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657B1 - 음원 스트리밍 서버에서 음악 같이 듣기 방법 - Google Patents

음원 스트리밍 서버에서 음악 같이 듣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657B1
KR101481657B1 KR20120003100A KR20120003100A KR101481657B1 KR 101481657 B1 KR101481657 B1 KR 101481657B1 KR 20120003100 A KR20120003100 A KR 20120003100A KR 20120003100 A KR20120003100 A KR 20120003100A KR 101481657 B1 KR101481657 B1 KR 101481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user
listening
sound source
interne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0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895A (ko
Inventor
지만석
Original Assignee
지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2156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8165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지만석 filed Critical 지만석
Priority to KR20120003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6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음원 스트리밍을 공급하는 인터넷 서버를 통해서 음악을 같이 듣는 방법은, 청취 사용자의 로그인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청취 사용자의 친구 사용자의 로그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음악을 상기 청취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원 스트리밍 서버에서 음악 같이 듣기 방법{METHOD OF LISTENING MUSIC VIA INTERNET MUSIC STREAMING SERVER}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음원을 공급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음악 듣기를 공유하여 듣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용이 필요하다.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는 특정 음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로그인하고, 실시간으로 음원을 다운받으면서 음악을 듣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최근 데이터 통신이 일반화되고 빨라지면서 음원을 저장해서 듣기보다는 실시간으로 다운받아 듣는 서비스가 일반화되고 있다.
미니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주인 사용자가 목록에 따라 배경음악으로 듣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주인 사용자가 현재 음악을 듣고 있는 것과 공유한다는 개념이 아니라 접속자만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으며,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주인 사용자하고만 계약을 형성하여 새로운 음원 서비스 계약을 늘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음원 서비스에서 특정인이 자신이 즐겨 듣는 음악 목록을 타 사용자와 공유하는 서비스도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실시간으로 음악을 공유하지 못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한 사용자의 현재 재생 목록을 다른 사용자가 공유하면서 음악을 공유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가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있는 것과 무관하게 동시에 같은 음악을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멀티 테스킹이 가능한 개인단말기를 이용하면서, 음원서비스를 공유하면서 채팅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원 스트리밍을 공급하는 인터넷 서버를 통해서 음악을 같이 듣는 방법은, 청취 사용자의 로그인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청취 사용자의 친구 사용자의 로그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음악을 상기 청취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현재 듣고 있는 음악을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럿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을 하나씩 분리하던지, Y-잭을 이용하던지, 스피커를 이용하여 함께 듣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복수의 사람이 가까이 있는 경우에만 해당하며,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는 불가능하다. 또한, 가까이 있어도 이어폰을 서로 나눌 수 없던지, 서로 나누는 것이 불편한 경우도 있을 것이고, Y-잭이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를 이용하는 것이 실례인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업자에게도 경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복수의 사용자가 현재 재생 음악을 공유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 양 사용자는 동일한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에 가입되어야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거리 및 원거리와 무관하게 종래의 음원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악을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인이나 친구, 동호회에서 음악을 서로 공유하면서 개인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청취 사용자에게 친구 사용자의 재생 목록을 제공하지 않고 음악 및 그 제목만 공유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음악 목록을 함께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취 사용자 및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목록을 동기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청취 사용자가 단순히 음악을 엿듣는 것에서 나아가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목록을 수정하여 함께 재생 목록을 만들어 가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현재 재생 음악을 청취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전에 친구 사용자에게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승락을 받아야 할 수도 있다. 이는 친구 사용자가 무한의 권한을 주고 실시간으로 같이 듣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매 접속마다 승인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원 스트리밍을 공급하는 인터넷 서버를 통해서 음악을 같이 듣는 방법은, 친구 사용자의 로그인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친구 사용자로부터 청취 사용자를 특정한 초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초대를 상기 청취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청취 사용자의 로그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음악을 상기 청취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친구 사용자가 자신의 음악을 공유하기 위해, 약속된 청취 사용자에게 초대를 보내고, 현재 접속된 청취 사용자에게 알림을 전송하거나 아직 접촉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푸쉬 알림을 보낼 수도 있다. 