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078B1 -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078B1
KR101487078B1 KR20130030773A KR20130030773A KR101487078B1 KR 101487078 B1 KR101487078 B1 KR 101487078B1 KR 20130030773 A KR20130030773 A KR 20130030773A KR 20130030773 A KR20130030773 A KR 20130030773A KR 101487078 B1 KR101487078 B1 KR 101487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uid
nozzle
delete delete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749A (ko
Inventor
정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팬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팬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팬 코리아
Priority to KR20130030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078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67D1/0864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in the form of a cooling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5Openings fo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9Opening means, e.g.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5Froth control promoting fr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 B67D2001/009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operated by cup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65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use of drinking cups or g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141Other parts
    • B67D2210/00144Magnets, e.g. used in valves or for stirring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유체 용기; 상기 유체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되고, 대향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자기흡입력을 통하여 폐쇄 위치되며, 대향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각각이 자성체로 이루어진 용기 접속장치; 및 상기 유체용기의 개구부 외주보다도 작은 외주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며, 통로의 측벽에 유체가 통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의 구멍을 유체 용기의 내부와 유체 연통시키기 위해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에 대해 노즐을 가압하여 유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행하는 분주기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체 이송장치에 따르면, 용기의 바닥부로 유체를 주입하여 음료의 거품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거품의 증가로 음료가 용기의 외측으로 넘쳐 낭비되는 것을 감소시키며, 음료의 주입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유체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Fluid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본 발명은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용기의 바닥부를 통하여 유체를 주입하고, 용기의 유체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는 캔이나 병, 팩 같은 용기에 담겨 진다. 이러한 음료는 대형 보관 탱크에 보존되었다가 소비를 위해 스파우트(spout), 호스(hose), 파셋토, 수도꼭지 또는 주입관을 통하여 캔이나 병 같은 작은 용기에 주입된다.
여기서, 음료의 용기 주입은 용기의 입구 즉, 용기의 상부를 통하여 주입되게 되는데 용기 상부로부터의 주입은 탄산음료의 경우 거품을 증가시키게 되고, 거품의 증가로 주입되는 음료가 용기 외측으로 넘쳐 흘리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당량의 음료를 낭비하게 된다. 또한, 음료를 낭비하지 않기 위해서는 주입시 거품이 안정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재주입하는 것을 반복해야 하므로 주입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의 상부를 통하여 주입하는 방법은 용기의 적절한 위치 결정, 음료의 유동개시, 음료의 유동정지 및 용기의 분리를 포함하는 다수의 공정이 필요하고, 각 공정을 거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각 공정의 조작 및 제어에 주의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제공개특허: 제 2007-102139호
미국공개특허: 제 2008-0223478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바닥부로 유체를 주입하여 음료의 거품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거품의 증가로 음료가 용기의 외측으로 넘쳐 낭비되는 것을 감소시키며, 음료의 주입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유체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유체 용기; 상기 유체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되고, 대향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자기흡입력을 통하여 폐쇄 위치되며, 대향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각각이 자성체로 이루어진 용기 접속장치; 상기 유체용기의 개구부 외주보다도 작은 외주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며, 통로의 측벽에 유체가 통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의 구멍을 유체 용기의 내부와 유체 연통시키기 위해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요소 중 하나에 대해 노즐을 가압하여 유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행하는 분주기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주기 접속장치는 노즐을 포위하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자성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접속장치에는 배수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접속장치에는 매니폴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접속장치에는 조명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 접속장치는 상부구획과, 유체용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부구획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하부구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구획이 제 1 부재이고, 상기 상부구획에 대합하는 캡이 제 2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은 노즐을 수용하는 형상의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이 상부구획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용기 접속장치의 개방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구획은 림 외주에서 이격되고 림을 통과하는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부구획의 구멍을 개폐하기 위해 상부구획의 종축을 따라 평행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구획과 하부구획은 각각 유체 용기에 접촉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자성체는 제 1 및 제 2 부재 각각의 부근에 떨어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분주기 접속장치는 자기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주기 접속장치는 이송하는 유체를 조광하기 위해 배치되는 복수의 LED조명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주기 접속장치는 하나 이상의 배출관과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관점에 따른 분주기 접속장치는 분주기 접속 장치에 있어서, 종축을 따르는 통로와, 통로로 유체가 통하도록 측벽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는 노즐; 상기 노즐의 외주보다도 큰 개구부를 구비하여 노즐을 둘러싸고, 노즐이 개구부 내에 위치되며,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에 장착되고, 상기 노즐의 구멍을 덮는 폐쇄 위치와 노즐의 구멍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플랫폼을 평행이동시키는 가요성 컬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의 상단은 폐쇄 위치에서 플랫폼의 개구부와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랫폼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이동에 노즐의 종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랫폼은 노즐 구멍에 대하여 개구부를 실링하기 위해 개구부에 인접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의 상단은 노즐과 일체화되는 자성재료를 가지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크는 노즐의 구멍을 통하여 분주되는 음료에 해당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관점에 따른 분주 시스템은 바닥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자성 캡이 구비된 용기; 상면에 자성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재료가 자성 캡과 접촉할 때에 캡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자성 캡을 지지하는 충분한 힘을 가지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노즐의 종축을 따라 이동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의 개구부 저면에는 자성 링이 구비되고, 상기 플랫폼은 용기의 자성 링에 상응하는 자성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성 캡은 용기의 상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면상에 상업적 식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성 캡은 용기의 상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면상에 개인적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유체 용기는 상기 유체 용기 바닥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유체 접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접속장치는 개구부 주위의 유체 용기 밑면과 접촉되고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와, 