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238B1 - ELP riser pipe for underground power cable - Google Patents

ELP riser pipe for underground power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238B1
KR101482238B1 KR1020140140815A KR20140140815A KR101482238B1 KR 101482238 B1 KR101482238 B1 KR 101482238B1 KR 1020140140815 A KR1020140140815 A KR 1020140140815A KR 20140140815 A KR20140140815 A KR 20140140815A KR 101482238 B1 KR101482238 B1 KR 101482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p
pipe
electric pole
ground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8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순
Original Assignee
금오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테크(주) filed Critical 금오테크(주)
Priority to KR1020140140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2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2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rugated hard polyethylene underground electric pipe (ELP) connection riser pipe for an underground power cable. Specifically, the ELP connection riser pipe is provided to significantly reduce time spent on installing an underground power cable by minimizing excavation an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and rainwater from intruding into a corrugated pipe and an ELP which are buried underground. The ELP connection riser pipe for an underground power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corrugated pipe, an ELP connection riser pipe, a riser pipe, a current detecting sensor, a control unit, an electric shock warning illumination unit, a camera, a pedestrian moving direction analysis unit, and a speaker. The ELP connection riser pipe has one end accommodated therein, which is contiguous with an electric pole of the corrugated pipe, and is buried underground to come in contact with the electric pole while having a part of an open upper part exposed on the ground surface. The ELP connection riser pipe comprises: a pipe body having open upper and lower parts and a duct shape which has an accommodation space having one open side therein by opening one among four sides, wherein the remaining three sides form an inclined surface toward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extend downwards, and vertically extend again from the lower ends of the sides; one or more reinforcing bars having both longitudinal ends fixated on the mutually facing sides of the pipe body and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cover covering the open side of the pipe body by being coupled, via the reinforcing bar, to the pipe body by screws.

Description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ELP riser pipe for underground power cable}Underground distribution ELP riser pipe for underground power cabl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배전분야 기술 중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굴착 최소화를 통해 지중 케이블의 설치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지중에 매설되는 파형관(ELP 전선관)에 대한 이물질 및 빗물 등의 침투를 억제할 수 있는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distribution ELP connection pipe among technologies of distribu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shorten installation time of an underground cable through minimization of excav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a wave pipe (ELP conduit) buried in the grou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distribution ELP connection pipe capable of suppressing infiltration of foreign matters and rainwater.

전력 케이블은 송배전 시 사용되는 케이블을 지칭하며, 이러한 전력 케이블은 설치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지중 케이블과 가공 케이블로 크게 구분된다. 즉, 지중 케이블은 지하에 전력 케이블을 매설하고 이렇게 매설된 전력 케이블을 절연도체로 하여 배전하는 방식이고, 가공 케이블은 지상에 전주를 통해 전력 케이블을 연결하여 배전하는 방식이다.Power cables refer to cables used i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and these power cables are broadly divided into underground cables and working cables based on the installed space. In other words, underground cable is a method in which a power cable is buried in an underground, and the buried power cable is used as an insulated conductor, and a processing cable is a method in which a power cable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a pole.

지중 케이블은 가공 케이블에 비해 도시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고장이 적으며 지상에 노출되지 않아 보안상의 위험이 적은 장점이 있는 반면, 가공 케이블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설비가 비싸고 공사 및 보수가 곤란한 단점도 있다.Underground cables are less vulnerable than urban cables and less vulnerable and less vulnerable to security hazards because they are less exposed to the ground, while construction costs are more expensive than construction cables an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re difficult .

한편, 최근에 개발된 지중화 신공법의 경우 전선은 지중으로 설치하고 기기는 주상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지중화 공법과는 달리 주상에 기기가 설치됨에 따라, 안전관리 및 미관 개선 등이 주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newly developed underground new method, the electric wires are installed in the ground and the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main building. Unlike the existing grounding method,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main building, have.

그리고 대부분의 입상용 지중 케이블은 전주 표면에 설치되어 전주용 입상관 및 조립식 반할관을 통해 보호되며, 이때 전주용 입상관은 강벨로 고정되고, 조립식 반할관은 입상관의 하단과 지중 파형관 사이의 굴곡 부분에서 케이블를 수납하는 상태로 설치된다.Most of the underground ground cables ar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pole and are protected by the pre-pole girder bridge and the prefabricated bridge. At this time, the pole girder bridge is fixed to the steel bell. And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cable is housed in the bent portion.

도 1은 이의 일반적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 케이블은 지중에서 지중 케이블을 보호하는 합성수지파형관(ELP 전선관,30) 및 전주를 따라 설치되는 전주용 입상관(10) 그리고 합성수지파형관(30)과 입상관(10) 사이의 굴곡 부분을 연결하는 조립식 반할관(20)을 통해 보호되면서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4는 합성수지파형관(30) 및 반할관(20) 그리고 입상관(10)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As shown in FIG. 1, the underground cable includes a synthetic wave tube (ELP conduit) 30 for protecting an underground cable in the ground, a pole-pole bridge 10 installed along the pole, (20) connecting the curved portions between the inlet port (30) and the inlet port (10). FIGS. 2 to 4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the synthetic resin corrugated pipe 30, the half pipe 20 and the inlet corrugation 10.

