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493B1 -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 Google Patents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493B1
KR101482493B1 KR20140013641A KR20140013641A KR101482493B1 KR 101482493 B1 KR101482493 B1 KR 101482493B1 KR 20140013641 A KR20140013641 A KR 20140013641A KR 20140013641 A KR20140013641 A KR 20140013641A KR 101482493 B1 KR101482493 B1 KR 101482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livestock
tag
ear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20140013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1Ear-ta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의 귀에 부착하여 그 해당 동물의 이력을 체크하되 해당 가축에 부착된 이표를 탈거하여 다른 가축에 부착하는 위조 및 변조등의 불법적인 행위를 적극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상황에 따라 부착된 이표를 절단도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절단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가축물의 귀에 부착하여 이력을 관리하기 위해 해당 가축물의 귀를 사이에 놓고 숫기판(10)과 암기판(20)을 상호 관통 체결하며, 상기 이표(100)는 일 측에 숫바코드(11)가 인쇄되고 타 측에 핀수용부(12)가 구비된 숫기판(10)과, 일 측에 숫기판(10)과 동일한 암바코드(21)가 인쇄되고 타 측에 결속부(22)가 구비된 암기판(20)과, 핀수용부(12)에 인입되어 해당 축산물의 피부를 관통하는 관통핀(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핀수용부(12)는 숫기판(10)의 내 측면으로부터 원통의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홈(13)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13)에 관통핀(30)이 인입되어 숫기판(10)과 관통핀(30)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이표(100)는 관통핀(30)에 구비된 절단부(36)에 절단도구(300)를 사용하면 손쉽게 숫기판(10)과 암기판(20)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따라 간혹 가축물이 축사의 울타리 틈에 머리가 끼었을 시, 해당 축산물의 귀(1)로부터 이표(100)를 빠르게 탈거하여 울타리에 이표가 걸려 귀가 찢어지는 상황을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표는 소재의 특성상 인장력을 조절하여 여러종류의 가축물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절단되어 탈거된 이표(100)는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관통핀(30)의 특성상 본드와 같은 접찹부재로 완벽하고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재사용 및 해당 가축물이 아닌 타 가축물에 부착하는 위조나 변조등과 같은 불법 교체 행위를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Prevention of forgery for domestic animal tag}
본 발명은 가축의 귀에 부착하여 그 해당 동물의 이력을 체크하는 가축용 이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당 가축에 부착된 이표를 탈거하여 다른 가축에 부착하는 위조 및 변조등의 불법적인 행위를 적극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해당 가축물이 축사 및 울타리등의 틈사이로 머리가 끼었을 때 이표를 절단하여 손쉽게 탈거가 이루어짐으로써 가축의 귀를 보호하고, 특히 인장력을 조절하여 여러 종류의 가축에 사용이 용이로운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각종 식자재의 상품 정보 및 원산지를 속여파는 사람들로 인해 많은 소비자들이 의구심을 가지며 불안한 마음으로 상품을 구매하게 되었다.
특히, 축산물의 구매가 더욱 신중하게 이루어지는 계기로서 최근에 발생한 광우병과 구제역 같은 소나 돼지의 병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소고기 및 돼지고기에 대해 좋지 않은 편견을 갖게 됐고, 또한 병든 소나 돼지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소고기 및 돼지고기를 식용함으로써 발생할지 모르는 건강상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해당 육류를 꺼리게 되었다.
이에따라, 축산업자를 비롯한 유통업자들은 본인이 판매하는 제품이 안전하다는 것을 명시하기 위해, 가축물의 출생에서부터 도축, 가공, 판매에 이르기까지 모든 정보를 기록, 관리하여 위생 및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이력을 추적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가축물의 이력이 내장되어 있는 바코드 인식표를 해당 가축물의 출생과 동시에 귀에 부착하는 축산물 이력제가 실시되고 있다.
