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498B1 -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498B1
KR101488498B1 KR20130056596A KR20130056596A KR101488498B1 KR 101488498 B1 KR101488498 B1 KR 101488498B1 KR 20130056596 A KR20130056596 A KR 20130056596A KR 20130056596 A KR20130056596 A KR 20130056596A KR 101488498 B1 KR101488498 B1 KR 101488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lock
image
pixel
waveform informa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6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620A (ko
Inventor
정세윤
최진수
김동형
정원식
문경애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30070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을 효율적으로 부호화하는 부호화 장치 및 효율적으로 부호화된 영상을 복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영상을 제1 영상 블록 및 제2 영상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하는 입력 영상 분할부,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 중에서 복수의 화소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화소들 간의 화소값의 차에 기반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제1 파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 간의 화소값의 차에 기반하여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제2 파형 정보를 생성하는 파형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1 파형 정보 및 상기 제2 파형 정보의 차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상 블록에 포함된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영상을 효율적으로 부호화 하여 부호화된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부호화된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APPARATUS FOR CODING OR DECODING INTRA IMAGE BASED ON LINE INFORMATION OF REFERENCE IAMGE BLOCK}
본 발명은 화면내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을 효율적으로 부호화하는 부호화 장치 및 효율적으로 부호화된 영상을 복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 2007-S-005-01, 과제명 : AV코덱 고도화를 통한 리치미디어 방송 기술개발].
현재, 그리고 미래의 통신 환경은 유선과 무선의 영역 구분이나, 지역과 국가의 구분을 초월할 만큼 급변하고 있으며, 특히 영상과 음성은 물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방향으로 구축되는 추세이다. 동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가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영상을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이동 통신망의 구현이 상용화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영상 부호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입력 영상(110)은 인터 예측(120)과 인트라 예측(121)이 모두 수행된다. 스위치(140)는 인터 예측(120)과 인트라 예측(121) 방식 중에서 우수한 예측 방식을 선택한다. 인터 예측(120) 또는 인트라 예측(121)으로 얻어진 예측 영상과 입력 영상(110)의 차이 영상은 DCT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130)과 양자화(150)를 거쳐 엔트로피 부호화(160)된다. 또한 이 부호화기에서 역양자화(151), 역DCT변환(Inverse DCT)(131)을 통해 복원된 차이 영상은 인터 예측(120) 또는 인트라 예측(121)으로 얻어진 예측 영상과의 합을 통해 복원된 영상이 얻어지고 이 복원된 영상은 인트라 예측(121)에 활용되며, 복원된 영상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170) 처리된 영상은 인터 예측(120)에 활용된다.
이러한 상용화 과정에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양자화, 가변장부호화 등 특수한 디지털 처리를 한 다음, 이를 디지털 정보에 포함하여 송신하고, 수신되는 단말기에서 이를 복호화 함으로써 빠른 전송 속도와 보다 풍부한 정보량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압축 기술의 발달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동영상 압축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인트라 예측 모드(Intra Prediction Mode) 방식, 인터 예측 모드(Inter Prediction Mode) 방식 등이 제안되어 실현되고 있다. 특히, 인트라 예측 모드는 시간적 상관성을 이용하지 않고 순수하게 영상 프레임 내의 자체 정보만을 이용하여 예측하는 방법이다. 정확한 예측을 할수록 코딩하고자 하는 원 블록과의 중복성(redundancy)이 커지며, 실제 전송할 때에는 원 블록에서 중복성을 제거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양을 최소화함으로써 압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H.264 부호화 표준은 이전과는 다른 여러 부호화 도구들을 사용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 새롭게 사용되고 있는 부호화 도구들 중 하나인 인트라 예측 부호화는 인트라 블록을 부호화함에 있어 공간적 상관도를 이용하여 부호화 대상 블록을 예측한 후, 예측값과 실제 화소값의 오차(residual) 신호만을 부호화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인트라 예측에는 4 x 4 블록단위의 인트라 예측, 8 x 8 블록단위의 인트라 예측, 및 16 x 16 블록단위의 인트라 예측이 있다. 4 x 4 블록단위의 인트라 예측 및 8 x 8 블록단위의 인트라 예측에는 9개의 예측 모드가 사용되고, 16 x 16 블록단위의 인트라 예측에는 4개의 예측 모드가 사용되며, 오차 신호와 함께 예측에 사용되는 상기 예측 모드를 정보와 함께 부호화한다.
