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903B1 - Device for reducing volume of plastic wastes - Google Patents

Device for reducing volume of plastic was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903B1
KR101483903B1 KR20140026484A KR20140026484A KR101483903B1 KR 101483903 B1 KR101483903 B1 KR 101483903B1 KR 20140026484 A KR20140026484 A KR 20140026484A KR 20140026484 A KR20140026484 A KR 20140026484A KR 101483903 B1 KR101483903 B1 KR 101483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waste vinyl
main body
body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64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인수
이상필
김태우
곽재환
탁원호
강권택
유길선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40026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9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9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35Means for conditioning the material to be pressed, e.g. paper shred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3/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 B30B3/04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co-operating with one another, e.g. with co-operating cones
    • B30B3/06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co-operating with one another, e.g. with co-operating cones arranged one within another, e.g. with a roller disposed within a rotating ring and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8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with compression means other than rams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o reduce a volume of plastic wastes which comprises: main body part; a rolling housing par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part; a rolling part installed to be rotatable inside the rolling housing part; a drive part installed in a side of the rolling part to convey rotational power to the rolling part; and a heating press part which heats and presses the plastic wastes rolled by rotation of the rolling part.

Description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Device for reducing volume of plastic waste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ducing volume of plastic wastes,

본 발명은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비닐을 롤링부로 동그랗게 롤링한 상태에서 가열 프레스로 압착하여 폐비닐이 롤링된 상태를 유지하여 폐비닐의 부피를 최소할 수 있는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that is capable of minimizing the volume of waste vinyl by maintaining the rolled vinyl in a rolled state by pressing the waste vinyl in a rolled- And a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비닐(plastic, vinyl)은 가장 많이 활용되는 제품 중 하나이다. 즉, 비닐은 섬유의 내수성, 기밀성, 가소성을 이용하여 유리, 옷감, 가죽 등의 대용품으로 널리 사용된다.Vinyl (plastic, vinyl) is one of the most popular products. That is, vinyl is widely used as a substitute for glass, cloth, leather and the like by taking advantage of the water resistance, air tightness and plasticity of the fiber.

특히, 현대 사회에서는 비닐은 과자, 라면 등과 같은 각종 식품의 포장용 재료로 사용되며,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식품의 포장용 재료인 비닐을 뜯고 그 내용물을 섭취하거나 조리한 후에 비닐을 폐기처분한다.Especially, in the modern society, vinyl is used as a packaging material for various foods such as confectionery, ramen, and the like. In general households and restaurants, the vinyl which is a packaging material for food is torn, and the contents are consumed or cooked and the vinyl is disposed of.

이러한 폐비닐은 환경을 고려하여 각국에서 각종 규제를 통해 재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각종 식품의 소비자는 폐비닐을 별도의 보관 용기에 보관한다.These waste vinyls are recycled through various regulations in various countries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consumers of various foods store waste vinyl in a separate storage container.

그러나, 폐비닐을 별도의 보관 용기에 보관할 때, 폐비닐은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종전의 상태로 부피가 다시 복원됨에 따라, 폐비닐이 보관 용기에서 넘쳐서 보관 용기 주변 환경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waste vinyl is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container, the volume of the waste vinyl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its own, so that the waste plastic overflows from the storage container and hinders the environment around the storage container.

또한, 폐비닐이 보관 용기에서 넘치는 경우에 이를 다시 보관 용기에 보관하기 위한 작업을 반복해야 함에 따라, 식품 소비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waste plastic overflows from the storage container, it is required to repeat the operation for storing the waste plastic in the storage container, thus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consumer of the food.