그리고 지중 케이블이 합성수지파형관(30) 및 입상관(10) 그리고 반할관(20)을 통해 보호되면서 지중에 매설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전주 아래쪽의 지중에 합성수지파형관(30)을 설치하고, 이어서 지중 케이블의 플링 후 반할관(20) 설치를 위해 합성수지파형관(30)을 지표면으로부터 1m 길이만큼 잘라낸다. 이어서 반할관(20)의 설치 후 되메우기를 한 다음 입상관(10)을 설치한다.The process of embedding the underground cable in the ground while being protected through the synthetic wave tube 30, the bridge 10 and the counterweight 20 will be briefly described. First, the synthetic wave tube 30 is installed in the ground below the pole. , And then the synthetic resin corrugated pipe 30 is cut out from the ground surface by a length of 1 m for the installation of the rebound pipe 20 after flipping of the underground cable. Subsequently, after the backflow tube 20 is installed, the back corrugation 10 is installed.

그러나 상술한 지중 케이블의 설치 방식은 전주를 따라 입상되는 지중 케이블의 보호를 위해 여러 관들이 다단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자연히 시공방법이 복잡하고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는 것이었다. 특히, 조립식 반할관의 설치를 위해 많은 시간 및 노력이 필요한 것이었다.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installa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cabl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ipes are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in order to protect the underground cable standing up along the pole, the construction method is complicat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high. Particularly, it took a lot of time and effort to install the assembly type semi-tubular pipe.

