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608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608B1
KR101490608B1 KR20130087495A KR20130087495A KR101490608B1 KR 101490608 B1 KR101490608 B1 KR 101490608B1 KR 20130087495 A KR20130087495 A KR 20130087495A KR 20130087495 A KR20130087495 A KR 20130087495A KR 101490608 B1 KR101490608 B1 KR 101490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gnaling information
variable bit
signaling
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7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947A (ko
Inventor
권환준
이학주
김재열
명세호
윤성렬
임연주
정홍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7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608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11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using multiple parity bits
    • H03M13/1102Codes on graphs and decoding on graphs, e.g. low-density parity check [LDPC]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은, 수신된 프레임의 부호화 블록들에서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와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를 복호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는 무선 주파수(RF) 채널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 확장 프레임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 셀식별자(CELL ID),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 시스템 식별자(SYSTEM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OR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의 전송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특히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전송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101 은 하나의 프레임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상기 프레임(101)은 프리앰블(102), 계층 1(L1) 시그널링(103), 계층 2(L2) 시그널링(104),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PLP(Physical Layer Pipe)(105, 106,...,10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프리앰블(102), L1 시그널링(103), L2 시그널링(104)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PLP(105, 106, ..., 107)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참조 부호 102는 프리앰블을 나타내며, 이는 통상적으로 수신기의 시간 및 주파수 동기(Time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프레임 경계에 대한 동기 등을 획득하는 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참조 부호 103 는 제어 정보로서 L1 시그널링 정보가 전송되는 부분을 가리키며 L1 시그널링 정보(103)는 도 1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P2 라고도 칭한다. 이는 상기 L1 시그널링(103)이 P2 심볼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이다. 상기 P2는 계층 1(Layer 1), 즉 물리 계층의 시그널링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L1 시그널링 정보(103)는 참조 부호 108, 109, 110 에서 각각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static) 정보, 가변(configurable) 정보, 동적(dynamic)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static) 정보는 시간적으로 거의 변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고정(static) 정보(108)에는 cell 식별자, 네트워크 식별자, RF(Radio Frequedcy) 채널 수, 프레임 길이, 파일럿 부반송파의 위치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가변(configurable) 정보(109)는 매 프레임마다 변경되지는 않지만, 앞으로 전송될 프레임에서 변경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가변 정보(109)는 예를 들어 서비스 식별자, 각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변조 방식 (modulation), 부호화율 (code rate) 정보 등이 있다.
도 1에서 상기 동적(dynamic) 정보(110)는 매 프레임마다 변경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동적(dynamic) 정보(110)에는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PLP가 현재 프레임에서 어느 위치에서 전송되는 지, 즉, 어디에서 시작되고 어디에서 끝나는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1에서 L2 시그널링 정보(104)는 계층 2(Layer 2), 즉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의 시그널링 정보를 나타내며, 통상 상기 L2 시그널링 정보(104)가 전송되는 PLP를 PLP0라고 칭하기도 한다. 상기 PLP0은 PLP와 방송 서비스 간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데, 이는 특정 서비스가 어떤 PLP를 통해 수신되는 지를 가리킨다. 도 1 에서 참조 부호 105 , 106, 107 로 표시되는 PLP 1, PLP 2, PLP N 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방송 서비스 채널을 전송하며, 이는 실제 방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부분으로 이들은 데이터 PLP 라고 부르기도 한다. 도 1을 통해 수신기가 실제 특정 방송 서비스 채널을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프리앰블(102)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동기를 획득한 수신기는 P2 부분 즉, L1 시그널링 정보(103)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 프레임 길이 등의 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수신기는 PLP0 부분 즉, L2 시그널링 정보(104)를 통해 수신하고자 하는 서비스 채널이 어떤 PLP 를 통해서 전송되는 지의 정보를 얻은 후, 데이터 PLP 들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전송할 경우 제어 정보의 부호화 시 일반적으로 상당 비트 수의 dummy 비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dummy 비트들은 통신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므로 통신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제어 정보의 부호화 방안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부호화하여 복수 개의 부호화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LDPC 부호화하여 복수 개의 부호화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의 