상기 바코드 인식표(이하 "이표"라 통칭함)를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날카로운 관통핀이 포함된 숫기표를 해당 축산물의 귀 뒷면에 관통하여 부착하고, 귀 앞 측으로 관통 돌출된 관통핀에 이를 채결할 수 있도록 걸림턱을 포함한 암기표를 상호채결함으로써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귀에 부착된 이표는 멀리서도 쉽게 육안 식별이 가능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이표는 간편한 구성에도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는데 그 일례로 이표가 부착된 가축물이 상황에 따라 축사의 울타리의 틈 사이로 머리가 끼였을 때, 가축이 반사적으로 머리를 빼기위해 몸과 머리를 뒤로 당기게 되므로 이표가 울타리에 걸려서 귀가 찢어지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간혹 상기와 같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표의 재질을 대부분 플라스틱이나 연성이 좋은 고무 및 실리콘을 소재로 사용하며, 이런 소재로 구성되는 이표는 상황에 따라 숫기표와 암기표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관통핀 부분을 절단도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절단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하지만, 손쉽게 절단되는 이표는 소재의 특성상 본드나 각종 접착부재를 도포하여 절단된 양면을 서로 압착하면 감쪽같이 접합이 이루어지며, 근래에는 이러한 특징을 악용하여 해당 가축물에 부착된 이표를 절단하여 병에 걸린 가축이라던지, 원산지가 다른 가축물에 다시 접합하여 부착해 출하하는 등 이표를 불법적으로 교체하는 위조 및 변조 행위가 적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이표의 절단을 방지하는 이표가 제공되고 있으며, 예컨대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2048호 "위조 및 변조 방지 동물용 귀표"등이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 기술 사상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우 복잡한 구조로 대량 생산에 한계가 있고, 특히 위조 및 변조의 목적에만 집중하여 이표의 부득이한 탈거가 이루어져야 할 때 탈거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숫기판에 구비된 관통핀을 일체형으로 구비하되 관통핀의 어느 한 부분에 절단부를 구비하여, 상황에 따라 절단부에 절단도구를 사용하여 손쉽게 절단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관통핀을 경도가 높은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절단된 숫기판과 암기판을 접착부재를 통해 상호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이표(100)는 일 측에 숫바코드(11)가 인쇄되고 타 측에 핀수용부(12)가 구비된 숫기판(10)과 ,일 측에 숫기판(10)과 동일한 암바코드(21)가 인쇄되고 타 측에 결속부(22)가 구비된 암기판(20)과, 핀수용부(12)에 인입되어 해당 축산물의 피부를 관통하는 관통핀(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핀수용부(12)는 숫기판(10)의 내 측면으로부터 원통의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홈(13)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13)에 관통핀(30)이 인입되어 숫기판(10)과 관통핀(30)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핀(30)은 해당 가축물의 피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부재로, 구성요소로는 크게 원통형태의 몸체(31);와, 공격부재(32);와, 제1걸림턱(33);과, 요철부(34);와, 제2걸림턱(35);과, 절단부(36);와, 제3걸림턱(37);을 포함한 것으로,
상기 원통형태로 이루어진 몸체(31)는 단부측에 가축의 피부를 뚫기 위한 원뿔형상의 공격부재(32)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몸체(31)보다 넓고 두께가 있는 원형의 제3걸림턱(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격부재(32)의 원뿔면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구성되는 몸체(31)로 인해 제1걸림턱(33)이 형성되고, 제1걸림턱(33)으로부터 일정간격만큼 벗어나 원형으로 형성되는 공격부재와 동일한 크기와 두께가 있는 제2걸림턱(35)이 형성되고, 제1걸림턱(33)과 제2걸림턱(35) 사이의 형성된 일정간격을 요철부(34)라 지칭하고, 요철부(34)와 제3걸림턱(37) 사이 중간지점에 절단부(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36)는 해당 가축물의 귀(1)에 관통 체결하여 부착된 이표(100)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통핀(30)의 몸체보다 얇은 지름으로 구성되며, 절단도구(300)를 사용하여 커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핀(30)의 몸체(31)는 제3걸림턱(37)으로부터 요철부(34)까지 내부에 중공부(3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핀(30)은 소재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핀수용부(12)는 단부측에 원뿔형태의 연장부재(14)를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재(14)는 원뿔의 뾰족한 부분으로부터 1/3부분을 절개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수용부(12)는 연장부재(14)의 절개된 단면으로부터 관통핀(30)과 대응하는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수용홈(13)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핀(30)은 제3걸림턱(37)을 기점으로 핀수용부에 구비된 수용홈(13)에 인입되되, 관통핀(30)의 제1걸림턱(33)이 핀수용부(12)의 연장부재(14)에 절개된 단면과 접촉하여 공격부재(32)가 수용홈(13)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관통핀(30)에 구비된 절단부(36)에 절단도구(300)를 사용하면 손쉽게 숫기판(10)과 암기판(20)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간혹 가축물이 축사의 울타리 틈에 머리가 끼었을 시, 해당 축산물의 귀(1)로부터 이표(100)를 빠르게 탈거하여 울타리에 이표가 걸려 귀가 찢어지는 상황을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표는 소재의 특성상 인장력을 조절하여 여러종류의 가축물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단되어 탈거된 이표(100)는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관통핀(30)의 특성상 본드와 같은 접찹부재를 사용해도 완벽하고 접합이 되지 않기 때문에 재사용 및 해당 가축물이 아닌 타 가축물에 부착하는 위조나 변조등과 같은 불법 교체 행위를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좌측이표와 우측이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관통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표가 가축물의 귀에 부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5는 가축물 귀에 부착이 완료된 사용상태도.