또한 이렇게 복잡한 설치 과정을 통해 매설된 지중 케이블은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여러 이유로 훼손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우천 시 등에 전주 주변으로 누설전류를 흘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렇게 전주 주변의 누설 전류로 인해 보행자가 감전 사고를 당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심한 경우 사망에 까지 이르는 것이었다.
Also, the ground cable buried through the complicated installation process may be damaged due to various reasons as time elapses after the installation, thereby causing leak current to flow around the pole in case of rain. In addition, the leakage current around the pole causes a pedestrian to suffer an electric shock accident and, in severe cases, even to death.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19438호(2001.04.02.공고), “접지장치부 입상케이블 보호관”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19438 (Announcement of April 2, 2001), "Grounding Device Particulars Cable Protection Pipe"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52954호(2013.05.23.공개), “입상주 지중 케이블 난연 보호관”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52954 (published on March 23, 2013), "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굴착 최소화를 통해 지중 케이블의 설치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지중에 매설되는 파형관(ELP 전선관)에 대한 이물질 및 빗물 등의 침투를 억제할 수 있는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을 제공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installation time of underground cables through minimization of excavation, and also can prevent the infil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and rainwater into a corrugated pipe (ELP conduit) buried in the ground, Provide a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우천 시 등에 지중 케이블로 인한 전주 주변의 누설전류를 실시간 감지하여 사전 설정된 전류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사실을 전주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시각 및 청각적으로 경고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을 제공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kage current around the electric pole due to the underground cable is detected at the time of rain or the like, and when the current is over the preset current value, the fact is warned visually and audibly to walkers walking around the electric pole, To provide an underground distribution EI-EL conn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은, 전주로부터 지중으로 매설되는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안내하기 위해 지중에 매설되며, 상기 지중케이블의 매설이 완료된 상태를 기준으로 지표면에서 지중 방향으로 0.2m 내지 0.3m의 길이만큼 이격되는 파형관과, 상기 파형관의 상기 전주와 인접한 길이방향 일단을 내측에 수용시키고, 개방된 상부의 일부를 지표면에 노출하는 상태로 상기 전주와 접하여 매설되며, 상·하부가 개방되는 동시에 사방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일면 개방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덕트 형태로써 세 개의 측면은 각각 상기 수용공간(121a)을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하향 연장되어 각각의 하단에서 다시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관 본체, 상기 관 본체의 서로 마주하는 두 측면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바, 그리고 상기 보강바를 매개로 상기 관 본체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플랜지를 구비하여 상기 관 본체의 개방된 측면을 막는 커버를 포함하는 ELP 입상연결관과, 상기 ELP 입상연결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ELP 입상연결관의 상기 수용공간 내로 삽입되며, 상기 지중케이블의 상기 전주로부터 지표면까지의 부분 중 일부를 지표면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가려 보호하는 입상관과, 상기 전주와 인접한 지표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설치되어 해당 지표면의 전류를 감지하며, 감지되는 전류 측정값을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기 위한 제1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전류 감지 센서와, 상기 제1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전류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전류 측정값을 입력 받으며, 상기 전주 인근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임계 전류값이 사전 설정되어 상기 전류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측정값이 상기 임계 전류값을 초과 시 감전 경고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전주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시각적으로 감전 경고를 하며, LED의 실장을 위한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LED 기판, 상기 LED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LED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한 전원 공급 시 발광하는 다수의 LED, 상기 LED들과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불투명 상태의 면에 감전 경고를 위한 문구 또는 이미지만 투명 상태인 감전 경고 패널, 상기 감전 경고 패널을 노출 상태로 결합한체 상기 LED 기판 및 전원공급부 그리고 LED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주의 소정 높이에 40° 내지 50°의 각도의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감전 경고 조명부와, 상기 전주에 설치되어 전주 주변에서 보행하는 보행자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 입력 시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통해 상기 전주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분석하여 상기 전주를 중심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로 진입하려는 이동을 보이는 보행자의 유무를 판단 후 해당 보행자의 존재 시 감전 경고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보행자 이동방향 분석부와, 상기 보행자 이동방향 분석부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감전 경고를 위한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The underground distribution EI-EL connection pi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the ground to guide the underground cable which is buried in the ground from the electric pole, and the underground cable is embedded in the underground direction Wherein the wave tube is spaced apart by a length of 0.2 m to 0.3 m by a length of 0.2 m to 0.3 m and is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end of the wave tube inwardly and in a state of exposing a part of the open top surface to the earth surface, The lower side is opened and one side face of each of the four sides is opened to form a one-side opening type accommodating space. The three side faces form an inclined face outward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ng space 121a, A tube body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each of the lower ends of the tube body; At least one reinforcement bar fix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talled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 flange for screwing to the tube body through the reinforcing bar to cover the open side of the tube body An ELP granular connector comprising an ELP granular connector and an ELP granular connector comprising an ELP granular connector and an ELP granular connector, the ELP granular connector comprising: And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on one or more surfaces of the earth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ic pole to detect a current on the earth surface and to transmit a sensed current measurement value to an external receiving object,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 threshold current value for preventing an electric shock of a pedestrian walking on the pole near the pole is preset and the current measured value input from the current sensor exceeds the threshold current value, And a circuit pattern for mounting the LED is formed on the pedestrian walking around the electric pole by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ED substrate, a plurality of LEDs mounted on the LED substrate to emit light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an electric shock warning on the opaque surface, An electric shock warning panel in which only the phrase or image for the electric shock warning panel is in a transparent state, An electric shock warning light unit installed at an angle of 40 to 50 degrees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electric pole, the electric shock warning light unit including the LED substrate, a power supply unit, and a case for housing the LEDs therein,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pedestrian walking on the camera,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re inputted, and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ted from the control unit, A pedestrian movement direction analyzing means for analyzing a moving direction of a pedestrian walking on the pedestria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edestrian showing a movement to enter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the pedestal,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an electric shock warning in the presence of the pedestrian, And a control signal output through the pedestrian movement direction analysis unit And outputting an audible signal for an electric shock warn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중 케이블의 전주에 대한 입상 설치 시 굴착 최소화를 통해 지중 케이블의 설치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시공비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지중에 매설되는 파형관(ELP 전선관)에 대한 이물질 및 빗물 등의 침투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shorten the installation time of the underground cable by minimizing the excavation during the granular installation of the underground cabl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wave tube (ELP conduit The infiltration of foreign matter, rainwater and the lik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또한 우천 시 등에 지중 케이블로 인한 전주 주변의 누설전류를 실시간 감지하여 사전 설정된 전류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사실을 전주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시각 및 청각적으로 경고할 수 있음에 따라 전주 주변에서 발생되는 감전사고의 예방 및 감전사고에 따른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Also, in case of rainy weather,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leakage current around the electric pole due to underground cable and to warn the pedestrians walking around the electric pole when they are above the preset current value, by visual and audible warning, Prevention of accidents and loss of life due to electric shock accidents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 지중 케이블의 전주에 대한 입상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합성수지파형관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반할관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1에서 입상관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7은 도 6에서 요부인 입상관 및 ELP 입상연결관 그리고 파형관의 연결 구조를 보인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에서 ELP 입상연결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에서 감전 경고 조명부의 일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그 결합사시도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granular structure for a pole of a conventional underwater cable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ynthetic resin wave tube i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alf pipe in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rrelation in FIG. 1; FIG.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ELP connection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ELP connection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rrugated inlet-corrugated and ELP granular connector and the corrugated tube in FIG. 6
Figs. 8 to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ELP granular connector in Fig. 7
12 and 13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n electric shock warning illumination unit in an underground distribution ELP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escrib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the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ever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not the exclusion of any other element,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the terms " part, " " module, " and the like, which ar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by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5 to 13, an underground distribution ELEMEN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요부인 입상관 및 ELP 입상연결관 그리고 파형관의 연결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FIG. 5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ELP connection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ELP-type connection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cave portion, the ELP granular connector, and the corrugated tube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은 파형관(110), ELP 입상연결관(120), 입상관(130), 전류감지센서(140), 제어부(150), 감전 경고 조명부(160), 카메라(170), 보행자 이동방향 분석부(180), 스피커(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ELP connection pip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ve tube 110, an ELP granular connection tube 120, an input correlation 130, a current sensing sensor 140, a controller 150 An electric shock warning illumination unit 160, a camera 170, a pedestrian movement direction analysis unit 180, and a speaker 190.

