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113B1 - 유체흐름 방향 변화에 의한 냉난방 모드 전환 구성의 개방형 지중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유체흐름 방향 변화에 의한 냉난방 모드 전환 구성의 개방형 지중열교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3113B1 KR101483113B1 KR20130105305A KR20130105305A KR101483113B1 KR 101483113 B1 KR101483113 B1 KR 101483113B1 KR 20130105305 A KR20130105305 A KR 20130105305A KR 20130105305 A KR20130105305 A KR 20130105305A KR 101483113 B1 KR101483113 B1 KR 1014831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mp
- supply pipe
- pipe
- fluid
- heart pum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6—Heat pumps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low potential hea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geotherm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3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three-way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난방모드에서는 유체는 채움재(400)로 흘러들어가고, 상측 차단부재(310)는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 사이를 폐쇄함과 동시에 하측 차단부재(310)는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 사이를 개방하여, 공급관(10)의 하부 유입공(11)을 통해 공급관(10) 내로 유입되는 유체를 심정펌프(30)가 펌핑하여 송출하고; 냉방모드에서는 회수관(20)으로부터의 유체는 공급관(10)의 내부로 공급되어 아래로 흐르고, 상측 차단부재(310)는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 사이를 개방함과 동시에 하측 차단부재(310)는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 사이를 폐쇄하여, 공급관(10)의 상부 유입공(12)을 통해 공급관(10) 내로 유입되는 유체를 심정펌프(30)가 펌핑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중열교환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지중열교환기가 지중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지중열교환기에 구비되는 유체흐름제어 개폐조립체의 일예가 심정펌프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지중열교환기의 심정펌프에 구비된 상태의 개폐조립체를 일부 구성에 대해서만 단면 형태로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개폐조립체에서 하측 차단부재가 팽창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폐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개폐조립체에서 상측 차단부재가 팽창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폐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상측 차단부재 및 하측 차단부재가 링형상의 풍선부재로 이루어져서 심정펌프 외면에 구비된 경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띠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상측 차단부재 및 하측 차단부재가 구비된 심정펌프가 공급관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띠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상측 차단부재 및 하측 차단부재가 구비된 심정펌프가 공급관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흡입구 위쪽은 폐쇄되고 아래쪽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띠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상측 차단부재 및 하측 차단부재가 구비된 심정펌프가 공급관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흡입구 위쪽은 개방되고 아래쪽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지중열교환기가 난방모드로 작동할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지중열교환기가 냉방모드로 작동할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20: 회수관
30: 심정펌프
21: 흐름변환장치
210: 연통관
220: 상부유입관
310: 상측 차단부재
320: 하측 차단부재
Claims (6)
- 히트펌프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개방형 지중열교환기로서,
우물공(100) 내에 설치된 공급관(10), 우물공(100)에 채워진 채움재(400), 흡입구(32)로 유체를 흡입하여 송출하는 심정펌프(30), 히트펌프와 연결되어 히트펌프로부터 유체가 흘러오게 되는 회수관(20), 및 히트펌프로 유체를 송출하는 송출관(31)을 포함하며;
공급관(10)의 하부와 상부에는 각각 하부 유입공(11) 및 상부 유입공(12)이 형성되어 있고;
회수관(20)은, 히트펌프로부터 흘러오는 유체를 채움재(400)의 상부로 유입시키는 상부유입관(220)과, 히트펌프로부터 흘러오는 유체를 공급관(1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공급관(10)과 연통된 연통관(210)과, 히트펌프로부터 흘러오는 유체가 선택적으로 상부유입관(220) 또는 연통관(210)에 흐르게 하는 흐름변환장치(21)를 포함하며;
공급관(10) 내에 심정펌프(30)가 배치되었을 때 흡입구(32)의 위쪽 위치에는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 사이를 개폐하는 상측 차단부재(310)가 설치되어 있고, 흡입구(32)의 아래쪽 위치에는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 사이를 개폐하는 하측 차단부재(320)가 설치되어 있어서;
