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010B1 - 네크워크 내에서의 라이브 콘텐츠 보호 - Google Patents

네크워크 내에서의 라이브 콘텐츠 보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010B1
KR101485010B1 KR20097023358A KR20097023358A KR101485010B1 KR 101485010 B1 KR101485010 B1 KR 101485010B1 KR 20097023358 A KR20097023358 A KR 20097023358A KR 20097023358 A KR20097023358 A KR 20097023358A KR 101485010 B1 KR101485010 B1 KR 101485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cquisition point
access
consuming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23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6358A (ko
Inventor
알라인 두란드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0001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시스템 내에서 라이브 콘텐츠를 보호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콘텐츠(CNT)를 수신하는 획득 포인트(120)가 그것을 레코딩 디바이스(130) 및 렌더링 디바이스(11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100) 내에서 배포한다. 콘텐츠는 라이센스(CL)와 연관되는데, 라이센스는 콘텐츠 식별자와, 전송 획득 포인트의 식별정보(APID)를 포함한다. 콘텐츠가 라이브인 경우, 라이센스는 콘텐츠가 "라이브 보호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콘텐츠 및 그것의 라이센스를 수신하는 렌더링 디바이스는 그것이 콘텐츠를 렌더링할 수 있는지를 라이센스 내에 나타난 획득 포인트에 묻는다(208). 콘텐츠가 라이브가 아닌 경우 예컨대, 그것이 추후에 재생되는 경우, 허가가 제공된다. 획득 포인트는 또한 동시 시청 수를 나타내는 카운터를 저장한다. 이 수가 요청이 수신될 때의 최대 시청 수와 동일한 경우, 획득 포인트는 디바이스가 콘텐츠에 액세스하고 있는지를 모든 디바이스에 물어서 카운트가 정확한지를 체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요청 디바이스로의 액세스를 허가한다.

Description

네크워크 내에서의 라이브 콘텐츠 보호{PROTECTING LIVE CONTENT IN A NETWOR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디지털 매체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홈 네트워크 내의 콘텐츠 보호에 대한 것이다.
이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 및/또는 주장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과 관계있 는 해당 기술의 다양한 측면을 독자에게 소개하도록 의도된다. 본 논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독자에게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유익하다고 여겨진다. 이로써, 이러한 진술이 이러한 관점에서 읽혀져야 하며, 종래 기술의 승인으로서 읽혀져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디지털 매체 시스템에서 라이브 콘텐츠와 레코딩된 콘텐츠 사이에서 구별할 수 있는 것이 종종 유용하다. 이것에 대한 예시적인 이유는, 예컨대 디지털 비디오 방송 복제 방지 (DVB) 그룹에 의해 정의된 요건 내에서, 근접 제어가 콘텐츠에 영원히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미리결정된 조건이 충족될 때는 완화되기 때문이다. 제1 가능한 조건은 근접 제어가, 콘텐츠가 더 이상 라이브가 아닌 경우 완화되는 것이다. 제2 가능한 조건은 라이브 방송 뒤에 정해진 양의 시간 이후에 완화되는 것이다. 제3 가능한 조건은 정해진 날짜에 완화되는 것이다. 그러나, 제1 및 제3 조건은 제2 조건의 테마 상의 변화(variation)로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정해진 양의 시간은 제1 조건에 대해 0이고, 시간이 언제이든지 간에 제3 조건을 위한 날짜에 도달할 필요가 있다. 그밖의 예시적인 조건은 조건부이다; 근접 제어는 예컨대 사용자가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해 추가로 지불한 경우, 사용자가 일정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경우, 또는 일정한 콘텐츠가 방송되자마자 완화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는 콘텐츠의 동시 소비의 수의 제한이다. DVB 그룹에서, 이러한 제한은 단지 라이브 콘텐츠에 요구되며, 콘텐츠가 더 이상 라이브가 아닌 경우 완화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내에서 라이브 콘텐츠와 레코딩된 콘텐츠 사이를 구별하는 한 가지 방법은 수신하고 있는 콘텐츠가 저장 디바이스 - 레코딩된 콘텐츠 - 로부터 나오는지 또는 콘텐츠가 홈 네트워크에 진입하는 디바이스인 획득 포인트 - 라이브 콘텐츠 - 로부터 나오는지를 렌더링 디바이스가 결정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저장 디바이스가 소위 트릭 모드 예컨대, 짧은 지연 후에 라이브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을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렌더링 디바이스는 콘텐츠가 레코딩되어 있다고 여기도록 유도되나, 그것은 실제로, 적어도 획득 포인트가 콘텐츠를 보급하는 한 라이브 콘텐츠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트릭 모드는 근접 제어를 위한 간단한 우회(circumvention) 도구이다; 사용자는 단지, 제어를 우회(bypass)하기 위해 5초의 지연을 가지고 콘텐츠를 시청해야 한다.
