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383B1 -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383B1
KR101482383B1 KR20130028015A KR20130028015A KR101482383B1 KR 101482383 B1 KR101482383 B1 KR 101482383B1 KR 20130028015 A KR20130028015 A KR 20130028015A KR 20130028015 A KR20130028015 A KR 20130028015A KR 101482383 B1 KR101482383 B1 KR 101482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unit
housing
opening
ic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80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3084A (en
Inventor
박종훈
하영훈
이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28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383B1/en
Publication of KR2014011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0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3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외부 패널; 상기 외부 패널에 의해서 커버되며, 필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와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며,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얼음 저장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취출되는 얼음 배출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n outer panel; A body covered by the outer panel and having a filter; A ice making unit for generating ice by receiving purified water by a filter of the main body; An ice storage part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ice making part, for storing the ice produced in the ice making part,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ice making part; And an ice discharge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hrough which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is taken out.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음용에 적합하도록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정수기는 정수를 저수조에 저장한 후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와, 정수를 저장하지 않고 바로 배출시키는 정수기로 구분될 수 있다. Generally,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for purifying raw water such as tap water to be suitable for drinking. The water purifier may be divided into a water purifier that stores the purified water after stor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water tank, and a water purifier that discharges the purified water without storing the purified water.

종래의 정수기는, 한국공개특허 제2012-003274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may include an ice maker for generating ice and an ice reservoir for storing ice produced in the ice maker,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32747.

그런데, 종래의 정수기는, 얼음 저장부가 본체 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얼음 저장부 내의 청소를 위한 경우, 상기 얼음 저장부에 연결되거나 얼음 저장부를 커버하고 있는 각종 부품을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본체 자체에 얼음 저장부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얼음 저장부 자체의 청소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since the ice storage unit is fixed in the main body, there is a need to separate various components connected to the ice storage unit or covering the ice storage unit when cleaning the inside of the ice storage uni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ice storage portion itself because the ice storage portion is fixed to itself.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 저장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in which the ice storage part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외부 패널; 상기 외부 패널에 의해서 커버되며, 필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와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며,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얼음 저장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취출되는 얼음 배출부를 포함한다.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n outer panel; A body covered by the outer panel and having a filter; A ice making unit for generating ice by receiving purified water by a filter of the main body; An ice storage part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ice making part, for storing the ice produced in the ice making part,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ice making part; And an ice discharge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hrough which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is taken out.

상기 얼음 저장부의 인출입 통로를 제공하는 개구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 providing an inlet / outlet passage of the ice storage unit, and an opening / closing unit for opening / closing the opening.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을 위한 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레버가 결합되기 위한 레버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so that the opening is openable and closabl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provided with a lever for engaging with the housing, and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lever coupling part for coupling the lever.

상기 개폐부는 상기 외장 패널에 구비될 수 있다. The opening / closing part may be provided on the exterior panel.

상기 개폐부는,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유입되는 얼음 입구와, 상기 얼음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ning / closing part may include an ice inlet through which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part flows, and an ice outlet through which the ice introduced through the ice inlet is discharged.

상기 개폐부는, 상기 얼음 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구동하는 셔터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ce outlet, and a shutte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shutter.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얼음 저장부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안착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seating guide for guiding a seating position of the ice storage portion received in the housing.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기 얼음 저장부를 가압할 수 있다.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can press the ice storage portio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is closed.

상기 얼음 저장부는,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오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ce reservoir may include a frame forming a storage chamber and an auger rotatably supported in the frame.

상기 개폐부에 구비되며, 상기 오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오거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개구를 닫으면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오거를 연결시키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오거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provid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to drive the auger and transmit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to the auger.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closes the open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connects the driving unit and the auger When the opening / closing part opens the opening, the power transmitting part can cut 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iving part and the auger.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개폐부에 구비되는 제1전달부와, 상기 얼음 저장부에 구비되는 제2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전달부와 상기 제2전달부가 연결되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전달부와 상기 제2전달부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Wherein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transmitting portion provid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a second transmitting portion provided in the ice storage port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second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ransmission portion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can be releas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opens the opening.

상기 제2전달부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오거의 회전축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전달부에는 상기 오거의 회전축이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is installed to the frame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extending direction of the auger,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auger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상기 프레임은 상기 오거에 의해서 이송되는 얼음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라운드진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 상기 제2전달부가 설치될 수 있다. The frame may include a rounded extension portion for guiding ice conveyed by the auger, and the second transfer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extended portion.

상기 개폐부가 상기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2전달부는 상기 개폐부 내로 수용될 수 있다.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may be receiv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closes the opening.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빙부에서 낙하된 얼음의 상기 저장 챔버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for guiding movement of the ice dropped from the ice-making unit to the storage chamber.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저장 챔버로 낙하된 얼음이 상기 개구 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rame may include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ice dropped into the storage chamber to move toward the opening.

상기 개폐부가 상기 개구를 닫았음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개구가 닫혔음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가 온될 수 있다.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at the opening / closing unit closes the opening, and the driving unit may be turned on when the sensing unit detects that the opening is closed.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외부 패널; 상기 외부 패널에 의해서 커버되며, 필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와 연통되어 얼음이 위치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other aspect comprises: an outer panel; A body covered by the outer panel and having a filter; A ice making unit for generating ice by receiving purified water by a filter of the main body; A housing communicating with the freezing portion to provide a receiving space in which ice can be placed; An opening / closing unit for opening / closing the housing; And an ice discharge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hrough which the ice is discharged.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얼음을 이송하기 위한 오거 어셈블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얼음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될 수 있는 얼음 저장부; 상기 얼음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얼음 이송부; 상기 얼음 저장부를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커버부재;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셔터;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얼음 이송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셔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저장부가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면, 상기 얼음 이송부가 상기 얼음 저장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얼음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될 수 있는 얼음 저장부; 및 상기 얼음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얼음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저장부는, 다수의 홀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되며, 상기 얼음 이송부를 지지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와 상기 프레임의 바닥 사이에 얼음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얼음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될 수 있는 얼음 저장부; 상기 얼음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얼음 이송부; 상기 얼음 저장부를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얼음 이송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얼음 이송부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제1전달부와, 상기 얼음 저장부에 구비되는 제2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저장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달부와 상기 제2전달부가 연결된다.
The auger assembly for transferring the ice can be detachably mounted in the receiving space.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n ice reservoir capable of receiving ice and being drawn into or out of the housing through the opening; An ice transfer part rotatably supported by the ice storage part; A cover member covering the ice storage unit, being coupl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is discharged; A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A first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cover member for driving the ice transfer unit; And a second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cover member to drive the shutter. When the ice storage unit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the ice transfer unit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together with the ice storage unit.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n ice reservoir capable of receiving ice and being drawn into or out of the housing through the opening; And an ice transfer part rotatably supported by the ice storage part, wherein the ice storage part includes a fram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frame and supporting the ice transfer part, And a passage through which ice can pass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frame and the bottom of the frame.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n ice reservoir capable of receiving ice and being drawn into or out of the housing through the opening; An ice transfer part rotatably supported by the ice storage part; A cover member covering the ice storage unit, being coupl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is discharged; A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cover member for driving the ice transfer unit; And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ing portion to the ice transfer portion, wherein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transmitting portion provided in the cover member and a second transmitting portion provided in the ice storing portion, The first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second transmitting portion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얼음 저장부를 상기 본체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얼음 저장부의 청소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ice storage unit from the main body, the ice storage unit can be easily cleaned.

