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898B1 - ampoule type reserve battery for enhancing activation efficiency - Google Patents

ampoule type reserve battery for enhancing activation effici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898B1
KR101485898B1 KR20140000022A KR20140000022A KR101485898B1 KR 101485898 B1 KR101485898 B1 KR 101485898B1 KR 20140000022 A KR20140000022 A KR 20140000022A KR 20140000022 A KR20140000022 A KR 20140000022A KR 101485898 B1 KR101485898 B1 KR 101485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mpule
impact
ampoul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00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경열
양인천
김기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로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로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로셀
Priority to KR20140000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8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8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sh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oule type reserve battery for enhancing activation efficiency. A ballast includes a body, a weight concentration part installed in a mounting groove of the body. When being Looked on a flat surface, the weight is concentrated on a point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llast, thereby reducing damage to an ampoule due to external impact, specifically, damage to a point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an ampoule and greatly increasing shock resistance. The weight concentration part consists of a ring-shaped ring body and an insertion part vertically bent from the edge of the ring body. A support groove into which the insertion part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of the body of the ampoule, thereby allowing the ballast to be stably mounted on the weight concentration part and performing a desired function without being detached due to external impact. Shock resistance against vertical impact can be more improved by forming the ballast which has a body of 12-18 weight % and the weight concentration part of 82-88 weight %.

Description

활성화 효율을 높인 앰플형 비축전지{ampoule type reserve battery for enhancing activation efficienc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oule type reserve battery for enhancing activa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활성화 효율을 높인 앰플형 비축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앰플의 상부에 설치되어 충격가속도를 증가시키는 무게추를 중앙보다 테두리에 인접한 외측으로 하중을 집중시킴으로써 외부 충격으로 인한 앰플의 파손 현상을 억제하고, 한계치 이상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앰플이 파손되도록 하는 앰플형 비축전지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ule-type non-accumulator having a high activation efficienc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ule-type non-accumulator which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an ampule to concentrate a loa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mpule-type non-accumulator battery which suppresses a breakage phenomenon and breaks the ampule only when an impact of at least a threshold value occurs.

비축전지는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 등으로 이루어져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극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해액을 앰플로 분리 수용하며, 사용자가 전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 한계값 이상의 충격을 가하여 앰플을 파손시켜 전해액을 전극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전극부가 활성화된다. The non-storage battery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separates and stores an electrolyte solution for activating an electrode part generating electricity, and when the user intends to use electricity, the battery is damaged by applying an impact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So that the electrode portion is activated.

즉 비축전지는 사용 전 전극부가 활성화됨에 따라 자연 방전이 이루어져 사용 시 수명이 짧아지는 1차 전지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지로서, 앰플이 파손된 이후부터 방전이 이루어진다는 장점으로 인해 그 사용분야 및 수요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In other words, the non-storage battery is a battery for solving the disadvantage of the primary battery in which the life span is shortened due to the natural discharge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electrode portion before use. Since the discharge is performed after the ampoule is broken, Demand is increasing.

이러한 비축전지의 목적은 1) 한계값 이상의 충격이 발생할 때 앰플이 파손되어 전극부가 정확하게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과, 2) 한계값 이하의 충격에서는 앰플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such a non-accumulator is to 1) ensure that the ampoule is broken when an impact above a threshold value occurs, and 2) the ampoule is not easily broken at impact below the threshold value.

이에 따라 비축전지는 제조 후 활성화 시험 테스트 및 낙하시험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고, 활성화시험 테스트는 비축전지에 5000G의 충격가속도를 가하였을 때 앰플이 파손되어 전극부가 활성화되는지에 대한 테스트이고, 낙하시험 테스트는 1.5m의 높이에서 비축전지를 낙하하였을 때 앰플이 파손되지 않는지에 대한 테스트이다. Accordingly, the non-storage battery is subjected to the activation test test and drop test test after manufacturing, and the activation test test is a test for whether the ampoule is broken and the electrode portion is activated when the shock acceleration of 5000 G is applied to the non-storage battery. Is a test of whether the ampoule is not broken when it drops from a 1.5m high battery.

본 발명인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되 하부에 글라스 재질의 격벽이 설치되는 보호케이스와, 보호케이스 내부에 억지끼움 되어 보호케이스의 내측면을 가압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비축전지를 연구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1306275호(발명의 명칭 :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높인 비축전지)로 특허 등록받았고, 상기 비축전지는 케이스 외부, 상세하게로는 측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할 때 지지부가 보호케이스의 측벽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격벽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searched a non-storage battery including a protection case provided inside a case and provided with a glass-made partition wall at the bottom thereof, and a support portion pressed against the inside of the protection case to be pressed into the protection case, 10-1306275 (name of the invention: non-accumulating battery with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durability), and the non-accumulating battery prevents the sidewall of the protection case from being deformed when an impact occurs from the side of the case, The breakage of the partition due to the external impac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impact resistance and the durability can be improved.

그러나 상기 비축전지는 전해액이 앰플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글라스 재질의 얇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격벽에 의하여 전극부와 격리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상하방향, 특히 상부로부터 발생한 충격에 앰플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을 갖고, 이에 따라 전지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non-accumulator is stored not in the ampoule but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electrode portion by the partition wall made of a thin plate made of glass, the non-accumulator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ampoule is easily damaged in the up- , Thereby shortening the lifetime of the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 등록된 국내등록특허 제10-1293523호(발명의 명칭 : 앰플형 비축전지)에 개시된 비축전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non-accumulator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93523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 and registered as a patent (entitled "Amplifier type non-accumulator"), FIG. 2 is a cross- Fig.

도 1의 비축전지(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는 하부 개구부에 헤더(102)가 설치되는 케이스(101)와, 케이스(101) 내부에 설치되어 셀(104)들이 적층되는 셀 가이드(103)와, 셀 가이드(103)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전해액을 수용하는 앰플(105)과, 앰플(105)의 상부에 설치되어 앰플(105)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가속도를 높이는 무게추(107)와, 앰플(105)의 하부에 설치되어 앰플(105)을 지지하는 지지체(109)와, 지지체(109)에 설치되는 완충부(108)를 포함한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00 of FIG. 1 includes a case 101 in which a header 102 is installed at a lower opening, a cell guide An ampule 105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cell guide 103 and containing an electrolytic solution therein and an ampule 105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ampule 105 to prevent the flow of the ampule 105, And a cushion portion 108 provided on the support body 109. The cushion portion 108 is provided on the support body 109. The cushion portion 108 is provided on the support body 109. [

이와 같이 종래기술(100)은 케이스에 충격이 가해질 때 지지체(109)의 완충부(108)가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여 앰플의 유동이나 지지체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100, when the shock is applied to the case, the shock absorbing portion 108 of the support body 109 absorbs and mitigates the impact, thereby preventing the flow of the ampoule and the support body from being easily broken.

