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882B1 - 무인급수장치 - Google Patents

무인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882B1
KR101491882B1 KR20120118234A KR20120118234A KR101491882B1 KR 101491882 B1 KR101491882 B1 KR 101491882B1 KR 20120118234 A KR20120118234 A KR 20120118234A KR 20120118234 A KR20120118234 A KR 20120118234A KR 101491882 B1 KR101491882 B1 KR 101491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supply pipe
water leve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18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291A (ko
Inventor
김금수
Original Assignee
김금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금수 filed Critical 김금수
Priority to KR20120118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8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04B49/02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by means of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0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without auxiliary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수위를 판독한 후, 지하수를 취수하는 모터펌프를 무인으로 제어 하여 지하수를 저수조에 급수하는 무인급수장치에 있어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급수 보충이 필요한 저수위에 도달 시 급수관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급수관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저수위레벨을 감지하는 한편,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급수 중단이 필요한 고수위레벨에 도달 시 급수구를 폐쇄시켜 저수조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차단하는 간단한 구성의 수위감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급수관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저수조 내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급수관의 연결 부위에 누설로서 발생될 수 있는 미미한 압력변화를 둔감시켜 오동작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정 내부에는 제어부에 의해 원수를 펌핑하여 배수하는 모터펌프가 설치되고, 이 모터펌프의 배출구에는 급수관을 통해 원거리에 위치하여 지하수를 저장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무인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내부에는 상기 급수관의 타측에서 분기되며 하측에 저수위레벨 시 급수관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저수위감지공이 형성된 제2분기관과, 상기 급수관의 끝단부에는 저수조 내부에 유입되어 고수위 레벨 시 저수조에 유입되는 지하수를 차단하는 고수위감지부로 이루어지는 수위감지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의 일측에서 분기되는 제1분기관의 끝단부에는 미세한 압력변화를 완화하여 완충시키는 질소압력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질소압력탱크의 타측에는 압력감지부를 통해 모터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급수장치{Manless watering device}
본 발명은 무인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수위를 판독한 후, 지하수를 취수하는 모터펌프를 무인으로 제어 하여 지하수를 저수조에 급수하는 무인급수장치에 있어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급수 보충이 필요한 저수위에 도달 시 급수관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급수관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저수위레벨을 감지하는 한편,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급수 중단이 필요한 고수위레벨에 도달 시 급수구를 폐쇄시켜 저수조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차단하는 간단한 구성의 수위감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급수관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저수조 내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급수관의 연결 부위에 누설로서 발생될 수 있는 미미한 압력변화를 둔감시켜 오동작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이나 또는 산간벽지에서는 상수도 설치가 불가능하여 거의 대다수가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하수에서 펌핑된 물은 일정한 위치에 설치된 저수조까지 급수관을 통해 공급하고, 이 저수조에 공급되는 물을 다시 각 사용처로 공급하게 되며, 이러한 급수장치를 이용하여 지하수를 저수조에 공급 및 차단하는 일련의 과정을 무인으로 제어하는 무인급수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즉, 일정한 지역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저장하는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종래의 무인급수장치의 구조와 수위를 조절하는 방법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원수를 취수하는 관정(1)과, 관정(1)내에 설치되어 원수를 펌핑하여 배수하는 모터펌프(2)와, 상기 모터펌프(2)로 부터 배수된 원수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하는 급수관(3)과, 상기 급수관(3)의 종단에 설치되어 급수관(3)을 통해 배출된 원수를 저장하는 소정 용량의 저수조(5)와, 상기 저수조(5)의 내측 또는 일측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6)과, 상기 수위감지수단(6)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판단 및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와, 상기 제어부(7)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를 모터펌프(2)에 전달하기 위하여 매설 또는 가공(架空)되는 소정 길이를 갖는 전선(4)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수위 조절장치는 관정(1)으로부터 저수조(5)까지 급수관(3)을 통해 원수를 공급하게 되며, 배수된 원수는 저수조(5)에 저장되면서 설정된 소정의 수위로 채워지면, 전극센서나, 광센서 등의 수위감지수단(6)이 저수량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변환시키고,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는 제어부(7)로 입력됨으로써 이 신호를 판단하여 전선(4)을 통해 모터펌프(2)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모터펌프(2)에서 원수를 취수한 후에 급수관(3)을 거쳐 저수조(5)로 배수를 할 때에 저수조(5)의 저장 용량이 설정량 만큼 채워지게 되면, 제어부(7)는 모터펌프(2)의 구동을 정지시켜 더 이상 원수를 취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위감지수단(6)을 전극센서나, 광센서 등의 전기적인 방법에 의해 저수조(5) 내의 수위를 측정할 경우에는 정밀성은 유지되나, 습기 등에 의한 센서의 고장이 잦을 뿐만 아니라, 오동작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을 억제하고 있다.