종류에 따라 부호화 블록을 구분하여 생성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수신된 프레임의 부호화 블록들에서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와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를 복호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는 무선 주파수(RF) 채널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 확장 프레임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 셀식별자(CELL ID),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 시스템 식별자(SYSTEM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 정보가 포함된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한 정보를 정해진 부호화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복호화부와, 상기 복호화부가 상기 물리 계층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를 복호하도록 제어하고, 그 복호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물리 계층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를 복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는 무선 주파수(RF) 채널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 확장 프레임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 셀식별자(CELL ID),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 시스템 식별자(SYSTEM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부호화하여 전송할 때 dummy 비트 수를 줄여서 보다 효율적인 제어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LDPC 부호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즉, 물리 계층 시그널링 정보를 복수 개의 부호어로 전송할 때 제어 정보의 정보의 종류에 따라 비트 수가 고정된 부호어를 송수신하여 송수신기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의 전송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방식으로 부호화되는 제어 정보로서 제1 및 제2 부호어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는 상기 제어 정보로서 도 1의 L1 시그널링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도 2의 L1 시그널링 정보는 도1 에서 설명한 L1 고정(static) 정보(203), L1 가변(configurable) 정보(204), L1 동적(dynamic) 정보(205) 이외에 L1 프리 시그널링(L1-pre signaling) 정보(202)가 추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202)는 상기 L1 고정 정보, L1 가변 정보, L1 동적 정보의 전송 방법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202)는 상기 L1 고정, L1 가변, L1 동적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 어떤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지, 어떤 변조 방식(QPSK, 16QAM, 64QAM 등)을 사용하는 지, 어떤 부호화율을 사용하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2는 상기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 및 L1 고정 정보, L1 가변 정보, L1 동적 정보 각각에 대해 구체적인 비트 수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각 정보의 비트 수가 도 2의 비트 수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에서 참조번호 206과 같이 송신기는 상기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를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화하여 하나의 부호어(codeword)를 생성하고, 또한 참조번호 207과 같이 상기 L1 고정, L1 가변, L1 동적 정보를 하나로 묶어 하나의 블록으로 LDPC 부호화하여 하나의 부호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LDPC 부호는 부호화되는 입력 정보의 비트 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예를 들어 200~300 비트 이하인 경우, 그 부호화 성능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도 2의 예는 상기 L1 프리 시그널링에서 순수한 입력 정보의 비트 수가 41 비트 정도 밖에 되지 않아 그 입력 정보에 227 비트의 더미 비트를 더하고, 여기에 CRC(Cyclic Redundant Check) 32 비트를 추가하여 300 비트를 만든 후, 부호화를 통해 하나의 부호어를 생성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의 예는 41 비트의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와 32 비트의 CRC 정보를 포함한 73 비트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무려 227 비트를 더미 비트로 붙여서 전송하는 방식으로 매우 비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 정보의 부호화 방법은 도 2에서 설명한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202)와 함께 L1 고정 정보(203) 중에서 정해진 default 정보(이하, default L1 static 정보)를 부호화하여 제1 부호어를 생성하고, 상기 default L1 고정 정보를 제외한 추가적인 L1 고정 정보, L1 가변 정보, L1 동적 정보를 부호화하여 제2 부호어를 생성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부호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 중 하나인 상기 추가적인 L1 고정 정보는 경우에 따라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 정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L1 시그널링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경우 도 3에서 각각 참조 부호 302, 303, 307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와 함께 L1 고정 정보 중에서 default 정보를 추출하여 부호화하여 참조 번호 307과 같이 제1 부호어를 생성한다. 상기 L1 고정 정보에서 default 정보(303)의 예는 하기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L1 고정 정보를 제1 부호어의 부호화 입력으로 함께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더미 비트를 크게 줄임으로써 성능 향상을 취하기 위함이며, 상기 L1 고정 정보 중에서 default 정보(303)를 상기 제1 부호어의 입력 정보로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 제1 부호어의 입력 정보의 양 및 종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에서 참조 부호 304, 305, 306, 308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적인 L1 고정 정보, L1 가변 정보, L1 동적 정보를 부호화하여 참조 번호 308과 같이 제 2 부호어를 생성한다. 상기 추가적인 L1 고정 정보(304)는 경우에 따라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 정보이며 상기 추가적인 L1 고정 정보(304)는 하기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도 3에서 상기 제1 및 제2 부호어를 생성하는 부호화 방식으로는 LDPC 부호를 이용한 방식을 일 예로 예시하였다.
