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817B1 - method of providing power management for access poi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power management for access poi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817B1
KR101485817B1 KR20140087546A KR20140087546A KR101485817B1 KR 101485817 B1 KR101485817 B1 KR 101485817B1 KR 20140087546 A KR20140087546 A KR 20140087546A KR 20140087546 A KR20140087546 A KR 20140087546A KR 101485817 B1 KR101485817 B1 KR 101485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signal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clock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75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승업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87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8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8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efficiently managing power of an access point device by setting the access point device to be in an active mode only during hours when the access point needs to perform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nd keeping in a sleep mode except for such hour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etting an access point to be in the active mode if there is an associated station or a request for association, and otherwise, setting the access point to be in the sleep mode; arranging a clock gate to control an operation clock input for a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s module; opening the clock gate in the active mode; and in the sleep mode, opening the clock gate during a time when outputting a beacon signal and monitor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or a response signal from an external station, and closing the clock gate except for the time, thereby efficiently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the access point.

Description

액세스포인트의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method of providing power management for access poi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method for an access point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액세스포인트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동안에만 활성모드로 설정하고 그 외의 시간에는 슬립모드를 유지함으로써 액세트포인트 장치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for efficiently managing the power of the access point device by setting the active mode only while the access point device needs to perform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intaining the sleep mode at other times.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어소시에이션이 설정된 스테이션이 있거나 어소시에이션의 요청이 들어오는 경우에 액세스포인트를 활성모드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액세스포인트를 슬립모드로 설정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의 동작 클럭 입력을 단속하는 클럭게이트를 배치하고, 활성모드에서는 클럭게이트를 오픈하지만, 슬립모드에서는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과 외부 스테이션으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나 응답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경우에 클럭게이트를 오픈하고 나머지 동안에는 클럭게이트를 클로즈함으로써 액세스포인트의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sets an access point to an active mode when there is a station having an association established or a request for association comes in, otherwise sets the access point to a sleep mode, In the active mode, the clock gate is opened. In the sleep mode, the clock gate is opened while the beacon signal is output and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r the response signal is monitored from the external s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efficiently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n access point by closing a gate.

최근들어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일정 거리 이내에서 근거리 초고속 데이터 통신을 달성하는 무선랜(와이파이) 장치가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무선랜 기술은 과거 유선 케이블로 인한 설치, 유지보수, 이동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개발되었으며, 근래 스마트폰 사용자의 증가로 인해 그 필요성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wireless LAN (Wi-Fi) devices have been rapidly spreading to achieve near-point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within a certain distance without using a cable. Wireless LAN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s a solution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movement due to wired cable in the past. Recently, the necessity of smart LAN users is increasing.

또한, 무선랜 이외에도 지그비나 Z-웨이브 등과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In addition, technologies for provid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Z-wave in addition to the wireless LAN have become widespread.

여기서, 무선랜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개별 스테이션이 인터넷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광대역 유선 네트워크와 연결시키는 장치인 액세스포인트(AP)가 필요하다. 그에 따라 오피스나 상가는 물론 대부분의 가정에도 액세스포인트가 하나씩은 설치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장치들, 예컨대 셋톱박스, 홈 게이트웨이, 백업 스토리지 등의 장치에도 무선랜 모듈이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Here, in order to utilize the Internet in an individual station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such as a wireless LAN, an access point (AP), which is a device for connecting a wireless network to a broadband wired network, is needed. As a result, one access point is installed in most homes as well as offices and shopping malls. In addition, it is a general trend that wireless LAN modules are installed in devices such as a set-top box, a home gateway, a backup storage, etc., which are being released in recent years.

그런데, 외부의 스테이션이 언제 인터넷을 사용할지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액세스포인트는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은 항상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액세스포인트의 전력 소모량은 상당하다. 최근들어 유럽을 중심으로 전력 소모량을 저감해야만 하는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는데, 액세스포인트의 막대한 전력 소모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However, since the outside station can not know in advance when to use the Internet, the access point is always active during power-on, which caus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ccess point to be considerabl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strong ne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n Europe, and the enormous power consumption of the access point is undesirable.

이와 같은 전력 소모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일반적인 가전장치와 마찬가지로 액세스포인트가 슬립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구성을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에는 스테이션에서 인터넷을 할 때마다 리모컨으로 액세스포인트를 켜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에 적용이 곤란하다. In orde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such power consumption,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ccess poin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leep mode as in a general home appliance. However, in such a case, it is inconvenient to turn on the access point It is difficult to apply it.

그에 따라, 액세스포인트의 평균적인 전력 소모량을 저감하는 기술이 관련 업계에서는 절실하게 요망된다. 특히, 이처럼 전력 소모량을 저감시키면서도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스테이션의 데이터 통신 요구를 놓치지 않는 것은 물론, 통신 요구에 대해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된다.
Accordingly,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average power consumption of the access point is desperately needed in the related industry. Particular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quickly 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request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not missing a data communication request of a wireless station such as a smart phone.

