that can access the content, instead of sending the content to the sharer's terminal. If the messenger server 40 is set to send the content access address to the sharer's terminal,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also provide the messenger server 40 with a content access address that can access the content instead of the content .

위와 달리, 선택한 컨텐트를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제 1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공유하도록 설정된 경우,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공유를 위해 선택된 컨텐트 목록을 제공하면서, 선택된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할 수 있다(S206).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의 요청에 의거 선택된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을 개설할 수 있다(S207). 개설된 공유방을 통해 공유자 및 피공유자는 컨텐트를 공유하면서,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selected content is set to be shared using the first messaging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the sharer terminal 10 provides the content list selected for sharing to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nd request the establishment of a sharing room for sharing the selected content (S206).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open a sharing room for sharing the selected content based on the request of the sharer terminal 10 (S207). Through the opened shared room, the sharer and the sharer can share the contents and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공유방은 종래 메신저 및 채팅프로그램 등에서 사용되던 대화방과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공유방은 둘 이상의 사용자가 참가하여 서로 대화(또는 채팅)을 진행할 수 있는 가상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공유방은 종래의 대화방과는 달리, 대화 상대방이 없는 경우에도 개설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대화방과 연계된 공유 컨텐트가 설정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공유방의 식별을 위해 공유방에는 공유방의 식별을 위한 이름이 붙여질 수 있다. 공유방에 피공유자가 입장하기 전 공유방의 이름은 '공유방' 또는 공유방을 개설한 사용자의 ID 등으로 설정될 수 있고, 피공유자가 입장한 이후 공유방의 이름은 피공유자의 ID 로 설정될 수 있다. 피공유자가 여러명 입장한 경유, 공유방의 이름은 '그룹 공유(N명)'(여기서, N은 공유방에 참가중인 사용자의 수)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후술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공유방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The shared room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s a similar concept to the chat room used in the conventional messenger and the chat program. That is, the shared room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 virtual space in which two or more users can participate and conduct conversation (or chat) with each other. However, unlike the conventional chat room, the shared room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opened even when there is no chat partner, and the shared content linked with the chat room can be set. In order to identify the shared room, the shared room can be named for identification of the shared room. The name of the shared room before the sharer enters the shared room may be set as a 'shared room' or the ID of the user who opened the shared room, and the name of the shared room after the sharer enters the room may be set as the ID of the shared party. The names of shared rooms and shared rooms where a certain number of users are shared can be set as 'group sharing (N users)' (where N is the number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shared room).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escribed below, a shared area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공유방을 개설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공유방이 개설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도 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이 공유 컨텐트에 관한 파일함(6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파일함(610)은 공유하도록 설정된 컨텐트 목록이 링크된 대화창을 의미한다. 파일함(610)이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파일함(610)에 링크된 컨텐트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output of a sharer terminal provided with a shared room. When the shared room is opened,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control the sharter terminal 10 to display the file box 610 related to the shared content,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The file box 610 is a dialog window to which a list of contents set to be shared is linked. When the file box 610 is selected, the sharter terminal 10 may display a list of contents linked to the file box 610. [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에 참가하는 모든 참가자들에게 파일함(610)을 제공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파일함을 터치함으로써, 공유방을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컨텐트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provide the file box 610 to all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oom. Participants can provide a list of shared content that they want to share via the shared room by touching the file box.

공유방이 개설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도 6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에 공유방의 참가를 환영하는 웰컴 메시지(62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웰컴 메시지(620)에는 친구를 초대하기 위한 명령어가 하이퍼링크된 링크(625)가 제공될 수도 있다.When the sharing room is opened,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control the sharer terminal 10 to display a welcome message 620 welcoming participation of the sharing room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a). The welcome message 620 may be provided with a hyperlinked link 625 for inviting a friend.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에 참가하는 모든 참가자들에게 공유방의 참가를 환영하는 웰컴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provide a welcome message to all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oom to welcome participation of the sharing room.

공유자 단말(10)은 공유방에 피공유자의 참가를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유자 단말(10)은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 및 전화번호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공유방에 초대하고자 하는 피공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 도 6의 (a)의 예에서, 웰컴 메시지에 친구를 초대하기 위한 링크(625)가 터치되면, 제어부는 도 6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친구를 초대할 수 있는 친구 초대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예에서, 친구 초대 영역(630)의 클라우드 친구 버튼(632)은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메신저 친구 버튼(634)는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주소록 친구 버튼(636)은 공유자 단말(1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한명을 피공유자로 선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sharrier terminal 10 can induce the participant to participate in the shared area. Specifically, the sharer's terminal 10 can select a sharer to invite to the shared room using at least one of the friend list of the first cloud account, the friend list of the first messenger account, and the phone book. 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FIG. 6 (a), when a link 625 for inviting a friend to the welcome message is touched, the control unit can invite a frien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b)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of the friend invitation pag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B, the cloud buddy button 632 of the friend invitation area 630 is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friends list of the first cloud account as the sharer, and the messenger buddy button 634 May be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friends list of the first messenger account as the sharer. Further, the address book friend button 636 may be for selecting at least one telephone directory database stored in the sharter terminal 10 as a sharer.

도 6의 (b)에서는 웰컴 메시지의 링크가 터치된 경우에 친구 초대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동 단말기(100)는 도 6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방을 디스플레이할 때 적어도 일부 영역을 친구 초대 영역(630)으로 할당할 수도 있다. 도 6의 (c)에 친구 초대 영역(630)은 앞서 도 6의 (b)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공유방에 피공유자의 참가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피공유자를 선택하는 것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Fig. 6 (b), the friend invitation page is displayed when the link of the welcome message is touche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llocate at least some areas to the friend invitation area 630 when displaying the shared room,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C. 6 (c), the friend invitation area 630 can be used to induce the participant to participate in the shared room, as shown in FIG. 6 (b).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elec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7은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친구 초대 영역(710)에서 클라우드 친구 항목(712)이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공유자 단말(10)은 도 7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한명을 피공유자로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공유자를 선택하면,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피공유자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피공유자의 정보를 수신한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초대 대상으로 선택된 피공유자의 단말에게 공유방에 참가할 것인지 여부를 질의하기 위한 메시지를 송부할 수 있다. 피공유자 단말이 공유방으로의 참가를 수락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피공유자 단말에게 공유자에 대한 정보(예컨대, 공유자의 ID(Identity)) 및 공유방의 식별 정보(예컨대, 공유방의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참여 정보를 제공하여, 선택된 피공유자가 공유방에 참가하도록 할 수 있다. 공유방에 새로운 참가자가 입장하면, 도 7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새로운 참가자의 입장을 알리는 메시지(72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Figure 7 illustrates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friends lists of the first cloud account as the supplicant. 7 (a), when the cloud friend item 712 is selected in the friend invitation area 710, the sharter terminal 10 sends the contents of the first cloud account to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Requesting the transmission of the list. The sharter terminal 10 displays a list of friends of the first cloud account received from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b), and displays the list of friends of the first cloud account At least one of the friends list can be specified as the recipient. When the user selects a sharer, the sharer's terminal 10 can provide the information of the sharer to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having received the information of the sharer can send a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sharer selected as the invitation object to inquire whether or not to participate in the sharing room. If the sharer's terminal accepts participation in the shared room,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informs the sharer's terminal of th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harer's ID (Identity)) of the sharer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participat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participan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elected participant participates in the shared room. When a new participant enters the shared room, a message 720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new participant can be displaye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C.

공유자 단말(10)은 셋톱 박스 또는 TV 등의 고정형 장치를 공유방의 참가자로 지시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7의 (b)에 도시된 친구 목록에서, 'TV' 항목은 셋톱 박스 또는 TV 등의 고정형 장치를 공유방의 참가자로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형 장치를 공유방의 참가자로 지정하기 위해, 공유자 단말(10)은 고정형 장치의 주소 정보(예컨대, 셋톱 박스의 IP 주소) 및 고정형 장치의 계정 정보(예컨대, 셋톱 박스에 등록된 제 1 메시징 서비스에 대한 ID) 중 적어도 하나를 사전에 인지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The sharrier terminal 10 may designate a fixed device such as a set-top box or a TV as a participant in a shared room. For example, in the buddy list shown in FIG. 7 (b), the item 'TV' is for designating a fixed device such as a set-top box or a TV as a participant in a shared room. In order to designate a fixed device as a participant in a shared room, the sharer terminal 10 may send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fixed device (e.g., the IP address of the set-top box) and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fixed device (e. G., To the first messaging service ID) of the user.

고정형 장치가 공유방의 참가자로 지정된 경우,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의 공유 컨텐트를 고정형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형 장치의 사용자는 공유자 단말(10)이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컨텐트를 손쉽게 감상할 수 있게될 것이다. If the fixed device is designated as a participant of the shared room,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transmit the shared content of the shared room to the fixed device. Accordingly, the user of the fixed device will be able to easily enjoy the shared content that the sharer terminal 10 wants to share.

