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200B1 - Cooling tower - Google Patents

Cooling t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200B1
KR101483200B1 KR1020130092387A KR20130092387A KR101483200B1 KR 101483200 B1 KR101483200 B1 KR 101483200B1 KR 1020130092387 A KR1020130092387 A KR 1020130092387A KR 20130092387 A KR20130092387 A KR 20130092387A KR 101483200 B1 KR101483200 B1 KR 101483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ake port
casing
trench
su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제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인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인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인기계
Priority to KR1020130092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200B1/en
Priority to CN201310593754.8A priority patent/CN104180683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2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tower comprises: a casing including a main suction hole to suck air which is heat-exchanged with a coolant, and an auxiliary suction hole to suck air mixed with the air heat-exchanged with the coolant; and a trench to guide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through the auxiliary suction hole. A trench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trench in the form of a polyhedron wherein the bottom is opened, and a second trench to define a flow path wherein air flows in the in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rench.

Description

냉각탑{COOLING TOWER}Cooling Tower {COOLING TOWER}

본 발명은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tower.

냉각탑은, 냉각수, 예를 들면, 공조 장치 또는 냉동기, 즉 냉동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의 응축에 사용된 냉각수를 공기와 접촉시켜서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냉각탑은, 고온의 냉각수를 열교환하기 위하여, 냉각수를 공기 중으로 분사하거나 유동하는 냉각수가 송풍되는 공기와 접촉하도록 한다. The cooling tower serves to cool the cooling water, for example, the air conditioner or the refrigerator, that is, the cooling water used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by bringing it into contact with air. In order to heat-exchange the high-temperature cooling water, such a cooling tower causes the cooling water to be blown into the air or to make the flowing cooling water come into contact with the air to be blown.

이와 같은 냉각탑은, 다수개의 필러, 상기 필러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 장치, 및 상기 필러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는 냉각수와 접촉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 장치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냉각탑은, 소음의 저감를 위한 소음 저감 장치, 및 냉각수와 접촉하여 상대습도가 증가되어 포화습도에 도달한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응결되는 백연(白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백연 방지 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탑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은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탑은 별도의 지지 장치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케이싱에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는, 냉각수와 접촉되는 공기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곳이고, 상기 배기구는, 냉각수와 접촉된 공기가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는 곳이다.Such a cooling tower includes a plurality of pillars, a cooling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cooling water to the filler, and an air blowing device for flowing air to make contact with the cooling water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filler. In addition, the cooling tower is provided with a noise reduction device for reducing noise and an anti-whitening device for preventing white smoke from condens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which has been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oling water to increase the relative humidity . ≪ / RTI >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oling tower are installed inside the casing, and the cooling tower is supported by a separate supporting device. The casing is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and an exhaust port. The air intake port is where air in contact with the cooling water is sucked into the casing, and the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in contact with the cooling water.

