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781B1 -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781B1
KR101485781B1 KR20130052653A KR20130052653A KR101485781B1 KR 101485781 B1 KR101485781 B1 KR 101485781B1 KR 20130052653 A KR20130052653 A KR 20130052653A KR 20130052653 A KR20130052653 A KR 20130052653A KR 101485781 B1 KR101485781 B1 KR 101485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quid crystal
panel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2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3079A (ko
Inventor
김원종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52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781B1/ko
Publication of KR20140133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시된 구성은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평면 광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패널 측으로 진행시키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측면부를 감싸며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가이드; 상기 도광판 상에 배치되는 광학시트 및 상기 도광판 배면에 배치된 반사시트; 및 상기 도광판, 반사시트 및 패널가이드 하부에 배치되며, 전면에 다수개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충격 완화용 재질로 구성된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DISPLAY DEVICE HAVING CUSHION COVER BOTTOM}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을 완화하고 강성을 보강한 하부커버 구조를 변경한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RT(cathode ray tube)가 표시장치로서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 CRT를 대신할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OLED)와 같은 평판표시장치가 널리 연구되며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위와 같은 평판표시장치들 중에서, 유기전계발광소자(이하, OLED)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 속도가 빠르며, 내부 표시소자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 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조 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 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OLED는 크게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passive matrix type)과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active matrix type)으로 나뉘어지는데,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은 신호선을 교차하면서 매트릭스 형태로 소자를 구성하는 반면,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은 화소를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가 화소 별로 위치하도록 한다.
최근에,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은 해상도나 소비전력, 수명 등에 많은 제한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어, 고해상도나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 OLED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 액정 셀들의 광투과율을 화상신호 정보에 따라 조절하여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는 사무자동화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에 이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가 컴퓨터용 모니터, 텔레비전뿐만 아니라 차량용 네비게이터 시스템의 표시장치와, 노트북, 모바일 핸드폰 등의 휴대용 표시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의 대부분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광원의 양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수광형(Non-emissive Type) 표시소자이기 때문에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하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기존의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하부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1)는, 액정패널(10)과, 상기 액정패널(10)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상기 액정패널(10)과 백라이트유닛(미도시)을 감싸며 지지하는 패널가이드 (40)와, 상기 패널가이드(40)와 결합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수납되는 하부커버 (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액정패널(10)은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0a)과 TFT 어레이 기판 (10b)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으로 구성되며, 상기 컬러필터 어레이기판(10a)과 TFT 어레이 기판(10b)의 외 측면에는 하부 편광판(11) 및 상부 편광판 (12)이 각각 부착된다.
이러한 액정패널(10)은 화소 단위를 이루는 액정 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드라이버 구동회로(미도시)에서 전달되는 화상 신호 정보에 따라 액정 셀들이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은 광을 발생하는 광원부(40)와, 상기 광원부 (40)에서 발생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10)의 전면으로 제공하기 위한 도광판(30)과, 상기 도광판(30)의 배면에 배치되어 후방으로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광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반사시트(60), 및 상기 도광판(30)의 전면에 적층되어 상기 도광판(3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다수의 광학시트(2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40)는 다수개의 발광소자(41)와, 상기 발광소자(41)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4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광학시트(20)는 상기 도광판(3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 및 집광하기 위한 구조이며, 확산시트(21)와 프리즘시트(23) 및 보호 시트 (2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30)은 상기 광원부(40)의 일 측변을 따라 위치하면서 상기 액정패널(10)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40)에서 발생된 빛을 상기 액정패널(10)의 배면으로 유도한다.