또한 종래기술(100)은 앰플(105)의 상부에 무게추(107)가 설치되어 무게추(107)에 의해 앰플(105)의 유동이 방지되고, 충격이 발생할 때 무게추(107)에 의하여 충격가속도가 가중됨으로써 앰플(105)이 용이하게 격발된다.In the prior art 100, a weight 107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mpule 105, so that the flow of the ampule 105 is prevented by the weight 107, The weight of the impact acceleration is increased, so that the ampule 105 is easily triggered.

일반적으로 앰플(10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벽(151)은 수직방향으로는 하중이 집중되어 수직방향의 충격에는 강하나, 수평방향으로는 하중이 분산되어 수평방향(케이스 측벽)으로부터의 충격에는 취약하다. 이에 따라 앰플(105)의 상면(153)은 측벽(151)에 인접한 지점에서 중앙을 향할수록 측벽(151)으로부터 전달받는 지지력이 감소되어 수직방향의 충격에 취약한 특성을 갖게 된다.Generally, as shown in FIG. 2, in the ampule 105, the side wall 151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concen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strong against the impac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load is distribu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ase side wall). As a result, the top surface 153 of the ampule 105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support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side wall 151 decreases toward the center from the point adjacent to the side wall 151, so that the upper surface 153 is vulnerable to impact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종래기술(100)은 앰플(105)의 상면(153)이 측벽(151)에 인접한 지점에서 중앙을 향할수록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특성을 전혀 감안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계치 미만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앰플(105)의 중앙에 인접한 상면(153)이 무게추(07)에 의하여 파손되어 전극부가 활성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at is, since the prior art 100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lowering the impact resistance as the upper surface 153 of the ampule 105 approaches the center from the side adjacent to the side wall 151, even if an impact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occurs, , The upper surface 153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153 is damaged by the weight 07 and the electrode unit is activated.

즉 종래기술(100)은 수직방향의 충격이 발생할 때 충격가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무게추(107)를 포함하여 한계치 이상의 힘이 발생할 때 앰플(105)이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으나, 무게추(107)에 대접되는 상면(153)이 측벽(151)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특성을 전혀 감안하지 않아 정확한 한계치 이상의 충격에 의해서만 활성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소망의 전극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운 한계를 갖는다.That is, the prior art 100 includes a weight 107 for increasing the impact acceleration when a vertical impact is generated. When the force exceeds a threshold value, the ampule 105 can be easily broken.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pect a desired electrode efficiency since activation is performed only by an impact exceeding a precise limit value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 that the top surface 153 which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151 is low in impact resista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ide wall 151.

이와 같이 충격가속도를 높임과 동시에 앰플(105)의 유동을 방지하는 무게추(107)를 포함하되 무게추(107)에 대접되는 상면(153)이 중앙을 향할수록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점을 감안하여 한계치 미만의 충격에 의해서 앰플(153)의 상면 중앙부의 파손을 줄이기 위한 비축전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In view of the fact that the impact weight is lowered as the upper surface 153 of the weight weights 107 is moved toward the center as well as the weight weights 107 for increasing the impact acceleration and preventing the flow of the ampule 105 There is an urgent need to study a non-accumulator for reducing the damage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mpule 153 due to an impact less than the limit valu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무게추가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케이스 내면에 대접되는 대접면의 테두리에 대접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안착홈이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몸체와, 황동 재질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의 안착홈에 설치되는 하중 집중부를 포함함으로써 동일한 수직방향의 충격에 대하여 앰플이 상면의 중앙부분보다 테두리 지점으로 충격이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 시 앰플의 파손, 상세하게로는 앰플 상면의 중앙에 인접한 지점의 파손을 줄여 내충격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활성화 효율을 높인 앰플형 비축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unting a case, which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with a hollow body and has a mounting groov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the load concentrated portion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of the body is formed in a ring shape of brass material so that the impact is concentrated to the edge point of the ampoule rather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in the same vertical direction impact,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n ample type non-accumulator which can increase breakdown of a point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mpule,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impact resistan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하중 집중부가 고리 형상의 고리 본체와, 고리본체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절곡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고, 앰플의 몸체의 안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됨으로써 하중 집중부가 견고하게 무게추에 안착되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고 소망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활성화 효율을 높인 앰플형 비축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oad-concentrating portion comprises a ring-shaped annular body and an insert portion which is vertically bent from the edge of the annular main body, and a support groove into which the insert portion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 groove of the ampule body And to provide an ample type non-accumulator which has an increased efficiency of activation so as to perform an original function of allowing a load concentration portion to be firmly seated on a weight and not being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and performing a desired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무게추가 몸체 12 ~ 18 중량%와, 하중 집중부 82 ~ 88 중량%로 형성됨으로써 수직방향의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을 더욱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는 활성화 효율을 높인 앰플형 비축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pack, which comprises 12 to 18% by weight of a weight-added body and 82 to 88% by weight of a load-concentrated portion, Type non-storage battery.