폐쇄 위치에서 제 1 요소와 접촉하고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유체 용기 상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면이 개인적 또는 상업적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자기 흡입력을 통하여 유체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관점에 따른 배수장치는 유체 용기로부터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 구비된 개구부와 대합 하도록 구성되는 배출관과, 상기 용기의 바닥부의 개구부에 구비된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장부와, 상기 용기로부터 원하는 장소까지 음료를 이끌기 위해 지장부의 반대측으로부터 배출관에 결합되는 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유체 이송 방법은 종축을 따라 유체가 흐르는 통로가 형성되고 유체가 통하도록 통로의 측벽에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는 노즐과, 노즐의 외측을 감싸고 노즐의 종축을 따라 평행이동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분주기 접속장치를 제공단계; 유체 용기의 바닥부 개구부와 대향하는 분리가능한 제 1 및 제 2 부재의 자기 흡인력에 의해 폐쇄 위치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용기 접속장치를 분주기 접속장치의 상방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용기 접속장치를 상기 분주기 접속장치의 플랫폼에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이 노즐 종축에 따라 이동하도록 플랫폼을 용기접속장치의 외면에 접촉시키고, 노즐의 구멍이 유체 용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제 1 부재를 제 2 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은 자성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접속장치는 외부 표면에 인접하는 자성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접속장치의 자성재료에 인접하도록 플랫폼의 자성재료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체 이송장치 및 유체 이송방법에 따르면, 용기의 바닥부로 유체를 주입하여 음료의 거품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거품의 증가로 음료가 용기의 외측으로 넘쳐 낭비되는 것을 감소시키며, 음료의 주입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유체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분주기에 접속되는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가 음료 분주기에 결합 되었을 때 용기의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개방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를 평면도로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용기 바닥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용기 접속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용기 바닥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용기 접속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분주기 접속장치의 제 1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용기 접속장치에 결합되는 분주기 접속장치의 제 2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용기 접속 장치에 결합되는 분주기 접속장치의 제 3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용기 접속 장치에 결합되는 분주기 접속 장치의 제 4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유체원과 용기 사이의 유체 흐름을 위한 개방 위치에서 도 6의 분주기 접속장치에 결합되는 도 4a 및 도 4b의 용기 접속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유체원과 용기 사이의 유체 흐름을 위한 개방 위치에서 분주기 접속장치에 결합되는 도 4a 및 도 4b의 용기 접속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접속장치를 가지는 용기 및 분주기 접속장치를 가지는 분주기를 포함하는 분주 시스템을 분해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분주 시스템으로부터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분주 시스템으로부터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를 포함하여 예시적인 분주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접속장치와 동시에 사용되는 세척장치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 분주기에 접속되는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유체 분주기(100)는 탄산나트륨(soda), 맥주(bier) 등의 탄산음료를 포함하는 유체를 분주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용기(102)는 예를 들어, 머그잔, 글라스 또는 피처 등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무방하다. 이러한 용기(102)는 용기(102)의 바닥부(104) 또는 그 부근에서 유체 분주기(100)와 결합된다.
용기(102)의 바닥에는 유체 분주기(100)와 결합되는 용기 접속장치(106)가 구비된다. 그리고 유체 분주기(100)에는 용기 접속장치(106)와 결합되는 분주기 접속장치(108)가 구비된다.
용기 접속장치(106) 및 분주기 접속장치(108)는 유체가 용기(102)의 바닥부로부터 주입되도록 용기(102)와 분주기(100) 사이의 유체로를 형성하기 위해 계합된다. 즉, 용기 접속장치(106)는 용기(102)가 분주기 접속장치(108)와 결합되는 때에 개방되어 유체 플로우를 가능하게 하고 용기102)가 분주기 접속장치(108)로부터 분리되는 때에 폐쇄되어 용기(102)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분주기(100)는 용기 접속장치(106)를 분주기 접속장치(108)에 적절히 정렬시키기 위한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유체의 주입과정에서 용기(102)의 상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유체가 용기를 넘치도록 주입할 수 있으며, 넘치는 유체를 수집하는 수집용기(112)를 포함하고, 수집용기(112)에는 수집된 음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14)가 구비된다.
또한, 분주기(100)는 유체원으로부터 분리되는 독립적인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좋지만 호스 또는 관 또는 그 밖의 액체 이송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분주기(100)는 카운터테이블 등의 고정면과 일체화되도록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분주기(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오디오(audio) 또는 비주얼(visual)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특정 분주기에 관련되는 내용을 식별하는 정보, 로고 또는 디자인을 포함할 수도 있고, 용기(102)가 분주기(100)에 접속되는 때에 전원이 인가되어 용기가 다양한 색깔로 변하도록 하거나, 플래시(flash)가 터지도록 하거나 또는 음악이 흘러나오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용기가 분주기 접속장치에 결합 또는 분리되었을 때 용기 접속장치가 개방 또는 닫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용기(202)는 컵, 피처, 머그잔 등 음료를 담을 수 있는 형태의 것으로 바닥부(204)와 측벽으로 구성되고, 음료를 마시거나 쏟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다. 그리고, 바닥부(204)에는 음료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개구부(206)가 형성되고, 개구부(206)에는 용기 접속장치(210)가 장착되어 개구부(206)를 개폐한다.
용기 접속장치(210)는 개구부(206)를 차단하는 캡(212)과, 개구부(206)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자성 링(214)으로 구성된다.
캡(212)은 개구부(206)를 커버링하고 자성 링(214)의 부분을 오버랩할 수 있는 형상과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철 금속의 자성 재료 이루어져 용기 개구부(206)에 구비된 자성 링(214)에 탈착된다. 또한, 캡(212)은 영리사업을 추진하거나 그 밖의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하기 위해 로고, 화상 등 시인 가능한 광고스페이스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212)은 자성재료로 구비되어 착탈가능하고, 캡(212)의 외면에 기업명/로고 등의 상용정보를 눈에 띄게 표시하여 음료를 이용한 소비자에게 선물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냉장고 또는 그 밖의 금속 구조체 상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업 또는 상품을 선전하는 홍보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성 링(214)은 개구부(206)의 외부 에지를 둘러싸는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는 용기의 개구부는 개폐하는 용기 접속장치가 분주기 접속장치와 접촉하고 있지만, 개구부가 개방되기 전 상태의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분주기 접속장치(220)는 용기 접속장치(210)에 접속되어 용기(202)와 분주기(미도시) 사이의 유체 흐름을 허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분주기 접속장치(220)는 유체 저장 탱크에 결합되어 유체를 이송시키는 호스와, 호스에 연결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222)을 포함한다. 노즐(222)은 용기의 바닥부(204)에 형성된 개구부(206)로 삽입되는 치수를 갖으며,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구멍(224)을 갖는다.
분주기 접속장치(220)는 용기의 바닥부(204)에 형성된 개구부(206)와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노즐(222)은 유체의 주입을 위한 유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캡(212)을 가압하여 용기의 개구부(206)를 개방한다.
도 2C는 유체의 주입을 위해 용기 접속장치에 분주기 접속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주기 접속장치의 노즐(222)은 용기에 구비된 용기 접속장치의 캡(212)을 가압하여 용기 접속장치(210)를 개방시킨다. 즉, 분주기 접속장치(220)의 노즐(222)을 통해 용기(202)의 내부로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노즐(222)의 구멍(224)이 용기(202)의 내부에 노출되면 유체는 자동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분주기 접속장치(220) 내의 음료가 가압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노즐(222)의 구멍(224)을 커버하는 플랫폼(226)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용기를 분주기 접속장치에 꽂으면 분주기 접속장치의 노즐(222)이 용기접속장치의 캡(212)을 가압하여 용기 접속장치(210)를 개방시키고, 아울러 용기의 바닥부(204)는 플랫폼(226)을 가압하여 노즐(222)의 구멍(224)을 개방시킨다. 따라서, 용기의 개구부(206)로 삽입된 분주기 접속장치(220)의 노즐(222) 개방과 함께 유체가 용기(202)의 내부로 주입되게 된다.
