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994B1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994B1
KR101492994B1 KR20130111990A KR20130111990A KR101492994B1 KR 101492994 B1 KR101492994 B1 KR 101492994B1 KR 20130111990 A KR20130111990 A KR 20130111990A KR 20130111990 A KR20130111990 A KR 20130111990A KR 101492994 B1 KR101492994 B1 KR 101492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propagation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형언
최준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Priority to KR20130111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측정된 통화품질을 결정하는 전파환경인 기지국 신호세기(RSCP: Received Signal Code Power) 및 신호대잡음비(EcIo : Energy per Chip over Interface noise) 값을 이용하여 중계기의 안테나 방향을 조절하도록 하며,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측정된 통화품질을 결정하는 전파환경인 기지국 신호세기(RSCP) 및 신호대잡음비(EcIo) 값을 이용하여 중계기 수신단의 증폭 이득을 자동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 Setting of Repeater using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중계기 설치시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품질 데이터를 중계기로 전송하여, 중계기에서 기지국신호 수신용 안테나의 방향을 조절하고, 이득을 자동제어하므로, 일반인도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중계기를 설치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은 무선통신서비스의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하여, 시외의 기지국과 실내의 크고 작은 중계기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또한, 무선통신망에 있어 기지국은 트래픽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서비스 영역내에 분포하는 가입자 수와 무선 통신망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면서 기지국 시스템이 수용할 수 있는 가입자 수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 설치되며, 중계기는 상대적으로 가입자 밀도가 적은 지역에서 경제적으로 서비스 제공 범위를 확대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다중 셀 환경에서는 중계기가 신호 세기(Ec/Io)가 유사한 다수의 신호들을 수신하기 때문에 신호들 상호 간의 간섭 현상에 기인한 파일럿 오염(pilot pollu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한 빈번한 파일럿(pilot) 탐색 및 핸드오프(hand off)가 수행되어야 하므로 통화 품질 저하 및 기지국의 부하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종래에는 여려 방향으로 수신되는 RF신호의 통신 품질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최고의 통신 품질을 가지는 방향으로 안테나의 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무선 중계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안테나의 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무선 중계기 및 그 방법은 국내 특허등록 제10-1100688호(등록일자 2011년12월23일)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안테나 방향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여러 방향으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품질 파라미터를 분석한 결과를 기초하여 안테나 방향을 최적으로 자동 설정하므로, 수동으로 안테나 방향을 조정하는 것에 비해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치 및 유지 관리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위상 배열 안테나의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운용중 변화된 무선 환경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테나의 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무선 중계기 및 그 방법은 중계기 내부에 통화관련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측정신호에 따라 위상 배열 안테나의 방향 정보 데이터를 외부사용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측정부(모뎀)을 구비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부(모뎀)은 듀플렉서에서 통화관련 파라미터를 측정해야 하는데, 이는 실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측정한 통화품질 파라미터 값과 다를 수 있어,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중계기 내부에 측정부(모뎀)을 내장해야하는데, 측정부(모뎀)은 중계기를 처음 설치할 때 통화품질을 측정하고, 그에 따른 안테나의 방향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만큼, 설치 이후에는 실제로 사용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구성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10-110688 (공고일 2012년 01월 03일)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측정된 통화품질을 결정하는 전파환경인 기지국 신호세기(RSCP: Received Signal Code Power) 및 신호대잡음비(EcIo : Energy per Chip over Interface noise) 값을 이용하여 중계기의 안테나 방향을 조절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측정된 통화품질을 결정하는 전파환경인 기지국 신호세기(RSCP: Received Signal Code Power) 및 신호대잡음비(EcIo : Energy per Chip over Interface noise) 값을 이용하여 중계기 수신단의 증폭 이득을 자동 제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는 도너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중계기로부터의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분석하여 전파환경을 측정한 후, 전파환경에 따른 중계기의 도너안테나 방향 및 증폭 이득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중계기 자동설정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중계기설정프로그램부; 상기 중계기프로그램부의 실행에 따라 상기 중계기의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는 중계기신호입력부; 상기 중계기신호입력부에서 입력된 이동통신신호의 전파환경을 측정 및 측정된 전파환경 데이터를 근거리통신 데이터로 변환하는 입력신호처리부; 및 상기 입력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전파환경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제1근거리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전파환경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근거리통신부;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전파환경데이터에 의해 도너안테나의 방향 제어 및 이득제어를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고, 제어결과를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제어처리부; 상기 신호제어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안테나 제어데이터에 의해 상기 도너안테나의 방향을 조정하는 안테나제어부; 및 상기 신호제어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이득제어 데이터에 의해 증폭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신호처리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모드에서 제공되며, 상기 전파환경은 통화품질을 결정하는 제1,제2기지국의 신호세기(1st, 2nd RSCP), 및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기지국은 제2기지국보다 신호세기가 강하며,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는 제1기지국의 신호대잡음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너안테나는 기지국과 통신을 위한 기지국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안테나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도너안테나의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로 회전이동시키는 모터 및 모터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득제어부는 상기 신호제어처리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측정 및 제공된 전파환경 데이터(1st RSCP)(1st EcIo)에 따라 중계기수신단의 증폭 이득을 제어하는 감쇄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너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중계기로부터의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분석하여 전파환경을 측정하고, 상기 전파환경에 따른 중계기의 도너안테나 방향 및 중계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중계기 자동설정모드 시작명령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를 측정하여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제1과정; 