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192B1 - 서버 장치 및 그의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장치 및 그의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192B1
KR101487192B1 KR20130098070A KR20130098070A KR101487192B1 KR 101487192 B1 KR101487192 B1 KR 101487192B1 KR 20130098070 A KR20130098070 A KR 20130098070A KR 20130098070 A KR20130098070 A KR 20130098070A KR 101487192 B1 KR101487192 B1 KR 101487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format
data
format
arxml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승엽
박대영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8Techniques for file synchronisation in file systems
    • G06F16/1794Details of file format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서버 장치의 오토사(Autosar)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서버 장치에 접속한 단말 장치에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제1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접속한 단말 장치로부터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를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또는 제2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 포맷인 ARXM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버 장치 및 그의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SERV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AUTOSAR}
본 발명은 서버 장치 및 그의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 포맷을 오토사 표준 포맷인 ARXML로 변환하거나, 오토사 표준 포맷인 ARXML을 다른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그의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안정성과 편의성 위주의 다양한 차량 부가 서비스가 개발되면서 과거 단순한 이동수단에 불과하였던 자동차는 이제 운전자 개인의 하나의 공간 영역의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바디 제어를 통한 다양한 자동화 서비스는 물론이고 GPS 및 이동통신 네트워크, 블루투스 등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까지 소비자의 니즈와 취향에 맞는 자동차의 서비스는 나날이 발전해 가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대체로 기계식 장치가 아닌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ECU)로 제공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자동차 산업에 소프트 웨어 및 IT 기술의 접목은 필수 불가결하게 되었다.
다만, 제품의 안전성 보장과 모듈 재사용성의 문제, 하드웨어 의존성 제거 등은 모든 소프트 웨어 제품의 공통적인 숙제이며, 소프트 웨어 중심의 서비스를 탑재하는 자동차 전자 장비화 서비스 또한 이 문제를 피해갈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BMW, Bosch, Volkswagen 등 세계적인 자동차 완성 업체 및 부품 업체가 중심이 되어 AUTOSAR(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라는 협의체를 구성하여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오토사(AUTOSAR)는 ECU에 탑재되는 SW 아키텍처와 개발 방법론을 표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크게 자동차 SW 아키텍처 및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이들을 이용하여 전자 장비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 소프트웨어 안전성을 위한 적합성 테스트 분야로 나누어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AUTOSAR 4.1.1 버전이 릴리즈 됐다.
이에 따라, 제안된 모델과 방법론에 의해 차량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Vector, EB, KPIT 등과 같은 다양한 개발 도구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개발 도구를 이용하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의 Autosar 표준 포맷인 ARXML로 작성된다.
다만, 작성된 ARXML은 복잡한 구조에 많은 코드를 기재하고 있는 바, 설계자가 작성된 ARXML을 통하여 작성 결과를 확인하고, 작성된 ARXML을 수정하기는 어렵다.
