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473B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473B1
KR101489473B1 KR20130053425A KR20130053425A KR101489473B1 KR 101489473 B1 KR101489473 B1 KR 101489473B1 KR 20130053425 A KR20130053425 A KR 20130053425A KR 20130053425 A KR20130053425 A KR 20130053425A KR 101489473 B1 KR101489473 B1 KR 101489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distan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34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33750A (en
Inventor
송진영
류화현
김도형
허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메프
Priority to KR20130053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473B1/en
Priority to PCT/KR2014/002662 priority patent/WO2014181964A1/en
Publication of KR20140133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7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4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텐츠제공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와 하나이상의 콘텐츠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과 콘텐츠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소정거리 내인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할 콘텐츠로서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추출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와 하나 이상의 콘텐츠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과 콘텐츠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에 의해 미리 설정된 소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콘텐츠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ent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content and extracting a content having a calculated distanc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s a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ent is calculat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content, and only the content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set by the calculated distan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have.

Description

콘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000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0002]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과 콘텐츠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거리 내인 콘텐츠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ontent to a user only by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a user terminal and the content an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일반적인 콘텐츠 추천방법 또는 홍보대상에 대한 콘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검색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A general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or a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 publicity target provides a variety of contents to a user through a network without a user performing a search operation.

특히 모바일 단말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즉각적인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푸시방식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도 한다.Especially, for mobile terminals, content is provided in a push method in order to prompt the user to react immediately.

그에 따라 최근에는 다양한 푸시 제공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특허 출원번호10-2010-0000576)은 사용자와 연관된 콘텐츠를 사용자단말에 표시할 수 있는 모바일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모바일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사용자의 취향이나 기호 또는 구매조건이 반영된 콘텐츠를 제공하지 못하고,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콘텐츠를 무분별하게 제공한다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various push delivery methods have recently been attempted. Prior Art Document (Korean Published Application No. 10-2010-0000576) i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push service capable of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user to a user terminal. However, the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push service " disclosed in this prior art documen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provide contents reflecting user taste, preference or purchase condition, and provides the same contents indiscriminately to all users .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와 하나 이상의 콘텐츠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과 콘텐츠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에 의해 미리 설정된 소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콘텐츠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which calculates a distance between a user terminal and contents us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nd one or more pieces of contents and provides only contents that exis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preset by the calculated distance And a system therefor.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콘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와 하나 이상의 콘텐츠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과 콘텐츠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소정거리 내인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할 콘텐츠로서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추출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ent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content and extracting a content having a calculated distanc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s a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콘텐츠제공서버는,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부;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와 하나 이상의 콘텐츠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과 콘텐츠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소정거리 내인 콘텐츠를 제공할 콘텐츠로서 추출하는 콘텐츠추출부; 그리고 추출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콘텐츠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 content extracting unit f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ent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content and extracting the content as a content to be provided with a content whose calculated dista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extrac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와 하나 이상의 콘텐츠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과 콘텐츠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에 의해 미리 설정된 소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콘텐츠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ent is calculat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content, Only the contents to be provided to the user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시스템의 콘텐츠제공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방법에서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erver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step of extracting contents in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시스템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단말(100)과 콘텐츠제공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0 and a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 As shown in FIG.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The network N may be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 value added network (VA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or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사용자단말(100)은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 등과 같은 포함한 위치수집수단이 포함되어 사용자의 위치를 수집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휴대용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r terminal 100 is preferably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collecting the location of the user by including position collecting means includ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the like.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a portable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to be portable and mobility.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a PHS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W-CDMA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nd the lik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또한 사용자단말(100)은 후술할 콘텐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서비스로부터 콘텐츠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Also, the user terminal 100 may receive contents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과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단말(100)에 콘텐츠 제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처리장치이다.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N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00.

이러한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면,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사용자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추출하고 사용자단말(100)에 제공한다.Upon receiving the content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extracts one or mor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extrac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00.

이하에서는 콘텐츠제공서버(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시스템의 콘텐츠제공서버를 나타내는 기능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위치정보획득부(210)를 포함한다.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server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10.

위치정보획득부(210)는 임의의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즉 위치정보획득부(21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단말(100)의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10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an arbitrary user terminal 100. 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1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user terminal 100 or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100.