도 4는 도 3의 방식으로 부호화되는 제어 정보로서 제1 및 제2 부호어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참조 부호 403은 상기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 및 default L1 고정 정보의 예를 나타낸 표이다. 도 4의 <표 403>에서 참조 부호 406으로 도시된 화살표의 시작 지점에 해당하는 NUM_RF 필드는 시스템에서 하나의 PLP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RF의 개수를 가리킨다. 복수 개의 RF를 통해 하나의 PLP를 전송하는 기술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NUM_RF 필드는 1 보다 큰 값이 되지만, 하나의 PLP 가 하나의 RF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NUM_RF 값은 1 이 된다. 상기 NUM_RF의 개수에 따라 각 RF 주파수를 지시하는 주 RF_Frequence 가 존재하는 데 이는 통상적으로 32 비트가 할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 혹은 복수 개의 RF_Frequence 필드 중 그 첫 번째(1st) RF_Frequence 만 상기 제1 부호어에 포함시키고, 그리고 상기 NUM_RF가 1 보다 큰 경우에는 "NUM_RF-1" 만큼의 RF_Frequence 필드를 제2 부호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부호어의 입력 정보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부호어의 입력 정보의 비트 수 및 종류가 고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의 <표 403>에서 FEF 필드는 "추가 확장 프레임(Further Extension Frame)"이 사용되는지 아닌 지를 가리키는 필드이다. 상기에서 "Further Extension Frame"는 일부 프레임이 미래의 어떤 기술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정의한 프레임이다. 상기 FEF 필드가 0 이면 현재 시스템에 FEF 가 사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FEF필드가 1 이면 현재 시스템에서 FEF 가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FEF 필드 값이 1 이면, 도 4의 <표 404>의 아래 부분에 도시된 것처럼 추가로 상기 "Further Extension Frame"에 대한 여러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표 403>에서 알 수 있듯이 FEF 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만을 제1 부호어에 포함시키고, 상기 FEF 가 사용되는 경우 필요한 추가적인 L1 고정 정보는 제2 부호어 포함되도록 각 부호어의 입력 정보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부호어의 입력 정보의 비트 수 및 그 종류가 고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의 <표 405>는 Part II의 L1 가변 정보, L1 동적 정보의 필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501 단계에서 송신기는 현재 프레임의 제어 정보 즉, L1 시그널링 정보로서 P2 정보(L1 프리 시그널링, L1 고정, L1 가변, L1 동적 정보)를 생성한다. 502 단계에서 송신기는 상기 501 단계에서 제어 정보들 중에서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 및 default L1 고정 정보를 LDPC 부호화하여 하나의 부호화 블록(coded block)으로서 제1 부호어(Part Ⅰ)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503 단계에서 송신기는 상기 501 단계에서 생성한 제어 정보들 중에서 추가적인 L1 고정 정보가 있는 지를 판단한다. 송신기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L1 고정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504 단계로 진행하여, 가변(variable) 비트 수를 갖는 L1 가변(configurable) 정보, L1 동적 정보를 LDPC 부호화하여 하나의 부호화 블록으로서 하나의 부호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상기 504 단계에서 상기 L1 가변 정보와 상기 L1 동적 정보가 대용량의 비트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이를 복수 개의 부호화 블록 즉, 복수 개의 부호어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503 단계의 판단에 따라 추가적인 L1 고정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505 단계로 진행하여, L1 가변 정보 및 L1 동적 정보와 함께 상기 추가적인 L1 고정 정보를 LDPC 부호화하여 하나의 부호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상기 505 단계에서 상기 L1 가변 정보, L1 동적 정보의 합이 대용량의 비트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이를 복수 개의 부호어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504 단계 또는 505 단계의 동작이 완료된 후 송신기는 506 단계에서 다음 프레임으로 진행하여 상기한 과정을 반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1 단계에서 수신기는 미리 정해진 부반송파, 부호화율, 변조 방식을 통해 수신된 현재 프레임에서 제1 부호어의 부호화 블록(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블록)을 복호하여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 및 default L1 고정 정보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수신기는 602 단계에서 상기 601 단계에서 획득한 정보로부터 복수 개의 RF 또는 FEF가 사용되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602 단계의 판단은 추가적인 L1 고정 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상기 602 단계에서 추가적인 L1 고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경우 경우, 수신기는 603 단계로 진행하여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얻어낸 Part II 의 부반송파 위치, 부호화 율, 변조 방식을 통해 현재 수신된 프레임에서 Part II 의 제2 부호어를 수신한다. 수신기는 상기 Part II 의 제2 부호어로부터 L1 가변 정보와, L1 동적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602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L1 고정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신기는 604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얻어낸 Part II 의 제2 부호어의 부반송파 위치, 부호화율, 변조 방식을 통해 제2 부호어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기는 상기 제2 부호어로부터 추가적인 L1 고정 정보, L1 가변 정보, 그리고 L1 동적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수신기는 402 단계에서 다음 프레임으로 이동하여 상기한 과정을 반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송신기는 송신 데이터 버퍼(701), 스케쥴러(702), 제어 정보 생성부(703), LDPC 부호화부(704), 송신부(705) 및 제어부(70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송신기(700)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 즉, 물리 계층 시그널링 정보는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와, 가변 비트 수를 갖는 L1 가변 정보와 L1 동적 정보로 구분된다. 상기 L1 가변 정보와 L1 동적 정보는 L1 포스트 시그널링(L1-post signaling) 정보라고도 불리운다.
