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308B1 -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308B1
KR101493308B1 KR20140080937A KR20140080937A KR101493308B1 KR 101493308 B1 KR101493308 B1 KR 101493308B1 KR 20140080937 A KR20140080937 A KR 20140080937A KR 20140080937 A KR20140080937 A KR 20140080937A KR 101493308 B1 KR101493308 B1 KR 101493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utting member
unit
cutting
vacuum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택
Original Assignee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8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C03B33/12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2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knives which both reciprocate and ro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는 전방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돌출되게 배치되어 폐차의 유리에 구멍을 뚫고 유리를 절단하는 절단부재와,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절단부재가 유리를 절단할 때 발생되는 유리파편 및 분진을 진공 흡입하는 진공 흡입유닛과,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절단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으로 구성되어, 유리를 절단할 때 발생되는 유리파면 및 분진을 흡입함으로써, 유리파편을 별도로 청소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편리하고 분진을 흡입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의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WINDOW SEPARATING DEVICE OF DISUSED CAR}
본 발명은 폐차에 부착된 전면 유리 및 후면 유리를 폐차에서 분리하는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수명이 다한 폐차는 부품 및 재료를 재활용하기 위해 폐차 해체 작업을 수행한다. 폐차를 해체할 때 재활용 가능한 부품을 분리하고, 액상류를 분리하며, 철과 비철을 분리한다.
철과 비철을 분리하는 작업 중 한 종류로서, 폐차의 전면 및 후면에 부착된 유리, 그리고 차량의 도어에 장착된 유리를 차체에서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종래의 폐차에서 유리를 분리하는 장치는 등록특허공보 10-0384012(2003년 05월 01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도어 글래스에 충격을 가해주는 펀치부와, 폐차의 측부와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파쇄되어 도어 바깥쪽으로 튕겨져 나오는 글래스 조각을 모아주는 한 쌍의 프로텍터와, 글래스를 파쇄하기 위한 예비 작업이 끝난 폐차를 차체 고정 수단으로 고정시킨 후 180°회전시켜 폐차를 뒤집을 수 있는 터닝장치와, 차체의 실내 공간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차체 내부로 진입이 가능하며 4 개의 각 도어 글래스에 동시에 충격을 가해주는 4 개의 펀치부로 구성되어, 폐차를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4 개의 프론트 및 리어 도어 글래스를 동시에 파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유리 분리장치는 폐차를 뒤집기 위한 터닝장치, 도어 글래스에 동시에 충격을 가하는 4 개의 펀치부 등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384012(2003년 05월 01일)
본 발명의 목적은 폐차에 부착된 유리의 가장자리를 절단함과 아울러 유리를 절단할 때 발생되는 유리파면 및 분진을 흡입함으로써, 유리파편을 별도로 청소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편리하고 분진을 흡입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의 증진시킬 수 있는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는 전방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돌출되게 배치되어 폐차의 유리에 구멍을 뚫고 유리를 절단하는 절단부재와,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절단부재가 유리를 절단할 때 발생되는 유리파편 및 분진을 진공 흡입하는 진공 흡입유닛과,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절단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의 전방에는 유리에 접촉되는 링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절단부재가 고정되는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바디의 측면에는 진공 흡입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유리파편 및 분진이 배출되는 배출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재는 회전축에 고정되는 봉부와, 상기 봉부의 끝부분에 원뿔 형태로 형성되어 유리에 구멍을 뚫는 펀칭부와, 상기 봉부의 외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절단부재가 회전되면 유리를 절단하는 커팅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바디의 후방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직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외면에는 바디의 측면에서 직각방향으로 제1손잡이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유닛에는 상기 구동유닛과 수평하게 제2손잡이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는 유리에 구멍을 뚫고 유리를 절단하는 절단부재와, 절단부재가 유리를 절단할 때 발생되는 유리파편 및 분진을 진공 흡입하는 진공 흡입유닛이 구비되어, 유리파편을 별도로 청소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편리하고 분진을 흡입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의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분리장치의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는 바디(10)와, 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폐차의 유리에 구멍을 뚫음과 동시에 유리를 절단하는 절단부재(20)와, 바디(10)에 연결되어 절단부재(20)가 유리를 절단할 때 발생되는 유리파편 및 분진을 진공 흡입하는 진공 흡입유닛(30)과, 바디(10)에 연결되어 절단부재(20)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40)을 포함한다.