이때 위치정보획득부(210)는 사용자단말(100)로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통지를 발송할 수 있다. 즉 위치정보획득부(210)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푸시메시지를 사용자단말(100)에 발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100)은 통지를 수신하면 통지를 수신한 때에 연산된 위치정보를 콘텐츠제공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10 may send a notification for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o the user terminal 100. 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10 may send a push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00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t a predetermined time. Upon receiving the notification, the user terminal 100 can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ed when the notification is receiv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0)에는 콘텐츠제공서버(200)로부터 통지를 수신하면 위치정보를 콘텐츠제공서버(200)로 전달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푸시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콘텐츠제공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 notification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n application programmed to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s installed,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upon receiving the push message.

또한 사용자단말(100)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정보를 콘텐츠제공서버(200)의 위치정보획득부(210)로 전달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단말(100)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위치수집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획득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may acquire positional information 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user when a preset time comes, and may transmit the acquired positional information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obtaining unit 210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 That is, the user terminal 100 can confir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by the position collecting unit and transmit the confirm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10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passed.

이에 따라, 위치정보획득부(21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사용자단말(100)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10 can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user terminal 100. [

또한 위치정보획득부(210)는 콘텐츠제공서버(200)에 등록된 사용자단말(10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주소정보 또는 사용자단말(100)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거래한 객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소정보는 사용자가 과거에 거래하였던 상품객체의 배송지 주소일 수 있는데, 그중에서 가장 최근에 이용된 주소, 또는 가장 자주 이용된 주소 등이 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10 may obtain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100 registe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or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transactio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of them can be extracted. For example, the address information of a user may be a shipping address of a merchandise object that the user has traded in the past, such as the most recently used address or the most frequently used address.

또한 예를 들어, 객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는, 사용자가 과거에 거래하였던 서비스객체의 제공자의 위치가 될 수 있다. 사용자의 서비스객체 거래 내역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may be the location of the provider of the service object that the user traded in the pas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obtained by referring to the service object transaction history of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콘텐츠추출부(220)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extracting unit 220.

콘텐츠추출부(220)는 위치정보획득부(210)에서 수집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추출한다. The content extracting unit 220 extracts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10. [

콘텐츠추출부(220)는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와 하나 이상의 콘텐츠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100)과 콘텐츠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소정거리 내인 콘텐츠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콘텐츠로서 추출할 수 있다.The content extracting unit 220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ntent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content, Can be extracted as contents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이를 위해 각각의 콘텐츠에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To this end,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content.

콘텐츠추출부(220)가 연산하는 사용자단말(100)과 콘텐츠 사이의 거리는 직선거리 또는 최단경로의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콘텐츠추출부(220)는 콘텐츠와 사용자단말(100)의 이동경로에 있는 대로, 다리, 터널 등과 같은 지형지물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실제거리보다 더 먼 거리로 연산되도록 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ntent, which is calculated by the content extracting unit 220, may be a straight line distance or a shortest path distance. In addition, for example, the content extracting unit 220 can calculate a distance to be longer than an actual distance by applying a weight to a feature such as a leg, a tunnel, or the like, as it is in the movement path of the content and the user terminal 100 .

여기서 콘텐츠추출부(220)는 위치정보획득부(210)로부터 수신 받은 위치정보를 활용하는데, 예를들어 객체의 배송지 주소를 GPS좌표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GPS좌표정보와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연산하여 그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Here, the content extracting unit 220 use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10. For example, the content extracting unit 220 converts the destination address of the object into GPS coordinat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istance.

