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254B1 - System for performing music using 3-dimentional character of orchestra - Google Patents

System for performing music using 3-dimentional character of orchest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254B1
KR101488254B1 KR20130033645A KR20130033645A KR101488254B1 KR 101488254 B1 KR101488254 B1 KR 101488254B1 KR 20130033645 A KR20130033645 A KR 20130033645A KR 20130033645 A KR20130033645 A KR 20130033645A KR 101488254 B1 KR101488254 B1 KR 101488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character
stereoscopic character
mus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36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8179A (en
Inventor
박호성
이건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직에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직에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직에듀
Priority to KR20130033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254B1/en
Publication of KR20140118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1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2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Displaying an avatar, e.g. an animated cartoon charac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3Manipulators for entertainment
    • B25J11/004Playing a music instru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8/00Aspects of pattern recognition specially adapted for signal processing
    • G06F2218/22Source localisation; Inverse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입체 캐릭터를 이용한 오케스트라 연주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캐릭터를 이용한 오케스트라 연주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입체 캐릭터; 및 상기 입체 캐릭터마다 상기 입체 캐릭터 각각이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각각의 고유 영역을 가지고, 상기 입체 캐릭터가 대응되는 상기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도록 미리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입체 캐릭터가 상기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지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는 음악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고유 영역에 상기 입체 캐릭터가 위치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는 음악을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는 음악을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외부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orchestra playing system using stereoscopic characters is disclosed. An orchestra playing system using a stereoscopic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stereoscopic character; And a main body for playing music stored in advance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when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stereoscopic character corresponding to each stereoscopic character,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sensor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located in the unique reg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music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A controller for playing music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positioned in the unique area; An output unit for reproducing the music stored in the storage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 connection unit that can connect to the outside so that the music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can be updated in the storage unit.

Description

오케스트라 입체 캐릭터를 이용한 음악 연주 시스템{SYSTEM FOR PERFORMING MUSIC USING 3-DIMENTIONAL CHARACTER OF ORCHESTRA}SYSTEM FOR PERFORMING MUSIC USING 3-DIMENTIONAL CHARACTER OF ORCHESTRA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케스트라 입체 캐릭터를 이용한 음악 연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capable of playing music,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sic playing system using an orchestral three-dimensional character.

오케스트라는 관현악 또는 관현악단을 일컫는 말이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등 여러 가지 악기로 이루어진 합주를 뜻한다. '오케스트라(orchestra)'란 말은 그리스어 오르케스트라(orkhestra)에서 나온 말이다. 이는 고대 그리스의 원형극장에서 무대와 관람석 사이에 마련된 넓은 장소를 뜻하며 코러스(무용수)가 노래 부르며 춤을 추고 악기연주자가 자리한 장소였다. 그 후 고대 그리스 말기에는 무대를, 16세기에는 무용을 뜻했으며, 18세기에는 극장에서 악기가 자리하는 장소를 가리켰다. '여러가지 악기의 집합체'라는 정의는 루소의 <음악사전>(1767)에서 처음으로 쓰였다.An orchestra refers to an orchestra or orchestra, and it refers to an ensemble composed of various musical instruments such as stringed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nd percussion instruments. The word "orchestra" comes from the Greek orkhestra. It is a large place between the stage and the grandstand in ancient Greek theater, where the chorus (dancer) sang and danced and the instrumentalist was located. After that, it meant the stage in ancient Greek period, the dance in the 16th century, and the place where musical instruments were located in the theater in the 18th century. The definition of 'the collection of various instruments' was first used in Russo's Music Dictionary (1767).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06247은 "노래 반주용 기기의 반주 출력 방법"으로, 여러가지의 악기에서 발생되는 음을 여러가지의 트랙으로 구분하고, 이 트랙은 각각의 스피이커를 통하여만 음이 발생되도록 구성하고, 각각의 스피이커를 오케스트라의 연주자와 같은 위치에 배열하는 것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006247 discloses a "accompaniment output method for singing accompaniment instruments", which divides sounds generated by various musical instruments into various tracks, so that the sound is generated only through the respective speakers And arranges each of the spinners in the same position as the player of the orchestra.