도 8 및 도 9은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공유자 단말(10)의 출력을 예시한 것이고, 도 9은 피공유자 단말(20)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친구 초대 영역(810)에서 메신저 친구(812) 항목이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메신저 서버(40)로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공유자 단말(10)은 도 8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메신저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 중 적어도 한명을 피공유자로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공유자를 선택하면, 공유자 단말(10)은 메신저 서버(40)를 이용하여 피공유자 단말(20)로 공유방에 초청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초대 메시지는 푸쉬 메시지의 형태일 수 있다. 나아가, 초대 메시지에는 공유자에 대한 정보(예컨대, 공유자의 ID), 공유방의 식별 정보(예컨대, 공유방의 ID(Identity)) 및 제 1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주소(예컨대,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FIGS. 8 and 9 illustrate the sel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friends lists of the first messenger account as the sharer. Fig. 8 illustrates the output of the sharrier terminal 10, and Fig. 9 illustrates the output of the sharrier terminal 20. 8 (a), when the messenger friend 812 item is selected in the friend invitation area 810, the sharrier terminal 10 transmits the friend list of the first messenger account to the messenger server 40 Lt; / RTI > 8 (b), the sharter terminal 10 displays a list of friends of the first messenger account received from the messenger server 40, and displays the list of friends of the first messenger account At least one of the lists can be specified as the supplicant. When the user selects a recipient, the recipient terminal 10 can transmit an invitation message to invite the recipient's terminal 20 to the recipient's office using the messenger server 40. [ The invitation message may be in the form of a push message. Further, in the invitation message, information on the sharer (for example, ID of the shar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haring room (for example, ID (Identity) of the sharing room) and installation address of the first application for using the first messaging service (Uniform Resource Locator) address) may be included.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9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수신한 초대 메시지(9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피공유자 단말(20)은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되는 연계 버튼(912)을 출력할 수 있다. The supplicant terminal 20 can display the received invitation message 91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a). At this time, the supplicant terminal 20 may output a link button 912 associated with the first application.

연계 버튼이 터치되면, 피공유자 단말(20)은 초대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였던 참여 정보(구체적으로, 공유자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공유방의 식별 정보 등) 및 피공유자 단말의 주소를 컨텐트 공유 서버(3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link button is touched, the client terminal 20 transmits the participation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harer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haring room) received at the invitation message and the address of the client terminal to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s shown in FIG.

이와 함께,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회원 가입 및/또는 로그인 절차를 통해 컨텐트 공유 서버(30)로의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 이후, 초대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공유자에 대한 정보 및 공유방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도 8의 (c) 및 도 9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이 개설한 공유방에 입장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when the first application is installed, the customer terminal 20 can execute the first application and complete the connection to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through the membership and / or login procedure. 8 (c) and FIG. 9 (a),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sharer received through the invitation messag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hared room is used by the sharrier terminal 10 You can enter a shared room.

이와 달리, 피공유자 단말(20)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9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마켓 서버(도면 미도시)에 접속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피공유자 단말(20)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이후, 회원 가입 및/또는 로그인 절차를 거쳐, 컨텐트 공유 서버(30)로의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로의 접속이 완료되면, 피공유자 단말(20)은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전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전송한 참여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공유자 단말(20)은 자신의 주소와 매칭되는 참여 정보의 존부를 질의할 수 있다. 자신의 주소와 매칭되는 참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참여 정보를 이용하여 손쉽게 공유방에 참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in the customer terminal 20, the customer terminal 20 accesses the market server (not shown)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b) , The install page of the first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The sharrier terminal 20 can complete the connection to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through the membership and / or login procedure after installing the first application. When the connection to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is completed, the sharer's terminal 20 can confirm whether particip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before installa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exists. Specifically, the supplicant terminal 20 can inqui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articipant information matching the address of the participant. When the participant terminal 20 has matching participant information with its own address, the participant terminal 20 receives the participant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hare server 30 and can easily participate in the share using the received participant information.

도 10 및 도 11은 전화번호부 중 적어도 하나를 피공유자로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공유자 단말(10)의 출력을 예시한 것이고, 도 11은 피공유자 단말(20)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친구 초대 영역(1010)에서 주소록 친구 항목(1012)이 선택되면, 공유자 단말(10)은 도 10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전화번호부 중 적어도 한명을 피공유자로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공유자를 선택하면, 공유자 단말(10)은 피공유자 단말(20)로 피공유자를 공유방으로 초대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예컨대, SMS(Short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및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피공유자에게 전송되는 문자 메시지에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주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Figures 10 and 11 illustrate the sel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telephone directories as a sharer. FIG. 10 illustrates the output of the sharer terminal 10, and FIG. 11 illustrates the output of the sharer terminal 20. 10 (a), when the address book friend item 1012 is selected in the friend invitation area 1010, the sharrier terminal 10 transmits the address book friend item 1012 as show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b) , Displays the phone book stored therein, and specifies at least one of the phone book sections as a sharer based on user input. When the user selects a recipient, the sharrier terminal 10 transmits a text message (e.g., Short Message Service (SMS), Long Message Service (LMS), and 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text message transmitted to the sharer may include the installation address of the first application.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11 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문자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피공유자 단말(20)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에 접속하여 공유자 단말(10)이 개설한 공유방에 입장할 수 있을 것이다. 피공유자 단말(20)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이후, 공유자 단말(10)이 개설한 공유방에 입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cipient terminal 20 receiving the text message can output a text messag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When the first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sharer's terminal 20, the sharer's terminal 20 may access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nd enter the shared room established by the sharer's terminal 10. [ When the first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in the sharer terminal 20, the sharer terminal 20 connects to the market server and installs the first application,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1, 10) will be able to enter the shared room.

공유방에 피공유자 단말(20)이 참가하면(S208),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피공유자 단말(20)의 쵸엉에 따라, 피공유자 단말(20)에 공유 컨텐트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S209). 피공유자 단말(20)이 공유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S210),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피공유자에게 공유 컨텐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피공유자 단말(20)의 제 2 클라우드 계정으로 공유 컨텐트를 복사할 수 있다(S211). 이에 그치지 않고,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피공유자 단말(20)에 직접 공유 컨텐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When the sharrier terminal 20 participates in the sharing room (S208),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provide the shared content list to the sharer's terminal 20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ion of the sharer's terminal 20 (S209 ). When the sharrier terminal 20 requests the shared content to be provided (S210),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provide the shared content to the sharer. Specifically,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copy the shared content to the second cloud account of the customer terminal 20 to use the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S211). Alternatively,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provide the shared content directly to the supplicant terminal 20.

도 12 및 도 13은 제 2 클라우드 계정으로 공유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피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12 and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output of a client terminal for requesting provision of shared content in a second cloud account.

공유자가 개설한 공유방에 참가하면,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12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 컨텐트 목록이 링크된 파일함(12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When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oom established by the sharer, the sharer's terminal 20 can display the file box 1210 to which the shared content list is linke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2 (a).

이때, 도 12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파일함(1210)에 인접 위치하는 저장 버튼(1212)이 터치되면, 피공유자 단말(20)은 제 2 클라우드 계정공유 컨텐트를 일괄 제공해 줄 것을 컨텐트 공유 서버(30)에 요청할 수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피공유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 제 2 클라우드 계정으로 공유 컨텐트를 복사하거나, 피공유자 단말(20)에게 공유 컨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클라우드 계정으로 공유 컨텐트가 복사되는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언제라도 컨텐트 공유 서버(30)의 자기 계정(즉, 제 2 클라우드 계정)에 접근함으로써, 복사된 컨텐트를 볼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save button 1212 located adjacent to the file box 1210 is touched,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12 (a), the sharer's terminal 20 collectively provides the second cloud account shared content To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copy the shared content to the second cloud account or transmit the shared content to the shared terminal 20 at the request of the shared terminal 20. When the shared content is copied to the second cloud account, the sharer's terminal 20 will be able to view the copied content at any time by accessing the content server 30's own account (i.e., the second cloud account) .

이때, 공유 컨텐트가 제 2 클라우드 계정 또는 피공유자 단말(20)에 저장됨에 있어서, 공유 컨텐트는 공유자의 이름을 포함하는 폴더에 저장될 수 있다. 일예로, 도 12의 (b) 및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컨텐트 공유 서버(30) 또는 피공유자 단말(20)은 공유자의 이름(도 12에서는 '숨이' 로 예시됨)으로 설정된 폴더의 하위로 컨텐트를 수신한 날짜별 폴더(도 12의 (c)에서는 '130107', '130102'로 예시됨)를 생성하여 생성된 날짜별 폴더에 복사된 공유 컨텐트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공유자 단말(20)은 공유자별로 공유자의 날짜별 공유 컨텐트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in the case where the shared content is stored in the second cloud account or the customer terminal 20, the shared content may be stored in a folder including the name of the sharer. For exampl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12 (b) and 12 (c),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or the sharer's terminal 20 sends a sharer's name (illustrated as " (130107 ', 130102' in FIG. 12 (c) in FIG. 12) that is received by the lower layer of the folder set to the folder . Accordingly, the sharer's terminal 20 can easily confirm the shared content for each sharer by date of the sharer.