1.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0001926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무선 자원 관리"1.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01926 "Radio Resource Management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2.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6-7000698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관리 실체들간 송신 전력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2.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7000698 entitle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formation Between Network Management Entiti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세스포인트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동안에만 활성모드로 설정하고 그 외의 시간에는 슬립모드를 유지함으로써 액세트포인트 장치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foregoing poin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cess point apparatus capable of establishing an active mode only while it is necessary to perform near- And to provide a technology for efficiently managing power of a device.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어소시에이션이 설정된 스테이션이 있거나 어소시에이션의 요청이 들어오는 경우에 액세스포인트를 활성모드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액세스포인트를 슬립모드로 설정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의 동작 클럭 입력을 단속하는 클럭게이트를 배치하고, 활성모드에서는 클럭게이트를 오픈하지만, 슬립모드에서는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과 외부 스테이션으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나 응답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경우에 클럭게이트를 오픈하고 나머지 동안에는 클럭게이트를 클로즈함으로써 액세스포인트의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t an access point to an active mode when there is a station with an association established or when an association request is received, otherwise to set the access point to a sleep mode, In the active mode, the clock gate is opened. In the sleep mode, the clock gate is opened while the beacon signal is output and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r the response signal is monitored from the external station. Thereby efficiently manag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ccess point.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포인트 전력 관리 방법은, (a) 슬립모드에서 주기적으로 활성모드로 임시 전환하여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비콘 신호에 응답하는 스테이션의 연결 요청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c) 연결 요청 신호가 식별되지 않으면 슬립모드로 되돌아가고, 연결 요청 신호가 식별되면 활성모드로 유지하는 단계; (d) 연결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연결 응답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e) 스테이션과 어소시에이션을 설정하는 단계; (f) 활성모드에서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g) 어소시에이션이 설정된 스테이션으로부터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식별되면 활성모드를 유지하고, 응답 신호가 식별되지 않으면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ccess point power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temporarily switching from a sleep mode to an active mode to output a beacon signal; (b) monitor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a station responding to the beacon signal; (c) i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not identified, returning to the sleep mode, and i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identified, maintaining the active mode; (d) outputting a connection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e) establishing an association with the station; (f) outputting a beacon signal in an active mode; (g) maintaining an active mode when a response signal to the beacon signal is identified from the station to which the association is set, and switching to a sleep mode if the response signal is not identified.

본 발명에서 활성모드로의 전환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의 동작 클럭 입력을 단속하는 클럭게이트를 오픈 설정함에 의해 달성되고, 슬립모드로의 전환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의 동작 클럭 입력을 단속하는 클럭게이트를 클로즈 설정함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to the active mode is achieved by opening a clock gate for interrupting the input of the operating clock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switching to the sleep mode is accomplished by switching the clock gate It is preferable to achieve close setting.

이때, 단계 (b)에서 액세스포인트가 연결 요청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구간은 비콘 신호에 이어서 개시되고 비콘 인터벌의 한 주기 내에서 가변 듀티비를 갖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during which the access point monitors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 step (b) is set to be started after the beacon signal and to have a variable duty ratio within one period of the beacon interval.

한편, 단계 (b)에서 액세스포인트가 연결 요청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구간은 비콘 인터벌의 한 주기 내에서 소정 듀티비의 구간이 랜덤하게 배치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단계 (b)는 비콘 신호의 출력 직후에 클럭게이트를 클로즈 설정하는 단계; 모니터링 구간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시간을 랜덤하게 생성하는 단계; 클럭게이트를 오픈 설정하는 단계; 비콘 인터벌의 한 주기 내에서 소정 듀티비의 구간 동안 연결 요청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클럭게이트를 클로즈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interval during which the access point monitors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 step (b) may be such that a predetermined duty ratio section is randomly arranged within one period of the beacon interval. In this case, step (b) may include closing the clock gate immediately after the output of the beacon signal; Randomly generating a waiting time for starting a monitoring interval; Setting a clock gate to open; Monitor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a duration of a predetermined duty ratio within one period of the beacon interval; And setting the clock gate to a closed state.

또한 본 발명은, 단계 (g)의 활성모드에서 액세스포인트에 구비된 어시스트 프로세서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과 외부 스테이션이 교환하는 무선 통신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무선 통신량의 모니터링 결과, 어시스트 프로세서가 무선 통신량을 식별하면 활성모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무선 통신량의 모니터링 결과, 어시스트 프로세서가 무선 통신량을 식별하지 못하면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ccess poin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monitoring an amount of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n assistan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n external station, Maintaining an active mode state when the assist processor identifies a wireless communication amount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mount; And switching to a sleep mode if the assist processor can not identify the wireless communication amount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mou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이상과 같은 액세스포인트의 전력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력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Meanwhil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a power management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n access poin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포인트의 전력 관리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The power management method of the access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액세스포인트의 무선통신 환경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는 액세스포인트를 슬립모드로 설정함으로써 액세스포인트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소모하는 전력량을 저감할 수 있다.(1) By sen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access point and setting the access point to the sleep mode if necessary,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t the access point can be reduced.