그리고, 유체의 주입이 완료되어 분주기 접속장치의 노즐(222)이 용기의 개구부(206)로부터 빠져나오면 용기 접속장치(210)는 용기에 주입된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용기의 개구부(206)를 폐쇄시킨다. 즉, 용기 접속장치의 캡(212)은 자성 링(214)에 연속적으로 끌어 당겨지고 있기 때문에 캡(212)을 가압하는 노즐(222)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캡(212)은 자성 링(214)의 흡입력에 의해 닫힘된다. 그리고, 분주기 접속장치(220)는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플랫폼(226)이 노즐(222)의 구멍(224)을 커버하여 음료가 더 이상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도 3은 용기의 바닥부에 형성된 개구부, 캡, 자성 링을 설명하기 위한 용기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용기의 개구부(302)는 용기의 바닥부(300)에 형성되어 유체가 용기의 내부로 주입가능하게 한다. 자성 링(306)은 개구부(302)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접착제 또는 나사 고정 또는 용기 바닥부(300)와 같이 성형되어 용기 바닥부(300)에 항구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캡(304)은 개구부(302) 및 자성 링(306)을 커버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철 금속 등의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304) 및/또는 개구부(302)에는 개구부(302) 주위의 유체 밀봉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오링 또는 개스킷 등의 실링부재가 구비되거나, 캡과 자석 링과의 사이에 고무패킹을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캡(304)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바닥부에 적합하는 평탄의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분주기 접속장치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분주기 접속장치의 일부를 수용하고 주입과정에서 캡을 원하는 장소로 유지시키기 위해 하측에 움푹 패인 홈부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a, 도 4b는 용기의 바닥부에 상호 접속이 가능한 상부 구획 및 하부 구획을 포함하는 용기접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상부 구획과 하부 구획의 조립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상부구획 및 하부구획이 서로 용기 바닥부의 개구부에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용기 접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세척 또는 다른 곳의 용기와의 사용을 위해 용기와의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부 구획(402) 및 하부 구획(404)은 용기(406)의 바닥부에 있는 개구부(408)를 통하여 서로 계합되기 위해 상호 체결되는 나사산(412,4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구획(402) 및 하부 구획(404)은 접착, 접합 등 그 밖의 수단에 따라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용기 접속장치(400)는 용기 바닥부에 일체화된다.
하부 구획(404)은 용기(406)의 바닥부에 있는 개구부(408)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전체적으로 원통형 축(410) 형상을 갖는다. 이때, 축(410)의 직경은 용기의 개구부(408) 사이즈와 거의 동일한 사이즈로 구비되거나, 다른 사이즈의 용기 접속장치와의 결합을 위해 용기의 개구부보다 비교적 작은 사이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축(410)의 외측에는 상부구획(402)과 계합하기 위한 나사산(412)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구획(404)의 축(410)의 기부에는 플랜지(418)가 포함된다. 플랜지(418)는 용기 바닥부(406)와 계합되는 면을 제공하기 위해 개구부(408)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다. 그리고, 플랜지(418)에는 오링 또는 개스킷 등의 실링부재(4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재(420)는 유체의 밀봉을 위해 상부구획(402)의 저면과 하부구획(404)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부구획(402)과 하부구획(404)이 계합될 때 용기(406)의 바닥면을 가압하여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구획(402)은 용기 접속장치(400)를 만들어 내기 위해 하부 구획(404)과 결합된다. 상부구획(402)은 하부구획(404)의 축(410)이 삽입되는 결합공(414)이 중앙에 형성되고, 결합공(414)의 내주면에는 하부구획(404)의 나사산(412)과 계합하기 위한 나사산(416)이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용기 접속장치(400)에는 상부구획(402)과 대합되도록 구성되는 형상의 캡(4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구획(402)은 캡(430)의 외면과 결합되는 내면을 가지는 림(428)을 포함한다. 림(428)은 상부구획의 결합공(414)의 중심위치에 캡(430)이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경사 내연을 가진다.
이에 더하여 용기 접속장치의 상부구획(402)은 폐쇄위치에서 캡(430)을 고정시키기 위해 자석(4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자석424)은 상부구획(402)과 하부구획(404)에 결합되는 링 또는 개별의 자성조각일 수 있다. 그리고, 자석(424)은 캡의 자석(432)을 끌어당기기 위해 상부구획에 접착 또는 접합 되거나 일체로 성형되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장착된다. 또는 상부구획(402) 및 캡(430)에 사용되는 재료가 자성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캡(430)의 저면에는 분주기 접속장치와 대합하기 위한 홈부(434)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캡의 홈부(434)는 캡(43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고, 캡(430)과 상부구획(402)과의 사이에 공간을 성형하는 것에 의해 개구부를 개방하는 분주기 접속장치의 일부를 수용한다. 그리고, 분주기 접속장치가 캡의 홈부(434)로부터 빠져나오면 캡(430)과 상부구획(402)과의 사이의 자기흡입력이 개구부(408)를 폐쇄하고 상부구획의 림(428)이 캡(430)의 위치를 정렬시킨다.
그리고, 상부구획(402)과 캡(430) 사이에는 개구부(408)가 폐쇄된 때에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 또는 개스킷 등의 실링부재(43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는 용기 바닥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용기 접속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용기 접속장치의 폐쇄 위치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용기 접속장치가 개방 위치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용기에 주입되어 있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이 이루어지며, 개구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유체가 용기의 내부로 주입되게 된다.
용기 접속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용기와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상부구획(502)과 하부구획(504)이 계합되도록 구비되고, 캡(530)이 상부구획(502)으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용기 접속장치(500)의 상부구획(502)은 캡(530)의 외측을 커버하는 림(528)을 포함한다. 캡(530)은 림(528)의 긴 축에 대하여 상하 평행이동할 수 있지만, 상부구획(50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림(528)은 캡(530)이 개방위치에 있을 때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출공(536)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캡(530)이 상방 또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하부구획(504)의 축과 상부구획(502)의 유출공(536) 사이에 경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캡(530)이 하방 또는 폐쇄위치에 있을 때는 림의 유출공(536)이 차단되어 유체의 경로가 폐쇄된다. 그리고, 캡(530), 상부구획(502), 하부구획(504)은 캡(530)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캡(530)의 폐쇄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9b는 분주기 접속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분주기 접속장치는 용기 접속장치와 결합된다.
