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484B1 -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484B1
KR101485484B1 KR1020140072841A KR20140072841A KR101485484B1 KR 101485484 B1 KR101485484 B1 KR 101485484B1 KR 1020140072841 A KR1020140072841 A KR 1020140072841A KR 20140072841 A KR20140072841 A KR 20140072841A KR 101485484 B1 KR101485484 B1 KR 101485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mobile terminal
module
wireless
wireless 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동주
조규훈
문길종
이수정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보호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보호시스템(주) filed Critical 한국정보보호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40072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by monitoring network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위헙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액세스 포인트와 모바일 단말 간의 통신이 통신이 수행되는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 모듈;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모바일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는 채널을 간헐적으로 스캔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모바일 단말기 간에 송수신 되는 패킷을 수집하는 무선랜 모듈; 상기 패킷을 분석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시도되는 공격을 감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액세스 포인트 제어 패킷을 전송하는 유선 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DEVICE HAVING DETACHABLE WIRELESS LAN MODULE}
본 발명은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헙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환경에 따라 착탈 가능한 무선랜 모듈 및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공격(Over the Air, OTA)을 시도하는 단말을 특정할 수 있는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과 보급으로 네트워크 환경은 점차 거대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어 그 형태는 계속 복잡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대의 네트워크 환경은 편리함이 가속되는 반면, 무선통신을 통해 해킹 등의 시스템 침입이나 바이러스 등과 같은 문제도 같이 가속되고 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환경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보안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를 위해 백신, 방화벽이나 침입탐지 시스템 등의 네트워크 보안 기술이 다양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무선통신의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통한다. 즉, 모바일 단말기는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그런데,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무선 트래픽을 전송하거나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침입하는 해킹 정보 등은 필터링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 네트워크 보안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다른 모바일 단말기 자체 내에서 네트워크 보안을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위험이 있는 패킷을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된 것을 파악한다고 하더라도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할 뿐, 해당 모바일 단말기가 어디에 있는지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알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무선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종래 기술에는 "무선 네트워크 보안 방법 및 무선침입방지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19892호)이 있으나, 종래 기술에서는 맥 어드레스 변조를 통한 공격 및 공격시도를 미연에 차단하는 구성까지는 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서, 무선 환경에 따라 착탈 가능한 무선랜 모듈 및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공격(Over the Air, OTA)을 시도하는 단말을 특정할 수 있는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와 모바일 단말 간의 통신이 통신이 수행되는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 모듈;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모바일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는 채널을 간헐적으로 스캔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모바일 단말 간에 송수신 되는 패킷을 수집하는 무선랜 모듈; 상기 패킷을 분석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시도되는 공격을 감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액세스 포인트 제어 패킷을 전송하는 유선 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격이 스푸핑 공격일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 간의 통신 채널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푸핑 공격이 포함된 패킷을 전송한 모바일 단말의 패킷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 모듈은 지향성 안테나의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지향성 안테나의 지향 방향이 상기 엑세스 포인트의 지향 방향과 다른 방향이 되도록 상기 지향성 안테나의 방향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무선랜 모듈은 802.11 통신용 모듈, 3G 통신 모듈 내지 LTE 통신 모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는 채널 스캐닝을 통하여 공격이 시도되는 채널을 상시 감시할 수 있으며, 공격이 감지되는 즉시 AP에서 서비스 제공 채널을 전환하도록 요청하므로 공격으로부터 네트워크를 에 연결된 단말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모듈은 지향성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므로, 모바일 단말과 액세스 포인트 간에 수행되는 패킷 송수신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채널 스캔 및 패킷 수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무선랜 모듈은 802.11 통신용 모듈, 3G 통신 모듈 내지 LTE 통신 모듈 중에서 선택되므로 모듈 교환만으로 별도의 장비를 추가하지 않아도 각 통신 방식의 무선 위험을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의 블록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100)는 무선랜 모듈(110), 안테나 모듈(120), 제어부(130) 및 유선 포트부(140)를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300)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200)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네트워크에 접속한 각 모바일 단말(200)에 IP를 제공하여 모바일 단말(200)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무선랜 모듈(110)은 액세스 포인트(300)와 모바일 단말(200) 간의 통신이 수행되는 채널을 간헐적으로 스캔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모바일 단말(200) 간에 송수신 되는 패킷을 수집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랜 모듈(110)은 802.11 통신용 모듈, 3G 통신 모듈 내지 LTE 통신 모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20)은 액세스 포인트(300)와 모바일 단말(200) 간의 통신이 통신이 수행되는 주파수 대역을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모듈(120)은 지향성 안테나의 어레이로 이루어지며, 지향성 안테나의 방향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지향성 안테나의 지향 방향이 엑세스 포인트의 안테나가 지향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이 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모듈(120)은 가변형 안테나를 포함한다. 802.11 통신용 모듈, 3G 통신 모듈 내지 LTE 통신 모듈 중에서 선택된 무선랜 모듈(110)의 사용 주파수에 맞는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10)은 사용되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안테나 모듈(120)에 포함된 적절한 안테나를 사용한다.