(2) 활성모드와 슬립모드를 상호 전환함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의 동작 전원을 온/오프하는 것이 아니라 동작 전원은 항상 제공하면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제공되는 동작 클럭 입력만 클로즈/오픈 통제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액세스포인트가 슬립모드 상태에서 외부 스테이션이 인터넷 통신을 시도하였을 때에도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다.(2) In the switching between the active mode and the sleep mode, the operation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not switched on / off, but the operation power is always supplied and the operation clock input provided to the short- The access point can respond quickly even when the external station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et in the sleep mode.

(3) 슬립모드에서 비콘 신호에 대한 외부 스테이션의 연결요청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구간을 스마트하게 가변 구성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저감하면서도 외부 스테이셔의 연결 요청을 놓치지 않는다.
(3) In the sleep mode, the interval for monitoring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external station with respect to the beacon signal is configured to be smartly variable,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while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external staser is not mis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포인트의 커버리지 내에서 스테이션과 어소시에이션된 상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포인트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포인트의 전력 관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모듈의 모니터링 구간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모듈의 모니터링 구간을 도시한 예시도.
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tate associated with a station within the coverage of an access poi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management process of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onitoring interval of a wireless LAN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nitoring interval of a wireless LAN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포인트(100)의 커버리지 내에서 스테이션과 어소시에이션된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포인트(100)의 블록구성도이다.FIG. 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tate associated with a station within the coverage of an access p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access p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포인트(100)는 외부적으로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망과 연결되고 내부적으로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개별 스테이션(200)과 연결되는데, 이를 통해 스테이션(200)은 광대역의 인터넷망과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로는 무선랜, 지그비, Z-웨이브, UWB 등이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무선랜 기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and FIG. 2, an access p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rnally connected to an Internet network through a broadband network, and internally communicates with an individual station 200 through short- So that the station 200 can access the broadband Internet network. At this tim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be wireless LAN, ZigBee, Z-wave, UWB,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wireless LAN technology.

또한, 액세스포인트(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관리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 클럭게이트(110), 무선랜 모듈(120), 어시스트 프로세서(130), 게이트 컨트롤러(140), PLL(phase lock loop;150)을 구비한다.The access point 100 may further include a clock gate 110, a wireless LAN module 120, an assist processor 130, a gate controller 140, a phase lock loop (PLL) 150).

클럭게이트(110)는 PLL(150)에서 생성된 동작 클럭이 무선랜 모듈(120)로 제공되는 것을 통과 또는 차단하는 모듈로서 게이트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의해 오픈 또는 클로즈된다. 클럭게이트(110)가 오픈되면 동작 클럭이 제공되므로 무선랜 모듈(120)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반면, 클럭게이트(110)가 클로즈되면 동작 클럭이 무선랜 모듈(120)로 제공되지 않으며, 이 경우에는 동작 전원이 제공되고 있더라도 실질적인 프로세싱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무선랜 모듈(120)은 사실상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 클럭게이트(110)가 클로즈된 상태에서 무선랜 모듈(120)은 상대적으로 더 낮은 전력 소모량을 나타낸다.The clock gate 110 is opened or closed under the control of the gate controller 140 as a module for passing or blocking that the operation clock generated in the PLL 150 is provided to the wireless LAN module 120. [ When the clock gate 110 is opened, the operation clock is provided, so that the wireless LAN module 120 operates normal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clock gate 110 is closed, the operation clock is not provided to the wireless LAN module 120, and in this case, even if the operation power is supplied, the wireless LAN module 120 does not actually perform the processing, do. With the clock gate 110 closed, the WLAN module 120 exhibits a relatively lower power consumption.

무선랜 모듈(120)이 외부 스테이션(200)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클럭게이트(110)가 오픈된 상태여야 하기 때문에 액세스포인트(100)의 동작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음은 물론 성능 저하도 없는 상태에서 전력 소모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게이트 컨트롤러(140)가 클럭게이트(110)의 오픈/클로즈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해야만 한다.In order for the wireless LAN module 120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 from the external station 200, the clock gate 110 must be in an open state, so that there is no problem in the operation of the access point 100,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the gate controller 140 must perform the open / close control of the clock gate 110 efficiently.

즉, 무선랜 모듈(120)은 클럭게이트(110)가 오픈된 상태가 되어야 PLL(150)에서 발생한 "동작 클럭2"이 전달되어 스테이션(200)과 통신을 수행한다. 클럭게이트(110)가 오픈되어 "동작 클럭2"이 무선랜 모듈(120)에 전달되면, 무선랜 모듈(120)은 액세스포인트(100)의 커버리지에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출력하고,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무선랜 신호(예: 연결 요청 신호, 응답 신호, 데이터 통신)가 수신되는지 모니터링 한다.That is, when the clock gate 110 is opened, the WLAN module 120 transmits the 'operation clock 2' generated in the PLL 150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station 200. When the clock gate 110 is opened and the "operation clock 2"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LAN module 120, the wireless LAN module 120 periodically broadcasts a beacon signal to the coverage of the access point 100, (E.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a response signal, and a data communication)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LAN 200.