더욱이, 폐비닐을 종량제 봉투에 담아 버릴 때, 폐비닐이 탄성 복원됨에 따라 종량제 봉투의 구입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when the waste vinyl is put in the bag of the standard amou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purchasing the bag is increased due to the elastic restoration of the waste vinyl.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7204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72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부의 투입구로 투입한 후에 폐비닐을 롤링 하우징부에서 롤링부로 동그랗게 롤링한 상태에서 가열 프레스로 압착하여 폐비닐이 탄성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여 폐비닐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폐비닐의 분리수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inyl-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waste vinyl and effectively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waste vinyl.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롤링 하우징부; 상기 롤링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롤링부; 상기 롤링부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롤링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롤링부의 회전에 의해 롤링된 폐비닐을 가열 압착하는 가열 프레스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reducing waste vinyl volume comprising: a main body; A rolling housing part installed inside the body part; A rolling part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rolling housing part; A driving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olling unit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to the rolling unit; And a hot press section for heating and pressing the waste vinyl rolled by the rotation of the rolling se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정면의 일부에 폐비닐을 삽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투입구; 및 상기 본체부의 좌측면의 일부에 상기 폐비닐을 회수하기 위해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waste vinyl volu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charging port formed for inserting waste vinyl into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discharge port formed to collect the waste vinyl on a part of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본체부는 상기 투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폐비닐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정면에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of the waste vinyl volume abatement device includes: a guid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to guide the waste vinyl inserted into the inlet; .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롤링 하우징부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의 바디부;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투입구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부;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투입구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waste vinyl volu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ing housing portion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comprises: a cylindrical body portion having an inner perforated portion; An upper flange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harging port inside the body par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ody part; A lower flange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harging port in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a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롤링 하우징부는 일측이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ing housing part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 ≪ / RTI >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롤링부는 십자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일측에 연결되는 4개의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수평 프레임과 마주하도록,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ing section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comprises a cross-shaped base frame; Four horizontal fram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se frame; And a connection fram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frame so as to face the horizontal fram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롤링부는 상기 각각의 수평 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waste vinyl volu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ing section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riction member formed at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horizontal frame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구동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기어; 및 일측은 상기 제1 기어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부의 우측면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the volume of waste viny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includes a first gear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And a handle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gear and the other sid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rough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우측면의 일부에 설치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 및 상기 제1 기어와 기어 물림 되도록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the volume of waste viny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includes a driving unit installed on a part of the right side of the body unit; A drive shaf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rive unit and rotated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e unit; And a second gea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rive shaft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gea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가열 프레스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롤링 하우징부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롤링 하우징부의 바디부의 내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waste vinyl volu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press portion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device is protruded out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can be raised or lowered inside the body of the rolling housing part.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는 폐비닐을 동그랗게 롤링한 상태에서 가열 프레스로 압착하여 폐비닐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폐비닐이 최종적으로 원통 막대형상으로 배출되어 폐비닐 분리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volume of waste vinyl by pressing the waste vinyl in a rolled state with a hot press so that the waste vinyl is eventually discharged in a cylindrical bar shape to facilitate collection and collection of waste viny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는 폐비닐의 부피를 최소화함에 따라 폐비닐 처리비용 및 처리시간을 절감하고, 소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reducing the volume of waste viny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volume of waste vinyl,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waste vinyl processing and the processing time, and is advantageous for consumers.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는 폐비닐의 부피를 최소화함에 따라 분리수거 공간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apparatus for reducing the volume of waste viny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volume of waste vinyl, thereby maintaining the cleanliness of the separated collection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우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좌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체부의 상측면이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상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체부의 상측면과 우측면이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서 본체부의 후면, 롤링부 및 구동부가 추가로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롤링 하우징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롤링 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가열 프레스부가 승강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 is a right side perspective view of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eft perspective view of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remov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top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removed.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back side, the rolling section, and the driving section of the body portion removed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lling housing part of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lling part of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waste vinyl volu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hot press section is lif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우측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좌측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본체부의 상측면이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상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체부의 상측면과 우측면이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서 본체부의 후면, 롤링부 및 구동부가 추가로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롤링 하우징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롤링 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가열 프레스부가 승강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2 is a left perspective view of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is removed.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top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removed.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rear surface, the roll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of the body unit are further removed in FIG. 4.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lling part of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waste vinyl volu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hot press section is lifted.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1)는 본체부(10), 롤링 하우징부(20), 롤링부(30), 구동부(40), 및 가열 프레스부(50)로 이루어진다.1 to 9,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apparatus for reducing waste vinyl volume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rolling housing 20, a rolling unit 30, a driving unit 40, and a heating press unit 50 .