도 6은 도 4a, 도 4b에 도시된 용기 접속장치에 결합되는 분주기 접속장치의 제 1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분주기 접속장치(600)는 종축을 따라 형성되는 통로의 측벽과 통하는 1개 이상의 구멍(604)를 갖는 노즐(602)을 포함한다. 노즐(602)은 용기 접속장치(400)의 캡(430)을 가압하여 용기 접속장치(400)를 개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노즐(602)의 상부는 캡(430)의 홈부(434)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분주기 접속장치(600)는 용기 접속장치(400)를 고정하기 위한 자석 또는 자성재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분주기 접속장치(600)는 용기 접속장치(400)의 하부구획(404)에 구비된 자석(426)과 결합하는 자기 링(608)을 포함하는 플랫폼(6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주기 접속장치(600)는 용기 접속장치(400)와의 사이에 유체의 밀봉을 위한 실링부재(6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606)과 노즐(602) 사이에는 종축을 따라 플랫폼(606)을 평행이동시키는 컬러(61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a, 도 7b는 도 4a, 도 4b에 도시된 용기 접속장치에 결합되는 분주기 접속장치의 제 2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폐쇄 상태에 있는 분주기 접속장치(700)을 도시하고, 도 7b는 개방 상태에 있는 분주기 접속장치(700)을 도시한 것이다.
분주기 접속장치(700)는 도 6과 마찬가지로 유체가 저장된 탱크와 용기 사이에 유로를 형성기 때문에 구멍(704)을 구비하는 노즐(702)을 포함한다. 그리고, 분주기 접속장치와 용기 접속장치와의 사이의 유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708)를 포함한다.
또한, 분주기 접속장치(700)는 컬러(710)를 포함한다. 컬러(710)는 분주기 접속장치의 플랫폼(706)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컬러(710)는 분주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 노즐(702)을 커버하여 잠재적으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염물성질이나 파편 등이 분주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플랫폼(706)은 분주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 노즐(702)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림(712)을 포함한다. 림(712)은 상부가 하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림(712)의 경사면은 분주기 접속장치를 용기 접속장치에 적절히 정렬시키는데 사용된다.
도 8은 분주기 접속장치의 제 3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용기 접속장치에 결합되는 분주기 접속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분주기 접속장치(850)는 유체가 주입되는 유체 분주기와 용기 사이를 접속하기 위해 용기 바닥부(300)에 대합된다. 그리고, 분주기 접속장치(850)는 카운터 테이블 또는 급사플랫폼에 결합 될 수도 있고, 유체 탱크, 유체 탱크 도관 등에 결합 될 수도 있다.
여기서, 분주기 접속장치(850)는 노즐(852)을 포함한다. 노즐(852)은 유체가 흘러 용기 내에 주입되는 1개 이상의 구멍(854)을 포함한다. 또한, 분주기 접속장치는 노즐(852)의 상면에 디스크(862)를 구비한다. 디스크(862)는 광고 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고, 유체 분주기에 결합되는 유체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유체 분주기는 용기가 분주기 접속장치(850)에 결합되면 유체 플로우를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분주기 접속장치(850)는 용기가 분주기와 정렬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플랫폼(856)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856)은 노즐(852)과 결합되고, 용기 바닥부의 개구부를 소정의 위치에 유도하고 용기를 노즐(852)과 정렬시키기 위해 상부를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랫폼(856)은 용기 접속장치의 외주연에 적합한 상부 림(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플랫폼(856)은 분주기 접속장치가 용기와 결합되지 않은 때에 유체 분주기로부터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노즐(852)의 구멍(8454)을 폐쇄시키고, 분주기 접속장치가 용기와 결합되면 노즐(852)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노즐의 구멍(854)를 개방시킨다. 즉, 분주기 접속장치의 노즐(852)을 용기 바닥부의 개구부로 진입시키면 용기 바닥부가 플랫폼(856)을 눌러 노즐(852)의 구멍(854)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플랫폼(856)은 스프링 등의 가세력에 의해 이동하고, 분주기 접속장치의 노즐(852)을 개구부(302)로부터 분리시키면 플랫폼(856)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노즐의 구멍(854)을 폐쇄시키는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또는 용기가 들어 올려져 노즐(852)이 용기로부터 분리되면 플랫폼(856)과 용기 사이의 자기 흡입력의 영향하에서 노즐의 구멍(854)을 폐쇄시키는 위치로 돌아오도록 할 수도 있다.
분주기 접속장치는 용기 접속장치 내에 구비된 자석 또는 자성재료에 대응하는 자석 또는 자성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플랫폼(856)에 자성재료를 포함하는 링(864)을 구비하여 플랫폼의 링(864)이 용기 바닥부의 링(306)을 끌어당겨 용기가 플랫폼(856)에 고정되도록 하고, 노즐의 디스크(862) 상에 자성재료를 포함하는 링을 구비하여 용기 접속장치의 캡(304)이 노즐(852) 상에 위치되도록 하며 개방 위치에서 캡(304)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플랫폼(856) 및 노즐(852)에는 노즐과 플랫폼과 용기 사이의 유체 밀봉을 위한 1개 이상의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노즐(852)은 구멍(854)의 상부면을 밀폐하기 위한 실링부재(858)를 구비하고, 플랫폼(856)은 노즐의 구멍(854)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 노즐의 구멍(854) 밑틀을 밀폐하기 위한 실링부재(860)와 노즐의 구멍이 개방위치에 있을 때 용기와 플랫폼과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실링부재(86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링부재(858,860,866)는 유체를 밀봉하기 위한 고무제 오링 또는 개스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랫폼(856)은 노즐의 말단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플랫폼(856)의 상단은 실링부재(858)가 노즐(852)의 상부에 안치될 수 있도록 단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노즐(852)의 상부는 플랫폼(856)의 단턱에 걸림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노즐과 걸림되는 단턱에 의해 플랫폼(856)이 노즐(852)의 상단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9a 및 도 9b는 용기 접속장치에 결합되는 분주기 접속장치의 제 4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폐쇄 상태에 있는 분주기 접속장치(900)을 도시하고, 도 9b는 개방 상태에 있는 분주기 접속장치(900)을 도시한 것이다.