또한 콘텐츠추출부(220)는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로 분류된 콘텐츠 중에서 소정거리 내의 거리를 갖는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extracting unit 220 can extract a content having a distanc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tent classified into the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여기서 카테고리는, 각 콘텐츠가 나타내는 객체의 내용에 따른 구분으로서, 예를 들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객체가 상품인지, 서비스인지에 따라 구분될 수 있고 또는 객체에 대응하는 업종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식당, 주점, 숙박 등의 업종별로 카테고리가 구분될 수 있다. 또는 카테고리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객체의 제공방식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객체를 제공받기 위해 제공자를 직접 방문해야 하는 경우와, 제공자가 객체를 직접 배달하는 경우, 또한 제공자가 객체를 택배업체를 통해 배송하는 경우에 대해 콘텐츠들이 각각 다른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Here, the category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object represented by each content, for example,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it is a product or a service, or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an industry corresponding to the object. For example, a category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a business type such as a restaurant, a pub, and a lodging. Or the category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nner of providing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he content may be divided into different categories for cases where the user has to visit the provider directly in order to receive the object, when the provider delivers the object directly, and when the provider delivers the object through the courier.

또한 콘텐츠추출부(220)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간대에 따라 다른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추출부(220)는 콘텐츠 제공시간이 점심시간인 12시라고 하면, 점심식사를 위한 식당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추출부(220)는 콘텐츠 제공시간이 저녁시간인 18시라고 하면, 회식을 위한 주점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추출부(220)는 콘텐츠 제공시간이 주말0시부터 24시라 하면 음식배달이 가능한 음식점을 비롯한 야식집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extracting unit 220 can extract the content of another category according to the time zone in which the content is provided. For example, the content extracting unit 220 may extract the content of the restaurant category for lunch when the content providing time is 12 o'clock, which is the lunch time. Also, if the content extracting unit 220 regards the content providing time as 18 o'clock in the evening,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content of the main category for drinking. Then, the content extracting unit 220 can extract the content of the nightclub collection category including the restaurant where the food delivery is possible when the content providing time is from 0 to 24 hours on the weekend.

이때 소정거리는 카테고리별로 달리 설정되거나,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일정범위 내의 콘텐츠 밀집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category, or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tent density within a certain range centering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예를 들어 콘텐츠추출부(220)는 사용자가 콘텐츠제공자를 직접 방문해야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소정거리를 500m로 설정하고, 콘텐츠제공자가 객체를 직접 배달하는 카테고리의 대해서는 소정거리 3km로 설정하며, 콘텐츠제공자가 객체를 배송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소정거리를 10km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extracting unit 220 sets a predetermined distance of 500 m for the content of the category in which the user directly visits the content provider, sets a predetermined distance of 3 km for the category in which the content provider directly delivers the object, The content of the category in which the provider delivers the object can be set to a predetermined distance of 10 km.

또한 콘텐츠추출부(220)는 콘텐츠밀집도가 높은 경우 소정거리를 짧게 설정하고, 밀집도 낮은 경우는 소정거리를 길게 설정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ent extracting unit 220 may set a predetermined distance shorter when the content density is high, and may set a predetermined distance longer when the density is low.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콘텐츠제공부(230)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providing unit 230.

콘텐츠제공부(230)는 콘텐츠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콘텐츠를 사용자단말(100)에 전송한다. 이때 추출된 콘텐츠는 각각 독립된 콘텐츠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unit 230 transmits the content extracted by the content extracting unit 220 to the user terminal 100. At this time, the extracted contents may be composed of independent contents layers. At this time, th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mage data, text data, and video data.

이러한 콘텐츠는 사용자단말(100)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 위에 플로팅 방식으로 표시되는 별개의 레이어 또는 표시순서가 정해진 복수의 서브콘텐츠를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콘텐츠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ntent may be composed of a separate layer displayed in a floating manner on a screen currently displayed in the user terminal 100 or a single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contents arranged in a sequential order.

콘텐츠추출부(230)는 복수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고, 각각의 콘텐츠를 별도의 콘텐츠 레이어로 구성하거나 각각을 서브콘텐츠로 하는 하나의 콘텐츠로 구성할 수 있다.The content extracting unit 230 may extract a plurality of contents, and each content may be constituted by a separate content layer or may be constituted by one content each as a sub-conten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제공서버(200)는 포인트관리부(240)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int management unit 240.