본체부(10)는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1)의 외형을 형성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0)는 정면(14), 후면(15), 좌측면(16), 우측면(17), 상측면(18), 및 하측면(19)의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10)는 정면(14), 후면(15), 좌측면(16), 우측면(17), 상측면(18), 및 하측면(19)은 볼트, 리벳, 용접 등에 의한 결합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0)의 정면(14), 좌측면(16), 및 하측면(19)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device 1. [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0 includes a front surface 14, a rear surface 15, a left surface 16, a right surface 17, an upper surface 18,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a cuboid of the lower surface 19. The body portion 10 has a front surface 14, a rear surface 15, a left surface 16, a right surface 17, an upper surface 18 and a lower surface 19 which are fastened together by bolt, rivet, Lt; / RTI >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rface 14, the left surface 16, and the bottom surface 19 of the main body 10 may be integrally formed.

롤링 하우징부(20)가 본체부(10)의 내부에 본체부(10)의 정면(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The rolling housing part 2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part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face 14 of the main body part 10.

롤링부(30)가 롤링 하우징부(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된다.The rolling portion 3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rolling housing portion 20 so as to be rotatable.

구동부I(40)는 롤링부(30)의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부(40)는 롤링부(30)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The driving part I 4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lling part 30 and the driving part 40 transmits the rotational power to the rolling part 30.

가열 프레스부(50)는 롤링부(30)의 회전에 의해 롤링(rolling)된 폐비닐(2)을 가열 압착한다.
The hot press section 50 thermally presses the rolled vinyl 2 by the rotation of the rolling section 30.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1)의 본체부(10)는 투입구(11) 및 배출구(12)를 포함한다.1 to 5, a main body portion 10 of a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ing port 11 and a discharge port 12.

투입구(11)가 본체부(10)의 정면(14)의 일부에 본체부(10)의 정면(1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폐비닐(2)이 투입구(11)를 통해 본체부(10)의 내부, 즉 롤링 하우징부(20)로 삽입된다.A charging port 11 i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urface 14 of the body portion 10 on a part of the front surface 14 of the body portion 10. The waste vinyl 2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portion 10, that is, the rolling housing portion 20, through the inlet 11.

배출구(12)가 본체부(10)의 좌측면(16)의 일부에 원형으로 형성된다. 폐비닐(2)이 롤링 하우징부(20)의 내부에서 구동부(40)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롤링부(30)에 의해 롤링되고, 가열 프레스부(50)에 의해 가열 압착되면 사용자가 배출구(12)를 통해 폐비닐을 회수하게 된다.The discharge port 1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a part of the left side surface 16 of the main body portion 10. When the waste vinyl 2 is rolled by the rolling part 30 which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part 40 inside the rolling housing part 20 and is heated and pressed by the hot press part 50, (12).

투입구(11)와 배출구(12)는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본체부(10)의 정면(14)과 좌측면(16)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폐비닐(2)을 본체부(10)의 정면(14)에 형성된 투입구(11)에 삽입하고, 롤링부(30)에 의해 롤링된 폐비닐을 가열 프레스부(50)로 가열 압착한 후에, 신속하게 배툴구(12)에서 폐비닐을 회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투입구(11)에 계속해서 폐비닐을 투입하고, 배출구(12)에서 폐비닐을 회수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다량의 폐비닐의 부피 저감을 위한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inlet port 11 and the outlet port 12 are formed in the front surface 14 and the left surface 16 of the body portion 10 to form an angle of 90 degrees. The user inserts the waste vinyl 2 into the inlet 11 formed in the front face 14 of the body portion 10 and puts the waste vinyl rolled by the rolling portion 30 into the heating press portion 50 After thermocompression, the waste vinyl can be quickly recovered from the pouring tool 12. That is, since the user continuously inserts the waste vinyl into the inlet 11 and continuously collects the waste vinyl at the discharge port 12, the user can quickly perform a work for reducing the volume of the waste vinyl .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입구(11)와 배출구(12)는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본체부(10)의 정면(14)과 우측면(17)에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port 11 and the outlet port 12 are formed on the front face 14 and the right side face 17 of the body portion 10 so as to form an angle of 90 degrees .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1)의 본체부(10)는 가이드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main body 10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waste vinyl volume 1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unit 13.