다른 예로, 도 13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파일함(1310)이 터치되는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13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이 설정한 공유 컨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피공유자 단말(20)은 공유자 단말(10)이 설정한 공유 컨텐트를 일괄 저장할 수도 있고, 일부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피공유자 단말(20)은 공유 컨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제공을 요청할 공유 컨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3의 (b)에서 전체 선택 항목(1320)은 모든 공유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공유 컨텐트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컨텐트에 대한 터치 입력은 해당 공유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13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전체 공유 컨텐트의 개수 및 선택된 공유 컨텐트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일예로, 0/10은 10개의 컨텐트 중 아무 것도 선택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10/10은 10개의 컨텐트 중 10개의 컨텐트 모두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냄, 도면부호 1330 참조).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트가 제 2 클라우드 계정 또는 피공유자 단말(20)에 복사될 수 있음은 앞서 도 12의 (b) 및 (c)에 도시된 예와 같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file box 1310 is touche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a), the sharrier terminal 20 may send a message to the sharer terminal 2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b) The user can display a list of shared content set by the user. The shaper terminal 20 may collectively store the shared content set by the sharter terminal 10, or may select and store a part of the shared content. The supplicant terminal 20 may determine the shared content to be requested to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hared content. For example, in FIG. 13 (b), the entire selection item 1320 may be for selecting all the shared content, and the touch input for any one of the shared content lists may be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corresponding shared content . The sharrier terminal 20 can control so that at least one of the total number of shared content and the number of selected shared content is displaye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ure 13 (b) (for example, None of the ten contents is selected, and 10/10 indicates that all ten contents out of the ten contents are selected, see reference numeral 1330).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be copied to the second cloud account or the shared terminal 2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12 (b) and 12 (c).

피공유자 단말(20)로부터 공유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받은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피공유자 단말(20)의 제 2 클라우드 계정으로 요청받은 공유 컨텐트를 복사할 수도 있고, 피공유자 단말(20)에게 직접 요청받은 공유 컨텐트를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which is requested to provide the shared content from the shaper terminal 20, may copy the requested shared content to the second cloud account of the shaper terminal 20, You can also send the requested shared content directly.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공유 컨텐트가 피공유자에게 제공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3를 참조하기로 한다.The sharter terminal 10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s to whether or not the shared content has been provided to the shar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도 14는 공유 컨텐트가 피공유자에게 제공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of a sharer terminal for explaining information on whether shared content is provided to a sharer.

도 14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은 파일함(1410) 주변에 공유 컨텐트가 피공유자에게 제공되었는지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 131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의 (a)의 인디케이터(1412)에는 'A/B' 형식의 문자가 기입되어 있는데, A는 공유 컨텐트를 제공받은 피공유자의 수를 의미하는 것이고, B는 전체 피공유자의 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4의 (a)에서는 인디케이터(1412)에, 3/4가 기입되어 있으므로, 전체 피공유자 4명 중 3명이 공유 컨텐트를 제공받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a), the sharter terminal 10 includes an indicator 1312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shared content has been provided to the sharer in the vicinity of the file box 1410 Can be displayed. In the indicator 1412 of FIG. 14A, characters in the form of 'A / B' are written, where A means the number of the recipients to whom the shared content is provided, and B means the number of all the recipients . In FIG. 14 (a), since 3/4 is written in the indicator 1412, it can be understood that 3 out of 4 all the sharers have been provided with the shared content.

공유자 단말(10)은 공유 컨텐트의 제공 여부에 대한 세부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4의 (a)에 도시된 인디케이터(1412)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공유자 단말(10)은 도 14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세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팝업 창(14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팝업 창(1420)에는 피공유자 별로, 공유 컨텐트를 제공받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4의 (b)에 도시된 팝업 창(1420)을 통해, 4명의 공유자중, '김수현', '설대리', '최과장'은 공유 컨텐트를 제공받았음에 반해, '성용이'는 공유 컨텐트를 제공받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sharter terminal 10 may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on whether shared content is provided or not.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touch input to the indicator 1412 shown in FIG. 14A, the sharter terminal 10 displays the detailed information,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B, A pop-up window 1420 can be displayed. In the pop-up window 1420, information on whether the shared content has been provided may be displayed for each sharer. Through the pop-up window 1420 shown in FIG. 14 (b), among the four sharers, 'Kim Soo-hyun', 'Surrogate', and 'Choi-shang' received shared content, whereas' Of the total.

공유방에 참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100)들은 대화 중 공유 컨텐트를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들은 혼자서 공유 컨텐트를 볼 수도 있고, 공유방의 참가자와 함께 공유 컨텐트를 볼 수도 있다.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mobile terminals 100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oom can view the shared content during the conversation. The mobile terminals 100 may view the shared content alone, or may view the shared content together with the participants in the sharing room.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15 내지 도 17은 대화 중 혼자서 공유 컨텐트를 보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의 (a)에 도시된 예에서, 파일함(1410)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5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출력 화면을 개인 감상 영역 및 공유 영역으로 분리하고, 개인 감상 영역을 통해 공유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5 to 17 are views illustrating output of a mobile terminal for viewing shared content by itself during a conversa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5A, when the file box 1410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the output screen in the personal listening area and the shared area < RTI ID = 0.0 > And control the display of the shared content list through the personal listening area.

개인 감상 영역에는 이미지, 동영상, 문서 등의 공유 컨텐트가 미리보기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고, 공유 영역에서는 대화 내용 및 함께 보고자 하는 컨텐트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개인 감상 영역의 미리보기 이미지를 통해 공유 컨텐트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ersonal listening area, shared contents such as images, moving pictures, documents,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as preview images. In the shared area, conversation contents and contents to be viewed together can be displayed. The user will be able to easily check the shared content through the preview image of the personal listening area.

개인 감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공유 컨텐트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컨텐트가 터치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컨텐트의 감상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감상 모드 하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도 15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선택된 컨텐트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온전히 선택한 컨텐트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f any one of the shared content lists displayed in the personal listening area is touched,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set to the listening mode of the selected content. Under the listen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can control the display of only the selected content, as in the example shown in (c) of FIG. 15,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content selected by himself / herself.

이와 달리,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컨텐트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컨텐트가 터치되면, 도 15의 (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개인 감상 영역의 크기를 확장하고, 확장된 개인 감상 영역에서 선택된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선택된 컨텐트가 동영상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동영상을 재생하고, 개인 감상 영역을 통해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Alternatively, when the content of any one of the shared content lists is touche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expand the size of the personal listening area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5 (d) And to control the selected content to be output. If the selected content is a moving imag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lay back the moving image and control the moving image to be outputted through the personal listening area.

개인 감상 영역의 크기를 확장하고, 확장된 개인 감상 영역에서 선택된 컨텐트를 출력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도 15의 (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전 순번의 공유 컨텐트 및 다음 순번의 공유 컨텐트로 이동하기 위한 오브젝트(도 15의 (d)에서는 이전 순번의 공유 컨텐트 및 다음 순번의 공유 컨텐트에 대한 미리 보기 이미지(1520, 1530)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됨)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개인 감상 영역에 출력할 컨텐트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the case of expanding the size of the personal listening area and outputting the content selected in the extended personal listening area,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shared content of the previous order and the next order (The preview images 1520 and 1530 for the shared content of the previous sequential number and the shared content of the next sequential number are illustrated in Fig. 15 (d)) to be displayed have. This is to allow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easily change the content to be output to the personal listening area.

공유 컨텐트 목록의 표시는 언제든지 중단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공유 컨텐트 목록의 종료 버튼을 터치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컨텐트 목록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가 가상 키패드(예컨대, IME(Input Method Editor))를 출력하는 경우, 공유 컨텐트 목록의 표시는 자동으로 중단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6은 가상 키패드가 출력될 때의 이동 단말기의 출력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개인 감상 영역에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6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가상 키패드(1610)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컨텐트 목록의 표시는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문자 입력이 완료되어, 가상 키패드(1610)의 디스플레이가 중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도 16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기, 컨텐트 목록의 표시를 재개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가상 키패드(16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만 일시적으로, 컨텐트 목록의 표시가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isplay of the list of shared content can be stopped at any time.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end button of the shared content list,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top displaying the shared content list. Further,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outputs a virtual keypad (e.g., an Input Method Editor (IME)), the display of the shared content list may be automatically stopped. For example, FIG. 16 illustrates a change in the output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virtual keypad is output.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16 (a), when the content list is displayed in the personal listening area, if the user intends to input a character, The display of the content list can be controlled to be stopped while displaying the virtual keypad 1610, as in Fig. When the character input of the user is completed and the display of the virtual keypad 1610 is interrupted, the mobile terminal 100 can resume displaying the content list,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6C.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can temporarily stop the display of the content list only while the virtual keypad 1610 is being displayed.