어시스트 프로세서(130)는 액세스포인트(100)가 외부 스테이션(200)과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량을 모니터링한다.The assist processor 130 monitors the amount of data traffic the access point 100 performs with the external station 200. [

게이트 컨트롤러(140)는 클럭게이트(110)를 제어함으로써 무선랜 모듈(120)로 동작 클럭이 공급되도록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게이트 컨트롤러(140)가 상황에 따라 클럭게이트(110)를 제어하는 방법론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The gat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clock gate 110 to determine whether to allow the operation clock to be supplied to the wireless LAN module 120. Hereinafter, a methodology in which the gat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clock gate 110 according to circumstanc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액세스포인트(100)에 어소시에이션되어 있는 스테이션(20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클럭게이트(110)를 오픈하여 무선랜 모듈(120)을 활성모드로 유지한다. 그 스테이션(200)이 액세스포인트(100)와 무선통신을 활발하게 수행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무선통신을 일시적으로 쉬고 있으면서 어소시에이션 상태만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도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이다.First, when the station 200 associated with the access point 100 exists, the clock gate 110 is opened to keep the wireless LAN module 120 in the active mod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tion 200 actively performs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 point 100 and also maintains the association state temporarily while temporarily holding the radio communication.

또한, 액세스포인트(100)가 활성모드에서 어시스트 프로세서(130)가 무선랜 모듈(120)을 모니터링한 결과, 스테이션(200)과 무선랜 모듈(120)이 교환하는 무선 통신량이 식별되면 클럭게이트(110)를 오픈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무선랜 모듈(120)을 동작 상태로 유지한다. 반대로, 스테이션(200)과 무선랜 모듈(120)이 교환하는 무선 통신량이 식별되지 않으면 클럭게이트(110)를 클로즈시킴으로써 액세스포인트(100)의 전력 소모를 줄인다. 이때, 어시스트 프로세서(130)가 무선랜 모듈(120)의 무선 통신량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20)의 무선랜 IC(미도시)와 액세스포인트(100)의 메인 프로세서(미도시) 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상태를 살펴봄으로써 위 모니터링을 달성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wireless communication exchanged between the station 200 and the wireless LAN module 120 is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assist processor 130 monitoring the wireless LAN module 120 in the active mode of the access point 100, 110 in the open state to maintain the wireless LAN module 120 in an operating state. Conversely, if the amount of wireless communication exchanged between the station 200 and the wireless LAN module 120 is not identifie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ccess point 100 is reduced by closing the clock gate 110. In this case, the assist processor 130 may monitor the amount of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LAN module 120. For example, the assistant processor 130 may monitor the amount of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LAN module 120 with the wireless LAN IC (not shown) 100) of the main processor (not shown).

한편, 액세스포인트(100)는 무선랜 규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출력해야 하는데, 슬립모드에 있는 경우에도 액세스포인트(100)는 반드시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출력해야 한다.Meanwhile, the access point 100 periodically broadcasts a beacon signal according to the wireless LAN standard. Even in the sleep mode, the access point 100 must periodically output a beacon signal.

그에 따라, 클럭게이트(110)가 클로즈되어 있는 슬립모드에서 게이트 컨트롤러(140)는 주기적으로 클럭게이트(110)를 오픈시켜 무선랜 모듈(120)을 동작시킴으로써 무선랜 규격에 따라 비콘 신호가 브로드캐스트 출력되도록 해야 한다. 만일 비콘 신호에 대응하여 주변 스테이션(200)이 무선랜 신호를 액세스포인트(100)로 전송하면 활성모드로 전환되고, 비콘 신호에 대해 주변으로부터 무선랜 신호가 전혀 오지 않으면 액세스포인트(100)는 클럭게이트(110)를 닫아 원래대로의 슬립모드로 복귀하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sleep mode in which the clock gate 110 is closed, the gate controller 140 periodically opens the clock gate 110 to operate the wireless LAN module 120 so that the beacon signal is broadcast Output. If the peripheral station 200 transmits a wireless LAN signal to the access point 100 in response to the beacon signal, the wireless LAN 100 is switched to the active mode. If the wireless LA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periphery for the beacon signal, The gate 110 is closed to return to the original sleep mode.

이때, 슬립모드에서 게이트 컨트롤러(140)는 주기적으로 무선랜 모듈(120)에 동작 클럭을 임시로 제공하여 액세스포인트(100)의 커버리지에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출력하도록 한 후, 주변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비콘 신호에 상응하는 무선랜 신호(예: 연결 요청 신호, 응답 신호, 데이터 통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무선랜 신호를 수신하려면 무선랜 모듈(120)이 동작해야 하므로 모니터링 구간의 개시 시점에 클럭게이트(110)를 오픈하고 모니터링 구간의 종료 시점에 클럭게이트(110)를 클로즈한다.At this time, in the sleep mode, the gate controller 140 periodically provides an operation clock to the wireless LAN module 120 to broadcast the beacon signal to the coverage of the access point 100, (E.g., connection request signal, response signal, data communication) corresponding to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In order to receive the wireless LAN signal, the wireless LAN module 120 must operate. Therefore, the clock gate 110 is opened at the start time of the monitoring interval and the clock gate 110 is closed at the end of the monitoring interval.

