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669B1 -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 Google Patents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669B1
KR101490669B1 KR20140085602A KR20140085602A KR101490669B1 KR 101490669 B1 KR101490669 B1 KR 101490669B1 KR 20140085602 A KR20140085602 A KR 20140085602A KR 20140085602 A KR20140085602 A KR 20140085602A KR 101490669 B1 KR101490669 B1 KR 101490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ackaged
carbon dioxide
container body
nit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혁만
서영태
서복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빅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빅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빅푸드
Priority to KR20140085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over a heat source, e.g. a hob, camp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tins,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본체가 합성수지재가 아니라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가스렌지, 오븐, 버너, 인덕션렌지 등과 같은 전열기 상에서 포장대싱식품의 조리가 가능하고 캠핑시 직화구이 방식으로 즉석에서 포장대상식품의 조리가능하도록 구성된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는,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되고 포장대상식품이 수용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하부면 가장자리에 열경화성 글루층이 구비되며 상기 포장대상식품이 수용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이 이산화탄소, 질소 및 산소 중 1종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변형공기로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가장자리에 기밀적으로 가열접합되는 커버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INSTANT COOKING CONTAINER FO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본 발명은 변형공기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류 등의 포장대상식품이 수용된 용기 내의 공기조성을 변화시켜 포장대상식품의 선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변형공기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형공기포장(MAP: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법은 육류 등의 포장대상식품에 적용되던 종래의 진공포장법에 대한 개선책으로 개발된 포장방법이다.
변형공기포장법은 고기의 호흡속도를 늦추고 미생물 성장을 감소시키며 효소에 의한 오염을 지연시키기 위해, 육류 등의 포장대상식품이 수용된 용기 내의 공기조성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변형공기포장법은 육류 등의 포장대상식품이 수용된 용기 내의 공기를 모두 제거한 후 그 대신 인위적으로 조성된 변형공기를 채워 넣어 밀봉포장하는 것이다.
육류 등의 포장대상식품이 수용된 용기 내로 투입되는 변형공기의 조성비에 따라 육류 등의 포장대상식품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성장속도와 영향을 받으며, 또한 마이오글로빈(myoglobin)의 산화상태도 영향을 받아 저장기간이 좌우된다.
변형공기포장법에 적용되는 변형공기는 이산화탄소, 질소, 산소이며, 통상적으로 이들의 혼합가스가 사용된다.
육류와 같은 포장대상식품의 경우 냉동 또는 냉장 보관이 일반적인데, 냉동 육류은 진공포장을 통해 유통되고 냉장보관용 육류는 진공포장의 대체적인 방법으로 변형공기포장을 통해 유통된다.
변형공기포장용 용기는 주로 폴리프로필렌수지 또는 PET수지로 제조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면에 밀봉접합되는 폴리에틸렌수지 재질의 커버필름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0-0070589호(2010.06.28. 공개)에는 포장용기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40중량% ~ 42중량%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제작된 내,외면 시트층과, 상기 내,외면 시트층 사이에 3중량% ~ 9중량%의 EVOH(Ethylene Vinyl Alcohol)로 제작되어 용기의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산소차단 시트층과, 상기 산소차단 시트층과 내,외면 시트층 사이에 1중량% ~ 5중량%의 접착층을 두어 합지된 다층시트로서 압공성형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체적을 형성하기 위한 측면의 형성과 함께 바닥면과 측면에 포장되는 육가공 식품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의 상부에 육가공 식품을 담아 실링지로 상부를 밀봉 포장하여서 된 포장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09-0003521호(2009.04.15. 