파형관(110)은 전주(300)로부터 지중으로 매설되는 지중케이블(200)의 배선을 안내하기 위해 지중에 매설되며, 이러한 파형관(110)은 지중케이블(200)의 매설이 완료된 상태를 기준으로 지표면에서 지중 방향으로 0.2m 내지 0.3m의 길이만큼 이격된다. 다시 말해, 파형관(110)은 전주(300) 밑의 지중에 매설된 다음, 지중케이블(200)의 플링 후 ELP 입상연결관(120)의 설치를 위해 지표면으로부터 0.2m 내지 0.3m의 길이만큼 잘라져 제거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파형관(110)이 0.25m 길이만큼 잘라 제거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The corrugated pipe 110 is buried in the ground to guide the wire of the underground cable 200 buried in the ground from the electric pole 300. The corrugated pipe 110 is connected to the ground surface 0.0 > 0.3m < / RTI >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In other words, the corrugated pipe 110 is buried in the ground below the electric pole 300 and then cut to a length of 0.2 m to 0.3 m from the ground surf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ELP granular connection pipe 120 after fling of the underground cable 200 Removed.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corrugated pipe 110 is cut and removed by a length of 0.25 m.

ELP 입상연결관(120)은 파형관(110)의 전주(300)와 인접한 길이방향 일단을 내측에 수용시키고, 개방된 상부의 일부를 지표면에 노출하는 상태로 전주(300)와 접하여 매설된다.The ELP granular connection pipe 120 is buried in contact with the electric pole 300 in a state in which one longitudinal end adjacent to the electric pole 300 of the corrugated pipe 110 is received inside and a part of the open top is exposed on the ground surface.

도 8 내지 도 11은 이러한 입상연결관의 구조를 여러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ELP 입상연결관(120)은 관 본체(121) 및 보강바(122) 그리고 커버(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8 to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such a granular connection pipe from various angles. As shown in the figure, the ELP granular connection pipe 120 includes a pipe body 121, a reinforcing bar 122, and a cover 123 .

관 본체(121)는 상·하부가 개방되는 동시에 사방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일면 개방형의 수용공간(121a)이 형성되는 덕트 형태이며, 이때 관 본체(121)의 세 측면(121b,121c,121d)은 각각 수용공간(121a)을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하향 연장되어 각각의 하단에서 다시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The tube main body 121 is in the form of a duct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and one side surface of each of the four sides is opened to form a one-side open receiving space 121a. 121b, 121c, and 121d extend downward and extend vertically from their lower ends, respectively, while forming inclined faces outward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on space 121a.

보강바(122)는 관 본체(121)의 서로 마주하는 두 측면(121c,121d)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수용공간(121a)의 내측에 설치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보강바(122)가 상하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구성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강바(122)는 관 본체(121)의 두 측면(121c,121d) 사이에서 관 본체(121)를 지지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bar 122 is installed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121a with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reinforcing bar 122 being fixed to two opposing sides 121c and 121d of the tube body 121. 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ement bar 122 is disposed between the two side surfaces 121c and 121d of the tube main body 121. The reinforcing bar 122 is formed of a pair of side plates 121 and 122,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capable of supporting the tube main body 121.

커버(123)는 보강바(122)를 매개로 관 본체(121)에 나사 결합되어 관 본체(121)의 개방된 측면을 막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커버(123)의 양단에는 관 본체(121)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플랜지(123a)가 각각 절곡 형성된다.The cover 123 is screwed to the pipe body 121 via the reinforcing bar 122 to close the open side of the pipe body 121. For this purpose, both ends of the cover 123 are connected to the pipe body 121 And a flange 123a for screw connection are respectively bent.

도면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커버(123)와 마주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관 본체(121)의 상측이 130㎜의 길이를 갖는 동시에 관 본체(121)의 하측이 300㎜의 길이를 가지며, 또한 관 본체(121)의 전체 높이는 400㎜로써, 이중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구간이 300㎜이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100㎜인 것을 예로 하였다. 또한 관 본체(121)의 커버(123)와 마주하는 측면을 정면으로 정할 때, 정면을 기준으로 관본체(121)는 그 상부의 폭이 130㎜이고 하부의 폭이 250㎜인 것을 예로 하였다. 또한 커버(123)의 플랜지(123a) 길이가 30㎜이고, 12㎜ 지름의 구멍이 플랜지(123a)에 형성되어 이러한 구멍을 통해 관 본체(121)의 보강바(122)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ide of the tube body 121 has a length of 130 mm and the lower side of the tube body 121 has a length of 300 mm And the total height of the tube body 121 is 400 mm. The length of the tube body extending downward is 300 mm and the length of the tube body extending vertically is 100 mm. When the side of the tube main body 121 facing the cover 123 is defined as a front surface, the tube body 121 has a width of 130 mm and a width of 250 mm on the basis of the front surface. The flange 123a of the cover 123 is 30 mm long and a hole having a diameter of 12 mm is formed in the flange 123a and screwed to the reinforcing bar 122 of the pipe body 121 through the hole Respectively.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ELP 입상연결관(120)이 상술한 수치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ELP granular connecto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forementioned numerical values.