상기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전파환경 데이터와, 상기 도너안테나의 방향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이동 한 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파환경데이터를 제공받아 도너안테나의 회전이동 전,후에 전송된 상기 전파환경데이터를 서로 비교 분석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도너안테나 방향을 재조정하는 제4과정; 및 상기 제4과정을 통해 재조정 전,후의 전파환경 데이터가 동일하면 상기 안테나방향이 최적으로 판단한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안테나방향 설정완료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중계기 자동설정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기 저장된 자동설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1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측정한 전파환경 데이터를 근거리통신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를 통해 변환된 전파환경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파환경데이터는 통화품질을 결정하는 제1,제2기지국의 신호세기(1st, 2nd RSCP), 및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전파환경데이터 중 상기 도너안테나의 회전이동 전,후에 측정된 상기 제1,제2기지국신호세기(1st,2nd RSCP)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도너안테나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1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전파환경 데이터 중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분석하여 상기 도너안테나의 방향을 회전이동시키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에서 상기 도너안테나의 회전이동 전,후에 측정된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의 비교결과가 일치하면, 도너안테나 방향제어를 완료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도너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중계기로부터의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분석하여 전파환경을 측정하고, 상기 전파환경에 따른 중계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중계기 자동설정모드 시작명령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를 측정하여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제1과정; 상기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전파환경 데이터와, 중계기수신단의 이득을 조정한 후에 제공된 전파환경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득을 재조정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중계기는 제2, 제3과정을 통해 상기 안테나방향 및 이득을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한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설정완료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증폭 이득을 최소화한 후 점차 설정된 이득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각 이득증가 전,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측정 및 제공된 전파환경데이터를 비교하여 이득 재조정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도너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중계기로부터의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분석하여 전파환경을 측정하고, 상기 전파환경에 따른 중계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자동설정명령 수신됨에 따라 중계기 수산단의 증폭이득을 제어하는 감쇄기를 설정된 이득으로 감쇄하는 제1과정;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현재의 전파환경데이터(1st RSCP, 1st EcIo)를 측정하여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제2과정; 상기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전파환경데이터(1st RSCP, 1st EcIo)를 저장한 후 감쇄기를 설정된 이득만큼 증가시킨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현재의 전파환경데이터(1st RSCP, 1st EcIo)를 요청하는 제3과정; 상기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현재의 전파환경데이터(1st RSCP, 1st EcIo)와 상기 제3과정에서의 감쇄기 이득증가 이전에 저장된 전파환경데이터(1st RSCP, 1st EcIo)를 비교하는 제4과정; 상기 제4과정에서 비교결과 상기 전파환경데이터 중 제1기지국신호세기(1st RSCP)의 변화값과 상기 이득증가분을 비교하는 제5과정; 상기 제5과정에서 비교결과 제1기지국신호세기(1st RSCP)의 변화값이 상기 이득증가분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2과정으로 리턴하는 제6과정; 및 상기 제5과정에서 비교결과 제1기지국신호세기(1st RSCP)의 변화값이 상기 이득증가분보다 크면, 상기 제1기지국신호세기(1st RSCP)의 변화값과 이득증가분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상기 감쇄기에 적용한 후 이득제어를 완료하는 제7과정;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6과정에 부가하여 상기 제5과정에서 비교결과 제1기지국신호세기(1st RSCP)의 변화값이 상기 이득증가분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4과정에서 산출한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가 감소되지 않으면, 상기 제2과정으로 리턴하는 제8과정; 및 상기 제8과정에서 상기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가 감소되면 상기 감쇄기의 이득을 증가시킨 후 이득제어를 완료하는 제9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7과정에 부가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현재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측정 및 제공받는 제 10과정; 및 상기 제10과정에서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와 상기 제3과정을 통해 측정 및 제공받은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비교하여 변화값이 감소할 경우 상기 감쇄기를 제어하여 이득을 증가시킨 후 이득제어를 완료하는 제11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은 음영지역에 설치되는 중계기를 설치함에 있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전파환경 데이터인 기지국 신호세기(RSCP) 및 신호대잡음비(EcIo) 값을 이용하여 중계기의 안테나 방향을 조절하고, 중계기 수신단의 증폭 이득을 자동제어 하므로, 기지국 출력신호를 계측하는 장비없이도 주변환경에 맞게 자동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라 중계기 설치를 위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도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의 전체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의 상세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설정모드의 화면 표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신호 처리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신호제어처리부에 의한 안테나 및 이득제어과정의 전체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안테나제어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8의 도 6에서 안테나 제어과정의 보다 상세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신호제어처리부에 의한 이득제어과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중계기 설치시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제공되는 통화품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전파환경 데이터를 중계기에 제공하여 중계기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제공된 전파환경에 따라 안테나의 방향을 최적으로 조정할 뿐만 아니라, 중계기수신부의 감쇄기를 제어하여 최적의 이득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의 개략적인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다수의 기지국(101)(102)과, 상기 기지국(101)(102)와의 통신을 위한 도너안테나(210),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수신신호를 설정된 이득으로 증폭하는 수신부(220), 이동통신단말기(300)의 통화신호를 상기 도너안테나(210)를 통해 상기 기지국(100)으로 송신하는 송신부(240), 상기 송,수신부(200)(240)의 신호증폭 등의 출력을 제어하는 중계기제어부(230) 및 이동통신단말기(300)와의 통신을 위한 내장안테나(202)를 포함하고 있는 중계기(200), 상기 중계기(200)의 내장안테나(202)와 음성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중계기와의 통신시 통화품질 측정을 위한 전파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101)(102)은 상기 중계기(200)에서 통신 가능한 기지국으로 본 발명에서는 신호의 세기가 큰 제1,제2기지국(101)(102)에 대해서만 실시예로 하며, 여기서 제1기지국(101)은 제2기지국(102)보다 가까우며, 송,수신 강도가 강하다.