도 6은 가축물 귀에 부착된 이표를 절단도구의 사용으로 절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좌측이표와 우측이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관통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표가 가축물의 귀에 부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가축물 귀에 부착이 완료된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가축물 귀에 부착된 이표를 절단도구의 사용으로 절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해당 가축에 부착된 이표를 탈거하여 다른 가축에 부착하는 위조 및 변조등의 불법적인 행위를 적극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상황에 따라 부착된 이표를 절단도구의 이용으로 손쉽게 절단이 가능한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100)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통상, 축산물의 품질을 증명하기 위하여 해당 축산물의 원산지와 출생년도 및 성장과정을 비롯한 도축, 가공,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 할 수 있도록, 해당 축산물의 어느 한 부분에 이력 관리용 바코드 인식표(이하 "이표"라 통칭함)를 필히 부착해야되는 축산물 품질 평가원의 지침이 내려왔다. 이는 곧 해당 축산물의 유통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원산지 허위표시나 둔갑판매 등이 방지되고, 판매되는 축산물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 수 있어 소비자가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음을 위한 정책이다.
상기 이표(100)는 대부분 식별이 용이한 해당 가축물의 귀부분에 부착이 이루어지며, 해당 가축물이 출생하자마자 검사 후 바로 부착이 실시되고, 한번 부착이 이루어지면 해당 가축물이 최종 유통이 완료 될 때 까지 제거할 수 없다. 만약 해당 가축물의 머리가 사육장의 울타리에 끼이거나 그 외에 부착된 이표를 탈거해야만 하는 불가피한 상황에서는 제거 후, 즉시 이표를 새로 발급받아 부착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불가피하게 부착된 이표를 절단하여 탈거하기 위해 종래의 이표는 구성요소의 대부분이 고무나 실리콘, 연성이 좋은 플라스틱으로 생산되어 제공되어 왔다. 하지만, 축산업자들은 이러한 소재의 특징을 역이용하여 품질 좋은 축산물의 이표를 절단하여 탈거 한 후, 병들거나 품질 등급이 낮은 축산물에 본드와 같은 접착부재로 몰래 붙여 유통하는 위조 및 변조와 같은 불법적인 행위를 일삼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본 발명의 이표는 종래의 구성요소 중 숫기판의 관통부를 스틸로 제작하되, 사용이 용이로운 형태로 위조와 변조를 방지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바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표(100)는 크게 해당 축산물의 일련번호와 바코드가 삽입되어 우 측귀에 부착하는 바코드인식 이표(100)와, 해당 축산물의 일련번호만 삽입되어 좌 측귀에 부착하는 대비용이표(200)로 구성된다. 상기 바코드인식 이표와 대비용 이표는 바코드의 유무에만 차이가 있을 뿐, 구성되는 요소들은 모두 동일하다.
상기의 이표(100)는 숫기판(10);과, 암기판(20);이 가축물의 귀를 사이에 놓고 관통핀(30)을 사용하여 상호 관통 결합되어 부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상기 숫기판(10)은 사각, 삼각, 원형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특히 동물의 몸에 부착하여도 불편함이 없게 연성이 좋은 고무나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얇게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다.