뿐만 아니라, 상기 얼음 저장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내의 얼음 저장부가 위치하는 공간의 청소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lean a space where the ice storage portion is located in 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ice storage portion is sepa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구가 개폐부에 의해서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가 본체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배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ing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ed by an opening / closing part.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ce storage uni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ic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charging ice stored in an ic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 패널과, 상기 외부 패널에 의해서 커버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water purif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panel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main body 10 covered by the outer panel.

상기 외부 패널은, 전면 패널(12)과, 다수의 사이드 패널(11)과, 상면 패널(13)과, 하면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패널(11, 12, 13)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본체(10)가 위치된다. The outer panel may include a front panel 12, a plurality of side panels 11, an upper panel 13, and a bottom panel (not shown). The main body 10 is positioned in a space formed by the panels 11, 12, and 13.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후술할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배출부(22)와,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얼음 배출부(22)는 내부에 얼음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물 배출부(20)에는 내부에 물 유로가 형성된다.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n ice discharging part 22 for discharging ice generated in the ice making part to be described later and a water discharging part 20 for discharging water. An ice channel is formed in the ice discharge part 22, and a water channel is formed in the water discharge part 20.

또한, 상기 본체(10)의 앞쪽 하측에는 물받이(15)가 연결된다. 상기 물받이는 상기 얼음 배출부(22)와 물 배출부(2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A water receiver (15) is connected to the front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water receptacle can be located below the ice discharge part 22 and the water discharge part 20. [

상기 전면 패널(12)에는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와,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가 구비된다. The front panel 12 includes a first user interface unit 23 and a second user interface unit 24.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는, 물과 관련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는, 물의 종류를 선택하는 버튼과, 물을 취출하기 위한 출수 버튼과, 물을 일정 시간 연속적으로 취출하거나 일정량 만큼 취출하기 위한 연속 출수 버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한 버튼 중에서 일부 버튼은 생략 가능하다. The first user interface unit 23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water or output information. Illustratively, the first user interface unit 23 includes a button for selecting the type of water, an outgoing button for taking out water, and a continuous outgoing button for taking out the water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or taking out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However, some of the buttons may be omitted.

상기 전면 패널의 내측에는 각 버튼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다수의 발광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특정 버튼이 선택되면(가압되거나 터치되면), 선택된 특정 버튼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온되어 빛을 조사함으로써, 특정 버튼이 표시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특정 버튼이 선택되면 대응하는 발광부가 온되어 빛을 조사함으로써, 사용자는 빛을 확인하여 특정 버튼이 선택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When a specific button is selected (pressed or touched), the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pecific button is turned on to illuminate the light, Certain buttons can act as indicators. That is, when a specific button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n to illuminate the ligh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specific button has been selected by confirming the light.

또한,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는, 정수의 수위를 표시하는 정수수위 표시부와, 냉수온도를 표시하는 정수온도 표시부와, 필터의 교체시기를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표시부 중에서 일부 표시부는 생략 가능하다. The first user interface unit 23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indicator for indicating the water level of the purified water, a water temperature indicator for indica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and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Some of the display portions may be omitted.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는, 얼음과 관련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얼음 버튼과,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의 입력 기능(일 예로 얼음 버튼의 기능)을 잠금거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user interface unit 24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ice or output information. Illustratively, the second user interface unit 24 includes an ice button for selecting ice to be taken out and an ice button for locking or locking the input function (for example, the function of the ice button) of the second user interface unit 24 And a lock button for releasing the lock button.

또한,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는, 현재 얼음이 제빙부에서 생성 중임을 알리기 위한 제1표시부와, 제빙 기능이 해제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2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빙 기능이 해제된다는 것은 제빙부에서 얼음이 생성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빙 기능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본체(10)의 후측에 구비되는 모드 선택부에 의해서 해제되거나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모드 선택부는 스위치일 수 있다. The second user interface unit 24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isplay unit for informing that ice is being generated in the ice making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notifying that the ice making function is cancel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of the ice-making function means that ice is not generated in the ice-making part. The ice-making function may be released or selected by a mode selection unit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although not shown. For example, the mode selection unit may be a switch.

또한,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는, 입력 기능이 잠금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잠금 표시부와, 입력 기능이 잠금 해제된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잠금 해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user interface unit 24 may further include a lock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at the input function is locked and an unlock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at the input function is unlock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구가 개폐부에 의해서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가 본체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ce storage unit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본체(10)는, 하나 이상의 필터에 의해서 필터링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30)와, 상기 저장탱크(30)로부터 공급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수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30)에는 상온의 물이 저장될 수 있다. 2 to 5,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tank 30 in which water filtered by one or more filters is stored, And a cold water tank (not shown) for cooling the water. The storage tank 30 may store normal temperature water.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30)의 물이 상기 물 취출부(20)를 통하여 취출되거나 상기 냉수탱크의 물이 상기 물 취출부(20)를 통하여 취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10)는 냉수탱크를 구비하지 않고, 온수탱크를 구비하거나, 상기 냉수탱크와 온수탱크를 모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본체(10)는 상온의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30)를 구비하지 않고, 냉수탱크 또는 온수탱크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the water in the storage tank 30 may be taken out through the water outlet 20 or the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may be taken out through the water outlet 20. 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10 may not have a cold water tank, but may have a hot water tank, or may have both the col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Alternatively,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cold water tank and a hot water tank without the storage tank 30 storing water at room temperature.