예측값과 실제 화소값의 차가 적다면, 동일한 비트로 고화질의 영상을 부호화할 수 있다. 더 적은 비트로 동일한 영상을 부호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화소값과 오차가 적은 예측 값을 생성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및 상기 부호화 장치에 의하여 부호화된 영상을 복호화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영상을 효율적으로 부호화 하여 부호화된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부호화된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 영상을 제1 영상 블록 및 제2 영상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하는 입력 영상 분할부, 상기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 중에서 복수의 화소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화소들 간의 화소값의 차에 기반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제1 파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 간의 화소값의 차에 기반하여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제2 파형 정보를 생성하는 파형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1 파형 정보 및 상기 제2 파형 정보의 차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상 블록에 포함된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참조 영상 블록에 포함된 참조 화소들 간의 화소값의 차에 기반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하는 참조 블록 파형 정보 생성부, 상기 참조 블록 파형 정보 및 기준 화소의 화소값에 기반하여 예측 화소값을 생성하는 예측 화소값 생성부 및 상기 예측 화소값에 기반하여 대상 영상 블록(target image block)에 포함된 영상을 복호하는 복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입력 영상을 참조 영상 블록 및 대상 영상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하는 입력 영상 분할부, 상기 참조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 중에서 복수의 참조 화소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참조 화소들 간의 화소값의 차에 기반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하는 참조 블록 파형 정보 생성부, 상기 참조 블록 파형 정보 및 기준 화소값에 기반하여 예측 파형 정보를 생성하는 예측 파형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예측 파형 정보와 상기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부호화 화소들의 화소값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영상을 효율적으로 부호화 하여 부호화된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부호화된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부호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조 블록 파형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참조 영상 블록에 포함된 기준 화소의 화소값에 기반하여 대상 영상 블록을 부호화하는 종래의 부호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참조 영상 블록의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영상 블록을 부호화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200)는 입력 영상 분할부(210), 파형 정보 생성부(220) 및 부호화부(230)를 포함한다.
입력 영상 분할부(210)는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한다. 복수의 영상 블록에는 제1 영상 블록 및 제2 영상 블록이 포함된다.
파형 정보 생성부(220)는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제1 파형 정보를 생성하고,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제2 파형 정보를 생성한다. 파형 정보 생성부(220)는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 중에서 복수의 화소를 선택하고, 선택된 복수의 화소들 간의 화소값의 차이 기반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제1 파형 정보를 생성한다. 파형 정보 생성부(220)는 제2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 간의 화소값의 차에 기반하여 제2 영상블록에 대한 제2 파형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형 정보는 동일한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간의 화소값의 차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선택된 제1 화소의 화소값과 제2 화소의 화소값의 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상 블록을 참조하여 제2 영상 블록을 복호하는 복호화 장치는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파형 정보를 참조하여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간의 화소값의 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소값의 차에 기반하여 제2 영상 블록을 복호할 수 있다. 제1 영상 블록에서의 제1 화소와 제2 화소간의 거리는 쉽게 산출될 수 있으므로, 제1 화소와 제2 화소의 화소값과 관련된 기울기도 쉽게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상 블록을 복호화하는 복호화 장치는 제2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간의 화소값과 관련된 기울기가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간의 화소값과 관련된 기울기와 유사할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영상 블록을 복호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파형 정보 생성부(220)는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제3 화소를 더 선택하고, 파형 정보는 제2 화소의 화소값과 제3 화소의 화소값의 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제1 파형 정보는 3개의 화소에 대한 화소값의 차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화소와 제2 화소의 화소값의 차에 관련된 기울기와 제2 화소와 제3 화소의 화소값의 차에 관련된 기울기는 서로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상 블록은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제1 화소, 제2 화소 및 제3 화소에 각각 상응하는 제4 화소, 제5 화소 및 제6 화소를 포함하고, 제2 영상 블록을 복호화하는 복호화 장치는 제1 화소, 제2 화소 및 제3 화소의 화소값과 관련된 기울기를 참조하여 제4 화소, 제5 화소 및 제6 화소의 화소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상 블록과 제2 영상 블록은 서로 인접한 영상 블록일 수 있다.