상기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전기를 발생하는 셀과, 내부에 전해액이 충진된 앰플을 서로 격리시켜 보관하며, 충격이 발생할 때 상기 앰플이 격발부로 이동하여 상기 격발부에 의해 상기 앰플이 격파됨으로써 상기 셀이 활성화되는 앰플형 비축전지에 있어서: 하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셀 및 상기 앰플이 설치되는 케이스; 양극 핀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헤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면이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하면이 상기 앰플의 상면에 대접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에 설치되는 하중 집중부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 집중부는 상기 몸체보다 비중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toring electricity, comprising a cell for generating electricity and an ampoule filled with an electrolytic solution in an insulated state, wherein the ampoule moves to a percussion part when an impact occurs, Wherein the cell is activated by breaking the ampoule, the case being opened with a lower portion and the cell and the ampoule being installed therein; A header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pin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nd sealing the lower opening of the case; A weight body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having an outer surface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case and a lower surface on an upper surface of the ampule and a load concentration portion provided on an edge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higher than that of the body.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무게추의 상기 몸체는 상기 상면에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중 집중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of the weight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inwardly along a rim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o be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무게추의 상기 몸체는 상기 상면에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중 집중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원 형상으로 연결되는 고리 본체와, 상기 바닥면에 대접되는 대접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of the weights may have a seat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long a rim, and a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of the body may include a support groove formed i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The load concentrating portion may include a ring body formed in a rod shape and having both ends connected in a circular shape and an insertion portion bent downward from a mating surface that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무게추는 전체 중량 대비 상기 하중 집중부가 82 ~ 88 중량%로, 상기 몸체가 12 ~ 18 중량%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eight of the weight is 82 to 88 weight% and the body is 12 to 18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는 폴리옥시메틸렌(POM : Poly Oxy Methylene) 재질이고, 상기 하중 집중부는 황동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is made of polyoxymethylene (POM) and the load concentrating part is made of bras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앰플형 비축전지는 하부가 상기 헤더에 대접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격발부와, 상기 격발부보다 상향되게 위치하여 상기 앰플의 하부를 지지하는 에지들과, 상기 격발부 및 상기 에지들을 연결하되 한계치 이상의 충격이 발생할 때 상기 에지들로부터 분리되는 지지살들을 포함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앰플은 충격이 발생할 때 상기 에지의 지지가 해제되어 상기 격발부에 충돌하여 격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mpule-type non-accu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body having a lower portion to be held in the header, a rattle portion to be protruded upward from the body, edges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ampule,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including a detent portion and support fingers connecting the edges and separating from the edges when an impact above a threshold occurs, wherein the support of the edge is released when the impact occurs, It is desirable to be defeat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앰플은 상기 무게추의 상기 몸체에 대접되는 상면이 테두리로부터 중앙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의 상기 몸체는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앰플에 대접되는 하면이 테두리로부터 상기 중공을 향할수록 내측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앰플의 상면에 대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mpule may be formed as a slope whose upper surface is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weight and upward from the rim toward the center of the weight, the body of the weight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low,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mpule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facing inward toward the hollow from the rim.

상기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무게추가 몸체와, 몸체의 안착홈에 설치되는 하중 집중부를 포함하여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무게추의 외주연에 인접한 지점에 하중을 집중시킴으로써 외부 충격 시 앰플의 파손, 상세하게로는 앰플 상면의 중앙에 인접한 지점의 파손을 줄여 내충격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mentioned solution, the load is concentrated at the point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eight when viewed from the top, including the weight-added body and 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 provid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body,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reakage of the point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mpul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impact resistan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중 집중부가 고리 형상의 고리 본체와, 고리본체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절곡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고, 앰플의 몸체의 안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됨으로써 하중 집중부가 견고하게 무게추에 안착되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고 소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concentrating portion comprises a ring-shaped annular body and an insert portion which is vertically bent from the edge of the annular main body, and a support groove into which the insert portion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 groove of the ampule body, The additional part can be firmly seated on the weight and can perform a desired function without being detached by an external impac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게추가 몸체 12 ~ 18 중량%와, 하중 집중부 82 ~ 88 중량%로 형성됨으로써 수직방향의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을 더욱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8% by weight of the weight-added body and 82 to 88% by weight of the load-concentrated portion can increase the impact resistance against impact in the vertical direction more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 등록된 국내등록특허 제10-1293523호(발명의 명칭 : 앰플형 비축전지)에 개시된 비축전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축전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셀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무게추의 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3의 무게추의 하중 집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무게추를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중 집중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무게추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non-accumulator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93523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 and registered as a patent (entitled "ampule-type non-accumulator").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blem of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on-storag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se of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ell guide of Fig. 3;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dy of the weight weight shown in Fig.
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7,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ad concentration portion of the weight of FIG.
10 is an actual photograph showing the we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축전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도 3과 4의 비축전지(1)는 상부보다 하부가 넓게 개구된 원통 형상의 케이스(3)와, 케이스(3)의 하부 개구부에 설치되는 헤더(2)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원통부(51) 및 원통부(51)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외주연이 상향 절곡되어 후술되는 셀(4)이 살장되는 실장부(53)를 포함하는 셀 가이드(5)와, 전해액에 의해 전기화학 반응하여 전기를 발생하며 셀 가이드(5)의 실장부(53)에 안착되는 셀(4)과, 내부에 전해액을 수용하며 셀 가이드(5)의 원통부(51) 내부에 설치되는 앰플(6)과, 앰플(6)의 하부에 설치되어 앰플(6)을 지지하는 지지체(7)와, 앰플(6)의 상부에 설치되어 앰플(6)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이 발생할 때 충격가속도를 증가시키는 무게추(8)와, 지지체(7)에 설치되는 요충부(10)와, 지지체(7) 및 헤더(2)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판(11)으로 이루어진다.The non-accumulator 1 shown in Figs. 3 and 4 has a cylindrical case 3 whose lower portion is wider than the upper portion, a header 2 provided at the lower opening of the case 3, A cell guide 5 including an outer cylindrical portion 51 and a mounting portion 53 extending outward from a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51 and having an outer periphery bent upward and a cell 4 to be described later is burnt, A cell 4 which is electrochemically reacted to generate electricity and which is seated in a mounting portion 53 of the cell guide 5 and an ampule 50 which accommodates the electrolytic solution inside the cylindrical portion 51 of the cell guide 5, A support 7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ampule 6 to support the ampule 6 and a support 7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ampule 6 to prevent the flow of the ampule 6, A weight 8 for increasing the impact acceleration at the time of impact and a visor 10 provided at the support 7 and an insulating plate 11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7 and the header 2 Achieved.

도 5는 도 3의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se of Fig.

도 5의 케이스(3)는 상부보다 하부가 넓게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세하게로는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제1 케이스(31)와, 상하부가 개구되되 제1 케이스(31)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제2 케이스(33)와, 제1 케이스(31) 및 제2 케이스(33)를 연결하는 연결면(35)으로 이루어진다.The case 3 of FIG. 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ower opening than that of the upper case. Specifically, the case 3 includes a cylindrical first case 31 having a lower opening, And a connecting surface 35 connecting the first case 31 and the second case 33 to each other.