상기 중계기(200)는 RF중계기로 통신 음영지역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와 음성/데이터 통신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와 블루투스, 지그비, RF, NFC 등의 근거리통신부로 구성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통신부를 일실시예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제공된 전파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 및 수신부(220)의 증폭이득을 자동제어가 가능 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상기 중계기(200)을 통해 음영지역에서 음성 또는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일반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을 포함하며, 서비스모드에서 통화품질을 확인할 수 있는 전파환경을 측정하여 화면에 표시해주며, 중계기자동설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를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상기 중계기(200)로 제공하여 중계기(200)가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 및 수신부(220)의 증폭이득을 자동제어 하도록 한다.
상기 통화품질 측정을 위한 전파환경 데이터는 상기 제1,제2기지국(101)(102)과의 송,수신신호의 세기(1st RSCP)( 2nd RSCP)와 제1기지국과의 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도너안테나(210)는 상기 기지국(100)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신호 송,수신부(211)와, 안테나의 방향을 최적의 상태로 조정하기 위해 안테나를 설정된 각도로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이동 시키는 기어, 모터 및 모터구동부를 포함한 방향조정부(212)로 구성된다.
상기 수신부(220)는 상기 도너안테나(210)으로부터의 기지국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221)와, 상기 증폭기(221)의 증폭레벨을 이득 제어신호에 의해 조절하는 감쇄기(222)와, 상기 감쇄기(222)를 통해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으로 전송하는 여과기 및 증폭기로 구성된다.
상기 중계기제어부(230)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자동설정명령 및 전파환경데이터(1st,2nd RSCP)(1st EcIo)를 입력받는 제2블루투스통신부(231)와, 상기 제2블루투스통신부(231)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파환경데이터(1st,2nd RSCP)(1st EcIo)를 요청하고, 수신된 상기 전파환경데이터에 의해 도너안테나(210)의 방향 제어 및 이득제어를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고, 안테나 방향제어 및 이득제어 결과를 상기 제2블루투스통신부(231)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신호제어처리부(232), 상기 신호제어처리부(251)로부터 출력된 안테나 제어데이터에 의해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을 조정하는 안테나제어부(233) 및 상기 신호제어처리부(232)로부터 출력된 이득제어 데이터에 의해 증폭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제어부(234)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제어부(233)는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정,역방향 회전이동 각도는 제1,제2기지국신호세기(1st,2nd RSCP)를 이용할 경우, 큰 각도인 0°~ 180°사이에 설정되며, 상기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이용할 경우에는 도너안테나(210)의 정,역방향 회전이동 각도는 작은 미세각도(0°~45°)로 조정하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은 중계기 자동설정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중계기설정프로그램부(311)와, 상기 중계기설정프로그램부(311)의 실행에 따라 상기 중계기(200)의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는 중계기신호입력부(312)와, 상기 중계기신호입력부(312)에서 입력된 이동통신신호의 전파환경을 측정 및 측정된 전파환경 데이터를 블루투스통신 데이터로 변환하는 입력신호처리부(313)와, 상기 입력신호처리부(313)로부터 출력된 전파환경데이터를 블루투스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기(200)로 전송하는 제1블루투스통신부(314)를 포함한다.
상기 중계기설정프로그램부(311)는 상기 중계기(200) 설치 및 설정을 위한 알고리즘이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과정의 흐름도로서, 먼저, 사용자는 중계기 및 도너안테나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고, 전원을 인가한다.
다음,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중계기 자동설정모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도 4의 (a)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300)의 화면에 자동설정모드 시작 선택창을 표시하고, 자동설정모드 시작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상기 중계기설정프로그램부(311)를 통해 자동설정모드를 시작한다.(S101)(S102)
자동설정모드가 시작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의 블루투스통신부(314)를 통해 상기 중계기(200)와 블루투스통신을 시작한다.(S103)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중계기신호입력부(312)는 상기 중계기(200)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이때의 상기 입력신호처리부(313)는 이를 분석하여 전파환경 데이터(1st, 2nd RSCP)( 1st EcIo)를 측정한다.
상기 입력신호처리부(313)는 측정된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1st, 2nd RSCP)( 1st EcIo)는 상기 제1블루투스통신부(314)를 통해 상기 중계기(200)로 출력한다.(S104)(105)
상기 입력신호처리부(313)는 자동설정모드 시작시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1st, 2nd RSCP)( 1st EcIo)를 상기 중계기(200)로 전송하며, 이후 상기 중계기(200)로부터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1st, 2nd RSCP)( 1st EcIo)를 요청할 때 마다 현재의 전파환경 데이터(1st, 2nd RSCP)( 1st EcIo)를 분석 및 측정하여 상기 중계기(200)의 설정를 완료할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S104)(S105)
상기 중계기(200)의 설정 및 설치가 완료되면, 블루투스 통신을 종료하고, 도 4의 (b)와 같이, 사용자로 하여금 자동설정 모드 종료를 확인하도록 화면에 사용자 확인을 위한 화면을 표시한 후 사용자가 종료를 선택하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300)의 화면에 중계기 자동설정 완료 메시지를 표시한 후, 중계기 자동설정 모드를 종료하게 된다.(S106)(S107)