한편 상기 백연 방지 장치의 일례로,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는 별도에 보조 흡기구 상에 설치되는 가열부를 들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부에 의하여 가열되어 상대습도가 낮은 공기가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된 고온의 공기는,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상기 필러의 표면을 유동하면서 상대습도가 높은 공기와 혼합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상대습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한 백연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an example of the anti-whitening device, there is a heating unit provided on the auxiliary intake port separately formed in the casing. That is, air heated by the heating unit and having a low relative humidity is sucked into the casing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The high-temperature air sucked into the casing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mixed with air having a relatively high relative humidity while flowing on the surface of the filler. Therefore, by reducing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hite smoke caused by moisture i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각탑에의 경우에는, 상기 보조 흡기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가열부에 의하여 가열된 상대적으로 상대습도가 낮은 공기와 냉각수와 열교환된 상대적으로 상대습도가 높은 공기의 혼합이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흡기구에 인접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보조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상대습도가 낮은 공기가 충분한 양만큼 유동되므로, 상대습도가 낮은 공기와 상대습도가 낮은 공기의 혼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보조 흡기구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부분, 예를 들면, 상기 케이싱의 중앙부분의 경우에는,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상대습도가 낮은 공기의 유동이 충분한 양만큼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상대습도가 높은 공기와 상대습도가 낮은 공기의 혼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습도가 높은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백연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cooling tower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mixture of relatively low relative humidity air heated by the heating portion and relatively high relative humidity heat exchanged with cooling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from the auxiliary intake port Can be made different. That is,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auxiliary intake port, air having a low relative humidity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flows by a sufficient amount, so that mixing of air having a low relative humidity and air having a low relative humidity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However, in the case of a portion relatively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intake port, for examp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sing, the flow of air having a low relative humidity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can not be made a sufficient amount, The mixing of high air and low relative humidity air can not be efficiently performed. Therefore, air having a relatively high humidity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thereby causing white smok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백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ling tower configured to prevent white smoke more efficientl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와,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고,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 상기 급수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와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및 적어도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와 혼합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전달하는 적어도 1개의 트렌치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 조립체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양단 및 저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트렌치; 및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양단 및 저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트렌치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트렌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트렌치는, 상기 제2트렌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ling tower comprising: a casing having a main intake port and an auxiliary intake port for sucking air, and an exhaust port for exhausting air; A water supply unit located inside the casing and supplying cooling water; A blowing portion that is sucked into the casing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and forms a flow of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through the exhaust port;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cooling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unit and air sucked into the casing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A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cooling water heat-exchanged with air in the heat exchanging part; And at least one trench assembly for transferring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through at least the auxiliary intake port to the inside of the casing so as to be mixed with the air exchanged with the cooling water; Wherein the trench assembly comprises: a first trenc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with openings at both ends and a bottom; A second trenc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with openings at both ends and a bottom surface and stack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trench; And the first trench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onger than the second trench.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보조 흡기구는, 상기 케이싱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일면에만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의 길이는, 상기 보조 흡기구가 구비되는 상기 케이싱의 일면 및 이와 마주보는 상기 케이싱의 타면 사이의 거리의 1/2 이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intake port is provided on only one of two opposite surfaces of the casing, and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are set so that the length of the auxiliary intake port And may be more than a half of a distance between one surface of the casing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casing facing the casing.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보조 흡기구는, 상기 케이싱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일면에만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에는,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전달받는 흡입구,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공기를 전달하는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intake port is provided on only one of two opposing surfaces of the casing, and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are provided with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And a discharge port for transferring air to the inside of the casing.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제1트렌치의 배출구는, 상기 제2트렌치의 배출구에 비하여 상기 보조 흡기구가 구비되는 상기 케이싱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케이싱의 타면에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ort of the first trench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other surface of the casing facing the one surface of the casing in which the auxiliary suction port is provided, as compared with the discharge port of the second trench .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냉각수와 공기의 열교환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 및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와 혼합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보조 흡기구가 구비되는 케이싱; 및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트렌치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 조립체는, 저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트렌치; 및 상기 제1트렌치의 상면과 그 내면이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정의하는 제2트렌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트렌치는, 상기 제2트렌치에 비하여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대적으로 상기 보조 흡기구로부터 더 이격되는 영역으로 안내할 수 있다.Another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oling system comprising: a casing having a main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to be heat-exchanged between cooling water and air is sucked, and an auxiliary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mixed with the heat- And a trench assembly for guiding air sucked into the casing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The trench assembly comprising: a first trench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with a bottom open; And a second trench defining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trench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trench; The first trench may guide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relative to the second trench to a region relatively far from the auxiliary intake port.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제1트렌치에 의하여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by the first trench and the heat exchanged air with the cooling water can be mixed.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에는,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안내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그 양측면 및 상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보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are formed with at least one part of at least one of their both sides and top surfaces being cut away in order to discharge the air sucked and guid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At least one auxiliary outlet may be formed.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에 의하여 안내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unit that heats the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and guided by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는,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위한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와 혼합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보조 흡기구, 및 상기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를 통한 공기의 흡입 및 상기 배기구를 통한 공기의 배출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및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전달하는 트렌치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 조립체는, 양단 및 저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하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트렌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 중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되는 것에 비하여 상기 보조 흡기구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이격되는 영역으로 전달한다.Another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oling tower comprising a main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for heat exchange with cooling water is sucked, an auxiliary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mixed with the heat exchanged air is sucked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and an auxiliary intake port A casing in which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is formed; A blowing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sucking air through the main air inlet and the auxiliary air inlet and discharging air through the air outlet; And a trench assembly for transmitt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to the inside of the casing; Wherein the trench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trenches each formed in a polyhedron shape having openings at both ends and a bottom surface and stacked vertically, wherein the relatively lower portion of the trenches is located relatively upward To a region that is relatively farther away from the auxiliary inlet.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실시예에서는, 가열부에 의하여 가열된 상대적으로 상대습도가 낮은 공기가 트렌치에 의하여 안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냉각수와 열교환된 상대적으로 상대습도가 높은 공기와 상대습도가 낮은 공기와의 혼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냉각탑이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에 따라서 상기 가열부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제2흡기구의 위치가 비대칭 또는 편심되게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트렌치 조립체에 의하여 상기 제2흡기구로부터 이격되는 부분으로 상대습도가 낮은 공기가 안내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백연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vely relatively low-temperature air heated by the heating section is guided by the trench.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ing of the air having relatively high relative humidity and the air having relatively low humidity, which are heat-exchanged with the cooling water,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In particular, when the position of the second intake port, through which the air heated by the heating section is sucked into the casing, is positioned asymmetrically or eccentricall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place where the cooling tower is installed, The air having a low relative humidity is guided to the portion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air outlet. Thus,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reduce the white smoke phenomen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 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1실시예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동작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과의 케이싱 내부의 상대습도 분포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4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5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6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렌치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7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렌치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8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렌치를 보인 사시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member constitut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lative humidity distribution inside the casing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5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ench constituting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ench constituting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ench constituting an eighth embodiment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 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member constitut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1)은, 케이싱(100), 급수부(200), 송풍부(300), 열교환부(400), 집수부(500), 및 트렌치(6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0)은, 상기 냉각탑(1)을 구성하는 구성 부품이 설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200)는, 열교환 대상이 되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부(300)는,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교환부(400)는 상기 급수부(200)에 의하여 급수되는 냉각수와 상기 송풍부(300)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또한 상기 집수부(500)는, 공기와 열교환 냉각수가 집수되는 곳이고, 상기 트렌치 조립체(600)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상기 열교환부(400)에 의하여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효율적으로 혼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1 and 2, a cooling tow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sing 100, a water supply unit 200, a water supply unit 300, a heat exchange unit 400, a water collection unit 500, And a trench 600. The casing (100) defines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oling tower (1) are installed. The water supply unit 200 serves to supply cooling water to be heat-exchanged. The blowing unit 300 serves to flow air to be heat-exchanged with the cooling water. The heat exchanging unit 400 is a place where heat exchange is performed between the cooling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supply unit 300. The trench assembly 600 guides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100, and at the same time, guides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100 to the inside of the casing 100. In addition, And serves to efficiently mix the sucked air and the heat exchanged air with the cooling water by the heat exchanging part (4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싱(100)은, 소정의 형상,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00)에는 주 흡기구(110), 보조 흡기구(120) 및 배기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주 흡기구(110)는 상기 케이싱(100)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보조 흡기구(120)는 상기 케이싱(100)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 상부에 각각 위치된다. 즉, 상기 보조 흡기구(120)는 상기 주 흡기구(110)의 상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130)는 상기 케이싱(100)의 상면 중앙부에 위치된다. 그러나 상기 주 흡기구(110), 보조 흡기구(120) 및 배기구(130)의 위치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 즉, 상기 급수부(200), 송풍부(300), 열교환부(400) 및 집수부(500)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다만, 상기 주 흡기구(110) 및 보조 흡기구(120)는, 상기 케이싱(100)의 양측면 중 동일한 일측면에 위치될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casing 10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for example, a hexahedron shape. The main intake port 110,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and the exhaust port 130 are formed in the casing 100. The main intake port 110 is located at a lower side of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casing 100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is positioned at an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casing 100. That is,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is positioned above the main intake port 110. The exhaust port (13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100). However, the positions of the main intake port 110,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and the exhaust port 130 are not limited to the components installed inside the casing 100, that is, the water supply section 200, the blow- (400) and the collecting part (5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the main intake port 110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may be located on the same side of both sides of the casing 100.