또한, 이러한 어려움은 ARXML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일반 사용자에게 더욱 클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일 포맷을 오토사 표준 포맷인 ARXML로 변환하거나, 오토사 표준 포맷인 ARXML을 다른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그의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오토사(Autosar)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 장치에 접속한 단말 장치에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제1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접속한 단말 장치로부터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를 상기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 포맷인 ARXML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사(Autosar)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웹 페이지 생성부, 상기 웹 페이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제1 웹 페이지를 상기 서버 장치에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웹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접속한 단말 장치로부터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파일 포맷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웹 페이지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웹 페이지를 상기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 포맷인 ARXML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AUTOSAR 관련 서비스를 웹 상에서 제공함으로써, PC 등과 같은 단말 장치에 AUTOSAR 관련 Tool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AUTOSAR 관련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즉, PC와 같은 단말 장치만 있으면 누구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AUTOSAR 관련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잡한 구조의 오토사 표준 포맷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설계자, 일반 사용자 모두 작성된 ARXML의 작성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포맷의 데이터를 확인하여 파라미터 등을 쉽게 수정할 수 있고, 그 결과를 오토사 표준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려운 설계 업무를 쉽게 수행할 수 있는 바, 실무 설계자의 오토사 관련 업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일반 사용자게도 오토사 관련 정보를 쉽게 교육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RXML 포맷을 이미지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RXML 포맷을 엑셀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엑셀 포맷을 ARXML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RXML 포맷을 엑셀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거시 코드를 ARXML 포맷 또는 엑셀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사(AUTOSAR)의 소프트웨어(SoftWare) 아키텍처는 크게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 RTE(RunTime Environment) 및 BSW(Basic Software)의 3 계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RTE를 도입하여,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관련 소프트웨어인 BSW를 분리함으로써, 하드웨어에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재사용성, 유지보수성을 높여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RTE 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특정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배치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SWC)로 구성되며, 여기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된다.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RTE를 통하여 다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서비스, ECU Abstraction, Complex Device Driver와 같은 아토믹(Atomic)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와 통신하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RTE를 통해 다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사이의 정보 교환을 한다. 각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응용 소프트웨어 기능의 일부를 구현하며, ECU에 매핑되는 기본 단위이며, 포트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호 데이터를 교환한다. 센서(Sensor)/액츄에이터(Actuator)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한 종류로서, ECU의 센서 및 액츄에이터의 구현을 위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이다.
이러한 소프트 웨어 컴포넌트의 통신은 포트와 인터페이스로 나누어 정의할 수 있다. 각각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은 통신을 위한 여러 개의 포트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패턴이 결정된다. 포트는 자료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PPort(Provide Port) 라고 불리며, 요청하는 경우에는RPort(Require port)라고 정의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패턴에 따라 Server-client 방식과 Sender-receiver 방식으로 구분된다.
Server-client interface의 경우 client는 Server가 필요한 때 설정 매개 변수를 전송해 통신을 시작하고, Server는 RTE 형태로 client 로부터 들어오는 통신 요청을 대기하다 요청이 오면 해당 정보에 관련된 내용을 전송한다. 즉 client에게 server 측의 operation 을 제공하는 것으로 client가 server의 operation 함수를 호출하는 방식이다.
sender-receiver interface는 sender 가 receiver 측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으로 송신자와 수신자로 구분된다.
BSW(Basic Software)는 RTE 아래에 위치하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데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계층이다. BSW의 표준 계층으로 서비스 계층(Service Layer), EAL(ECU Abstraction Layer), MCAL(Microcontroller Abstraction Layer) 및 CDD(Complex Device Driver)로 구성된다. 서비스 계층은 운영 시스템(OS), 네트워크, 메모리, 검증, ECU 상태 관리 등의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EAL은 ECU 내부 장치들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ECU에 독립적인 상위 계층의 설계를 제공한다. MCAL은 상위 계층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로의 레지스터를 직접 조작하는 것을 피하게 해주며, 디지털 입출력,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파형 변환, 직병렬 변환 등으로 구성된다.
RTE는 ECU 내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교환 또는 ECU 사이에 이루어지는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센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이 ECU 내에서 이루어지는지 여부, 또는 CAN, LIN, FlexRay, MOST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ECU 사이에서 이루어지는지 여부와는 관계없이, RTE는 동일한 인터페이스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게 추상화된 통신을 사용 가능하게 한다. RTE는 각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사이,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와 BSW 사이의 정보 교환을 위한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분리시키는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차량 내부 ECU 사이의 제어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직렬 통신으로는 CAN, LIN, FlexRay 등이 있다.
한편, 오토사(AUTOSAR)의 대상이 되는 자동차는 복잡한 기계 구조와, 전기 및 전자 장치로 이루어진다. 이 중 전기/전자 장치는 센서, 액츄에이터, 제어기 등이 다양한 네트워크로 복잡하게 연결된 전장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 전장 시스템은 기능적으로 크게 바디, 샤시, 파워트레인, 안전, 멀티미디어로 구성된다. 바디 전장 시스템은 주로 운전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운전자의 다양한 명령을 수행하고, 차량의 정보를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으로 윈도우, 아웃사이드미러, 시트, 계기판, 도난경보, 전조등, 실내등, 와이퍼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 바디 전장 시스템을 구성하는 ECU들은 차량 네트워크 CAN, LIN, FlexRay 등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안된 모델과 방법론에 의해 차량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Vector, EB, KPIT 등과 같은 다양한 개발 도구가 제안되고 있다.