바디(1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 형태이고, 전방에 유리파편이나 분진이 흡입되는 흡입구(12)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진공 흡입유닛(30)과 연결되어 바디 내부로 흡입된 유리파편이나 분진이 배출되는 배출관(18)이 일체로 연결된다.
바디(10)의 전방에는 폐차의 유리에 접촉되는 링 부재(34)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링 부재(34)는 흡입구(12)의 직경을 넓게 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폐차의 유리에 밀착되어 유리파편 및 분진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바디(10)의 전면에는 경사면(36)이 형성되어 유리파편이나 분진이 흡입될 때 바디(10)의 전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흡입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바디(10)의 내부에는 회전축(50)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5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50)은 그 전방에 절단부재(20)가 고정되고, 그 후방은 구동유닛(40)과 연결되어 회전된다. 그리고, 바디(10)에는 흡입구(12)로 흡입된 유리파편이나 분진이 바디(10)의 후방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14)이 형성되고, 격벽(14) 내면에는 부싱(16)이 장착되어 회전축(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배출관(18)과 진공 흡입유닛(30) 사이는 흡입호스(32)로 연결되고, 진공 흡입유닛은 진공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구동유닛(40)은 바디(10)의 후방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몸체부(42)와, 몸체부(42)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44)와, 모터(44)의 회전력을 모터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5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60)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60)는 모터(44)의 구동축(45)과 회전축 (50)사이에 연결되어 모터 구동축(45)의 회전력을 직각으로 전달하는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베벨기어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60)는 모터 구동축에 고정되는 제1베벨기어(64)와, 회전축(50)에 고정되고 제1베벨기어(64)와 직각으로 기어물림되는 제2베벨기어(62)를 포함한다.
절단부재(20)는 회전축(50)에 고정되는 봉부(22)와, 봉부(22)의 끝부분에 원뿔 형태로 형성되어 봉부(22)가 회전되면 유리에 구멍을 뚫는 펀칭부(24)와, 봉부(22)의 외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봉부(22)가 회전되면 유리를 절단하는 커팅날부(2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절단부재(20)는 회전축이 회전되면 같이 회전되면서 펀칭부(24)가 최초 유리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고, 작업자가 유리 분리장치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봉부(22)의 외면에 형성되는 커팅날부(26)가 유리를 절단한다.
바디(10)의 외면에는 바디(10)의 측면에서 직각방향으로 제1손잡이(72)가 장착되고, 구동유닛(40)의 몸체부(42)에는 몸체부(42)와 수평하게 제2손잡이(74)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손잡이(72) 및 제2손잡이(74)를 잡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유리를 절단하는 구조이지만, 이러한 구조 이외에 자동으로 이동되는 이동유닛에 유리 분리장치를 설치하여 이동유닛의 조작하여 유리 분리장치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제1손잡이(72) 및 제2손잡이(74)를 잡고, 모터(44)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진공 흡입유닛(30)을 작동시킨다. 그런 후 절단부재(20)의 펀칭부(24)를 이용하여 폐차에 부착된 유리(80)의 가장자리에 구멍(102)을 뚫는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유리 분리장치(10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절단부재(20)의 커팅날부(26)가 유리(80)의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절단선(104)이 형성된다.
이때, 커팅날부(26)가 유리를 절단할 때 발생되는 유리파편 및 분진이 바디(10)의 흡입구(12)를 통해 바디(10) 내부로 흡입되고, 배출관(18)을 통해 배출되어 진공 흡입유닛(30)에 포집된다.
그리고, 링 부재(34)가 유리면에 밀착된 상태로 되어 유리파편 및 분진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는 절단부재를 이용하여 폐차의 유리를 커팅할 때 유리파편 및 분진이 발생되는데, 진공 유입유닛에 의해 유리파편 및 분진이 진공 흡입되기 때문에 작업장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분진에 의한 작업자의 건강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바디 12: 흡입구
16: 부싱 20: 절단부재
22: 봉부 24: 펀칭부
26: 커팅날부 30: 진공 흡입유닛
40: 구동유닛 42: 몸체부
44: 모터 45: 구동축
50: 회전축 52: 베어링
60: 동력전달부 62: 제1베벨기어
64: 제2베벨기어 72: 제1손잡이
74: 제2손잡이