이때 상기 숫기판(10)의 일 측에는 해당 가축물의 일련번호를 포함하고 이를 스캔할 수 있는 숫바코드(11)가 내장되고, 타 측에는 관통핀(30)을 수용할 수 있는 핀수용부(1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핀수용부(12)는 단부측에 원뿔형태의 연장부재(14)를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재(14)는 원뿔의 뾰족한 부분으로부터 약 1/3 가량을 절개한 형태로 구성 단부측에 단면을 형성하여, 수용홈(14)으로부터 관통핀(30)이 인입될 때 적정 깊이만큼 인입될 수 있도록 걸림턱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암기판(20)은 상기 숫기판(10)과 동일한 형태로, 일 측에는 해당 가축물의 일련번호를 포함하고 이를 스캔할 수 있는 암바코드(21)가 내장되고, 타 측에는 관통핀을 체결할 수 있는 결속부(22)를 포함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22)는 체결홈(23);와, 돌기부(24);와, 커버(25);를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세히 기재하면, 체결홈(23)은 돌기부(24)와 커버(25)를 결합할 수 있도록 커버(25) 형태로 단턱 및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24)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고리부분에 복수의 날개부(24a)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날개부(24a)는 단부측이 전부 원형 고리의 중심부를 향하게 형성되어 원뿔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돌기부(24)는 날개부(24a)를 포함하여 스테인레스재의 금속으로 제작하여 손쉽게 오므리거나 벌릴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커버(25)는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일 측에 체결홈(23)과 결합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돌기부(24)를 접착 수용할 수있는 접착면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돌기부(24)의 접착 수용으로 일체형이 된 커버(25)는 체결홈(23)에 단턱과 단턱홈이 대응하여 결속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핀(30)은 내부에 중공부(38)를 갖는 로켓핀의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핀(30)의 구성요소로는 몸체(31);와, 공격부재(32);와, 제1걸림턱(33);과, 요철부(34);와, 제2걸림턱(35);과, 절단부(36);와, 제3걸림턱(37);을 모두 포함한 것으로 상기 모든 구성요소는 스틸(Steel)과 같은 금속재질의 일체형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구성요소를 상세히 기재하면, 로켓핀의 원통형태로 이루어진 몸체(31)는 단부측에 원뿔형상의 공격부재(32)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몸체(31)보다 넓고 두께가 있는 원형의 제3걸림턱(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격부재(32)의 원뿔면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구성되는 몸체(31)로 인해 제1걸림턱(33)이 형성되고, 제1걸림턱(33)으로부터 일정간격만큼 벗어나 원형으로 형성되는 공격부재와 동일한 크기와 두께가 있는 제2걸림턱(35)이 형성되고, 제1걸림턱(33)과 제2걸림턱(35) 사이의 형성된 일정간격을 요철부(34)라 지칭하고, 요철부(34)와 제3걸림턱(37) 사이 중간지점에 절단부(36)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핀(30)의 몸체(31)는 제3걸림턱(37)으로부터 요철부(34)까지 내부에 중공부(38)를 형성하여, 무게의 경량과 각 요소인 걸림턱과 요철부와 절단부의 두께를 최소화 하였다.
상기 절단부(36)는 해당 가축물의 귀(1)에 관통 체결하여 부착된 이표(100)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통핀(30)의 몸체보다 얇은 지름으로 구성되며, 절단도구(300)를 사용하여 손쉽게 절단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사상과는 다르게 본 고안의 관통핀(30)은 절단부(36)의 도입으로 이표(100)를 간단하게 절단할 수 있으나, 관통핀(30) 일체를 금속재질로 제작하였기 때문에 본드와 같은 강력 접착부재로도 복구는 불가능하여, 한번 절단된 이표(100)를 불법적으로 재사용 할 수 없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특징으로 구성된 본 이표(100)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기재하도록 하겠다.