한편, 오토사(AUTOSAR)에서 제안된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에 따르면, 시스템 설계 단계, ECU 설정 단계, BSW(Basic SoftWare) Generator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시스템 설계 단계는 여러 ECU에 대한 시스템 설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시스템 설계 단계는, 네트워크 설계, 소프트웨어 컴퍼넌트(SoftWare Component) 설계를 포함하고, 소프트웨어 컴퍼넌트(SoftWare Component) 설계에서는 파일명, 함수명, 변수명, 사용하는 RTE-API의 설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시스템 설계 단계는 다양한 개발 도구를 이용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의 Autosar 표준 포맷인 ARXML로 작성된다. 이하에서는 시스템 설계 단계에서 작성된 ARXML을 '시스템 ARXML'로 지칭하기로 한다.
ECU 설정 단계는 1개 ECU에 대한 AUTOSAR BSW(Basic SoftWare) 선택 및 기능을 설정한다. 여기서 ECU 설정 단계는 다양한 개발 도구를 이용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의 Autosar 표준 포맷인 ARXML로 작성된다. 이하에서는 ECU 설정 단계에서 작성된 ARXML을 'ECU 파라미터 ARXML'로 지칭하기로 한다.
BSW Generator 단계는 시스템 설계 단계 및 ECU 설정 단계에서 생성된 코드를 이용하여 통합(integration) 작업 및 C 코딩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BSW Generator 단계는 BSW Source 생성, SWC 코딩, Service SWC 생성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오토사(Autosar)의 기본 개념을 기초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 장치(10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오토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통신부(110), 저장부(120), 파일 포맷 변환부(130), 웹 페이지 생성부(140), 제어부(15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단말 장치는 서버 장치(100)에의 접속에 따라 서버 장치(100)에서 제공된 웹 페이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은 사용자가 서버 장치(100)에 대응되는 URL 주소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입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서버 장치(100)와 외부 장치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통신부(110)는 서버 장치(100)와 사용자의 단말 장치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접속되는 형태,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 3G, 4G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가 가능하다.
저장부(120)는 서버 장치(100)는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저장부(120)는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다양한 툴(Tool)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20)는 서버 장치(100)내에 구비된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서버 장치(100)와 통신가능하도록 외부에 연결된 별도의 DB(Data Base)로 구현될 수 있다.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서버 장치(100)에 접속한 단말 장치로부터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저장부(120)에 저장된 다양한 파일 포맷 변환 툴을 이용하여 수신된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7을 참조하여 후술 하기로 한다.