특히, 관정(1)으로부터 취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5)는 섬이나 산간벽지 등과 같이 전기(電氣)가 유입되지 않는 곳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전기를 원동력으로 하는 전기.전자장치의 사용에 많은 제한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저수조(5) 내에 유입되어 있는 수위를 전자적인 장치를 사용하여 감지할 경우 별도의 배터리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실용신안등록 제163186호(등록일자:1999년10월01일)에제시된 무인급수장치는 급수관(3)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수위를 판독한 후, 모터펌프(2)을 제어함으로써 무인으로 지하수를 저수조(5)에 급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실용신안등록 제163186호는 관정으로부터 펌핑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5)는 섬이나 산간벽지 등과 같이 전기(電氣)가 유입되지 않는 곳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전기를 원동력으로 하는 전기.전자장치의 사용에 제한이 따름으로써 저수조(5) 내부에 부구(13)를 설치하고, 이 부구(13)의 개폐상태에 따라 급수관(4)에 가해지는 압력 값을 제어부(7)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7)에서는 급수관(4)의 압력 값을 판독하여 저수조(5)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저수조(5) 내에 부구(13)를 설치할 경우 저수조(5)내의 수위가 조금만 하강되어도 개폐구(14)를 개방시켜 급수관(3)의 압력을 떨어뜨리게 됨으로써 모터펌프(3)와 압력감지부(12)를 빈번하게 구동시킴에 따라 잦은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지하수와 같은 원수(原水)가 있는 지점으로부터 물을 집수하는 저수조와의 거리가 수백m~수Km로 멀리 있을 경우에 실제 저수조(5) 내부에는 만수위(滿水位)를 유지하고 있으나, 급수관(3)의 연결부위 마다 미세한 누설이 발생되어 급수관(3)의 압력을 떨어뜨리게 되며, 이로 인해 모터펌프(3)를 가동하게 됨에 따라 오동작이 빈번이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펌프(3)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무인급수장치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급수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저수조 내의 수위를 판독 후, 모터펌프를 제어함으로써 무인으로 지하수를 저수조에 급수하는 무인급수장치에 있어, 지하수의 원수를 저수조로 공급하는 급수관에서 제2분기관을 설치하여 저수조 내에 설치하고,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급수 보충이 필요한 제2분기관에 형성된 저수위감지공에 도달 시 급수관에 공기를 공급하여 급수관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저수위레벨을 감지하는 한편,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급수의 중단이 필요한 고수위레벨에 도달 시 고수위감지부의 개폐볼의 작동에 의해 급수구를 폐쇄시켜 저수조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차단하는 수위감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급수관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저수조 내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반영구적인 수명을 유지하게 되어 무인급수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백m~수Km에 달하는 급수관의 연결부위에 미세한 누설로 인해 급수관의 압력이 미미하게 낮아질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나, 질소압력탱크를 부가 설치하여 미미한 압력 변화를 둔감시켜 오동작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무인급수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관정 내부에는 제어부에 의해 원수를 펌핑하여 배수하는 모터펌프가 설치되고, 이 모터펌프의 배출구에는 급수관을 통해 원거리에 위치하여 지하수를 저장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무인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내부에는 상기 급수관의 타측에서 분기되며 하측에 저수위레벨 시 급수관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저수위감지공이 형성된 제2분기관과, 상기 급수관의 끝단부에는 저수조 내부에 유입되어 고수위 레벨 시 저수조에 유입되는 지하수를 차단하는 고수위감지부로 이루어지는 수위감지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의 일측에서 분기되는 제1분기관의 끝단부에는 미세한 압력변화를 완화하여 완충시키는 질소압력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질소압력탱크의 타측에는 압력감지부를 통해 모터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고수위감지부는, 배수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의 내면 일측에는 중앙부에 급수구가 형성된 반구형의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될 