제2 영상 블록은 제1 영상 블록에 기반하여 부호화된다. 따라서 제2 영상 블록을 복호화 하기 위해서는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입력 영상은 복수의 영상 블록들로 분할되므로, 제2 영상 블록을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제1 영상 블록을 식별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파형 정보는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제1 영상 블록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는 제2 영상 블록에 대한 제1 영상 블록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영상 블록을 식별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는 식별된 제1 영상 블록에 기반하여 제2 영상 블록을 복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형 정보 생성부(220)는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서로 인접한 복수의 화소들을 선택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제1 파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형 정보 생성부(220)는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소정의 방향에 따른 복수의 화소들을 선택하여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제1 파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부호화부(230)는 제1 파형 정보 및 제2 파형 정보의 차에 기반하여 제2 영상 블록에 포함된 영상을 부호화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형 정보는 제1 영상 블록 내에서 복수의 화소들이 선택된 소정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부호화부(230)는 제1 파형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이 선택된 소정의 방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영상 블록에 포함된 영상을 부호화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조 블록 파형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조 블록 파형의 방향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형 정보 생성부(220)는 제1 영상 블록 내에서 소정의 방향에 따라 복수의 화소들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형 정보 생성부(220)는 제1 영상 블록에 대한 영상 예측 모드를 결정하고, 영상 예측 모드에 따라서 복수의 화소들을 선택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서 영상 예측 모드 0는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수직방향(vertical)의 화소들을 선택하는 영상 예측 모드이다.
영상 예측 모드 1은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수평 방향(horizontal)의 화소들을 선택하는 영상 예측 모드이다.
영상 예측 모드 3은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오른쪽 위로부터 왼쪽 아래 방향(diagonal down left)의 화소들을 선택하는 영상 예측 모드이다.
영상 예측 모드 4는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왼쪽 위로부터 오른쪽 아래 방향(diagonal down right)의 화소들을 선택하는 영상 예측 모드이다.
영상 예측 모드 5는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왼쪽 위로부터 오른쪽 아래 방향(vertical right)의 화소들을 선택하는 영상 예측 모드이다.
영상 예측 모드 6은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왼쪽 위로부터 오른쪽 아래 방향(horizontal down)의 화소들을 선택하는 영상 예측 모드이다.
영상 예측 모드 7은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오른쪽 위로부터 왼쪽 아래 방향(vertical left)의 화소들을 선택하는 영상 예측 모드이다.
영상 예측 모드 8은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왼쪽 아래로부터 오른쪽 위 방향(horizontal up)의 화소들을 선택하는 영상 예측 모드이다.
영상 예측 모드 2는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을 모두 선택하는 영상 예측 모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형 정보 생성부(220)가 생성하는 제1 파형 정보는 제1 영상 블록 내에서 복수의 화소들이 선택된 소정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형 정보는 제1 영상 블록 내에서 복수의 화소들이 선택된 소정의 방향에 상응하는 영상 예측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상 블록에 포함된 영상을 복호화하는 복호화 장치는 제1 영상 블록의 영상 예측 모드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이 선택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는 제1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이 선택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영상 블록에 포함된 영상을 복호화 할 수 있다.
도 4는 참조 영상 블록에 포함된 기준 화소의 화소값에 기반하여 대상 영상 블록을 부호화하는 종래의 부호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부호화 방법에 따르면 참조 영상 블록(4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411, 412, 413, 414) 중에서 하나의 기준 화소를 선택한다.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영상 블록(410) 중에서 대상 영상 블록에 인접한 화소(414) 또는 대상 영상 블록에 가장 가까운 화소(414)를 기준 화소로 선택할 수 있다.