상기 급수부(200)는, 급수관(210) 및 노즐(220)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관(210)은 공기와 열교환될 냉각수가 유동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노즐(220)은 상기 급수관(210)을 유동하는 냉각수가 분사되는 곳이다. 예를 들면, 상기 급수관(210)은, 상기 케이싱(100)의 일면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노즐(220)은, 상기 급수관(210)에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200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210 and a nozzle 220. The water supply pipe 210 is a place where cooling water to be heat-exchanged with air flows. The nozzle 220 is a place where the cool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10 is injected. For example, the water supply pipe 210 is drawn into the casing 100 through one surface of the casing 100, and the nozzles 220 are spaced apart from the water supply pipe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한편 상기 송풍부(300)는, 송풍팬(310) 및 송풍 모터(320)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310)은 실질적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송풍팬(310)이 회전하면, 상기 주 흡기구(110) 및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하고, 냉각수와 열교환한 공기가 상기 배기구(13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송풍팬(310)으로는, 예를 들면, 축류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송풍 모터(320)는 상기 송풍팬(31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송풍팬(310)은, 상기 배기구(13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Meanwhile, the blowing unit 300 includes a blowing fan 310 and a blowing motor 320. The blowing fan 310 substantially serves to flow air. That is, when the blowing fan 310 rotates, air is sucked into the casing 100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110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to perform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100) through the exhaust port (130). As the blowing fan 310, for example, an axial flow fan may be used. The blowing motor 320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blowing fan 310. The blowing fan 3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100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haust port 130.

