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042B1 - Electrostatic aerosol concentrator - Google Patents

Electrostatic aerosol concent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042B1
KR101491042B1 KR20130096217A KR20130096217A KR101491042B1 KR 101491042 B1 KR101491042 B1 KR 101491042B1 KR 20130096217 A KR20130096217 A KR 20130096217A KR 20130096217 A KR20130096217 A KR 20130096217A KR 101491042 B1 KR101491042 B1 KR 101491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outlet
air
inlet
out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62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재성
이현아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9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0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0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tub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electrostatic particle collector having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high concentrating efficiency. The electrostatic particle concentrator makes air including pre-charged particles enter therein and collects the particles. The electrostatic particle collector includes: a cylindrical body comprising an upper surface,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 inlet formed o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 plurality of outlets formed near the inlet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a cylinder part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to an inner space; and a collection part which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cylinder part and collects the particles.

Description

전기식 입자 집적기{Electrostatic aerosol concentrator}[0001] Electrostatic aerosol concentrator [0002]

본 발명은 전기식 입자 집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전기식 입자 집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particle accumu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electric particle accumulator.

공기 중에 존재하는 바이오 입자 등을 수집하기 위한 방법 중 전기식 집진기(electrostatic precipitator)를 들 수 있다.Among the methods for collecting bioparticles and the like present in the air, there i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상기 방식은 바이오 입자를 대전시키고, 상기 바이오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별도의 전기장을 포함하는 집진기 내부로 유도시켜 바이오 입자를 포집하는 것으로 현재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전기집진기 형태의 바이오 입자 채집기는 입자를 채집할 전극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넓어 입자 채집에는 유리한 측면이 있으나 채집된 입자의 농축에는 불리한 측면이 있다.The method is currently being studied to charge bioparticles and induce air containing the bioparticles into a dust collector including a separate electric field to collect bioparticles. However, these electrostatic precipitator type bio-particle collectors are advantageous for collecting particles because the size of the electrodes to collect particles is relatively large,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concentration of the collected particles.

공개특허 제2007-0026653에는 공기 중 입자 수집 장치에 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공기 중 입자의 대전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 대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포집된 입자들을 액체에 침전시키는 방식이다.Open Publication No. 2007-0026653 discloses a configuration for an airborne particle collecting apparatu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device for charging particles in the ai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harging and precipitate the collected particles in the liquid.

상기와 같은 방식은 전기식의 특성들이 잘 구현되는 구조이며,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들을 수집하는 것에서 높은 효율을 나타낸다. 즉, 공기 중의 포함된 입자의 제거에 높은 효율을 나타낸다 할 수 있다.Such a scheme is a structure in which electrical characteristics are well implemented and exhibits high efficiency in collecting particles contained in air. That is, it can exhibit high efficiency in the removal of the contained particles in the air.

그러나 공기 중의 바이오 입자들의 종류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바이오 입자의 채집뿐만 아니라 채집된 입자로부터 바이오 입자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별도의 후속 절차가 필요하다. 공기 중의 바이오 입자의 농도가 일반적으로 아주 작은 점을 고려할 때, 공기중의 바이오입자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해서는 채집된 바이오 입자의 농도를 높이는 것이 꼭 필요하다.However, when the type of bioparticles in the air is detected, a separate follow-up procedure is required to distinguish the types of bioparticles from the collected particles as well as to collect the bioparticles. Considering that the concentration of biomolecules in the air is generally very small,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 biomolecules in the air in order to effectively detect the biomolecules in the air.

상기와 같은 방식의 전기 집진기를 이용하여 바이오 입자를 수집하는 경우에는 바이오 입자의 분석을 위하여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여 바이오 입자의 분석에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collecting bioparticles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above-described typ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fficiency of analysis of the bioparticles is inferior because an additional operation is required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for analyzing the bioparticles.

따라서,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오 입자의 효율적인 채집과 함께 채집된 입자의 농도를 증가시켜 후속 공정에서 입자의 특성이 빠른 시간 내에 파악될 수 있는 별도의 전기식 입자 집적기가 필요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 등록된 등록특허 제1275994호를 들 수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bio-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nd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 collected particles to require a separate electric particle accumulator capable of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les in the subsequent process in a short time, Patent No. 1275994.