종래의 부호화 방법에 따르면 참조 영상 블록(410)에 포함된 화소 중에서 하나의 화소(414)만을 이용하여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431, 432, 433, 434)의 값을 예측(440)하고, 예측된 값(440)과 실제 화소들(431, 432, 433, 434)의 값의 차이를 부호화한다. 종래 부호화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화소(414)만을 이용하여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431, 432, 433, 434)의 값을 예측한다면, 그 예측 값은 부정확할 수 있다. 종래의 부호화 방법에 따르면 이 경우 대상 영상 블록을 효율적으로 부호화할 수 없었다.
도 5는 참조 영상 블록의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영상 블록을 부호화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는 참조 영상 블록과 대상 영상 블록이 인접한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영상 블록과 대상 영상 블록은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는 참조 영상 블록(5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531, 532, 533, 534)의 값을 이용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520)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블록 파형 정보(540)는 참조 영상 블록(5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531, 532, 533, 534)간의 값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참조 영상 블록(510) 또는 대상 영상 블록(530)의 크기는 4 x 4 내지 16 x 16인 것이 일반적으로서, 부호화 대상 영상은 여러 개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되어 부호화된다. 서로 인접한 영상 블록들은 서로 유사한 영상을 포함한다. 서로 유사한 영상을 포함하는 각각의 블록은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즉, 참조 영상 블록(510)의 화소들(531, 532, 533, 534)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경우에, 참조 영상 블록(510)의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531, 532, 533, 534)의 값을 연결하는 참조 블록 파형 정보(540)는 대상 영상 블록(53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571, 572, 573, 574)의 값을 연결한 대상 블록 파형 정보와 유사하다.
따라서 참조 영상 블록(510)에 포함된 기준 화소(534)의 값뿐만 아니라, 참조 영상 블록(5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531, 532, 533, 534)의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참조 블록 파형 정보(540)에 기반하여 대상 영상 블록(530)을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는 참조 블록 파형 정보(540)를 이용하여 대상 영상 블록(530)에 대한 예측 파형 정보(560)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호화 장치는 참조 영상 블록(5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531, 532, 533, 534)간의 값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 파형 정보(560)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호화 장치는 참조 영상 블록(510)에 포함된 일부 화소들만을 이용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부호화 장치는 참조 영상 블록 중에서 첫 번째 화소(531)와 마지막 화소(534)만을 이용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부 화소들만을 이용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간단히 생성하면, 계산량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호화 장치는 참조 영상 블록(5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531, 532, 533, 534) 중에서 기준 화소(534)를 선택하고, 기준 화소(534)의 화소값에 기반하여 예측 파형 정보(560)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파형 정보(560)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화소값(561, 562, 563, 564)들 중에서 기준 화소(534)의 화소값을 참조하여 첫 번째 예측 화소(561)의 화소값을 결정할 수 있다.
참조 블록 파형 정보(540)는 참조 영상 블록(5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531, 532, 533, 534)간의 상대적인 화소값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부호화 장치는 기준 화소(534)의 화소값을 참조하여 예측 파형 정보(560)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화소값(561, 562, 563, 564)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호화 장치는 참조 영상 블록(5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531, 532, 533, 534) 중에서, 대상 영상 블록(530)에 가장 가까운 화소 또는 대상 영상 블록(530)에 인접한 화소를 기준 화소(534)로 결정할 수 있다. 대상 영상 블록(530)에 가장 가까운 화소 또는 대상 영상 블록(530)에 인접한 화소(534)는 일반적으로 대상 영상 블록(530)의 화소값들과 차이가 작다. 따라서 예측 파형 정보(560)와 실제 대상 영상 블록(53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571, 572, 573, 574)간의 차이가 적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호화 장치는 대상 영상 블록(53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571, 572, 573, 574)과 각각의 화소들에 상응하는 예측 파형 정보(561, 562, 563, 564)와의 값의 차이(581, 582, 583, 584)를 부호화할 수 있다.