포인트관리부(240)는 콘텐츠추출부(230)에서 추출된 콘텐츠를 사용자단말(100)이 수신하거나, 사용자단말(100)로부터 미리 정해진 동작이 발생하면 사용자단말(100)의 보유포인트에 포인트를 추가 적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0)이 보유하고 있는 포인트는 500포인트이고, 콘텐츠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적립되는 포인트가 100포인트라고 가정한다면, 사용자단말(100)이 추출된 콘텐츠를 수신할 경우, 100포인트가 추가 적립되어 사용자단말(100)의 보유포인트는 총 600포인트가 될 수 있다.The point management unit 240 adds a point to the holding point of the user terminal 100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content extracted by the content extracting unit 230 or 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accumulated.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point held by the user terminal 100 is 500 points and the point accumulated by receiving the contents extracted by the contents extraction unit 220 is 100 points, if the user terminal 100 extracts the extracted contents The user terminal 100 may have a total of 600 point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제공서버(200)는 객체거래부(250)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trading unit 250.

객체거래부(250)는 포인트관리부(240)에서 적립한 사용자단말(100)의 보유포인트를 이용한 객체의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포인트를 이용한 거래 대상이 되는 모든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객체 각각에 대해서는 객체명, 객체 이미지, 거래포인트 등이 따로 저장될 수 있다.The object trading unit 250 can mediate a transaction of an object using the holding point of the user terminal 100 accumulated in the point management unit 240. [ Here, an object can be anything that is a transaction target using points. Also, object names, object images, transaction points, etc. can be stored separately for each object.

또한 객체거래부(250)는 사용자단말(100)의 보유포인트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속하는 거래포인트로 갖는 객체들을 포함하는 객체리스트를 추출하여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object trading unit 250 may extract an object list including objects having transaction points belonging to a certain range from the holding points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provide the object list to the user terminal 10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S11). 이때 S11단계에서 콘텐츠제공서버(200)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도래하면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Firs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obtai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100 (S11). At this time, in step S11,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an acqui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when the predetermined time comes.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시간에 콘텐츠제공서버(200)가 사용자단말(100)로 위치정보 획득을 위한 통지를 발송하거나, 또는 사용자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정해진 시간에 실행되어 위치정보를 연산한 후 콘텐츠제공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at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sends a notice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is executed at a predetermined time,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이후 콘텐츠제공서버(200)는 획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콘텐츠를 추출한다(S12). 이때 콘텐츠는 콘텐츠제공자로부터 수주하여 콘텐츠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될 수 있고, 각각의 콘텐츠에는 위치정보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extracts a pre-stor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S12). At this time, the content may be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er and stored in advance in the content databas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content.

또한 S12단계에서는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와 하나 이상의 콘텐츠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100)과 콘텐츠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소정거리 내인 콘텐츠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콘텐츠로서 추출할 수 있다.Also, in step S12,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ntent is calculat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contents, As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이후 S12단계에서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추출한 콘텐츠를 사용자단말에 전송한다(S13). 이때 추출된 콘텐츠는 각각 독립된 콘텐츠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12,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transmits the extrac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S13). At this time, the extracted contents may be composed of independent contents layers. At this time, th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mage data, text data, and video data.

나아가 상술한 콘텐츠레이어 또는 복수의 서브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된 콘텐츠 또는 서브콘텐츠에 터치 입력을 가하면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로 하이퍼링크 되거나, 콘텐츠 일측에 콘텐츠 제공자의 ‘위치보기’ 또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전화걸기’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ent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tent layer or a plurality of sub-contents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preset user input.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to a displayed content or a sub-content, the content may be hyperlinked to a web page associated with the content, or a 'location view' of the content provider or a 'dialing' button may be provided to the content provider.

S13단계에서 콘텐츠제공서버(200)가 추출된 콘텐츠를 사용자단말(100)에 전송하면, 추출된 콘텐츠를 수신한 사용자단말(100)의 보유포인트에 포인트를 추가 적립할 수 있다(S14). 또한 S13단계에서 콘텐츠와 함꼐 제공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설정된 동작이 발생하면 사용자단말(100)의 보유포인트에 포인트를 추가 적립할 수도 있다(S14).In step S13, wh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transmits the extrac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can additionally add points to the holding point of the user terminal 100 receiving the extracted content (S14). If a predetermined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provided with the content in step S13, a point may be additionally accumulated in the holding point of the user terminal 100 (S14).