상기 송신 데이터 버퍼(701)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복수의 방송 서비스 채널을 통해 전송해야 할 서비스 데이터(즉 PLP)를 버퍼링하는 메모리이다. 상기 버퍼링되는 데이터에 대한 상태를 입력으로 받아 상기 스케쥴러(702)는 소정의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스케쥴링 동작은 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될 제어 정보로서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와 L1 가변 정보와 L1 동적 정보 등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스케률링 결과는 상기 제어 정보 생성부(703)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 정보 생성부(703)는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제어 정보 즉,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와 L1 가변 정보와 L1 동적 정보 등의 구체적인 필드 값들을 생성한다. 상기 제어 정보 생성부(703)로부터 생성된 제어 정보는 LDPC 부호화부(704)로 입력되어 도 5의 방법으로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를 하나의 부호화 블록(즉 LDPC 블록)을 생성하고,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블록으로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LDPC 블록은 송신부(705)로 입력되며, 상기 송신부(705)는 미리 정해진 부반송파 위치, 부호화율, 변조 방식으로 상기 LDPC 블록을 전송한다. 또한 도 7에서 제어부(706)도 5의 방법으로 LDPC 블록을 생성하고, 전송하도록 도 7의 송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수신기는 제어 정보 수신부(801), LDPC 복호부(802), 제어 정보 해석부(804) 및 제어부(803)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정보 수신부(801)는 미리 정해진 부반송파 위치, 부호화율, 변조 방식에 대응되는 방식으로 제어 정보, 즉 L1 프리 시그널링 정보와 L1 가변 정보와 L1 동적 정보를 포함하는 L1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도 7에서 상기 제어 정보 수신부(801)의 출력은 LDPC 복호부(802)로 입력되며, 상기 LDPC 복호부(802)는 도 6의 방법으로 LDPC 복호화 과정을 수행하여 그 복호된 정보를 제어 정보를 해석하는 제어 정보 해석부(804)로 출력한다. 도 8 에서 제어부(803)는 도 6의 방법으로 LDPC 블록이 수신되고, 복호화 되도록 도 8의 수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1.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프레임의 부호화 블록들에서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와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를 복호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는 무선 주파수(RF) 채널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 확장 프레임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 셀식별자(CELL ID),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 시스템 식별자(SYSTEM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의 전송에 사용되는 부반송파, 변조 방식, 부호화율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 계층 파이프(PLP)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RF) 채널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는 미래의 사용을 위해 예비된 확장 프레임(FEF)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블록들은 저밀도 패리티 검사(LDPC) 부호화 블록들인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9.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물리 계층 시그널링 정보가 포함된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한 정보를 정해진 부호화 방식으로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및
    상기 복호화부가 상기 물리 계층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를 복호하도록 제어하고, 그 복호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물리 계층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를 복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는 무선 주파수(RF) 채널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 확장 프레임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 셀식별자(CELL ID),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 시스템 식별자(SYSTEM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의 전송에 사용되는 부반송파, 변조 방식, 부호화율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 계층 파이프(PLP)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RF) 채널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14. 삭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비트 수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는 미래의 사용을 위해 예비된 확장 프레임(FEF)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프레임에서 부호화 블록들은 저밀도 패리티 검사(LDPC) 부호화블록들인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KR20130087495A 2013-07-24 2013-07-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90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7495A KR101490608B1 (ko) 2013-07-24 2013-07-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7495A KR101490608B1 (ko) 2013-07-24 2013-07-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651A Division KR101455393B1 (ko) 2008-03-03 2008-03-0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947A KR20130098947A (ko) 2013-09-05
KR101490608B1 true KR101490608B1 (ko) 2015-02-06

Family

ID=4945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7495A KR101490608B1 (ko) 2013-07-24 2013-07-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6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338A (ja) 2003-06-13 2005-01-06 Directv Group Inc デジタル放送および対話サービスのためのフレーミング構造
JP2006324815A (ja) 2005-05-17 2006-11-30 Nec Access Technica Ltd 通信装置、データ読出方法およびデータ読出プログラム
US20090103649A1 (en) 2007-10-22 2009-04-23 Nokia Corporation Digital Broadcast Signaling Metadata
US20090190677A1 (en) 2008-01-29 2009-07-30 Nokia Corporation Physical Layer and Data Link Layer Signalling in Digital Video Broadcast Preamble Symbo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338A (ja) 2003-06-13 2005-01-06 Directv Group Inc デジタル放送および対話サービスのためのフレーミング構造
JP2006324815A (ja) 2005-05-17 2006-11-30 Nec Access Technica Ltd 通信装置、データ読出方法およびデータ読出プログラム
US20090103649A1 (en) 2007-10-22 2009-04-23 Nokia Corporation Digital Broadcast Signaling Metadata
US20090190677A1 (en) 2008-01-29 2009-07-30 Nokia Corporation Physical Layer and Data Link Layer Signalling in Digital Video Broadcast Preamble Symb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947A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39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36347A (ko)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103019A (ko)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과 그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906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AU20132311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94744A (ko)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정보를 부호화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