상기 본체(10)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실(40)에 구비되어 얼음 생성을 위한 제빙부(41, 42)와, 상기 제빙부(41, 42)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며, 상기 본체(10)에서 분리 가능한 얼음 저장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in an ice making chamber 40 for generating ice and includes ice making portions 41 and 42 for generating ice and ice stored in the ice making portions 41 and 42, And an ice storage unit 60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10.

상기 얼음 저장부(60)는 상기 제빙부(41, 42)와 분리된 개별적인 구성이며, 상기 제빙부(41, 42)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ice storage unit 60 is separate from the ice-making units 41 and 42 and may be positioned below the ice-making units 41 and 42.

상기 제빙실(40)은 제빙실 커버(43)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4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우징(10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제빙실 커버(43)가 상기 제빙실(40)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ice making chamber 40 may be covered by an ice making chamber cover 43. A part or the whole of the ice making chamber 40 may be formed by the housing 100 and the ice making chamber cover 43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so as to open and close the ice making chamber 40.

상기 정수기(1)에서 상기 상부 패널(13)이 분리되면,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상기 제빙실 커버(43)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제빙실 커버(43)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제빙부(41, 42)에 접근할 수 있다. When the upper panel 13 is detached from the water purifier 1, the ice-making chamber cover 43 may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en, the user can access the ice-making portions 41 and 42 by opening the ice-making chamber cover 43. [

상기 제빙부(41, 42)는, 저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부(41)와,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41)는 일 예로 냉매 배관일 수 있으며, 상기 물 저장부(42)에 담긴 물에 잠길 수 있도록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42)로는 상기 정수탱크(30)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거나 상기 정수탱크(30)를 지나지 않은 물(필터링된 물임)이 공급될 수 있다. The ice making sections 41 and 42 may include a cooling section 41 through which a low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and a water storage section 42 in which water is stored. The cooling unit 41 may be, for example, a refrigerant pipe, and a part of the cooling unit 41 may extend downward to be submerg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torage unit 42. The water stored in the purified water tank 30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unit 42 or water (filtered water) not passing through the purified water tank 30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unit 42.

상기 얼음 저장부(60)는 상기 본체(10) 내에서 독립적으로 단열된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외면은 단열재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저장부(60)가 상기 제빙실(40)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ice storage unit 60 may be independently insulated in the main body 10. [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ice storage part 60 may be cover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ice storage portion 60 may be located below the housing forming the ice making chamber 40. [

또는 상기 본체(10)는, 상기 얼음 저장부(60)가 수용되기 위한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수용공간(5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공간(50)에는 얼음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단열을 위하여 상기 얼음 저장부(60)를 감싸며 상기 얼음 저장부(60)를 지지할 수 있다. Or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housing 100 in which the ice storage portion 60 is accommodated. The housing 100 may form a receiving space 50 for the ice storage unit 60. That is, ice may be plac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50. The housing 100 may support the ice storage unit 60 to protect the ice storage unit 60 for thermal insulation.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수용공간(50)과 상기 제빙실(40)을 형성하나, 이와 달리 별도의 하우징 각각이 상기 수용공간(50)과 상기 제빙실(40)을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100 forms the accommodating space 50 and the ice-making chamber 40, but in the alternative, each of the separate housings may separate the accommodating space 50 and the ice- .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얼음 저장부(60)가 인출입되기 위한 개구(102)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개구(102)는 개폐부(11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10)는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일부를 커버하므로, 상기 개폐부(110)를 상기 얼음 저장부(60)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라고도 할 수 있다. The housing 1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102 through which the ice storage unit 60 can be drawn in and out. The opening 102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10.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covers a part of the ice storage part 60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may be referred to as a cover member covering the ice storage part 60. [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기(1)에서 상기 전면 패널(12)이 분리되면, 상기 본체(10)의 전면으로 상기 개폐부(110)가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면 패널(12)을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개폐부(110)에 접근할 수 있고, 상기 개폐부(110)를 조작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102)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얼음 저장부(60)를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front panel 12 is detached from the water purifier 1, the opening / closing part 110 is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user can access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by detaching the front panel 12 and by opening the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by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The portion 6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상기 개폐부(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110)에는 상기 개구(10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되기 위한 레버(1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레버(140)가 결합되기 위한 레버 결합부(144)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레버(140)를 조작하여 상기 레버(140)와 상기 레버 결합부(144)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개구(102)를 쉽게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버(140)를 제1결합부라고 할 수 있고, 상기 레버 결합부(144)를 제2결합부라고 할 수 있다. The opening / closing part 11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a side of the housing 100 by a hing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may be provided with a lever 140 to be fixed to the housing 100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102 is closed. The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 lever engaging portion 144 for engaging with the lever 140.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open the opening 102 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lever 140 and the lever engaging portion 144 by operating the lever 140. The lever 14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lever engaging portion 144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ngaging portion.

상기 개폐부(110)는 상기 얼음 저장부(60)에서 이송되는 얼음이 유입되는 얼음 입구(111)와, 상기 얼음 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110)는 상기 얼음 저장부(60)에서 이송된 얼음의 통로를 제공한다.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may include an ice inlet 111 through which the ice transferred from the ice storage part 60 flows and an ice outlet 112 through which the ice introduced through the ice inlet 111 is discharged. have. That is, the opening / closing part 110 provides the passage of the ice transferred from the ice storage part 60.