Claims (6)

  1. 전방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돌출되게 배치되어 폐차의 유리에 구멍을 뚫고 유리를 절단하는 절단부재;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절단부재가 유리를 절단할 때 발생되는 유리파편 및 분진을 진공 흡입하는 진공 흡입유닛;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절단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절단부재가 고정되는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절단부재는 회전축에 고정되는 봉부와, 상기 봉부의 끝부분에 원뿔 형태로 형성되어 유리에 구멍을 뚫는 펀칭부와, 상기 봉부의 외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절단부재가 회전되면 유리를 절단하는 커팅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전방에는 유리에 접촉되는 링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측면에는 진공 흡입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유리파편 및 분진이 배출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바디의 후방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직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유닛을 포함하는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면에는 바디의 측면에서 직각방향으로 제1손잡이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유닛에는 상기 구동유닛과 수평하게 제2손잡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


KR20140080937A 2014-06-30 2014-06-30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 KR101493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0937A KR101493308B1 (ko) 2014-06-30 2014-06-30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0937A KR101493308B1 (ko) 2014-06-30 2014-06-30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308B1 true KR101493308B1 (ko) 2015-02-16

Family

ID=5259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0937A KR101493308B1 (ko) 2014-06-30 2014-06-30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3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618Y1 (ko) * 1990-11-26 1993-02-11 강길박 유리 흡착기
JPH11236235A (ja) * 1998-02-23 1999-08-31 Honda Motor Co Ltd ガラス切断装置
JP2011063232A (ja) 2009-09-18 2011-03-31 Towani:Kk ガラス除去装置及びガラス除去作業車
KR20120064311A (ko) * 2010-12-09 2012-06-19 심명섭 차량용 유리 탈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618Y1 (ko) * 1990-11-26 1993-02-11 강길박 유리 흡착기
JPH11236235A (ja) * 1998-02-23 1999-08-31 Honda Motor Co Ltd ガラス切断装置
JP2011063232A (ja) 2009-09-18 2011-03-31 Towani:Kk ガラス除去装置及びガラス除去作業車
KR20120064311A (ko) * 2010-12-09 2012-06-19 심명섭 차량용 유리 탈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8912A (en) Dust collecting shield for power tools
TW200714435A (en) Dust collection cover attachable to cutter
US20110296807A1 (en) Dust extraction device
EP3348349B1 (en) Dust collection box
US9009982B1 (en) Dustless drywall cutting tool
KR101567200B1 (ko) 건식 집진유닛을 구비하는 보도블록 절단장치
CN113459225B (zh) 一种配套台式曲线锯使用的砂带夹持器及其使用方法
JP2007061977A (ja) 電動工具の吸塵装置
CN210103755U (zh) 一种玻璃切割机
KR101493308B1 (ko) 폐차의 유리 분리장치
CN101096098B (zh) 具有用于灰尘分离装置的抽吸模块的手持式电动工具机
JP2005238417A (ja) ハンドグラインダー
CN209755317U (zh) 一种轮胎内胎裁切装置
JP5465556B2 (ja) 切断工具の集塵構造
CN206083993U (zh) 电动锯
KR20100011944U (ko) 진공흡입장치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도로 절단기
KR101440221B1 (ko) 에어 그라인더를 이용한 금속 가공물의 버 제거 장치
CN215408456U (zh) 一种防尘的市政工程施工用钻孔装置
KR20140004497U (ko)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KR20160001733U (ko) 핸드드릴에 장착 가능한 분진 포집장치
CN211101842U (zh) 建筑管材切割吸尘装置
CN111761657A (zh) 一种手持木材打孔装置
CN211616148U (zh) 用于窑炉施工用切砖机
KR20140005504U (ko) 슬래그 제거 장치
CN210147759U (zh) 小型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