그러나, 도 4의 (b)에서 사용자가 중계기 자동설정모드를 종료하지 않고, 다시 하고자 할 때는 도 4의 (d)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의 화면에 자동설정 다시 시작 메시지를 표시한 후, 상기 자동설정모드 시작단계(S102)로 리턴하여,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S107)
도 5는 도 3에서 입력된 중계기 신호를 분석하고, 전파환경 데이터(1st, 2nd RSCP)(1st EcIo)를 측정한 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중계기로 전송하는 과정의 흐름도로서, 먼저, 상기 중계기신호입력부(312)에서 상기 중계기(200)로부터의 음성/데이터 신호를 입력한다.(S111)
상기 중계기신호입력부(312)에서 입력된 신호는 상기 입력신호처리부(313)에서 입력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1st, 2nd RSCP)( 1st EcIo)를 측정한다.(S112)
상기 측정된 전파환경 데이터(1st, 2nd RSCP)( 1st EcIo)는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서비스모드에서 화면을 통해 제공되며, 이를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제1블루투스통신부(314)을 통해 전송한다.(S113)(S14)(S115)
상기 제1블루투스통신부(314)를 통해 전송된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1st, 2nd RSCP)(1st EcIo)는 상기 중계기(200)의 제2블루투스통신부(231)에서 수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신호제어처리부에 의한 안테나 및 이득제어과정의 전체 흐름도로서, 중계기(200)는 상기 제2블루투스통신부(314)를 통해 전송된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1st, 2nd RSCP)(1st EcIo)에 대한 신호분석 처리를 시작한다. (S121)
즉, 상기 신호제어처리부(232)는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1st, 2nd RSCP)(1st EcIo)를 분석하여, 상기 안테나제어부(233)을 통해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을 최적의 송,수신 방향으로 조절하고, 상기 이득제어부(234)를 통해 수신부(220)의 증폭이득을 최적의 이득으로 제어하게 된다.(S122)(S123)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 조절 및 수신부(220)의 증폭이득을 완료한 후 신호처리 설정 결과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한 후 종료한다.(S124)
도 7은 도 6에서 안테나제어과정의 흐름도로서, 상기 중계기(200)의 안테나제어부(233)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전파환경 데이터(1st, 2nd RSCP)(1st EcIo)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방향제어를 시작한다. (S131)
즉,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조정부(212)에 바이어스 전원을 인가한 후, 방향 조정값을 입력한다. (S132)(133)
입력된 방향 조정값에 의해 모터를 구동시켜,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모터에 연동된 도너안테나(210)의 방향이 설정된 각도로 회전이동하게 된다.(S134)
상기 도너안테나(210)가 설정된 각도로 방향조절이 완료하게 된다.(S135)
이와 같은 안테나 제어과정은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을 최적의 전파환경이 될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도 8은 도 7의 안테나 제어과정의 보다 상세한 동작 흐름도로서, 상기 중계기(200)의 안테나 제어가 시작되면, 상기 신호제어처리부(232)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전파환경 데이터 중 제1,제2기지국 신호세기값(1st, 2nd RSCP)를 저장한다.(S142)
상기 안테나제어부(233)는 먼저, 상기 방향조정부(212)를 구동시켜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을 +45ㅀ으로 회전이동 시킨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 현재의 제1,제2기지국신호세기(1st, 2nd RSCP)를 요청한다.(S143)(S144)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는 현재 시점의 제1,제2기지국신호세기값(1st, 2nd RSCP)을 측정하여 상기 중계기(200)로 제공한다.
상기 중계기(200)의 신호제어처리부(232)는 제공된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1st, 2nd RSCP)와 상기 저장된 안테나 회전이동 전의 제1,제2기지국 신호세기값(1st, 2nd RSCP)를 비교한다.(S145)
상기 신호제어처리부(232)는 상기 안테나 회전이동 전,후의 제1,제2기지국 신호세기값(1st, 2nd RSCP)를 비교결과 안테나 회전이동 후에 측정된 상기 제1,제2기지국 신호세기값(1st, 2nd RSCP)이 각각 작을 경우(-,-), 즉, 신호상태가 더 좋지않을 경우에는 이를 저장한 후 다시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을 45°로 회전시킨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 현재 시점의 제1,제2기지국 신호세기값(1st, 2nd RSCP)을 요청하는 상기 단계(S144)로 리턴하게 된다.(S145)(S146)(S147)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다시 측정 및 제공된, 상기 제1,제2기지국 신호세기값(1st, 2nd RSCP)과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을 -45°로 회전이동하기 바로 이전에 저장된 상기 제1,제2기지국 신호세기값(1st, 2nd RSCP)을 다시 비교하게된다.(S145)
만약, 상기 신호제어처리부(232)에서 상기 +45°회전이동 전,후 또는 -45°회전 이동 전,후의 비교결과, 회전이동 이후의 상기 제1,제2기지국 신호세기값(1st, 2nd RSCP)이 더 높을 경우(+,+), 즉 신호상태가 더 양호해진 경우에는 상기 회전이동 이후의 제1,제2기지국 신호세기값(1st, 2nd RSCP)을 저장한 후 상기 다시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을 +45ㅀ를 한번 더 회전시킨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 현재 시점의 제1,제2기지국 신호세기값(1st, 2nd RSCP)을 요청하는 상기 단계(S143)로 리턴하게 된다.(S146)(S147)(S148)
만약, 상기 신호제어처리부(232)에서 상기 +45°회전이동 전,후 또는 -45°회전 이동 전,후의 비교결과, 회전이동 이후의 상기 제1,제2기지국 신호세기값(1st, 2nd RSCP)이 서로 반대의 값으로 산출된 경우, 즉, 제1,제2기지국 신호세기값(1st, 2nd RSCP)의 각 크기가 '+,-' 또는 '-,+'일 경우에는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비교결과, 회전이동 전,후의 제1,제2기지국 신호세기값(1st, 2nd RSCP)이 서로 반대의 값으로 산출되기 까지 상기 각 단계(S144~S150)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이 상기 제1,제2기지국(101)(102) 사이에 적절한 방향으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안테나방향을 좀더 좁은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 다시한번 이전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22.5°으로 회전시키게 된다.(S151)
여기서, 상기 안테나방향을 최종 회전이동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설정된 회전이동 각도 45°의 50%인 약 22.5°로 회전이동 하므로, 오차값을 중간값으로 보정한다.