가이드부(13)는 본체부(10)의 정면(14)에 형성된 투입구(11)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본체부(10)의 정면(14)에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부(13)는 투입구(11)에 삽입되는 폐비닐을 가이드함에 따라, 폐비닐이 투입구(11)를 통과하여 롤러 하우징부(2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즉, 가이드부(13)에 의해 사용자가 폐비닐을 투입구(11)에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The guide portion 13 is protruded from the front surface 14 of the main body portion 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harging port 11 formed in the front surface 14 of the main body portion 10. The guiding portion 13 guides the waste vinyl inserted into the charging port 11 so that the waste vinyl is easily inserted into the roller housing portion 20 through the charging port 11. [ That is, the guide portion 13 allows the user to quickly insert the waste vinyl into the charging port 11. [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1)의 롤링 하우징부(20)는 바디부(21), 상부 플랜지부(22), 하부 플랜지부(23), 및 관통홀(24)을 포함한다.1 to 6, the rolling housing portion 20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21, an upper flange portion 22, A flange portion 23, and a through hole 24.

바디부(21)는 내부와 양단이 관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디부(21)의 일단은 본체부(10)의 좌측면(16)에 형성된 배출구(12)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소비자가 롤링 및 가열 압착이 완료된 폐비닐을 배출구(12)를 통해 회수하게 된다.The body portion 21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inner portion and both ends penetrated. One end of the body part 21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2 formed on the left side surface 16 of the main body part 10 so that the consumer can collect the rolled vinyl which has been rolled and heated and press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do.

상부 플랜지부(22)의 일측은 본체부(10)의 내부에서 투입구(11)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플랜지부(22)의 타측은 바디부(21)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One side of the upper flange portion 22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harging port 11 in the body portion 10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flange portion 22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21.

하부 플랜지부(23)의 일측은 본체부(10)의 내부에서 투입구(11)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하부 플랜지부(23)의 타측은 바디부(21)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One side of the lower flange portion 23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harging port 11 in the body portion 10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flange portion 23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21.

상부 플랜지부(22)와 하부 플랜지부(23)가 투입구(11)의 상부 및 하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투입구(11)를 통해 삽입되는 폐비닐(2)은 1차적으로 바디부(21)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삽입된다.The upper flange portion 22 and the lower flange portion 23 are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harging port 11 so that the waste vinyl 2 inserted through the charging port 11 is primarily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1, As shown in Fig.

관통홀(24)이 바디부(21)의 상부 일측, 즉 배출구(12)에 인접한 곳에 형성된다.A through hole 2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 that is,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12.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1)의 롤링 하우징부(20)는 지지부(25)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rolling housing portion 20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upport portion 25.

지지부(25)의 일측은 바디부(21)의 하부에 결합되고, 지지부(25)의 타측은 본체부(10)의 하측면(19)에 결합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25)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5)에 의해 롤링 하우징부(20)가 본체부(10)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바디부(21)와 지지부(25) 및 지지부(25)와 하측면(19)은 볼트, 리벳, 용접 등에 의한 결합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1)의 롤링 하우징부(20)의 바디부(21), 상부 플랜지부(22), 하부 플랜지부(23), 및 지지부(2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25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25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surface 19 of the body portion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25 may be formed in a T shape. The rolling housing part 20 is firm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art 10 by the support part 25. [ The body portion 21 and the support portion 25 and the support portion 25 and the lower side surface 19 may be fastened together by means of bolts, rivets, welding or the lik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body portion 21, the upper flange portion 22, the lower flange portion 22, and the lower flange portion of the rolling housing portion 20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23, and the support portion 25 may be integrally formed.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1)의 롤링부(30)는 베이스 프레임(31), 4개의 수평 프레임(32), 및 연결 프레임(33)을 포함한다. 1 to 7, the rolling part 30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31, four horizontal frames 32, And a connection frame 33.

베이스 프레임(31)은 롤러 하우징부(20)의 바디부(21)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하고,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base frame 31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roller housing portion 20 and is formed in a cross shape.