웹 페이지 생성부(140)는 서버 장치(10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할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웹 페이지 생성부(140)는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제1 웹 페이지 및 변환된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제1 웹 페이지는, 제1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영역, 제2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 영역,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에 대한 파일을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영역은, 파일 포맷을 변환하기 전의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 영역으로, 엑셀 포맷, 이미지 포맷, ARXML 포맷, C 포맷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2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영역은, 파일 포맷을 변환한 후의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 영역으로, 엑셀 포맷, 이미지 포맷, ARXML 포맷, C 포맷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일 포맷의 파일을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은, 파일 포맷 변환 전의 파일을 서버 장치(100)에 업로드하기 위한 영역으로, 엑셀 포맷의 파일, 이미지 포맷의 파일, ARXML 포맷의 파일, C 포맷의 파일 등을 서버 장치(1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은, 파일 포맷 변환전의 소스 코드 등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으로, ARXML 소스 코드, C 소스 코드, 엑셀 데이터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는, 제2 파일 포맷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UI 영역,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UI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파일 포맷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UI 영역은, 파일 포맷 변환 후의 파일을 서버 장치(100)로부터 다운로드하기 위한 영역으로, 엑셀 포맷의 파일, 이미지 포맷의 파일, ARXML 포맷의 파일, C 포맷의 파일 등을 서버 장치(100)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UI 영역은, 파일 포맷 변환 후의 소스 코드 등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ARXML 소스 코드, C 소스 코드, 엑셀 데이터, 이미지 다이어그램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서버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파일 포맷 변환부(130), 웹 페이지 생성부(1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50)는 단말 장치가 서버 장치(100)에 접속하면, 웹 페이지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제1 웹 페이지를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는 서버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제1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단말 장치에 표시된 제1 웹 페이지 내의 제1 파일 포맷의 파일을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 또는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을 통하여,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서버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 장치에 표시된 제1 웹 페이지 내의 제1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 영역을 통하여 파일 포맷이 변환되기 전의 파일 포맷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 장치에 표시된 제1 웹 페이지 내의 제2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 영역을 통하여 변환할 파일 포맷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서버 장치(100)에 접속한 단말 장치로부터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2 파일 포맷에 대응되는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파일 포맷 변환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파일 포맷 변환에 따라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가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되면, 제어부(150)는 웹 페이지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를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는 서버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제2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단말 장치에 표시된 제2 웹 페이지 내의 제2 파일 포맷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UI 영역을 통하여, 파일 포맷 변환에 따른 제2 파일 포맷의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 장치에 표시된 제2 웹 페이지 내의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UI 영역을 통하여, 파일 포맷 변환에 따른 제2 파일 포맷의 소스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RXML 포맷을 이미지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수신된 시스템 ARXML 포맷의 데이터(201)를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를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는 이미지 포맷의 데이터(202)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 ARXML 포맷(201)은 오토사 표준에서 제안된 개발 방법론 중 시스템 설계 단계를 통하여 작성된 ARXML 포맷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시스템 ARXML 포맷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명칭 데이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연결 관계 데이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포함된 실행 가능 객체(러너블:runnable) 데이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포트 데이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와 러너블 및 각 포트들간의 연결 관계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연결 관계, 포트, 명칭 등을 다이어그램으로 도식화한 이미지 포맷의 데이터(202)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수신된 시스템 ARXML 포맷의 데이터(201)를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를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는 이미지 포맷의 데이터(202)로 변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RXML 포맷을 엑셀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수신된 시스템 ARXML 포맷의 데이터(301) 또는 ECU 파라미터 ARXML(301)을 엑셀 포맷(302)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시스템 ARXML 포맷을 엑셀 포맷으로 변환하는 예시>
구체적으로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시스템 ARXML 포맷의 데이터(301)를 분석하여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연결 관계, 포트, 명칭, 러너블 등의 데이터를 해당 요소에 기입시켜, 데이터를 각 요소 별로 분류한 엑셀 포맷의 데이터(302)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수신된 시스템 ARXML 포맷의 데이터(301)를 엑셀 포맷의 데이터(302)로 변환할 수 있다.