공개)에는, PS(Polystyren)의 재질로 제작되어 돼지고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방되고, 상기 돼지고기 수용시에 돼지고기의 육즙이 넘쳐 흐르지 않고, 충격에 의해 돼지고기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이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포장틀이 형성된 용기와, 상기 돼지고기가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의 상부면이 밀폐되도록 용기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된 용기 내에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혼합된 혼합가스가 충진되어 -2 내지 10℃에서 진열장에서 진열보관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유지용 돼지고기 포장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캠핑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변형공기포장용 용기는 용기본체가 합성수지재로 제조됨에 따라 단순 포장용기로만 사용될 수 있을 뿐, 가스렌지, 오븐, 버너, 인덕션렌지 등과 같은 전열기에 놓여지는 조리용기 또는 캠핑시 직화구이를 위한 조리용기로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본체가 합성수지재가 아니라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가스렌지, 오븐, 버너, 인덕션렌지 등과 같은 전열기 상에서 포장대싱식품의 조리가 가능하고 캠핑시 직화구이 방식으로 즉석에서 포장대상식품의 조리가능하도록 구성된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되고 포장대상식품이 수용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하부면 가장자리에 열경화성 글루층이 구비되며 상기 포장대상식품이 수용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이 이산화탄소, 질소 및 산소 중 1종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변형공기로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가장자리에 기밀적으로 가열접합되는 커버필름을 포함하는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필름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형성되는 하부층과,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되는 중간층과,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상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층은 10 내지 30 ㎛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중간층은 10 내지 30 ㎛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상부층은 5 내지 25 ㎛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열경화성 글루층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장대상식품은 신선 생육, 가공육, 신선 가금육 및 생선 중 하나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장대상식품이 신선 생육인 경우에 상기 변형공기는 60 내지 80%의 산소와 15 내지 40%의 이산화탄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장대상식품이 가공육인 경우에 상기 변형공기는 20 내지 35%의 이산화탄소와 65 내지 80%의 질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장대상식품이 신선 가금육인 경우에 상기 변형공기는 25%의 이산화탄소와 75%의 질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장대상식품이 생선인 경우에 상기 변형공기는 60%의 이산화탄소와 40%의 질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에 의하면, 용기본체가 합성수지재가 아니라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가스렌지, 오븐, 버너, 인덕션렌지 등과 같은 전열기 상에서 포장대싱식품의 조리가 가능하고 캠핑시 직화구이 방식으로 즉석에서 포장대상식품의 조리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의 분해사시도.
이하에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1)는 육류 등의 포장대상식품(3)이 수용된 용기본체(10) 내의 공기를 모두 제거한 후 인위적으로 조성된 변형공기를 채워 넣어 밀봉포장함으로써 포장대상식품(3)의 선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되고 포장대상식품(3)이 수용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11)이 형성되는 용기본체(10)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며 용기본체(10)의 상단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하부면 가장자리에 열경화성 글루층(21)이 구비되며 포장대상식품(3)이 수용된 용기본체(10)의 내부공간(11)이 이산화탄소, 질소 및 산소 중 1종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변형공기로 충전된 상태에서 용기본체(10)의 상단 가장자리에 기밀적으로 가열접합되는 커버필름(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본체(10)는 신선 생육, 가공육, 신선 가금육 또는 생선 등과 같은 포장대상식품(3)을 수용하는 프레임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루미늄 재질에 의해 포장대상식품(3)이 수용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11)이 형성되도록 성형된다.