상기 개폐부(110)는, 얼음 출구(112)를 개폐하는 셔터(116)와, 상기 셔터(116)를 구동하는 셔터 구동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116)는 상기 개폐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셔터 구동부(118)는, 모터와, 모터의 동력을 상기 셔터(116)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셔터(116)를 구동하기 위한 셔터 구동부(118)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셔터 구동부(118)를 제2구동부라고도 할 수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shutter 1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ce outlet 112 and a shutter driving unit 118 for driving the shutter 116. The shutter 116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The shutter driving unit 118 may include a motor and a power transmitting unit that transmits the power of the motor to the shutter 116. It is noted that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shutter drive unit 118 for driving the shutter 116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utter driving unit 118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driving unit.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셔터(116)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얼음 배출부(22)와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저장 챔버(610A)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셔터(116)가 상기 얼음 출구(112)를 개방하면, 상기 얼음 배출부(22)와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저장 챔버(610A)가 연통되고, 상기 셔터(116)가 상기 얼음 출구(112)를 닫으면, 상기 얼음 배출부(22)와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저장 챔버(610A)의 연통은 차단된다. The ice discharge portion 22 and the storage chamber 610A of the ice storage portion 60 can be selectively communic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116 in this embodiment. That is, when the shutter 116 opens the ice outlet 112, the ice discharge unit 22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chamber 610A of the ice storage unit 60, When the ice outlet 112 is close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ce discharge part 22 and the storage chamber 610A of the ice storage part 60 is cut off.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110)는, 상기 얼음 입구(111)와 얼음 출구(112)가 형성되는 제1바디(120)와, 상기 제1바디(120)에 결합되는 제2바디(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바디(120)에 상기 얼음 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120)의 하측에 얼음 출구(112)가 형성되는 제3바디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다. 그리고, 상기 제2바디(130)의 일 측면에 상기 레버(140)가 설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pening / closing part 110 includes a first body 120 having the ice inlet 111 and the ice outlet 112 formed thereon, and a second body 130 coupled to the first body 120, .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he ice body inlet 111 is formed in the first body 120 and the third body in which the ice outlet 11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120. The lever 14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13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의 종단면도이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ic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얼음 저장부(60)는, 얼음이 저장되기 위한 저장 챔버(610A)를 형성하는 프레임(61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3, 6 and 7, the ice storage unit 60 may include a frame 610 forming a storage chamber 610A for storing ice.

상기 프레임(610)은, 얼음 통로(614)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611: 또는 "제1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음)과, 상기 전면 프레임(611)과 이격되는 후면 프레임(613: 또는 "제2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음)과, 상기 전면 프레임(611)과 후면 프레임(613)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프레임(615: 또는 "제3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프레임(611)과 후면 프레임(613) 사이에는 물을 통과시키고, 얼음은 지지하기 위한 메쉬 타입의 지지부(660)가 구비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프레임(610)은 다수의 연결 프레임(615)을 포함할 수 있고, 인접하는 두 개의 연결 프레임(616) 사이에 지지부(66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rame 610 includes a front frame 611 (or a first frame) on which the ice passage 614 is formed and a rear frame 613 Two frames ") and one or more connection frames 615 (or a" third frame ") connecting the front frame 611 and the rear frame 613. Between the front frame 611 and the rear frame 613, a mesh type support part 660 for passing water and supporting the ice can be provided. The frame 6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frames 615 and a support portion 660 may be provided between adjacent two connection frames 616. [

다른 예로서, 상기 프레임(610)은, 상면 개구와 전면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 개구는 얼음이 상기 프레임(610)으로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고, 전면 개구는 상기 프레임(610) 내의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610)은 물이 배출되기 위한 다수의 홀을 가질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rame 610 may include a top opening and a front opening. The upper surface opening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ice flows into the frame 610, and the front opening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ice in the frame 610 is discharged. In addition, the frame 610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상기 얼음 저장부(60)는, 상기 저장 챔버(610A)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얼음 통로(614)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오거(620)(또는 "얼음 이송부"라고도 할 수 있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위치 또는 배치에 따라 상기 오거(620)는 생략 가능하다. The ice storage unit 60 may further include an auger 620 (or an "ice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ice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610A to the ice passage 614 . However, the auger 620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ce storage unit 60. [

상기 오거(620)는, 상기 프레임(6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오거(620)는, 회전축(622)과, 상기 회전축(622)에서 나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6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ger 620 may be rotatably supported on the frame 610. [ The auger 620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622 and a blade 624 extending in a spiral direction from the rotating shaft 622.

상기 회전축(622)의 후측 단부에는 상기 오거(620)의 회전이 가이드되기 위한 가이드 리브(626)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프레임(613)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626)를 수용하는 회전 가이드(616)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616)는. 상기 후면 프레임(613)과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면 프레임(613)에 결합되거나 상기 후면 프레임(61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 guide rib 626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auger 620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rotary shaft 622 and a rotation guide 616 for receiving the guide rib 626 is formed in the rear frame 613. [ . The rotation guide (616) The rear frame 613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rear frame 613 and coupled to the rear frame 613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frame 613.

그리고, 상기 회전 가이드(616)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626)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거(620)의 일측은 상기 프레임(6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회전 가이드(616)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626)에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otation guide 616 may have a receiving portion for selectively receiving the guide ribs 626. Thus, one side of the auger 620 can be separated from the frame 610. As another example, a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rotation guide 616, and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guide rib 626 to receive the protrusion.

상기 회전 가이드(616)는 상기 오거(610)의 회전을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상기 오거(620)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rotation guide 616 not only guides rotation of the auger 610 but also supports one side of the auger 620.

상기 프레임(610)은 상기 전면 프레임(61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612)는 일 예로 상기 전면 프레임(611)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612)는 상기 전면 프레임(61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전면 프레임(611)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rame 610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612 extending forward from the front frame 611. The extended portion 612 may be rounded downward as it goes forward from the front frame 611, for example. The extended portion 6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frame 611 or may be coupled to the front frame 611.

상기 연장부(612)는 상기 오거(620)에 의해서 이송되어 상기 얼음 통로(614)를 통과한 얼음이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장부(612)는 상기 얼음 통로(614)에서 볼 때,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질 수 있다.The extended portion 612 is guided by the auger 620 to guide the ic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ce passage 614 to fall downward. To this end, the extension 612 may be rounded outwardly when viewed from the ice passage 614.