상기 도너안테나(210)를 상기 제1,제2기지국 신호세기값(1st, 2nd RSCP)에 의한 조정을 완료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의 전파환경 데이터 중 제1기지국(101)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방향을 보다 미세각도로 조정한다.(S152 ~ S168)
이를 위해 상기 신호제어처리부(232)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 현재상태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요청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측정 및 제공된 상기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저장한 후 안테나제어부(233)를 통해 상기 안테나의 방향을 +5°로 회전이동 시킨다.(S153)
상기 안테나의 방향을 '+5°'로 회전이동 시킨 후, 다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 현재 상태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요청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측정 및 제공된 상기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상기 안테나 회전이동(+5ㅀ) 전에 저장된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비교한다.(S161)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을 회전이동 하기 전,후의 상기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 비교결과 회전이동 후에 측정한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이 더 좋지않을 경우, 즉 비교결과 '(-)' 값이 산출될 경우 상기 측정된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저장 한 후 다시 안테나의 방향을 반대방향(-5ㅀ)으로 역회전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 현재 상태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요청한 후 제공된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와 회전이동 전에 저장된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저장하는 단계(S161)로 리턴하게 된다.(S161~S164)
만약, 상기 신호제어처리부(232)에서 상기 +5ㅀ회전이동 전,후 또는 ??5ㅀ회전 이동 전,후의 비교결과, 회전이동 이후의 상기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이 더 높을 경우(+), 즉 신호상태가 더 양호해진 경우에는 상기 회전이동 이후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을 저장한 후, 상기 다시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을 +5°를 한번 더 회전이동 시키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 현재 상태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요청한 후 제공된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와 회전이동 전에 저장된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저장하는 단계(S161)로 리턴하게 된다.(S162,S165,S166)
만약, 상기 신호제어처리부(232)에서 상기 +5°회전이동 전,후 또는 -5°회전 이동 전,후의 비교결과, 회전이동 전,후의 상기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가 동일할 경우(=),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이 가장 최적의 방향으로 조정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도너안테나(210)의 방향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안테나제어부(232)는 상기 방향조정부(212)의 동작을 완료하고, 상기 신호체어처리부(232)는 안테나 제어완료 메시지를 블루투스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S167)(S168)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신호제어처리부에 의한 이득제어과정의 흐름도로서, 상기 신호제어처리부(232)는 상기 이득제어부(234)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에서 제공되는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1st, 2nd RSCP)(1st EcIo)를 이용하여 중계기 수신부(220)의 증폭이득을 최적의 값으로 설정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이득제어부(234)는 상기 신호제어처리부(232)에 의해 이득제어가 시작됨에 따라 먼저, 상기 감쇄기(223)의 감쇄량을 최하값(-30dB)으로 동작하도록 조정한다.(S172)
여기서, 상기 감쇄기(223)의 감쇄량은 최하값(0 ~ -30dB), 이득구간은 '+30 ~ +60dB'으로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감쇄기(223)의 이득조절 구간이 결정된다.
상기 이득제어부(234)에 의해 상기 감쇄기(223)의 최하값(-30dB)으로 제어한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파환경 데이터(1st RSCP)(1st EcIo)를 요청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제공된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1stRSCP)(1st EcIo)를 저장한 후, 상기 이득제어부(234)는 상기 감쇄기(223)를 -5dB 감소시킨다. 즉, 감쇄기(223)의 감쇄량을 -25dB로 동작하도록 하므로, 이득은 35dB로 동작하게 된다. (S173)(S174)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다시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1stRSCP)(1st EcIo)를 제공받아 상기 저장된 -5dB감소 이전인 -30dB 상태에서의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1stRSCP)(1st EcIo)를 비교하여 비교값(X)을 산출한다. (S175)
상기 단계(S175)에서의 비교값 중 제1기지국신호세기(1stRSCP)의 변화값(X)이 상기 감쇄기(223)의 이득증가분인 5dBm 만큼 증가했는지를 비교한다.(S176)
만약, 상기 제1기지국신호세기(1stRSCP)의 변화값(X)이 5dBm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가 감소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173)로 리턴한다. 즉, 이득제어부(234)는 상기 감쇄기(223)의 이득을 한번 더 '+5dB'증가시켜, 이득 증가 전,후의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1stRSCP)(1st EcIo)의 비교 및 변화값(X)에 대한 증가분(5dBm)과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만약, 상기 변화값(X)가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1stRSCP)의 증가분(5dBm) 이상으로 측정될 경우 상기 감쇄기(223)의 동작을 정지하고, 그 차이값(X-5dBm)을 산출하고, 상기 감쇄기(223)에 상기 산출된 차이값(X-5dBm)을 적용하여 이득 감소동작을 수행한다.(S178)
상기 단계(S178) 수행이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으로부터 현재의 전파환경 데이터(1stRSCP)(1st EcIo)를 제공받아 상기 단계(S173)에서 저장된 최종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비교한다.(S179)
상기 비교결과 변화값이 감소할 경우 상기 감쇄기(223)를 제어하여 이득을 -5dB 감소시킨 후 이득제어과정을 완료하게 된다.(S182)(S190)
만약, 상기 단계(S179)에서 산출된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의 변화값이 증가하거나, 동일할 경우 최적의 이득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득제어동작을 완료한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으로 이득제어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180)(190)
만약, 상기 단계(S176)(S181)에서 제1기지국신호세기(1stRSCP)의 변화값(X)이 5dBm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가 감소되었다면, 상기 감쇄기(223)를 제어하여 이득을 -5dB 감소시킨 후, 이득제어과정을 완료하고, 상기 이득제어과정의 완료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하게 된다.(S182)(S19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전문가의 도움없이도 중계기의 안테나 방향 및 이득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되며,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1,102 : 제1,제2기지국 200 : 중계기
210 : 도너안테나 211 : 기지국신호입력부
212 : 방향조정부 220 : 수신부
222 : 증폭기 223 : 감쇄기
230 : 제어부 231 : 제2블루투스통신부
232 : 신호제어처리부 233 : 안테나제어부
234 : 이득제어부 240 : 송신부
300 : 이동통신단말기 311 : 중계기설정프로그램부
312 : 중계기신호입력부 313 : 입력신호처리부
314 : 제1블루투스통신부

Claims (28)

  1. 도너안테나를 통해 제1,제2기지국을 포함한 다수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중계기로부터의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분석하여 전파환경을 측정한 후, 전파환경에 따른 중계기의 도너안테나 방향 및 증폭 이득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중계기 자동설정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중계기설정프로그램부;