대상 영상 블록(53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571, 572, 573, 574)의 화소값과 예측 파형 정보(561, 562, 563, 564)와의 값의 차이(581, 582, 583, 584)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는 대상 영상 블록(53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571, 572, 573, 574)의 화소값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보다 작다. 또한, 대상 영상 블록(53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571, 572, 573, 574)의 화소값과 예측 파형 정보(561, 562, 563, 564)와의 값의 차이(581, 582, 583, 584)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는 기준 화소(534)의 화소값과 복수의 화소들(571, 572, 573, 574)의 화소값의 차이(591, 592, 593, 594)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보다 작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더 적은 양의 비트를 이용하여 특정 화소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양의 비트를 이용하여 특정 화소를 좀더 좋은 화질로 부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영상의 크기가 감소하므로, 유,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한 전송이 더욱 용이해진다.
도 5에서는 기준 화소가 참조 영상 블록에 포함된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화소는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 중에서 참조 영상 블록 방향의 경계에 위치한 화소가 기준 화소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준 화소와 예측 파형 정보와의 화소값 차가 부호화되지 않고, 기준 화소의 화소값이 부호화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4개의 참조 영상 블록(510)에 포함된 화소들 중에서 4개의 참조 화소만이 선택된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4개 이상의 참조 화소를 선택하고, 선택된 참조 화소에 기반하여 예측 파형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600)는 참조 블록 파형 정보 생성부(610), 예측 화소값 생성부(620) 및 복호부(630)를 포함한다.
참조 블록 파형 정보 생성부(610)는 참조 영상 블록에 포함된 참조 화소들간의 화소값의 차에 기반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블록 파형 정보 생성부(610)는 참조 영상 블록에 포함된 참조 화소들 중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화소들간의 화소 값의 차에 기반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블록 파형 정보 생성부(610)는 선택된 화소들 중에서 서로 인접한 참조 화소들간의 화소값을 서로 비교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된 화소들을 모두 이용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하므로, 생성된 참조 블록 파형 정보는 매우 정확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블록 파형 정보 생성부(610)는 선택된 화소들 중에서 일부 화소의 화소값의 차이만을 비교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화소만을 이용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하므로,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간단히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블록 파형 정보 생성부(610)는 선택된 화소 중에서 처음의 화소와 마지막 화소만을 이용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측 화소값 생성부(620)는 참조 블록 파형 정보 및 참조 영상 블록 내의 기준 화소의 화소값에 기반하여 예측 화소값을 생성한다. 참조 블록 파형 정보는 선택된 화소들간의 화소값의 차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화소가 제2 화소보다 값이 낮은지 높은지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나, 제1 화소의 값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화소값 생성부(620)는 기준 화소의 화소값에 기반하여 예측 화소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화소는 선택된 참조 화소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참조 화소 중에서 대상 영상 블록에 가장 가까운 참조 화소, 또는 대상 영상 블록에 인접한 참조 화소가 기준 화소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참조 화소 중에서 대상 영상 블록 방향의 경계에 위치한 참조 화소가 기준 화소로 선택될 수 있다. 예측 화소값 생성부(620)는 결정된 기준 화소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예측 화소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화소값 생성부(620)는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 중에서 기준 화소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화소값 생성부(620)는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중에서, 참조 영상 블록에 가장 가까운 화소의 화소값을 기준 화소의 화소값과 동일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측 화소값 생성부(620)는 대상 영상 블록의 각각의 화소에 대응하는 예측 화소값들을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예측 화소값들을 연결하면 예측 파형 정보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화소값 생성부(620)는 예측 파형 정보의 형태가 참조 블록 파형 정보의 형태와 동일하도록 예측 화소값들을 결정할 수 있다.