그리고, 상기 연장부(6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폐부(110)의 얼음 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개폐부(1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612)가 상기 개폐부(110) 내에 위치함에 따라서 얼음이 상기 연장부(612)에 의해서 상기 개폐부(110)의 얼음 출구(112) 측으로 용이하게 낙하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extended portion 612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 closing part 110 through the ice inlet 111 of the opening / closing part 110. The ice can be easily dropped to the ice outlet 112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by the extension part 612 as the extended part 612 is position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상기 프레임(610)에는 상기 제빙부(41, 42)에서 낙하된 얼음이 상기 얼음 저장부(60)에서 상기 얼음 통로(614)(또는 하우징의 개구)에 가까운 측에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 부재(6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부재(630)는 일 예로 상기 프레임(610), 실질적으로는 상기 후면 프레임(613)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부재(630)는 상기 프레임(610)에 결합되는 결합부(632)와, 상기 결합부(632)의 상측에 형성되는 경사 가이드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610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 63 for guiding the ice dropped from the ice making parts 41 and 42 to drop from the ice storage part 60 to a side close to the ice passage 614 (or the opening of the housing) Member 630 may be provided. The first guide member 63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610, for example, to the rear frame 613 by a hinge. The first guide member 63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632 coupled to the frame 610 and an inclined guide portion 640 formed on the coupling portion 632.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는 상기 제빙부(41, 42)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는 상기 얼음 저장부(60)가 상기 본체(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후측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는 외력에 의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빙부(41, 42)에서 분리된 얼음은 상기 프레임(610) 내로 직접 낙하되지 않고,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로 낙하된다. 따라서, 얼음이 상기 프레임(610)으로 집적 낙하되지 않으므로, 얼음의 낙하 시 얼음이 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얼음이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에 낙하되어도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므로, 얼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얼음의 깨짐은 방지될 수 있다. The inclined guide portion 64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vertical portions of the ice making portions 41 and 42. The inclined guide portion 640 may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rear side toward the front side in a state where the ice storage portion 60 is received in the main body 10. The inclined guide portion 64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 ice separated from the ice-making portions 41 and 42 is not dropped directly into the frame 610 but falls into the inclined guide portion 640. Therefore, since the ice does not fall off the frame 6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ce from breaking down upon falling of the ice. Even when the ice drops on the inclined guide portion 640, the inclined guide portion 640 can b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impact of ice can be absorbed and the i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상기 결합부(632)는 상기 제1가이드 부재(630)가 상기 프레임(610)에 결합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가 상기 프레임(610)의 상단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가 상기 프레임(610)의 상단에서 이격됨에 따라,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의 하방에도 얼음이 위치될 수 있어,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가 저장 챔버(610A)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프레임(610) 내의 저장 챔버(610A)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610)과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 사이의 공간에도 얼음이 저장될 수 있다. The engaging portion 632 not only allows the first guide member 630 to be coupled to the frame 610 but also allows the inclined guide portion 64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frame 610. As the inclined guide part 64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frame 610, ice may be positioned below the inclined guide part 640, and the inclined guide part 64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torage chamber 610A, . That is, not only the storage chamber 610A in the frame 610 but also the space between the frame 610 and the inclined guide unit 640 can store ice.

상기 경사 가이드부(640)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홀(64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inclined guide portion 640 may have at least one hole 642 through which water can pass.

상기 프레임(610)에는 상기 저장 챔버(610) 내로 유입되는 얼음이 상기 얼음 통로(614) 측에 가깝게 저장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 부재(6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부재(650)는, 상기 프레임(610), 실질적으로는 연결 프레임(615)에 결합되는 결합부(652)와, 상기 결합부(652)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 가이드부(65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6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uide member 650 for guiding ice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610 to be stored close to the ice passage 614. The second guide member 650 includes an engaging portion 652 coupled to the frame 610 and substantially the connecting frame 615 and an inclined portion 652 formed on the engaging portion 652, And may include a guide portion 654.

상기 경사 가이드부(654)는 상기 오거(620)와 상기 지지부(660) 사이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 가이드부(654)는, 상기 저장 챔버(610A) 내에 위치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60)가 상기 본체(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후측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The inclined guide portion 654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auger 620 and the support portion 660. The inclined guide portion 654 may be disposed in the storage chamber 610A and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rear side toward the front side in a state where the ice storage portion 60 is received in the main body 10. [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오거(620)의 양측에 각각 제2가이드 부재(650)가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2가이드 부재(65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guide members 65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uger 620, but the number of the second guide members 650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10)는, 상기 오거(6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device 70 for generating power for rotating the auger 620.

상기 구동장치(70)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오거 구동부(710)와, 상기 오거 구동부(710)의 동력을 상기 오거(62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720, 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거 구동부(710)는 제1구동부라고도 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70 may include an auger driving unit 710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nd a power transmitting unit 720 and 730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auger driving unit 710 to the auger 620. The auger drive unit 71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drive unit.

상기 오거 구동부(710)는, 일 예로 모터이며, 상기 개폐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오거 구동부(710)는 상기 개폐부(110)의 제2바디(13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거 구동부(710)는 상기 개폐부(110)에 결합되는 커버(74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The auger driving unit 710 is, for example, a motor and may be installed in the opening / For example, the auger driving unit 710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130 of the opening / closing unit 110. The auger driving unit 710 may be covered by a cover 740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10.

상기 동력 전달부(720, 730)는, 상기 개폐부(110)에 구비되는 제1전달부(720)와, 상기 얼음 저장부(60)에 구비되는 제2전달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달부(720)는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전달부(730)는 상기 오거(620)의 회전축(62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parts 720 and 730 may include a first transmission part 720 provid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and a second transmission part 730 provided in the ice storage part 60 . The first transmission portion 720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motor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730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622 of the auger 620.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102)를 닫으면 상기 제1전달부(720)가 상기 제2전달부(730)와 연결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102)를 개방하면, 상기 제1전달부(720)와 상기 제2전달부(730)의 연결은 해제된다.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closes the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the first transmitting part 720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tting part 730.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opens the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ransmitting part 720 and the second transmitting part 730 is released.