분주기 접속장치(900)는 용기의 바닥부를 통하여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노즐(902)을 포함하고, 노즐(902)에는 유체 분주기와 용기와의 사이에 유체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멍(908)이 형성된다. 또한, 분주기 접속장치는 노즐(902)의 외측을 감싸는 플랫폼(904)을 포함하고, 플랫폼(904)에는 노즐(902)이 평행이동할 수 있는 통로(912)가 형성된다. 플랫폼(904)은 컬러(906)에 직접 장착되고, 컬러(906)는 가요성 부재로서 도 9a,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지거나 접힘된다. 그리고, 플랫폼(904)은 분주기 접속장치 폐쇄위치에서 노즐의 구멍(908)을 차단하고, 분주기 접속장치 개방위치에서 노즐의 구멍(908)을 개방시킨다.
컬러(906)는 노즐(902)에 대하여 플랫폼(904)의 평행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되, 노즐(902)로부터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액체밀봉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컬러(906)는 분주기 접속장치의 폐쇄 위치에서 길이가 신장되어 플랫폼(904)이 노즐(902)의 상단부를 커버하고, 분주기 접속장치의 개방위치에서 길이가 축소되어 플랫폼(904)이 노즐(902)의 상단부를 개방하도록 플랫폼(904)이 노즐(902)의 긴 축을 따라 평행이동할 수 있게 중앙부가 외측으로 접힘된다.
또한, 컬러(906)는 분주기 접속장치의 개방위치에서 노즐 구멍(908)의 일부를 커버하고, 폐쇄위치에서 노즐 구멍(908)이 전체를 커버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한다, 이때, 컬러(906)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분주기 접속장치의 하단부와 플랫폼(904) 사이에 결합된다. 분주기 접속장치의 하단부와 플랫폼에는 홈이 구비되고, 컬러에는 홈에 끼움되는 돌기가 구비되어 컬러의 돌기가 플랫폼 및 분주기 접속장치의 홈에 끼움되어 결합된다. 이에 더하여 홈과 컬러의 돌부에는 결합을 위한 접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플랫폼(904)에는 노즐(902)에 대하여 용기를 정렬시키는 림(910)이 포함될 수 있다. 림(910)은 1개 이상의 돌기물을 포함하는 포크형태의 림일 수도 있고,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에 적응하기 위해 스텝의 바닥부를 가지는 고체 림일 수도 있으며, 포크형태의 림과 고체 림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플랫폼(904)에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부재(914)가 포함될 수 있다. 실링부재(914)는 플랫폼 통로(912)의 상단부 주위를 구비되어 용기와 플랫폼(904) 사이를 밀폐한다.
한편, 분주기 접속장치(900)는 용기 접속장치에 결합하기 위한 자석 또는 자성재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플랫폼(904)은 액체의 주입시 용기 접속장치를 플랫폼(904)에 고정하기 위해 자성 또는 철 금속 재료를 포함하거나 자석 또는 자성재료의 링(916)을 포함한다. 또한, 노즐(902)의 상부는 액체의 주입시 용기 접속장치의 캡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스크(918)를 포함하고, 디스크(918)는 캡을 끌어당기기 위한 자석 또는 자성재료를 포함하며 캡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디스크(918)는 분주기로부터 공급되는 유체 타입 또는 브랜드, 광고재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도 11은 분주기 접속장치와 용기 접속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도 11은 용기와 유체원과의 사이에 유체로를 형성하기 위해 용기접속장치와 분주기 접속장치가 결합된다. 용기 접속장치는 용기의 바닥에 장착되고, 분주기 접속장치는 분주기 또는 유체원이 저장된 탱크에 장착된다. 즉, 용기가 분주기에 결합되면 분주기 접속장치와 용기접속장치에 의해 형성된 유체로를 통해 유체원이 용기의 내부로 주입되고, 용기가 분주기로부터 분리되면 용기 접속장치가 분주기 접속장치로부터 분리되며 용기 접속장치는 용기에 주입된 유체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용기를 밀폐시킨다.
도 10은 유체원과 용기 사이의 유체 플로우를 위한 개방위치에 있어서, 도 6의 분주기 접속장치에 도 4a, 도 4b의 용기 접속장치를 결합시켜 도시한 것이다.
분주기 접속장치에 용기 접속장치가 접속되면, 분주기 접속장치의 노즐(602)은 용기 접속장치의 캡(430)을 가압하고, 캡(430)은 상부구획의 자석(424)과 캡의 자석(432) 사이의 자기 흡입력을 극복하고 상부구획으로부터 분리되며, 노즐의 구멍(604)은 용기의 내부에 노출된다. 이때, 용기 접속장치의 하부구획의 자석(426)이 분주기 접속장치의 플랫폼(606)을 끌어당기기 때문에 플랫폼의 자석(608)과 하부구획의 자석(426)의 자기 흡입력에 의해 노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고정시킨다. 그리고, 노즐(602)의 상단부는 캡(430)의 홈부(434)에 삽입되어 캡(430)의 위치를 정렬시킨다.
도 11은 유체원과 용기 사이의 유체 플로우를 위한 개방위치에 있어서, 분주기 접속장치에 도 5a, 도 5b의 용기접속장치를 결합시켜 도시한 것이다.
분주기 접속장치(1100)에 용기 접속장치(500)가 접속되면, 분주기 접속장치(1100)의 노즐(1102)은 용기 접속장치의 캡(530)을 가압하고, 캡(530)은 림(528)의 긴 축에 대하여 평행이동하여 림(528)의 유출공(536)을 개방한다. 그리고 캡(530)은 노즐(1102)의 가압이 해제되면 자기 흡입력, 스프링장치 등의 가세력에 의해 림의 유출공(536)을 폐쇄시킨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다양한 특징을 포함하는 용기 접속장치를 가진 용기 및 분주기 접속장치를 가진 분주기를 포함하는 분주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분주 시스템(1200)은 용기 접속장치(1202)를 가진 용기 및 분주기 접속장치(1204)를 가진 분주기를 포함한다.