상기 특허는 반경 R1을 갖는 구의 일부 표면의 형태인 제1전극면; 상기 R1의 원점과 동일한 원점을 가지며, 상기 R1보다 작은 반경 R2를 갖는 구의 일부 표면의 형태이며, 상기 제1전극면과 대응되는 동일한 형태인 제2전극면; 상기 제1전극면과 상기 제2전극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측면; 상기 제1전극면에 형성되며, 공기를 상기 공간으로 안내하는 유입구; 상기 제1전극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구; 및 상기 제1전극면과 제2전극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높은 집적율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으나, 그 형상에 의하여 제작 다소 어려운 단점이 있어, 높은 효율을 나타내면서 제작이 편리한 구조의 새로운 형태의 집적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The patent describes a first electrode surface in the form of a partial surface of a sphere having a radius R1; A second electrode surface in the form of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sphere having the same origin as the origin of R1 and having a radius R2 smaller than the radius R1 and of the same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surface; A side surface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surface and the second electrode surface; An inlet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surface for guiding air into the space; An outlet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surface for discharging air in the spac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electrode surface and the second electrode surface. However,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due to its shape, A new type of integration device is nee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올 높은 집적 효율을 나타내는 전기식 입자 집적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particle accumulator having a relatively high integration efficiency, which has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리 대전된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유입시켜, 입자를 포집하는 전기식 입자 집적기에 있어서, 상면, 측면 및 하면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몸체; 상기 몸체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몸체 상면 유입구 인근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출구; 상기 몸체 하면 중앙에 내부 공간으로 돌출형성되는 원통형의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 상단에 위치하여 입자를 포집하는 집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particle accumulator for collecting particles by introducing air containing pre-charged particles, the electric particle accumulator comprising: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 inle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 plurality of outlets formed near the top surface inlet of the body; A cylindrical cylindrical portion protruding from an inner space at the center of the body; And an accumulation unit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art and collecting the particl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자는 마이너스로 미리 대전되고, 상기 몸체와 원통부는 그라운드에 접지되고, 원통부와 상기 집적부는 절연되고, 상기 집적부는 플러스 전극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articles are precharged minus, the body and the cylindrical portion are grounded, the cylindrical portion and the integrated portion are insulated, and the integrate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출구는 동일한 직경으로 2개 형성되되,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입구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two outlets are formed with the same diameter, and the outlets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t the same distance about the inlet.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적부는 원형의 형상이며, 상기 집적부의 직경을 상기 몸체 직경의 1/5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tegrated portion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diameter of the integrated portion is 1/5 to 1/3 of the body diamet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출구는 동일한 직경으로 4개 형성되되,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입구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utflow ports are formed with four identical diameters, and the outflow ports are arranged at the same distance around the inflow port at 90 degree intervals.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 하면에는 상기 몸제 상면에 형성된 유출구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직경의 하면 유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further includes a lower surface outlet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outle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출구와 상기 하면 유출구에는 공기의 유출을 개방 및 폐쇄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공기의 유속이 사전 정의된 유속보다 낮은 경우에는 하면 유출구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시키고, 공기의 유속이 사전 정의된 유속보다 높은 경우에는 유출구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outlet and the bottom outlet further comprise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flow of air. When the flow rate of the air is lower than the predefined flow rat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bottom outlet, Is higher than the predefined flow rate,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입자 집적기는 원통형의 형상을 기본으로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매우 편리하며, 또한 일출구의 배치에 의하여 어떠한 공기 유속에서도 효율적인 집적 효율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The electric particle accu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shape of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so that it is very convenient to manufacture. Further, the efficiency is high in efficient accumulation efficiency even at any air flow due to the arrangement of one outl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입자 집적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4는 도 1의 하면에 하면 유출구가 형성된 경우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1 실시예의 전산 시뮬레이션 결과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particl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Fig. 1,
Figure 3 is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2,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lower surface of Fig. 1 when the lower surface is formed;
5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4,
6 is a graph of a simulation result of the computer simulation of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입자 집적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 상단에 형성되는 유입구(40)와 상기 몸체(10) 상단 유입구(40) 인근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출구(50)와 상기 몸체(10) 내부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집적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electric particle coll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body 10, an inlet 4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an upper inlet 40 of the body 10, And an accumulation unit 60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먼저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면(11), 측면(12), 하면(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body 10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space is formed. The body 10 includes an upper surface 11, a side surface 12, and a lower surface 13.