도 15 및 도 16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이 개인 감상 영역 및 공유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이 반드시 개인 감상 영역 및 공유 영역으로 분할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도 17의 (a)에서 공유방의 파일함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출력 화면을 두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지 않고, 도 17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공유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유 컨텐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컨텐트의 감상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감상 모드 하에서, 플리킹 입력이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다음(혹은 이전) 공유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5 and 16 illustrate that the output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divided into a personal listening area and a shared area. However, the output of the mobile terminal 10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divided into a private listening area and a shared area. 17 (a), the mobile terminal 100 does not divide the output screen into two areas, and instead of dividing the output screen into two areas,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7 (b) You can control the display of the shared content list in full screen. If any one of the shared content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set to the listening mode of the selected content. Under the listening mode, when a flicking input is received, the mobile terminal 100 can control to output the next (or previous) shared content.

*도 18 내지 도 21은 대화 중 공유방의 참가자들과 함께 공유 컨텐트를 보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공유 컨텐트의 함께 보기를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공유 컨텐트의 함께 보기를 요청받은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18 to 21 illustrate output of a mobile terminal for viewing shared content together with participants in a shared room during a conversation. 18 and 19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utput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questing a shared view of the shared content, and FIG. 20 illustrates an output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quested to view the shared content together .

도 18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공유 컨텐트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컨텐트(1810)를 길게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 또는 어느 하나의 컨텐트(1810)를 공유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100)은 도 18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 영역에 선택된 컨텐트(1810)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공유방의 참가자들과 선택된 컨텐트를 함께 볼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공유방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참가자들의 이동 단말기(100)에 선택된 컨텐트(1810)의 함께 보기를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참가자들의 이동 단말기(100)가 선택된 컨텐트(1810)의 함께 보기를 수락할 경우, 공유방에 참가 중인 참가자들은 동일한 컨텐트를 보면서 대화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8A, while a list of shared contents is displayed, a user input or any one of contents 1810 that touches any one of the shared contents list 1810 for a long tim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the content 1810 selected in the shared area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18 (b) and transmits the content 1810 to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You can ask participants to view the selected content together.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request the mobile terminal 100 of other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oom to view a selected content 1810 together with the request of the mobile terminal 100. [ If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other participants accepts the view of the selected content 1810 together,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oom will be able to proceed with the conversation while watching the same content.

공유 영역에 출력되는 컨텐트(1810)가 터치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영역에서 출력되던 컨텐트(1810)의 감상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감상 모드 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은 도 18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선택된 컨텐트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온전히 선택한 컨텐트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1810 output to the shared area is touche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set to the listening mode of the content 1810 that was output in the shared area. Under the listen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can control the display of only the selected content, as in the example shown in (c) of FIG. 18, so that the user can fully appreciate the selected content.

공유 영역에 컨텐트를 출력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도 18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전 순번의 공유 컨텐트 및 다음 순번의 공유 컨텐트로 이동하기 위한 오브젝트(도 18의 (b)에서는 이전 순번의 공유 컨텐트 및 다음 순번의 공유 컨텐트에 대한 미리 보기 이미지(1822, 1824)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됨)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공유 영역에 출력할 컨텐트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e case of outputting the content to the shared area, as show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8 (b), the mobile terminal 100 has the object for moving to the shared content of the previous sequence and the next sequence b), a preview image 1822, 1824 for the shared content of the previous sequence and the shared content of the next sequence are illustrated) may be displayed. This is to allow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easily change the content to be output to the shared area.

도 18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이 개인 감상 영역 및 공유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이 반드시 개인 감상 영역 및 공유 영역으로 분할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앞서 도 17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공유방의 파일함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출력 화면을 두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지 않고, 공유 컨텐트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유 컨텐트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도 1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특정 공유 컨텐트의 감상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동안에도, 함께 보기 버튼(1910)을 통해 공유방의 참가자들과 선택된 컨텐트를 함께 볼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함께 보기 요청된 컨텐트는 도 19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개인 감상 영역 및 공유 영역의 구분 없이 공유방의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설정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컨텐트의 공유를 요청받은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같이 보기 요청을 수락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함께 보기를 요청받은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함께 보기를 요청한 상대방의 식별 정보(예컨대, 상대방의 ID 또는 대화명)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0에서는 탭 영역(2010)에 상대방의 식별 정보(상대방의 ID)가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사용자는 상대방의 식별 정보를 읽어 누가 같이 보기를 요청한 것인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In FIG. 18, the output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illustrated as being divided into a private listening area and a shared area. However, the output of the mobile terminal 10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divided into a private listening area and a shared area.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7, when the file box of the sharing room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100 can control the display of the shared content list without dividing the output screen into two areas. One of the shared content lists is selected so that the participant on the shared room and the selected content together with the view button 1910 ar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selected content while the viewing mode of the specific shared content is set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You can ask to see. At the same time, the content requested to be viewed together may be displayed as a background image of the shared room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 personal listening area and the shared area,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9 (b).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 requested to share the conten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o accept a viewing request like that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t this time, in the mobile terminal 100 requested to view toge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ID or nickname of the other party) of the other party requesting viewing together may be displayed. In FIG. 20, it is exemplified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ID of the other party) is displayed in the tab region 2010. The user can easily rea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and know who is requesting the same viewing.

팝업 메시지에는 같이 보기 요청을 수락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툴(tool, 예컨대 버튼 또는 핸들러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예로, 도 20에 도시된 핸들러(2022)가 주어진 경로(2024)를 따라 드래그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같이 보기 요청을 수락한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같이 보기 요청된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함께 보기할 컨텐트가 이미지인 경우, 함께 보기할 이미지 컨텐트는 앞서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방의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설정될 수 있다.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설정되는 동안 도 21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백그라운드 이미지가 터치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도 21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함께 보기 이미지만을 온전히 감상할 수 있는 감상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감상 모드 하에서는 도 21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함께 보기 이미지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감상 모드 하에서, 공유방 참가자들의 대화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오버레이 표시될 수 있다(도 21의 (b)에서는 화면의 하단부(2120)에 대화 내용이 오버레이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됨). The pop-up message may be displayed with a tool (e.g., a button or handler, etc.) to determine whether to accept the view request. For example, when the handler 2022 shown in FIG. 20 is dragged along a given path 2024, the mobile terminal 10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accepted the viewing request together, If the content to be viewed together is an image, the image content to be viewed together can be set as the background image of the shared room, as shown in FIG. 19 (b). While the background image is being set,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1 (a), when the background image is touched,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the view image It is possible to enter a listening mode in which only the user can fully appreciate. Under the listening mod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1 (b), a combined view image can be output in full screen. Under the listening mode, the conversation of the sharing party participants can be overlaid on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in FIG. 21B, the conversation contents are overlaid on the lower part 2120 of the screen).

공유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이동 단말기(100)는 해당 공유 컨텐트를 다른 사용자와 함께 보고 있는지 또는 혼자 보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1의 (a)에서는 별도의 정보 탭(tab, 2110)을 통해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While the shared content is displayed, the mobile terminal 100 can control to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whether the shared content is viewed with another user or is viewing alone. For example, in FIG. 21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a separate information tab (tab) 2110. FIG.

특정 공유 컨텐트를 함께 보는 동안 참가자 중 어느 한명은 공유 컨텐트의 함께 보기를 중단하거나, 함께 보기할 컨텐트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를 함께 보기 하는 동안, 함께 보기를 요청한 이동 단말기(100)의 함께 보기할 이미지의 변경 및 함께 보기의 중단 등의 요청은 공유방의 모든 참가자들에게 효력을 미칠 수 있는 반면, 함께 보기를 요청하지 않은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함께 보기할 이미지의 변경 및 함께 보기의 중단 등의 요청은 자신에게만 효력이 미칠 수 있다. While viewing certain shared content, one of the participants can stop viewing the shared content together or change the content to be viewed together. At this time, while viewing the images together, a request such as changing an image to be viewed together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requesting viewing together and stopping the viewing together may be effective for all participants in the sharing room, A request such as a change of an image to be viewed together and an interruption of viewing together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not requested can be effective only to the user.

일예로, 함께 보기를 요청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함께 보기할 컨텐트의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의 모든 참가자들에 대해 함께 보기할 컨텐트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함께 보기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대화창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을 터치한 뒤 포인터를 특정 방향으로 플리킹 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인터를 제 1 방향으로 플리킹하는 것은 현재 함께 보기 하고 있는 컨텐트의 다음 순번의 컨텐트를 함께 보기 요청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포인터를 제 2 방향(제 1 방향의 반대)으로 플리킹 하는 것은 현재 함께 보기 하고 있는 컨텐트의 이전 순번의 컨텐트를 함께 보기 요청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receiving a change request for a content to be viewed together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requesting viewing together,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control content to be viewed together with all participants in the sharing room. Here, the user input for requesting viewing together may be to touch an area where the dialog window is not displayed and then flick the pointer in a specific direction. Specifically, flicking the pointer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for requesting viewing the content of the next sequential number of the content currently viewed together, and may flick the pointer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May be to request viewing the content of the previous sequence number of the content currently being viewed together.

다른 예로, 함께 보기를 요청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함께 보기할 컨텐트의 중단 요청을 수신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의 모든 참가자들에 대해 함께 보기할 컨텐트의 표시가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하께 보기를 중단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함께 보기를 중단하기 위한 버튼(예컨대, 도 20의 x 버튼(2030))을 터치하는 것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interruption of content to be viewed together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requesting viewing together,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control the display of the content to be displayed together for all the participants in the sharing room have. Here, the user input for stopping the view may be to touch the button for stopping the viewing together (e.g., the x button 2030 in FIG. 20).