    상기 중계기설정프로그램부의 실행에 따라 상기 중계기의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는 중계기신호입력부;
    상기 중계기신호입력부에서 입력된 이동통신신호의 전파환경을 측정 및 측정된 전파환경 데이터를 근거리통신 데이터로 변환하는 입력신호처리부; 및
    상기 입력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전파환경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제1근거리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1근거리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전파환경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근거리통신부;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전파환경데이터에 의해 도너안테나의 방향 제어 및 이득제어를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고, 제어결과를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제어처리부;
    상기 신호제어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안테나 제어데이터에 의해 상기 도너안테나의 방향을 조정하는 안테나제어부; 및
    상기 신호제어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이득제어 데이터에 의해 증폭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입력신호처리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모드에서 제공되며,
    상기 전파환경은 통화품질을 결정하는 상기 제1,제2기지국의 신호세기(1st, 2nd RSCP), 및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기지국은 제2기지국보다 신호세기가 강하며,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는 제1기지국의 신호대잡음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에 따른 전파환경(RSCP, EcIo) 상태정보를 서비스하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4. 도너안테나를 통해 제1,제2기지국을 포함한 다수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중계기로부터의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분석하여 전파환경을 측정한 후, 전파환경에 따른 중계기의 도너안테나 방향 및 증폭 이득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중계기 자동설정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중계기설정프로그램부;
    상기 중계기설정프로그램부의 실행에 따라 상기 중계기의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는 중계기신호입력부;
    상기 중계기신호입력부에서 입력된 이동통신신호의 전파환경을 측정 및 측정된 전파환경 데이터를 근거리통신 데이터로 변환하는 입력신호처리부; 및
    상기 입력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전파환경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제1근거리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1근거리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전파환경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근거리통신부;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전파환경데이터에 의해 도너안테나의 방향 제어 및 이득제어를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고, 제어결과를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제어처리부;
    상기 신호제어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안테나 제어데이터에 의해 상기 도너안테나의 방향을 조정하는 안테나제어부; 및
    상기 신호제어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이득제어 데이터에 의해 증폭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안테나제어부는 상기 신호제어처리부에서 제공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파환경 데이터(1st,2nd RSCP)(1st EcIo)를 저장하고, 안테나 방향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이동 시킨 후, 다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파환경 데이터를 제공받아 안테나 방향 회전이동 전의 전파환경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결과값에 따라 안테나방향을 다시 조정하되, 상기 전파환경이 이전 보다 양호한 위치를 탐색할 때까지 상기 안테나방향 회전이동 및 전파환경 데이터 비교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제어부는 상기 제1,제2기지국의 신호세기(1st,2nd RSCP) 및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의 회전이동 전,후의 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안테나방향을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조정하되,
    상기 제1,제2기지국의 신호세기(1st, 2nd RSCP)의 비교결과에 따라 안테나방향을 설정된 큰 각도로 조정하고,
    상기 제1신호대잡음비(1stRSCP)의 비교결과에 따라 안테나방향을 설정된 미세각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너안테나는 상기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는 기지국신호 입력부; 및
    상기 안테나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도너안테나의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로 회전이동시키는 기어, 모터 및 모터구동부를 포함한 방향조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제어부는 상기 신호제어처리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측정 및 제공된 전파환경 데이터(1st RSCP)(1st EcIo)에 따라 중계기수신단의 증폭 이득을 제어하는 감쇄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제어부는 상기 감쇄기를 제어하여 상기 중계기수신단의 증폭 이득을 단계적으로 상승 또는 감소시키고, 상기 증폭 이득 상승 또는 감소 전,후에 측정 및 제공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각 전파환경(1st RSCP, 1st EcIo)을 비교하여 그 비교 차이값에 따라 상기 감쇄기를 제어하여 이득을 증가 또는 감쇄를 수행하되,
    상기 차이값이 설정된 기준 범위안에 들어올 때까지 상기 감쇄기의 이득 증가 또는 감소, 전파환경 비교 및 그 차이값 산출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제어부는 제1기지국 신호세기(1st RSCP) 및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의 이득조절 전,후에 각각 측정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이득을 증가 또는 감소하되,
    상기 제1기지국 신호세기(1st RSCP)의 비교 차이값의 증가여부에 따라 상기 제1기지국 신호대잡음비(1st EcIo)의 비교 차이값을 산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감쇄기를 제어하여 이득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제어부는 중계기가 발진이 일어나기 전까지 상기 감쇄기를 제어하여 이득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11. 도너안테나를 통해 제1,제2기지국을 포함한 다수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중계기로부터의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분석하여 전파환경을 측정하고, 상기 전파환경에 따른 중계기의 도너안테나 방향 및 중계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중계기 자동설정모드 시작명령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전파환경데이터를 측정하여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제1과정;
    상기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전파환경 데이터와, 상기 도너안테나의 방향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이동 한 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파환경데이터를 제공받아 도너안테나의 회전이동 전,후에 전송된 상기 전파환경데이터를 서로 비교 분석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도너안테나 방향을 재조정하는 제4과정; 및
    상기 제4과정을 통해 재조정 전,후의 전파환경 데이터가 동일하면 상기 안테나방향이 최적으로 판단한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안테나방향 설정완료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파환경데이터는 통화품질을 결정하는 상기 제1, 제2기지국의 각 신호세기(1st, 2nd RSCP) 및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지국은 제2기지국보다 신호세기가 강하며,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는 제1기지국의 신호대잡음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중계기 자동설정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기 저장된 자동설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1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측정한 전파환경 데이터를 근거리통신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2단계;