4개의 수평 프레임(32)은 롤러 하우징부(2)의 바디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4개의 수평 프레임(32)은 본체부(10)의 좌측면(16)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4개의 수평 프레임(32)의 일단이 베이스 프레임(31)의 일측에 연결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며, 4개의 수평 프레임(32)은 각각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베이스 프레임(31)의 일측에 연결된다. 수평 프레임(32)이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롤링 하우징부(20)의 바디부(21)의 내부로 삽입된 폐비닐이 2차적으로 용이하게 롤링된다. The four horizontal frames 32 are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roller housing portion 2. [ That is, the four horizontal frames 32 are elongated in the direction of the left side surface 16 of the main body portion 10. One end of the four horizontal frames 3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se frame 3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 horizontal frames 32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se frame 31 so as to have an angle of 90 degrees each. As the horizontal frame 32 is formed to have an angle of 90 degrees, the waste vinyl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1 of the rolling housing portion 20 is easily rolled secondarily.

연결 프레임(33)은 수평 프레임(32)과 마주하도록, 연결 프레임(33)의 일단이 베이스 프레임(31)의 타측에 연결된다. 즉, 연결 프레임(33)은 본체부(10)의 우측면(17)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One end of the connecting frame 33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frame 31 so that the connecting frame 33 faces the horizontal frame 32. That is, the connection frame 33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right side 17 of the main body 10.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1)의 롤링부(30)는 마찰부재(34)를 더 포함한다.1 to 7, the rolling part 30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riction member 34. As shown in Fig.

마찰부재(34)는 4개의 수평 프레임(32)에 각각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찰부재(34)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찰부재(34)에 의해 롤링 하우징부(20)의 바디부(21)의 내부로 삽입된 폐비닐이 마찰부재(34)와 접촉하게 되고, 4개의 수평 프레임이 후술하는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 때 마찰부재(34)와 접촉된 상태에서 폐비닐이 회전하면서 3차적으로 용이하게 롤링(rolling)된다.
The friction members 34 are formed on the four horizontal frames 32, respective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member 34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The waste vinyl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1 of the rolling housing portion 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iction member 34 by the friction member 34 and the four horizontal frames are rotated The waste vinyl is easily rolled in a third order while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friction member.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1)의 구동부(40)는 제1 기어(41)와 핸들부(42)를 포함한다.1 to 4, the driving unit 40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ear 41 and a handle unit 42.

제1 기어(41)는 연결 프레임(33)의 일측에 결합된다.The first gear 4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33.

핸들부(42)의 일측은 제1 기어(41)와 연결된다. 핸들부(42)의 타측은 본체부(10)의 우측면(17)을 통과하여 본체부(1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핸들부(42)는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일부에 절곡부를 구비하고, 절곡부에 의해 사용자가 핸들부(42)의 일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핸들부(42)를 돌리는 동작에 의해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핸들부(42)가 회전하게 된다. 사용자가 큰 힘을 가하지 않고서 핸들부(42)의 회전조작에 의해 롤링부(30)를 회전시켜 롤러 하우징부(20)의 내부에 삽입된 폐비닐을 롤링함에 따라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42) is connected to the first gear (41).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portion 42 protrudes outside the main body portion 10 through the right side surface 17 of the main body portion 10. The handle portion 42 is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the user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the operation of turning the handle portion 42 while the user grips a part of the handle portion 42 by the bent portion The handle portion 42 is rotated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by rolling the used vinyl inserted into the roller housing part 20 by rotating the rolling part 30 by rotating the handle part 42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to the user.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1)의 구동부(40)는 구동유닛(43), 구동축(44), 및 제2 기어(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driving unit 40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43, a driving shaft 44, and a second gear 45).

구동유닛(43)의 본체부(10)의 우측면(17)의 일부에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유닛(43)은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17) of the main body (10) of the drive unit (43).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43 may be a motor.

구동축(44)이 구동유닛(43)의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축(44)은 구동유닛(4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The drive shaft 4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rive unit 43 and the drive shaft 44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unit 43.

제2 기어(45)가 제1 기어와 기어 물림 되도록 구동축(44)의 일측에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기어(41)와 제2 기어(45)는 베벨기어 형태로 기어결합될 수 있다.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ve shaft 44 so that the second gear 45 is gear-engaged with the first gear. The first gear 41 and the second gear 45 may be gear-engaged in the form of a bevel gear.