이때 제1 케이스(31) 및 제2 케이스(33)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설되며, 내부 공간에는 셀 가이드(5)의 원통부(51)가 삽입된다.At this time, the inner spaces of the first case 31 and the second case 33 are mutually spanned, and the cylindrical portion 51 of the cell guide 5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또한 제2 케이스(3)의 하부 개구부에는 헤더(2)가 설치되어 헤더(2)에 의하여 케이스(3) 내부가 밀폐된다.A header 2 is provided in the lower opening of the second case 3 so that the inside of the case 3 is sealed by the header 2.

헤더(2)는 실링재인 GTMS(glass to metal seal)에 의하여 절연된 양극 핀(21) 및 음극단자를 포함한다. 이때 헤더(2)의 양극 핀(21) 및 음극단자는 비축전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header 2 includes a cathode terminal 21 and a cathode terminal which are insulated by a glass-to-metal seal (GTMS) which is a sealing material. At this time, the positive electrode pin 21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of the header 2 are commonly used in non-storage batterie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셀(4)은 중공을 갖는 판재 형상의 양극(애노드), 음극(캐소드) 및 세퍼레이트(separator)들이 다단식으로 적층되며, 중공으로 셀 가이드(5)의 원통부(51)가 관통되어 셀 가이드(5)의 실장부(53)에 안착된다.The cells 4 are stacked in a multi-stage manner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n anode, an anode (cathode) and separators in the form of a hollow plate. The cylindrical portion 51 of the cell guide 5 passes through the cell guide 5, 5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53. [

또한 셀(4)은 전해액이 유입되면 전기화학 반응하여 활성화되어 전기를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lyte flows into the cell 4, the cell 4 is activated by electrochemical reaction to generate electricity.

도 6은 도 3의 셀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ell guide of Fig. 3;

도 6의 셀 가이드(5)는 상하구가 개구된 원기둥 형상의 원통부(51)와, 원통부(51)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절곡되는 제1 판(531) 및 제1 판의 외단으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제2 판(533)을 포함하여 제1 판(531) 및 제2 판(533)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셀(4)이 안착되는 실장부(53)로 이루어진다.The cell guide 5 shown in Fig. 6 has a cylindrical cylindrical portion 51 having an opening at its upper and lower ends, a first plate 531 vertically bent from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51, And a mounting portion 53 on which the cell 4 is mounted with a space formed by the first plate 531 and the second plate 533 including the second plate 533.

또한 원통부(51)는 내부에 탄성부(9), 무게추(8), 앰플(6) 및 지지체(7)가 설치된다.The cylindrical portion 51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ortion 9, a weight 8, an ampule 6, and a support 7 therein.

앰플(6)은 내부 공간에 전해액이 수용되며, 상면이 중앙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경사면(61)으로 형성된다.The ampule 6 is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61 in which an electrolytic solution is received in an inner space and is upwardly di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또한 앰플(6)은 하면이 지지체(7)에 대접되며, 측면이 셀 가이드(5)의 원통부(51)의 내측면에 대접되고, 상면이 무게추(8)에 대접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ampule 6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er 7 and the side surface of the ampule 6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51 of the cell guide 5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accommodated in the weight 8.

지지체(7)는 앰플(6)의 하부에 설치되어 앰플(6)구비되어 앰플(6)을 지지, 상세하게로는 앰플(6)의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면서 앰플(6)을 지지하여 앰플(6)을 보호한다.The support 7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ampule 6 and is provided with an ampule 6 to support the ampule 6 and support the ampule 6 while absorbing and mitigating the impact of the ampule 6 in detail, (6).

또한 지지체(7)는 하부가 절연판(11)에 대접되는 지지체 본체(71)와, 지지체 본체(71)의 상면 중앙에 상향 돌출되는 돌출부(73)와, 돌출부(73)의 외측에 설치되어 앰플(6)을 지지하며 앰플(6)에 대접되는 대접면에 요홈(751)이 형성되는 에지(75)로 이루어지고, 요홈(751)에는 완충부(10)가 설치된다. 이때 에지(75) 및 돌출부(73)는 앰플(6)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에지(75)가 지지체 본체(71)로부터 절단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살에 의하여 연결된다. The support 7 includes a support body 71 having a lower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sulating plate 11, a protruding portion 73 protruding upwar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71, And an edge 75 on which a recess 751 is formed in a receiving surface which supports the ampule 6 and which is supported by the ampule 6. The buffer 75 is provided with a buffering portion 10. At this time, the edge 75 and the protrusion 73 are connected by at least one support piece so that the edge 75 is cut from the support body 71 by the load applied by the ampule 6.

또한 완충부(1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이며, 앰플(6)의 내부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여 앰플(6)을 보호하게 된다.The cushioning part 10 is either rubber or silicone material, and absorbs and mitigates the internal impact of the ampule 6 to protect the ampule 6.

이러한 앰플(6)이 파손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무게추(8)에 의하여 앰플(6)은 충격가속도를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앰플(6)을 지지하는 지지체(7)의 지지살이 절단되어 앰플(6)이 지지체(7)의 돌출부(73)와 강한 속도로 부딪혀 앰플(6)이 파손되고, 앰플(6)의 파손에 따라 전해액이 셀(4)로 유입되어 셀(4)이 활성화되어 전기가 발생되게 된다.When the impact is generated, the ampule 6 is subjected to impact acceleration by the weight 8, so that the support 7 supporting the ampule 6 The ampoule 6 is broken and the ampoule 6 collides against the protruding portion 73 of the supporter 7 at a high speed so that the electrolytic solution flows into the cell 4 as the ampoule 6 is broken, ) Is activated and electricity is generated.

도 7은 도 3의 무게추의 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3의 무게추의 하중 집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무게추를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eight body of Fig. 3, 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7,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ad concentration portion of the weight of Fig. . ≪ / RTI >

도 7과 8의 무게추(8)의 몸체(81)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셀 가이드(5)의 원통부(51) 내부, 앰플(6)의 상부에 설치되어 앰플(6)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 발생 시 충격가속도를 증가시킨다.The body 81 of the weights 8 of Figs. 7 and 8 is provided inside the cylindrical portion 51 of the cell guide 5 a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mpule 6 to prevent the flow of the ampule 6 At the same time, the impact acceleration is increased.