    상기 2단계를 통해 변환된 전파환경데이터를 상기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중계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2, 3단계를 통해 현재의 전파환경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도너안테나를 통해 제1,제2기지국을 포함한 다수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중계기로부터의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분석하여 전파환경을 측정하고, 상기 전파환경에 따른 중계기의 도너안테나 방향 및 중계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중계기 자동설정모드 시작명령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전파환경데이터를 측정하여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제1과정;
    상기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전파환경 데이터와, 상기 도너안테나의 방향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이동 한 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파환경데이터를 제공받아 도너안테나의 회전이동 전,후에 전송된 상기 전파환경데이터를 서로 비교 분석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도너안테나 방향을 재조정하는 제4과정; 및
    상기 제4과정을 통해 재조정 전,후의 전파환경 데이터가 동일하면 상기 안테나방향이 최적으로 판단한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안테나방향 설정완료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전파환경데이터 중 상기 도너안테나의 회전이동 전,후에 측정된 상기 제1,제2기지국신호세기(1st,2nd RSCP)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도너안테나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1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전파환경 데이터 중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분석하여 상기 도너안테나의 방향을 회전이동시키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에서 상기 도너안테나의 회전이동 전,후에 측정된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의 비교결과가 일치하면, 도너안테나 방향제어를 완료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도너안테나의 정,역방향 회전이동 각도는 0°~ 180°사이에 설정되며,
    상기 2단계에서 상기 도너안테나의 정,역방향 회전이동 각도는 상기 1단계에서의 회전이동 각도보다 작은 미세각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도너안테나의 회전이동 전,후에 측정된 상기 제1,제2기지국신호세기(1st,2nd RSCP)의 크기를 각각 비교하는 11단계;
    상기 11단계에서 비교결과, 상기 도너안테나의 회전이동 전의 상기 각 제1,제2기지국신호세기(1st,2nd RSCP)값이 회전이동 후에 측정된 상기 제1,제2기지국신호세기(1st,2nd RSCP)값 보다 각각 작을 경우, 상기 회전이동 후에 측정된 상기 제1,제2기지국신호세기(1st,2nd RSCP)를 각각 저장하는 12단계;
    상기 도너안테나를 설정된 각도로 역방향 회전이동한 후 상기 11단계로 리턴하는 13단계;
    상기 11단계에서 비교결과 상기 도너안테나의 회전이동 전의 상기 각 제1,제2기지국신호세기(1st,2nd RSCP)값이 회전이동 후에 측정된 상기 각 제1,제2기지국신호세기(1st,2nd RSCP) 값보다 클 경우, 상기 회전이동 후에 측정된 상기 각 제1,제2기지국신호세기(1st,2nd RSCP)를 저장하는 14단계;
    상기 도너안테나를 설정된 각도로 순방향 회전이동한 후 상기 11단계로 리턴하는 14단계; 및
    상기 11단계에서 비교결과 상기 도너안테나의 회전이동 전의 상기 각 제1,제2기지국신호세기(1st,2nd RSCP)값과 회전이동 후에 측정된 상기 각 제1,제2기지국신호세기(1st,2nd RSCP) 값이 서로 반대의 크기이면 도너안테나의 방향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는 1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15단계에서 도너안테나의 방향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너안테나의 이전 회전방향에 역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회전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공된 현재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저장하고, 상기 도너안테나를 순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21단계;
    상기 도너안테나 회전이동 후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제공받는 22단계;
    상기 도너안테나의 회전이동 전,후의 각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비교하여 상기 회전이동 전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가 더 작을 경우 상기 회전이동 후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저장하는 23단계;
    상기 도너안테나를 역방향으로 설정된 미세각도로 회전이동한 후 상기 22단계로 리턴하는 24단계;
    상기 도너안테나의 회전이동 전,후의 각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비교하여 상기 21단계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가 더 클 경우 상기 회전이동 후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저장하는 23단계;
    상기 도너안테나를 순방향으로 설정된 미세각도로 회전이동한 후 상기 22단계로 리턴하는 24단계; 및
    상기 도너안테나의 회전이동 전,후의 각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비교한 결과 동일할 경우 상기 도너안테나의 방향조정을 완료하는 2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
  21. 도너안테나를 통해 제1,제2기지국을 포함한 다수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중계기로부터의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분석하여 전파환경을 측정하고, 상기 전파환경에 따른 중계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중계기 자동설정모드 시작명령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전파환경 데이터를 측정하여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제1과정;
    상기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전파환경 데이터와, 중계기수신단의 이득을 조정한 후에 제공된 전파환경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득을 재조정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중계기는 상기 제2과정을 통해 재조정 전,후의 전파환경 데이터가 동일하면 상기 안테나방향이 최적으로 판단하고, 이때의 안테나방향 및 이득을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한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설정완료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증폭 이득을 최소화한 후 점차 설정된 이득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각 이득증가 전,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측정 및 제공된 전파환경데이터를 비교하여 이득 재조정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중계기 자동설정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기 저장된 자동설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1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측정한 전파환경 데이터를 근거리통신을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2단계;
    상기 2단계를 통해 변환된 전파환경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
  23. 삭제
  24. 도너안테나를 통해 제1,제2기지국을 포함한 다수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중계기로부터의 이동통신신호를 입력받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분석하여 전파환경을 측정하고, 상기 전파환경에 따른 중계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자동설정명령 수신됨에 따라 중계기 수산단의 증폭이득을 제어하는 감쇄기를 설정된 이득으로 감쇄하는 제1과정;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현재의 전파환경데이터(1st RSCP, 1st EcIo)를 측정하여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제2과정;
    상기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전파환경데이터(1st RSCP, 1st EcIo)를 저장한 후 감쇄기를 설정된 이득만큼 증가시킨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현재의 전파환경데이터(1st RSCP, 1st EcIo)를 요청하는 제3과정;