상기 열교환부(400)는 상기 흡기구(120)에 인접하는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 양측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열교환부(400)는, 상기 급수관(210)의 직하방에 위치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열교환부(40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노즐(22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상기 열교환부(400), 즉 상기 필러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면서 공기와 접촉되어 열교환된다.The heat exchanging part 400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110 adjacent to the intake port 120. The heat exchanging part 400 may be positioned substantially below the water supply pipe 210. For example, the heat exchange unit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ll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ooling water injected from the nozzle 220 substantially flows through the heat exchanging part 400, that is, the surface of the filler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air to be heat-exchanged.

상기 집수부(500)는, 상기 열교환부(400), 즉, 상기 필러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집수부(500)에는 상기 필러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면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냉각수는 공조 시스템(미도시)이나 냉방 시스템(미도시)을 유동하는 작동 유체와 열교환된다.The water collecting part 500 is located below the heat exchanging part 400, that is, the filler. The water collecting part 500 collects cooling water heat exchanged with the air while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filler. The cooling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500 is heat-exchanged with a working fluid flowing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not shown) or a cooling system (not shown).

한편, 상기 트렌치 조립체(600)는,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한다. 또한 상기 트렌치 조립체(600)는, 상기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을 간섭함으로써,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렌치 조립체(600)가 상기 보조 흡기구(120)의 갯수에 대응하는 갯수, 즉 1개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보조 흡기구(120)의 전후 길이에 따라서 다수개의 상기 트렌치 조립체(600)가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trench assembly 600 guides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100 through the auxiliary suction port 120. In addition, the trench assembly 600 interferes with the flow of the heat-exchanged air with the cooling water in the heat exchange unit 400 to be mixed with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100 through the auxiliary inlet port 120 It also plays a role.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trench assemblies 600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the auxiliary intake ports 120, that is, one. Of course, the plurality of trench assemblies 60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렌치 조립체(600)가, 제1 및 제2트렌치(610)(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는, 각각 저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 예를 들면, 저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가 상하로 적층된다. 즉 상기 제1트렌치(610)의 상면에 상기 제2트렌치(620)가 위치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의 그 저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제2트렌치(620)의 저면은 상기 제1트렌치(610)의 상면에 의하여 차폐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트렌치(610)의 상면과, 상기 제2트렌치(620)의 내면에 의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정의된다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트렌치(610)가 상기 제2트렌치(6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는, 상기 케이싱(100)의 양측면 사이의 거리의 1/2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In this embodiment, the trench assembly 600 includes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620.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may be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opened, for example, a hexahedron shap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opene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are vertically stacked. That is, the second trench 62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rench 61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are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to be opene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rench 620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trench 610 As shown in FIG.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define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flows by virtu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rench 6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trench 620.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trench 610 is formed to be relatively longer than the second trench 620. Also,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have a length equal to or longer than 1/2 of the distance between both side surfaces of the casing 100.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에는 흡입구(611)(621) 및 배출구(613)(623)가 각각 구비된다. 실질적으로 개방된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의 양단이 상기 흡입구(611)(621) 및 배출구(613)(623)를 정의한다. 상기 흡입구(611)(621)는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전달받는 곳이고, 상기 배출구(613)(623)는 상기 트렌치 조립체(600)에 의하여 안내되는 공기가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전달되는 곳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흡입구(611)(621)는 상기 보조 흡기구(120)와 연통되고, 상기 배출구(613)(623)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와 연통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흡입구(611)(621)는 상기 보조 흡기구(120)에 인접되게 위치되고, 상기 배출구(613)(623)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611)(621)의 종단면적의 합은, 상기 보조 흡기구(120)의 종단면 이하의 값으로 결정될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are provided with suction ports 611 and 621 and discharge ports 613 and 623, respectively.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which are substantially opened define the inlet port 611 and the outlet port 613 and 623, respectively. The air inlets 613 and 623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ir guided by the trench assembly 6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uxiliary air intake port 120. [ 100). The suction ports 611 and 621 are communicated with the auxiliary suction port 120 and the discharge ports 613 and 623 are communicated with the inside of the casing 100. The suction ports 611 and 621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auxiliary suction port 120 and the discharge ports 613 and 623 are located inside the casing 100. [ The sum of the end surface areas of the intake ports 611 and 621 may be determined to be a value less than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1실시예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동작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과의 케이싱 내부의 상대습도 분포를 보인 단면도이다.FIG. 3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humidity distribution inside the casing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송풍 모터(320)에 의하여 송풍팬(310)이 회전하면, 주 흡기구(110)를 통하여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주 흡기구(11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310)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를 유동한 후 배기구(13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Referring to FIG. 3, when the blowing fan 310 is rotated by the blowing motor 320, air is sucked into the casing 100 through the main air inlet 110.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100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110 flow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ing 100 by the continuous rotation of the blowing fan 310 and then flows through the exhaust port 13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100).