종래에는 오케스트라의 연주자를 형상화한 입체 캐릭터를 이용하여 오케스트라 연주를 들려주는 시스템이 부재하였고, 종래 기술은 음원만 재생할 수만 있을 뿐 실제로 오케스트라 연주자가 연주하는 동작을 재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there is no system for playing an orchestra by using a three-dimensional character that is shaped by a player of an orchestra. The conventional art has a problem that only the sound source can be reproduced but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orchestra player can not be reproduced.

또한, 종래 기술은 정확한 음원을 재생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음악 감상용으로는 적합할 수 있으나, 오케스트라를 처음 접하는 사용자에게 오케스트라에 대한 내용을 가르칠 수 있는 교육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prior art focuses on reproducing an accurate sound source, it may be suitable for music appreciation, but it is inappropriate to use it as an educational tool for teaching the orchestra to a user who is new to the orchestra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케스트라의 연주자를 형상화한 입체 캐릭터를 이용하여 오케스트라 연주가 가능한 오케스트라 연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chestra performance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n orchestra using a three-dimensional character shaped as a player of an orchestra.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입체 캐릭터를 이용한 오케스트라 연주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입체 캐릭터; 및 상기 입체 캐릭터마다 상기 입체 캐릭터 각각이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각각의 고유 영역을 가지고, 상기 입체 캐릭터가 대응되는 상기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도록 미리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입체 캐릭터가 상기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지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는 음악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고유 영역에 상기 입체 캐릭터가 위치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는 음악을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는 출력부; 상기 저장부에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는 음악을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외부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rchestra playing system using a stereoscopic character, including: at least one stereoscopic character; And a main body for playing music stored in advance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when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stereoscopic character corresponding to each stereoscopic character,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sensor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located in the unique reg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music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A controller for playing music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positioned in the unique area; An output unit for reproducing the music stored in the storage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the outside so as to update music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하나의 일실시예로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악의 재생을 조작할 수 있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의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거나 음악의 재생을 중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setting unit that allows the user to operate the reproduction of the music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usic stored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of the setting unit You can play or stop playing music.

하나의 일실시예로, 상기 입체 캐릭터는 각각 고유의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칩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알에프아이디 리더를 포함하여, 상기 RFID 리더가 상기 고유의 RFID 칩을 읽어, 상기 입체 캐릭터가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는 상기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reoscopic character includes a uniqu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chip, and the sensor unit includes an RFID reader, and the RFID reader reads the unique RFID chip,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located in the unique area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하나의 일실시예로, 상기 고유 영역은 상기 입체 캐릭터가 접촉할 수 있는 접점을 가지고, 상기 고유 영역에 상기 입체 캐릭터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는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herent region has contacts that can be contacted by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and when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contacts the inherent region, music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can be reproduced.

하나의 일실시예로, 상기 본체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체 캐릭터가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는 상기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진동부가 해당되는 상기 입체 캐릭터를 진동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vibrating part, and when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located in the unique area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the control part controls the stereoscopic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vibrating part It can vibrat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오케스트라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하여 오케스트라 연주를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 that the orchestra can be reproduced by constituting the orchestra in various ways.

또한, 오케스트라를 구성하는 입체 캐릭터가 연주와 동시에 움직일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효과적으로 오케스트라 연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constituting the orchestra can be moved simultaneously with the performance,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experience the orchestra performance more effectively.

또한, 입체 캐릭터 각각이 대응되는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음악이 재생되도록함으로써, 오케스트라를 구성하는 악기와 위치에 대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s is located in a corresponding unique area, music is reproduced, thereby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musical instrument and the position of the orchestra.