복호부(630)는 예측 화소값에 기반하여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영상을 복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호부(630)는 대상 영상 블록에 대한 부호화 데이터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부호화 데이터 값과 예측 화소값을 더하여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영상을 복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영상 블록과 대상 영상 블록은 서로 인접한 영상 블록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영상 블록과 대상 영상 블록은 서로 인접하지 않을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호화기는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의 화소값과 예측 화소값의 차이만을 부호화하고, 복호부(630)는 예측 화소값에 기반하여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의 정확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의 화소값과 예측 화소값의 차이의 범위는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의 화소값의 범위보다 작다. 따라서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의 화소값과 예측 화소값의 차이를 부호화하면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의 화소값을 부호화하는 경우보다 입력 영상을 효율적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기술보다 적은 비트수를 사용하여 입력 영상을 부호화, 복호화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기술과 동일한 비트 수를 사용하여 더 고화질의 영상을 부호화, 복호화 할 수 있다. 부호화된 영상의 크기가 감소하므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전송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화소값 생성부(620)는 대상 영상 블록에 대한 참조 영상 블록의 방향에 기반하여 예측 화소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영상 블록이 대상 영상 블록의 윗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 참조 영상 블록에 대한 예측 모드는 '0'일 수 있다. 참조 영상 블록에 대한 예측 모드가 '0'인 경우에, 영상 부호화기는 참조 영상 블록에 포함된 참조 화소들 중에서 수직 방향의 참조 화소들을 선택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한다. 선택된 참조 화소들의 방향은 참조 영상 블록으로부터 대상 영상 블록의 방향과 일치한다. 예측 화소값 생성부(620)는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영상 화소들 중에서 선택된 참조 화소들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영상 화소들에 대하여 예측 화소값을 생성할 수 있다. 참조 영상 블록과 대상 영상 블록이 유사한 영상을 부호화하는 경우에, 선택된 참조 화소들의 방향과 예측 화소값들의 방향이 일치한다면 선택된 참조 화소들의 화소값과 예측 화소값의 오차가 최소화된다. 따라서 영상 부호화기는 입력 영상을 효율적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기(700)는 입력 영상 분할부(710), 참조 블록 파형 정보 생성부(720), 예측 파형 정보 생성부(730) 및 부호화부(740)를 포함한다.
입력 영상 분할부(710)는 입력 영상을 참조 영상 블록 및 대상 영상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블록으로 분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영상 블록과 대상 영상 블록은 인접한 영상 블록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영상 블록과 대상 영상 블록은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참조 블록 파형 정보 생성부(720)는 참조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 중에서 복수의 참조 화소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참조 화소들 간의 화소값의 차에 기반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참조 블록 파형 정보는 참조 화소들 간의 화소값의 상대적인 차이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블록 파형 정보 생성부(720)는 서로 인접한 참조 화소들 간의 화소값의 차에 기반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참조 영상 블록에 포함된 참조 화소들을 모두 이용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하므로, 좀더 정확한 파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블록 파형 정보 생성부(720)는 선택된 참조 화소들 중에서 일부의 참조 화소들만을 이용하여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참조 블록 파형 정보 생성부(720)가 간단히 참조 블록 파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계산량이 감소된다.
예측 파형 정보 생성부(730)는 참조 블록 파형 정보 및 참조 영상 블록에 포함된 기준 화소값에 기반하여 예측 파형 정보를 생성한다. 기준 화소값은 참조 영상 블록에 포함된 기준 화소의 화소값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파형 정보 생성부(730)는 참조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 중에서 대상 영상 블록에 인접한 화소를 기준 화소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예측 파형 정보 생성부(730)는 참조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 중에서 대상 영상 블록 방향의 경계에 위치한 화소를 기준 화소로 선택할 수 있다.