상기 제1전달부(720)는 상기 제1바디(120)와 상기 제2바디(13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달부(720)는 상기 제2전달부(730)와 연결되기 위한 제1연결부(7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722)는 일 예로 돌출부 일 수 있으며, 상기 제1바디(120)를 관통할 수 있다. The first transducer 720 may be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body 120 and the second body 130. The first transmitting portion 72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portion 722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tting portion 730.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722 may be a protrusion, for example, and may penetrate the first body 120. [

상기 제2전달부(730)는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연장부(6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102)를 닫는 과정 또는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개구(10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오거 구동부(71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전달부(720)와 상기 제2전달부(730)가 용이하게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제2전달부(730)는 상기 연장부(6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전달부(730)는 상기 오거(620)의 회전축(622)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The second transfer part 730 may be installed in the extension part 612 of the ice storage part 60. At this tim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closes the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or when the auger driving part 710 is operated whil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closes the opening 102,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730 may be movably installed in the extension portion 612 so that the first transmission portion 72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730 are easily connected. At this time,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730 may be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622 of the auger 620.

상기 연장부(612)에는 상기 제2전달부(73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7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달부(730)는 고정부(750)에 의해서 상기 연장부(612)에 설치된다. The extension portion 612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74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730. The second transmitting portion 730 is installed in the extended portion 612 by the fixing portion 750.

상기 제2전달부(730)는 상기 제1전달부(720)의 제1연결부(722)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7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732)는 상기 제1연결부(722)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홈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부(720)의 동력이 상기 제1전달부(720)를 통하여 상기 제2전달부(730)로 안정적으로 전달되기 위하여 상기 제1연결부(722) 및 제2연결부(732)의 단면은 비원형일 수 있다.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unit 732 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unit 722 of the first transmission unit 720 is connecte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732 may receiv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722. [ That is, it may be a groove for receiving the protrusion.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720 to be stably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730 through the first transmitting unit 720, the first connecting unit 722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732 The section may be non-circular.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개구(10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722)와 상기 제2연결부(732)가 정렬되지 않으면, 상기 제1전달부(720)가 상기 제2전달부(730)에 연결되지 않고, 단지 상기 제2전달부(730)를 가압한다. 물론,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개구(10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722)와 상기 제2연결부(732)가 정렬된 경우에도, 상기 제1전달부(720)는 상기 제2전달부(730)를 가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개구(10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바디(120)가 상기 연장부(612)의 일부를 가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개구(10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110)는 상기 얼음 저장부(60)를 가압할 수 있다. I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72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732 are not aligned with each other in the stat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0 is closed with the opening 102,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730 but presses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730 only. It is needless to say that eve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closes the opening 102 and the first connecting part 722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732 are aligned, 2 transmitting portion 730 of the second embodiment. At this time, the first body 120 presses a part of the extended portion 612 so as to prevent the ice storage portion 60 from moving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0 is closed with the opening 102 closed. can do.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can press the ice storage part 60 whil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is closed.

상기 제1전달부(720)가 상기 제2전달부(730)를 가압하면, 상기 탄성부재(740)는 수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오거 구동부(710)가 동작되면, 상기 오거 구동부(710)에 의해서 상기 제1전달부(720)는 회전되나, 상기 제2전달부(730)는 미회전된다. 물론, 상기 제1전달부(720)와 제2전달부(730)가 접촉되는 부분의 마찰력이 큰 경우에는 제1전달부(720)의 회전 시 상기 제2전달부(730)도 회전될 수 있으나, 제1전달부(720)의 회전력이 상기 제2전달부(730)로 완전하게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전달부(720)와 상기 제2전달부(730)는 상대 회전된다. When the first transmitting portion 720 presses the second transmitting portion 730, the elastic member 740 is contracted. In this state, when the auger driving unit 710 is operated, the auger driving unit 710 rotates the first transmitting unit 720, but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730 does not rotate. If the frictional force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transmission portion 72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7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large,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730 may be rotated when the first transmission portion 720 rotates However,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transmitting portion 720 is not completely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tting portion 730, the first transmitting portion 720 and the second transmitting portion 730 are relatively rotated.

상기 제1전달부(720)와 상기 제2전달부(730)이 상대 회전되면, 상기 제1연결부(722)와 상기 제2연결부(732)가 정렬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740)로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므로, 상기 탄성부재(740)가 인장된다. When the first transmitting portion 720 and the second transmitting portion 730 ar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722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732 are aligned. In this state, The elastic member 740 is pulled.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4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2전달부(730)가 상기 제1전달부(7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연결부(722)와 상기 제2연결부(7320가 연결된다.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40 moves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730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first transmission portion 720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72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7320 Respectively.

상기 제2전달부(730)는 상기 오거(620)의 회전축(622)과 연결되는 축 연결부(7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 연결부(734)는 상기 오거(620)의 회전축(622)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는 상기 오거(620)의 회전축(622)이 상기 축 연결부(734)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730 may further include a shaft connection part 734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622 of the auger 620. The shaft connection portion 734 may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axis 622 of the auger 620. As another example, the rotational axis 622 of the auger 620 may be inserted into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734.

한편,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얼음 저장부(60)에 저장된 얼음이 녹은 경우, 녹은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04)는 배출관(106)과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106)을 따라 상기 정수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 Meanwhile, in the housing 100, when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60 is melted, a discharge port 104 through which molten water is discharged may be formed. The discharge port 104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106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1 along the discharge pipe 106.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블럭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배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8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charging ice stored in an ic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수기(1)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제빙 기능을 선택하거나 해제하는 모드 선택부(27)와, 상기 개폐부(110)에 의한 상기 개구(102)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29)와,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만빙 감지 센서(28)와, 상기 셔터 구동부(118)와 오거 구동부(710)를 제어하는 제어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6, 8 and 9, the water purifi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ode selection unit 27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for selecting or releasing the ice making function, An ice-cube detection sensor 28 for detecting the ice cubes of the ice storage unit 60 and an ice-cube detection sensor 28 for detecting the ice- And a control unit 25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710.

상기 모드 선택부(27)에 의해서 제빙 기능이 온되면, 상기 제빙부(41, 42)에서 얼음이 생성된다. When the ice-making function is turned on by the mode selecting unit 27, ice is generated in the ice-making units 41 and 42.