더욱이, 상기 패널 가이드(60)는 상기 도광판(30)의 측면부를 감싸는 사각틀 형태로 구성되며, PC 재질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metal)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패널(10)과 광원부(40) 사이에는 차광 테이프(35)가 개재되어, 상기 광원부(40)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상기 액정표시패널(10) 쪽으로 직접 입사됨으로 인해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해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반사시트(63)는 상기 도광판(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30)의 하부로 출사되는 일부 광을 상기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의 출사면으로 반사시켜 광 효율을 높여 주고, 입사광 전체의 반사량을 조절하여 출광면 전체가 균일한 휘도 분포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하부커버(70)는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 박스 형상으로서, 상기 패널가이드(60)에 의해 감싸지는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광학시트(20), 도광판(30) 및 반사시트(63) 등이 상기 하부커버(70) 내부에 수납됨으로써 액정표시장치(1)가 조립된다. 이때, 상기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광학시트(20), 도광판(30), 패널 가이드 (60) 및 반사시트(63) 등이 수납되어 감싸지도록 4개의 측벽(70a)을 가진 사각 형태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70)는 소형 모델, 예를 들어 액정표시모듈(LCM) 또는 유기전계발광장치(OLED)의 경우에 패널 고정을 위해 PC 재질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 금속(metal) 재질 또는 스텐레스 재질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장치, 예를 들어 소형 모델인 액정표시 모듈 (LCM) 또는 유기전계발광장치(OLED) 등이 최근에 점점 슬림화(slim)되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조립시에 패널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하부커버가 스텐레스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그만큼 낙하시에 충격 흡수에 취약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에 하부커버가 체결됨으로 인해 하부커버의 측벽 두께(t) 만큼의 측면 베젤(Bezel)이 발생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영역이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커버를 충격을 완화하고 강성을 보강한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제품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하부커버의 두께만큼의 측면 베젤을 줄일 수 있는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평면 광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패널 측으로 진행시키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측면부를 감싸며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가이드; 상기 도광판 상에 배치되는 광학시트 및 상기 도광판 배면에 배치된 반사시트; 및 상기 도광판, 반사시트 및 패널가이드 하부에 배치되며, 전면에 다수개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충격 완화용 재질로 구성된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는, 소형 모델인 액정표시 모듈 (LCM) 또는 유기전계발광장치(OLED)의 디스플레이 구조에서 패널(유리) 제품 보호를 위해 기존에 사용되어왔던 스텐레스 재질의 하부커버 대신에 충격 흡수성을 가진 아크릴 쿠션(Acryl Cushion) 재질의 하부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제품 낙하시에 제품의 충격을 흡수하여 제품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충격 흡수성을 가진 아크릴 쿠션(Acryl Cushion) 재질의 하부커버의 전면에 다수의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제품 낙하시에 충격이 다수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되므로 제품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충격 흡수성을 가진 아크릴 쿠션(Acryl Cushion) 재질의 하부커버는 측면을 삭제한 판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기존의 하부커버의 측벽 두께(t) 만큼의 측면 베젤(Bezel)이 제거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 베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모듈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의 하부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액정표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액정표시모듈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큐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액정표시모듈의 쿠션 하부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표시모듈(OLED)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표시모듈(OLED)이 결합된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는, 액정표시모듈(LCM;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를 약칭함), 유기발광표시모듈(OLED; Organic Luminescence Diode Module을 약칭함) 및 기타 표시장치들을 포함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액정표시모듈(LCM)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액정표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액정표시모듈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큐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액정표시모듈의 쿠션 하부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100)은, 액정패널(110)과, 상기 액정패널(110)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150)과, 상기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유닛(150)을 감싸며 지지하는 패널가이드(160), 상기 패널가이드(160)와 결합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150)이 수납되는 하부커버(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액정패널(110)은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10a)과 TFT 어레이 기판(110b)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액정패널(110)은 액정패널(110)을 투과하는 빛이 교차 편광되도록 상기 컬러필터 어레이기판(110a)의 전면 및 TFT 어레이 기판(110b)의 배면에 각각 부착된 전면 편광판(112) 및 후면 편광판(111)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액정패널(110)은 화소 단위를 이루는 액정 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드라이버 구동회로(113)에서 전달되는 화상 신호 정보에 따라 액정 셀들이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TFT 어레이 기판(110b)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점에는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형성되어 있다. 드라이버 구동회로(113)에서 전달된 신호전압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통해 화소전극과 후술할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10a)의 공통전극(미도시) 사이에 인가되며,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액정은 이 신호전압에 따라 정렬되어 광 투과율을 정하게 된다.
상기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10a)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블랙 매트릭스를 경계로 적색, 녹색 및 청색 또는 청록색, 자홍색 및 노랑색이 반복되어 형성되어 있는 컬러필터와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공통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110)의 일측에는 상기 액정패널에 형성된 단위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드라이버(113)와, 상기 액정패널에 일단이 연결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115)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50)은 광을 발생하는 광원부(140)과 상기 광원부(140)에서 발생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110)의 전면으로 제공하기 위한 도광판(130), 및 상기 도광판(130)의 배면에 부착되어 후방으로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광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반사시트(163), 및 상기 도광판(130)의 전면에 적층되어 도광판(13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다수의 광학시트(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부(140)는 냉음극 형광램프(Cothode Fluorescent Lamp: CCFL),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소자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데, 여기서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발광소자)를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 (140)는 LED로 이루어진 발광소자(141)와, 상기 발광소자(141)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43)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소자(141)는 사이드 뷰형(side viewing type) 소자로서, 상기 발광소자(141)는 도광판(130)의 입광면(미도시)을 향해 광을 출광시킨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43)은 휘어짐이 우수한 연성 회로기판으로서, 내부에 회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로를 통해 발광소자(141)에 외부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광학시트(120)는 상기 도광판(16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 및 집광하기 위한 것으로서, 확산시트(121)와 프리즘시트(123) 및 보호시트(125)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개의 확산시트와 두 개의 프리즘 시트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확산시트(121)는 베이스 판과 이 베이스 판에 형성된 구슬 모양의 코팅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확산시트(121)는 광원부(140)로부터의 빛을 확산시켜 액정패널(1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확산시트(121)는 2장 또는 3장을 겹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리즘 시트(123)는 상부면에 삼각기둥 모양의 프리즘이 일정한 배열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리즘 시트(123)는 확산시트(121)에서 확산된 빛을 상부의 액정패널(110)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프리즘 시트(123)는 통상 2장이 사용되며 각 프리즘 시트(123)에 형성된 마이크로 프리즘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프리즘 시트(123)를 통과한 빛은 대부분 수직하게 진행되어 균일한 휘도 분포를 제공하게 된다. 최상부에 위치하는 보호시트(125)는 스크래치에 약한 프리즘 시트(123)를 보호한다.