경우 부력에 의해 급수구를 폐쇄 및 개방시키는 개폐볼이 유입 설치되고, 상기 개폐볼의 하측에는 개폐볼의 낙하 시 완충작용을 하는 충격흡수재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상측에는 급수관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하측에 개폐볼과 충격흡수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공간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하부덮개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스토퍼 내측면에는 고무재질의 패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수위감지장치의 제2분기관에 형성된 저수위감지공 상측에 고수위감지부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는 공기개폐부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급수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수위를 판독한 후, 지하수를 취수하는 모터펌프를 무인으로 제어하여 지하수를 저수조에 급수하는 무인급수장치에 있어,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급수 보충이 필요한 저수위에 도달 시 급수관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급수관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저수위레벨을 감지하는 한편,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급수 중단이 필요한 고수위레벨에 도달 시 급수구를 폐쇄시켜 저수조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차단하는 간단한 구성의 수위감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급수관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저수조 내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급수관의 연결 부위에 누설로서 발생될 수 있는 미미한 압력변화를 둔감시켜 오동작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무인급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급수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급수장치에 있어 고수위 감지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급수장치에 있어 고수위 감지장치의 결합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수위 감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저수위감지공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무인급수장치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급수장치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bc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급수장치의 구성도로서, 원수를 취수하는 관정(1) 내부에는 원수를 펌핑하여 배수하는 모터펌프(2)가 설치되고, 이 모터펌프(2)의 배출구에는 급수관(3)을 통해 원거리에 위치하여 지하수를 저장하는 저수조(5)와 연결된다.
상기 관정(1) 내부에 위치한 급수관(3)에는 지하수의 취수량을 계측하는 유량계(10)와, 지하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개폐밸브(11)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급수관(3)의 타측에서 분기되는 제1분기관(3a)의 끝단부에는 미세한 압력변화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질소압력탱크(21)가 설치되며, 이 질소압력탱크(21)의 타측에는 압력감지부(12)를 통해 모터펌프(2)를 제어하는 제어부(7)가 연결되며, 상기 저수조(5) 내부에 유입된 급수관(3)의 타측 끝단부에는 수위감지장치(40)가 설치된다.
상기 수위감지장치(40)는 급수관(3)의 종단부에 저수조(5)에 유입되는 지하수의 최고 저장수위를 감지하는 고수위감지부(30)가 설치되고, 상기 저수조(5)로부터 분기되며 저수조(5)의 바닥면 근접부분 까지 설치되는 제2분기관(3b)이 형성되고, 이 제2분기관(3b)의 하측 일면에는 저수조(5)에 유입되는 지하수의 최저 저장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감지공(2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급수장치에 있어 고수위 감지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4는 고수위 감지장치의 결합단면도로서, 원통형의 몸체(47)의 일측에는 배수구(47c)가 형성되고, 내면 일측에는 중앙부에 급수구(43)가 형성된 반구형의 스토퍼(44)가 형성되며, 이 스토퍼(44) 내측면에는 고무재질의 패킹(45)이 설치되며, 상기 몸체(47)의 상.하측에는 단턱부(47a)(47b)가 형성되고, 몸체(47) 내부에는 공간부(46)가 형성되는 본체(31)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47)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46)에는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될 경우 부력에 의해 급수구(43)를 폐쇄 및 개방시키는 개폐볼(48)이 유입 설치되며, 이 개폐볼(48)의 하측에는 스펀지와 같이 개폐볼(48)의 낙하 시 완충작용을 하는 충격흡수재(49)가 설치된다.