용기(1206)는 용기 접속장치(1202)를 포함하고, 용기 접속장치(1202)는 캡(1208), 캡 수용자석(1210), 실링부재(1212), 림(1214), 림 수용자석(1216), 실링부재(1218), 바닥부구획(1222) 및 바닥부 수용자석(1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자석(1210,1216,1220)은 용기 접속장치의 각각의 부품에 편입되는 1개 이상의 자성조각, 고체 자기 링 등이 포함되며, 실링부재(1212,1218)는 오링 또는 개스킷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캡 수용자석(1210)은 캡(1208)의 테두리를 따라 균등히 배치되는 5개의 네오디뮴(Neodym) 자석을 포함한다. 실링부재(1212)는 디스크 형상의 고무재 또는 개스킷으로 구비되고, 림(1214)은 캡이 개방위치에 있을 때 유체 플로우를 가능하게 하는 유출공을 포함하며 캡 수용자석에 대응하는 5개의 네오디뮴 자석을 가지는 림 수용자석(1216)을 포함한다. 그리고 바닥부 구획(1222)은 림(1214)과 결합하고 분주기(1204)를 끌어당기기 위한 바닥부 수용자석(1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바닥부 수용자석(1220)은 네오디뮴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주기는 분주기 접속장치(1204)를 포함하고, 분주기 접속장치(1204)는 충전밸브(1226), 충전밸브용의 제 1 패킹부재(1224), 충전밸브자석(1228), 노즐(1230), 충전밸브와 노즐 사이의 컬러(1232) 및 제 2 패킹부재(123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제 2 패킹부재(1224,1231)는 오링, 개스킷 또는 분주기 접속장치와 용기접속장치 사이의 액체를 밀봉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노즐(1230)은 캡(1208)을 가압하고 분주기와 용기 사이에 유체로를 형성하기 위해 용기 접속장치(1202)를 통하여 용기의 내부로 진입하는 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유체 플로우를 가능하게 하는 1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다.
충전밸브(1226)는 노즐(1230)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를 개폐하기 위해 노즐(1230)의 긴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충전밸브자석(1228)은 충전밸브(1226)와 결합되고, 용기 접속장치의 바닥부 구획(1222)의 자석(1220)을 끌어당기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자기흡입력을 통하여 용기를 안전하게 지지시킨다.
컬러(1232)는 충전밸브(1226)를 노즐(1230)에 결합시키되, 충전밸브(1226)가 노즐(1230)을 따라 평행이동할 수 있게 결합시킨다. 그리고, 컬러(1232)는 노즐(1230)로부터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더하여 분주기는 스위치, 조명 등이 구비되는 하우징(1234), 용기로부터 넘치는 유체를 받아 모을 수 있는 수집용기(1236), 수집용기 사용 후의 용이한 세척이 가능하게 하는 배출구(123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주기의 하우징(1234)은 광고, 유체의 타입, 브랜드 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스페이스로 사용될 수 있고, 조명은 유체의 주입과정에서 유체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며, 수집용기(1236)는 용기의 상부로부터 과잉한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거품이 일고 있는 유체를 의도적으로 넘치게 하고 용기로부터 넘치는 유체를 수집하는데 사용된다. 배출구(1238)는 수집용기(1236)의 바닥에 형성되어 수집용기(1236)에 수집된 유체를 제거하고 수집용기(1236)를 세척하는 세척수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이에 더하여 분주기는 유체원에 결합되는 도관(1240)을 포함한다. 도관(1240)은 분주기를 복수의 음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유체원에 설치가능한 매니폴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분주 시스템은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장치(1300)를 포함한다.
분주 시스템의 유체 도관은 직접적으로 또는 매니폴드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분주기에 결합된다. 그리고 유체 도관과 노즐 사이에는 밸브가 결합되고,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관로도 밸브를 통하여 분주기에 결합된다. 여기서, 세척 관로는 분주기에 결합되는 액체원 중의 하나로 매니폴드에 결합될 수도 있다. 세척액은 물이 사용되어도 좋지만 세제용액, 알코올, 또는 강제공기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3은 분주 시스템으로부터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분주기는 앞서 설명된 노즐(1302)을 포함하고, 유체 도관(1304)에 접속된다. 분주기는 원하는 유체의 플로우를 개시 및 정지하기 위해 유체 도관(1304)과 노즐(1302)과의 시이에 밸브(1306)를 포함한다. 그리고, 액체 도관에는 유량계가 결합될 수도 있다.
분주기에 용기가 접속되면 밸브(1306)를 열어 원하는 유체를 용기 내에 주입시킨다. 그리고, 용기에 유체가 채워지면 밸브(1306)를 잠궈 유체 플로우를 정지시킨다.
분주기의 노즐(1302)에는 세척 관로(1308)가 결합된다. 이때, 세척 관로의 밸브(1310)는 유체 주입 후의 노즐(1302)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 관로(1308)와 노즐(1302) 사이에 구비되어 세척액의 흐름을 제어한다. 이때, 세척 관로(1308)의 밸브(131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분주기에는 배출밸브(1312)가 포함된다. 배출밸브(1312)는 분주기로부터 세척액을 배출하기 위한 밸브로서, 세척 관로의 밸브(1310)와 동시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출밸브(1312)는 노즐(1302)을 세척액으로 씻은 뒤에 세척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이때, 용기에 남아 있는 소정의 유체는 노즐(1302)을 통하여 배출되게 한다.
한편, 분주기를 세척하는 방법은 용기를 분주기에 결합하는 단계와, 유체 도관의 밸브(1306)를 개방하여 유체를 용기에 주입하는 단계와, 유체의 주입이 완료되면 유체 도관의 밸브(1306)를 잠금하는 단계와, 용기를 분주기로부터 분리시키는 (S40)단계와, 세척관로의 밸브(1310)를 개방하여 세척수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공된 세척수로 분주기를 세척하는 단계와,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 관로의 밸브(1310)를 잠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4a, 도 14b는 분주 시스템으로부터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a, 도 14b는 용기가 분주기(1402) 위에 올려지면 압력스위치가 작동하여 제 1 밸브(1404)를 개방하고, 이어 제 2 밸브(1412)를 개방하여 유체 도관(1418)으로부터 용기의 유체 유로를 형성한다. 이때, 제 2 밸브(1412)는 스위치를 사용하여 조작자가 수동으로 밸브를 조작하여 개방시킨다. 이어 유체가 용기에 주입되는 동안 제 1 컬러(1406) 및 제 2 컬러(1408)는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때 제 1 컬러(1406)에는 컬러에 바이어스를 걸기 위한 스프링(1410)이 구비되며, 컬러가 폐쇄 위치일때 스프링(1410)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체의 주입이 완료되면 제 2 밸브(1412)는 유체 플로우를 차단하기 위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잠금된다. 이어 용기가 분주기로부터 분리되면 압력스위치는 제 1 밸브(1404)를 잠금시키고 동시에 제 2 밸브(1412)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로 인하여 유체 도관(1418)은 분주기에 대해 폐쇄 상태가 되지만 유체는 여전히 주입되어 제 2 컬러(1408)에 채워지고 제 2 컬러(1408)는 주입된 유체에 의해 팽창하게 된다. 팽창된 제 2 컬러(1408)는 분주기의 노즐이 제 1 컬러(1406)의 내부에 위치되게 하여 노즐의 구멍이 제 1 컬러(1406)에 의해 차단되도록 하고, 용기에 주입되지 않은 유체가 실링부재(1414)에 의해 차단되어 분주기에 집입되지 않게 한다. 이때, 제 1, 제 2 컬러(1406,1408)는 안내로드(1416)에 안내되어 팽창 및 수축 위치의 사이를 적절하게 평행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세척장치를 포함하는 분주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4a, 도4b 및 도 6에 도시된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와 유사한 구성요소는 상기와 유사한 번호가 부착된다.