한편, 상기 도광판(130)은 상기 발광소자(141)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입광면 (미도시)과, 상기 입광면에서 연장되어 액정패널(110)과 대향하는 출광면(미도시)과, 상기 발광소자(141)에서 입광면로 조사된 빛이 출광면으로 진행되도록 도트 패턴(미도시)이 형성된 배면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도광판(130)은 상기 발광소자(141)의 일 측변을 따라 위치하면서 상기 액정패널(110)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소자(141)에서 발생된 빛을 액정패널(110)의 배면으로 유도한다. 상기 도광판(130)은 도광판(130)의 일 측변을 따라, 즉 입광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발광소자(141)에서 입광면으로 조사된 빛을 평면광으로 바꾸어 출광면을 통해 상기 액정패널(110)로 균일하게 전달하게 된다. 상기 도광판(130)의 재질로는 강도가 높아 쉽게 변형되거나 깨지지 않으며 투과율이 좋은 PMMA (Polymethy- methacry- late)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30)은 하부면이 경사지고 상부면이 평평한 쇄기형(wedge)이거나, 하부면과 상부면이 모두 평행한 판형(plate type)으로 마련될 수 있다. 노트 PC나 핸드폰 등의 소형 제품에 적용되는 액정표시장치의 경우에는 쇄기형(wedge) 형상의 도광판(130)이 적용될 수 있으며, 두께가 두꺼운 쪽의 측벽에 광원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가이드(160)는 상기 도광판(130)의 측면부를 감싸는 사각틀 형태로 구성되며, PC 재질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metal)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패널가이드(160)는 기존에는 주로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구조이지만, 액정패널(110)을 지지하는 기능 이외에, 광학시트(120) 및 도광판(130)을 지지 및 고정하는 기능도 한다. 상기 패널가이드(160)는 상기 도광판(130)의 측면부를 감싸는 사각틀 형태 이외에, 2개의 일직선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도광판 (130)의 양 측면부를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패널(110)과 광원부(140) 사이에는 차광 테이프(135)가 개재되어, 상기 광원부(140)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상기 액정표시패널(110) 쪽으로 직접 입사됨으로 인해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해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반사시트(163)는, 상기 도광판(1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광판 (130)의 하부로 출사되는 일부 광을 백라이트 유닛(150)의 출광면으로 반사시켜 광 효율을 높여 주고, 입사광 전체의 반사량을 조절하여 출광면 전체가 균일한 휘도 분포를 가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부커버(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편한 판 형태로 구성된 구조로서, 상기 패널가이드(160)와, 이 패널가이드(160)에 의해 감싸지는 도광판(130) 및 반사시트(163) 하면에 배치되어 이들 구성 요소들과 결합되어 액정표시모듈(100)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커버(170)는 기존의 스텐레스 재질 대신에, 충격 흡수성이 뛰어난 쿠션 아크릴(Cushion Acryl)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기타 충격 흡수성이 양호하고 탄성력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 재질을 포함한 재질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17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개구부(170a)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제품 낙하시에 충격이 상기 하부커버(170)를 통해 제품 내부에 전달되지 않고 다수의 개구부(170a)를 통해 외부로 전파되므로 제품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170a) 형상으로는 삼각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형상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커버(170)는 기존의 하부커버에 구비되었던 4개의 측벽이 제거되어 기존의 하부커버의 두께(t) 만큼의 측면 베젤(Bezel)이 제거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의 베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해 도 6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표시모듈(OLED)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표시모듈(OLED)이 결합된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모듈 (200)은, 화면 케이스(210)와, 상기 화면 케이스(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필름 (230)과, 상기 보호필름(230) 하부에 마련되고,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패널(OLED; 250)과, 상기 표시패널(25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250)을 보호해 주는 하부커버(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면 케이스(210)는 중앙부에 상기 표시패널(250)로부터 구현되는 화상이 보여지도록 개구부(21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210a)의 주변부에는 테두리부(21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250)은 기판(미도시)과 이 기판(미도시) 상에 형성되고 자체 발광 방식으로 구현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미도시) 및 이 유기전계발광소자를 구동시키는 회로부(250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250) 배면에 부착되는 하부커버(270)는, 평편한 판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커버(270)는 기존의 스텐레스 재질 대신에, 충격 흡수성이 뛰어난 쿠션 아크릴(Cushion Acryl)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기타 충격 흡수성이 양호하고 탄성력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 재질을 포함한 재질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27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개구부(270a)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제품 낙하시에 충격이 상기 하부커버(270)를 통해 제품 내부에 전달되지 않고 다수의 개구부(270a)를 통해 외부로 전파되므로 제품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개구부(270a) 형상으로는 삼각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형상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커버(270)는 기존의 하부커버에 구비되었던 4개의 측벽이 제거되어 기존의 하부커버의 두께(t) 만큼의 측면 베젤(Bezel)이 제거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의 베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 예를 들어 소형 모델인 액정표시 모듈(LCM) 또는 유기전계발광장치(OLED)의 디스플레이 구조에서 패널(유리) 제품 보호를 위해 기존에 사용되어왔던 스텐레스 재질의 하부커버 대신에 충격 흡수성을 가진 아크릴 쿠션(Acryl Cushion) 재질의 하부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제품 낙하시에 제품의 충격을 흡수하여 제품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충격 흡수성을 가진 아크릴 쿠션(Acryl Cushion) 재질의 하부커버의 전면에 다수의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제품 낙하시에 충격이 다수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되므로 제품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충격 흡수성을 가진 아크릴 쿠션(Acryl Cushion) 재질의 하부커버는 측면을 삭제한 판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기존의 하부커버의 측벽 두께(t) 만큼의 측면 베젤(Bezel)이 제거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 베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액정표시장치 110: 액정패널