다시 도 5 내지 7로 돌아가서, 입상관(130)은 ELP 입상연결관(12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ELP 입상연결관(120)의 수용공간(121a) 내로 삽입되며, 지중케이블(200)의 전주(300)로부터 지표면까지의 부분 중 일부를 지표면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가려 보호한다.5 to 7, the inlet correlation 13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1a of the ELP standing up connector tube 120 through the open top of the ELP standing up connector tube 120, A portion of the portion from the electric pole 300 to the surface of the earth is shielded from the ground surface to a predetermined height.

그리고 도 7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서 ELP 입상연결관(120)은 그 상단이 지표면으로부터 0.05m 돌출되는 상태로 매설되고, 또한 파형관(110)의 길이 방향 일단이 ELP 입상연결관(120)의 수용공간(121a) 내로 0.1m의 길이만큼 삽입되며, 이에 따라 지표면으로부터 ELP 입상연결관(120)에 삽입된 파형관의 일단까지의 높이가 0.25m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7, the ELP granular connector tube 120 is buried in such a state that the upper end of the ELP granular connector tube protrudes from the ground surface by 0.05 m, and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rugated pipe 110 is embedded in the ELP granular connector The height from the ground surface to one end of the corrugated pipe inserted into the ELP granular coupling pipe 120 is 0.25 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상술한 파형관(110) 및 ELP 입상연결관(120) 그리고 입상관(130)을 통해 지중케이블(200)이 전주(300)를 따라 입상 설치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전주(300) 밑의 지중에 파형관(110)을 설치하고, 이어서 지중케이블(200)의 플링 후 ELP 입상연결관(120)의 설치를 위해 지표면에서 0.23m만큼 파형관(110)을 잘라 제거한다. 이어서 ELP 입상연결관(120)을 설치 후 되메우기를 한 다음 입상관(130)을 설치한다.A brief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rocess in which the underground cable 200 is installed in a granular form along the electric pole 300 through the corrugated pipe 110, the ELP granular connection pipe 120, And then the corrugated pipe 110 is cut off by 0.23 m on the surface of the groun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ELP granular connector pipe 120 after flipping of the underground cable 200. Then, after the ELP granular connector tube 120 is installed, the ELP granulation connector tube 120 is set back and then the inlet tube 130 is installed.

그리고 이러한 설치 과정을 통해서 기존 반할관 등을 이용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굴착 최소화 및 설치시간의 획기적인 단축 그리고 파형관 내에 이물질 및 빗물 등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hrough this install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xcavation and drastically shorten the installation time, and to effectively suppress the penetration of foreign matter and rainwater into the corrugated pipe,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pipe.

다음은 전류감지센서(140), 제어부(150), 감전 경고 조명부(160), 카메라(170), 보행주 이동방향 분석부(180), 스피커(19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current sensing sensor 140, the control unit 150, the electric shock warning illumination unit 160, the camera 170, the walking main moving direction analysis unit 180, and the speaker 190 will be described below.

전류감지센서(140)는 전주(300)와 인접한 지표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전류감지센서(140)는 해당 위치에서 전주(300) 주변 지표면의 누설전류를 감지한다. 그리고 전류감지센서(140)는 감지되는 전류 측정값을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기 위한 제1 통신모듈(141)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전류감지센서(140)는 감지되는 전류 측정값을 제1 통신모듈(141)을 통해 제어부(150)에 전송한다.The current sensing sensor 140 is installed on one or more surfaces on the ground surface adjacent to the electric pole 300. The current sensing sensor 140 senses a leakage current on the ground surface around the electric pole 30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current sensing sensor 14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1 for transmitting a sensed current measurement value to an external receiving object. The current sensing sensor 140 transmits the measured current value to the controller 15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1. [

제어부(150)는 제1 통신모듈(141)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모듈(151)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2 통신모듈(151)을 통해 전류 감지 센서(140)에서 감지되는 전류 측정값을 입력 받는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전주 인근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임계 전류값이 사전 설정되어 전류 감지 센서(14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측정값이 상기 임계 전류값을 초과 시 감전 경고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감전 경고 조명부(160) 및 보행자 이동방향 분석부(180)에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150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51 that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1. The control unit 150 detects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sensing sensor 14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51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is input. When the threshold current value for preventing the electric shock of the pedestrian walking around the pole is preset and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inputted from the current detection sensor 140 exceeds the threshold current value,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electric shock warning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electric shock warning illumination unit 160 and the pedestrian movement direction analysis unit 180. [

감전 경고 조명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전주(300)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시각적으로 감전 경고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감전 경고 조명부(160)는 LED 기판(161), 전원공급부(162), LED(163), 감전 경고 패널(164) 및 케이스(1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ic shock warning and illumination unit 160 operates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50 to visually warn a pedestrian walking around the electric pole 300. To this end, the electric shock warning illumination unit 160 may include an LED substrate 161, a power supply unit 162, an LED 163, an electric shock warning panel 164, and a case 165.