또한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객체거래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단말(100)의 보유포인트와 대응되는 객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Als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generate an object list corresponding to the holding point of the user terminal 100 when an object transa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

또한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객체리스트에 포함된 임의의 객체에 대한 거래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단말(100)의 보유포인트로부터 객체의 거래포인트를 차감할 수 있다(S15). Als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deduct a transaction point of an object from a holding point of the user terminal 100 when a transaction request for an arbitrary object included in the object li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S15 ).

한편 사용자단말(100)은 S15단계에서 사용자단말(100)의 보유포인트에서 거래포인트를 차감하고 연산하여 남은 포인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현재의 포인트 현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15, the user terminal 100 may subtract the transaction point from the holding point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calculate the remaining points to display the current point status on the screen.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0)은 사용자단말(100)의 보유포인트가 600포인트이고, 객체의 거래 포인트가 500포인트라고 가정한다면, 보유포인트에서 거래포인트를 차감한 100포인트가 사용자단말(100)의 보유포인트임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user terminal 100 has a holding point of 600 points and the transaction point of the object is 500 points, the user terminal 100 has 100 points, It can display on the screen that it is a holding point.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방법에서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step of extracting contents in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과 콘텐츠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S21). 이때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과 콘텐츠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기 위해서 사용자단말(100)의 위치를 획득하고, 각각의 콘텐츠의 위치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an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ntent (S21). At this tim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acquire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o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ntent, and may stor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content in advance.

즉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와 하나 이상의 콘텐츠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100)과 콘텐츠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an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ontent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contents.

이때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수신한 현재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단말(100)의 객체 구매 이력으로부터 획득한 정보일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100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or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urchase history of the user terminal 100.

따라서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면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와 위치정보가 저장된 콘텐츠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는데, 사용자단말(100)과 콘텐츠의 직선거리 또는 최단경로의 거리를 추출하여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콘텐츠와 사용자단말(100)의 이동경로에 있는 대로, 다리, 터널 등과 같은 지형지물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실제거리보다 더 먼 거리로 연산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it can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tored content. The straight distance or the distance of the shortest path can be extracted and calculated. For exampl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calculate a distance to be longer than an actual distance by applying a weight to a feature such as a bridge, a tunnel, and the like, as the content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terminal 100 are.

콘텐츠제공서버(200)는 S21단계에서 연산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소정거리 내인 콘텐츠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콘텐츠로서 추출할 수 있다(S22).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an extract the content whose distance calculated in step S21 is within a preset distance as a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S22).

또한 콘텐츠제공서버(200)는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로 불류된 콘텐츠 중에서 소정거리 내의 거리를 갖는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an extract a content having a distanc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tent added to the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여기서 카테고리는, 각 콘텐츠가 나타내는 객체의 내용에 따른 구분으로서, 예를 들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객체가 상품인지 서비스인지에 따라 구분될 수 있고 또는 객체에 대응하는 업종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Here, the category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object represented by each content, for example, depending on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s a goods or a service, or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an industry corresponding to the object.

이때 소정거리는 카테고리별로 달리 설정되거나, 사용자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일정범위 내의 콘텐츠 밀집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category, or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tent density within a certain range centering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한편 콘텐츠제공서버(200)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간대에 따라 다른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can extract contents of different categories according to the time zone in which the contents are provid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0 : 사용자단말
200 : 콘텐츠제공서버 210 : 위치정보획득부
220 : 콘텐츠추출부 230 : 콘텐츠제공부
240 : 포인트관리부 250 : 객체거래부
10: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User terminal
200: content providing server 210: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20: content extracting unit 230: content providing unit
240: point management unit 250: object transaction unit

Claims (15)