<ECU 파라미터 ARXML 포맷을 엑셀 포맷으로 변환하는 예시>
구체적으로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ECU 파라미터 ARXML 포맷의 데이터(301)를 분석하여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ECU 파라미터 ARXML은 오토사 표준에서 제안된 개발 방법론 중 ECU 설정 단계를 통하여 작성된 ARXML 포맷일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획득된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해당 요소에 기입시켜,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각 요소 별로 분류한 엑셀 포맷(302)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수신된 ECU 파라미터 ARXML 포맷의 데이터(301)를 엑셀 포맷의 데이터(302)로 변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엑셀 포맷을 ARXML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수신된 엑셀 포맷의 데이터(401)을 시스템 ARXML 포맷의 데이터(402) 또는 ECU 파라미터 ARXML의 데이터(402)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엑셀 포맷의 데이터(401)를 분석하여 각각의 요소 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획득된 요소 별 데이터를 오토사 표준 포맷에 적용하여 시스템 ARXML 포맷의 데이터(402) 또는 ECU 파라미터 ARXML 포맷의 데이터(402)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수신된 엑셀 포맷의 데이터(401)를 ARXML 포맷의 데이터(402)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엑셀 포맷에서 ARXML 포맷으로의 변환 및 ARXML 포맷에서 엑셀 포맷으로의 변환은 도 5 내지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CU 파라미터 ARXML 포맷을 엑셀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ECU 파라미터 ARXML 포맷의 소스 코드의 일부를 나타낸다. 이 경우,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ECU 파라미터 ARXML 포맷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소스 코드(501)에서 'OsAlarmAutostart'에 대한 description, 파라미터 등과 같은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획득된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Module, Container, SubContainer, parameter/reference, ... 등의 복수의 요소(601,602) 중 해당하는 요소에 기입시켜,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각 요소 별로 분류한 도 6과 같은 엑셀 포맷(602)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6에서는 ECU 파라미터 ARXML 포맷을 엑셀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시스템 ARXML 포맷을 엑셀 포맷으로 변환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엑셀 포맷을 오토사 표준 포맷인 ARXML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은 상술한 동작의 역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거시 코드를 ARXML 포맷 또는 엑셀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수신된 레거시 코드에 대응하는 C 포맷의 데이터(701)를 오토사 표준 포맷인 ARXML 포맷의 데이터(702) 또는 엑셀 포맷(702)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레거시 코드는, 오토사 표준 이전에 차량 제어용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코드로 C 포맷일 수 있다.
<C 포맷의 데이터를 엑셀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예시>
구체적으로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레거시 코드에 대응되는 C 포맷의 데이터(701)를 분석하여 C 코드 구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C 코드 구성 데이터는, 파일명 데이터, RETURN 데이터, 함수명 데이터, 함수의 입력 데이터, 함수 출력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획득된 C 코드 구성 데이터를 해당 요소에 기입시켜, C 코드 구성 데이터를 각 요소 별로 분류한 엑셀 포맷(702)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수신된 레거시 코드에 대응되는 C 포맷의 데이터(701)를 엑셀 포맷의 데이터(702)로 변환할 수 있다.
<C 포맷의 데이터를 ARXML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예시>
구체적으로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레거시 코드에 대응되는 C 포맷의 데이터(701)를 분석하여 C 코드 구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C 코드 구성 데이터는, 파일명 데이터, RETURN 데이터, 함수명 데이터, 함수의 입력 데이터, 함수 출력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획득된 C 코드 구성 데이터를 오토사 표준 포맷에 매칭되도록 변환함으로써, ARXML 포맷의 데이터(702)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레거시 코드에서 사용되던 함수명을 오토사 표준 포맷에 대응되는 함수명으로 변환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레거시 코드에서 사용되던 데이터 타입을 오토사 표준 포맷에 대응되는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레거시 코드에서 다른 파일에 인자를 전달하는 경우 sender-receiver interface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레거시 코드에서 다른 파일 함수를 호출하는 경우 client-server interface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100)의 파일 포맷 변환부(130)는 수신된 레거시 코드에 대응되는 C 포맷의 데이터(701)를 ARXML 포맷의 데이터(702)로 변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제1 웹 페이지는, 제1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 영역(801), 제2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 영역(802),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에 대한 파일을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804),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803), 파일 포맷 변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80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 영역(801)은, 파일 포맷을 변환하기 전의 파일 포맷(입력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 영역으로, 엑셀 포맷, 이미지 포맷, ARXML 포맷, C 포맷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2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 영역(802)은, 파일 포맷을 변환한 후의 파일 포맷(출력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 영역으로, 엑셀 포맷, 이미지 포맷, ARXML 포맷, C 포맷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일 포맷의 파일을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804)은, 파일 포맷 변환 전의 파일(입력 파일)을 서버 장치(100)에 업로드하기 위한 영역으로, 엑셀 포맷의 파일, 이미지 포맷의 파일, ARXML 포맷의 파일, C 포맷의 파일 등을 서버 장치(1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803)은, 파일 포맷 변환전의 소스 코드 등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으로, ARXML 소스 코드, C 소스 코드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도 8과 같은 제1 웹 페이지는, 단말 장치가 서버 장치(100)에 최초 접속하면,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8과 같은 제1 웹 페이지를 통하여,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가 수신되고, 파일 포맷 변환 변환(805)이 선택되면, 서버 장치(100)는 수신된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2 파일 포맷에 대응되는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파일 포맷 변환에 따라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가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되면, 서버 장치(100)는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를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는 서버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제2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단말 장치에 표시된 제2 웹 페이지 내의 제2 파일 포맷의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UI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파일 포맷 변환에 따른 제2 파일 포맷의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 장치에 표시된 제2 웹 페이지 내의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UI 영역을 확인함으로써, 파일 포맷 변환에 따른 제2 파일 포맷의 소스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서버 장치(100)에 접속한 단말 장치에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제1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S901). 여기서 제1 웹 페이지는, 제1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영역, 제2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 영역,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에 대한 파일을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100)에 접속한 단말 장치가 제1 웹 페이지를 통하여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전송하면, 단말 장치로부터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902).
