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711B1 -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711B1
KR101485711B1 KR1020130149011A KR20130149011A KR101485711B1 KR 101485711 B1 KR101485711 B1 KR 101485711B1 KR 1020130149011 A KR1020130149011 A KR 1020130149011A KR 20130149011 A KR20130149011 A KR 20130149011A KR 101485711 B1 KR101485711 B1 KR 101485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hair
regulator
seat portion
h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지원
신종훈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4Hat or coat holde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의 측면에 구비된 조절기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기의 회전에 연동하여 일련의 톱니바퀴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중앙부의 최종 톱니바퀴에 고정된 회전판에 부착된 걸이수단이 의자의 착석부 외주부를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방에서 물건을 꺼내기 위해 고개와 허리를 돌려야 하는 신체적 부담을 경감하고, 특히 톱니바퀴 구조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회전판 등의 투명하게 구성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과학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Chair having movable hanger}
본 발명은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의 측면에 구비된 조절기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기의 회전에 연동하여 일련의 톱니바퀴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중앙부의 최종 톱니바퀴에 고정된 회전판에 부착된 걸이수단이 의자의 착석부 외주부를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방에서 물건을 꺼내기 위해 고개와 허리를 돌려야 하는 신체적 부담을 경감하고, 특히 톱니바퀴 구조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회전판 등의 투명하게 구성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과학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실에서 사용되는 책상과 의자는 단순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데, 책상은 다수의 다리와 서랍함이 포함된 상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의자는 다수의 다리로 지지되는 시트부와 이 시트의 후방에 골조를 통해 지지되는 등받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책상 상판의 하부에 구비된 서랍함이나 다리 골조의 일측에는 학생들의 가방을 걸 수 있는 고리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 고리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매거나 들고다니는 가방을 걸어 보관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가방을 책상의 일측에 걸어 보관한 상태에서 수업을 듣게 되면, 책상의 다리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학생의 무릎이나 종아리 부분이 고리에 걸려있는 가방과 밀착되어 학생들이 수업을 받는 과정에서 하체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불편한 자세로 수업을 받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책상의 일측에 구비된 고리에 가방을 걸어 보관하게 되면 학생들의 이동 통로가 되는 책상 사이의 공간이 협소해져 불편하고, 이동할 경우 가방을 발로 차게되어 가방이 더러워지거나 가방 안의 물품이 파손될 수 있으며, 가방에 걸려서 학생이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런 문제 때문에 의자의 등받이 부분에 가방을 걸 수 있도록 고안된 발명이 다수 소개되어 있는데, 그 중의 하나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164호의 "걸이수단이 구비된 학생용 의자"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의자의 등받이 상부에 걸이홈을 형성하거나, 등받이의 후면에 걸이고리를 부착하여 여기에 가방의 어깨 줄을 걸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등록실용신안을 포한한 대부분의 종래기술은 의자의 등받이에 걸이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데, 걸이수단은 그 장착된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의자 후면의 여유공간 유무에 따라서는 걸이수단을 사용하기 곤란한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의자에 구비되는 걸이수단은 등받이의 후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학생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등 뒤에 있는 가방 안에서 물건을 꺼내기 위해서는 고개와 허리를 많이 비틀어야 하는 신체적 부담이 생긴다는 문제도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164호
본 발명은 종래 등받이의 후면에 고정적으로 위치된 걸이수단을 회전식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만듦으로써, 의자 후면의 여유공간의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고 걸이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고개나 허리에 가해지는 신체적 부담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학생이 사용하는 경우 회전식 걸이수단의 구동 메커니즘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만듦으로써 지루해지기 쉬운 학생들의 과학적 흥미와 호기심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또 하나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를 지탱하는 다리부 및 상기 시트부의 후방에 세워진 등받이부를 구비하는 의자로서, 상기 시트부의 외주를 따라 원호상으로 이동하는 걸이수단을 구동시키는 걸이수단 구동부가 상기 다리부와 시트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걸이수단 구동부는 그 측면으로 돌출된 조절기 및 상기 조절기와 일련의 기어수단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기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걸이수단이 원호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걸이수단 구동부는, 상기 조절기의 회전축과 교차하면서 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입력축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의 회전축에 구비된 제1 입력기어가 상기 입력축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2 입력기어와 치합되어 연동되는 입력부;와, 상기 제2 입력기어와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종동기어와 연동하는 출력기어가 상기 걸이수단 구동부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기어 위에 고정된 회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회전판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름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회전판상에 직립 고정되고,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시트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등받이부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이수단 