또한 무게추(8)의 몸체(81)는 중공(813)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의 테두리에 내측으로 외주연을 따라 연결되는 안착홈(820)이 형성된다. 이때 몸체(81)의 안착홈(820)에는 후술되는 도 9의 하중 집중부(83)로 이루어진다.The body 81 of the weight 8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low 813 and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820 which is connected to the rim of the upper surface along the outer periphery inward. At this time, the mounting groove 820 of the body 81 is formed with a load concentration portion 83 of FIG. 9 to be described later.

몸체(81)는 중공(813)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이 케이스(3)의 내면에, 하면이 앰플(6)에 대접된다. The body 8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low 813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plac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3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placed on the ampule 6.

또한 몸체(81)는 앰플(6)을 향하는 일면(이하 하면이라고 함)이 테두리에서 중공(83)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경사면(815)으로 형성되어 하면이 앰플(6)의 경사면(61)에 대접됨으로써 앰플(6)의 유동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body 81 is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815 which is upwardly directed toward the ampule 6 from the rim toward the hollow 83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81 faces the inclined surface 61 of the ampule 6 So that the flow of the ampule 6 can be firmly supported.

또한 몸체(81)는 일면에 대향되는 상면(811)의 테두리에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되 측면을 따라 연결되는 안착홈(82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dy 81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820 which is formed on the rim of the upper surface 811, which is opposite to the one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inner side and is connected along the side surface.

또한 안착홈(820)은 몸체(8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는 수직면(823)과, 일단부가 수직면(823)에 타단부가 몸체(81)의 측면에 연결되는 바닥면(821)으로 이루어진다.The seating groove 820 includes a vertical surface 823 vertically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81 and a bottom surface 82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surface 823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81 .

또한 몸체(81)는 하중 집중부(83)에 비교하여 비중이 낮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세하게로는 폴리옥시메틸렌(POM : Poly Oxy Methylene)인 것이 바람직하다.Also, the body 81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lower specific gravity than 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 83, and is preferably polyoxymethylene (POM).

또한 몸체(81)는 전체 중량 대비 12 ~ 18 중량%로 형성됨으로써 몸체(81)에 비해 비중이 높으며 안착홈(820)에 설치되는 하중 집중부(83)에 의해 수직방향의 충격이 발생할 때 앰플(6)은 충격에 취약한 중앙부분보다 충격에 강한 테두리 영역에 충격이 집중되어 한계치 미만의 충격에 대해서는 강한 내충격성을 갖게 된다. 이때 몸체(81)가 전체 중량 대비 12 중량% 미만이면 충격 발생 시 앰플(6)의 상면 테두리에 인접한 영역으로 하중이 과도하게 집중되어 작은 충격에도 앰플(6)의 상면 테두리에 인접한 영역이 파손되어 오히려 내충격성이 떨어지게 되며, 전체 중량 대비 18 중량%를 초과하면 충격 발생 시 앰플(6)의 상면들 중 충격에 취약한 중앙에 인접한 지점으로 하중이 집중되어 내충격성이 떨어지게 된다. The body 81 has a specific gravity higher than that of the body 81 by being formed in a range of 12 to 18%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ody 81. When the impact is gen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 83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820, (6), the impact is concentrated on the edge region which is more impact resistant than the central portion which is vulnerable to the impact, so that it has a strong impact resistance against the impact less than the limit. At this time, when the body 81 is less than 12 wt% of the total weight, the load is excessively concentrated to the area adjacent to the upper edge of the ampule 6 at the time of impact, so that the area adjacent to the upper edge of the ampule 6 is damag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impact is more than 18%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mpule 6, the load is concentrated to a point near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mpule 6, which is vulnerable to impact.

하중 집중부(8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이 몸체(81)의 동일한 크기를 갖고, 내경이 안착홈(820)의 수직면(823)을 형성하는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안착홈(820)에 설치된다.The load concentrating portion 83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s shown in Fig. 9 and has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at of the body 81 and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forming the vertical surface 823 of the seating groove 820 And is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820. [

또한 하중 집중부(83)는 몸체(81)에 비교하여 비중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세하게로는 황동 재질이며, 무게추(8) 전체 중량 대비 82 ~ 88 중량%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중 집중부(83)가 전체 중량 대비 82 중량% 미만이면 충격 발생 시 앰플(6)의 상면들 중 충격에 취약한 중앙에 인접한 지점으로 하중이 집중되어 내충격성이 떨어지게 되고, 전체 중량 대비 88 중량%를 초과하면 충격 발생 시 앰플(6)의 상면 테두리에 인접한 영역으로 하중이 과도하게 집중되어 작은 충격에도 앰플(6)의 상면 테두리에 인접한 영역이 파손되어 오히려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 weight concentrated portion 83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higher than that of the body 81 and is made of brass in detail and is preferably formed to 82 to 88 weight% Do. At this time, when 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 83 is less than 82 weight% of the total weight, the load is concentrated to a point near the center which is vulnerable to impact among the upper surfaces of the ampule 6, %, The load is excessively concentrated in the area adjacent to the upper edge of the ampule 6 in the event of an impact, so that the area adjacent to the upper edge of the ampule 6 is damaged even in a small impact.

즉 하중 집중부(83)는 몸체(81)의 안착홈(820)에 설치되어 무게추(8)를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외경에 인접한 지점에 하중이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충격이 발생할 때 충격가속도를 증가시켜 앰플(6)의 상면에 충격을 가하되 앰플(6)의 상면들 중 충격에 약한 중앙부분으로는 충격을 약하게 전달하고, 충격에 강한 테두리 영역으로는 충격을 강하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load concentrating portion 83 is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820 of the body 81 so that when the weight 8 is viewed in a plan view, the load is concentrated at a point adjacent to the outer diameter,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mpule 6 by increasing the acceleration of the impact but weakly transmitted to the central portion weak to the impact among the upper surfaces of the ampule 6, .

도 11은 본 발명의 하중 집중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무게추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집중부(300)의 제2 실시예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되 양단부가 원형으로 연결되는 고리 형상의 고리 본체(301)와, 고리 본체(301)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삽입부(303)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리 본체(301)는 후술되는 도 12의 무게추의 몸체(40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으며, 몸체(400)의 안착홈(401)을 형성하는 직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11,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load concentrating unit 300 includes an annular annular main body 301 formed in a rod shape and having both ends connected in a circular shape, And an inserting portion 303 for inserting the inserting portion. The ring body 301 has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weight body 400 of FIG. 12 described later and is formed to have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diameter of the seating groove 401 of the body 400.