그리고,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파일 포맷 변환 명령을 입력하면, 서버 장치(100)는 수신된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S903).
그리고, 변환된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를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S904).
여기서 제2 웹 페이지는,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에 대한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UI 영역,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UI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제1 또는 제2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 포맷인 ARXML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ARXML 포맷을 이미지 포맷 또는 엑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서버 장치(100)에 접속한 단말 장치에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제1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S1001).
그리고, 서버 장치(100)에 접속한 단말 장치가 제1 웹 페이지를 통하여 시스템 ARXML 포맷의 데이터를 전송하면, 단말 장치로부터 시스템 ARXML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002).
그리고,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파일 포맷 변환 명령을 입력하면, 서버 장치(100)는 시스템 ARXML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1003).
그리고,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를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는 이미지 포맷 또는 요소 별로 분류하여 나타내는 엑셀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S1004).
그리고, 변환된 파일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를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S1005).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CU 파라미터 ARXML 포맷을 엑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서버 장치(100)에 접속한 단말 장치에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제1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S1101).
그리고, 서버 장치(100)에 접속한 단말 장치가 제1 웹 페이지를 통하여 ECU 파라미터 ARXML 포맷의 데이터를 전송하면, 서버 장치(100)는 ECU 파라미터 ARXML 포맷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02).
그리고,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파일 포맷 변환 명령을 입력하면, ECU 파라미터 ARXML 포맷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1103).
그리고,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요소 별로 분류하여 나타내는 엑셀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S1104).
그리고, 변환된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를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S1105).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엑셀 포맷을 ARXML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서버 장치(100)에 접속한 단말 장치에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제1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S1201).
그리고, 서버 장치(100)에 접속한 단말 장치가 제1 웹 페이지를 통하여 엑셀 포맷의 데이터를 전송하면, 서버 장치(100)는 접속한 단말 장치로부터 엑셀 포맷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202).
그리고, 엑셀 포맷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요소 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1203).
그리고,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파일 포맷 변환 명령을 입력하면, 획득된 요소 별 데이터를 오토사 표준 포맷에 적용하여 시스템 ARXML 포맷 또는 ECU 파라미터 ARXML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S1204).
그리고, 변환된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를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S1205).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거리 코드에 대한 포맷을 ARXML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서버 장치(100)에 접속한 단말 장치에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제1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S1301).
그리고, 서버 장치(100)에 접속한 단말 장치가 제1 웹 페이지를 통하여 엑셀 포맷의 데이터를 전송하면, 서버 장치(100)는 접속한 단말 장치로부터 레거리 코드포맷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302).
그리고,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파일 포맷 변환 명령을 입력하면, 레거리 코드에 대응되는 포맷을 오토사 표준 포맷에 매칭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S1303).
