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002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002B1
KR101489002B1 KR20080095030A KR20080095030A KR101489002B1 KR 101489002 B1 KR101489002 B1 KR 101489002B1 KR 20080095030 A KR20080095030 A KR 20080095030A KR 20080095030 A KR20080095030 A KR 20080095030A KR 101489002 B1 KR101489002 B1 KR 101489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main body
display device
forming
rear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950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5723A (en
Inventor
한동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95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002B1/en
Publication of KR20100035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7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0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display device.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캐비닛과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배면 캐비닛이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전면 캐비닛과 상기 배면 캐비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둘레 외관을 형성하는 투명 재질의 중간 캐비닛이 포함되며, 상기 중간 캐비닛에는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가 포함되고, 상기 배면 캐비닛에는 상기 외측부의 내측 방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부품이 외부로 보이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부가 포함된다.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front cabinet forming a front surface and a rear cabinet forming a rear surface; And a transparent intermediate cabinet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binet and the rear cabinet to form a peripheral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intermediate cabinet includes an outer portion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main body, And a blocking portion which is located in an inner room of the outer side and blocks the internal parts of the main body from being seen outside.

디스플레이 display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device}[0001]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는 화상을 시청하는 장치로서, 근래 들어서는 거의 2차원 평면으로 그 형상이 가능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다수 출시되고 있다. 이들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실내공간을 차지하는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볍고, 취급이 편리하기 때문에, 소비자로부터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general, a display device is an apparatus for viewing an image, and in recent years, a large number of flat display devices capable of being shaped in a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plane have been released. These flat-panel display devices have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consumers because they occupy an indoor space, are small in volume, light in weight, and easy to handle.

근래에 들어서는 외관 디자인을 수려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Recently, a display device has been proposed which improves the beauty of the user by enhancing appearance design.

본 실시예의 목적은, 투명 재질의 캐비닛이 외관 일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display device in which a transparent cabinet makes a part of an outer appearance so as to improve an aesthetics.

본 실시에의 다른 목적은 투명 재질의 캐비닛을 통하여 내부 부품이 보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prevents internal components from being seen through a transparent cabinet.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캐비닛과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배면 캐비닛이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전면 캐비닛과 상기 배면 캐비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둘레 외관을 형성하는 투명 재질의 중간 캐비닛이 포함되며, 상기 중간 캐비닛에는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가 포함되고, 상기 배면 캐비닛에는 상기 외측부의 내측 방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부품이 외부로 보이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부가 포함된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front cabinet forming a front surface and a rear cabinet forming a rear surface; And a transparent intermediate cabinet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binet and the rear cabinet to form a peripheral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intermediate cabinet includes an outer portion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main body, And a blocking portion which is located in an inner room of the outer side and blocks the internal parts of the main body from being seen outside.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투명 재질의 중간 캐비닛이 본체의 둘레 외관을 형성하므로,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since the intermediate cabinet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forms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esthetic feeling is improved.

또한, 배면 캐비닛에서 연장된 가림부가 상기 중간 캐비닛의 외측부 내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본체 내부의 부품이 상기 외측부를 통하여 외부로 보이는 현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Also, since the cover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ar cabinet is located inside the out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cabinet, the appearance of the components inside the cabinet through the outer portion is prevent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기(1)에는, 디스플레이 기기 본체(5)와, 상기 본체(5)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5)를 지지하는 스탠드(8)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device body 5 and a stand 8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5 to support the main body 5.

상기 스탠드(8)는 상기 본체가 바닥면에 대해서 소정 높이로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5)는 스탠드 외에 벽걸이형 지지장치에 의해서 벽 등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tand 8 supports the main body 5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floor, and the main body 5 may be installed on a wall or the like by a wall-mounted support device in addition to the stand.

상기 본체(5)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캐비닛(10)과,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배면 캐비닛(20)과, 상기 전면 캐비닛(10)과 배면 캐비닛(20)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본체(10)의 둘레 외관을 형성하는 중간 캐비닛(30)과, 상기 전면 캐비닛(10)과 상기 배면 캐비닛(20) 사이 공간에 구비되어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이 포함된다. The main body 5 is provided with a front cabinet 10 for forming a front surface and a rear cabinet 20 for forming an outer surface of a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0. The front cabinet 10 is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cabinet 10 and the rear cabinet 20, And a display module 40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front cabinet 10 and the rear cabinet 20 to display an image.

상기 전면 및 배면 캐비닛(10, 20)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캐비닛(30)은 미감의 향상을 위하여 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The front and rear cabinets 10 and 20 are made of an opaque material, and the intermediate cabinet 3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improve aesthetics.