PLL(150)은 동작 클럭을 생성하여 액세스포인트(100)에 탑재되는 여러 실행 모듈에 제공함으로써 해당 실행 모듈이 동작하도록 한다. 편이상 [도 2]에서는 게이트 컨트롤러(14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클럭1"과 무선랜 모듈(120)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클럭2"가 도시되었다.The PLL 150 generates an operation clock and provides the generated operation clock to various execution modules mounted on the access point 100, thereby allowing the corresponding execution module to operate. In Fig. 2, an "operation clock 1" for operating the gate controller 140 and an "operation clock 2" for operating the wireless LAN module 120 are shown.

본 발명은 [도 2]에서 나타난 동작 클럭 중 본 발명의 클럭게이트(110)를 오픈/클로즈 시킴으로써 무선랜 모듈(120)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동작 클럭2"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an "operation clock 2"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LAN module 120 by opening / closing the clock gate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operation clocks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PLL(150)에서 발생하는 "동작 클럭2"는 무선랜 모듈(120)에 전송되어 무선랜 모듈(120)을 동작시킴으로써 무선랜 모듈(120)과 스테이션(200)이 상호 양방향 신호 송수신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operation clock 2' generated in the PLL 150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LAN module 120 to operate the wireless LAN module 120 so that the wireless LAN module 120 and the station 200 Directional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에 비해 전력 소모를 저감하기 위해서 PLL(150)로부터 무선랜 모듈(120)로 "동작 클럭2"가 이동하는 루트에 클럭게이트(110)를 배치하고 상황에 따라 클럭게이트(110)를 오픈 또는 클로즈함으로써 "동작 클럭2"가 무선랜 모듈(120)에 전달되는 동작을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랜 모듈(120)의 동작이 사실상 온/오프됨으로써 무선램 모듈(120)에 의한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the clock gate 110 is disposed in the route where the "operation clock 2 " moves from the PLL 150 to the wireless LAN module 120, The operation clock 2 can be adaptively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LAN module 120. [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LAN module 120 is effectively turned on / off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less RAM module 120 can be efficiently managed.

한편, 동작 클럭의 입력을 통제하는 본 발명에서와는 달리, 액세스포인트(100)의 전원 또는 무선랜 모듈(120)의 동작 전원을 온/오프하여 활성모드와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액세스포인트(100)에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액세스포인트(100)가 느린 응답 속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전원을 제어함에 따른 시스템 설계의 안정성도 민감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동작 클럭의 입력을 통제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신속한 응답 속도와 높은 시스템 안정성이라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Unlike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put of the operation clock is controlled, when the power of the access point 100 or the operation power of the wireless LAN module 120 is turned on / off to switch to the active mode and the sleep mode, The access point 100 not only shows a slow response speed but also controls the power of the access point 100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system design is also reduc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dopting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input of the operation clock,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s of quick response speed and high system stability.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포인트(100)의 전력 관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모듈(120)의 모니터링 구간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모듈(120)의 모니터링 구간을 도시한 예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management process of the access poin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onitoring interval of the wireless LAN module 120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onitoring interval of the wireless LAN module 120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포인트(100)에서 전력을 관리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managing power in the access p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to FIG. 5 as follows.

S110 : 먼저, 클럭게이트(110)가 클로즈되어 무선랜 모듈(120)로 동작 클럭이 제공되지 않는 슬립모드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액세스포인트(100)의 전원이 온 상태에서도 무선랜 모듈(120)로 동작 클럭이 입력되지 않으면 무선랜 모듈(120)로 동작 클럭이 입력되어 정상 동작하는 때에 비해 전력 소모가 상대적으로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S110: First, it is assumed that the clock gate 110 is closed and starts in the sleep mode in which the operation clock is not supplied to the wireless LAN module 120. [ If the operating clock is not input to the wireless LAN module 120 even when the power of the access point 100 is turned on, the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reduced as compared with when the operating clock is input to the wireless LAN module 120 to operate normally have.

S120 : 무선랜 규격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게이트 컨트롤러(140)는 주기적으로(예: 100 msec 시간마다) 클럭게이트(110)를 임시로 오픈시켜 무선랜 규격에 정의된 바에 따른 비콘 신호를 출력한다. 슬립모드에서는 클럭게이트(110)가 클로즈되어 있는데, 무선랜 모듈(120)이 비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클럭게이트(110)를 임시로 오픈하는 것이다. 만일 비콘 신호에 대해 외부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없으면 활성모드로 임시 전환하였다가 다시 슬립모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S120: In order to satisfy the wireless LAN standard, the gate controller 140 temporarily opens the clock gate 110 periodically (e.g. every 100 msec time) and outputs a beacon signal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wireless LAN standard. In the sleep mode, the clock gate 110 is closed, and the clock gate 110 is temporarily opened so that the wireless LAN module 120 can output a beacon signal.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external station 200 with respect to the beacon signal, the beacon signal is temporarily switched to the active mode and then returned to the sleep mode.