그리고, 변환된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를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S1304).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 장치에서 실행되기 위한 설치 데이터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서버 장치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파일 포맷 변환부
140 : 웹 페이지 생성부 150 : 제어부

Claims (15)

  1. 서버 장치의 오토사(Autosar)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에 접속한 단말 장치에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제1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접속한 단말 장치로부터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를 상기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 포맷인 ARX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사(Autosar)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제1 웹 페이지는,
    상기 제1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영역, 상기 제2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 영역, 상기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에 대한 파일을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 상기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사(Autosar)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에서 제안된 개발 방법론 중 시스템 설계 단계를 통하여 작성된 시스템 ARXML이고,
    상기 제2 파일 포맷은,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를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는 이미지 포맷 또는 요소 별로 분류하여 나타내는 엑셀 포맷이며,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 ARXML을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사(Autosar)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에서 제안된 개발 방법론 중 ECU 설정 단계를 통하여 작성된 ECU 파라미터 ARXML이고,
    상기 제2 파일 포맷은,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요소 별로 분류하여 나타내는 엑셀 포맷이며,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ECU 파라미터 ARXML을 분석하여 상기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사(Autosar)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 포맷은, 엑셀 포맷이고,
    상기 제2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에서 제안된 개발 방법론 중 시스템 설계 단계 또는 ECU 설정 단계를 통하여 작성된 ARXML이며,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엑셀 포맷에서 요소 별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요소 별 데이터를 오토사 표준 포맷에 적용하여 상기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사(Autosar)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 이전에 작성된 레거시 코드(legacy code)에 대응되는 포맷이고,
    상기 제2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 포맷인 ARXML이며,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레거시 코드를 오토사 표준 포맷에 매칭되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사(Autosar)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는,
    상기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에 대한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UI 영역, 상기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UI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사(Autosar)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8. 오토사(Autosar)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에 있어서,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웹 페이지 생성부;
    상기 웹 페이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파일 포맷 변환을 위한 제1 웹 페이지를 상기 서버 장치에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웹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접속한 단말 장치로부터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파일 포맷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웹 페이지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웹 페이지를 상기 접속한 단말 장치에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 포맷인 ARX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영역, 상기 제2 파일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UI 영역, 상기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에 대한 파일을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 상기 제1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UI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에서 제안된 개발 방법론 중 시스템 설계 단계를 통하여 작성된 시스템 ARXML이고,
    상기 제2 파일 포맷은,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를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는 이미지 포맷 또는 요소 별로 분류하여 나타내는 엑셀 포맷이며,
    상기 파일 포맷 변환부는,
    상기 시스템 ARXML을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에서 제안된 개발 방법론 중 ECU 설정 단계를 통하여 작성된 ECU 파라미터 ARXML이고,
    상기 제2 파일 포맷은,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요소 별로 분류하여 나타내는 엑셀 포맷이며,
    상기 파일 포맷 변환부는,
    상기 ECU 파라미터 ARXML을 분석하여 상기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ECU 설정 파라미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 포맷은, 엑셀 포맷이고,
    상기 제2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에서 제안된 개발 방법론 중 시스템 설계 단계 또는 ECU 설정 단계를 통하여 작성된 ARXML이며,
    상기 파일 포맷 변환부는,
    상기 엑셀 포맷에서 요소 별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요소 별 데이터를 오토사 표준 포맷에 적용하여 상기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 이전에 작성된 레거시 코드에 대응되는 포맷이고,
    상기 제2 파일 포맷은, 오토사 표준 포맷인 ARXML이며,
    상기 파일 포맷 변환부는,
    상기 레거시 코드를 오토사 표준 포맷에 매칭되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제2 웹 페이지는,