먼저 숫기판(10)에 돌출형성된 핀수용부(12)에 구비된 수용홈(13)은 관통핀(30)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의 홈과 단턱으로 구비하여, 관통핀(30)의 인입 시 유동 및 탈거를 방지하고, 핀수용부(12) 단부측에 구비된 연장부재(14)의 단면과 관통핀(30)의 제1걸림턱(33)이 상호 대응하여, 관통핀(30)의 과도한 인입을 억제하며 공격부재(32)가 핀수용부(12)의 단부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관통핀(30)의 제1걸림턱(33)은 연장부재(14)의 단면과 접촉하여 공격부재(32)의 원뿔형상이 연장부재(14)의 절개된 원뿔형상과 상호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공격부재(32)와 연장부재(14)의 원뿔은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숫시판(10)의 핀수용부(12)에 인입되어 일체형이 된 관통핀(30)은 해당 가축물의 귀(1)의 뒷면에서부터 관통하고, 귀 앞면까지 돌출된 관통핀(30)을 암기판(20)에 구비된 결속부(22)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 때 결속부(22)로 진입된 관통핀(30)은 돌기부(24)에 중심부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는 날개부(24a)를 외측으로 밀어내며 진입하고, 관통핀(30)의 원뿔형이 모두 진입된 후, 날개부(24a)는 탄성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원되고, 결속부(22)에 구비된 커버(25)가 상기 모든 결합요소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결속부(22)에 결합된 관통핀(30)은 완전 체결되어 탈거가 불가능하다.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표(100) 뿐만 아니라 종래부터 이표를 멀리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해당 가축물의 귀(1)에 부착함으로써 육안식별에 용이하게 하였다. 해당 가축물의 귀(1)에 최초 이표(100)의 부착이 이루어지면, 상기 가축물이 유통 될 때까지 탈거를 하지 않는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해당 가축물의 머리가 사육장의 울타리 사이에 끼어서 머리를 빼내야 하는데 귀(1)에 부착된 이표(100) 때문에 빼낼 수가 없거나, 혹은 부득이하게 이표를 탈거해야 할 때에는 절단도구(300)를 파지하여 관통핀(30)에 형성된 두께가 가장 얇은 부분인 절단부(36)를 절단하면 간단하게 탈거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한번 절단이 이루어지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관통핀(30)으로 인해 고성능 접착부재로도 접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의적으로 고등급 가축물의 이표(100)를 절단하여 저등급 가축물의 귀에 재부착하는 위조 및 변조와 같은 불법적인 행위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귀 10. 숫기판
11. 숫바코드 12. 핀수용부
13. 수용홈 14. 연장부재
20. 암기판 21. 암바코드
22. 결속부 23. 체결홈
24. 돌기부 24a. 날개부
25. 커버 30. 관통핀
31. 몸체 32. 공격부재.
33. 제1걸림턱 34. 요철부
35. 제2걸림턱 36. 절단부
37. 제3걸림턱 38. 중공부
100. 이표 200. 대비용이표
300. 절단도구

Claims (8)

  1. 가축물의 귀에 부착하여 이력을 관리하기 위해 해당 가축물의 귀를 사이에 놓고 숫기판(10)과 암기판(20)을 상호 관통 체결하여 부착되는 가축용 이표(100)에 있어서,
    상기 이표(100)는 일 측에 숫바코드(11)가 인쇄되고 타 측에 핀수용부(12)가 구비된 숫기판(10)과, 일 측에 숫기판(10)과 동일한 암바코드(21)가 인쇄되고 타 측에 결속부(22)가 구비된 암기판(20)과, 핀수용부(12)에 인입되어 해당 축산물의 피부를 관통하는 관통핀(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핀수용부(12)는 숫기판(10)의 내 측면으로부터 원통의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홈(13)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13)에 관통핀(30)이 인입되어 숫기판(10)과 관통핀(30)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핀(30)은 원통형태의 몸체(31);와, 공격부재(32);와, 제1걸림턱(33);과, 요철부(34);와, 제2걸림턱(35);과, 절단부(36);와, 제3걸림턱(37);와, 중공부(38);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31)는 단부측에 가축의 피부를 뚫기 위한 원뿔형상의 공격부재(3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몸체(31)보다 넓고 두께가 있는 원형의 제3걸림턱(37)이 형성되고, 상기 공격부재(32)의 원뿔면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구성되는 몸체(31)로 인해 제1걸림턱(33)이 형성되고, 제1걸림턱(33)으로부터 일정간격만큼 벗어나 원형으로 형성되는 공격부재와 동일한 크기와 두께가 있는 제2걸림턱(35)이 형성되고, 제1걸림턱(33)과 제2걸림턱(35) 사이의 형성된 일정간격은 요철부(34)로 형성되고, 요철부(34)와 제3걸림턱(37) 사이 중간지점에 절단부(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6)는 해당 가축물의 귀(1)에 관통 체결하여 부착된 이표(100)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통핀(30)의 몸체보다 얇은 지름으로 구성되며, 절단도구(300)를 사용하여 커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핀(30)의 몸체(31)는 제3걸림턱(37)으로부터 요철부(34)까지 내부에 중공부(3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핀(30)은 소재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수용부(12)는 단부측에 원뿔형태의 연장부재(14)를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재(14)는 원뿔의 뾰족한 부분으로부터 1/3부분을 