S130 : 무선랜 모듈(120)이 비콘 신호를 출력한 후 무선랜 모듈(120)은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액세스포인트(100)의 비콘 신호에 응답하는 연결 요청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 단계 S130에서 항상 일정한 구간동안 연결 요청 신호를 모니터링한다면 일부 스테이션(200)에 대해서는 액세스포인트(100)가 연결 요청 신호를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모니터링 구간을 일정하지 않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명세서에서는 모니터링 구간의 불규칙한 설정과 관련하여 2가지 실시예를 제시하다.S130: After the wireless LAN module 120 outputs a beacon signal, the wireless LAN module 120 monitors whether or not there i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responding to the beacon signal of the access point 100 from the station 200. [ I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always monito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in step S130, the access point 100 may not recognize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some stations 200. [ Accordingly, it is desirable to set the monitoring interval not to be constant. In this specification, two examples are presented in connection with irregular setting of the monitoring interval.

[도 4]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는 무선랜 모듈(120)의 모니터링 구간은 비콘 신호에 바로 이어서 개시되고 비콘 인터벌의 한 주기 내에서 가변 듀티비를 갖도록 설정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monitoring interval of the wireless LAN module 120 is started immediately after the beacon signal and is set to have a variable duty ratio within one period of the beacon interval.

즉, [도 4]의 "0~T" 구간에서 비콘 신호가 개시되는 시점에 클럭게이트(110)가 오픈된 후 비콘 신호가 종료될 때 클럭게이트(110)가 클로즈되지 않고 오픈된 상태로 모니터링 구간이 개시된다. 그리고,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 클럭게이트(110)는 클로즈된다. 그리고, "T~2T" 구간에서는 모니터링 구간의 시점과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 사이의 듀티비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가변적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when the beacon signal is terminated after the clock gate 110 is opened at the time of starting the beacon signal in the "0 to T" interval of FIG. 4, the clock gate 110 is not closed, Section starts. At the end of the monitoring interval, the clock gate 110 is closed. In the interval of "T to 2T ", the duty ratio between the start point of the monitoring section and the end point of the monitoring section is relatively more variable.

이처럼, 제 1 실시예에서는 무선랜 모듈(120)의 모티터링 구간은 비콘 신호의 주기마다 다른 듀티비를 갖도록 바람직하게는 랜덤하게 설정되며, 이를 통해 외부 스테이션(200)이 발송하는 응답 신호를 몇 주기 이내에서는 놓치지 않고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monitoring interval of the wireless LAN module 120 is preferably set to have a different duty ratio for each period of the beacon signal, and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station 200 is divided into several Within a cycle, you will not miss it.

[도 5]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는 무선랜 모듈(120)의 모니터링 구간은 비콘 신호에 바로 이어서 개시되지 않고 비콘 인터벌의 한 주기 내에서 특정 듀티비의 구간이 랜덤하게 배치되도록 설정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monitoring interval of the wireless LAN module 120 is not started immediately after the beacon signal, but is set such that intervals of specific duty ratios are randomly arranged within one period of the beacon interval.

즉, [도 5]의 "0~T" 구간에서 비콘 신호가 개시되는 시점에 클럭게이트(110)가 오픈된 후 비콘 신호가 종료되는 시점에 클럭게이트(110)가 클로즈되어 무선랜 모듈(120)이 슬립모드로 일단 복귀한다. 이후 대기시간을 유지한 후 모니터링 구간이 개시 시점에서 클럭게이트(110)가 다시 오픈되어 무선랜 모듈(120)이 모니터링을 시작하고 모니터링 구간의 종료시점이 되면 클럭게이트(110)가 클로즈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beacon signal is terminated after the clock gate 110 is opened at the start of the beacon signal in the period of " 0 to T "in FIG. 5, the clock gate 110 is closed, ) Returns to the sleep mode once. After the waiting time is maintained, the clock gate 110 is opened again at the start of the monitoring period, and the clock gate 110 is closed when the wireless LAN module 120 starts monitoring and ends the monitoring period.

그리고, "T~2T" 구간에서는 모니터링 구간에 대한 대기시간이 종전 주기와는 상이하게 설정된다. 이처럼, 제 2 실시예에서는 모니터링 대기시간은 비콘 인터벌의 주기마다 상이하게, 바람직하게는 랜덤하게 설정되며, 이를 통해 한 주기 내에서 슬립모드 시간은 항상 일정하게 보장하면서 외부 스테이션(200)의 응답 신호를 몇 주기 이내에서는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 the section "T ~ 2T ", the waiting time for the monitoring section is set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eriod. 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monitoring wait time is set differently, preferably randomly, for each period of the beacon interval, thereby ensuring that the sleep mode time is always constant within one period, Can be recognized within a few cycles.