110a: 칼라필터 어레이기판 110b: TFT 어레이기판
113: 구동 드라이버 115: 인쇄회로기판
120: 광학시트 121: 확산시트
123: 프리즘시트 125: 보호시트
130: 도광판 135: 차광 테이프
140: 광원부 141: 발광소자
143: 인쇄회로기판 150: 백라이트유닛
160: 패널 가이드 163: 반사시트
170: 하부커버 170a: 개구부

Claims (5)

  1.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평면 광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패널 측으로 진행시키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측면부를 감싸며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가이드;
    상기 도광판 상에 배치되는 광학시트 및 상기 도광판 배면에 배치된 반사시트; 및
    상기 반사시트 및 패널가이드 하부에 배치되며, 전면에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충격 완화용 재질로 구성된 평편한 판 형태의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재질로는 쿠션 아크릴(Cushion Acryl) 재질을 포함한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들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액정표시모듈(LCM) 및 유기발광표시모듈 (OLE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삼각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형상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삭제
KR20130052653A 2013-05-09 2013-05-09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1485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2653A KR101485781B1 (ko) 2013-05-09 2013-05-09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2653A KR101485781B1 (ko) 2013-05-09 2013-05-09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079A KR20140133079A (ko) 2014-11-19
KR101485781B1 true KR101485781B1 (ko) 2015-01-23

Family

ID=5245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2653A KR101485781B1 (ko) 2013-05-09 2013-05-09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1789B2 (en) 2015-11-19 2018-05-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US10091884B2 (en) 2015-11-18 2018-10-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ed durabi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1801A (zh) * 2017-03-24 2017-06-06 昆山市见兴电子材料有限公司 Led平面光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4040A (ja) * 2001-04-12 2003-01-15 Masao Umemoto 防音・防振材料
KR20090117329A (ko) * 2008-05-09 200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납용기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20013709A (ko) * 2010-08-06 2012-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4040A (ja) * 2001-04-12 2003-01-15 Masao Umemoto 防音・防振材料
KR20090117329A (ko) * 2008-05-09 200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납용기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20013709A (ko) * 2010-08-06 2012-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1884B2 (en) 2015-11-18 2018-10-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ed durability
US9961789B2 (en) 2015-11-19 2018-05-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US10842033B2 (en) 2015-11-19 2020-11-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079A (ko)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0722B2 (en) Display device with a bottom chassis
TWI403802B (zh) 具有改良光導板之背光組件及具有該背光組件之顯示器裝置
US8514347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9810934B2 (en) Display device
JP2016143666A (ja) 表示装置
KR10230360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633125B1 (ko) 표시장치
KR20060122698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 장치
KR10175955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15016878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2194491A (ja) 額縁被覆部材
KR101485781B1 (ko)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170034651A (ko) 표시장치
KR10192937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22623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10120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8498A (ko) 도광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737799B1 (ko) 차광테이프와 이를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83248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12892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957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267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1631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260988B1 (ko) 백라이트 유닛용 반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1753910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