참조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 중에서 대상 영상 블록 방향의 경계에 위치한 화소가 기준 화소로 선택된 경우에, 예측 파형 정보 생성부(730)는 기준 화소의 화소값을 예측 파형 정보의 시작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기준 화소와 대상 영상 블록간의 거리가 매우 가까우므로,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화소들과 기준 화소의 화소값의 차가 매우 작다. 따라서 대상 영상 블록을 효율적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영상 블록과 대상 영상 블록이 서로 인접하지 않은 경우에, 예측 파형 정보 생성부(730)는 참조 영상 블록으로부터 대상 영상 블록까지의 거리에 기반하여 예측 파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파형 정보 생성부(730)는 참조 블록 파형 정보의 기울기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기울기 값에 기반하여 예측 파형 정보의 시작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측 파형 정보 생성부(730)는 예측 파형 정보의 시작값 및 참조 화소의 화소값의 상대적인 차에 기반하여 예측 파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블록 파형 정보 생성부(720)는 소정의 방향에 따라서 복수의 참조 화소들을 선택하고, 예측 파형 정보 생성부(730)는 참조 화소들이 선택된 소정의 방향에 기반하여 예측 파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블록 파형 정보 생성부(720)는 참조 영상 블록으로부터 대상 영상 블록의 방향에 기반하여 참조 화소들이 선택되는 소정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부(740)는 예측 파형 정보와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부호화 화소들의 화소값에 기반하여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영상을 부호화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호화부(740)는 예측 파형 정보와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부호화 화소들의 화소값의 차를 부호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대상 영상 블록에 인접한 화소들 중에서 복수의 참조 화소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참조 화소들 간의 화소값의 차에 기반하여 파형 정보를 생성하는 파형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정보 생성부는,
    상기 대상 영상 블록에 인접하는 화소를 기준 화소로 선택하고,
    상기 기준 화소와 참조 화소들 간의 화소값의 차를 특정하는 파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화소들은 상기 대상 영상 블록에 인접한 화소들 중에서 소정의 방향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4. 대상 영상 블록에 인접한 화소들 중에서 복수의 참조 화소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참조 화소들 간의 화소값의 차에 기반하여 파형 정보를 생성하는 파형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영상 블록에 포함된 영상을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정보 생성부는,
    상기 대상 영상 블록에 인접하는 화소를 기준 화소로 선택하고,
    상기 기준 화소와 참조 화소들 간의 화소값의 차를 특정하는 파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화소들은 상기 대상 영상 블록에 인접한 화소들 중에서 소정의 방향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KR20130056596A 2008-01-03 2013-05-20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KR101488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0895 2008-01-03
KR1020080000895 2008-01-0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510A Division KR101456279B1 (ko) 2008-01-03 2008-07-07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262A Division KR101595420B1 (ko) 2008-01-03 2014-07-24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620A KR20130070620A (ko) 2013-06-27
KR101488498B1 true KR101488498B1 (ko) 2015-01-30

Family

ID=4133279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510A KR101456279B1 (ko) 2008-01-03 2008-07-07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KR20130056594A KR101488499B1 (ko) 2008-01-03 2013-05-20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KR20130056596A KR101488498B1 (ko) 2008-01-03 2013-05-20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KR1020140094262A KR101595420B1 (ko) 2008-01-03 2014-07-24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KR1020150093347A KR101673290B1 (ko) 2008-01-03 2015-06-30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510A KR101456279B1 (ko) 2008-01-03 2008-07-07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KR20130056594A KR101488499B1 (ko) 2008-01-03 2013-05-20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262A KR101595420B1 (ko) 2008-01-03 2014-07-24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KR1020150093347A KR101673290B1 (ko) 2008-01-03 2015-06-30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6) US8699570B2 (ko)
KR (5) KR101456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279B1 (ko) * 2008-01-03 2014-1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US9532059B2 (en) 2010-10-05 2016-12-2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 scalability for video coding
US8989256B2 (en) * 2011-05-25 2015-03-24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egmentation-based coding of prediction information
US9247257B1 (en) 2011-11-30 2016-01-26 Google Inc. Segmentation based entropy encoding and decoding
US9094681B1 (en) 2012-02-28 2015-07-28 Google Inc. Adaptive segmentation
US9332276B1 (en) 2012-08-09 2016-05-03 Google Inc. Variable-sized super block based direct prediction mode
US9380298B1 (en) 2012-08-10 2016-06-28 Google Inc. Object-based intra-prediction