즉, 식당과 같이 다량의 폐비닐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구동유닛(43)에 의해 롤링부(30)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구동유닛(43)이 회전하게 되면, 구동축(44)이 회전하고, 구동축(44)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45)가 회전하며, 제2 기어(45)의 회전에 의해 제1 기어(41)가 회전하고, 제1 기어(41)의 회전에 의해 롤링부(30)가 회전하게 된다.That is, when a large amount of waste vinyl such as a restaurant is to be processed, the rolling unit 30 can be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drive unit 43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at is, when the drive unit 43 rotates, the drive shaft 44 rotates, the second gear 45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44, and the first gear 45 rotates, The gear 41 rotates and the rolling portion 30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41. [

또한, 핸들부(42)가 제1 기어(41)와 연결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정전시 또는 배터리와 같은 휴대 전원공급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수작업으로 폐비닐 처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본 발명에 의한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andle portion 42 is connected to the first gear 41, it is possible to manually perform the waste vinyl processing operation even in the case of power failure or in the case where portable power supply such as a battery is impossibl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프레스부(50)는 본체부(10)의 상측면(18)을 관통하여 본체부(10)의 상측면(18)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가열 프레스부(50)는 롤링 하우징부(20)의 관통홀(21)을 통과하여 롤링 하우징부(20)의 바디부(21)의 내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1 to 9, a hot press part 50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surface 18 of the main body part 10, 18). The hot press portion 50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21 of the rolling housing portion 20 and be lifted or lower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rolling housing portion 20.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1)의 가열 프레스부(50)는 몸통부(51), 접촉부(52), 헤드부(53), 탄성부재(54), 및 전원공급부(55)를 구비한다.8 to 9, the heating press portion 50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51, a contact portion 52, (53), an elastic member (54), and a power supply unit (55).

몸통부(51)는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된다.The body 51 is formed in the form of a pipe-shaped frame.

접촉부(52)는 몸통부(51)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부가 굴곡지게 형성되어 롤링 하우징부(20)의 바디부(21)에서 롤링부(30)에 의해 롤링된 폐비닐(2)을 가열 합착한다. 즉, 접촉부(52)의 하측면은 후술하는 전원공급부(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55)의 전원에 의해 폐비닐을 서로 붙일 수 있는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는 가열 수단을 구비한다.The abutting portion 52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51 and has a bent lower portion so that the waste vinyl 2 rolled by the rolling portion 30 at the body portion 21 of the rolling housing portion 20 And heat-cemented.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52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upply portion 55 to be described later and can heat the waste vinyl to a temperature at which the waste vinyl can be stuck to each other by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portion 55.

헤드부(53)는 몸통부(51)의 상부에 형성된다. 즉, 헤드부(53)에 의해 가열 프레스부(50)가 본체부(10)의 상측면(18)에 설치된다.The head part (53)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51). That is, the head portion 53 is provided on the upper face 18 of the body portion 10 to press the heating press portion 50.

탄성부재(54)가 몸통부(51)를 헤브부(53)의 하부에 몸통부(51)를 둘러쌓도록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54)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54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body 51 at a lower portion of the hub portion 53. [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54 may be a spring.

전원공급부(55)가 본체부(10)의 후면(15)의 일부에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원공급부(55)는 배터리 형태의 휴대전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power supply part 55 is provided on a part of the rear surface 15 of the main body part 10. The power supply unit 55 may be a battery-powered portable power supply.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부(40)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롤링부(30)를 통해 폐비닐이 롤링된 경우, 사용자가 가열 프레스부(50)의 헤드부(53)를 가압하면 가열 프레스부(50)가 관통홀(21)을 통과하여 롤링 하우징부(20)의 바디부(21)의 하부 내주면까지 하강하면서 폐비닐을 녹여서 서로 붙여서 폐비닐이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8, when the waste vinyl is rolled through the rolling part 30 rotated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part 40, when the user presses the head part 53 of the heating press part 50, The press portion 5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1 and descends to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rolling housing portion 20 so that the waste vinyl is melted and attached to each other to prevent the waste vinyl from being restored by elasticity .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가열 프레스부(50)의 헤드부(53)를 가압하지 않으면, 가열 프레스부(50)는 탄성부재(54)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9,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head portion 53 of the hot press portion 50, the hot press portion 50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ile being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4 .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1)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Fig.