또한, 본 발명은 아이들의 교육용으로 제공되는 경우, 입체 캐릭터를 대응되는 고유 영역에 위치시키는 것을 통하여, 아이들이 쉽에 놀이와 함께 오케스트라에 대하여 배울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children's edu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children to learn about the orchestra together with play easily by placing the stereoscopic character in a corresponding unique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캐릭터를 이용한 오케스트라 연주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캐릭터가 위치되는 본체의 고유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입체 캐릭터가 본체의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지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orchestra playing system using a stereoscopic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racteristic region of a main body in which a three-dimensional character is pla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a stereoscopic character is positioned in a region of a main body.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캐릭터를 이용한 오케스트라 연주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캐릭터가 위치되는 본체의 고유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입체 캐릭터가 본체의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지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orchestra playing system using a stereoscopic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unique area of a body in which a stereoscopic character is pla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at a stereoscopic character is positioned in a unique region of the main body.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캐릭터를 이용한 오케스트라 연주 시스템(100)은, 입체 캐릭터(3-Dimentional Character; 10) 및 본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an orchestra playing system 100 using a stereoscopic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and a main body 30.

입체 캐릭터(10)는 오케스트라(Orchestra)를 구성하는 악기인 관악기, 타악기 및 현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의 3-D(3-Dimentional)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입체 캐릭터(10)이 수는 각각의 연주자에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may have a 3-D (3-Dimentional) three-dimensional shape of a player playing a wind instrument, a percussion instrument and a string instrument as musical instruments constituting an orchestra, And may correspond to one or more players.

예를 들면, 입체 캐릭터(10)는 바이올리니스트(Violinist), 첼리스트(Cellist), 피아니스트(Pianist)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입체 캐릭터는 오케스트라를 구성하는 각각의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may have a shape such as a violinist, a cellist, a pianist, and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may be a shape of a player playing each musical instrument constituting the orchestra .

본체(30)는 입체 캐릭터(10)마다 입체 캐릭터(10) 각각이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각각의 고유 영역을 가지고, 입체 캐릭터(10)가 대응되는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입체 캐릭터(10)에 대응되도록 미리 저장된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The main body 30 has each unique region configured to allow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s 10 to be positioned for each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and when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is positioned in the corresponding unique region, It is possible to reproduce the music stored in advan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music data.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고유 영역은 오케스트라를 구성하는 악기마다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가 오케스트라를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각각의 고유 영역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고유 영역에 오케스트라를 구성하는 악기가 아닌 성악가를 배치시켜 고유 영역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오케스트라 연주와 성악가의 노래 공연이 동시에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 each unique region may be individually arranged for each musical instrument constituting the orchestra, and the configuration of each unique region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manner in which the user constructs the orchestra. In addition, a unique region may be formed by arranging singers other than the musical instrument constituting the orchestra in one unique region. In this case, the orchestra performance and the singing performance of the singer are possible at the same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캐릭터를 이용한 오케스트라 연주 시스템(100)은 오케스트라 연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식의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orchestra playing system 100 using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play various types of music as well as orchestral performance.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30)는 센서부(12), 저장부(14), 제어부(16), 출력부(18), 연결부(20), 설정부(22) 및 진동부(24)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main body 30 includes a sensor unit 12, a storage unit 14, a control unit 16, an output unit 18, a connection unit 20, a setting unit 22, and a vibration unit 24 .

센서부(12)는 하나 이상의 입체 캐릭터(10)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각각의 고유 영역에 입체 캐릭터(10)가 위치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2)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로는 근접센서가 사용되어 입체 캐릭터가 각각의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2 can detect whether the stereoscopic character 10 is positioned in each unique area configured to correspond to one or more stereoscopic characters 10. [ The sensor unit 12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and proximity sensors may be used to sense whether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located in each unique region.