용기본체(10)는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를 금형 내에 넣고 프레스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용기본체(10)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이 아니라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가스렌지, 오븐, 버너, 인덕션렌지 등과 같은 전열기 상에서 포장대상식품(3)의 조리를 가능하게 하고 캠핑시 직화구이 형태로 즉석에서 포장대상식품(3)의 조리를 가능하게 하는 조리용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포장대상식품(3)이 수용된 용기본체(10)의 상단 가장자리에 커버필름(20)이 기밀적으로 가열접합되는데, 이 커버필름(20)은 용기본체(10)의 개방 상단을 기밀적으로 폐쇄하여 포장대상식품(3)이 수용된 용기본체(10)의 내부공간이 외부공기와 단절되도록 함과 동시에 변형공기에만 접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필름(20)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단일의 합성수지필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형성되는 하부층과,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되는 중간층과,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상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하부층의 두께는 10 내지 30 ㎛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간층의 두께는 10 내지 3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층의 두께는 5 내지 2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재질의 용기본체(10)와 합성수지재 재질의 커버필름(20)은 재질적 특성 차이로 인해 통상의 열융착으로는 잘 접합되지 않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용기본체(10)의 상단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커버필름(20)의 하부면 가장자리에는 열경화성 글루층(2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글루층(21)은 하부층의 재질과 동일하게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알루미늄 재질의 용기본체(10)의 상단 가장자리면에 미세스크래치를 형성한 후 합성수지재 재질의 커버필름(20)을 직접 열융착하여 커버필름(2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용융액이 미세스크래치 내로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용기본체(10)에 커버필름(20)을 직접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포장대상식품(3)이 변형공기포장법에 의해 포장될 수 있도록, 커버필름(20)은 포장대상식품(3)이 수용된 용기본체(10)의 내부공간(11)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이산화탄소, 질소 및 산소 중 1종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변형공기로 충전된 상태에서 용기본체(10)의 상단가장자리에 기밀적으로 가열접합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1)는 내부에 충전되는 변형공기의 조성비에 따라 육류 등의 포장대상식품(3)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성장속도와 영향을 받으며, 또한 마이오글로빈(myoglobin)의 산화상태도 영향을 받아 저장기간이 좌우된다. 이러한 변형공기로는 이산화탄소, 질소, 산소이며, 이산화탄소, 질소 또는 산소가 단독으로 적용되기도 하지만, 통상적으로 이들의 혼합가스가 사용된다.
이산화탄소(CO2)는 용액의 산도를 증가시키거나 pH를 낮추는 탄산(H2CO3)의 생성을 위해 쉽게 물에 용해될 뿐만 아니라 지방 및 다른 유기 화합물에 녹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온도가 감소하면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는 증가하는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항균성은 15℃ 이상보다 10℃ 이하에서 현저하게 높다. 이산화탄소의 높은 용해도는 포장 내 공간 부피의 감소에 의해 포장이 줄어들 수 있는데, 소매용 치즈 포장의 경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변형공기포장법을 적용하다.
질소(N2)는 호기성 미생물들을 성장할 수 없게 하지만 혐기성 미생물의 성장을 막을 수 없다. 낮은 용해도 특성을 가지는 질소는 식품 포장에서 충분한 질소가스를 함유한 이산화탄소-질소 혼합기체로 많이 사용하는데, 여기서 질소는 이산화탄소의 높은 용해도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포장의 부피 수축을 예방한다.
산소(O2)는 지방산화, 갈변화, 색소의 산화를 포함하는 식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반응의 여러 형태를 촉진시킨다. 일반적으로 부패균과 곰팡이의 성장은 산소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포장대상식품의 유통기한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포장 내 대기에 산소의 농도를 낮게 유지해야만 한다. 그러나 일부 식품에서 낮은 산소 농도는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 문제에 영향을 주는데, 그 예로 육색의 변화, 과일과 야채의 시듬, 식중독 박테리아의 성장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식품 포장을 위한 가스 조성을 선정할 때 이러한 요소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1)에 의해 포장되는 포장대상식품(3)은, 신선 생육, 가공육, 신선 가금육 및 생선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빵, 케이크, 치즈, 청과물 중 하나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장대상식품(3)는 건조되거나 구워진 식품일 수도 있다.
신선 생육의 경우 미생물 성장이나 붉은 색을 나타내는 육 색소 (oxymyoglobin pigment)의 산화가 신선 생육의 유통기한을 제한하는 주요 부패 대사이다. 따라서 포장 내 적절한 산소의 농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호기성 미생물의 성장을 최소화하고 바람직한 육색을 유지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Pseudomonas 종과 같은 호기성 부패 박테리아균은 붉은 육제품에 발생되는 주요 균으로 주로 이산화탄소에 의해 성장 제어를 받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혼합가스 적용에 의해 육색의 안정성과 미생물 억제에 기여할 수 있다.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혼합가스는 신선 생육을 2 내지 8일까지 냉장 유통기한을 연장시킬 수 있다.