    상기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에 대한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UI 영역, 상기 제2 파일 포맷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UI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098070A 2013-08-19 2013-08-19 서버 장치 및 그의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87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070A KR101487192B1 (ko) 2013-08-19 2013-08-19 서버 장치 및 그의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070A KR101487192B1 (ko) 2013-08-19 2013-08-19 서버 장치 및 그의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192B1 true KR101487192B1 (ko) 2015-01-29

Family

ID=5259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8070A KR101487192B1 (ko) 2013-08-19 2013-08-19 서버 장치 및 그의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1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443A (ko) * 2018-12-12 2020-06-2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Autosar 송신기-수신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매핑 항목 생성 방법
WO2022169010A1 (ko) * 2021-02-05 2022-08-11 주식회사 알티스트 Arxml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문서 구조 변환 시스템 및 방법
US11797430B2 (en) 2021-12-03 2023-10-24 T-Mobile Usa, Inc. Configuration-driven data conversion and hosting for software development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071A (ko) * 2007-11-29 2009-06-03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호재사용성과 구성이 용이한 오토사 서비스시스템
KR20120072130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토사 메타 파일 기반 기본 소프트웨어 속성값 검사 장치 및 방법
US20130073063A1 (en) 2011-09-19 2013-03-21 Dspace Gmbh Exchange of files and meta-information between system design tools and behavior modeling tools and/or simulators for the creation of ecu software
KR20130043311A (ko) * 2011-10-20 2013-04-30 엔에이치엔(주) 서버에 자동화 테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071A (ko) * 2007-11-29 2009-06-03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호재사용성과 구성이 용이한 오토사 서비스시스템
KR20120072130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토사 메타 파일 기반 기본 소프트웨어 속성값 검사 장치 및 방법
US20130073063A1 (en) 2011-09-19 2013-03-21 Dspace Gmbh Exchange of files and meta-information between system design tools and behavior modeling tools and/or simulators for the creation of ecu software
KR20130043311A (ko) * 2011-10-20 2013-04-30 엔에이치엔(주) 서버에 자동화 테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443A (ko) * 2018-12-12 2020-06-2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Autosar 송신기-수신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매핑 항목 생성 방법
KR102275139B1 (ko) * 2018-12-12 2021-07-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Autosar 송신기-수신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매핑 항목 생성 방법
WO2022169010A1 (ko) * 2021-02-05 2022-08-11 주식회사 알티스트 Arxml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문서 구조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3030A (ko) 2021-02-05 2022-08-12 주식회사 알티스트 Arxml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문서 구조 변환 시스템 및 방법
US11797430B2 (en) 2021-12-03 2023-10-24 T-Mobile Usa, Inc. Configuration-driven data conversion and hosting for software development system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Android/OSGi-based vehicular network management system
Traub et al. Future automotive architecture and the impact of IT trends
CN104641622B (zh) 用于借助于移动电话控制车载计算机的系统
US20150234690A1 (en) In-vehicle apparatus and program
CN102883306B (zh) 增强的智能电话车载设施
KR101782699B1 (ko) 자동차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401956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loud-Based Common Distribution Applications
MX2015002906A (es) Generacion de codigo nativo a partir de un codigo de lenguaje intermediario para una aplicacion.
TW201333731A (zh) 用於以感測器資料為基礎之應用及服務的開發及部署之運算平台
KR101541792B1 (ko) 서버 장치 및 그의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611022A (zh) 小程序应用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系统
KR101487192B1 (ko) 서버 장치 및 그의 오토사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CN113934426A (zh) 软件包处理方法、装置、系统、设备及介质
Sivakumar et al. Automotive grade Linux software architecture for automotive infotainment system
CN111858104B (zh) 多端适配的表单生成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5167831A (zh) 基于autosar的软件集成方法、设备和使用方法
de Melo et al. Towards a flexible UI model for automotive human-machine interaction
CN110727423A (zh) 跨平台开发行动应用程序的方法及其系统
Poaka et al. New architectural design of the runtime server for remote vehicle communication services
Wagner et al. Introducing a harmonized and generic cross-platform interface between a Vehicle and the Cloud
Weber et al. Vehicle OS: Software Platform and Ecosystem for All Vehicle Domains
US202300909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data file playback
Spyrou et al. IoT system design of a V2X application
Bauer et al. Reference Architectures for Automotive Software
Gulden Smart Things-Accessories in the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