구동부의 하면은 상기 다리부로, 상면은 상기 시트부로 밀폐되고, 측면은 벽부재로 밀폐되되 상기 조절기는 상기 벽부재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 또는 상기 시트부 및 회전판의 재질은 투명소재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벽부재의 재질도 투명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는 의자의 측면에 구비된 조절기를 이용하여 걸이수단의 위치를 적절한 지점으로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의자의 등받이부에 가방을 걸었을 때처럼 가방에서 물건을 꺼내기 위해 고개와 허리를 돌려야 하는 신체적 부담이 크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이수단 구동부를 구성하고 있는 각종 톱니바퀴 구조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회전판이나 벽부재 등의 구성을 투명재질로 만듦으로써 지루해지기 쉬운 학생들의 과학적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를 주요 구성으로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걸이수단 구동부에 대한 상세 구조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를 주요 구성으로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걸이수단 구동부에 대한 상세 구조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부(100)와, 상기 시트부(100)를 지탱하는 다리부(200) 및 상기 시트부(100)의 후방에 세워진 등받이부(300)를 구비하는 의자(10)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시트부(100)의 외주를 따라 원호상으로 이동하는 걸이수단(46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하는 걸이수단(460)은 다리부(200)와 시트부(100) 사이에 배치된 걸이수단 구동부(400)에 의해 구동되는데, 사용자는 걸이수단 구동부(400)의 측면으로 돌출된 조절기(41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절기(411)의 회전에 연동되는 걸이수단(460)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으며, 이는 마치 손목시계에서 태엽을 감는 꼭지인 용두(龍頭)를 돌려서 시계 바늘을 수동으로 움직이는 것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바로 걸이수단 구동부(400) 및 이에 의해 구동되는 걸이수단(460)에 있는 것인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걸이수단 구동부(4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수단 구동부(400)는 그 측면으로 돌출된 조절기(411) 및 상기 조절기(411)와 일련의 기어수단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회전판(440)을 포함하고 있으며, 걸이수단(460)은 상기 회전판(440)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조절기(411)의 회전조작에 의해 돌아가는 회전판(440)의 움직임에 의해 원호상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절기(411) 및 회전판(440)의 기어 연결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이 외에도 다른 방식의 기어 연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이수단 구동부(400)는 크게 보았을 때, 조절기(411)의 수평방향의 축회전을 수직방향의 축회전으로 변환시키는 입력부(410)와, 회전판(440)을 회전시키는 출력부(430)와, 거리상으로 떨어져 있는 입력부(410)와 출력부(430)를 연결시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20)로 나눌 수 있다.
입력부(410)는 조절기(411)의 회전축(412)과 교차하면서 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입력축(415)을 포함하고 있으며, 조절기(411)의 회전축(412)에 구비된 제1 입력기어(413)는 입력축(415)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2 입력기어(416)와 치합되어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입력기어(416)가 3개의 기어로 구성되어 있는데, 조절기(411)의 제1 입력기어(413)와 수직한 방향으로 직접 치합되는 제2-1 입력기어(416-1)와, 제2-1 입력기어(416-1)와 동축상에서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도록 상호 고정 연결되어 있되 제2-1 입력기어(416-1)의 아래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2 입력기어(416-2), 그리고 입력축(415)상에서 옆으로 뻗어나온 암(417)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제2-2 입력기어(416-2)와 치합된 제2-3 입력기어(416-3)로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제2 입력기어(416)를 3개의 기어로 구성한 것은 직경이 큰 동력전달부(420)의 종동기어(422)가 걸이수단 구동부(400)의 외곽 바깥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그 중심축을 안쪽에 배치하게 됨에 따라 입력부(410)의 조절기(411)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동력전달부(420)는 제2 입력기어(416), 특히 제2-3 입력기어(416-3)와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기어(422,4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입력기어(416)에 직접 치합되는 제1 종동기어(422)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하고 있는데, 만일 제2-3 입력기어(416-3)와 제1 종동기어(422)의 기어 이빨의 너비를 동일하게 만들어 직접 치합시키면 감속비가 너무 커져서 조절기(411)를 상당히 많이 돌려야만 걸이수단(460)이 원하는 만큼 움직이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종동기어(422)를 동심축 상에서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는 두 겹의 기어로 구성하고, 위에 위치한 상부 종동기어(422-1)는 제2-3 입력기어(416-3)와 동일한 이 너비 및 직경을 가져 직접 치합시키고, 아래에 위치한 하부 종동기어(422-2)는 직경과 이 너비가 더 크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 하나의 종동기어인 제2 종동기어(424)를 제1 종동기어(422)의 하부 종동기어(422-2)에 연결시켰는데, 걸이수단 구동부(400)의 전체 크기나 감속비 등을 고려하여 종동기어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출력부(430)는 동력전달부(420)의 종동기어(422,424)와 연동하는 출력기어(432)를 포함하는데, 걸이수단(460)의 회전반경을 시트부(100)의 외주를 따르는 정도로 만들기 위해서는 출력기어(432)가 걸이수단 구동부(40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입력부(410)의 조절기(411)가 회전하게 되면 일련의 기어회전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출력부(430)의 출력기어(432)가 회전하게 되며, 출력기어(432) 위에 고정된 회전판(440) 및 걸이수단(46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판(440)에 고정된 걸이수단(460)에 가방 등의 물건을 걸어놓으면 회전판(440)이 하중을 받아 걸이수단(460) 쪽으로 기울어져 회전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걸이수단 구동부(400)에 회전판(440)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름수단(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름수단(450)은 구름 베어링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방향에 제한이 없는 볼이 출력기어(432)를 중심으로 삼각형을 이루는 배치 구성을 적용하였다.