WO 2006/082130은 "트릭-모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개시하는데, 위 공보에 서 소비 디바이스는 콘텐츠가 라이브인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메시지를 방송한다. 획득 포인트가 응답하면, 콘텐츠는 라이브로 간주될 것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 레코딩되어 있다고 간주될 것이다. 해당 해결책으로의 가능한 우회는 콘텐츠의 제1 부분을 레코딩하고(예컨대, 30분) 그후 제2 레코딩 디바이스 상에 레코딩하기 시작하고, 제1 레코딩 디바이스 및 소비 디바이스를 네트워크로부터 연결해제하고 콘텐츠의 제1 부분을 실행한다. 30분 후에, 제2 레코딩 디바이스를 연결해제하고 제1 레코딩 디바이스를 재연결하고 그 위에 계속해서 레코딩할 수 있다. 제2 레코딩 디바이스는 그후 그 위에 레코딩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된다. 소비 디바이스는 WO 2006/082130의 해결책을 이용해도, 결코 획득 포인트에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콘텐츠는 레코딩 디바이스가 여전히 그것을 레코딩하는 동안 라이브로 더 이상 간주되지 않는다.
따라서, 렌더링 디바이스가 라이브 콘텐츠와 레코딩된 콘텐츠 사이에서 구별하게 하는 해결책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는 것이 인식될 수 있는데, 이는 트릭 모드가 사용될 때 또는 콘텐츠가 다수의 레코딩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레코딩될 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그러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소비 디바이스 및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도록 적응된 디지털 네트워크 내의 획득 포인트에 대한 것이다. 획득 포인트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내의 보호된 콘텐츠를 방송하도록; 획득 포인트의 식별자, 보호된 콘텐츠에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키, 및 콘텐츠가 그것의 렌더링을 위한 특별한 제한에 종속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라이센스를 저장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청을 소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그리고 응답을 소비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적응되되, 응답은 획득 포인트가 더 이상 콘텐츠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제1 종류이고 획득 포인트가 여전히 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제2 종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종류의 응답은 새로운 콘텐츠 라이센스이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종류의 응답은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 및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허가하지 않는 거부 중 하나이다.
획득 포인트가,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가 전송된 소비 디바이스의 식별정보(identity)를 저장하도록 적응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가, 획득 포인트가 여전히 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가 전송된 디바이스의 수가 미리결정된 수보다 더 작은 경우에,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를 전송하도록 더 적응되는 것이 유리하다. 프로세서는, 허가가 전송된 소비 디바이스의 수가 미리결정된 수와 동일한 경우에 더 적응되는 것이 이로운데: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모든 소비 디바이스가 응답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방송하도록; 소비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응답의 생성기(originator)가 콘텐츠에 액세스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수신된 응답의 수가 미리결정된 수보다 더 작은 경우에,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를 요청하는 소비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더 적응되는 것이 이롭다.
획득 포인트는, 그것이 여전히 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요청하는 소비 디바이스와 근접 테스트를 수행해서, 렌더링 디바이스가 로컬인 경우에 허가를 전송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디지털 네트워크 내의 소비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다. 소비 디바이스는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또는 콘텐츠를 내보내기 위한 유닛; 및 프로세서로서, 디지털 네트워크 내의 저장 디바이스에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도록; 콘텐츠를, 그리고 획득 포인트의 식별자 및 콘텐츠가 그것의 소비를 위한 특별한 제한에 종속된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대응하는 콘텐츠 라이센스를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 포인트에 전송하도록; 그리고 획득 포인트로부터의 응답이 소비가 허용된다고 나타내는 경우에 콘텐츠를 소비하도록 적응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은 획득 포인트, 소비 디바이스, 및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내의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획득 포인트는, 네트워크 내의 보호된 콘텐츠를 방송하고; 획득 포인트의 식별자, 보호된 콘텐츠에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키, 및 콘텐츠가 그것의 렌더링을 위한 특별한 제한에 종속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라이센스를 저장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청을 소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응답을 소비 디바이스에 전송하는데, 응답은 획득 포인트가 더 이상 콘텐츠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제1 종류이고 획득 포인트가 여전히 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제2 종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종류의 응답은 새로운 콘텐츠 라이센스이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종류의 응답은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 및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허가하지 않는 거부 중 하나이다.