또한, 본체(30)의 고유 영역은 입체 캐릭터(10)가 접촉할 수 있는 접점을 가질 수 있고, 고유 영역에 입체 캐릭터(10)가 접촉하는 경우, 입체 캐릭터(10)가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The inherent area of the main body 30 can have a contact point with which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can contact. When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contacts the inherent area,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is positioned in the inherent area Can be detected.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입체 캐릭터(10)는 각각 고유의 알에프아이디 칩(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hip, RFID Chip; 2)을 포함할 수 있고, 센서부(12)는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RFID Reader; 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RFID 리더가 고유의 RFID 칩을 읽어, 입체 캐릭터(10)가 입체 캐릭터(10)에 대응되는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3,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may include a uniqu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hip (RFID Chip) 2, and the sensor unit 12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An RFID reader 4). Therefore, the RFID reader can read the unique RFID chip and sense whether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is located in a unique area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

센서부(12)가 각각의 입체 캐릭터(10)가 입체 캐릭터(10)마다 대응되는 각각의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지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하는 경우라면, 위에서 설명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if the sensor unit 12 has a function of detecting whether or not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s 10 is located in each of the corresponding unique regions for each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

저장부(14)는 각각의 입체 캐릭터(10)에 대응되는 음악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체 캐릭터(10)가 피아니스트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음악은 피아노 연주곡이다. 따라서, 피아노 연주곡이 저장부(14)에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 may store music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s 10. For example, when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is a pianist, the music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is a piano playing music. Thus, the piano musical tune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 [

제어부(16)는 센서부(12)를 통하여 입체 캐릭터(10)가 대응되는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입체 캐릭터(10)에 대응되는 음악을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센서부(12)가 입체 캐릭터(10)가 자신의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16)는 감지된 입체 캐릭터(10)에 대응되도록 저장부(14)에 저장된 음악을 출력부(18)를 통하여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 can reproduce music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10 when it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12 that the stereoscopic character 10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unique area. More specifically, when the sensor unit 12 senses that the stereoscopic character 10 is positioned in its own region, the controller 16 controls the storage unit 14 to correspond to the sensed stereoscopic character 10 And reproduce the stored music through the output unit 18.

따라서, 출력부(18)는 제어부(16)의 제어에 의하여, 입체 캐릭터(10)에 대응되는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출력부(18)로는 스피커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청각을 통하여 사용자가 음악을 인지할 수 있는 경우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the output unit 18 can reproduce the music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 [ Speakers are generally used as the output unit 18,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the user can recognize music through auditory sense.

연결부(20)는 외부, 즉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음악을 다운로드(Download)하여 저장부(14)에 저장되는 음악을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즉, 연결부(20)는 입체 캐릭터(10)에 대응되는 음악을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포트(Port)가 연결부(20)로 사용될 수 있으나,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는 경우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The connection unit 2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at is, an external device, and can download music from an external device and update musi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 [ That is, the connection unit 20 can be connected to the outside so as to update the music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In general, a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can be used as the connection unit 2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receive data.

사용자는 설정부(22)를 통하여 저장부(14)에 저장된 음악의 재생을 조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설정부(22)를 통하여 제어부(16)가 저장부(14)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거나 음악의 재생을 중지할 수 있다.The user can operate the reproduction of the musi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 through the setting unit 22. [ That is, the user can reproduce the musi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 or stop the reproduction of the music through the setting unit 22.

예를 들면, 피아니스트 입체 캐릭터(10)가 본체(30)의 대응되는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피아노 연주곡이 재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설정부(22)를 통하여 피아노 연주곡이 재생되도록 하거나, 피아노 연주곡의 재생을 중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ianist stereoscopic character 10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unique area of the main body 30, the piano musical tune can be reproduced. In this case, the user can reproduce the piano playing music through the setting unit 22 or stop the reproduction of the piano playing music.

또한, 하나 이상의 입체 캐릭터(10)가 각각 대응되는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입체 캐릭터(10)마다 자신에 대응되는 음악이 재생될 수 있고, 사용자는 설정부(22)를 통하여 각각의 입체 캐릭터(10)에 대응되는 음악의 재생 또는 중지를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one or more stereoscopic characters 10 are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unique regions, music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ne or more stereoscopic characters 10 can be reproduced, The reproduction or the stop of the music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can be individually operated.