절개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핀수용부(12)는 연장부재(14)의 절개된 단면으로부터 관통핀(30)과 대응하는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수용홈(13)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핀(30)은 제3걸림턱(37)을 기점으로 핀수용부에 구비된 수용홈(13)에 인입되되, 관통핀(30)의 제1걸림턱(33)이 핀수용부(12)의 연장부재(14)에 절개된 단면과 접촉하여 공격부재(32)가 수용홈(13)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KR20140013641A 2014-02-06 2014-02-06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KR101482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3641A KR101482493B1 (ko) 2014-02-06 2014-02-06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3641A KR101482493B1 (ko) 2014-02-06 2014-02-06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493B1 true KR101482493B1 (ko) 2015-01-22

Family

ID=5259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3641A KR101482493B1 (ko) 2014-02-06 2014-02-06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4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165B1 (ko) 2015-03-17 2015-12-11 도성록 가축용 귀표를 성형하는 금형 및 그 금형을 이용한 귀표 제조방법
KR101580767B1 (ko) * 2015-05-29 2015-12-29 박재우 가축용 귀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15558B1 (ko) * 2020-01-14 2021-02-16 주식회사 페쿠스 가축 귀표 및 귀표를 이용한 가축 이력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5286A (ja) * 1984-09-01 1986-04-03 ハルベ・ヤコブス・ニーメイヤー マーキングシール
KR200211793Y1 (ko) 2000-08-03 2001-01-15 이희재 바코드 표식을 위한 소 귀표
JP2005065598A (ja) 2003-08-25 2005-03-17 Kyowa Gosei Kk 動物用タグ
JP2011177116A (ja) 2010-03-02 2011-09-15 Mitsubishi Electric Corp 動物用耳標rfidタグ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5286A (ja) * 1984-09-01 1986-04-03 ハルベ・ヤコブス・ニーメイヤー マーキングシール
KR200211793Y1 (ko) 2000-08-03 2001-01-15 이희재 바코드 표식을 위한 소 귀표
JP2005065598A (ja) 2003-08-25 2005-03-17 Kyowa Gosei Kk 動物用タグ
JP2011177116A (ja) 2010-03-02 2011-09-15 Mitsubishi Electric Corp 動物用耳標rfidタグ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165B1 (ko) 2015-03-17 2015-12-11 도성록 가축용 귀표를 성형하는 금형 및 그 금형을 이용한 귀표 제조방법
KR101580767B1 (ko) * 2015-05-29 2015-12-29 박재우 가축용 귀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15558B1 (ko) * 2020-01-14 2021-02-16 주식회사 페쿠스 가축 귀표 및 귀표를 이용한 가축 이력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326B2 (en) Livestock tag locking system
KR101482493B1 (ko) 위조 방지 가축용 이표
US6095915A (en) Premise identification system
AU2008252791B2 (en) Reinforced ear tag
NL9300289A (nl) Verlies-, vlam- en fraudewerende electronische identificatielabel.
US20050228310A1 (en) Sampling device
NL1012000C2 (nl) Oormerk beveiligd door weefselmonster.
NZ587936A (en) Molding of transponder electronics and antenna into hard plastic part for ear tag
CN104488750A (zh) 一种可追溯牛鼻桊标识
US20180027766A1 (en) Animal identification through ultraviolet light-reactive tattoo
KR101072048B1 (ko) 위조 및 변조 방지 동물용 귀표
JP5339148B2 (ja) 新家畜識別方法
EP1690451A1 (en) A method of provisionally joining livestock tag parts together, a livestock tag part and strip of livestock tags
DE602006004459D1 (de) Ohrmarke zur identifizierung von tieren
NZ330006A (en) Animal ear tag with transponder fixed between two portions of three part tag with two bend lines
DE60005063T2 (de) Etikettenträgerband mit verschlusssicherung und ununterbrochener auffindbarkeit
US2155746A (en) Marking carcasses
CN211703314U (zh) 一种标牌环扣
AU2016222350A1 (en) Animal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2247546B1 (ko) 반려동물 인식장치
CN214508782U (zh) 一种用于标识畜禽身份信息的防伪溯源脚环
CN216931384U (zh) 一种一次性防篡改动物耳标
KR101000282B1 (ko) 어류용 개체 식별표
JP2004344085A (ja) 家畜等の耳標
CN202773694U (zh) 一种猪用平面三维条形码耳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