도 12 및 도 13은 이러한 감전 경고 조명부(160)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감전 경고 조명부에 대해 더 설명한다.FIGS. 12 and 13 illustrate such an electric shock warning illumination unit 160, and the electric shock warning illumination unit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에서 감전 경고 조명부의 일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그 결합사시도이다.12 and 13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ic shock warning illumination unit in a submerged distribution ELP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LED 기판(161)은 LED(163)의 실장을 위한 회로패턴이 형성되며, 이러한 LED 기판(161)에 복수의 LED(163)가 실장되어 전원공급시 발광한다. 그리고 이렇게 LED 기판(161)에 실장된 복수의 LED(163)는 전원공급부(162)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감전 경고 패널(164)은 LED(163)들과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불투명 상태의 면에 감전 경고를 위한 문구 또는 이미지만 투명 상태인 형태이다. 마지막으로 케이스(165)는 감전 경고 패널(164)을 노출 상태로 결합한체 LED 기판(161) 및 전원공급부(162) 그리고 LED(163)들을 내부에 수용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circuit pattern for mounting the LED 163 is formed on the LED substrate 161, and a plurality of LEDs 163 are mounted on the LED substrate 161 to emit light when power is supplied. The plurality of LEDs 163 mounted on the LED substrate 161 are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62 and the electric shock warning panel 164 is arranged to face the LEDs 163, Only the phrase or image for warning of electric shock is transparent. Finally, the case 165 internally accommodates a sieve LED substrate 161, a power supply unit 162, and LEDs 163, which are combined with an electric shock warning panel 164 in an exposed state.

그리고 이렇게 구성되는 감전 경고 조명부(160)는 전주(300)의 소정 높이에 40° 내지 50°의 각도의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LED(163)의 발광 시 전주(300) 주변의 지표면에 감전 위험이 있음을 경고하기 위한 문구나 이미지를 표시한다.The electric shock warning illumination unit 160 is installed at an inclined angle of 40 to 50 degrees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electric pole 300. When the LED 163 emits light, Display a phrase or image to warn of the danger.

다시 도 5 내지 도 7로 돌아가서, 카메라(170)는 전주(300)에 설치되어 전주(300) 주변에서 보행하는 보행자를 촬영한다.Returning to Figs. 5 to 7, the camera 170 is installed on the electric pole 300 to photograph a pedestrian walking around the electric pole 300.

보행자 이동방향 분석부(180)는 카메라(17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정보가 입력되고, 또한 보행자 이동방향 분석부(180)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보행자 이동방향 분석부(180)는 제어부(150)로부터 제어신호 입력 시 카메라(17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통해 전주(300)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분석하여 전주(300)를 중심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로 진입하려는 이동을 보이는 보행자의 유무를 판단 후 해당 보행자의 존재 시 감전 경고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190)에 출력한다.The pedestrian movement direction analyzing unit 180 receives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70 and the pedestrian movement direction analyzing unit 18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50. [ The pedestrian movement direction analyzing unit 180 analyz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walking around the electric pole 300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camera 170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ted from the controller 150, A control signal for an electric shock warning is generated in the presence of the pedestrian, and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speaker 190.

스피커(190)는 보행자 이동방향 분석부(180)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감전 경고를 위한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여 보행자에게 감전사고의 위험을 알린다.The speaker 190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through the pedestrian movement direction analyzer 180 to output an audible signal for warning of an electric shock to inform the pedestrian of the risk of electric shock.

상술한 도 5 내지 도 13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은, 지중 케이블의 전주에 대한 입상 설치 시 굴착 최소화를 통해 지중 케이블의 설치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시공비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지중에 매설되는 파형관(ELP 전선관)에 대한 이물질 및 빗물 등의 침투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FIGS. 5 to 13,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ELP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installation time of the underground cable by minimizing the excavation during the granular installation of the underground cable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infil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and rainwater into the corrugated pipe (ELP conduit) buried in the groun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또한 우천 시 등에 지중 케이블로 인한 전주 주변의 누설전류를 실시간 감지하여 사전 설정된 전류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사실을 전주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시각 및 청각적으로 경고할 수 있음에 따라 전주 주변에서 발생되는 감전사고의 예방 및 감전사고에 따른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게 한다.Also, in case of rainy weather,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leakage current around the electric pole due to underground cable and to warn the pedestrians walking around the electric pole when they are above the preset current value, by visual and audible warning, Prevention of accidents and loss of lives caused by electric shock accidents can be reduced.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r constructio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will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파형관 120 : ELP 입상연결관
121 : 관 본체 121a : 수용공간
121b,121c,121d : 측면 122 : 보강바
123 : 커버 123a : 플랜지
130 : 입상관 140 : 전류 감지센서
141 : 제1 통신모듈 150 : 제어부
151 : 제2 통신모듈 160 : 감전 경고 조명부
161 : LED 기판 162 : 전원공급부
163 : LED 164 : 감전 경고 패널
165 : 케이스 170 : 카메라
180 : 보행자 이동방향 분석부 190 : 스피커
200 : 지중케이블 300 : 전주
110: corrugated tube 120: ELP granular connector
121: tube main body 121a: accommodation space
121b, 121c, 121d: side surface 122: reinforcing bar
123: Cover 123a: Flange
130: input correlation 140: current sensor
141: first communication module 150:
151: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60: electric shock warning light section
161: LED substrate 162: power supply unit
163: LED 164: Electric Shock Warning Panel
165: Case 170: Camera
180: Pedestrian moving direction analysis unit 190: Speaker
200: Underground cable 300: Electric pole