한편, 걸이수단(460)은 가방 등을 걸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 일례로서 본 발명은 걸이수단(460)이 회전판(440)상에 직립 고정되면서 시트부(10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110)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구성하였다.
걸이수단(460)의 높이는 등받이부(300)의 높이 정도로 돌출되며, 시트부(10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110)에 의해 원호상의 회동 운동이 원활하게 가이드되는데, 사용자가 시트부(100)에 착석했을 때 걸이수단(460)과 접촉하지 않도록 가이드홈(110)은 등받이부(30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이수단 구동부(400)의 하면은 다리부(200)로, 상면은 시트부(100)로 밀폐되는데, 특히 측면을 별도의 벽부재(470)로 밀폐함으로써 각종 기어가 장치된 걸이수단 구동부(400)의 내부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조절기(411)는 벽부재(47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시트부(100) 또는 상기 시트부(100) 및 회전판(440), 더 나아가 벽부재(470)의 재질은 투명 강화플라스틱과 같은 투명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걸이수단 구동부(400)의 기어 메커니즘이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걸이수단 구동부(400) 내부의 기어 메커니즘은 지루해지기 쉬운 학생들의 과학적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시킬 수 있어 교육적인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10)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의자 100: 시트부
110: 가이드홈 200: 다리부
300: 등받이부 400: 걸이수단 구동부
410: 입력부 411: 조절기
412: 회전축 413: 제1 입력기어
415: 입력축 416: 제2 입력기어
416-1: 제2-1 입력기어 416-2: 제2-2 입력기어
416-3: 제2-3 입력기어 417: 암
420: 동력전달부 422: 제1 종동기어
422-1: 상부 종동기어 422-2: 하부 종동기어
424: 제2 종동기어 430: 출력부
432: 출력기어 440: 회전판
450: 구름수단 460: 걸이수단
470: 벽부재

Claims (8)

  1.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를 지탱하는 다리부 및 상기 시트부의 후방에 세워진 등받이부를 구비하는 의자이고,
    상기 시트부의 외주를 따라 원호상으로 이동하는 걸이수단을 구동시키는 걸이수단 구동부가 상기 다리부와 시트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걸이수단 구동부는 그 측면으로 돌출된 조절기 및 상기 조절기와 일련의 기어수단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기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걸이수단이 원호상으로 이동되고,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회전판상에 직립 고정되고,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시트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 구동부는,
    상기 조절기의 회전축과 교차하면서 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입력축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의 회전축에 구비된 제1 입력기어가 상기 입력축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2 입력기어와 치합되어 연동되는 입력부;
    상기 제2 입력기어와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의 종동기어와 연동하는 출력기어가 상기 걸이수단 구동부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기어 위에 고정된 회전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등받이부의 외측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 구동부의 하면은 상기 다리부로, 상면은 상기 시트부로 밀폐되고, 측면은 벽부재로 밀폐되되 상기 조절기는 상기 벽부재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
  7.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 또는 상기 시트부 및 회전판의 재질이 투명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재의 재질이 투명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
KR1020130149011A 2013-12-03 2013-12-03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 KR101485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11A KR101485711B1 (ko) 2013-12-03 2013-12-03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11A KR101485711B1 (ko) 2013-12-03 2013-12-03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711B1 true KR101485711B1 (ko) 2015-01-22

Family

ID=5259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011A KR101485711B1 (ko) 2013-12-03 2013-12-03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245B1 (ko) 2020-03-03 2020-08-25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가방걸이 장착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363A (ja) * 1994-09-21 1996-04-09 Nifco Inc ハンガ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363A (ja) * 1994-09-21 1996-04-09 Nifco Inc ハンガ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245B1 (ko) 2020-03-03 2020-08-25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가방걸이 장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3682A (en) Infant exerciser and activity center
CN203953014U (zh) 具有储物和健身功能的翻转式沙发
JPH04367622A (ja) 座起立式椅子
KR101485711B1 (ko) 회전식 걸이수단이 구비된 의자
US8398049B2 (en) Multi-functional infant care and organize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N203662332U (zh) 坐姿矫正椅
CN204260286U (zh) 一种用于影院座椅的可调节杯架装置
CN105476332A (zh) 具有支撑放置装置的沙发体
JP3138681U (ja) 高度調整可能な360度旋転椅子
CN204105496U (zh) 摇摆提篮
CN209573804U (zh) 一种可调节的课桌椅
CN105686469A (zh) 一种侧面具有阅读台的沙发
CN208286927U (zh) 一种折叠淋浴坐便椅
CN107693297B (zh) 一种智能按摩椅
CN206933825U (zh) 扶手可以多角度摆动的座椅
CN201696840U (zh) 电脑支架
CN203969866U (zh) 成人儿童两用餐椅
CN211300775U (zh) 一种医用折叠床
CN210748218U (zh) 一种移动办公椅
GB2503453A (en) Baby rocking and multifunctional device
CN213192470U (zh) 一种游乐转椅
CN205568455U (zh) 一种座椅靠背可调的儿童餐椅
CN205547901U (zh) 一种可翻转的餐桌
CN201164258Y (zh) 儿童旋转椅
CN209186074U (zh) 一种随时固定相对位置的办公室转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