단, 필요에 따라 안테나 모듈(120)은 지향성 안테나를 제거하고 외부 안테나를 연결할 수 있다. 안테나에 교체에 장착에 따라 수진 범위를 최소 50M에서 수KM까지 연장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모바일 단말(200) 간의 송수신되는 패킷을 분석하여 액세스 포인트(300)로 시도되는 공격을 감지한다.
유선 포트부(140)는 Gbps 대역을 지원하는 랜포트, USB 포트 내지 광케이블 연결 포트를 포함한다. 유선 포트부(140)는 필요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300)에 랜포트를 통하여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유선 포트부(140)를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300)로 액세스 포인트 제어 패킷을 전송하여 액세스 포인트(30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패킷 분석에 의해 감지된 공격이 스푸핑 공격일 경우 액세스 포인트(300)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200) 간에 수행되는 통신 채널을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무선 랜 모듈(110)로부터 패킷을 전달받아 분석하여 공격을 감지한다. 패킷 수집은 채널 스캐닝에 의해 수행된다. 즉, 현재 액세스 포인트(300)에서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채널뿐만 아니라 모든 채널을 스캐닝 하여 패킷을 수집하여 수집된 패킷이 공격을 위한 패킷인지 감시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된 패킷에 대한 감시는 패킷을 완전히 파싱(parsing)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며, 패킷의 헤더(header)만을 분석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패킷에는 모바일 단말(200)의 정보, 개인정보나 다양한 데이터가 포함되는데, 패킷의 헤더에는 중요한 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단지, 헤더에는 패킷의 출발지 및 목적지 IP주소, 페이로드의 포맷을 지배하는 통신 프로토콜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부(130)가 패킷을 파싱하여 분석을 통해 모바일 단말(200)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제어부(130)에서 수집하는 모바일 단말(200)의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종류, IP주소, MAC 주소 및 모바일 단말기(200)의 신호세기에 따른 모바일 단말(200)의 대략적인 위치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에서는 모바일 단말(200)의 정보와 더불어 모바일 단말(200)에서 어떤 데이터를 전송하는지도 확인한다.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에 어떤 위험요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기 설정된 정책과 비교를 통해 패킷의 위험요소가 있는지 확인한다. 위험요소를 판별하는 정책은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되며, 제어부(130)는 저장부에 저장된 정책과 비교하여 해당 패킷에 위험요소가 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의 패킷을 파싱하여 분석을 통해 무선위협 분석과 프로토콜 공격분석을 한다. 무선위협 분석은 ARP 스푸핑(arp spoofing), 맥 스푸핑(Mac spoofing), 비인증 액세스 포인트(rogue Access Point, rogue AP), 안티 스텀블럭(anti-stumbler)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토콜 공격 분석 프로토콜 공격분석은 플러딩 상황(a flooding situation)을 이용한 방법, 포트 스캔(port scan)을 이용하는 방법, 분할(Fragmentation)을 이용하는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지향성 안테나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수신되는 패킷의 방향 및 신호 세기를 기초로하여 액세스 포인트(300) 및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100)의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제3 위치에서 각각 지양성 안테나를 360도 회전시켜 수신되는 패킷의 방향 및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액세스 포인트(300) 및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감지된 무선 네트워크의 채널 및 각 모바일 단말과 액세스 포인트 간의 연결 상태 현황(암호화 여부, 사용 채널, SSID 정보를 포함)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신호 감쇠와 손실율을 측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된 패킷의 신호 세기를 바탕으로 하여 측정 위치로부터의 액세스 포인트의 거리, 모바일 단말과의 거리 및 위치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측정 지점의 무선 환경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는 장비 구동을 위한 베터리를 내장하여 상용 전원 공급이 불가한 장소에서도 무선 위험에 대해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방수, 방열, 방진, 방습 슈트 케이스를 이용하여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는 PC 연결용 포트 및 전용 분석 소프트웨를 포함하여 PC 분석을 통하여 공격에 대해 상세한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개시된 기술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무선 위헙 분석 장치
110 : 랜 모듈
120 : 안테나 모듈
130 : 제어부
140 : 유선 포트부
200 : 모바일 단말
300 : 액세스 포인트

Claims (6)

  1. 액세스 포인트와 모바일 단말 간의 통신이 통신이 수행되는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 모듈;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모바일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는 채널을 간헐적으로 스캔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모바일 단말기 간에 송수신 되는 패킷을 수집하는 무선랜 모듈;
    상기 패킷을 분석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시도되는 공격을 감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액세스 포인트 제어 패킷을 전송하는 유선 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격이 스푸핑 공격일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 간의 통신 채널을 변경하도록 제어하고,