그리고 급수관(210)을 유동하는 냉각수는 노즐(220)에 의하여 분사되어 열교환부(400), 실질적으로 필러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필러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는 냉각수는, 상기 송풍팬(3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주 흡기구(11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접촉하여 열교환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주 흡기구(1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냉각수와의 접촉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상대습도가 증가된다.The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water supply pipe 210 is injected by the nozzle 220 and flows along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part 400, substantially the filler. The cooling water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filler is in heat exchange with the air flowing in the casing 100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110 by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310. Accordingly, the air sucked through the main air inlet 110 is relatively increased in relative humidity by the contact with the cooling water.

한편 상기 송풍팬(310)이 회전하면,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다. 이때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부(400)에 의하여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상대습도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lowing fan 310 rotates, air is sucked into the casing 100 through the auxiliary suction port 120. At this time,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100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has relatively low relative humidity as compared with the air exchanged with the cooling water by the heat exchange unit 400.

다음으로,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트렌치(600), 즉 제1 및 제2트렌치(610)(620)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실질적으로 상기 케이싱(100)의 중앙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보조 흡기구(120)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영역으로 안내된다. 즉,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흡입구(611)(621)를 통하여 전달되어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를 따라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를 따라서 유동되는 공기는, 배출구(613)(623) 및 배출 개구(715)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전달된다. The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is introduced into the casing 100 through the trench 60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And is guided to a region that is relatively spaced from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inclu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That is, the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is transferred through the intake ports 611 and 621 and flows along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The air flowing along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casing 100 through the discharge ports 613 and 623 and the discharge opening 715.

따라서 상기 주 흡기구(110)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를 따라서 유동하는 공기와 효율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가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에 의하여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트렌치(610)에 의하여 상기 보조 흡기구(120)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이격되는 곳으로 공기가 안내되고, 상기 제2트렌치(620)에 의하여 상기 보조 흡기구(120)로부터 상대적으로 덜 이격되는 곳으로 공기가 안내될 수 있다.Therefore, the air sucked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110 and heat-exchanged with the cooling water is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and efficiently mixed with the air flowing along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 Particular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have different lengths so that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is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100 through the casing 100 can be mor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casing 100. That is, the air is guided by the first trench 610 to be relatively farther from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and the second trench 620 is relatively less apart from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The air can be guided to the place where it is.