이미 로그인을 한 상태인 경우 스트리밍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로그인을 하면서 스트리밍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초대에 응한 청취 사용자가 접속이 확인되면, 친구 사용자가 현재 듣고 있는 음악을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음원 스트리밍 서버는 현재 재생 음악만 공유할 수 있고, 현재 재생 시간을 공유할 수 있고, 음악의 일시 정지도 공유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가 같은 시간에 같은 음악을 공유하도록 할 수 있지만, 청취 사용자의 특별한 조작에 따라 친구 사용자와 일시적으로 음악을 분리하여 음악을 처음부터 다시 듣거나 다른 음악을 듣는 것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 사용자의 현재 재생 목록을 다른 사용자가 공유하면서 음악을 공유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가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있는 것과 무관하게 동시에 같은 음악을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멀티 테스킹이 가능한 개인단말기를 이용하면서, 음원서비스를 공유하면서 채팅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스트리밍 서버를 통한 음악 같이 듣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악 같이 듣는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악 같이 듣는 방법에서 현재 재생 목록을 수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스트리밍 서버를 통한 음악 같이 듣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음악 같이 듣는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악 같이 듣는 방법에서 현재 재생 목록을 수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음원 스트리밍을 공급하는 인터넷 서버를 통해서 음악을 같이 듣는 방법은, 청취 사용자의 로그인 단계, 친구 사용자의 로그인을 확인하는 단계, 친구 사용자에게 음악 동기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친구 사용자가 청취 사용자의 같이 듣기를 승낙하면 음원 스트리밍 서버는 청취 사용자에게 친구 사용자가 현재 듣고 있는 음악을 공급할 수 있지만, 만약 거부하면 음원 스트리밍 서버는 청취 사용자에게 거절을 알릴 수 있다.
음원 스트리밍 서버는 청취 사용자와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음악을 동기화할 수 있다. 즉, 친구 사용자와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부분을 듣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외에도 청취 사용자의 요청이나 조작에 따라 현재 재생 음악 제목 및 가수 등만 공유하고, 처음부터 들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 사용자 간에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음악을 공유할 수가 있다.
음원 스트리밍 서버는 음원 제공의 주체가 되며, 청취 사용자 및 친구 사용자와 별도로 스트리밍 계약을 맺을 수 있으며,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서로 음악을 공유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는 단순히 선호하는 음악 리스트를 공유하는 것과는 구분되며, 현재 듣고 있는 음악을 공유하도록 하여 개인적인 공감대를 연출할 수 있고, 동시간 대에 음악을 공유하면서 개인적인 친분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음원 스트리밍 서버는 이러한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스트리밍 계약을 맺는 사용자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아이디를 공유하는 가능성을 낮추고, 복수의 사용자가 각자의 아이디로 접속하여 음악을 공유하도록 하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물론, 각자의 아이디가 아닌 한 사용자 보조 아이디를 추가로 개설하여 음악 공유만을 목적으로 하는 접속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및 원거리와 무관하게 종래의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악을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인이나 친구, 동호회에서 음악을 서로 공유하면서 개인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청취 사용자1 외에도 청취 사용자2가 추가로 접속하여 친구 사용자에게 음악 공유를 요청하고, 음악 공유를 통해서 음원 스트리밍 서버는 음원 동기화를 통해서 여러 사람이 음악을 공유하도록 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청취 사용자에게 친구 사용자의 재생 목록을 제공하지 않고 음악 및 그 제목만 공유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음악 목록을 함께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청취 사용자 및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목록을 동기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청취 사용자가 단순히 음악을 엿듣는 것에서 나아가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목록을 수정하여 함께 재생 목록을 만들어 가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청취 사용자가 현재 재생 목록을 수정하여 "4. XX"를 추가하고, 이를 친구 사용자에서 목록 수정에 대한 허락을 구할 수가 있다. 이 때, 친구 사용자가 이를 허락하면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목록이 수정되면서 청취 사용자와 함께 듣고 있는 재생 목록이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원 스트리밍을 공급하는 인터넷 서버를 통해서 음악을 같이 듣는 방법은, 친구 사용자가 음악을 듣다가 청취 사용자를 초대하면서 음악을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취 사용자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사용자라고 가정할 때, 음원 서버를 통해서 초대를 받을 수 있으며, 초대에 응하여 청취 사용자가 허락하거나 음원 서버에 접속하면 친구 사용자가 제공하는 음악을 함께 들을 수 있다. 초대를 보내는 방법으로는 현재 접속된 청취 사용자에게 알림을 전송하거나 아직 접촉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푸쉬 알림을 보내는 방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인터넷과 연결된 컴퓨터 및 컴퓨터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고, 컴퓨터와 스마트폰이 대상이 될 수 있다. 물론, 스마트폰이 아니더라도 인터넷 접속 및 음원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단말기라면 청취 사용자 또는 친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디스플레이 패널 110:영상모듈
120:반사시트 130:프레임
140:진동모듈 142:메인 압전 구동체
144:진동판 148:지지부