가공육의 유통기한을 제한하는 주요 변패 대사는 미생물의 성장, 색변화, 산패이다. 가공육의 경우 열처리를 통해 세균 및 미생물을 죽이거나 불활성화시켜 육색을 고정시킨다. 따라서 조리된 육제품의 변패는 낮은 위생과 취급 시의 결과에 따른 미생물에 의한 후처리 가공오염이 주요 요인이다. 따라서 조리된 육색은 산화에 민감하므로 포장 내에 산소의 양을 낮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절한 이산화탄소와 질소의 혼합기체가 적용될 경우 가공육의 유통기한은 최대화되고, 산화 이취향과 산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높은 불포화 지방산을 가지는 가공육은 산화형 산패에 의해 변패되기 쉽지만, 이산화탄소와 질소의 혼합기체의 적용은 이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신선 가금육의 경우에는 Pseudomonas와 Achromobacter와 같은 미생물의 성장이 가금류 제품의 유통기한을 제한하는 주요 요소이다. 이러한 호기성 미생물은 이산화탄소에 의해 효과적으로 성장이 억제된다. 따라서 신선 가금육의 경우에는 20%를 초과하는 이산화탄소가 적용될 경우 가금류 제품의 유통기한을 충분히 연장할 수 있지만 25%를 넘은 이산화탄소 농도에서 신선 가금육의 변색이 발생되기도 한다.
수산물, 특히 생선류의 부패는 저분자 휘발성 물질의 생성으로 발생되므로 포장 시 이취 차단성 및 미가공 또는 훈증, 염장한 제품들의 강한 생선 향의 차단성을 가지는 포장을 고려해야 한다. 생선류의 부패는 크게 3가지 주요 화학 대사, 즉 생선 자체의 효소에 의해 조직의 분해(세포조직의 자가분해), 미생물의 성장, 그리고 산화 반응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변형공기포장법을 통해 미생물의 성장 및 산화 반응은 조절될 수 있으나 자가분해 대사과정은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가공 어패류에서 발견되는 주요 부패균은 Pseudomonas, Moraxella, Acinetobacter, Flavobacterium 및 Cytophaga와 같은 호기성세균들이다. 이산화탄소의 사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러한 세균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고 저장기간 동안에 lactobacilli과 같은 세균의 성장을 늦추어 이취 생성을 낮출수 있다. 어패류는 낮은 미오글로빈 농도를 가지고 있어, 색소의 산화가 다른 육제품에 비해 덜 중요하다. 또한 특히 생선 종류에 따라 높은 수분 및 지방 함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질소가 포장의 붕괴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수산물, 특히 생선류의 변형공기포장의 주요 문제점은 산소를 제거하고 질소 또는 질소 및 이산화탄소의 혼합기체로 치환함으로써 혐기적 환경상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botulinum균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균들은 3℃의 낮은 온도에서 성장할 수 있고 생선의 관능적 특성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치명적 식중독의 잠재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균의 성장방지하기 위해 산소가 혼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가루 형태의 유제품의 경우 산화 때문에 변질되고, 치즈의 경우 특히 효모균 및 곰팡이 등의 미생물 성장 때문에 변질된다. 특히 분유는 지방산화 때문에 이취 발생에 민감하므로 진공에 의해 공기를 제거하고 질소 또는 질소 및 이산화탄소의 혼합 기체 또는 질소를 적용한 다음 무균상태에서 금속 캔을 밀봉한다. 치즈의 경우 전통적으로 진공포장을 하였으나, 최근 들어 이산화탄소 및 질소의 혼합가스(높은 이산화탄소 농도)를 적용한 변형공기포장법이 점차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낮은 잔존산소를 얻을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단단한 포장이 되도록 해준다. 이러한 과정에서 포장 붕괴가 방지되도록 혼합가스 중 질소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높은 수분함량 및 낮은 지방을 갖는 유제품은 Pseudomonas와 같은 많은 부패균에 민감하하므로, 질소와 이산화탄소의 혼합비의 조절이 중요하다.