그리고 상기 하면(13) 중앙에는 내부로 돌출되는 원통형상의 원통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cylindrical cylindrical portion 20 protruding inward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13.

상기 원통부(20) 상단에는 후술하는 집적부(60)가 위치하므로, 높이도 집적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Since the later-described accumulation unit 60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20, the height also affects the degree of integration.

상기 원통부(20)의 높이는 상기 몸체(10) 높이의 5% 내지 15%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cylindrical portion 20 is preferably 5% to 15% of the height of the body 10.

상기 원통부(20)의 높이가 몸체(10) 높이의 5%미만인 경우에는 몸체(10) 내부 공기 유동이 통상의 원통 유동과 유사하여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원통부(20)의 높이가 몸체(10) 높이의 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집적부(60)가 공기 유동을 방해하고 집적부에 도달하는 입자의 속도가 높아서 입자의 집적도가 떨어진다.When the height of the cylindrical portion 20 is less than 5% of the height of the body 10, the air flow inside the body 10 is similar to that of a normal cylindrical flow, Exceeds 15% of the height of the substrate (10), the accumulation portion (60) interferes with the air flow and the particles reaching the accumulation portion have a high velocity, resulting in a low degree of integration of the particles.

여기서 상기 몸체(10)의 상면(11), 측면(12) 및 하면(13)은 동일한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전기적으로는 그라운드에 접지되도록 구성한다.The upper surface 11, the side surface 12 and the lower surface 13 of the body 10 ar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and electrically grounded to the ground.

상기 원통부(20) 상단에는 원형 형상의 집적부(60)가 형성되며, 상기 집적부(60)는 '+' 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원통부(20)와 상기 집적부(60)는 전기적으로 절연한다.At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20, a circular-shaped integrated portion 60 is formed, and the integrated portion 60 is connected to the '+' electrode. The cylindrical portion 20 and the integrated portion 60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상기 집적부(60)의 직경은 상기 몸체(10) 직경의 1/5 내지 1/3이 바람직하다.The diameter of the integrated portion 60 is preferably 1/5 to 1/3 of the diameter of the body 10.

상기 집적부(60)의 직경이 몸체(10) 직경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집적부로의 채집 성능이 떨어지며, 몸체(10) 직경의 1/3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의 집적밀도가 떨어진다.When the diameter of the accumulation unit 60 is less than 1/5 of the diameter of the body 10, the collecting performance of the accumulation unit is lowered. When the diameter of the accumulation unit 60 exceeds 1/3 of the diameter of the body 10,

한편, 상기 상면(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이며, 중앙에 원형의 단일 개의 유입구(40)가 형성되어 '-'로 대전된 입자(나노 입자, 미세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등)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며, 별도의 배관을 통하여 상기 유입구(40)로 공급되어 상기 몸체(1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2, the upper surface 11 has a circular shape, and a single circular inlet 40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o form particles (nanoparticles, fine dust, viruses, bacteria , Mold, etc.) is introduced into the inflow opening 40 through a separate piping, and is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0.

상기 상면(11)에는 상기 유입구(40)를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으로 이격되는 2개의 유출구(50)가 형성된다.The upper surface 11 is formed with two outflow openings 5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ame radius around the inflow opening 40.

즉, 상기 유입구(4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몸체(10) 내부 공간을 유동한 후 유입구(40) 인근에 위치하는 유출구(50)를 통하여 유출한다.That i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0 flow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0 and then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50 located near the inlet 40.

상기 유출구(50)의 직경으로 서로 동일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유입구(40)의 직경과도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outlet (50)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inlet (40) if necessary.