    상기 중계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현재의 전파환경데이터(1st RSCP, 1st EcIo)와 상기 제3과정에서의 감쇄기 이득증가 이전에 저장된 전파환경데이터(1st RSCP, 1st EcIo)를 비교하는 제4과정;
    상기 제4과정에서 비교결과 상기 전파환경데이터 중 제1기지국 신호세기(1st RSCP)의 변화값과 상기 이득증가분을 비교하는 제5과정;
    상기 제5과정에서 비교결과 제1기지국 신호세기(1st RSCP)의 변화값이 상기 이득증가분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2과정으로 리턴하는 제6과정; 및
    상기 제5과정에서 비교결과 제1기지국 신호세기(1st RSCP)의 변화값이 상기 이득증가분보다 크면, 상기 제1기지국 신호세기(1st RSCP)의 변화값과 이득증가분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상기 감쇄기에 적용한 후 이득제어를 완료하는 제7과정;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과정에 부가하여 상기 제5과정에서 비교결과 제1기지국 신호세기(1st RSCP)의 변화값이 상기 이득증가분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4과정에서 산출한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가 감소되지 않으면, 상기 제2과정으로 리턴하는 제8과정; 및
    상기 제8과정에서 상기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가 감소되면 상기 감쇄기의 이득을 증가시킨 후 이득제어를 완료하는 제9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7과정에 부가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현재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측정 및 제공받는 제 10과정; 및
    상기 제10과정에서의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와 상기 제3과정을 통해 측정 및 제공받은 제1신호대잡음비(1st EcIo)를 비교하여 변화값이 감소할 경우 상기 감쇄기를 제어하여 이득을 증가시킨 후 이득제어를 완료하는 제11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
  27. 제 24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제어완료는 상기 중계기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득제어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상기 중계기는 감쇄기의 증폭이득을 최소로 감쇄시킨 후 제3 내지 제6과정을 통해 설정된 이득만큼 점차 감쇄를 줄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방법.
KR20130111990A 2013-09-17 2013-09-17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KR101492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990A KR101492994B1 (ko) 2013-09-17 2013-09-17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990A KR101492994B1 (ko) 2013-09-17 2013-09-17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2994B1 true KR101492994B1 (ko) 2015-02-16

Family

ID=5259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1990A KR101492994B1 (ko) 2013-09-17 2013-09-17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9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910B1 (ko) * 2016-04-28 2018-02-28 농업회사법인 에이앤피테크놀로지주식회사 필터 배열 방식의 위성신호 검출 장치
KR20180032041A (ko) * 2016-09-21 2018-03-2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전파 환경을 고려하여 레이더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29260A (ko) * 2017-05-26 2018-12-05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시리얼-로라 통신 변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1595A (ko) * 2008-03-24 2009-09-29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및 중계 방법
KR20100002997A (ko) * 2008-06-30 2010-01-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기의 안테나 설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7185A (ko) * 2010-02-25 2011-08-31 (주)하이게인텔레콤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중계기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1595A (ko) * 2008-03-24 2009-09-29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및 중계 방법
KR20100002997A (ko) * 2008-06-30 2010-01-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기의 안테나 설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7185A (ko) * 2010-02-25 2011-08-31 (주)하이게인텔레콤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중계기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910B1 (ko) * 2016-04-28 2018-02-28 농업회사법인 에이앤피테크놀로지주식회사 필터 배열 방식의 위성신호 검출 장치
KR20180032041A (ko) * 2016-09-21 2018-03-2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전파 환경을 고려하여 레이더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29260A (ko) * 2017-05-26 2018-12-05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시리얼-로라 통신 변환 장치
KR101975537B1 (ko) * 2017-05-26 2019-05-07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시리얼-로라 통신 변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2799A1 (en) Auto adaptive technique to provide adequate coverage and mitigate RF interference
JP4267454B2 (ja) 順方向リンク電力制御式リピータ
US75262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he reverse link gain of repeater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7043242B2 (en)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interfrequency handover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US7529528B2 (en) Power consump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high frequency amplifier
JP4546241B2 (ja) パワー制御中継器における順方向リンク利得制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1729106B (zh) 基于干扰管理和传输质量控制的增强的上行链路功率控制
EP3425819A1 (en) Wireless repeater with master/slave configuration
US6963754B2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base station therefore
KR10149299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의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CN107484237B (zh) 一种上下行链路不平衡的自适应系统及其方法
US6073026A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link power control o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8542148B1 (en) Polarization control for cell telecommunication system
JP2001119343A (ja) ユーザ・プローブ信号の強さを調節することによりユーザのアクセス遂行能力を改善する方法
EP2563078A1 (en) Small Cell Base Station Control
US9900847B2 (en) Headend device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JP4545921B2 (ja) 無線通信装置
US200702384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OHO BTS interference using antenna beam coverage based on pilot strength measurement messages
KR101547562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23087B1 (ko) 옥내용 기지국에서의 전송파워 조절 방법
CN117278089B (zh) 一种自适应调整增益的方法和直放站系统
KR10123769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신 장치 및 방법
CN108880601B (zh) 一种基于usrp的通信频率选择方法和装置
KR20170004416A (ko) RRH(Remote Radio Head)의 전압 정재파비(VSWR)를 고려한 단말 전력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65335A (ko) 기지국 역방향 잡음을 저감할 수 있는 rf 중계기 및 중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