상기 제빙부(41, 42)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제빙부(41, 42)에서 분리되어 하방으로 낙하된다. 상기 제빙부(41, 42)에 낙하된 얼음은 상기 제1가이드 부재(630) 상으로 낙하된 후에 상기 제1가이드 부재(630)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얼음 저장부(60) 내부로 유입된다. The ice produced in the ice-making portions 41 and 42 is separated from the ice-making portions 41 and 42 and falls downward. The ice dropped in the ice making parts 41 and 42 is dropped onto the first guide member 630 and then moved along the first guide member 630 and flows into the ice storage part 60.

상기 만빙 감지 센서(28)에서 만빙이 감지되지 않는 한 상기 제빙부(41, 42)에서는 얼음이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본 발명에서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센서의 종류는 공지의 구조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ce is constantly generated in the ice making units 41 and 42 unless ice-fullness is detected by the ice-making sensor 28.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sensing the full ice and the type of the sensor can be implemented by a known structur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사용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를 통하여 얼음 배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The user can input the ice discharge command through the second user interface unit 24 for taking out the ice.

얼음 배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개폐 감지부(29)에 의해서 상기 개구(102)가 상기 개폐부(110)에 의해서 닫혔는지 여부가 감지된다. 상기 개구(102)가 완전하게 닫히지 않으면, 상기 오거 구동부(710)가 구동하여도 상기 오거(620)가 회전되지 않는다. 이 경우 얼음 배출 명령을 입력하여도 얼음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정수기(1)가 고장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얼음 배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개구(102)의 닫힘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는 점검(개구가 열린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ice discharge command is inputted, it is detected by the opening / closing detector 29 whether or not the opening 102 is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part 110. If the opening 102 is not completely closed, the auger 620 is not rotated even if the auger driving unit 710 is driven. In this case, even if the ice discharge command is input, no ice is discharg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water purifier 1 is malfunctioning.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ce discharge command is inputted, if the closing of the opening 102 is not detected, the second user interface unit 24 displays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inspection (the opening is opened) can do.

반면, 상기 얼음 배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개구(102)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오거 구동부(720)를 온시킨다. 그러면, 상기 오거 구동부(720)가 온되어 작동하고, 상기 구동부(720)의 동력이 상기 제1전달부(720) 및 상기 제2전달부(730)를 통하여 상기 오거(62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오거(620)가 회전되고, 상기 저장 챔버(610A)에 저장된 얼음은 상기 오거(620)에 의해서 상기 얼음 통로(614) 측으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셔터 구동부(118)가 작동하여 상기 셔터(116)가 상기 개폐부(110)의 얼음 출구(116)를 개방시킨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ce discharge command is input, when the opening of the opening 102 is detected, the controller 36 turns on the auger driving unit 720. Then, the auger driving unit 720 is turned on and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720 is transmitted to the auger 620 through the first transmitting unit 720 and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730. Then, the auger 620 is rotated, and the ice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610A is transferred to the ice passage 614 by the auger 620. In addition, the shutter driving unit 118 operates to open the ice outlet 116 of the opening / closing unit 110 by the shutter 116. [

상기 얼음 통로(614)로 이동되는 얼음은 상기 연장부(612)에 의해서 이동이 가이드되고, 상기 얼음 출구(112) 측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얼음은 최종적으로 상기 얼음 배출부(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The ice moved to the ice passage 614 is guided by the extended portion 612 and falls to the ice outlet 112 side. Then, the ice is eventu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ce discharger 22.

한편, 상기 얼음 저장부(6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체(10)에서 상기 전면 패널(12)을 분리시킨다. 그러면, 상기 본체(10)의 전면으로 상기 개폐부(110)가 노출된다. Meanwhile, in order to separate the ice storage unit 60, the front panel 12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Then, the opening / closing part 110 is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그 다음, 상기 개폐부(110)의 레버(140)를 조작하여, 상기 레버(140)와 상기 레버 결합부(144)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러면,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102)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상기 개폐부(110)는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102)를 개방할 수 있다. Then, the lever 140 of the opening / closing part 110 is operated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lever 140 and the lever coupling part 144. T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can open the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The user can open the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by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그러면, 상기 개폐부(110)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102)를 개방하면, 상기 얼음 저장부(60)가 외부로 노출된다. 일 예로, 상기 얼음 저장부(160)의 연장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상기 얼음 저장부(160)를 상기 본체(10)로부터 꺼낼 수 있다. Then, when the opening / closing part 110 opens the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the ice storage part 60 is expos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extension of the ice storage part 16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n, the user can finally take out the ice storage portion 160 from the main body 10. [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얼음 저장부(60)를 상기 본체(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얼음 저장부(60)의 청소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ice storage unit 60 from the main body 10, the ice storage unit 60 can be easily cleaned.

뿐만 아니라, 상기 얼음 저장부(6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50)의 청소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50 of the housing 100 can be cleaned while the ice storage unit 60 is separated.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얼음 저장부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660)를 포함함으로써, 얼음을 저장하는 기능을 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얼음 저장부(60)에서 상기 지지부(660)가 생략되는 경우, 얼음은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50)의 바닥에 저장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ice storage unit includes the frame and the support unit 660 to store ice. Alternatively, when the support unit 660 is omitted from the ice storage unit 60, May be stored in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on space (50) of the housing (100) without being stored in the ice storage.

상기 얼음 저장부(60)에서 지지부(60)가 생략되는 구성을 오거 어셈블리라 이름할 수 있다. 이 경우, 얼음은 상기 오거 어셈블리에 저장되거나 상기 수용공간(50)의 바닥에 저장될 수 있다.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60 is omitted from the ice storage portion 60 may be referred to as auger assembly. In this case, ice may be stored in the auger assembly or stored i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50. [

다른 예로서, 위의 실시 예에서는 하우징에 개폐부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외부 패널에 개폐부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외부 패널을 구성하는 일 패널을 정수기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개폐부를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얼음 저장부(또는 오거 어셈블리)를 상기 정수기에서 인출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housing. Alternativel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be provided on the external panel. In this case, the ice storage unit (or the auger assembly) can be taken out from the water purifier by operating the opening / closing unit without separating one panel constituting the external panel from the water purifier.