그리고, 상기 중간 캐비닛(30)는 상기 본체(10)의 네 둘레면의 외관을 형성한다. 즉, 상기 중간 캐비닛(30)은 상기 본체(10)의 상하면 및 양측면의 외관 일부를 형성한다. Further, the intermediate cabinet 30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fou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That is, the intermediate cabinet 30 forms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수직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수평 단면도이다. FIG.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3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 캐비닛(10) 및 배면 캐비닛(20)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캐비닛(30)이 위치되어 상기 본체(5)의 외관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중간 캐비닛(30)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면 캐비닛(10) 또는 상기 배면 캐비닛(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체결될 수 있다. 2 and 3, the intermediate cabinet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cabinet 10 and the rear cabinet 20 to form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5, as described above. The intermediate cabinet 30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cabinet 10 and the rear cabinet 20, though not shown.

일 례로, 상기 배면 캐비닛(20)에서 체결되는 체결 부재가 상기 중간 캐비닛(30)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 캐비닛(10)에 형성된 체결 보스에 체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rear cabinet 20 may pass through the intermediate cabinet 30 and be fastened to a fastening boss formed in the front cabinet 10.

상기 중간 캐비닛(30)에 의해서 상기 전면 캐비닛(10)의 배면 테두리부(11)와 배면 캐비닛(20)의 전면 테두리부(21)는 이격된다.The rear edge 11 of the front cabinet 10 and the front edge 21 of the rear cabinet 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intermediate cabinet 30.

상기 중간 캐비닛(30)에는 상기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31)와 상기 외측부(31)에서 절곡 형성되는 내측부(32)가 포함된다. The intermediate cabinet 30 includes an outer side portion 31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main body 10 and an inner side portion 32 formed by bending the outer side portion 31.

그리고, 상기 배면 캐비닛(20)에는 상기 외측부(31)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외측부(31)를 통하여 상기 본체(5)의 내부 구조물이 외부로 보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가림부(22)가 포함된다. The rear cabinet 20 includes a shielding portion 22 positioned inside the outer side portion 31 to prevent the inner structure of the main body 5 from being seen through the outside side portion 31 .

상세히, 상기 중간 캐비닛(30)은 투명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전면 캐비닛(10)과 상기 배면 캐비닛(20)의 결합을 위한 체결 보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In detail, since the intermediate cabinet 3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 coupling boss or a display module 40 for coupling the front cabinet 10 and the rear cabinet 20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이러한 경우 상기 투명 재질의 중간 캐비닛(30)에 의해서 상기 본체(10)의 전체적인 외관은 수려해질 수 있으나, 상기 중간 캐비닛(10)을 통하여 내부 부품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미감이 줄어들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main body 10 can be enhanced by the transparent intermediate cabinet 30, but since the internal components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termediate cabinet 10, hav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면 캐비닛(20)에 가림부(22)를 형성하여 상 기 중간 캐비닛(30)의 외측부(31)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외측부(31)에서 상기 본체(5) 내측의 부품이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ing portion 22 is formed in the rear cabinet 20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outer side portion 31 of the intermediate cabinet 30, ) Make sure that the inner part is not visible to the outside.

즉, 상기 배면 캐비닛(20)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므로, 불투명 재질의 가림부(22)에 의해서 상기 본체(5) 내측의 부품이 외부로 보이지 않게 된다. That is, since the back cabinet 20 is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the inside of the main body 5 is not visible to the outside by the opaque closure part 22.

상기 가림부(22)는 상기 배면 캐비닛(2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즉, 상기 전면 캐비닛(20)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가림부(22)는 상기 배면 캐비닛(20)의 둘레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The covering portion 22 extends integrally from the front of the rear cabinet 20 toward the front, that is, toward the front cabinet 20. The shielding portion 22 is formed around the entire periphery of the rear cabinet 20.

이와 같이 상기 가림부(22)가 상기 배면 캐비닛(20)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므로, 저렴한 비용에 의해서 상기 본체(5)의 내부 부품이 외부로 보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cover 22 extends integrally from the back cabinet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nal parts of the main body 5 from being seen from outside due to low cost.