따라서, 하나 이상의 입체 캐릭터(10)에 대응되는 음악을 동시에 재생시키면 오케스트라 합주가 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현악4중주, 피아노4중주 또는 플루트4중주의 연주가 재생될 수 있다.Therefore, if music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stereoscopic characters 10 is reproduced at the same time, it becomes an orchestra ensemble, and a string quartet, a piano quartet, or a flute quartet can be play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또한, 사용자는 설정부(22)를 통하여 입체 캐릭터(10)가 대응되는 고유 영역에 감지되지 않더라도 저장부(14)에 저장된 음악을 출력부(18)가 재생하도록 제어부(16)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4)에 자장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자장가를 별도로 재생시킬 수 있다.The user can operate the control unit 16 to reproduce the musi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 even if the stereoscopic character 10 is not sens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through the setting unit 22. [ have. Therefore, when the magnetic field valu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 the magnetic field value can be separately reproduced.

진동부(24)는 입체 캐릭터(10)가 입체 캐릭터(10)에 대응되는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제어부(16)의 제어에 의하여 입체 캐릭터(10)를 진동시킬 수 있다.The vibration section 24 can vibrate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section 16 when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is positioned in a unique area corresponding to the three-

즉, 입체 캐릭터(10)가 입체 캐릭터(10)에 대응되는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제어부(16)는 진동부(24)에 진동이 일어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진동부(24)는 해당되는 입체 캐릭터(10)를 진동시켜, 입체 캐릭터(10)가 음악을 연주하는 동시에 움직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is located in a uniqu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10, the control unit 16 can control the vibration unit 24 to cause vibration, The stereoscopic character 10 vibrating the stereoscopic character 10 is caused to vibrate, and the stereoscopic character 10 can exhibit the effect of moving while simultaneously playing music.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캐릭터를 이용한 오케스트라 연주 시스템(100)은 음악의 재생과 움직임으로 동시에 구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실감나게 오케스트라 연주를 체험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orchestra playing system 100 using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with the reproduction and the movement of the music,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experience the orchestral performance more realistically.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입체 캐릭터를 이용한 오케스트라 연주 시스템
2: 알에프아이디 칩(RFID Chip) 4: 알에프아이디 리더(RFID Reader)
10: 입체 캐릭터(3-Dimentional Character)
12: 센서부 14: 저장부
16: 제어부 18: 출력부
20: 연결부 22: 설정부
24: 진동부 30: 본체
100: Orchestra playing system using stereoscopic character
2: RFID Chip 4: RFID Reader (RFID Reader)
10: 3-Dimentional Character
12: sensor unit 14: storage unit
16: control unit 18: output unit
20: connection part 22: setting part
24: Vibrating part 30: Body

Claims (5)