또한 상기 송풍팬(310)의 회전에 의하여 냉각수와 열교환한 후 상기 배기구(130)를 향하는 공기의 유동이 상기 트렌치 조립체(600), 특히, 상기 제1트렌치(610)에 의하여 간섭됨으로써,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혼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low of the air toward the exhaust port 130 after the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by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310 is interfered by the trench assembly 600 and particularly the first trench 610, Exchanged air and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100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can be more efficiently mixed.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의 경우가 종래의 냉각탑에 비하여 백연 현상의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의 (a)는 트렌치가 구비되지 않는 케이싱 내부의 상대습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1단으로 구성되는 트렌치가 구비되는 케이싱 내부의 상대습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c)는 본 실시예의 케이싱 내부의 상대습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런데, 도 4의 (a) 및 (b)에 비하여 도 4의 (c)에서 상기 배기구(130)를 통하여 상대습도가 높은 공기, 대략 상대습도가 80% 이상인 공기의 배출량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백연 현상은, 상기 배기구(13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발생률이 높아지므로, 본 실시예의 경우가 종래에 비하여 백연 현상의 발생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4,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more effectively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white smoke phenomenon than the conventional cooling tower. More specifically, FIG. 4A shows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casing in which the trench is not provided, and FIG. 4B shows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casing in which the trench is configured in one stage , And FIG. 4 (c) shows the relative humidity inside the cas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4A and 4B, it can be seen that the discharge amount of the air having a relatively high relative humidity and the relative humidity of 80% or more is reduced through the exhaust port 130 in FIG. 4C . However, in the case of the white smoke phenomenon, the higher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30 is, the higher the incidence is. Therefore, the occurrence of the white smoke phenomenon is reduced in this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referred to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2)에서는, 트렌치(600)가 제1 내지 제3트렌치(610)(620)(6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는, 실질적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트렌치(630)가 상기 제2트렌치(620)의 상면에 적층된다. 그리고 상기 제3트렌치(630)는, 상기 제2트렌치(6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5, in the cooling tow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ench 600 includes first to third trenches 610, 620 and 630.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trench 630 is formed in the second trench 620 As shown in FIG. The third trench 630 is formed to be relatively shorter than the second trench 62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3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referred to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3)에서는, 케이싱(100)의 양측면에 각각 주 흡기구(110) 및 보조 흡기구(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흡기구(120)에 각각 인접되게 트렌치(600), 즉 제1 및 제2트렌치(610)(620)가 구비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의 길이가, 상기 보조 흡기구(120) 사이의 거리의 1/2 미만의 값으로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는 각각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트렌치 조립체(600)에 의하여 안내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6, in the cooling tower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intake port 110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sing 100,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10 are adjacent to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to guide air sucked into the casing 100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620 are provided.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may be determined to be less than a half of the distance between the auxiliary intake ports 120.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ake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can be guided by the trench assembly 60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4 및 제5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4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5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3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6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6 are referred to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s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first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냉각탑(4)에서는, 케이싱(10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만 주 흡기구(110) 및 보조 흡기구(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흡기구(120) 상에 가열부(700)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부(700)는,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가열부(700)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하여 트렌치(600)가 구비된다. 상기 트렌치 조립체(600)는 제1 및 제2트렌치(610)(62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상기 가열부(700)가 추가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7, in the cooling tower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intake port 110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are provided on only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casing 100. In this embodiment, the heating unit 700 is provided on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The heating unit 700 serves to heat air sucked into the casing 100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Also, in this embodiment, a trench 600 is provided to guide the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and heated by the heating unit 700 into the casing 100. The trench assembly 600 includes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That is, this embodiment can be said that the heating unit 700 is add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각탑(5)에서는, 케이싱(100)의 야측면에 각각 주 흡기구(110) 및 보조 흡기구(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각각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70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가열부(700)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하여 트렌치(600)가 구비된다. 상기 트렌치 조립체(600)는 제1 및 제2트렌치(610)(62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상기 가열부(700)가 추가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8, in the cooling tower 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intake port 110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are provided on the night side of the casing 100, respectively. And a heating unit 700 for heating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100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respectively. Also in this embodiment, a trench 600 is provided to guide the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and heated by the heating unit 700 into the casing 100. The trench assembly 600 includes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That is, this embodiment can be said that the heating unit 700 is added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6 내지 및 제7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ixth to seventh embodiments of the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6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렌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7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렌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냉각탑의 제8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렌치를 보인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ench constituting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ench constituting a cooling tow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ench constituting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cooling tower.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는, 트렌치(600), 즉 제1 및 제2트렌치(610)(620)의 양측면에 다수개의 보조 배출구(615)(625)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배출구(615)(625)는,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에 의하여 안내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곳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의 양측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조 배출구(615)(625)의 갯수 및 위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보조 배출구(615)(625)는,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 배출구(615)(625)의 형상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장방형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9,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uxiliary outlets 615 and 62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rench 60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 The auxiliary outlets 615 and 625 are located in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where the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and discharged by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is discharged, A part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trenches 610 and 620 is formed by being cut.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auxiliary outlets 615 and 625 are not limited as shown in FIG. That i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uxiliary outlets 615 and 625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Further, the shape of the auxiliary discharge ports 615 and 625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트렌치(610)(620)의 상면에 다수개의 보조 배출구(617)(627)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배출구(617)(627)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보조 배출구(617)(627)과 동일하게, 보조 흡기구(120)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에 의하여 안내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배출구(617)(627)가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610)(620)의 상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1트렌치(610)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 배출구(617)(627)는, 상기 제2트렌치(620)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1트렌치(6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조 배출구(617)(627)의 갯수 및 형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10, a plurality of auxiliary outlets 617 and 627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in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outlets 617 and 627 are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120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10 in the same manner as the auxiliary outlets 617 and 627 of the six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20). ≪ / RTI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outlets 617 and 627 are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610 and 620. The auxiliary outlets 617 and 627 provided in the first trench 6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rench 610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trench 620. Of course, the number and shape of the auxiliary outlets 617 and 627 will not be limited as shown in FIG.