상기 몸체(47)의 상측에 형성된 단턱부(47a)에는 급수관 유입구(41)가 형성된 상부덮개(42)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47)의 하측에 형성된 단턱부(47b)에는 개폐볼(48)과 충격흡수재(49)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공간부(46)를 폐쇄시키기 위한 하부덮개(5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몸체(47)와 상부덮개(42) 및 하부덮개(50)는 접착제로서 서로 결합되며, 단턱부(47a)(47b)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수위 감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저수위감지공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급수장치에 있어 고수위 감지장치(40)의 동작과정을 도 2 내지 도 6b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무인급수장치의 구성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재 저수조(5)내에 저장된 지하수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수위가 급수 보충이 필요한 저수위인 "A"수위에 도달할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수위감지부(30)의 공간부(46) 내에 유입된 물은 모두 배수구(47c)를 통해 저수조(5)로 배출됨에 따라 개폐볼(48)은 부력이 발생되지 않아 자체 하중에 의해 낙하하게 되며, 스펀지의 충격흡수재(49)에 의해 낙하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볼(48)이 자체 하중에 의해 낙하되면 스토퍼(44)의 중앙부에 형성된 급수구(43)가 개방되는 상태가 되어 급수관(3)을 통해 공급되는 지하수를 저수조(5) 내부에 유입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저수조(5)내에 저장된 지하수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수위가 급수가 필요한 저수위인 "A"수위에 도달할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기관(3b)의 하측에 형성된 저수위감지공(22)에 공기가 유입되고, 이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제2분기관(3b)과 연결된 전체 급수관(3)의 내부 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순간적으로 낮아진 압력은 질소압력탱크(21)에 전달되어 그에 대응되는 압력을 압력감지부(12)로 전달하게 되며, 압력감지부(12)에서는 질소압력탱크(21)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에 비례하는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7)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는 압력감지부(12)로부터 전송되는 압력 값을 분석 비교하여 그 압력이 일정 레벨 이하일 경우 급수가 필요한 저수위로 판단하여 모터펌프(2)를 가동하여 지하수를 급수관(3)을 통해 저수조(5)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급수관(3)을 통해 공급되는 지하수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의 스토퍼(44) 중앙부에 형성된 급수구(43)를 통해 몸체(47) 내부로 유입되고, 이 몸체(47) 내부로 유입된 지하수는 배수구(47c)를 통해 저수조(5)로 배출됨으로써 지하수를 공급하게 되며, 도 6b에서와 같이 제2분기관(3b)가 저수위감지공(22)을 통해서도 저수조(5) 내부로 지하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저수조(5)내에 지하수가 공급되어 저위레벨인 "A"수위 이상 공급되면 저수위감지공(22)에는 더 이상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음과 동시에 저수조(5) 내의 수위가 상승할수록 급수관(3)의 압력은 서서히 높아지게 된다.
한편, 저수조(5)내의 지하수 수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도 2 및 도 5b에서와 같이 몸체(47)에 형성된 배수구(47c)가 위치한 "B"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개폐볼(48)은 부력이 발생되어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저수조(5)내의 지하수 수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도 2 및 도 5c에서와 같이 고수위인 "C"수위에 도달되면 개폐볼(48)은 부력에 의해 더욱 상승되나, 스토퍼(44)에 의해 더 이상 상승되지 못하게 되며, 이때 개폐볼(48)은 부력에 의해 패킹(45)과 완전히 밀착되어 급수구(43)를 폐쇄시킴으로써 급수관(3)을 통한 지하수는 더 이상 고수위감지부(30)의 공간부(46) 내에 유입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저수조(5) 내부에 역시 지하수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위의 상승으로 개폐볼(48)이 급수구(43)를 폐쇄시킨 상태에서도 모터펌프(2)의 급수공급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급수관(3) 내부 압력은 급급히 상승되고, 이 압력은 질소압력탱크(21)에 전달되어 그에 대응되는 압력을 압력감지부(12)로 전달하게 되며, 압력감지부(12)에서는 질소압력탱크(21)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에 비례하는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7)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는 압력감지부(12)로부터 전송되는 압력 값을 분석 비교하여 그 압력이 일정 레벨 이상일 경우 급수가 필요 없는 고수위로 판단하여 모터펌프(2)의 가동을 정지시킴으로서 지하수의 공급을 