S140, S150 : 무선랜 모듈(120)의 모니터링 결과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가 식별되지 않으면 단계 S110의 슬립모드로 복귀하고, 연결 요청 신호가 식별되면 임시 전환한 활성모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 스테이션(200)에 연결 응답 신호를 출력하여 액세스포인트(100)은 해당 스테이션(200)과 어소시에이션을 설정한다.S140, S150: I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not identified from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wireless LAN module 120, the mobile terminal returns to the sleep mode in step S110. I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identified, The access point 100 sets up a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station 200 by outputting a connection response signal to the station 200 that has transmitted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S160, S170 : 액세스포인트(100)의 무선랜 모듈(120)은 스테이션(200)과 어소시에션된 활성모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출력하며, 이미 어소시에이션 되어 있는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액세스포인트(100)의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모티터링 한다.S160 and S170: The wireless LAN module 120 of the access point 100 periodically outputs a beacon signal in the active mode state associated with the station 200 and transmits a beacon signal to the access point 100 from the already- And monitors the response signal to the beacon signal of the base station 100.

이어서, 어소시에이션 되어 있는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식별되면 액세스포인트(100)는 그 어소시에이션된 스테이션(200)이 계속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클럭게이트(120)를 오픈 상태로 유지하여 해당 스테이션(200)과의 본격적인 데이터 통신을 준비한다. 반대로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식별되지 않으면 단계 S110의 슬립모드로 전환하게 된다.Then, when a response signal to the beacon signal is identified from the associated station 200, the access point 100 determines that the associated station 200 is still in the coverage, and the clock gate 120 is in the open state And prepares for full-scal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rresponding station 200. Conversely, if a response signal to the beacon signal is not identified from the station 200, the system enters the sleep mode of step S110.

한편, 액세스포인트(100)와 스테이션(200)이 어소시에이션된 상태에서 액세스포인트(100)에 구비된 어시스트 프로세서(130)는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무선랜 모듈(120)에 전송되는 통신량을 모니터링 한다.Meanwhile, the assist processor 130 provided in the access point 100 monitors the amount of traffic transmitted from the station 200 to the wireless LAN module 120 in a state where the access point 100 and the station 200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여기서, 어시스트 프로세서(130)가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무선랜 모듈(120)에 전송되는 통신량을 식별하면 사용자가 스테이션(예: 스마트폰;200)을 사용중인 상태이므로 액세스포인트(100)는 활성모드를 유지하여 클럭게이트(110)를 오픈 상태로 한다.When the assist processor 130 identifies the amount of traffic to be transmitted from the station 200 to the wireless LAN module 120, the access point 100 is in an active mode (e.g., To keep the clock gate 110 open.

그러나, 어시스트 프로세서(130)가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무선랜 모듈(120)에 전송되는 통신량이 식별되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스테이션(예: 스마트폰;200)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한 상태이므로 액세스포인트(100)는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클럭게이트(110)를 클로즈한다.
However, if the assist processor 130 does not identify the amount of traffic transmitted from the station 200 to the wireless LAN module 120, the user has left the station (e.g., smart phone) 200 without using it, Switches to the sleep mode and closes the clock gate 11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t this tim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stored and executed by a computer-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o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액세스포인트
110 : 클럭게이트
120 : 무선랜 모듈
130 : 어시스트 프로세서
140 : 게이트 컨트롤러
150 : PLL
200 : 스테이션
100: access point
110: clock gate
120: Wireless LAN module
130: assist processor
140: Gate controller
150: PLL
200: station

Claims (7)