획득 포인트는 허가가 전송된 소비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방법은, 획득 포인트가 여전히 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가 전송된 소비 디바이스의 수가 미리결정된 수보다 더 작은 경우에,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가 전송된 소비 디바이스의 수가 미리결정된 수와 동일한 경우에, 획득 포인트는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모든 소비 디바이스가 응답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방송하고; 소비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응답의 생성기(originator)가 콘텐츠에 액세스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수신된 응답의 수가 미리결정된 수보다 더 작은 경우에,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를 요청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이 이롭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획득 포인트가 여전히 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획득 포인트는 요청하는 소비 디바이스와 근접 테스트를 수행해서, 소비 디바이스가 로컬인 경우에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를 전송한다.
제4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디지털 네트워크 내의 콘텐츠 소비 방법에 대한 것이다. 소비 디바이스가 디지털 네트워크 내의 저장 디바이스에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고; 콘텐츠를, 그리고 획득 포인트의 식별자 및 콘텐츠가 그것의 소비를 위한 특별한 제한에 종속된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대응하는 콘텐츠 라이센스를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 포인트에 전송하고; 획득 포인트로부터의 응답이 소비가 허용된다고 나타내는 경우에 콘텐츠를 소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예로써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되는 예시적인 디지털 네트워크를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신호 흐름도를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의 신호 흐름도를 예시하는 도면.
도 1은, 유리하게는 사용자의 홈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디지털 네트워크(100, 시스템으로도 불림)를 예시하는데, 이 네트워크 내에서 본 발명이 사용된다. 네트워크(100)는 렌더링 디바이스(RD, 100), 획득 포인트(AP, 120)(액세스 디바이스로도 불림), 및 저장 디바이스(SD, 130)를 포함하며, 예시적인 연결(140), 이를테면 예컨대 이더넷 연결을 통해 연결된다. 렌더링 디바이스(110), 획득 포인트(120), 및 저장 디바이스(130)는 각각 메시지를 수신 및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서(111, 121, 131)를 포함한다. 렌더링 디바이스(110)는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유닛(112), 이를테면 예컨대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저장 디바이스(130)는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132)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100)는 프로세서(151)를 구비하는 내보내기(export) 포인트(150)를 더 포함하며, 내보내기 포인 트는 제2 연결부(155)를 통해 또 하나의 네트워크(미도시)에 콘텐츠를 내보내기 위해 적응된다. 설명 및 청구항에서, "소비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렌더링 디바이스 및 내보내기 포인트를 위한 일반적인 표현으로서 채용될 수 있다.
어느정도 단순화시키는 경우, 네트워크(100)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획득 포인트(120)가 제3 연결부(105)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CNT)를 수신하고, 스크램블링 키를 이용해서 그것을 스크램블링함으로써 콘텐츠를 보호하며, 콘텐츠를 위한 스크램블링 키를 포함하는 대응하는 콘텐츠 라이센스를 생성하고, 네트워크(100)를 통해 콘텐츠를 저장 디바이스(130), 내보내기 포인트(150), 및 렌더링 디바이스(110)에 방송하며, 이 렌더링 디바이스에서 콘텐츠는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해질 수 있다. 네트워크(100)가 추가적인 렌더링 디바이스, 레코딩 디바이스 및 내보내기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은 명료하게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되지 않는다.