신선 청과물의 경우 호기성 호흡을 하는데, 이러한 호기성 호흡은 이산화탄소와 수분을 생산할 뿐만 아니라 조직의 숙성과 연화를 촉진시키는 에틸렌을 발생시킨다. 에틸렌을 과채류의 유통기간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포장된 농산물의 유통기간은 호흡률에 반비례한다. 호흡률은 온도가 10℃ 씩 올라갈수록 3 내지 4배 정도 증가한다. 따라서 신선 청과물의 변형공기포장의 목적은 품질을 유지시켜 최대한의 유통기간을 연장하도록 호흡률을 감소시키는 데 있다. 신선 청과물의 호흡률은 저장 중 온도를 떨어뜨리거나, 산소의 농도를 낮추거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높임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산소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품종에 따라 혐기적 호흡대사가 진행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혐기적 호흡은 악취 또는 향과 관련 있는 부패 대사를 유도한다.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는 호흡을 제어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높은 농도는 품종에 따라 손상의 원인이 된다. 낮은 산소농도 및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의 적용은 호흡률을 떨어뜨리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숙성을 저지하는 상승효과를 가진다. 또한 변형공기포장법이 적용된 용기 내에서 성장할 수 있는 botulinum균과 같은 협기성세균의 위험 때문에 이러한 환경조건을 만들지 않도록 최소 2 내지 3%의 산소 농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포장대상식품이 신선 생육인 경우에 변형공기는 60 내지 80%의 산소와 15 내지 40%의 이산화탄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지고, 포장대상식품이 가공육인 경우에 변형공기는 20 내지 35%의 이산화탄소와 65 내지 80%의 질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장대상식품이 신선 가금육인 경우에 변형공기는 25%의 이산화탄소와 75%의 질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지고, 포장대상식품이 생선인 경우에 변형공기는 60%의 이산화탄소와 40%의 질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지며, 포장대상식품이 생선 중 특히 연어인 경우에는 20%의 산소와 60%의 이산화탄소와 20%의 질소가 혼합된 변형공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장대상식품이 딱딱한 치즈인 경우에는 변형공기는 100%의 이산화탄소로만 이루어지고, 포장대상식품이 부드러운 치즈인 경우에 변형공기는 30%의 이산화탄소와 70%의 질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장대상식품이 빵인 경우에 변형공기는 60%의 이산화탄소와 40%의 질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지고, 포장대상식품이 케이크인 경우에 변형공기는 100%의 질소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포장대상식품이 청과물인 경우에 변형공기는 2 내지 3%의 산소와, 3 내지 5%의 이산화탄소와, 92 내지 95%의 질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지고, 포장대상식품이 건조되거나 구워진 식품인 경우에 100%의 질소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3 : 포장대상식품
10 : 용기본체
11 : 내부공간
20 : 커버필름
21 : 열경화성 글루층

Claims (9)

  1.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되고 포장대상식품이 수용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하부면 가장자리에 열경화성 글루층이 구비되며 상기 포장대상식품이 수용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이 이산화탄소, 질소 및 산소 중 1종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변형공기로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가장자리에 기밀적으로 가열접합되는 커버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대상식품이 신선 생육이고, 상기 변형공기는 60 내지 80%의 산소와 15 내지 40%의 이산화탄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2.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되고 포장대상식품이 수용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하부면 가장자리에 열경화성 글루층이 구비되며 상기 포장대상식품이 수용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이 이산화탄소, 질소 및 산소 중 1종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변형공기로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가장자리에 기밀적으로 가열접합되는 커버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대상식품이 가공육이고, 상기 변형공기는 20 내지 35%의 이산화탄소와 65 내지 80%의 질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3.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되고 포장대상식품이 수용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하부면 가장자리에 열경화성 글루층이 구비되며 상기 포장대상식품이 수용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이 이산화탄소, 질소 및 산소 중 1종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변형공기로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가장자리에 기밀적으로 가열접합되는 커버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대상식품이 신선 가금육이고, 상기 변형공기는 25%의 이산화탄소와 75%의 질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4.