중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저수조(5)의 수위가 최저수위("A"수위)에 도달하여 저수위감지공(22)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급수관(3)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강하시키지 않는 한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 이유로서는, 수백m~수Km에 달하는 급수관(3)의 연결부위에 미세한 누설로 인해 급수관(3)의 압력이 미세하게 낮아질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나, 질소압력탱크(21)를 부가 사용하여 미세한 압력변화를 둔감시킴으로써 오동작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급수관(3)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수위를 판독한 후, 모터펌프(2)을 제어함으로써 무인으로 지하수를 저수조(5)에 급수하는 무인급수장치에 있어, 지하수의 원수를 저수조(5)로 공급하는 급수관(3)에서 제2분기관(3b)을 설치하여 저수조(5)내에 설치하고, 상기 저수조(5)의 수위가 급수 보충이 필요한 제2분기관(3b)에 형성된 저수위감지공(22)에 도달 시 급수관(3)에 공기를 공급하여 급수관(3)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저수위레벨을 감지하는 한편, 상기 저수조(5)의 수위가 급수의 중단이 필요한 고수위레벨에 도달 시 고수위감지부(30)인 개폐볼(48)의 작동에 의해 급수구(43)를 폐쇄시켜 저수조(5)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차단하는 수위감지장치(40)를 제공함으로써 급수관(3)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저수조(5) 내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백m~수Km에 달하는 급수관(3)의 연결부위에 미세한 누설로 인해 급수관(3)의 압력이 미미하게 낮아질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나, 압력감지부(12) 전단에 질소압력탱크(21)를 부가 설치하여 미미한 압력변화를 둔감시켜 오동작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무인급수장치의 구성도로서, 수위감지장치(40)의 제2분기관(3b)에 형성된 저수위감지공(22) 상측에 고수위감지부(30)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진 공기개폐부(30b)를 설치하여 저수조(5)의 수위가 급수가 필요한 'A'수위에 도달될 경우 개방되어 공기를 순간적으로 급수관(3)에 공급시키며, 저수조(5)의 수위가 공기개폐부(30b) 설치 수위보다 높을 경우 제2분기관(3b)을 완전한 밀폐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고수위감지부(3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공기개폐부(30b)에 의해 급수관(3)의 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 : 관정 2 : 모터펌프
3 : 급수관 3a, 3b : 제1, 제2분기관
5 : 저수조 7 : 제어부
10 : 유량계 11 : 개폐밸브
12 : 압력감지부 21 : 질소압력탱크
22 : 저수위감지공 30 : 고수위감지부
31 : 본체 41 : 급수관 유입구
42 : 상부덮개 43 : 급수구
44 : 스토퍼 45 : 패킹
46 : 공간부 47 : 몸체
47a, 47b : 단턱부 47c : 배수구
48 : 개폐볼 49 : 충격흡수재
30b : 공기개폐부 50 : 하부덮개

Claims (3)

  1. 관정(1) 내부에는 제어부(7)에 의해 원수를 펌핑하여 배수하는 모터펌프(2)가 설치되고, 이 모터펌프(2)의 배출구에는 급수관(3)을 통해 원거리에 위치하여 지하수를 저장하는 저수조(5)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5) 내부에는 상기 급수관(3)의 타측에서 분기되며 하측에 저수위레벨 시 급수관(3)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저수위감지공(22)이 형성된 제2분기관(3b)과, 상기 급수관(3)의 끝단부에는 저수조(5) 내부에 유입되어 고수위 레벨 시 저수조(5)에 유입되는 지하수를 차단하는 고수위감지부(30)로 이루어지는 수위감지장치(40)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3)의 일측에서 분기되는 제1분기관(3a)의 끝단부에는 미세한 압력변화를 완화하여 완충시키는 질소압력탱크(21)가 설치되고, 상기 질소압력탱크(21)의 타측에는 압력감지부(12)를 통해 모터펌프(2)를 제어하는 제어부(7)가 연결되는 무인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수위감지부(30)는,
    배수구(47c)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47)의 내면 일측에는 중앙부에 급수구(43)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고무재질의 패킹(45)이 설치된 반구형의 스토퍼(4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47) 내부에는 공간부(46)가 형성되는 본체(31)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46)에는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될 경우 부력에 의해 급수구(43)를 폐쇄 및 개방시키는 개폐볼(48)이 유입 설치되고,
    상기 개폐볼(48)의 하측에는 개폐볼(48)의 낙하 시 완충작용을 하는 충격흡수재(49)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47)의 상측에는 급수관 유입구(41)가 형성된 상부덮개(42)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47)의 하측에 개폐볼(48)과 충격흡수재(49)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공간부(46)를 폐쇄시키기 위한 하부덮개(5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급수장치.