분주 시스템은 용기(406)에 나사고정된 상부구획(402) 및 하부구획(404)을 포함하고, 용기(406)와 용기 접속장치 사이에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422,420)를 포함하며, 용기 접속장치(422,420)의 개폐를 위한 캡(430)을 포함한다. 캡(430)은 자석(432,424)을 포함하고, 자석(432,424)은 노즐(602)이 캡(430)을 밀어 개방상태일 때 서로 끌어당기는 자력에 의해 캡(430)과 노즐(602)위치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캡(430)과 상부구획(402)과의 사이 및 하부구획(404)과 플랫폼(606)과의 유체밀봉을 위하여 고무재, 개스킷 등의 실링부재(436,438,440)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 접속장치의 캡(430)을 가압하는 노즐(602)과, 용기 접속장치를 분주기 접속장치에 결합시키는 자기링(426,608)을 포함한다.
그리고, 캡(430)에는 노즐(602)이 분리된 뒤 캡(430)이 용기 바닥부의 개구부를 패쇄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밧줄, 코일, 스프링 등의 안내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캡은 아래 방향의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체적으로 자성재료로 만들어질수도 있고, 자성재료를 포함하거나 개별의 자기 링 또는 자성조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캡을 폐쇄방향으로 끌어당기기 위해서는 용기의 내측 또는 외측에 캡의 자석과 대응하는 자석이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용기와 분주기 사이에는 한 조의 자석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기는 분주기를 끌어당기기 위해 개별의 자석을 사용해도 좋고, 캡을 끌어당기기 위해 사용된 동일 자석을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자석은 유체가 주입되는 사이 용기를 안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에 더하여 분주 시스템은 장식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조명(1502)이 하우징(1504)에 구비됨으로써 유체의 선별에 따라 또는 용기의 선별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점멸 또는 점등하여 장식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주입되는 액체를 비춰볼 수 있으며, 유체를 보다 매력적인 맛으로 보이게 하는 시각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여기서, 조명(1502)은 용기가 분주기에 접속되고 분리될 때 다양한 전기적, 기계적 또는 자기적 수단에 의해 점등될 수도 있고, 용기 상에 화상, 메시지 또는 광고가 투영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에는 조명을 제어하는 스위치(1506)를 포함할 수 있다.
분주기는 유체원에 결합될 수 있다. 분주기는 복수의 유체를 동일한 분주기에 결합하기 위해 매니폴드(1508)를 통하여 1개 이상의 유체원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원하는 유체를 선택하기 위해 스위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세척장치가 분주기에 결합될 수 있다. 세척장치는 분주기의 접속부에 세척관로(1510)가 연결되어 유체가 접속부에 남아 상하거나 부패 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속부를 세척수로 세척한다. 세척장치는 주입중 과잉한 유체와 세척 후에 세척 유체의 배수경로를 제공하는 배출관로(1514)와 배출밸브(1512), 유체수집용기(15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체(음료) 수도꼭지의 손잡이에 구비된 특유의 레버가 분주 시스템으로부터 용기의 주입을 개시 및 정지하기 위한 스위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버튼을 누르거나, 노브를 돌리거나, 가압액체의 플로우를 개시시키기 위한 그 밖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음을 개시하기 위한 수도꼭지 손잡이 이외의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유체 플로우의 개시는 압력스위치의 사용에 따라서 유체 유로를 개방하는 것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유체가 용기에 채워지면 유체 플로우가 자동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며, 파인트(pint) 또는 피처(pitcher) 등 프로그램되는 용기의 사이즈에 따라 용기를 충족시키기 위해 타이머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용기 접속장치에는 용기에 주입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6a, 도 16b는 용기의 바닥부를 통하여 용기로부터 유체를 배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배수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배수장치(1600)는 용기의 바닥부(1604)를 통하여 용기(1602)의 내용물(유체)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의 바닥부(1604)에 배수관(1616)이 결합된다.
배수관(1616)의 선단부에는 용기의 캡을 들어올리기 위한 지장부(1618)가 구비되고, 용기와의 접속을 위한 플랫폼(1608)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래폼(1608)은 용기의 링(1612)을 고정하기 위한 자성재료 또는 철 금속을 포함하는 링(16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기(1602)와 배수관(1616) 사이에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관(1616)의 후단부에는 용기 내부의 유체를 원하는 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도관(1606)이 연결된다. 그리고, 배수관(1616)과 도관(1606) 사이에는 유체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가요성 재질의 신축관(1614)이 포함될 수 있다.