본체부(10)의 정면(14)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부(13)를 따라 폐비닐(2)을 투입구(11)로 삽입한다. 투입구(11)로 삽입되는 폐비닐(2)은 투입구(11)의 상부 및 하부와 연결되는 롤러 하우징부(20)의 상부 플랜지부(22)와 하부 플랜지부(23)를 따라 바디부(21)의 내부로 삽입된다. 원통 형상의 바디부(21)를 따라 폐비닐이 1차적으로 용이하게 롤링된다. 구동부(40)의 핸들부(42)나 구동유닛(43)에 의해 회전하는 롤링부(30)의 베이스 프레임(31)에 90도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4개의 수평 프레임에 의해 폐비닐이 2차적으로 용이하게 롤링된다. 또한, 4개의 수평 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마찰부재(34)에 의해 폐비닐은 완벽하게 롤링된다. 이후, 사용자가 가열 프레스부(50)의 헤드부(53)를 가압하면 접촉부(52)에 의해 폐비닐이 롤링된 상태에서 폐비닐의 일부가 열에 의히 녹으면서 서로 접촉되어 폐비닐의 탄성력에 의해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배출구(12)를 통해 폐비닐을 회수하게 된다.The waste vinyl 2 is inserted into the charging port 11 along the guide portion 13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14 of the main body portion 10. The waste vinyl 2 inserted into the inlet 11 is guided to the body 21 through the upper flange portion 22 and the lower flange portion 23 of the roller housing portion 20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let 11, ). The waste vinyl is firstly easily rolled along the cylindrical body 21. By the four horizontal frames formed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the base frame 31 of the rolling unit 30 rotated by the handle unit 42 of the driving unit 40 or the driving unit 43, And is easily rolled. In addition, the waste vinyl is completely rolled by the friction member 34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four horizontal frames. Thereafter, when the user presses the head portion 53 of the hot press portion 50, a part of the waste vinyl is melted by heat in the state where the waste vinyl is rolled by the abutting portion 52, The volume is reduced. Finally, the user collects the waste vinyl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는 폐비닐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폐비닐의 분리수거를 용이하게 하고, 폐비닐 처리비용과 처리시간을 절감하여 소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reducing the volume of waste viny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volume of waste vinyl, facilitates the separation and collection of waste vinyl, reduces the cost of waste vinyl processing and processing time,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변형예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내에 속하는 다른 실시예로 확장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odific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extended to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 2 : 폐비닐,
10 : 본체부, 11 : 투입구,
12 : 배출구, 13 : 가이드부,
14 : 정면, 15 : 후면,
16 : 좌측면, 17 : 우측면,
18 : 상측면, 19 : 하측면,
20 : 롤러 하우징부, 21 : 바디부,
22 : 상부 플랜지부, 23 : 하부 플랜지부,
24 : 관통홀, 25 : 지지부,
30 : 롤링부, 31 : 베이스 프레임,
32 : 수평 프레임, 33 : 연결 프레임,
34 : 마찰부재, 40 : 구동부,
41 : 제1 기어, 42 : 핸들부,
43 : 구동유닛, 44 : 구동축,
45 : 제2 기어, 50 : 가열 프레스부,
51 : 몸통부, 52 : 접촉부,
53 : 헤드부, 54 : 탄성부재,
55 : 전원공급부.
1: waste vinyl volume reduction device, 2: waste vinyl,
10: main body, 11: inlet,
12: outlet, 13: guide,
14: front, 15: rear,
16: left side, 17: right side,
18: upper side, 19: lower side,
20: roller housing part, 21: body part,
22: upper flange portion, 23: lower flange portion,
24: through hole, 25: support portion,
30: rolling part, 31: base frame,
32: horizontal frame, 33: connection frame,
34: friction member, 40: driving part,
41: first gear, 42: handle,
43: drive unit, 44: drive shaft,
45: second gear, 50: heating press part,
51: body portion, 52: contact portion,
53: head portion, 54: elastic member,
55: Power supply.