마지막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서는, 제1트렌치(610)의 양측면이 흡입구(611)에서 배출구(613)을 향하여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즉, 상기 제1트렌치(610)의 양측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Finally, referring to FIG. 11, in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trench 610 are gradually reduced in sectional area from the suction port 611 toward the discharge port 613. That is,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trench 610 ar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트렌치 조립체가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의 명칭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제2트렌치는, 상기 제1트렌치에 의하여 저면이 차폐되므로, 상기 제1트렌치를 트렌치라 명명하고, 상기 제2트렌치를 덕트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렌치 조립체 및 덕트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를 가이드 부재로 명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trench assembly is described as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but the names of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are not limited thereto. That is,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rench is substantially shielded by the first trench, the first trench may be called a trench, and the second trench may be called a duct. And a component including the trench assembly and the duct may be referred to as a guide member.

Claims (11)

공기의 흡입을 위한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와,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고,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
상기 급수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와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및
적어도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와 혼합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전달하는 적어도 1개의 트렌치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 조립체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양단 및 저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트렌치; 및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양단 및 저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트렌치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트렌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트렌치는, 상기 제2트렌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냉각탑.
A casing having a main intake port and an auxiliary intake port for intake of air and an exhaust port for exhausting air;
A water supply unit located inside the casing and supplying cooling water;
A blowing portion that is sucked into the casing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and forms a flow of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through the exhaust port;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cooling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unit and air sucked into the casing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A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cooling water heat-exchanged with air in the heat exchanging part; And
At least one trench assembly for transferring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through at least the auxiliary intake port to the inside of the casing so as to be mixed with the air exchanged with the cooling water; Lt; / RTI >
The trench assembly includes:
A first trenc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having both ends and a bottom open; And
A second trenc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with openings at both ends and a bottom surface and stack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trench; Lt; / RTI >
Wherein the first trench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second trench.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흡기구는, 상기 케이싱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일면에만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의 길이는, 상기 보조 흡기구가 구비되는 상기 케이싱의 일면 및 이와 마주보는 상기 케이싱의 타면 사이의 거리의 1/2 이상인 냉각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intake port is provided on only one of two opposing surfaces of the casing,
Wherein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is at least a half of a distance between one surface of the casing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casing facing the auxiliary intake 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흡기구는, 상기 케이싱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일면에만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에는,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전달받는 흡입구,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공기를 전달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냉각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intake port is provided on only one of two opposing surfaces of the casing,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are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for receiving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suction port and an outlet for delivering air into the ca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렌치의 배출구는, 상기 제2트렌치의 배출구에 비하여 상기 보조 흡기구가 구비되는 상기 케이싱의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케이싱의 타면에 인접되게 위치되는 냉각탑.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utlet of the first trench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other surface of the casing facing the one surface of the casing in which the auxiliary intake port is provided as compared to the outlet of the second trench.
냉각수와 공기의 열교환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 및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와 혼합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보조 흡기구가 구비되는 케이싱; 및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트렌치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 조립체는,
저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트렌치; 및
상기 제1트렌치의 상면과 그 내면이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정의하는 제2트렌치; 를 포함하는 냉각탑.
상기 제1트렌치는, 상기 제2트렌치에 비하여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대적으로 상기 보조 흡기구로부터 더 이격되는 영역으로 안내하는 냉각탑.
A casing having a main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to be heat-exchanged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the air is sucked, and an auxiliary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mixed with the heat-exchanged air is sucked; And
A trench assembly for guiding air sucked into the casing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Lt; / RTI >
The trench assembly includes:
A first trench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having a bottom open; And
A second trench defining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trench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
Wherein the first trench guides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relative to the second trench to a region further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intake port.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렌치에 의하여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냉각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by the first trench and the air exchanged with the cooling water are mixed.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에는,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안내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그 양측면 및 상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보조 배출구가 형성되는 냉각탑.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7, and 6,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are formed with at least one auxiliary outlet formed by cutting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f both sides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in order to discharge the air sucked and guid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트렌치에 의하여 안내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냉각탑.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7, and 6,
And a heating unit which is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and heats the air guided by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위한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와 혼합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보조 흡기구, 및 상기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를 통한 공기의 흡입 및 상기 배기구를 통한 공기의 배출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및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전달하는 트렌치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 조립체는, 양단 및 저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하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트렌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 중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되는 것에 비하여 상기 보조 흡기구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이격되는 영역으로 전달하는 냉각탑.
A casing having a main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for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is sucked, an auxiliary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mixed with the heat exchanged air is sucked, and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A blowing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sucking air through the main air inlet and the auxiliary air inlet and discharging air through the air outlet; And
A trench assembly for transferring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intake port to the inside of the casing; Lt; / RTI >
Wherein the trench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trenches each formed in a polyhedron shape having openings at both ends and a bottom surface and stacked up and down,
Wherein the cooling tanks are relatively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intake ports as compared to the relatively lower ones located above the trenches.
KR1020130092387A 2013-05-20 2013-08-05 Cooling tower KR1014832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387A KR101483200B1 (en) 2013-08-05 2013-08-05 Cooling tower
CN201310593754.8A CN104180683B (en) 2013-05-20 2013-11-21 Cooling t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387A KR101483200B1 (en) 2013-08-05 2013-08-05 Cooling to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200B1 true KR101483200B1 (en) 2015-01-15