난방모드에서는 흐름변환장치(21)에 의해 연통관(210)은 폐쇄되고 상부유입관(220)은 개방되어 회수관(20)으로부터의 유체는 채움재(400)로 흘러들어가고, 상측 차단부재(310)는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 사이를 폐쇄함과 동시에 하측 차단부재(320)는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 사이를 개방하여, 공급관(10)의 하부 유입공(11)을 통해 공급관(10) 내로 유입되는 유체를 심정펌프(30)가 펌핑하여 송출관(31)으로 송출하고;
냉방모드에서는 흐름변환장치(21)에 의해 상부유입관(220)은 폐쇄되고 연통관(210)은 개방되어 회수관(20)으로부터의 유체는 공급관(10)의 내부로 공급되어 아래로 흐르고, 상측 차단부재(310)는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 사이를 개방함과 동시에 하측 차단부재(320)는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 사이를 폐쇄하여, 공급관(10)의 상부 유입공(12)을 통해 공급관(10) 내로 유입되는 유체를 심정펌프(30)가 펌핑하여 송출관(31)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중열교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차단부재(310)는, 심정펌프(30)의 흡입구(32)의 위쪽 위치에서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1고정 링부재(311)와 제1승하강 링부재(312), 그리고 상기 제1고정 링부재(311)와 제1승하강 링부재(312) 사이를 연결시키면서 심정펌프(3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심정펌프(30)의 외면바깥쪽 방향으로 구부러졌다가 다시 평평하게 펴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상측 차단판(310a)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 차단부재(320)는, 심정펌프(30)의 흡입구(32)의 아래쪽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2승하강 링부재(322)와 제2고정 링부재(321), 그리고 상기 제2고정 링부재(321)와 제2승하강 링부재(322) 사이를 연결시키면서 심정펌프(3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심정펌프(30)의 외면바깥쪽 방향으로 구부러졌다가 다시 평평하게 펴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하측 차단판(320a)을 포함하며;
제1승하강 링부재(312)와 제2승하강 링부재(322)는 연동빔(33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제2승하강 링부재(322)가 하강하게 되면 하측 차단판(320a)이 구부러져서 공급관(10)의 내면에 밀착되어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 사이를 폐쇄하지만, 그와 동시에 제1승하강 링부재(312) 역시 하강하면서 상측 차단판(310a)이 펴지게 되어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 사이가 개방되며;
제2승하강 링부재(322)가 상승하게 되면 하측 차단판(320a)이 펴져서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 사이가 개방되지만, 그와 동시에 제1승하강 링부재(312) 역시 상승하면서 상측 차단판(310a)이 구부러져서 공급관(10)의 내면에 밀착되어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 사이를 폐쇄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중열교환기.
- 제2항에 있어서,
심정펌프(30)의 하부에는 외면 나사부를 가지는 회전나사부재(35)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승하강 링부재(322)는 상기 회전나사부재(35)의 외면 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회전나사부재(35)의 회전에 따라 제2승하강 링부재(322)가 승하강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중열교환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흐름변환장치(21)는 삼상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중열교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차단부재(310)와 상기 하측 차단부재(320)는 각각 링형상의 풍선부재로 이루어져서, 공압이나 유압이 주입되면 팽창되어 공급관(10)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고, 공압이나 유압이 낮아지면 공급관(10)의 내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중열교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측 차단부재(310) 및 하측 차단부재(320)는, 각각 심정펌프(30)의 흡입구(32) 위쪽과 아래쪽에서 각각 심정펌프(30)를 감도록 구비되는 차단 띠 부재(340); 및 상측 차단부재(310)의 차단 띠 부재(340)와 하측 차단부재(320)의 차단 띠 부재(340) 사이의 간격 이상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공급관(10)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차단 띠 부재(340)와 각각 수밀하게 밀착되는 링 형상을 가진 한 쌍의 결합 단턱 부재(101)로 구성되며;
심정펌프(30)가 위쪽으로 인상되면, 심정펌프(30)의 흡입구(32) 위쪽에 위치하는 차단 띠 부재(340)가 흡입구(32) 위쪽에 배치된 결합 단턱 부재(101)와 밀착함으로써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의 내면 사이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심정펌프(30)의 흡입구(32) 아래쪽에 위치하는 차단 띠 부재(340)가 흡입구(32) 아래쪽에 배치된 결합 단턱 부재(101)와 분리된 상태에 있게 되어 흡입구(32)의 아래쪽으로는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의 내면 사이가 개방되며;
반대로 심정펌프(30)가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심정펌프(30)의 흡입구(32) 위쪽에 위치하는 차단 띠 부재(340)가 흡입구(32) 위쪽에 배치된 결합 단턱 부재(101)는 서로 떨어지게 되어 흡입구(32)의 위쪽으로는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의 내면 사이가 개방됨과 동시에 심정펌프(30)의 흡입구(32) 아래쪽에 위치하는 차단 띠 부재(340)와 흡입구(32) 아래쪽에 배치된 결합 단턱 부재(101)는 서로 밀착되면서 흡입구(32)의 아래쪽에서 심정펌프(30)와 공급관(10)의 내면 사이를 폐쇄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중열교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5305A KR101483113B1 (ko) | 2013-09-03 | 2013-09-03 | 유체흐름 방향 변화에 의한 냉난방 모드 전환 구성의 개방형 지중열교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5305A KR101483113B1 (ko) | 2013-09-03 | 2013-09-03 | 유체흐름 방향 변화에 의한 냉난방 모드 전환 구성의 개방형 지중열교환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3113B1 true KR101483113B1 (ko) | 2015-01-15 |