삽입부(303)는 고리 본체(301)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며, 소정의 면적을 갖으며 후술되는 도 12의 몸체(400)의 지지홈(412)에 삽입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하여 고리 본체(301)가 몸체(400)의 안착홈(40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sertion portion 303 is bent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ing body 301 and has a predetermined area an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412 of the body 400 of FIG. Is not detached from the seating groove 401 of the body 400 so that it can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8)의 몸체(400)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하였던 도 5의 무게추(8)의 몸체(8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안착홈(401)의 바닥면(411)에는 바닥면(411)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는 지지홈(412)이 형성되고, 지지홈(412)은 원호를 따라 연결된다.12,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body 400 of the weight 8 has the same shape as the body 81 of the weight 8 of FIG. 5, A support groove 412 formed i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411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411 and the support groove 412 is connected along an arc.

또한 지지홈(412)에는 전술하였던 도 10의 하중 집중부(83)의 삽입부(303)가 삽입됨으로써 외부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하중 집중부(300)가 몸체(400)의 안착홈(40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1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412 so that the load concentrating portion 300 can be moved from the seating groove 401 of the body 400 to the support groove 412 even if external vibration is generated by inserting the insertion portion 303 of the load concentrating portion 83, So that it can be firmly supported without detaching.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축전지에 관해 실험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음의 실시예들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non-storage batter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perimental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을 나타내는 표이다.Table 1 is a table showing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구 성Configuration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3Example 3 하중집중부
(83)
Load-
(83)
외경Outer diameter
내경Inner diameter 중량%weight% 8282 8888 8585 몸체(81) 중량%Body (81) Weight% 1818 1212 1515

표 1의 실시예 1 내지 3의 하중 집중부(83)는 황동 재질로, 몸체(81)는 POM 재질로 제조하였다.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s 83 of Examples 1 to 3 in Table 1 are made of brass material and the body 81 is made of POM material.

또한 실시예 1 내지 3의 몸체(81)는 17.0mm의 외경, 3.5mmdml 높이로 형성하였고, 하중 집중부(83)는 17.0mm의 외경, 15.0mm의 내경, 1.5mm의 높이로 형성하였다.The bodies 81 of Examples 1 to 3 were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of 17.0 mm and a height of 3.5 mm dml. 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 83 wa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of 17.0 mm, an inner diameter of 15.0 mm, and a height of 1.5 mm.

[실시예 1][Example 1]

몸체 18 중량%와, 몸체의 외경에 안착되는 하중 집중부 82 중량%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비축전지.A weight of 18% by weight of the body and a weight of 82% by weight of the weight of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실시예 2][Example 2]

몸체 12 중량%와, 몸체의 외경에 안착되는 하중 집중부 88 중량%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비축전지.A weight of 12% by weight of the body, and a weight of 88% by weight of 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 which is seat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실시예 3][Example 3]

몸체 15 중량%와, 몸체의 외경에 안착되는 하중 집중부 85 중량%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비축전지.A weight of 15% by weight of the body and 85% by weight of the weight of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 낙하시험- drop test

1.5m의 높이에서 낙하시켰을 때 앰플이 파괴되지 않는지에 대한 여부를 측정하였다. 이때 비축전지의 전압은 '0'V를 유지(비활성화 상태 유지)하였다. It was measured whether the ampoule was not destroyed when dropped at a height of 1.5 m. At this time, the voltage of the non-battery maintains' 0'V (inactivated state).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 활성화시험- activation test

비축전지에 5,000G의 충격을 가하였을 때 앰플이 파괴되는지에 대한 여부를 측정하였다. 이때 비축전지의 활성화 여부는 '30'V 이상의 전압이 측정되었을 때 앰플이 파괴되어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하였다.It was measured whether the ampoule was destroyed when a shock of 5,000G was applied to the non-storage battery. At this time, the activation of the non-storage battery was judged to be activated when the voltage exceeding 30 V was measured and the ampoule was destroyed.

표 2는 실험예 1, 2에 대한 실시예 1 내지 3의 낙하시험 및 활성화시험의 측정값을 나타낸다.Table 2 shows measured values of the drop test and the activation test of Examples 1 to 3 for Experimental Examples 1 and 2.

구 분division 실험예 1
(낙하시험 결과)
Experimental Example 1
(Drop test result)
실험예 2
(활성화시험)
Experimental Example 2
(Activation test)
기준 충족
(앰플 미파괴)
Meets criteria
(No ampoule)
기준 미충족
(앰플 파괴)
Unmet criteria
(Ampoule breakdown)
기준 충족
(앰플 미파괴)
Meets criteria
(No ampoule)
기준 미충족
(앰플 파괴)
Unmet criteria
(Ampoule breakdown)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표 2를 참조하여 실시예 1 내지 3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3은 황동 재질의 하중 집중부 12 중량%, 18 중량%, 15 중량%로 형성되어 1. 5m의 높이에서 낙하되었을 때 앰플이 파손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고, 5000G의 충격이 발생하였을 때 앰플이 파손되어 전극부가 활성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Examples 1 to 3 are formed of 12 weight%, 18 weight% and 15 weight% of brass concentrated load parts, and when they fall at a height of 1.5 m, It can be seen that the ampoule is not broken and when the impact of 5000 G occurs, the ampoule is broken and the electrode portion is activated.

표 3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내지 10을 나타낸다.Table 3 shows Comparative Examples 1 to 10 of the present invention.

구 성Configuration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6Comparative Example 6 비교예7Comparative Example 7 하중집중부
(83)
Load-
(83)
외경Outer diameter
내경Inner diameter 중량%weight% 8282 8888 100100 7070 9595 9090 8080 몸체(81) 중량%Body (81) Weight% 1818 1212 00 3030 55 1010 2020

표 3의 비교예 1 내지 7은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하게 하중 집중부(83)를 황동 재질로, 몸체(81)를 POM 재질로 형성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s 1 to 7 of Table 3, the load concentrating portion 83 was formed of brass material and the body 81 was formed of POM material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s 1 to 3.