이와 달리 상기 가림부(22)는 상기 배면 캐비닛(20)과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배면 캐비닛(20)과 결합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blocking portion 22 may be separately formed from the rear cabinet 20 and coupled with the rear cabinet 20.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배면 캐비닛(20)과 상기 전면 캐비닛(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림부(22)는 상기 외측부(31)와 상기 내측부(32) 사이에 위치한다. The shielding portion 22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side portion 31 and the inner side portion 32 in a state where the rear cabinet 20 and the front cabinet 10 are coupled.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투명 재질의 중간 캐비닛(30)이 본체(5)의 둘레 외관을 형성하므로,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intermediate cabinet 3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ms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5,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esthetics can be improved.

또한, 배면 캐비닛에서 연장된 가림부가 상기 중간 캐비닛의 외측부 내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본체 내부의 부품이 상기 외측부를 통하여 외부로 보이는 현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Also, since the cover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ar cabinet is located inside the out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cabinet, the appearance of the components inside the cabinet through the outer portion is prevent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수직 측단면도.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수평 단면도. 3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laims (5)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캐비닛과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배면 캐비닛이 구비되는 본체; 및 A main body having a front cabinet forming a front surface and a rear cabinet forming a rear surface; And 상기 전면 캐비닛과 상기 배면 캐비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둘레 외관을 형성하는 투명 재질의 중간 캐비닛이 포함되며, And a transparent intermediate cabinet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binet and the rear cabinet to form a peripheral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중간 캐비닛에는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 및 상기 외측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부가 포함되고, Wherein the intermediate cabinet includes an outer portion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main body and an inner portion located inside the outer portion, 상기 배면 캐비닛에는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부품이 외부로 보이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Wherein the rear cabinet includes a shielding portion located between the outer side portion and the inner side portion to block an inner part of the main body from being seen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림부는 상기 배면 캐비닛과 일체로 형성되며, Wherein the block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cabinet, 상기 배면 캐비닛에서 상기 전면 캐비닛을 향하여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And extends from the rear cabinet toward the front cabine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림부를 포함하는 중간 캐비닛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The intermediate cabinet including the blocking portion is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림부는 상기 배면 캐비닛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And the block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rear cabine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중간 캐비닛은 상기 전면 캐비닛 또는 배면 캐비닛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Wherein the intermediate cabinet is coupled to the front cabinet or rear cabinet.
KR20080095030A 2008-09-29 2008-09-29 Display device KR1014890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5030A KR101489002B1 (en) 2008-09-29 2008-09-2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5030A KR101489002B1 (en) 2008-09-29 2008-09-29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723A KR20100035723A (en) 2010-04-07
KR101489002B1 true KR101489002B1 (en) 2015-02-02

Family

ID=4221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5030A KR101489002B1 (en) 2008-09-29 2008-09-29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00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912U (en) * 1998-10-02 1999-01-25 손재설 Sine member
KR20000005759U (en) * 1998-09-02 2000-04-06 구자홍 Dual cabinet unit of monitor
KR20000019613U (en) * 1999-04-16 2000-11-15 구자홍 Structure for cabinet assembly in video display apparatus
JP2008052124A (en) 2006-08-25 2008-03-06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Attachment structure for protective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759U (en) * 1998-09-02 2000-04-06 구자홍 Dual cabinet unit of monitor
KR19990003912U (en) * 1998-10-02 1999-01-25 손재설 Sine member
KR20000019613U (en) * 1999-04-16 2000-11-15 구자홍 Structure for cabinet assembly in video display apparatus
JP2008052124A (en) 2006-08-25 2008-03-06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Attachment structure for protective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723A (en)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94873S1 (en) Image for display panel or screen
USD836581S1 (en) Collaboration unit
USD837172S1 (en) Collaboration unit
USD651464S1 (en) Gas cooktop and/or grate thereof
USD590407S1 (en) Computer generated image for display panel
USD620311S1 (en) Display panel for cooking appliance
USD696477S1 (en) Lighted dishwasher door
USD950550S1 (en) Portable display set
USD889429S1 (en) Speaker
USD636098S1 (en) Access floor panel
USD637897S1 (en) Mounting bracket useful for ceiling grid systems
CA115226S (en) Display screen
USD636099S1 (en) Grate access floor panel
USD569012S1 (en) Ceiling and wall decorative panel
USD741032S1 (en) Dishwasher control panel
USD618062S1 (en) Dry condiment dispenser
USD570851S1 (en) Front panel for an electronic cabinet
USD806898S1 (en) Frame member for a door assembly
USD622857S1 (en) Electronic display unit
USD653868S1 (en) Chair
US20110108303A1 (en) Decorative cover for wall mounted device
KR101489002B1 (en) Display device
USD967850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538806S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enclosure
USD622856S1 (en) Electronic display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