Family
ID=5258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05305A Active KR101483113B1 (ko) | 2013-09-03 | 2013-09-03 | 유체흐름 방향 변화에 의한 냉난방 모드 전환 구성의 개방형 지중열교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311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03198A1 (ko) * | 2015-06-30 | 2017-01-0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심도가변형 지열정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다중온도지열 회수방법 |
KR20190043657A (ko) * | 2017-10-18 | 2019-04-29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심부 지열 냉온 공용 지열공 구조 및 상기 심부 지열 냉온 공용 지열공 구조를 포함하는 냉수 및 스팀 동시 생산용 캐스케이드 열펌프 시스템 |
KR20230088582A (ko) | 2021-12-10 | 2023-06-20 | 지오릿에너지(주) | 개선된 유체 유동 방식을 가지는 지중 열교환기 |
KR20230089585A (ko) | 2021-12-13 | 2023-06-21 | 지오릿에너지(주) | 개선된 유체 유동 방식을 가지는 지중 열교환기 및 이의 운용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6167B1 (ko) | 2009-11-06 | 2010-06-28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점감결합부를 구성한 지열 열교환기장치 및 구성방법 |
-
2013
- 2013-09-03 KR KR20130105305A patent/KR10148311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6167B1 (ko) | 2009-11-06 | 2010-06-28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점감결합부를 구성한 지열 열교환기장치 및 구성방법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03198A1 (ko) * | 2015-06-30 | 2017-01-0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심도가변형 지열정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다중온도지열 회수방법 |
KR101753110B1 (ko) * | 2015-06-30 | 2017-07-0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심도가변형 지열정 파이프 |
KR20190043657A (ko) * | 2017-10-18 | 2019-04-29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심부 지열 냉온 공용 지열공 구조 및 상기 심부 지열 냉온 공용 지열공 구조를 포함하는 냉수 및 스팀 동시 생산용 캐스케이드 열펌프 시스템 |
KR101994144B1 (ko) * | 2017-10-18 | 2019-07-01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심부 지열 냉온 공용 지열공 구조 및 상기 심부 지열 냉온 공용 지열공 구조를 포함하는 냉수 및 스팀 동시 생산용 캐스케이드 열펌프 시스템 |
KR20230088582A (ko) | 2021-12-10 | 2023-06-20 | 지오릿에너지(주) | 개선된 유체 유동 방식을 가지는 지중 열교환기 |
KR102627465B1 (ko) * | 2021-12-10 | 2024-01-22 | 지오릿에너지(주) | 개선된 유체 유동 방식을 가지는 지중 열교환기 |
KR20230089585A (ko) | 2021-12-13 | 2023-06-21 | 지오릿에너지(주) | 개선된 유체 유동 방식을 가지는 지중 열교환기 및 이의 운용방법 |
KR102627473B1 (ko) * | 2021-12-13 | 2024-01-22 | 지오릿에너지(주) | 개선된 유체 유동 방식을 가지는 지중 열교환기 및 이의 운용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3113B1 (ko) | 유체흐름 방향 변화에 의한 냉난방 모드 전환 구성의 개방형 지중열교환기 | |
CN205636766U (zh) | 气动式嵌套抽水装置 | |
JP4608598B1 (ja) | 球体循環装置 | |
US9850747B2 (en) | Fissured substrata water pumping apparatus and method | |
JP6019822B2 (ja) | 地下水の排水装置及び方法 | |
CN107131779A (zh) | 一种地温能换热器及其安装方法 | |
CN205636765U (zh) | 充气式自吸降水井 | |
CN203978273U (zh) | 碳酸盐岩及硬质岩石地埋管钻孔及灌浆装置 | |
CN206529787U (zh) | 多筒基桁架式海上风电基础结构 | |
KR101483114B1 (ko) | 열교환 효율 향상을 위한 난류형성 촉진 구성의 개방형 지중열교환기 | |
KR101109518B1 (ko) | 배수용 수중펌프 | |
KR20190109079A (ko) | 지중열 교환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 |
FI73073C (fi) | Borrhaolslager. | |
CN103542159A (zh) | 排气阀 | |
KR101483112B1 (ko) | 개방형 지중열교환기의 심정펌프와 공급관 사이의 간격 개폐를 위한 개폐조립체 | |
CN111457607A (zh) | 一种水源热泵地下水回灌系统 | |
CN110447513A (zh) | 一种地埋式伸缩一体化灌溉设备及其使用方法 | |
CN216204421U (zh) | 一种移动式地热回灌站 | |
KR20170057548A (ko) | 자분형 개방형 지열공 지하수 순환시스템 | |
CN212299511U (zh) | 一种水源热泵地下水回灌系统 | |
KR101522635B1 (ko) | 증가된 유효 열교환길이를 가지는 상향 유체흐름 방식의 개방형 지중열교환기 | |
CN110409561B (zh) | 一种气动式地下水封闭抽灌装置 | |
CN211038950U (zh) | 一种水泵排水装置 | |
CN210859164U (zh) | 一种新型水泵排水装置 | |
CN107762449A (zh) | 一种小孔径深孔排水装置及排水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