이와 달리, 함께 보기를 요청하지 않은 이동 단말기(100)가 함께 보기할 컨텐트의 중단을 위한 사용자 입력(예컨대, 도 21의 접기 버튼(2130)이 터치됨)을 수신하면, 자신에 한하여 함께 보기가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참가자들이 함께 보기를 지속하고 있다면, 함께 보기의 재개를 위한 사용자 입력(예컨대, 도 21의 접기 버튼(2130)을 재터치)을 수신함에 따라 특정 컨텐트의 함께 보기가 재개될 수도 있다.공유 컨텐트가 동영상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방을 벗어나지 않고도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방에서 동영상을 오버레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앞서 도 15 내지 도 19를 통해 설명한 예에서와 같이, 개인 감상 영역 또는 공유 영역을 통해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put for interrupting the content to be displayed together (for example, the fold button 2130 of FIG. 21 is touched) is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which has not requested the viewing together, Can be controlled to be interrupted. If other participants continue to view together, the viewing of specific content may be resumed as they receive user input (e.g., re-touching the fold button 2130 in Figure 21) to resume viewing together. The mobile terminal 100 can play the moving picture without leaving the shared room.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moving picture overlay in the shared room or may display the moving picture through the private listening area or the shared area as in the exampl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도 22는 공유방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파일함(2210)이 터치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방의 일부 영역을 컨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으로 할당하고, 도 22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할당된 영역을 통해 공유 컨텐트 목록(22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유 컨텐트 목록(2220)에서 동영상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22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 컨텐트 목록 중 선택된 동영상에 대한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버튼(2222,2224,2226)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2의 (b)의 예에서, 함께 보기 버튼(2222)은 공유방에 참가중인 사용자들과 동영상을 함께 보기 위한 것이고, 혼자 보기 버튼(2224)은 혼자서 동영상을 감상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저장 버튼(2226)은 선택된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2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moving pictures are played back in a shared room. When the file box 2210 is touched, the mobile terminal 100 allocates a part of the shared room as an area for displaying the content list, an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2B, So that the shared content list 2220 can be displayed. When a moving image is selected in the shared content list 2220,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n operation button 2222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of the selected moving image in the shared content list,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2 (b) 2224, and 2226 are displayed. 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FIG. 22 (b), the view together button 2222 is for viewing videos together with users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oom, and the view alone button 2224 may be for watching a movie by itself . The save button 2226 may be for downloading and storing the selected moving image.

도 22의 (b)의 예에서, 동영상의 썸네일이 터치되거나, 혼자 보기 버튼(2224) 또는 함께 보기 버튼(2226)이 터치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방에서 선택된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동영상의 재생창(223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함께 보기 버튼이 선택(2222)된 경우라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방에 참가중인 참가자들과 함께 동영상의 함께 볼 것을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example of FIG. 22 (b), when the thumbnail of the moving image is touched or the view alone button 2224 or the view button 2226 is touched together,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moving imag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window 2230 of the display unit 2230 to be displayed. At this time, if the view-together button is selected 2222, the mobile terminal 100 may request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to view the video together with th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oom.

앞서 도 1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개인 감상 영역에서 공유 영역으로 동영상을 드래그하는 것으로 동영상의 함께 보기가 요청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8, it may be requested to view the moving picture together by dragging the moving picture from the private listening area to the shared area.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이동 단말기(100)는 재생되는 동영상을 다른 사용자와 함께 보고 있는지 또는 혼자 보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2의 (c)의 예에서는 별도의 정보 탭(2240)을 통해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While the moving image is being played back,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whether the moving image is being watched with another user or watching alone. In the example of FIG. 22 (c),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llustrated as being displayed through a separate information tab 2240.

도 23은 동영상의 함께 보기를 요청 받은 이동 단말기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공유방의 특정 참가자가 동영상의 함께보기를 요청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의 참가자들에게 동영상의 함께 보기가 요청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는, 도 23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특정 참가자가 동영상의 함께 보기를 요청하였음을 알리는 인디케이터(2310)를 표시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310)가 터치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23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특정 참가자가 함께 보기 요청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2320).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부터 특정 참가자가 함께 보기 요청한 동영상을 스트리밍 재생할 수도 있고, 특정 참가자가 함께 보기 요청한 동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경우,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여, 재생 시점 정보가 지시하는 재생 시점에 맞춰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도 있다.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of a mobile terminal that is requested to view a moving image together. When a specific participant in the sharing room requests the viewing of the video together,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transmi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articipants in the sharing room that the viewing of the video is requested together. Upon receiv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the mobile terminal can display an indicator 2310 informing that the specific participant has requested viewing of the video together,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3 (a) have. When the indicator 2310 is touched, the mobile terminal 100 can reproduce the moving picture requested by the specific participant together (232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3B. Specifically,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tream-play a moving image requested by a specific participant from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or, if the moving image is stored by a specific participant, request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the reproduction time information and reproduce the moving picture stored at the reproduction time point indicated by the reproduction time information.

공유방의 참가자들이 함께 동영상을 감상하는 경우, 함께보는 동영상에 대한 제어 권한은 동영상을 함께 보는 모든 이동 단말기(100)에 부여될 수도 있고, 동영상의 함께 보기를 요청한 이동 단말기(100)에만 부여될 수 있다. 제어 권한을 보유한 이동 단말기가 동영상에 대한 재생 명령 또는 일시 중지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명령은 공유방의 모든 참가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권한을 갖는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동영상의 일시 중지 명령은, 공유방에 참가 중인 다른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동영상 재생 역시 중단될 수 있고, 제어 권한을 갖는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동영상의 재생 명령은, 공유방에 참가 중인 다른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동영상도 재생될 수 있다.When the participants in the sharing room watch the moving picture together, the control right of the moving picture to be viewed together can be given to all the mobile terminals 100 viewing the moving picture together or can be given only to the mobile terminal 100 requesting the viewing of the moving picture together have. When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ntrol right inputs a playback command or a pause command for a moving image, the inputted command may affect all participants in the sharing room. For example, the video pause command in the mobile terminal 100 having the control authority can be stopped also in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oom, and the mobile terminal 100 having the control authority The moving picture on another mobile terminal 100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oom can also be reproduced.

이를 위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재생 명령 또는 일시 중지 명령 등 동영상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공유방에 참가 중인 이동 단말기(100)들에게 수신한 동영상 조작 명령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o this end,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receives a video manipulation command such as a playback command or a pause comman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and provides the video manipulation command received to the mobile terminals 100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oom There will be.

공유방에 동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동영상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로부터 동영상에 대한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 입력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동영상의 크기가 확대 혹은 축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조절 가능한 동영상의 최대 크기 및 최소 크기는 미리 지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While the moving image is output to the shared room, the size of the moving image can be adjusted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 pinch-in or pinch-out for a moving image, the mobile terminal 100 can control the size of the moving image to be enlarged or reduced. At this time, the maximum size and the minimum size of the adjustable moving image may be predetermined.

단, 동영상의 최대 크기는 가상 키패드의 출력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 도 24는 가상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될 때 동영상의 출력 크기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24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가상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때, 사용자는 동영상(2410)을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함으로써, 그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다만, 동영상의 최대 크기 및 최소 크기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가상 키패드(2420)가 디스플레이되면, 동영상(2410)은 가상 키패드(2420)의 표시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도 24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동영상(2410)의 최대 크기가 가상 키패드(2420)의 표시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However, the maximum size of the moving picture can be set so as not to violate the output area of the virtual keypad. This is to prevent the user from interfering with the text input.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size of a moving picture when the virtual keypad is displaye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4A, when the virtual keypad is not displayed,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size of the moving picture by pinching or pinching out the moving picture 2410 (however, The maximum size and minimum size may be defined in advance. When the virtual keypad 2420 is displayed, the moving image 2410 can be output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display area of the virtual keypad 2420.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t the maximum size of the moving image 2410 not to invade the display area of the virtual keypad 242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4B.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가변될 수도 있다. 일예로,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의 출력이 포트레이트(Portrait)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모드로 전환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컨텐트가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output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tilting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output of the display is switched from the portrait mode to the landscape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controls the shared content to be output in full screen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5는 이동 단말기의 출력 모드에 따른 컨텐트의 출력 방식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도 25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 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2510)가 풀 스크린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2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an output method of a content according to an output mode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output mo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switched from the portrait mode to the landscape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100 via the shared area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25A and 25B The content 2510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 to the full screen.

공유 영역을 통해 출력되던 컨텐트(2510)가 풀 스크린으로 출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간의 대화 내용은 풀 스크린으로 출력되는 컨텐트 위 오버레이 표시될 수 있다. 일예로, 도 25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방에 새롭게 입력된 메시지가 컨텐트(2510)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5의 (a)에서는 컨텐트의 하단부에 새롭게 입력된 메시지(2510)가 오버레이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In the case where the content 2510 output through the shared area is output to the full screen,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s 100 may be displayed over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full screen. For exampl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5A, the mobile terminal 100 can control that a message newly input in the shared room is overlaid on a partial area of the content 2510. In FIG. 25 (a), a message 2510 newly input at the lower end of the content is illustrated as overlayed.