  2. 삭제
  3. 삭제
KR20120118234A 2012-10-24 2012-10-24 무인급수장치 KR101491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8234A KR101491882B1 (ko) 2012-10-24 2012-10-24 무인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8234A KR101491882B1 (ko) 2012-10-24 2012-10-24 무인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291A KR20140052291A (ko) 2014-05-07
KR101491882B1 true KR101491882B1 (ko) 2015-02-10

Family

ID=50885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18234A KR101491882B1 (ko) 2012-10-24 2012-10-24 무인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080B1 (ko) * 2021-02-25 2021-07-12 지수상 연선기의 공기 주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1838A (ja) * 1995-10-19 1997-04-28 Inax Corp ボールタップ装置
KR100395753B1 (ko) * 2000-02-19 2003-08-27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무선 자동 수위 조절시스템
KR100439293B1 (ko) * 2001-08-30 2004-07-07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물탱크의 수위 자동 조절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81932B1 (ko) * 2005-03-29 2007-02-12 이충영 양수기의 압력보상을 할 수 있는 물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1838A (ja) * 1995-10-19 1997-04-28 Inax Corp ボールタップ装置
KR100395753B1 (ko) * 2000-02-19 2003-08-27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무선 자동 수위 조절시스템
KR100439293B1 (ko) * 2001-08-30 2004-07-07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물탱크의 수위 자동 조절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81932B1 (ko) * 2005-03-29 2007-02-12 이충영 양수기의 압력보상을 할 수 있는 물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291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2072B2 (en) Pneumatic pump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including a pneumatic pressure accumulator tube
ES2334573T3 (es) Metodo y aparato para monitorear de manera continua regiones intersticiales en tuberias e instalaciones de almacenamiento de gasolina.
US20160273953A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filling level in a collection chamber, and monitoring arrangement
RU2015142802A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одоотвод для топливного процессора
EP2682727B1 (en) Leakage Detection Device Using Siphon Principle
US9163973B2 (en) Identifying undesired conditions in the function of a floating roof of a tank
KR100985209B1 (ko) 무선 자동 수위 제어 장치
JP2015078838A (ja) 漏洩検知装置
KR101491882B1 (ko) 무인급수장치
KR100792400B1 (ko) 반도체 압력센서를 이용한 연약지반 침하 계측장치
KR20140026162A (ko) 부압방지수단이 구비된 에어챔버
KR101183613B1 (ko) 강우량 측정기
KR101500632B1 (ko) 횡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물탱크수위조절시스템
WO2006061186A3 (de) Füllstands-messvorrichtung
CN105258761A (zh) 一种气泡式水位计以及一种水体内含沙量检测方法
KR101145607B1 (ko) 고압용기의 액체레벨 검출장치
US7251997B1 (en) Fuel tank module control system
CN102287231B (zh) 机械式气水自动分离测压装置
US9410865B2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leak tightness of a tank
KR200383973Y1 (ko) 유류저장탱크용 수분검출장치
KR100584471B1 (ko) 결빙 방지장치
JP4420775B2 (ja) テンシオメータ
WO2010041057A3 (en) Smart liquid delivery nozzle assembly
CN206516724U (zh) 防漏液蓄电池
CN205246180U (zh) 水位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