콘텐츠(CNT)가 단지 "라이브"로 시청되는 것 즉, 콘텐츠가 획득 포인트(120)에 의해 예컨대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여전히 수신되어 네트워크(140) 상에서 전달되는 것, 및 "트릭 플레이"를 이용해서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것이 요구될 때, 콘텐츠를 동반하는 콘텐츠 라이센스가 그에 따라 마킹되어, 획득 포인트(120)가 그러한 콘텐츠를 인식하고, 또한 그것이 획득 포인트(12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대안적으로, 획득 포인트(12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획득 포인트(120)는 또한 콘텐츠 라이센스를 그 자신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마킹한다. 획득 포인트(120)는 콘텐츠(CNT) 를 임의의 수의 렌더링 디바이스 및 레코딩 디바이스에 여전히 전달할 수 있으나, 콘텐츠가 보호되며 대응하는 콘텐츠 라이센스가 콘텐츠에 적절히 액세스해서 예컨대 그것을 실행시키기 위한 이러한 디바이스에 요구된다. 콘텐츠(CNT)가 "라이브 보호된다"는 것 즉, 그것의 렌더링을 위한 특별한 제한에 종속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그러한 콘텐츠 라이센스가 각 저장 디바이스에 전달된다. 획득 포인트(120)는 바람직하게는 콘텐츠 액세스가 전달되는 디바이스 목록을 메모리(122)에 유지하고, 목록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각 디바이스에 대해, 콘텐츠(CNT)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가 그것에 전달되었는지를 나타낸다. 허가는 유리하게는, 필요한 경우, 새로운 콘텐츠 라이센스 형태를 취한다. 이후에 알게 되는 바와 같이, 렌더링 디바이스 또는 내보내기 디바이스가 허가를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콘텐츠(CNT)가 "라이브" 일 때 즉, 획득 포인트(120)에 의해 네트워크(100) 내에서 방송될 때, 획득 포인트(120)는 소비 디바이스에 전달된 허가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시 시청의 수가 제한된다. 그렇게 전달된 허가는 바람직하게는 콘텐츠가 "라이브 보호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허가에 대한 제한은 콘텐츠와 함께 또는 별개로 획득 포인트(120)에 의해 수신될 수 있으나, 획득 포인트(120)는 또한, 예컨대, 일정한 종류의 콘텐츠에 대해 미리 저장된 제한, 특정 시간 구간 동안의 콘텐츠 방송, 일반적인 제한, 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값 중 최저치로 동시 시청의 수를 제한하는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콘텐츠(CNT)가 끝날 때, 즉,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또는 임의의 그밖의 적 합한 방식으로 나타난 것)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더 이상 획득 포인트(120)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때, 그것은 각 저장 디바이스에 "라이브 보호"를 강요하지 않는 콘텐츠 라이센스를 전달하는데 그것은 목록(122)에 따라 저장 디바이스에 콘텐츠(CNT)를 전달한다. 각 저장 디바이스는 이후 콘텐츠를 사용하거나 그것을 렌더링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는데, 렌더링 디바이스는 임의의 추가적인 허가없이 그것에 액세스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렌더링 디바이스(110) 또는 내보내기 포인트(150)에 언제든지 예컨대, 사용자가 또 하나의 렌더링 디바이스를 통해 콘텐츠에 액세스하도록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콘텐츠(CNT)를 렌더링하거나 내보내도록 지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디바이스는 응답시에 획득 포인트(120)로부터 허가를 요청해야 한다.
그러한 요청의 수신시에, 획득 포인트(120)는 다수의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다.
콘텐츠가 끝나고/끝나거나 "라이브 보호되지" 않아야 하는 경우에, 획득 포인트(120)는 요청 디바이스에 "라이브 보호"를 강요하지 않는 콘텐츠 라이센스를 전달한다. 이는 예컨대 렌더링 디바이스(110)가 "트릭 플레이"를 이용하지 않고 레코딩 디바이스(130)로부터 콘텐츠(CNT) 및 대응하는 라이센스를 수신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콘텐츠(CNT)가 여전히 획득 포인트(120)에 의해 방송되고 요청이 레코딩 디바이스로부터 나오는 경우, 요청은 부인되고 오류가 반환된다.
콘텐츠(CNT)가 획득 포인트(120)에 의해 여전히 방송되고 최대수의 허가(레 코딩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계산하지 않음)가 전달되지 않은 경우, 획득 포인트(120)는 "라이브 보호"를 강요하는 허가를 요청 디바이스에 전달하고 요청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메모리(122) 내의 목록에 허가가 그것에 전달되었다는 언급과 함께 추가한다. 또한 콘텐츠(CNT)가 디바이스(이 경우에 그것은 목록 상에 있음)에 전달되나, 어떠한 허가도 그것에 전달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 목록은 그에 따라 갱신된다.