만약, 컨텐트(2510)가 자막을 포함하는 동영상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자막과 대화 내용이 중첩되지 않도록 새롭게 입력된 메시지의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을 위한 자막이 컨텐트의 하단부에 표시된다면, 새롭게 입력된 메시지는 컨텐트의 상단부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If the content 2510 is a moving picture including a caption, the mobile terminal 100 can determine a display position of a newly input message so that the caption and the conversation do not overlap. For example, if a caption for a moving picture is display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ntent, a newly input message may be displayed at the upper part of the content.

공유방에 새롭게 입력된 메시지 이외 기존의 대화 내용을 보고자 하는 대화 보기 버튼(2520)이 터치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25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화면의 일부를 기존의 대화 내용을 보기 위한 레이어 영역(2530)으로 설정하고, 레이어 영역(2530)을 통해 기존의 대화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화 보기 버튼(2520)이 재터치되면, 레이어 영역(2530)의 표시는 중단될 수 있다.When the conversation view button 2520 for viewing the existing conversation contents other than the newly input message is touched,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part of the screen as an existing on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5 (b) A layer area 2530 for viewing the conversation contents, and controls the existing conversation contents to be displayed through the layer area 2530. [ When the conversation view button 2520 is touched again, the display of the layer area 2530 can be stopped.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 모드가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변환되어, 공유 영역을 통해 출력되던 컨텐트가 풀 스크린으로 출력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자동으로 마이크를 활성화 하여,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STT (Speech To Text) 변환 하여, 사용자가 음성을 기초로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텐트가 풀 스크린으로 출력되는 동안에는 가상 키패드를 출력할 공간이 부족해, 사용자가 송신 메시지를 작성하는 것이 어려움을 감안한 것이다.When the output mo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changed to the landscape mode and the content output through the shared area is output to the full screen, the mobile terminal 100 automatically activates the microphone to receive the user's voice input , And converts the voice input of the user into STT (Speech To Text) so that the user can create a message based on the voice. While the content is being output to the full screen, it takes into account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write the outgoing message because there is not enough space to output the virtual keypad.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 모드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고, 출력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The output mo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ilting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user input for changing the output mode.

도 2에서는 피공유자 단말(20)기 공유 컨텐트의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S210),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제 2 클라우드 계정으로 공유 컨텐트를 복사함으로써, 피공유자에게 공유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S211). 이에 그치지 않고,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 컨텐트 또는 공유 컨텐트에게 접근하기 위한 접속 주소를 피공유자 단말(20)에게 직접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피공유자 단말(20)은 자신의 메모리(130)에 공유 컨텐트를 직접 저장하거나, 접속 주소에 연결함으로써 공유 컨텐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In FIG. 2, when requesting the provision of the shared content through the supplicant terminal 20 (S210),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opies the shared content to the second cloud account, thereby providing the shared content to the supplicant (S211). Alternatively,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directly provide the access terminal 20 to access the shared content or the shared content. In this case, the sharer's terminal 20 may directly store the shared content in its memory 130 or connect to the connection address, thereby confirming the shared content.

도 2에서는 공유자 단말(10)이 새로운 공유방을 개설하고, 새롭게 개설된 공유방에 피공유자 단말(20)을 초청하는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방을 개설한 공유자 단말(10)의 초대를 받아 공유방에 진입할 수도 있지만, 공유자 단말(10)의 초대를 받지 않고 스스로 공유방에 참가할 수도 있다. In FIG. 2, an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sharter terminal 10 establishes a new shared room and invites the sharer's terminal 20 to a newly established shared room. 2, the sharrier terminal 20 can enter the sharing room by receiving the invitation from the sharer terminal 10 that has opened the shared room, but can not enter the sharer's terminal 10 without being invited by the sharer terminal 10 You can also participate.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 등의 이동 단말기(100)는 자신이 참가 중인 공유방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도 있다. 일예로, 제 1 공유방에 참가하였던 이동 단말기(100)가 제 2 공유방에 참가 중인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기존에 참가했던 제 1 공유방으로 자유롭에 이동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6은 기존 공유방에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26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제 1 공유방에 참가하고 있는 동안, 공유방 목록 보기 버튼(2610)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에는 도 26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기존에 참가했던 공유방 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기존에 참가했던 공유방 목록 중 제 2 공유방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26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선택된 제 2 공유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공유방에서의 공유 컨텐트를 재공유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7 내지 도 29은 특정 공유방에서의 공유 컨텐트가 재공유되는 것의 예시도이다. 공유방의 파일함이 롱터치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 컨텐트를 재공유하기 위한 팝업 창(2710,2810,29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팝업 창(2710)에서, '새 공유방 개설 후 공유' 항목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2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당해 공유방에서의 공유 컨텐트를 동일하게 이용하는 새로운 공유방을 개설할 수 있다. 팝업 창(2810)에서 '다른 공유방에 개설' 항목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는 도 2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당해 공유방에서의 공유 컨텐트가 다른 공유방에서의 공유 컨텐트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팝업 창(2910)에서 '여기에 재공유' 항목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는 도 2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당해 공유방에서 공유 컨텐트가 재공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the sharer terminal 10 and the sharer terminal 20 may freely move the shared room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participating.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mobile terminal 100 participating in the first sharing room is participating in the second sharing room, the mobile terminal 100 can freely move to the first shared room that has previously participated. For example, FIG. 2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entering an existing shared room. 26 (a), when the shared list view button 2610 is selected 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is participating in the first sharing room, the mobile terminal 100 is shown in As in the example shown in b), a shared list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has previously participated in may be displayed. If the second shared network is selected from the list of participating shared networks, the mobile network 100 can move to the selected second shared network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6 (c). The mobile terminal 100 can reshare the shared content in the specific shared area. For example, FIGS. 27 to 29 show an example in which shared content in a specific shared area is reshared. When the file box of the shared room is long-touched, the mobile terminal 100 can control the pop-up windows 2710, 2810, and 2910 for resharing the shared content to be displaye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27 to 29 have. In the pop-up window 2710, when the item 'Sharing after opening a new shared room'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100 opens a new shared room using the same shared content in the shared room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7 . In the pop-up window 2810, when the item 'open in another shared library'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can control the shared content in the shared room to be shared content in another shared room,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When the 'reshare here' item is selected in the pop-up window 2910, the mobile terminal can control the shared content to be reshared in the shared room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공유방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컨텐트가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된 컨텐트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러나, 공유자 단말(10)과 피공유자 단말(20) 사이의 공유 컨텐트가 반드시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된 컨텐트여야 하는 것도 아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이 실시간 방송 영상, 주문형 비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등의 라이브 영상을 상호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0을 참조하기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content that can be shared through the shared room is the content stored in the first cloud account. However, the shared content between the sharter terminal 10 and the sharer terminal 2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tent stored in the first cloud account.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control the sharer terminal 10 and the sharer's terminal 20 to share live video images such as a live broadcast video, an on-demand video, and a streaming vide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도 30은 공유자 단말 및 피공유자 단말이 라이브 영상을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공유자 단말(10)에서,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3001), 공유자 단말(10)은 제 1 클라우드 계정을 이용하여 컨텐트 공유 서버(30)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S3002).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을 인증하고(S3003), 인증 결과를 기초로, 공유자 단말(10)의 접속 허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공유자 단말(10)의 접속이 허용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공유자 단말(10)에게 라이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S3004).30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sharing a live image by a sharrier terminal and a sharer's terminal. When the first application for using the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is executed in the sharter terminal 10 (S3001), the sharer terminal 10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using the first cloud account, (S3002). ≪ / RTI >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uthenticates the sharer terminal 10 (S3003), and can determine the connection right of the sharter terminal 10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When the connection of the sharer terminal 10 is permitted,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provide a live video to the sharer terminal 10 at the request of the sharer terminal 10 (S3004).

일예로, 도 31은 컨텐트 공유 서버로 라이브 영상을 요청하기 위한 공유자 단말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공유자 단말(10)이 컨텐트 공유 서버(30)에 접속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도 31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공유자 단말(10)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열거한 서비스 목록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예에서, '클라우드' 영역은 제 1 클라우드 계정에 업로드된 컨텐트 목록을 보기 위한 것이고, '기타 서비스' 영역에서, '비디오 스토어' 항목은 라이브 영상을 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공유자 단말(10)은 비디오 스토어 항목을 선택한 뒤,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실시간 방송 영상, 주문형 비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등의 라이브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FIG. 31 is a diagram illustrating output of a sharer terminal for requesting a live image to a content sharing server. When the sharter terminal 10 accesses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1,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transmits a service list page listing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to the sharer terminal 10 Can be provid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1, the 'cloud' area is for viewing a list of contents uploaded to the first cloud account, the 'other service' area, and the 'video store' item is for viewing live images. The sharter terminal 10 can receive a live video such as a real time broadcast video, an on-demand video, a streaming video, etc. from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fter selecting a video store item.