Claims (1)

전주(300)로부터 지중으로 매설되는 지중케이블(200)의 배선을 안내하기 위해 지중에 매설되며, 상기 지중케이블(200)의 매설이 완료된 상태를 기준으로 지표면에서 지중 방향으로 0.2m 내지 0.3m의 길이만큼 이격되는 파형관(110);
상기 파형관(110)이 상기 전주(300)와 인접한 길이방향 일단을 내측에 수용시키고, 개방된 상부의 일부를 지표면에 노출하는 상태로 상기 전주(300)와 접하여 매설되며, 상·하부가 개방되는 동시에 사방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일측면 개방형의 수용공간(121a)이 형성되는 덕트 형태로써 세 개의 측면(121b,121c,121d)은 각각 상기 수용공간(121a)을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하향 연장되고 각각의 하단부분에서 다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는 형태의 관 본체(121), 상기 관 본체(121)의 서로 마주하는 두 측면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121a)의 내측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바(122), 그리고 상기 보강바(122)를 매개로 상기 관 본체(121)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플랜지를 구비하여 상기 관 본체(121)의 개방된 측면을 막는 커버(123)를 포함하는 ELP 입상연결관(120);
상기 ELP 입상연결관(12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ELP 입상연결관(120)의 상기 수용공간(121a) 내로 삽입되며, 상기 지중케이블(200)의 상기 전주(300)로부터 지표면까지의 부분 중 일부를 지표면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가려 보호하는 입상관(130);
상기 전주(300)와 인접한 지표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설치되어 해당 지표면의 전류를 감지하며, 감지되는 전류 측정값을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기 위한 제1 통신모듈(141)을 포함하는 전류 감지 센서(140);
상기 제1 통신모듈(141)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모듈(151)을 포함하여 상기 전류 감지 센서(140)에서 감지되는 전류 측정값을 입력 받으며, 상기 전주 인근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임계 전류값이 사전 설정되어 상기 전류 감지 센서(14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측정값이 상기 임계 전류값을 초과 시 감전 경고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150);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전주(300)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시각적으로 감전 경고를 하며, LED(163)의 실장을 위한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LED 기판(161), 상기 LED 기판(16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2), 상기 LED 기판(161)에 실장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62)를 통한 전원 공급 시 발광하는 다수의 LED(163), 상기 LED(163)들과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불투명 상태의 면에 감전 경고를 위하여 표시된 문구 또는 이미지만 투명 상태인 감전 경고 패널(164), 상기 감전 경고 패널(164)을 노출 상태로 결합한체 상기 LED 기판(161) 및 전원공급부(162) 그리고 LED(163)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165)를 포함하고, 상기 전주(300)의 소정 높이에 40° 내지 50°의 각도의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감전 경고 조명부(160);
상기 전주(300)에 설치되어 전주(300) 주변에서 보행하는 보행자를 촬영하는 카메라(170);
상기 카메라(17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제어신호 입력 시 상기 카메라(17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통해 상기 전주(300)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분석하여 상기 전주(300)를 중심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로 진입하려는 이동을 보이는 보행자의 유무를 판단 후 해당 보행자의 존재 시 감전 경고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보행자 이동방향 분석부(180);
상기 보행자 이동방향 분석부(180)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감전 경고를 위한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90)를 포함하는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
The ground cable 200 is buried in the ground to guide wiring of the ground cable 200 buried in the ground from the electric pole 300. The ground cable 200 is grounded at a distance of 0.2 m to 0.3 m A wave tube 110 spaced apart by a length;
The corrugated pipe 110 is recei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djacent to the electric pole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buried in contact with the electric pole 300 in a state of exposing a part of the opened upper surface to the ground surface, The side surfaces 121a, 121c, and 121d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duct in which one side surface of each of the four sides is opened to form a receiving space 121a having one open side, A tube body 121 extending downward while forming a slope toward the tube body 121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tube body 121, both ends of the tube body 121 facing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reinforcing bar 122 provided inside the space 121a and a flange for being screwed to the pipe body 121 via the reinforcing bar 122. The opening of the pipe body 121 The Connection ELP standing pipe comprises a cover 123 to prevent the surface 1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1a) of the ELP granular connection pipe (120) through the open upper part of the ELP granular connection pipe (120), and the portion of the ground cable (200) An entrance correlation 130 for protecting a part from the ground surface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1) installed on one or more surfaces of the ground plane adjacent to the electric pole (300) to sense a current on the ground surface and transmit a sensed current measurement value to an external receiving object, A sensor 140;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51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41.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51 receives a current measurem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ing sensor 140, A control unit 150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an electric shock warning when a measured current value input from the current sensor 140 exceeds the threshold current value,
An LED board 161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50 to visually warn a walker walking around the electric pole 300 and forming a circuit pattern for mounting the LED 163, A plurality of LEDs 163 mounted on the LED substrate 161 to emit light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62, the LEDs 163, An electric shock warning panel 164 disposed on the opaque surface in a state of facing the electric shock warning panel 164 in an exposed state, And a case 165 for accommodating the LEDs 163 therein in a state of being inclined at an angle of 40 ° to 50 °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electric pole 300, An illumination unit 160;
A camera 170 installed in the electric pole 300 for photographing a pedestrian walking around the electric pole 300;
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image information to b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70 and receives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150. When 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a control signal,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walking around the electric pole 30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pedestrian exhibiting a movement to enter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the electric pole 300 and then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an electric shock warning in the presence of the pedestrian A pedestrian movement direction analysis unit 180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pedestrian movement direction;
And a speaker (190) operating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ted through the pedestrian movement direction analyzer (180) and outputting an audible signal for an electric shock warning.
KR1020140140815A 2014-10-17 2014-10-17 ELP riser pipe for underground power cable KR1014822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815A KR101482238B1 (en) 2014-10-17 2014-10-17 ELP riser pipe for underground power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815A KR101482238B1 (en) 2014-10-17 2014-10-17 ELP riser pipe for underground power c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238B1 true KR101482238B1 (en) 2015-01-15