Claims (10)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롤링 하우징부;
상기 롤링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롤링부;
상기 롤링부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롤링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롤링부의 회전에 의해 롤링된 폐비닐을 가열 압착하는 가열 프레스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정면의 일부에 폐비닐을 삽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투입구;
상기 본체부의 좌측면의 일부에 상기 폐비닐을 회수하기 위해 형성되는 배출구; 및 상기 투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폐비닐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정면에 돌출형성 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롤링 하우징부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의 바디부;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투입구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부;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투입구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
A body portion;
A rolling housing part installed inside the body part;
A rolling part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rolling housing part;
A driving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olling unit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to the rolling unit; And
And a hot press section for thermally pressing the rolled vinyl by rotation of the rolling section,
Wherein,
An inlet formed for inserting waste vinyl into a part of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 discharge port formed on a part of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to recover the waste vinyl; And a guiding part protruding from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to guide the waste vinyl inserted into the charging port,
The rolling housing part
A cylindrical body portion having an inner perforation;
An upper flange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harging port inside the body par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ody part;
A lower flange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harging port in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And a through hol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body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하우징부는,
일측이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lling housing part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having one sid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side formed to be coupled to a low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는,
십자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일측에 연결되는 4개의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수평 프레임과 마주하도록,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olling unit includes:
A cross-shaped base frame;
Four horizontal fram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se frame; And
And a connection fram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frame so as to face the horizontal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는,
상기 각각의 수평 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olling unit includes:
And a friction member formed at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horizontal fram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기어; 및
일측은 상기 제1 기어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부의 우측면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gear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And
And a handl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gear at one sid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art through a right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t the other s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우측면의 일부에 설치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 및
상기 제1 기어와 기어 물림 되도록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unit installed on a part of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A drive shaf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rive unit and rotated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e unit; And
And a second gea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rive shaft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gea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프레스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롤링 하우징부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롤링 하우징부의 바디부의 내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부피 저감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heating press unit includes:
And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rough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rolling housing part, and ascends or descends inside the body of the rolling housing part.
KR20140026484A 2014-03-06 2014-03-06 Device for reducing volume of plastic wastes KR1014839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6484A KR101483903B1 (en) 2014-03-06 2014-03-06 Device for reducing volume of plastic was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6484A KR101483903B1 (en) 2014-03-06 2014-03-06 Device for reducing volume of plastic was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903B1 true KR101483903B1 (en) 2015-01-16

Family

ID=5259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6484A KR101483903B1 (en) 2014-03-06 2014-03-06 Device for reducing volume of plastic was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90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5921A (en) * 2004-09-30 2006-04-13 Yashima Kensetsu Kk Molding apparatus and molding method of waste composite resin mold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5921A (en) * 2004-09-30 2006-04-13 Yashima Kensetsu Kk Molding apparatus and molding method of waste composite resin mo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088845U (en) Lid for food processor and food processor
CN204734382U (en) Stir convenient drinking cup
US20140041538A1 (en) E-Compactor
US20130193246A1 (en) Spice mill with interchangeable spice containers
US8371033B2 (en) Electric can opener and method of opening a can
KR101483903B1 (en) Device for reducing volume of plastic wastes
KR101548973B1 (en) Sanitary beverage can
US8984847B1 (en) Liner sealing garbage container
CN105962826A (en) Intelligent tissue box
FR2673390A1 (en) Apparatus for crushing empty packagings made of plastic material
US8393562B1 (en) Plastic shredder
CN104891069A (en) Automatic bag replacement and storage rubbish bin
CN106965195A (en) A kind of intelligent food and drink robot
CN201365860Y (en) Fully-automatic infrared-control seasoning box
CN203354290U (en) Automatic fruit peeler
CN210236013U (en) Garbage bin that disposal bag was sealed automatically
CN208773683U (en) A kind of PET base material automatic cutting equipment
CN103799839B (en) Be convenient to the horizontal juice extractor packed
CN203776829U (en) Electric cleaning tool
CN206839714U (en) A kind of board cutter device
CN201179468Y (en) Meat grinder
CN205386090U (en) Quick automatic device of arranging of donkey -hide gelatin jujube
KR102449074B1 (en) Film feeding-winding device of packaging container sealing machine
CN214877140U (en) Get bag machine conveyor by oneself
CN214986488U (en) Heat sealing machine for biomedical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