또한 비교예 1 내지 7은 몸체(81)를 17.0mm의 외경, 3.5mmdml 높이로 형성하였고, 하중 집중부(83)를 17.0mm의 외경, 15.0mm의 내경, 1.5mm의 높이로 형성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s 1 to 7, the body 81 wa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of 17.0 mm and a height of 3.5 mm dml, and 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 83 wa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of 17.0 mm, an inner diameter of 15.0 mm, and a height of 1.5 mm.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몸체 18 중량%와, 몸체의 내경에 안착되는 하중 집중부 82 중량%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비축전지.A weight of 18% by weight of the body, and a weight of 82% by weight of the weight of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몸체 12 중량%와, 몸체의 내경에 안착되는 하중 집중부 88 중량%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비축전지..A non-accumulator comprising a weight of 12% by weight of the body and a weight of 88% by weight of the weight of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몸체 및 하중 집중부가 황동 재질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비축전지.The body and the load-weighted portion include a weight made of a brass material.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몸체 30 중량%와, 몸체의 외경에 안착되는 하중 집중부 70 중량%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비축전지.A weight of 30% by weight of the body and a weight of 70% by weight of the weight of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몸체 5 중량%와, 몸체의 외경에 안착되는 하중 집중부 95 중량%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비축전지.A weight of 5% by weight of the body and 95% by weight of the weight of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몸체 10 중량%와, 몸체의 외경에 안착되는 하중 집중부 90 중량%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비축전지.A weight of 10% by weight of the body and 90% by weight of the weight of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몸체 20 중량%와, 몸체의 외경에 안착되는 하중 집중부 80 중량%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비축전지.A weight accumulator comprising 20 weight% of a body and 80 weight% of a load concentration portion seated on an outer diameter of the body.

표 4는 실험예 1, 2에 대한 비교예 1 내지 7의 낙하시험 및 활성화시험의 측정값을 나타낸다.Table 4 shows measured values of the drop test and the activation test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7 for Experimental Examples 1 and 2.

구 분division 실험예 1
(낙하시험 결과)
Experimental Example 1
(Drop test result)
실험예 2
(활성화시험)
Experimental Example 2
(Activation test)
기준 충족
(앰플 미파괴)
Meets criteria
(No ampoule)
기준 미충족
(앰플 파괴)
Unmet criteria
(Ampoule breakdown)
기준 충족
(앰플 파괴)
Meets criteria
(Ampoule breakdown)
기준 미충족
(앰플 미파괴)
Unmet criteria
(No ampoul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표 4를 참조하여 비교예 1 내지 7을 살펴보면, 비교예 1, 2는 하중 집중부(83)가 몸체(81)의 내경에 인접한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충격 발생 시 충격에 취약한 앰플 상면의 중앙부분으로 충격이 집중되어 작은 충격에도 앰플이 파괴되기 때문에 낙하시험 및 활성화시험 결과 모두 앰플이 파손되는 것을 알 수 있다.Comparing Examples 1 and 2 with reference to Table 4,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show that 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 83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adjacent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81,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mpule, , The ampoule is broken even in a small impact, so that the ampoule is broken in both the drop test and the activation test result.

비교예 3은 몸체(81) 및 하중 집중부(83)가 모두 황동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충격 발생 시 충격에 취약한 앰플 상면의 중앙부분으로 상당한 충격이 가해져 낙하시험 결과 앰플이 파손되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comparative example 3, since the body 81 and the load concentration part 83 are all formed of brass material, a considerable impact is appli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mpule which is vulnerable to the impact when an impact is generated, and the ampule is broken as a result of the drop test .

비교예 4 및 7은 하중 집중부(83)가 몸체(81)의 외경에 설치되되 70 중량% 및 80 중량%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충격이 발생할 때 충격에 취약한 앰플 상면의 중앙 지점으로 충격이 전달되어 앰플이 파손되어 낙하시험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Comparative Examples 4 and 7, 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 83 is provid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81, and 70% by weight and 80% by weight, respectively, so that the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poi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mpule, It can be seen that the ampoule is broken and fails to meet the drop test criteria.

비교예 5, 6은 하중 집중부(83)가 몸체의 외경에 설치되되 95 중량% 및 90 중량%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충격이 발생할 때 앰플 상면의 테두리 영역으로 과도하게 충격이 집중되어 앰플이 쉽게 파손되어 낙하시험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Comparative Examples 5 and 6, since 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 83 is formed at 95% by weight and 90% by weight, respectively,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excessive impact is concentrated on the edge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mpule when the impact occurs, And it does not satisfy the criteria of the drop test.

1:비축전지 2:헤더 3:케이스
4:셀 5:셀 가이드 6:앰플
7:지지체 8:무게추 10:요충부
11:절연판 21:양극 핀 31:제1 케이스
33:제2 케이스 35:연결면 51:원통부
53:실장부 81:안착홈 81:몸체
83:하중 집중부
1: Non-storage battery 2: Header 3: Case
4: cell 5: cell guide 6: ampule
7: support 8: weight 10:
11: insulating plate 21: positive electrode pin 31: first case
33: second case 35: connecting surface 51: cylindrical portion
53: mounting portion 81: seat groove 81: body
83:

Claims (7)