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되고 포장대상식품이 수용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하부면 가장자리에 열경화성 글루층이 구비되며 상기 포장대상식품이 수용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이 이산화탄소, 질소 및 산소 중 1종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변형공기로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가장자리에 기밀적으로 가열접합되는 커버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대상식품이 생선이고, 상기 변형공기는 60%의 이산화탄소와 40%의 질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필름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형성되는 하부층과,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되는 중간층과,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상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은 10 내지 30 ㎛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중간층은 10 내지 30 ㎛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상부층은 5 내지 25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글루층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8. 삭제
  9. 삭제
KR20140085602A 2014-07-08 2014-07-08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KR101490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5602A KR101490669B1 (ko) 2014-07-08 2014-07-08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5602A KR101490669B1 (ko) 2014-07-08 2014-07-08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669B1 true KR101490669B1 (ko) 2015-02-06

Family

ID=5259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5602A KR101490669B1 (ko) 2014-07-08 2014-07-08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6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465B1 (ko) * 2016-03-31 2017-02-09 대도물류 (주) 육가공 제품용 포장용기
KR200491200Y1 (ko) * 2018-12-12 2020-03-03 오창성 인덕션 방식의 음식물 조리용 포장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7160A (ko) * 2002-09-05 2005-06-16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개봉 용이성 포장체
JP2005519003A (ja) * 2002-03-06 2005-06-30 サルコル・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変位可能な底、本体又は蓋部分を備えた食品用の容器
KR20060115978A (ko) * 2006-10-23 2006-11-13 주식회사 이생 생육용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9003A (ja) * 2002-03-06 2005-06-30 サルコル・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変位可能な底、本体又は蓋部分を備えた食品用の容器
KR20050057160A (ko) * 2002-09-05 2005-06-16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개봉 용이성 포장체
KR20060115978A (ko) * 2006-10-23 2006-11-13 주식회사 이생 생육용 포장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465B1 (ko) * 2016-03-31 2017-02-09 대도물류 (주) 육가공 제품용 포장용기
KR200491200Y1 (ko) * 2018-12-12 2020-03-03 오창성 인덕션 방식의 음식물 조리용 포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tsianis et al. Production and packaging of bakery products using MAP technology
Smith et al. Developments in food packaging technology. Part II. Storage aspects
Cutter Microbial control by packaging: a review
Smtth et al.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bakery and pasta products
Saranraj et al. Microbial spoilage of bakery products and its control by preservatives
Khoshgozaran et al. Evaluating the effect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cheese characteristics: a review
Singh et al. Active packaging of food products: recent trends
Hamad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food
Brown et al. Packaged product quality and shelf life
US20130183420A1 (en) Premium Quality Refrigerated Vegetable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m
US20130078339A1 (en) High Pressure Processing of Pathogenostat-Treated Food Articles
EA017581B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содержащая микробный кислородный абсорбер,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MXPA05008096A (es) Metodo para conservar frescos los alimentos perecederos.
KR20190113959A (ko) 야채 조각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방법
Tucker Food biodeterioration and methods of preservation
KR101490669B1 (ko) 즉석조리가 가능한 변형공기포장용 용기
Brown et al. Packaged product quality and shelf life
McMillin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Ghazala New packaging technology for seafood preservation—shelf-life extension and pathogen control
Smith Bakery products
Prokopov et al. Methods of food preservation
US20110123693A1 (en) Food preservation process
EP2145543B1 (en) Post-packaging pasteurization process
Deshpande et al. Food additives and preservation: A review
Erkmen Modified‐Atmosphere Storage of F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