Family

ID=52588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815A KR101482238B1 (en) 2014-10-17 2014-10-17 ELP riser pipe for underground power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23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345B1 (en) 2018-08-31 2019-01-04 이수기술(주) Connector Of Underground Line
CN113676703A (en) * 2021-08-23 2021-11-19 湖北拓普源电力工程有限公司 Visual intelligent inspection system for firewall cover plate
CN113676703B (en) * 2021-08-23 2024-05-24 湖北拓普源电力工程有限公司 Visual intelligent inspection system for firewall cover pla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631Y1 (en) * 2003-04-22 2003-07-31 제룡산업 주식회사 Rising apparatus for protection of underground cable
KR200340056Y1 (en) * 2003-10-30 2004-01-28 한국전력공사 Waterproof cap structure for cable protection pipes of electric pole
KR20130062064A (en) * 2011-12-02 2013-06-12 한국전력공사 Expandable upright tube for distributing underground cab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631Y1 (en) * 2003-04-22 2003-07-31 제룡산업 주식회사 Rising apparatus for protection of underground cable
KR200340056Y1 (en) * 2003-10-30 2004-01-28 한국전력공사 Waterproof cap structure for cable protection pipes of electric pole
KR20130062064A (en) * 2011-12-02 2013-06-12 한국전력공사 Expandable upright tube for distributing underground cabl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345B1 (en) 2018-08-31 2019-01-04 이수기술(주) Connector Of Underground Line
CN113676703A (en) * 2021-08-23 2021-11-19 湖北拓普源电力工程有限公司 Visual intelligent inspection system for firewall cover plate
CN113676703B (en) * 2021-08-23 2024-05-24 湖北拓普源电力工程有限公司 Visual intelligent inspection system for firewall cover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853B1 (en) Fault section detection device by connecting point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KR102335268B1 (en) Case for measuring instrument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manhole
JP2005345137A (en) Intruder detection device
KR101732913B1 (en) Apparatus for communication wireless between inside of manhole and outside of manhole
JP2017181054A (en) Water level measurement device
KR101116185B1 (en) Electric wire pipe for prevention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KR101482238B1 (en) ELP riser pipe for underground power cable
KR101895235B1 (en) Distribution line support equipment for buildings with trays with leakage warning function
CN205648263U (en) But real time monitoring's network security device
KR101375123B1 (en) Safety diagnosis system of underground cable
KR101902495B1 (en) Safety device for insulation connector of underground line
US11264710B2 (en) Mounting structure for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KR101853925B1 (en) Detector structur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KR200485250Y1 (en) Dual fire detector and fire detector system thereof
CN203055037U (en) Alarming system
KR102259502B1 (en) Leakage current measurement device
KR101132390B1 (en) Underground electroic line of insulating pipe
KR101028145B1 (en) Digging apparatus equipped with sensing device for protecting underground cable
CN107561387B (en) Distribution network line loss abnormity positioning device
KR101118419B1 (en) Closing caps of underground cables and wire cables for wire detection in test boxes equipped with electronic detection means
KR101132388B1 (en) Connector for wiring underground power cable
KR200382273Y1 (en) A crime prevention alarm for gas pipe laying
KR102508454B1 (en) Facility management system
CN208860437U (en) A kind of cable duct of substation water level monitoring device
CN205541221U (en) A device that be used for state net power transmission line prevent destr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