하나 이상의 입체 캐릭터; 및
상기 입체 캐릭터마다 상기 입체 캐릭터 각각이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각각의 고유 영역을 가지고, 상기 입체 캐릭터가 대응되는 상기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도록 미리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입체 캐릭터가 상기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지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는 음악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고유 영역에 상기 입체 캐릭터가 위치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는 음악을 재생하도록 하고, 상기 고유 영역에 상기 입체 캐릭터가 위치되는 것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는 출력부;
상기 저장부에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는 음악을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외부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
상기 입체 캐릭터가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는 상기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입체 캐릭터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 캐릭터는 오케스트라를 구성하는 각각의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의 형상을 가지는, 입체 캐릭터를 이용한 오케스트라 연주 시스템.
One or more stereoscopic characters; And
And a main body for playing the music stored in advance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when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stereoscopic character corresponding to each stereoscopic character and,
The main body includes:
A sensor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located in the unique reg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music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When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detected in the unique region, music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reproduced, and when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not detected in the unique region, A control unit for reproducing the data;
An output unit for reproducing the music stored in the storage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the outside so as to update music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in the storage unit;
And a vibrating unit for vibrating the stereoscopic charact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located in the unique area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Wherein the stereoscopic character has a shape of a player who plays each musical instrument constituting the orchestr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악의 재생을 조작할 수 있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의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거나 음악의 재생을 중지할 수 있는, 입체 캐릭터를 이용한 오케스트라 연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tting unit that allows the user to operate the music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play music stored in the storage unit or stop the music playback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of the setting unit , Orchestra playing system using stereoscopic charac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캐릭터는 각각 고유의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칩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알에프아이디 리더를 포함하여,
상기 RFID 리더가 상기 고유의 RFID 칩을 읽어, 상기 입체 캐릭터가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는 상기 고유 영역에 위치되는지 감지하는, 입체 캐릭터를 이용한 오케스트라 연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stereoscopic characters includes a uniqu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chip,
Wherein the sensor unit includes an RFID reader,
Wherein the RFID reader reads the unique RFID chip and detects whether the stereoscopic character is located in the unique area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영역은 상기 입체 캐릭터가 접촉할 수 있는 접점을 가지고, 상기 고유 영역에 상기 입체 캐릭터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입체 캐릭터에 대응되는 음악을 재생하는, 입체 캐릭터를 이용한 오케스트라 연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herent region has a contact point with which the stereoscopic character can contact and reproduces the music corresponding to the stereoscopic character when the stereoscopic character contacts the inherent region.
삭제delete
KR20130033645A 2013-03-28 2013-03-28 System for performing music using 3-dimentional character of orchestra KR1014882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3645A KR101488254B1 (en) 2013-03-28 2013-03-28 System for performing music using 3-dimentional character of orchest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3645A KR101488254B1 (en) 2013-03-28 2013-03-28 System for performing music using 3-dimentional character of orchest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179A KR20140118179A (en) 2014-10-08
KR101488254B1 true KR101488254B1 (en) 2015-01-30

Family

ID=5199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3645A KR101488254B1 (en) 2013-03-28 2013-03-28 System for performing music using 3-dimentional character of orchest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25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9282A (en) * 1994-08-31 1996-03-12 Yamaha Corp Automatic playing device
KR20000053730A (en) * 2000-03-13 2000-09-05 유정민 Game system for play a musical instrument
JP2004329770A (en) 2003-05-12 2004-11-25 Tomy Co Ltd Moving toy
KR20090054882A (en) * 2007-11-27 2009-06-0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Educational toy for outputting combination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9282A (en) * 1994-08-31 1996-03-12 Yamaha Corp Automatic playing device
KR20000053730A (en) * 2000-03-13 2000-09-05 유정민 Game system for play a musical instrument
JP2004329770A (en) 2003-05-12 2004-11-25 Tomy Co Ltd Moving toy
KR20090054882A (en) * 2007-11-27 2009-06-0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Educational toy for outputting combinatio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179A (en)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118299A (en) Performance device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019056871A (en) Re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reproduction control device
JP6720798B2 (en) Performance training device, performance training program, and performance training method
KR101488254B1 (en) System for performing music using 3-dimentional character of orchestra
JP2006220938A (en) Sound controller
JP3877981B2 (en) Voice output toy
JP2006251376A (en) Musical sound controller
JP6411412B2 (en) Program, game apparatus, and game progress method
KR20160121211A (en) Playing music system with an orchestra characters.
JP5147351B2 (en) Music performance program, music performance device, music performance system, and music performance method
JP2003114682A (en) Sound generating device
JP5345809B2 (en) Musical instrument type performance apparatus an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system
Bertrand et al. Musical acoustics & instrument design: When engineering meets music
Karren Analog versus digital guitar pedals, shaping guitar tones and sparking debates
JP6720797B2 (en) Performance training device, performance training program, and performance training method
JP2004233853A (en) Music learning toy
WO2014174621A1 (en) Recording medium, gaming apparatus and game progress method
US82940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a gaming instrument controller
CN102481488B (en) Music game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sound effect data
JP2006167167A (en) Sound toy
RU2715958C2 (en) Method of separate synchronous reproduction using singing doll, controlled from smartphone or computer
US20150075355A1 (en) Sound synthesizer
Kovarsky Keyboard for dummies
JPS6020127Y2 (en) music teaching equipment
JP4535336B2 (en) Electronic musical sound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