전기를 발생하는 셀과, 내부에 전해액이 충진된 앰플을 서로 격리시켜 보관하며, 충격이 발생할 때 상기 앰플이 격발부로 이동하여 상기 격발부에 의해 상기 앰플이 격파됨으로써 상기 셀이 활성화되는 앰플형 비축전지에 있어서:
하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셀 및 상기 앰플이 설치되는 케이스;
양극 핀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헤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면이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하면이 상기 앰플의 상면에 대접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에 설치되는 하중 집중부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 집중부는 상기 몸체보다 비중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형 비축전지.
An ampule-typ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cell generating electricity and the ampule having the electrolyte filled therein are kept isolated from each other, and when the impact is generated, the ampule moves to the percussion part and the ampule is broken by the percussion part, For a battery:
A case having a bottom opened and having the cell and the ampule installed therein;
A header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pin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nd sealing the lower opening of the case;
The weight being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having an outer surface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case and a lower surface on an upper surface of the ampule and a load concentration portion provided on an edge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Wherein 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higher than that of the body.
청구항 1에서, 상기 무게추의 상기 몸체는 상기 상면에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중 집중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형 비축전지.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ody of the weight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inwardly along a rim on the upper surface,
Wherein the load concentration portion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is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청구항 1에서, 상기 무게추의 상기 몸체는 상기 상면에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중 집중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원 형상으로 연결되는 고리 본체와, 상기 바닥면에 대접되는 대접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형 비축전지.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ody of the weight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inwardly along a rim on the upper surface,
A support groov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of the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along an arc,
Wherein the load concentrating portion includes a ring body formed in a bar shape and having both ends connected in a circular shape and an insertion portion bent downwardly from a receiving surface which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groove, .
청구항 2 또는 3에서, 상기 무게추는 전체 중량 대비 상기 하중 집중부가 82 ~ 88 중량%로, 상기 몸체가 12 ~ 18 중량%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형 비축전지.The ampule-type non-accumulator battery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weight of the weight unit is 82 to 88 weight% and the body weight is 12 to 18 weight%. 청구항 4에서, 상기 몸체는 폴리옥시메틸렌(POM : Poly Oxy Methylene) 재질이고, 상기 하중 집중부는 황동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형 비축전지.[Claim 4] The ampule-type non-storage battery of claim 4, wherein the body is made of polyoxymethylene (POM) and the load concentrating part is made of brass. 청구항 5에서, 상기 앰플형 비축전지는
하부가 상기 헤더에 대접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격발부와, 상기 격발부보다 상향되게 위치하여 상기 앰플의 하부를 지지하는 에지들과, 상기 격발부 및 상기 에지들을 연결하되 한계치 이상의 충격이 발생할 때 상기 에지들로부터 분리되는 지지살들을 포함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앰플은 충격이 발생할 때 상기 에지의 지지가 해제되어 상기 격발부에 충돌하여 격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형 비축전지.
In claim 5, the ampule-type non-
And an upper portion which is located upwardly of the ratchet portion and supports a lower portion of the ampule, and an upper portion that connects the ratchet portion and the edges,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comprising support pieces separated from the edges when an impact occurs,
Wherein the ampoule is released from support of the edge when an impact occurs, and collides with the rattle portion to be broken.
청구항 6에서, 상기 앰플은 상기 무게추의 상기 몸체에 대접되는 상면이 테두리로부터 중앙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의 상기 몸체는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앰플에 대접되는 하면이 테두리로부터 상기 중공을 향할수록 내측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앰플의 상면에 대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형 비축전지.
The ampul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mpule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whose upper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weight, is upward from the rim toward the center,
Wherein the body of the weigh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low shape and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facing inward toward the hollow from the rim toward the inside of the ampule a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mpule. Battery.
KR20140000022A 2014-01-02 2014-01-02 ampoule type reserve battery for enhancing activation efficiency KR1014858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0022A KR101485898B1 (en) 2014-01-02 2014-01-02 ampoule type reserve battery for enhancing activation effici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0022A KR101485898B1 (en) 2014-01-02 2014-01-02 ampoule type reserve battery for enhancing activation efficienc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898B1 true KR101485898B1 (en) 2015-01-26

Family

ID=5259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0022A KR101485898B1 (en) 2014-01-02 2014-01-02 ampoule type reserve battery for enhancing activation effici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89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2803A1 (en) * 2017-03-23 2018-09-27 Diehl & Eagle Picher Gmbh Activation device for a battery for an electronic ignition mechanism
CN112334994A (en) * 2018-07-31 2021-02-05 法马通有限公司 Cartridge and use of a cartridge in a method for producing radioisotop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7640A1 (en) 2002-11-29 2004-10-07 Johannes Straver Reserve battery and its use
KR20130086414A (en) * 2012-01-25 2013-08-02 주식회사 비츠로셀 Reserve battary type of ampoule
KR101306275B1 (en) 2012-11-05 2013-09-09 주식회사 비츠로셀 Reserve battery for enhancing shock resistance and endurance
KR101326311B1 (en) 2012-09-14 2013-12-13 세주엔지니어링주식회사 Low-temperature characteristics, reserve batt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7640A1 (en) 2002-11-29 2004-10-07 Johannes Straver Reserve battery and its use
KR20130086414A (en) * 2012-01-25 2013-08-02 주식회사 비츠로셀 Reserve battary type of ampoule
KR101326311B1 (en) 2012-09-14 2013-12-13 세주엔지니어링주식회사 Low-temperature characteristics, reserve battery
KR101306275B1 (en) 2012-11-05 2013-09-09 주식회사 비츠로셀 Reserve battery for enhancing shock resistance and enduran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2803A1 (en) * 2017-03-23 2018-09-27 Diehl & Eagle Picher Gmbh Activation device for a battery for an electronic ignition mechanism
KR20180108488A (en) * 2017-03-23 2018-10-04 디일 운트 이글 피처 게엠베하 Activation Device for a Battery for an Electronic Ignition Mechanism
DE102017002803B4 (en) * 2017-03-23 2018-11-15 Diehl & Eagle Picher Gmbh Activation device for a battery for an electronic ignition mechanism
KR102577136B1 (en) 2017-03-23 2023-09-08 디일 운트 이글 피처 게엠베하 Activation Device for a Battery for an Electronic Ignition Mechanism
CN112334994A (en) * 2018-07-31 2021-02-05 法马通有限公司 Cartridge and use of a cartridge in a method for producing radioisotop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0792B2 (en)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KR102578862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885941B1 (en) Sealed and square type battery
EP3104431A1 (en) Top cover structure of power battery and power battery
KR101534689B1 (en) ampoule type reserve battery for enhancing impact resistant
WO2012050343A3 (en) Cap assembly having novel structure and cylindrical battery containing same
KR101240717B1 (en) Secondary battery
KR101485898B1 (en) ampoule type reserve battery for enhancing activation efficiency
KR101306275B1 (en) Reserve battery for enhancing shock resistance and endurance
TWI265651B (en) Nonaqueous electrolyt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20110030043A (en) Ptc-hybrid safety vent,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0619631B1 (en) Improve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180105317A (en) Reserve battery with improvement in efficiency of electrolyte impregnation
US94440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battery corrosive electrolyte leakage
US10741821B2 (en) Secondary battery
JP6965492B2 (en) Cap assembly with guide members to prevent safety vents from coming off
KR101716884B1 (en) Battery module
KR20070017693A (en) An electrode structure for lead storage battery
KR102366271B1 (en) Battery Module Having Module Case
US10236516B2 (en) Reserve battery having good low temperature property
US201900518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Battery Corrosive Electrolyte Leakage
EP3570345A1 (en) Secondary battery and top cover assembly thereof
KR101818913B1 (en) improved reserve battery for proventing from dieletric bad of positive terminal
KR20200058955A (en) Secondary battery
KR101445616B1 (en) High safety a large output reserve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