10: 본체 20: 물 배출부
22; 얼음 배출부 60; 얼음 저장부
10: main body 20: water discharge part
22; An ice discharge part 60; Ice storage

Claims (19)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얼음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될 수 있는 얼음 저장부;
상기 얼음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얼음 이송부;
상기 얼음 저장부를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커버부재;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셔터;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얼음 이송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 및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셔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저장부가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면, 상기 얼음 이송부가 상기 얼음 저장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정수기.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n ice reservoir capable of receiving ice and being drawn into or out of the housing through the opening;
An ice transfer part rotatably supported by the ice storage part;
A cover member covering the ice storage unit, being coupl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is discharged;
A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A first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cover member for driving the ice transfer unit; And
And a second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cover member for driving the shutter,
Wherein when the ice storage portion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the ice transfer portion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together with the ice storag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패널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면 패널이 정수기에서 분리되면, 상기 커버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ront panel covering a front surface of the cover member,
The front panel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Wherein when the front panel is separated from the water purifier, the cover me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을 위한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member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housing,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second engagement portion coupled with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전면 패널에 구비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ront panel covering a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Wherein the cover member i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는, 얼음이 저장되기 위한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ce reservoir includes a frame forming a reservoir chamber for storing ice,
Wherein the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바닥은 라운드지는 정수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ottom of the frame is a round spo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얼음 이송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면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rame further comprises a front frame to which the ice transfer part is rotatably support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바닥 사이에 얼음이 통과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는 정수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passage for passing ic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frame and the bottom of th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얼음 저장부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안착 가이드가 구비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seating guide for guiding a seating position of the ice storage portion received in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얼음 저장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얼음 저장부와 접촉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ice storage portion while the ice storage portion is housed in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얼음 이송부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제1전달부와,
상기 얼음 저장부에 구비되는 제2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저장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달부와 상기 제2전달부가 연결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first driving unit to the ice transfer unit,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transmitting portion provided on the cover member,
And a second transfer unit provided in the ice storage unit,
And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are connected with the ice storage unit being housed in the hous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달부는 상기 얼음 저장부에 상기 얼음 이송부의 회전축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전달부에는 상기 얼음 이송부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정수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transfer unit is installed in the ice storage unit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extending direction of the ice transfer unit,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ice transfer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fer par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는 상기 얼음 이송부에 의해서 이송되는 얼음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라운드진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 상기 제2전달부가 설치되는 정수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ce storage portion includes a rounded extension portion for guiding ice conveyed by the ice transfer portion,
And the second transfer portion is provided on the extension por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전달부는 상기 커버부재 내로 수용되는 정수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second transfer portion is housed in the cover member with the ice storage portion being housed in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에는 상기 얼음 저장부 내로 인입되는 얼음이 얼음 통로 측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ce storage unit is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for guiding ice, which is drawn into the ice storage unit, close to the ice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에는 얼음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가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얼음 저장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uide member for guiding ice is movably connected to the ice storage unit, and the guide member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together with the ice storage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구를 닫았음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개구가 닫혔음이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동부가 온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member can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at the cover member has closed the opening,
Wherein the first driving unit is turned on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that the opening is closed.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얼음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될 수 있는 얼음 저장부;
상기 얼음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얼음 이송부;
상기 얼음 저장부를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얼음 이송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얼음 이송부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제1전달부와,
상기 얼음 저장부에 구비되는 제2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저장부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달부와 상기 제2전달부가 연결되는 정수기.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n ice reservoir capable of receiving ice and being drawn into or out of the housing through the opening;
An ice transfer part rotatably supported by the ice storage part;
A cover member covering the ice storage unit, being coupl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is discharged;
A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cover member for driving the ice transfer unit;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to the ice transfer unit,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transmitting portion provided on the cover member,
And a second transfer unit provided in the ice storage unit,
And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are connected with the ice storage unit being housed in the housing.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바닥은 라운드지며, 라운드진 부분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정수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ice reservoir includes a frame,
Wherein a bottom of the frame is rounded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 rounded portion.
KR20130028015A 2013-03-15 2013-03-15 Water purifier KR1014823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8015A KR101482383B1 (en) 2013-03-15 2013-03-15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8015A KR101482383B1 (en) 2013-03-15 2013-03-15 Wate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084A KR20140113084A (en) 2014-09-24
KR101482383B1 true KR101482383B1 (en) 2015-01-13

Family

ID=51757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8015A KR101482383B1 (en) 2013-03-15 2013-03-15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38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010A (en) 2017-12-26 2019-07-04 장연기 cutting machine for cylindrical water fil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013B1 (en) * 2015-08-27 202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y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0735A (en) * 2011-03-30 2012-10-10 정휘동 Ice container door, and ice making water purifier and ice making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having the same
KR20120110733A (en) * 2011-03-30 2012-10-10 정휘동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ice container, and ice making water purifier and ice making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having the same
KR20130020530A (en) * 2011-08-18 2013-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a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purifier, and ice dispensing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0735A (en) * 2011-03-30 2012-10-10 정휘동 Ice container door, and ice making water purifier and ice making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having the same
KR20120110733A (en) * 2011-03-30 2012-10-10 정휘동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ice container, and ice making water purifier and ice making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having the same
KR20130020530A (en) * 2011-08-18 2013-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a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purifier, and ice dispensing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010A (en) 2017-12-26 2019-07-04 장연기 cutting machine for cylindrical water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084A (en)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667B1 (en) A refrigerator
EP1519131B1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and ice-dispenser
KR101631322B1 (en) Refrigerator
US8769981B2 (en) Refrigerator with ice maker and ice level sensor
KR100565606B1 (en) ice making apparatus in the refrigerator
EP3864356B1 (en) Refrigerator
KR101392596B1 (en) Refrigerator
EP2419692B1 (en) Refrigerator control technology
EP2492621B1 (en) Refrigerator with water purifying means
KR101405959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776297B1 (en) Refrigerator
KR20100033494A (en) Refrigerator
JP5095507B2 (en) Apparatus and refrigerator equipped with ice crusher
KR101482383B1 (en) Water purifier
KR100765196B1 (en) A refrigerator
KR101478897B1 (en)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00071400A1 (en) Refrigerator with an ice maker
KR20100092686A (en) Refrigerator with fil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91899B1 (en) Water purifier
KR101519198B1 (en) Refrigerator
EP3106792A1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enser assembly
KR101652213B1 (en) Refrigerator
KR101639441B1 (en) Refrigerator
KR101639440B1 (en) Refrigerator
KR101639481B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