그러나, 콘텐츠(CNT)가 여전히 획득 포인트(120)에 의해 방송되고 최대 수의 허가(레코딩 대바이스에 대해서는 계산하지 않음)가 전달되는 경우, 획득 포인트(120)는 바람직하게는 메시지를 허가가 전달된 목록 내의 각 소비 디바이스에 전송하는데, 디바이스가 메시지 내에서 식별된 콘텐츠에 여전히 액세스하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콘텐츠를 렌더링하거나 내보내는 각 디바이스가 긍정적으로 응답해야 하나, 어떠한 그러한 의무도 반대 경우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디바이스가 긍정적인 응답을 반환하는 경우에, 요청이 거부된다. 다른 한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응답하지 않거나 부정적인 응답을 반환하는 경우에, 허가가 승인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획득 포인트(120)는 유리하게는, 새로운 스크램블링 키를, 바람직하게는 무작위로, 고르는데, 이 키를 그것은 콘텐츠(CNT)를보호하기 위해 사용한다. 스크램블링 키는 새로운 콘텐츠 라이센스 내에 포함되며 긍정적인 응답을 반환한 모든 디바이스에 그리고 요청 디바이스에 허가로서 전송된다. 목록은 그에 따라 갱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획득 포인트(120)가 여전히 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그것은 요청하는 소비 디바이스와 근접 테스트를 수행하고 렌더링 디바이스가 로컬인 경우에만 즉, 가까이 있다고 간주되는 경우에만 허가를 승인한다. 테스트는 당해 기술 내의 임의의 적합한 방법을 이용해서 이를테면 예컨대 메시지의 반환 트립(trip) 시간을 측정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신호 흐름도를 예시한다. 단계(202)에서, 획득 포인트(AP, 120)는 콘텐츠(CNT) 및 대응하는 콘텐츠 라이센스(CL)를 저장 디바이스(SD, 130)에 전달하는데, 대응하는 콘텐츠 라이센스는 획득 포인트의 식별자(APID)를 포함한다. 콘텐츠 라이센스(CL)는 콘텐츠가 "라이브 보호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저장 디바이스(130)는 수신된 콘텐츠(CNT) 및 콘텐츠 라이센스(CL)를 저장한다.
렌더링 디바이스(RD, 110)는 콘텐츠(CNT)에 대한 요청을 레코딩 디바이스(130)에 전송하는데(204), 레코딩 디바이스는 콘텐츠(CNT) 및 필수적인 라이센스(CL)(획득 포인트 식별자를 포함함)를 요청하는 렌더링 디바이스(110)에 반환한다(206). 콘텐츠(CNT) 및 라이센스(CL)의 수신시에, 렌더링 디바이스(110)는 콘텐츠(CNT)가 "라이브 보호되는지"를 (그러함) 그리고 따라서 요청을 획득 포인트(120)에 전송하기 위해 콘텐츠 라이센스(CL) 내의 획득 포인트 식별자(APID)를 이용하는지를 체크한다.
획득 포인트(120)가 상황에 따라서 어떻게 응답하는지(210)는 앞에서 열거된 바와 같다. 예컨대, 콘텐츠가 라이브이고 최대 시청수가 도달하지 않은 경우, 획득 포인트(120)는 렌더링 디바이스(110)에 의한 시청을 허가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의 신호 흐름도를 예시한다. 단계(302)에서, 획득 포인트(120)는 콘텐츠(CNT)와, 획득 포인트 ID(APID)를 포함하는 대응하는 라이센스(CL)를 제1 렌더링 디바이스(110)에 전달한다.
사용자는 그후 제1 렌더링 디바이스를 스위치 오프하고(304) 제2 렌더링 디바이스(160)를 스위치 온하는데(306), 제2 렌더링 디바이스는 콘텐츠 라이센스(CL)를 방송 디바이스 즉, 획득 포인트(120)로부터 요청한다(308). 획득 포인트(120)는 이후 최대 동시 시청수가 도달되었는지를 확인하는데, 본 예에서는 그것이 전제되는 경우로서(그것이 1이라고 하자), 획득 포인트(120)는 그것이 콘텐츠를 위한 콘텐츠 라이센스를 제1 렌더링 디바이스(110)에 전송했다는 것을 나열하기 때문이다.
획득 포인트(120)는 이후 콘텐츠(콘텐츠 식별자에 의해 식별됨)를 이용하고 있는 모든 디바이스가 응답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방송한다(312). 제1 렌더링 디바이스(110)가 스위치 오프됨에 따라, 그것은 전혀 응답하지 않는다. 제1 렌더링 디바이스(110)가 또 하나의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해 스위치되는 경우에, 그것은 부정적으로 응답할 수 있으나, 또한 그것이 전혀 응답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제2 렌더링 디바이스가 (여전히) 콘텐츠에 액세스하지 않음에따라, 그것은 부정적으로 응답하거나(314) 전혀 응답하지 않는다.