외부 스테이션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포인트에 대해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슬립모드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의 동작 클럭 입력을 단속하는 클럭게이트가 주기적으로 오픈되도록 설정함에 따라 상기 슬립모드에서 주기적으로 활성모드로 임시 전환하여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비콘 신호에 응답하는 상기 스테이션의 연결 요청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c) 상기 연결 요청 신호가 식별되지 않으면 상기 슬립모드로 되돌아가고, 상기 연결 요청 신호가 식별되면 활성모드로 유지하는 단계;
(d)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연결 응답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e) 상기 스테이션과 어소시에이션을 설정하는 단계;
(f) 상기 활성모드에서 상기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g) 상기 어소시에이션이 설정된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식별되면 상기 활성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응답 신호가 식별되지 않으면 상기 클럭게이트가 클로즈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상기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세스포인트의 전력 관리 방법.
A method of managing power for an access point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tation,
(a) periodically switching from a sleep mode to an active mode and outputting a beacon signal by setting a clock gate for interrupting an operation clock input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be opened periodically in a sleep mode;
(b) monitor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station in response to the beacon signal;
(c) i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not identified, returning to the sleep mode and maintaining the active mode whe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identified;
(d) outputting a connection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e) establishing an association with the station;
(f) outputting the beacon signal in the active mode;
(g) switching to the sleep mode by maintaining the active mode if a response signal to the beacon signal is identified from the station for which the association is established, and setting the clock gate to be closed if the response signal is not identified;
The power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연결 요청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구간은 상기 비콘 신호에 이어서 개시되고 비콘 인터벌의 한 주기 내에서 가변 듀티비를 갖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포인트의 전력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val during which the access point monitors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 the step (b) is set to start after the beacon signal and to have a variable duty ratio within one period of the beacon interv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연결 요청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구간은 비콘 인터벌의 한 주기 내에서 소정 듀티비의 구간이 랜덤하게 배치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포인트의 전력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cess point monitors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 the step (b) so that the interval of the predetermined duty ratio is randomly arranged within one period of the beacon interv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비콘 신호의 출력 직후에 상기 클럭게이트를 클로즈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구간을 개시하기 위한 대기시간을 랜덤하게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럭게이트를 오픈 설정하는 단계;
비콘 인터벌의 한 주기 내에서 소정 듀티비의 구간 동안 상기 연결 요청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클럭게이트를 클로즈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포인트의 전력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b)
Closing the clock gate immediately after the output of the beacon signal;
Randomly generating a waiting time for starting the monitoring interval;
Setting the clock gate to open;
Monitoring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a duration of a predetermined duty ratio within one period of the beacon interval;
Closing the clock gate;
Wherein the power management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계 (g)의 활성모드에서 상기 액세스포인트에 구비된 어시스트 프로세서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과 외부 스테이션이 교환하는 무선 통신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량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어시스트 프로세서가 무선 통신량을 식별하면 상기 활성모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량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어시스트 프로세서가 무선 통신량을 식별하지 못하면 상기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포인트의 전력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Monitoring an amount of wireless communication exchanged betwee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external station by the assist processor provided in the access point in the active mode of step (g);
Maintaining the active mode state when the assist processor identifies a wireless communication amount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mount;
Switching to the sleep mode if the assist processor can not identify the amou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amount of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access point further comprises:
컴퓨터에 청구항 1, 3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액세스포인트의 전력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6.
KR20140087546A 2014-07-11 2014-07-11 method of providing power management for access poi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KR1014858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7546A KR101485817B1 (en) 2014-07-11 2014-07-11 method of providing power management for access poi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7546A KR101485817B1 (en) 2014-07-11 2014-07-11 method of providing power management for access poi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817B1 true KR101485817B1 (en) 2015-01-26

Family

ID=5259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7546A KR101485817B1 (en) 2014-07-11 2014-07-11 method of providing power management for access poi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81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576B1 (en) * 2017-11-23 2019-05-09 (주)에프씨아이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in Wireless LAN
CN116456440A (en) * 2023-06-14 2023-07-18 此芯科技(上海)有限公司 Wi-Fi hotspot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2542A (en) * 2008-07-11 2011-05-18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Partial power save mode for access points during device discovery
KR20110052543A (en) * 2008-07-11 2011-05-18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Power save mode for access points
KR20120031172A (en) * 2009-06-11 2012-03-30 톰슨 라이센싱 A power saving method at an access point
JP2013031061A (en) 2011-07-29 2013-02-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Access poi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2542A (en) * 2008-07-11 2011-05-18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Partial power save mode for access points during device discovery
KR20110052543A (en) * 2008-07-11 2011-05-18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Power save mode for access points
KR20120031172A (en) * 2009-06-11 2012-03-30 톰슨 라이센싱 A power saving method at an access point
JP2013031061A (en) 2011-07-29 2013-02-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Access poi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576B1 (en) * 2017-11-23 2019-05-09 (주)에프씨아이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in Wireless LAN
CN116456440A (en) * 2023-06-14 2023-07-18 此芯科技(上海)有限公司 Wi-Fi hotspot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6456440B (en) * 2023-06-14 2024-04-05 此芯科技(上海)有限公司 Wi-Fi hotspot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6796B2 (en) HVAC ventilation air flow powered smart vent
US9521614B2 (en) Power efficient method for Wi-Fi home automation
US9357492B2 (en) WLAN-capable remote control device
EP3185641B1 (en) Dual-mode device and method
EP2292062B1 (en) Channel management via link parameter adjustment
KR1022213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ing a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58017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Wireless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20094918A (en) Method and system for announcement time of idle timeout for power saving operations in wireless networks
CN111328081B (en) Wireless ad hoc network method
JP2018513657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based on periodic beacon signals
KR100547771B1 (en) Power Control Method of Wireless Access Node in Wireless LAN System
US20170279481A1 (en) Radio base station and system having said radio base station
CN110933721A (en) Waking up radio sector roaming
US20120155352A1 (en)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system
KR101485817B1 (en) method of providing power management for access poi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US9408023B2 (e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device, portable terminal for discover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device,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0093524A (en) Radio base station, radio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5187044A (en) Single-live line capacitive touch switch comprising low power Z-wave wireless module
CN110958658A (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method
US2022018288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network access to enhance a user&#39;s experience
KR200368067Y1 (e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wireless home network
JP2007019668A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in-home system plc modem, access system plc modem,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CN114007208A (en) Bluetooth communication terminal and Bluetooth relay device
CN110824943A (en) Wireless intelligent home system based on LoRaWAN
CN11301431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