복수의 사용자단말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와 하나 이상의 콘텐츠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과 콘텐츠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소정거리 내인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할 콘텐츠로서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추출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로 분류된 콘텐츠 중에서 상기 소정거리 내의 거리를 갖는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A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a content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ent is calculat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content and the content having the calculated distanc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s extracted as a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step; And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extracting comprises:
Extracting a content having a distance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tent classified into the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quiring of the position information comprises: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제공서버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거래한 객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quiring of the position information comprises:
Extracting at least one of address information of a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registe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or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bject traded by a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과 콘텐츠 사이의 직선거리 또는 최단경로의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racting comprises:
And calculating a distance of a straight line or a shortest pa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거리는,
상기 카테고리별로 달리 설정되는, 콘텐츠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he content is set differently for each of the categor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거리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일정범위 내의 콘텐츠 밀집도에 따라 설정되는, 콘텐츠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et in accordance with a content density within a certain range arou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콘텐츠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에 대하여 포인트를 적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earning points for the user terminal that received the content.
복수의 사용자단말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서버로서,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부;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와 하나 이상의 콘텐츠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과 콘텐츠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소정거리 내인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추출부; 그리고
추출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추출부는,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로 분류된 콘텐츠 중에서 상기 소정거리 내의 거리를 갖는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제공서버.
A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a content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A content extracting unit f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ent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content and extracting a content whose calculated distance is within a preset distance; And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extrac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tent extracting unit
And extracts content having a distance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tent classified into the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획득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콘텐츠제공서버.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s,
And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획득부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주소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거래한 객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콘텐츠제공서버.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s,
And extracts at least one of address information of a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registe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or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bject traded by a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추출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과 콘텐츠 사이의 직선거리 또는 최단경로의 거리를 연산하는, 콘텐츠제공서버.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ent extracting unit
And calculates a distance of a straight line or a shortest path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ent.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거리는,
상기 콘텐츠의 카테고리에 따라,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일정범위 내의 콘텐츠 밀집도에 따라 추출하는, 콘텐츠제공서버.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edetermined distance,
And extract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the content or the content density of the content within a certain range arou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에 콘텐츠를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단말에 대하여 포인트를 적립하는 포인트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제공서버.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rver comprises:
And a point management unit for accumulating points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contents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KR20130053425A 2013-05-10 2013-05-1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KR1014894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3425A KR101489473B1 (en) 2013-05-10 2013-05-1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PCT/KR2014/002662 WO2014181964A1 (en) 2013-05-10 2014-03-28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nd system fo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3425A KR101489473B1 (en) 2013-05-10 2013-05-1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750A KR20140133750A (en) 2014-11-20
KR101489473B1 true KR101489473B1 (en) 2015-02-09

Family

ID=5245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3425A KR101489473B1 (en) 2013-05-10 2013-05-1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47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628A (en)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이루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price information based on mobility
KR20120017270A (en) * 2010-08-18 2012-02-28 전화성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rder using mobile communiation terminal
KR20120076569A (en) * 2010-12-02 2012-07-09 주식회사 위니소프트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food by position-based
KR20120087594A (en) * 2011-01-28 2012-08-07 (주)와이제이인터와이드 Location based mobile trad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628A (en)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이루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price information based on mobility
KR20120017270A (en) * 2010-08-18 2012-02-28 전화성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rder using mobile communiation terminal
KR20120076569A (en) * 2010-12-02 2012-07-09 주식회사 위니소프트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food by position-based
KR20120087594A (en) * 2011-01-28 2012-08-07 (주)와이제이인터와이드 Location based mobile tra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750A (en)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5278B2 (en) Mobile device detection and engaging
US9892449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524502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s recorded
US20120054035A1 (en) Internet telematics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and social information
KR101823587B1 (en) Method for providing calender service synchronized with other application
KR20120087273A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service of adaptive client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KR101760308B1 (en)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reward to device on the basis device position information, and device thereof
US9313654B2 (en) WI-FI direct-based message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KR101564700B1 (en) Method for porviding real-estate trading service
KR1022761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ales data
KR101779196B1 (en) Ser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evaluation information of store and device for receiving evaluation information
KR101533597B1 (en) Method for sharing product information and shopping mall server
KR101648102B1 (en) User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Real Estate Web Service
KR10148947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S201900574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or Modifying Electronic Shopping Lists from Digital Advertisements
US20140164127A1 (en) Information delivery device and information delivery method
KR101760083B1 (en) Method for providing substitute driver service
KR1016280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keywords of interest
KR20130064436A (en) Server and method for searching contents based on friend recommendation, and device
KR1022039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KR10147664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KR1021288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101932797B1 (en) Method for providing searched information based on user location and system thereof
KR20140133753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bject lists
JP7019140B2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nformation provision server,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