디바이스에 응답할 시간을 주기 위해 의도된 짧은 구간 이후에, 획득 포인트(120)는 응답을 분석한다. 본 예에서, 그것은 어떠한 긍정적인 응답도 갖지 않으며 따라서 새로운 콘텐츠 라이센스(CL')(콘텐츠를 스크램블링하기 위해 이용되는 새로운 스크램블링 키를 포함함)를 생성할 수 있는데(314), 그것은 이것을 제2 렌더링 디바이스(160)에 전송하며(316) 이후 제2 렌더링 디바이스는 콘텐츠(CNT)에 액세스 할 수 있다. 획득 포인트(120)는 또한 현재의 콘텐츠 라이센스가 전달된 자신의 디바이스 목록을 갱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단지 라이브로 액세스되어야 하는 라이브 콘텐츠가 예컨대 트릭 플레이의 사용을 통해 액세스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방식을 제공한다는 것이 인식될 수 있다.
하나의 물리적인 디바이스가 이전에 설명된 하나 초과의 디바이스의 기능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획득 포인트 및 저장 디바이스가 하나의 디바이스 내에 공동-위치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획득 포인트"는 다기능 디바이스 내의 획득 포인트 기능을 다루는 부분을 가리킨다. 일부 경우에, 단순화가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획득 포인트와 저장 디바이스의 기능을 조합하는 디바이스가, 가능한 경우, 결코 두 번 응답하지 않고 단지 하나의 관련 응답을 제공할 것이다.
설명 및 (적당한 경우) 청구항 및 도면 내에 개시된 각 특색은 독립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당한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색이 또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 있다. 적당한 경우, 연결부가 무선 연결부로 또는 유선의, 반드시는 아니지만 직접적인 또는 전용의 연결부로 구현될 수 있다.
청구항 내에 나타나는 참조 번호는 단지 예이며, 청구범위에 대한 임의의 제 한 효과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디지털 매체 시스템에 이용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홈 네트워크 내의 콘텐츠 보호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4)

  1. 소비 디바이스(110, 150, 160) 및 저장 디바이스(130)를 더 포함하도록 적응된 디지털 네트워크(100) 내의 획득 포인트(acquisition point)(120)에 있어서,
    획득 포인트(120)는 프로세서(121)를 포함하는데, 프로세서(121)는,
    네트워크(100) 내에서 보호된 콘텐츠(CNT)를 방송하고;
    획득 포인트(120)의 식별자(identifier), 보호된 콘텐츠에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키, 및 콘텐츠가 그것의 렌더링을 위한 특정 제한(particular restricitions)에 종속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라이센스(CL)를 저장 디바이스(130)에 전송(202)하고;
    저장 디바이스(130)로부터 소비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청(208, 308)을 소비 디바이스(110, 150, 160)로부터 수신하고;
    응답(210)을 소비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적응되며, 응답(210)은 획득 포인트(120)가 더 이상 콘텐츠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제1 종류(first kind)이고 획득 포인트(120)가 여전히 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제2 종류(second kin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내의 획득 포인트.
  2. 제1 항에 있어서,
    제1 종류의 응답은 새로운 콘텐츠 라이센스인, 디지털 네트워크 내의 획득 포인트.
  3. 제1 항에 있어서,
    제2 종류의 응답은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 및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허가하지 않는 거부 중 하나인, 디지털 네트워크 내의 획득 포인트.
  4. 제3 항에 있어서,
    획득 포인트는,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가 전송된 소비 디바이스의 식별정보(identity)를 저장하도록 적응된 메모리(122)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121)는, 획득 포인트(120)가 여전히 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가 전송된 디바이스의 수가 미리결정된 수보다 더 작은 경우에,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를 전송하도록 더 적응되는, 디지털 네트워크 내의 획득 포인트.
  5. 제4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121)는, 허가가 전송된 소비 디바이스의 수가 미리결정된 수와 동일한 경우에,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모든 소비 디바이스가 응답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방송(312)하도록;
    소비 디바이스로부터 응답(314)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응답의 생성기(originator)가 콘텐츠에 액세스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수신된 응답의 수가 미리결정된 수보다 더 작은 경우에,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를 요청 소비 디바이스에 전송(318)하도록 더 적응되는, 디지털 네트워크 내의 획득 포인트.
  6. 제3 항에 있어서,
    획득 포인트는, 그것이 여전히 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요청하는 소비 디바이스와 근접 테스트를 수행해서, 소비 디바이스가 로컬인 경우에 허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네크워크 내의 획득 포인트.