또한 상기 유출구(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간격으로 유입구(40)를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에 위치하는 4개로도 구성할 수 있다.3, the outflow ports 50 may be formed at four positions located at the same radius around the inlet 40 at intervals of 90 degrees.

상기 유출구(50)를 네개로 구성하는 경우 유출면적이 유입구(40)의 면적에 비하여 증가하므로, 몸체(10) 내부 공간에서 입자의 운동 속도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When the outlet 50 is formed as four, the flow area increases as compared with the area of the inlet 40,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peed of movement of particles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body 10 is reduced.

필요한 경우 상기 유출구(50)는 8개 16개 32개 등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If necessary, the outlet 50 may be configured as 8, 16, 32, and so on.

또한 필요한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13)에도 상면(11)과 동일한 위치에 하면 유출구(70)를 형성할 수 있다.4, the lower surface 13 can also be formed with the lower surface outlet 70 at the same position as the upper surface 11. As shown in Fig.

상기 하면 유출구(70)는 유입구(4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일정 수준보다 낮은 경우 사용되는 구성으로, 이때 유출구(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밸브를 통하여 페쇄하고, 상기 하면 유출구(70)로 공기를 유출하고, 공기 속도가 일정 이상인 경우 상기 하면 유출구(70)를 폐쇄하고, 상기 유출구(40)를 개방하여 공기가 몸체(10) 내부를 충분히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outlet port 70 is used when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port 40 is lower than a certain level. At this time, the outlet port 40 is closed through a separate valve as shown in FIG. 5, When the air velocit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lower outlet 70 is closed and the outlet 40 is opened to allow the air to sufficiently flow inside the body 10 .

상기 밸브의 개폐 판단을 위한 공기의 유속은 사전 시험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몸체(10) 전체 크기에 따라 변경된다.The flow rate of the air for determ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can be set by a preliminary test an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entire size of the body 10.

한편, 도 6은 공기 유량이 0.6l/min인 경우, 유출구(40)가 2개인 경우 몸체(10) 내부 공간에서 공기의 유동을 시뮬레이션한 결과이고, 도 7은 유출구(40)가 4개인 경우 몸체(10) 내부 공간에서의 공기 유동을 시뮬레이션한 결과이다.6 shows a result of simulating the flow of ai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0 when the air flow rate is 0.6 l / min, when the outlet port 40 is 2. FIG. This is a simulation result of the air flow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0.

양자 모두 높은 공기 체류 시간을 나타내므로, 결과적으로 높은 집적 효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Both exhibit high air retention time, which results in a high integration efficienc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all of the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that can be practi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10: 몸체 11: 상면
12: 측면 13: 하면
20: 원통부 40: 유입구
50: 유출구 60: 집적부
70: 하면 유출구 100: 전기식 입자 집적기
10: body 11: upper surface
12: side 13:
20: Cylinder part 40: Inlet
50: outlet 60:
70: lower outlet 100: electric particle collector

Claims (7)