    스푸핑 공격이 포함된 패킷을 전송한 모바일 단말의 패킷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지향성 안테나의 어레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향성 안테나의 지향 방향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지향 방향과 다른 방향이 되도록 상기 지향성 안테나의 방향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모듈은 802.11 통신용 모듈, 3G 통신 모듈 내지 LTE 통신 모듈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
KR1020140072841A 2014-06-16 2014-06-16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 KR101485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841A KR101485484B1 (ko) 2014-06-16 2014-06-16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841A KR101485484B1 (ko) 2014-06-16 2014-06-16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484B1 true KR101485484B1 (ko) 2015-01-23

Family

ID=5259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841A KR101485484B1 (ko) 2014-06-16 2014-06-16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4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611B1 (ko) * 2015-12-30 2017-01-03 한국정보보호시스템(주) 메인 보드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22594B1 (ko) * 2016-11-25 2018-11-29 (주)휴네시온 상태정보 모니터링을 통해 상태를 탐지하는 유무선 공유기, 유무선 공유기의 상태 탐지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6125A (ko) * 2010-03-22 2011-09-2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통신망을 운용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9909B1 (ko) * 2011-12-16 2013-07-30 (주)시큐리티존 일체형 침입차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6125A (ko) * 2010-03-22 2011-09-2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통신망을 운용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9909B1 (ko) * 2011-12-16 2013-07-30 (주)시큐리티존 일체형 침입차단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611B1 (ko) * 2015-12-30 2017-01-03 한국정보보호시스템(주) 메인 보드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22594B1 (ko) * 2016-11-25 2018-11-29 (주)휴네시온 상태정보 모니터링을 통해 상태를 탐지하는 유무선 공유기, 유무선 공유기의 상태 탐지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365B2 (en) Automated sniffer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ecurity
US7339914B2 (en) Automated sniffer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computer systems for unauthorized access
US7970894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of wireless devices in local area computer networks
WO2004092924A2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 wireless access device in a wireless network
CN104852894A (zh) 一种无线报文侦听检测方法、系统及中控服务器
EP2923476B1 (en) Intrusion prevention and detection in a wireless network
KR20070054067A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침입탐지 및 차단방법
KR101447469B1 (ko) 무선 침입 방지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패킷을 이용한 공격의 방어 및 제어 방법
CN106878992B (zh) 无线网络安全检测方法和系统
KR101485484B1 (ko) 무선랜 모듈 착탈식 이동형 무선 위험 분석 장치
US11330438B2 (en) Active base providing local man-in-the-middle firewall
WO20100271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wireless lan intrusion
KR100874015B1 (ko) 무선랜 침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7251457B1 (en) Wireless network perimeter security system using overlaying radio frequency signals
CN106851646A (zh) 一种wifi接入安全检测方法及装置、wifi接入系统
KR101557857B1 (ko) 무선침입방지시스템의 탐지장치
Budhrani et al.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Threats and Their Discovery Using WLANs Scanning Tools
KR101335293B1 (ko) 내부 네트워크 침입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Issac et al. The art of war driving and security threats-a Malaysian case study
KR101691611B1 (ko) 메인 보드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침입 방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ccadito et al. Investigating encrypted ieee 802.15. 4 and digimesh communications for small unmanned systems
Kim et al. A mobile device-based mobile AP detection scheme using NAT behavior
Poljak et al. Security and privacy in an IT context—A low-cost WIDS employed against MITM attacks (concept)
Al Musalam et al. An Assessment of Wi-Fi 5 and 6 and its Effects on Location Tracking
Tang et al. Wireless Intrusion Detection for defending against TCP SYN flooding attack and man-in-the-middle att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