  7. 디지털 네트워크(100) 내의 소비 디바이스(110, 150, 160)로서,
    콘텐츠를 렌더링하거나 콘텐츠를 내보내기 위한 유닛(112); 및
    프로세서(111, 151)로서,
    디지털 네트워크(100) 내의 저장 디바이스(130)에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전송(204)하고;
    콘텐츠(CNT) 및 대응하는 콘텐츠 라이센스(CL)를 수신하되, 대응하는 콘텐츠 라이센스(CL)는 콘텐츠가 그것의 소비를 위한 특정 제한에 종속된다는 표시 및 획득 포인트(12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CNT) 및 대응하는 콘텐츠 라이센스(CL)를 저장 디바이스(130)로부터 수신하고;
    저장 디바이스(13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CNT)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 포인트(120)에 전송(208)하고;
    획득 포인트(120)로부터의 응답이 소비가 허용됨을 나타내는 경우에 콘텐츠(CNT)를 소비하도록 적응된, 프로세서(111, 151)를
    포함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내의 소비 디바이스.
  8. 획득 포인트(120), 소비 디바이스(110, 150, 160), 및 저장 디바이스(130)를 포함하는 디지털 네트워크(100) 내에서 콘텐츠(CNT)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획득 포인트(120) 내에서,
    네트워크(100) 내에서 보호된 콘텐츠(CNT)를 방송하는 단계;
    획득 포인트(120)의 식별자, 보호된 콘텐츠에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키, 및 콘텐츠가 그것의 소비를 위한 특정 제한에 종속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라이센스(CL)를 저장 디바이스(130)에 전송(202)하는 단계;
    저장 디바이스(13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청(208, 308)을 소비 디바이스(110, 150, 16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응답(210)을 소비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로서, 응답(210)은 획득 포인트(120)가 더 이상 콘텐츠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제1 종류이고 획득 포인트(120)가 여전히 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제2 종류인, 응답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제1 종류의 응답은 새로운 콘텐츠 라이센스인, 디지털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제2 종류의 응답은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 및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허가하지 않는 거부 중 하나인, 디지털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획득 포인트(120)는 허가가 전송된 소비 디바이스의 식별정보(identity)를 더 저장하고, 상기 방법은, 획득 포인트(120)가 여전히 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가 전송된 소비 디바이스의 수가 미리결정된 수보다 더 작은 경우에,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가 전송된 소비 디바이스의 수가 미리결정된 수와 동일한 경우에,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모든 소비 디바이스가 응답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방송(312)하는 단계;
    소비 디바이스로부터 응답(314)을 수신하는 단계; 및
    응답의 생성기(originator)가 콘텐츠에 액세스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수신된 응답의 수가 미리결정된 수보다 더 작은 경우에,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를 요청 디바이스에 전송(318)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10 항에 있어서,
    획득 포인트가 여전히 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요청하는 소비 디바이스와 근접 테스트를 수행해서, 소비 디바이스가 로컬인 경우에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14. 콘텐츠 소비 방법으로서, 디지털 네트워크(100) 내의 소비 디바이스(110, 150, 160)에서,
    디지털 네트워크(100) 내의 저장 디바이스(130)에 콘텐츠(CNT)에 대한 요청을 전송(204)하는 단계;
    콘텐츠(CNT) 및 대응하는 콘텐츠 라이센스(CL)를 저장 디바이스(13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로서, 대응하는 콘텐츠 라이센스(CL)는 획득 포인트(120)의 식별자 및 콘텐츠가 그것의 소비를 위한 특정 제한에 종속된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수신 단계;
    저장 디바이스(13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CNT)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청을 획득 포인트(120)에 전송(208)하는 단계; 및
    획득 포인트(120)로부터의 응답이 소비가 허용됨을 나타내는 경우에 콘텐츠(CNT)를 소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소비 방법.