미리 대전된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유입시켜, 입자를 포집하는 전기식 입자 집적기에 있어서,
상면, 측면 및 하면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몸체;
상기 몸체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몸체 상면 유입구 인근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출구;
상기 몸체 하면 중앙에 내부 공간으로 돌출형성되는 원통형의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 상단에 위치하여 입자를 포집하는 집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입자 집적기.
In an electric particle accumulator for introducing air containing pre-charged particles to collect particles,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 inle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 plurality of outlets formed near the top surface inlet of the body;
A cylindrical cylindrical portion protruding from an inner space at the center of the body; And
And an accumulating portion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collecting the particl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마이너스로 미리 대전되고, 상기 몸체와 원통부는 그라운드에 접지되고, 원통부와 상기 집적부는 절연되고, 상기 집적부는 플러스 전극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입자 집적기.
The electric particle collector of claim 1, wherein the particles are precharged negatively, the body and the cylindrical portion are grounded, the cylindrical portion and the integrated portion are insulated, and the integrate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동일한 직경으로 2개 형성되되,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입구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입자 집적기.
The electric particle collector of claim 2, wherein the outlets are formed with two identical diameters, and the outlets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t the same distance about the inle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집적부는 원형의 형상이며, 상기 집적부의 직경을 상기 몸체 직경의 1/5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입자 집적기.
The electric particle coll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ntegrated portion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diameter of the integrated portion is 1/5 to 1/3 of the body diamet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동일한 직경으로 4개 형성되되,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입구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입자 집적기.
3. The electric particle collector of claim 2, wherein the outlets are formed with four identical diameters, the outlets being arranged at the same distance 90 degrees apart from the inle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 하면에는 상기 몸체 상면에 형성된 유출구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직경의 하면 유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입자 집적기.
The electric particle collector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bottom outle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the bottom outlet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outlet formed on the bod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와 상기 하면 유출구에는 공기의 유출을 개방 및 폐쇄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공기의 유속이 사전 정의된 유속보다 낮은 경우에는 하면 유출구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시키고, 공기의 유속이 사전 정의된 유속보다 높은 경우에는 유출구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입자 집적기.
[7] The air conditioner of claim 6, wherein the outlet and the bottom outlet further comprise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outflow, wherein when the air flow rate is lower than a predefined flow rate, And if it is higher than the predefined flow rate, discharges air through the outlet.
KR20130096217A 2013-08-13 2013-08-13 Electrostatic aerosol concentrator KR1014910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217A KR101491042B1 (en) 2013-08-13 2013-08-13 Electrostatic aerosol concent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217A KR101491042B1 (en) 2013-08-13 2013-08-13 Electrostatic aerosol concent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042B1 true KR101491042B1 (en) 2015-02-10

Family

ID=5259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6217A KR101491042B1 (en) 2013-08-13 2013-08-13 Electrostatic aerosol concent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04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9777A (en) * 2005-12-28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A cyclone air purifier
KR100814887B1 (en) 2007-04-13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Carbon monoxide treatment apparatus for fuel cell
JP2009219936A (en) 2009-07-10 2009-10-01 Terumo Corp Artificial l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9777A (en) * 2005-12-28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A cyclone air purifier
KR100814887B1 (en) 2007-04-13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Carbon monoxide treatment apparatus for fuel cell
JP2009219936A (en) 2009-07-10 2009-10-01 Terumo Corp Artificial lu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101233390 B1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1835B2 (en) Classification device and fine particle measuring device
CN104056721B (en) The clean corona gas ionization neutralized for electrostatic
CN206740587U (en) PM2.5 cutter cuts characteristic detection devices
CN105424570B (en) A kind of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motor-vehicle tail-gas fine particle Particle density
CN101212128B (en) Corona discharge device and particle charging device utilizing the corona discharge device
US10814335B2 (en) Selective aerosol particle collecting method and device, according to particle size
CN104841559B (en) Box type staggered porous dedusting plate electrode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provided with same
CN107921443B (en) Aerosol particle collecting device with nano particle concentration and particle size measuring device
KR101528773B1 (en) Apparatus for Real Time Detecting Bio Particle and Non-Bio Particle in Atmospheric Air, and Method for Detecting Bio Particle and Non-Bio Particle Using the Same
KR101179039B1 (en) Apparatus for seperating particles and method for separating fibrous particles by using the same
KR101491042B1 (en) Electrostatic aerosol concentrator
CN204745985U (en) Electrified dust collector
CN112996603B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dust collect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4728894A (en) Inertial-separation and automatic-collection type oil fume purifying system
CN102847407B (en) Particle agglomerating board component, bipolar particle agglomerating device, and dust collector
CN106622660A (en) Side outlet type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4200373B2 (en) Airborne particulate matter collection device
US20090188390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275994B1 (en) Electrostatic bioaerosol concentrator
KR102215223B1 (en) Fine dust measuring device
KR102134969B1 (en) Fine dust measuring device
CN109248785A (en) Electrical tar precipitator is used in a kind of production and processing of semi-coke
CN204107667U (en) A kind of novel electrostatic precipitator
Dalili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electrodes of DEP-based micro-separator
Self et al. Electrical augmentation of granular bed fil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