Family

ID=5258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387A KR101483200B1 (en) 2013-05-20 2013-08-05 Cooling t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20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629B1 (en) * 2016-02-12 2017-08-09 (주)휴텍 A air mixer for vapor reduction
KR20190062748A (en) 2017-11-29 2019-06-07 (주) 성심엘앤디 Energy saving cooling tower
KR102030664B1 (en) 2018-12-03 2019-10-10 구태준 Cooling tower of module type
KR20190138990A (en) 2018-06-07 2019-12-17 주식회사 경인기계 Plume abatement cooling tow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5895A (en) * 1988-03-07 1989-09-08 Shinwa Sangyo Kk Cross-flow cooling tower having white smoke prevention function
KR20100117249A (en) * 2009-04-24 2010-11-03 송상영 Dehuminator
KR20120028181A (en) * 2010-09-14 2012-03-22 주식회사 경인기계 Counter flow type cooling tover preventing plu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5895A (en) * 1988-03-07 1989-09-08 Shinwa Sangyo Kk Cross-flow cooling tower having white smoke prevention function
KR20100117249A (en) * 2009-04-24 2010-11-03 송상영 Dehuminator
KR20120028181A (en) * 2010-09-14 2012-03-22 주식회사 경인기계 Counter flow type cooling tover preventing plu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629B1 (en) * 2016-02-12 2017-08-09 (주)휴텍 A air mixer for vapor reduction
KR20190062748A (en) 2017-11-29 2019-06-07 (주) 성심엘앤디 Energy saving cooling tower
KR20190138990A (en) 2018-06-07 2019-12-17 주식회사 경인기계 Plume abatement cooling tower
KR102030664B1 (en) 2018-12-03 2019-10-10 구태준 Cooling tower of module type
US11506456B2 (en) 2018-12-03 2022-11-22 Tae-June GU Modular cooling to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200B1 (en) Cooling tower
JP2013019596A (en) Heat exchanger, indoor unit, and outdoor unit
JPWO2017073096A1 (en)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nd indoor unit
KR20180137660A (en) Plume abatement cooling tower
KR101483195B1 (en) Cooling tower
JPWO2020039513A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N101625143B (en) Multi-functional ventilation fan
KR101504261B1 (en) Cooling tower and heat exchanging system using ventilator for basement
JP5386849B2 (en) Heat exchange device and heating element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KR102217509B1 (en) Plume abatement cooling tower
KR101862556B1 (en) Cross flow type cooling tow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60108853A (en) Cross-flow type cooling tower with plume abatment function
KR102247379B1 (en) Counter flow type of cooling tower
KR20160020786A (en) Cooling tower and cooling system
JP5389076B2 (en) Blower and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KR102217511B1 (en) Plume abatement cooling tower
JP2011237113A (en) Heat exchanging apparatus
KR100471438B1 (en) The condenser's cooling system of an air-conditioner
KR20150016669A (en) Cooling tower
KR101399081B1 (en) Air Conditioner
KR20040085965A (en) The condenser's cooling system of an air-conditioner
CN103727590A (en) Vertical air conditioning indoor machine
CN215523580U (en) Integrated kitchen air conditioner
JPWO2019116820A1 (en) Air conditioner
CN104180683B (en) Cooling t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