라이브 영상을 시청하는 공유자 단말(10)은 컨텐트 공유 서버(30)에게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할 수 있다(S3005).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자 단말(10)의 요청에 의거 선택된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을 개설할 수 있다(S3006). 개설된 공유방에 피공유자가 참가하면(S3007),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피공유자 단말(20)에게도 공유자 단말(10)에게 전송하는 것과 동일한 라이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S3008). 이에 따라,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은 동일한 라이브 영상을 보면서, 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The sharter terminal 10 viewing the live video can request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to open a shared room (S3005).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open a sharing room for sharing the content selected based on the request of the sharter terminal 10 (S3006). When the sharer participates in the opened shared room (S3007),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also provide the same live image to the sharrier terminal 10 as is transmitted to the sharrier terminal 10 (S3008). Thus, the sharter terminal 10 and the sharer's terminal 20 can proceed to the conversation while watching the same live video.

도 32는 공유자 단말 및 피공유자 단말이 동일한 라이브 영상을 보면서 대화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harrier terminal and a sharer's terminal are talking while viewing the same live video image.

도 32의 (a)는 공유자 단말(10)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2의 (b)는 피공유자 단말(20)의 출력을 예시한 도면이다.FIG. 32A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utput of the sharter terminal 10, and FIG. 32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utput of the sharer terminal 20. FIG.

이동 단말기(100)는 출력 화면을 라이브 영상 표시 영역과 대화 영역으로 구분하고, 라이브 영상 표시 영역을 통해서는 라이브 영상을 출력하고, 대화 영역을 통해서는 공유자와 피공유자 사이의 대화 내용(즉, 송수신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은 도 32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라이브 영상을 시청하면서, 대화를 나눌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divides the output screen into a live video display area and a conversation area, outputs a live video through the live video display area, and displays conversation contents between the sharer and the sharer through the conversation area Message) can be output. Accordingly, the sharter terminal 10 and the sharer's terminal 20 can share the conversation while watching the same live video,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32 (a) and 32 (b).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라이브 영상이 풀 스크린으로 출력될 수 있음은 앞서, 도 24 및 도 2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나아가, 공유방의 참가자 중 적어도 한명이 라이브 영상에 대한 재생 명령 또는 일시 중지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명령은 공유방의 모든 참가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When the output mo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changed from the portrait mode to the landscape mode, the live image can be output in a full scree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4 and FIG. Furthermore, when at least one participant in the sharing room inputs a playback command or a pause command for a live video, the input command may affect all participants in the sharing room as described above.

개설된 공유방에, 제 1 클라우드 계정의 친구 목록, 제 1 메신저 계정의 친구 목록 및 전화번호부를 이용하여 공유방에 피공유자를 선택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elect a recipient in the shared room by using the friend list of the first cloud account, the friend list of the first messenger account, and the phone book.

도 30에서는 공유자 단말(10)이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함으로써, 라이브 영상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이 개설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 30에 도시된 예에서와 달리, 이동 단말기(100)는 동일한 라이브 영상을 시청하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가 기 개설한 공유방에 참가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33은 기 개설한 공유방에 참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3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라이브 영상을 시청하는 도중, '공유방' 탭을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동일한 라이브 영상을 시청하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가 기 개설한 공유방 목록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예에서 기 개설한 공유방 목록이 선택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선택된 공유방으로의 입장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고, 공유방 만들기 버튼이 선택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In FIG. 30, it is illustrated that a sharing room for sharing a live image is opened by requesting the sharing terminal 10 to open a shared room. Unlike the example shown in FIG. 30,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articipate in a shared room established by another mobile terminal 100 that watches the same live video. For example, FIG. 33 is a diagram illustrating participation in a shared room that has been established. 33, when the 'shared room' tab is selected during the live video viewing,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shared room list created by another mobile terminal 100 viewing the same live video And receive and display it. 33,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request the entry to the selected sharing room, and when the sharing room creation button is selected,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sends the sharing room To be open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클라우드 계정 또는 공유자 단말(10)에 저장된 컨텐트 중 공유 컨텐트가 선택된 경우, 또는 함께 볼 라이브 영상이 선택된 경우 등에 있어서 공유방이 개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컨텐트가 설정된 공유방에 추가적인 공유 컨텐트를 더 설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공유방을 개설한 개설자 이외의 참가자들도 자신이 참가 중인 공유방에 공유 컨텐트를 추가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 sharing room may be established when the shared content amo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first cloud account or the sharter terminal 10 is selected, or when a live image to be viewed together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further set additional shared content in the shared room where the shared content is set. Furthermore, participants other than the establisher who opens the shared room may add shared content to the shared room in which they are participating.

이때,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의 성격에 따라, 공유방에 추가적인 공유 컨텐트의 설정 권한을 달리할 수 있다. 일예로, 컨텐트 공유 서버(30)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과 라이브 영상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을 구분하여, 전자에서는 공유 컨텐트가 추가 설정될 수 있는 반면, 후자에서는 공유 컨텐트의 추가 설정이 불가능 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change the setting authority of additional shared content in the shared room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shared room. For example, the sharing service for sharing the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or the mobile terminal 100 is divided into the sharing room for sharing the live video so that the shared content can be additionally set in the former, while in the latter, It is also possible to set such that additional setting of the content is not possible.

공유방의 개설 시 공유 컨텐트가 반드시 지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 단말기(100)는 아무런 공유 컨텐트를 선택되지 않은 대화방을 개설한 뒤, 개설된 대화방에 공유 컨텐트를 추가함으로써, 대화방의 성격이 공유방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hared content does not have to be specified when opening a shared room. The mobile terminal 100 can control to change the nature of the chat room to the shared room by adding a shared content to the opened chat room after opening a chat room in which no shared content is selected.

공유방이 개설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개설된 공유방에 유효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유효 기간이 만료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을 자동으로 종료할 수 있다. 유효 기간은 공유방의 개설 시점부터 산정될 수도 있고, 공유방에서 마지막으로 공유 컨텐트가 추가된 시점부터 산정될 수도 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이 만료되기 이전 공유방에 참가 중인 참가자들에게, 공유방이 곧 만료될 것임을 알릴 수 있다.When the sharing room is opened,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set the validity period in the shared room. When the valid period expires,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automatically terminate the shared room. The validity period may be calculated from the time when the shared room is opened, or may be calculated from the time when the shared content was lastly added in the shared room.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notify th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oom before the sharing room expires that the sharing room is about to expire soon.

유효 기간이 만료되어 공유방이 종료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에 참가하였던 사용자들에게 공유방에서의 대화 내용을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질의할 수 있다. 공유방에 참가하였던 사용자들이 공유방에서의 대화 내용의 저장을 요청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공유방에서의 대화 내용을 저장한 데이터를 저장을 요청한 사용자의 클라우드 계정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대화 내용은 텍스트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고, 이미지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After expiration of the valid period,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can inquire whether or not to store the conversation contents in the shared room to the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shared room. When the us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sharing room request the storage of the conversation contents in the shared room, the contents sharing server 30 can store the data storing the conversation contents in the shared room as the cloud account of the user who has requested to save. At this time, the conversation contents may be stored in a text form or in an image form.

공유방에 참가 중인 참가자가 스스로 공유방을 이탈하는 경우에도,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당해 사용자에게 공유방에서의 대화 내용을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질의할 수도 있다.Even when the participant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oom deviates from the shared room by itself,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inquire whether or not to store the conversation contents in the shared room.

다음으로, 상술한 이동 단말기(100) 및 컨텐트 공유 서버(3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4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공유자 단말(10) 및 피공유자 단말(20)로 역할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메모리(130), 센싱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34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34, the mobile terminal 100 serving as the sharter terminal 10 and the sharer terminal 2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 memory 130, a sensing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0. [0028]

무선 통신부(11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 및 메신저 서버(4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부(11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컨텐트 목록, 라이브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고, 컨텐트 공유 서버(30)로, 공유방의 개설이나 공유방의 참가를 요청할 수도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s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nd the messenger server 40. 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a content list, a live video, and the like from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nd may request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to open a sharing room or participate in a sharing room.

무선 통신부(110)는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의 무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GSM (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DMA), LTE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 (E. G., ≪ / RTI > Term Evolution),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2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컨텐트 공유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 목록이나 라이브 영상, 공유자와 피공유자 사이의 대화 내용(즉, 송수신 메시지) 등이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0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20 may output a list of contents received from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 live video, conversation contents between the sharer and the sharer (i.e., transmission / reception messages),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12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 3D display.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2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로 기능함과 동시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기능부(예컨대, 키패드)가 더욱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The display unit 12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a touch screen. When the display unit 120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20 may function as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information and an input device for receiving user input. If the display unit 120 is not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function unit (e.g., a keypad) for receiving user input.