ES2724568B2 (es) * 2016-06-24 2021-05-19 Kt Corp Método y aparato para tratar una señal de vídeo
US10771781B2 (en) 2018-03-12 2020-09-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deriving intra prediction mo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581A (ko) * 1994-10-19 1996-05-22 모리시나 요이치 화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US6275533B1 (en) 1997-06-20 2001-08-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medium
US20090257500A1 (en) 2008-04-10 2009-10-15 Qualcomm Incorporated Offsets at sub-pixel resolution
US20100220790A1 (en) 2007-10-16 2010-09-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20216A1 (de) 1997-11-25 1999-06-02 Deutsche Thomson-Brand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Codierung und zur Decodierung einer Bildsequenz
US20010046262A1 (en) * 2000-03-10 2001-11-29 Freda Robert M.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television signal over broadband digital transmission channels
JP2002315004A (ja) * 2001-04-09 2002-10-25 Ntt Docomo Inc 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画像復号方法及び装置、並びに画像処理システム
EP1550130A1 (en) * 2002-09-17 2005-07-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deo coding method
KR100547445B1 (ko) * 2003-11-11 2006-01-31 주식회사 코스모탄 디지털 오디오신호 및 오디오/비디오신호의 변속처리방법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신호의 변속재생방법
AU2006320064B2 (en) 2005-11-30 2010-09-09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encoding/image decoding method and image encoding/image decoding apparatus
KR101299074B1 (ko) * 2006-03-03 2013-08-30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홍채 인코딩 시스템
KR101403341B1 (ko) * 2007-03-28 2014-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56279B1 (ko) * 2008-01-03 2014-1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US8634456B2 (en) * 2008-10-03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Video coding with large macrobloc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581A (ko) * 1994-10-19 1996-05-22 모리시나 요이치 화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US6275533B1 (en) 1997-06-20 2001-08-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medium
US20100220790A1 (en) 2007-10-16 2010-09-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US20090257500A1 (en) 2008-04-10 2009-10-15 Qualcomm Incorporated Offsets at sub-pixel resolu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499B1 (ko) 2015-01-30
US8929445B2 (en) 2015-01-06
US20140192871A1 (en) 2014-07-10
KR101595420B1 (ko) 2016-02-18
KR20130070620A (ko) 2013-06-27
US8699570B2 (en) 2014-04-15
US8923396B2 (en) 2014-12-30
KR20130070619A (ko) 2013-06-27
KR101456279B1 (ko) 2014-11-04
US9143798B2 (en) 2015-09-22
KR20090075607A (ko) 2009-07-08
US8923397B2 (en) 2014-12-30
KR101673290B1 (ko) 2016-11-08
US20140192872A1 (en) 2014-07-10
US20140192878A1 (en) 2014-07-10
KR20150084729A (ko) 2015-07-22
US20140177722A1 (en) 2014-06-26
KR20140098046A (ko) 2014-08-07
US8923398B2 (en) 2014-12-30
US20150085928A1 (en) 2015-03-26
US20100278234A1 (en)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290B1 (ko) 참조 블록 파형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영상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복호화 하는 장치
US11277622B2 (en) Image encoder and decoder using unidirectional prediction
TWI392370B (zh) 使用大的巨區塊之視訊編碼
TWI419567B (zh) 使用大的巨區塊之視訊編碼
TWI488506B (zh) 使用大的巨區塊之視訊編碼
KR101174758B1 (ko)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
US9426491B2 (en)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block transformation
CN1925619B (zh) 视频编码和解码的装置和方法
US201001189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and decoding
US200902453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prediction video coding/decoding
KR100940444B1 (ko) 공간적 에지 검출을 이용한 인트라 예측 모드 구성 방법
US11882292B2 (en) Image encoder and decoder using unidirectional prediction
KR20140029383A (ko) 화상 부호화 장치 및 화상 복호 장치
KR20050116344A (ko) 동영상의 무손실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그 장치
KR20110073263A (ko)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부호화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 및 인트라 예측 복호화 장치
WO20080569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based on intra prediction
KR100586103B1 (ko) 동영상 부호화 방법
KR100648507B1 (ko) H.264 프로토콜의 4x4 입력 블록을 이용한 동영상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40032286A (ko) 동영상 부호화 방법
KR20040046321A (ko) 동영상 복호화 방법
WO2009084886A2 (en) Apparatus for coding or decoding intra image based on line information of reference image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