KR20097023358A 2007-05-11 2008-05-06 네크워크 내에서의 라이브 콘텐츠 보호 KR101485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301033.2 2007-05-11
EP07301033 2007-05-11
EP07115085.8 2007-08-28
EP07115085A EP1990971A3 (en) 2007-05-11 2007-08-28 Protecting live content in a network
PCT/EP2008/055527 WO2008138804A2 (en) 2007-05-11 2008-05-06 Protecting live content in a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358A KR20100016358A (ko) 2010-02-12
KR101485010B1 true KR101485010B1 (ko) 2015-01-23

Family

ID=39148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23358A KR101485010B1 (ko) 2007-05-11 2008-05-06 네크워크 내에서의 라이브 콘텐츠 보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185963B2 (ko)
EP (2) EP1990971A3 (ko)
JP (1) JP5599305B2 (ko)
KR (1) KR101485010B1 (ko)
CN (1) CN101675439B (ko)
AU (1) AU2008250391B2 (ko)
BR (1) BRPI0811291A2 (ko)
RU (1) RU2463649C2 (ko)
WO (1) WO200813880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1317B2 (en) * 2009-03-23 2016-02-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etwork video messaging
US9773156B2 (en) 2014-04-29 2017-09-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rouping and ranking images based on facial recognition data
US9384334B2 (en) * 2014-05-12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 discovery in managed wireless distribution networks
US20160149956A1 (en) * 2014-11-21 2016-05-26 Whip Networks, Inc. Media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88944A1 (en) * 2005-02-02 2006-08-09 Thomson Licensing Distinguishing between live content and recorded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3692A (en) * 1994-09-07 1995-12-05 Intel Corporation Roving software license for a hardware agent
US6523113B1 (en) * 1998-06-09 2003-02-18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py protection
FR2818062B1 (fr) * 2000-12-07 2003-04-11 Thomson Multimedia Sa Methode de transmission securisee de donnees numeriques d'une source vers un recepteur
JP4714413B2 (ja) * 2001-08-31 2011-06-29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ストリームのためのシーケンスカウンタ
EP1304844B1 (en) * 2001-10-19 2007-04-04 Sony Deutschland GmbH Content protection and copy management system for a network
US7805607B2 (en) * 2002-04-12 2010-09-28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the anonymous authentication of a data transmitter
US20040039932A1 (en) * 2002-08-23 2004-02-26 Gidon Elaza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digital documents in a digital appliance
US7979700B2 (en) * 2002-08-23 2011-07-12 Sandisk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digital documents in a digital appliance
US20040210926A1 (en) * 2003-01-08 2004-10-21 Avtrex, Inc. Controlling access to content
US7210165B2 (en) * 2003-10-29 2007-04-24 Microsoft Corporation Pre-licensing of rights management protected content
US8825551B2 (en) * 2005-04-21 2014-09-0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local recording and home network distribu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88944A1 (en) * 2005-02-02 2006-08-09 Thomson Licensing Distinguishing between live content and recorded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9145958A (ru) 2011-06-20
US20100132051A1 (en) 2010-05-27
CN101675439A (zh) 2010-03-17
JP2010527191A (ja) 2010-08-05
JP5599305B2 (ja) 2014-10-01
EP2145279B1 (en) 2020-03-25
US8185963B2 (en) 2012-05-22
EP1990971A2 (en) 2008-11-12
BRPI0811291A2 (pt) 2015-01-27
WO2008138804A3 (en) 2009-01-22
RU2463649C2 (ru) 2012-10-10
WO2008138804A4 (en) 2009-03-05
EP2145279A2 (en) 2010-01-20
AU2008250391B2 (en) 2012-09-27
EP1990971A3 (en) 2009-01-21
KR20100016358A (ko) 2010-02-12
AU2008250391A1 (en) 2008-11-20
WO2008138804A2 (en) 2008-11-20
CN101675439B (zh)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970B1 (ko) 컨텐츠 방송용 보안 시스템에서 규정 비준수 키, 어플라이언스 또는 모듈의 폐기 리스트 갱신 방법
US7529935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ransmission control
US20050168323A1 (en) Security modules for conditional access with restrictions
KR101342743B1 (ko) 암호 데이터 액세스 제어 방법
US200900559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Content to be Shared Among Multiple Devices in a Secure Environment
US20080022299A1 (en) Storage and use method of a broadcasted audio/video event
JP5710160B2 (ja) ストリーム内の記録可能なコンテンツを処理すること
CA271997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oken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CN107925795B (zh) 用于解密经加密的媒体内容的设备及控制解密的服务器
KR101485010B1 (ko) 네크워크 내에서의 라이브 콘텐츠 보호
KR20020077053A (ko) 기록재생장치, 제어방법 및 부정방지시스템
US9524381B2 (en) Piracy prevention in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s
US79869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content rights through multimedia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90144832A1 (en) Method for protecting content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JP2011176818A (ja) 限定受信システムにおける平文制御語ローディングメカニズムのディセーブル
Greveler Enforcing regional drm for multimedia broadcasts with and without trusted computing
KR100983793B1 (ko) 상호운용적 디지털저작권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23624A (ko) Drm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drm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676017B1 (ko)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9025938A (ja) ドメイン結合方法
KR20090006055A (ko) 콘텐트 보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