메모리(130)는 제어부(1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컨텐트 목록, 라이브 영상의 재생을 위한 조각(chunk) 파일)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3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3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5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list of contents, chunk files for reproducing a live image) . The memory 13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ted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130)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130)(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30)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130),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30 may be a flash memory 130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130 XD memory 130 and the lik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Only Memory), a magnetic memory 130, a magnetic disk, or an optical disk.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을 감지한다. 제어부(150)는 센싱부(140)의 감지 신호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100)의 기울어짐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을 포트레이트 모드 및 랜드스케이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tilting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00 is tilt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140 and sets the output of the display unit 120 to either the portrait mode or the landscape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have.

제어부(150)(controller)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컨텐트 공유 서버(30) 및 메신저 서버(40)로 전송할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컨텐트 공유 서버(30) 및 메신저 서버(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신호 처리를 위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generate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nd the messenger server 40, or processes data received from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nd the messenger server 40 . The control unit 150 may be an integrated circuit such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for signal processing.

도 35는 컨텐트 공유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컨텐트 공유 서버(30)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부(32), 메시징 서비스부(34), 클라우드 저장부(36) 및 라이브 영상 제공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35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sharing server. 35,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may include a subscriber database unit 32, a messaging service unit 34, a cloud storage unit 36, and a live image providing unit 38.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부(32)는 컨텐트 공유 서버(3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예컨대, 메시징 서비스,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 및 라이브 영상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가입자들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이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각 가입자별 친구 목록이 생성될 수 있다.The subscriber database unit 32 is a database for managing information on subscribers for using various services (for example, a messaging service, a cloud storage service, and a live image providing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 list of friends for each subscriber can be created through the subscriber database.

메시징 서비스부(34)는 가입자 간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시징 서비스부(34)는 이동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공유방을 개설하고, 공유방에 참가 중인 사용자들의 입력 메시지가 상호 송수신 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The messaging service unit 34 serves to provide an inter-subscriber messaging service. The messaging service unit 34 establishes a shared network at the reques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controls the input messages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shared network to be mutually transmitted and received.

클라우드 저장부(36)는 사용자 계정별 사용자가 업로드한 데이터(예컨대, 컨텐트)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언제라도 클라우드 저장부(36)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The cloud storage unit 36 stores and manages data (e.g., content) uploaded by a user for each user account.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ccess the cloud storage unit 36 at any time to upload data and download the uploaded data.

라이브 영상 제공부(38)는 이동 단말기(100)에 라이브 영상을 제공한다. 라이브 영상 제공부(38)가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라이브 영상은 실시간 방송 영상, 주문형 비디오 및 스트리밍 비디오 등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게 라이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라이브 영상 제공부(38)는 방송 서버, 주문형 비디오 서버 및 스트리밍 비디오 제공 서버 등과 통신할 수도 있다.The live image providing unit 38 provides a live image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live video provided by the live video providing unit 38 to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real time broadcast video, video on demand, streaming video, and the like. In order to provide a live image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live image providing unit 38 may communicate with a broadcast server, an on-demand video server, a streaming video providing server,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컨텐트 공유 서버(30) 및 메신저 서버(40)가 반드시 단일의 서버 장치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컨텐트 공유 서버(30) 및 메신저 서버(40)는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서버일 수도 있다.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nd the messenger server 40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single server device.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nd the messenger server 40 may be a cluster server including a plurality of server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동작 흐름도)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operation flow diagram)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the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100), 컨텐트 공유 서버(30) 및 메신저 서버(4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ent sharing server 30, and the messenger server 40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in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10 : 공유자 단말
20 : 피공유자 단말
30 : 컨텐트 공유 서버
32 :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34 : 메시징 서비스부
36 : 클라우드 저장부
38 : 라이브 영상 제공부
40 : 메신저 서버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메모리
140 : 제어부
10: Shared terminal
20: Shared terminal
30: Content Sharing Server
32: Subscriber database
34: Messaging Service Department
36: Cloud storage unit
38: live video footage
40: Messenger server
100: mobile terminal
110:
120:
130: memory
140:

Claims (12)

메모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컨텐트 공유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의 자기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 컨텐트로 설정하고,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설정된 상기 공유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방에 참가 중인 참가자들과 상기 공유 컨텐트를 함께 보는 동안, 상기 공유 컨텐트가 상기 공유방의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Memory;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ent sharing server; And
Wherein the content sharing server is configured to set at least one of content stored in a magnetic cloud account of the content sharing server or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as a shared content and request a sharing room for sharing the shared content set in the content sharing serv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hared content to be set as the background image of the sharing room while viewing the shared content together with th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hared roo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상기 참가자들도 상기 공유 컨텐트를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requests the content sharing server to display the shared content as a background image by the participa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가자들과 함께 볼 상기 공유 컨텐트가 변경되면, 상기 공유방의 백그라운드 이미지를 변경된 상기 공유 컨텐트로 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resets the background image of the shared room to the changed shared content when the shared content to be viewed with the participants is chan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 이미지가 터치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컨텐트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background image is touche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hared content to be output in a full scree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컨텐트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는 동안, 상기 공유방에 참가 중인 상기 참가자들의 대화는 상기 공유 컨텐트 위 오버레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conversation of th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hared room is overlaid on the shared content while the shared content is output to the full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컨텐트의 함께 보기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컨텐트가 상기 공유 방의 상기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표시되는 것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sharing of the shared content is termina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haring content to be displayed as the background image of the shared room.
이동 단말기가 컨텐트 공유 서버로 로그인 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에 저장된 컨텐트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 컨텐트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상기 공유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방의 개설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공유방에 참가 중인 참가자들과 상기 공유 컨텐트를 함께 보는 동안, 상기 공유 컨텐트를 상기 공유방의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A step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logs into a content sharing server;
The mobile terminal establishi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sharing server and the content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s shared content; And
And requesting the mobile terminal to open a shared room for sharing the shared content with the content sharing server,
Wherein the mobile terminal sets the shared content as a background image of the sharing room while viewing the shared content together with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room.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컨텐트 공유 서버로, 상기 참가자들도 상기 공유 컨텐트를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bile terminal requests the participant to display the shared content as a background image in the content sharing serv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참가자들과 함께 볼 상기 공유 컨텐트가 변경되면, 상기 공유방의 백그라운드 이미지를 변경된 상기 공유 컨텐트로 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nd resets the background image of the shared room to the changed shared content when the shared content to be viewed together with the participants is chang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 이미지가 터치되면, 상기 공유 컨텐트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nd when the background image is touched, the shared content is output as a full scree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컨텐트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는 동안, 상기 공유방에 참가 중인 상기 참가자들의 대화는 상기 공유 컨텐트 위 오버레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conversation of th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hared room is overlaid on the shared content while the shared content is displayed on the full scree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컨텐트의 함께 보기가 종료되면, 상기 공유 컨텐트가 상기 공유방의 상기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표시되는 것도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the sharing of the shared content ends, the shared content is also displayed as the background image of the shared room.
KR20140146245A 2014-10-27 2014-10-27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4937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6245A KR101493729B1 (en) 2014-10-27 2014-10-27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6245A KR101493729B1 (en) 2014-10-27 2014-10-27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7046A Division KR101467415B1 (en) 2013-07-23 2013-07-23 Mobile terminal, content sharing server and method for sharing a content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228A KR20150012228A (en) 2015-02-03
KR101493729B1 true KR101493729B1 (en) 2015-02-17

Family

ID=5248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6245A KR101493729B1 (en) 2014-10-27 2014-10-27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72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599A (en) * 2008-01-15 2009-07-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server and method sharing program executing
KR20120051452A (en) * 2010-11-12 2012-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data ser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data service applying the same
KR20120109812A (en) * 2011-03-28 2012-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out data in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599A (en) * 2008-01-15 2009-07-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server and method sharing program executing
KR20120051452A (en) * 2010-11-12 2012-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data ser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data service applying the same
KR20120109812A (en) * 2011-03-28 2012-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out data in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228A (en) 201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2840B2 (en) Services ove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high flexibility and efficiency
CN111327769B (en) Multi-scree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87190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ement of video and ring tones among mobile devices
US10194189B1 (en) Playback of content using multiple devices
US81545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user communication from a location
US9246917B2 (en) Live representation of users within online systems
US10431187B2 (en) Terminal apparatus, screen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470346B1 (en) Screen Share Method Between User Stations through RC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Network
KR101467415B1 (en) Mobile terminal, content sharing server and method for sharing a content using thereof
US200700762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23527576A (en) INTERACTION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S
JP7490124B2 (en) INTERACTION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1943515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US2017010950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ntent sharing system
KR10149372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740667B1 (en) Layer sharing system enabling to share the layer shared from another device with other device
KR101443773B1 (en) Broadcast output app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 content using thereof
CN114885116B (en) Group discussion method based on cloud conference desktop and related equipment
TWI806125B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sharing management
US20230156062A1 (en) Dynamic syncing of content within a communication interface
KR101664947B1 (en) Layer sharing system
KR101500536B1 (en) Broadcast output app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4920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using IPTV with SIP Based Calling and Digital Multimedia Share Function
CN116648696A (en) Collaborative information display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Grothaus et al. Communicating in Real-Time with iChat and Face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