용기(1602)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용기가 분주기로부터 분리되고 배수장치의 배수관(1616)과 결합된다. 배수관(1616)이 용기(1602)의 용기 접속장치에 결합되면, 배수관의 지장부(1618)가 용기 접속장치의 캡(1610)을 밀어 올려 용기 접속장치를 개방시키고 이로 인하여 용기의 내용물이 배수관(1616)과 도관(1606)을 통하여 배수되거나 원하는 장소로 이송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이송 방법은 종축을 따라 유체가 흐르는 통로가 형성되고 유체가 통하도록 통로의 측벽에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는 노즐과, 노즐의 외측을 감싸고 노즐의 종축을 따라 평행이동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분주기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유체 용기의 바닥부 개구부와 대향하는 분리가능한 제 1 및 제 2 부재의 자기 흡인력에 의해 폐쇄 위치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용기 접속장치를 분주기 접속장치의 상방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 접속장치를 상기 분주기 접속장치의 플랫폼에 정렬시키는 단계와, 상기 플랫폼이 노즐 종축에 따라 이동하도록 플랫폼을 용기접속장치의 외면에 접촉시키고, 노즐의 구멍이 유체 용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제 1 부재를 제 2 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은 자성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접속장치는 외부 표면에 인접하는 자성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접속장치의 자성재료에 인접하도록 플랫폼의 자성재료를 배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액체, 음료 또는 맥주 분주기에 관련되고, 본 명세서에 기재 및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액체 또는 물질에도 적용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또한, 용기의 바닥부로 유체가 주입되는 것에 관련하여 「바닥부」라는 용어는 용기 내의 액체 표면보다 아래로부터 행해지도록 용기의 어느 한쪽의 하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바닥부는 처음은 유체의 주입이 용기 내의 유체 표면보다 위이지만 용기에 유체가 용량까지 채워지는 경우 유체 표면보다 아래가 되는 용기의 측면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한, 폐쇄되어 있는 용기의 상부로부터 주입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유체 분주기 102: 용기
104: 바닥부 106: 용기 접속장치
108: 분주기 접속장치 110: 하우징
112: 수집용기 114: 배출구
202: 용기 204: 바닥부
206: 개구부 210: 용기 접속장치
212: 캡 214: 자성 링
220: 분주기 접속장치 222: 노즐
224: 구멍 226: 플랫폼
300: 용기 바닥부 302: 개구부
304: 캡 306: 링
400: 용기 접속장치 402: 상부구획
404: 하부구획 406: 용기
408: 개구부 410: 축
412,416: 나사산 414: 결합공
418: 플랜지 420: 실링부재
424: 자석 428: 링
430: 캡 432: 자석
438: 실링부재 500: 용기 접속장치
502: 상부구획 504: 하부구획
530: 림 530: 캡
536: 유출공 600: 분주기 접속장치
602: 노즐 604: 구멍
606: 플랫폼 608: 자기 링
610: 실링부재 612: 컬러
700: 분주기 접속장치 702: 노즐
704: 구멍 706: 플랫폼
708: 실링부재 710: 컬러
712: 링 850: 분주기 접속장치
852: 노즐 854: 구멍
856: 플랫폼 858,860,866: 실링부재
862: 디스크 864: 링
900: 분주기 접속장치 902: 노즐
904: 플랫폼 906: 컬러
908: 구멍 910: 림
912 통로 914: 실링부재
916: 링 918: 디스크
1100: 분주기 접속장치 1102: 노즐
1200: 분주 시스템 1202: 용기 접속장치
1204: 분주기 접속장치 1206: 용기
1208: 캡 1210: 캡 수용자석
1212: 실링부재 1214: 림
1216: 림 수용자석 1218: 실링부재
1220: 바닥부 수용자석 1222: 바닥부 구획
1224: 제 1 패킹부재 1226: 충전밸브
1230: 노즐 1231: 제 2 패킹부재
1232: 컬러 1234: 하우징
1236: 수집용기 1238: 배출구
1300: 세척장치 1302: 노즐
1304: 도관 1306: 밸브
1308: 세척관로 1310: 세척관로 밸브
1312: 배출밸브 1402: 분주기
1404: 제 1 밸브 1406: 제 1 컬러
1408: 제 2 컬러 1410: 스프링
1412: 제 2 밸브 1414: 실링부재
1416: 안내로드 1418: 도관
1502: 조명 1504: 하우징
1506: 스위치 1508: 매니폴드
1510: 세척관로 1512: 배출밸브
1514: 배출관로 1516: 수집용기
1600: 배수장치 1602: 용기
1604: 바닥부 1608: 플랫폼
1610: 캡 1612: 링
1614: 신축관 1616: 배수관
1618: 지장부 1620: 링

Claims (28)

  1. 종축을 따라 유체가 흐르는 통로가 형성되고 유체가 통하도록 통로의 측벽에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는 노즐과, 노즐의 외측을 감싸고 노즐의 종축을 따라 평행이동하여 노즐의 구멍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분주기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유체 용기의 바닥부 개구부와 대향하는 분리가능한 제 1 및 제 2 부재의 자기 흡인력에 의해 폐쇄 위치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용기 접속장치를 분주기 접속장치의 상방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노즐 종축에 따라 이동하여 노즐의 구멍을 개방시키고 상기 노즐이 상기 용기접속장치의 제 1 부재를 가압하여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분리시키도록 상기 용기접속장치를 상기 분주기 접속장치의 플랫폼에 접속시키는 단계;
    상기 유체 용기의 개구부가 개방되고 상기 노즐의 구멍이 유체용기의 내부와 연통되는 단계; 및
    상기 분주기 접속장치의 노즐을 통해 용기의 내부로 유체가 주입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자성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접속장치는 외부 표면에 인접하는 자성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접속장치의 자성재료에 인접하도록 플랫폼의 자성재료를 배치하여 자력으로 용기를 고정시킴으로써 유체가 주입되는 사이 용기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20130030773A 2013-03-22 2013-03-22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 KR101487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0773A KR101487078B1 (ko) 2013-03-22 2013-03-22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0773A KR101487078B1 (ko) 2013-03-22 2013-03-22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749A KR20140115749A (ko) 2014-10-01
KR101487078B1 true KR101487078B1 (ko) 2015-01-28

Family

ID=5199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0773A KR101487078B1 (ko) 2013-03-22 2013-03-22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0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1308B2 (en) 2015-05-12 2019-12-10 Npc Co., Ltd. Beverage feeder and beverage feeder assembly
KR20210006112A (ko) * 2019-07-08 2021-01-18 엔피씨(주) 음료 주입용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67Y1 (ko) * 2014-12-01 2017-03-07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
KR101660485B1 (ko) * 2015-05-12 2016-09-29 엔피씨(주) 음료 주입 장치
HK1218485A2 (zh) * 2015-12-29 2017-02-17 劉育衡 號 底部往上液體灌注系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6113A (ko) * 1973-06-04 1975-02-20
JPS5120112A (en) * 1974-08-09 1976-02-18 Q P Corp Kannairyutaiisohoho oyobi sonokigu
JP2002529329A (ja) 1998-11-09 2002-09-10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一体形通気及び流体移送取付具
WO2009143164A1 (en) * 2008-05-20 2009-11-26 Grinon Industries Fluid transfer assembly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6113A (ko) * 1973-06-04 1975-02-20
JPS5120112A (en) * 1974-08-09 1976-02-18 Q P Corp Kannairyutaiisohoho oyobi sonokigu
JP2002529329A (ja) 1998-11-09 2002-09-10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一体形通気及び流体移送取付具
WO2009143164A1 (en) * 2008-05-20 2009-11-26 Grinon Industries Fluid transfer assembly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1308B2 (en) 2015-05-12 2019-12-10 Npc Co., Ltd. Beverage feeder and beverage feeder assembly
KR20210006112A (ko) * 2019-07-08 2021-01-18 엔피씨(주) 음료 주입용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KR102259882B1 (ko) * 2019-07-08 2021-06-03 엔피씨(주) 음료 주입용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749A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7855B2 (ja) 流体移送アセンブリおよび流体移送方法
KR101487078B1 (ko)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
RU2612985C2 (ru) Узел переноса текучей среды и способы переноса текучей среды
US9440835B2 (en) Fluid transfer assembly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AU2011206946B2 (en) Fluid transfer assembly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NZ626944B2 (en) Fluid transfer assembly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