Claims (7)

  1. 음원 데이터를 보유하며 상기 보유된 음원 데이터를 유료 회원에게 음원 스트리밍으로 공급하는 인터넷 서버를 통해서 음악을 같이 듣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버에 유료 회원으로 등록된 청취 사용자의 로그인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청취 사용자와 같은 상기 인터넷 서버에 유료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친구 사용자의 로그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서버가 상기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음악 및 현재 재생 시간을 동기화하여 상기 청취 사용자에게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음원 데이터를 음원 스트리밍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음원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음악을 같이 듣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버는 상기 청취 사용자에게 상기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음악 목록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음악을 같이 듣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버는 상기 청취 사용자 및 상기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목록을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음악을 같이 듣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재생 음악을 상기 청취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전에 상기 친구 사용자에게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승락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음악을 같이 듣는 방법.
  5. 음원 데이터를 보유하며 상기 보유된 음원 데이터를 유료 회원에게 음원 스트리밍으로 공급하는 인터넷 서버를 통해서 음악을 같이 듣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버에 유료 회원으로 등록된 친구 사용자의 로그인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친구 사용자로부터 같은 상기 인터넷 서버에 유료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청취 사용자를 특정한 초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서버가 상기 초대를 상기 청취 사용자에게 푸쉬 알림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청취 사용자의 로그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서버가 상기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음악 및 현재 재생 시간을 동기화하여 상기 청취 사용자에게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음원 데이터를 음원 스트리밍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음원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음악을 같이 듣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버는 상기 청취 사용자에게 상기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음악 목록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음악을 같이 듣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서버는 상기 청취 사용자 및 상기 친구 사용자의 현재 재생 목록을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음악을 같이 듣는 방법.
KR20120003100A 2012-01-10 2012-01-10 음원 스트리밍 서버에서 음악 같이 듣기 방법 KR101481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3100A KR101481657B1 (ko) 2012-01-10 2012-01-10 음원 스트리밍 서버에서 음악 같이 듣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3100A KR101481657B1 (ko) 2012-01-10 2012-01-10 음원 스트리밍 서버에서 음악 같이 듣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895A KR20130089895A (ko) 2013-08-13
KR101481657B1 true KR101481657B1 (ko) 2015-01-16

Family

ID=4921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03100A KR101481657B1 (ko) 2012-01-10 2012-01-10 음원 스트리밍 서버에서 음악 같이 듣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9353B (zh) * 2020-09-15 2024-04-02 杭州网易云音乐科技有限公司 音乐播放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442A (ko) * 2004-04-23 2007-01-24 야후! 인크. 개선된 메시지 통신 및 상거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49868A (ko) * 2006-12-01 2008-06-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기기 간 데이터 스트리밍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442A (ko) * 2004-04-23 2007-01-24 야후! 인크. 개선된 메시지 통신 및 상거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49868A (ko) * 2006-12-01 2008-06-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기기 간 데이터 스트리밍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895A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6729B2 (en) Synchronized playback and control of media
US10743123B2 (en) Binaural audio systems and methods
KR102299239B1 (ko) 공동 디바이스 상의 가상 어시스턴트 시스템에 대한 개인 도메인
CN106537838B (zh) 媒体回放设备、方法和系统
US201702147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ersonalized audio content
US1023731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ccess to presentation devices using selection criteria
US9143889B2 (en) Method of establishing application-related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electronic devices, mobile electronic device, non-transitory machine readable media thereof, and media sharing method
CN113613046B (zh) 管理回放组
US20190296844A1 (en) Augmented interactivity for broadcast programs
US113436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crowdsourced microphone or other information with a digital media content environment
JP5985560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10250651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ublishing information automatically
Hancock et al. “Cycles upon cycles, stories upon stories”: contemporary audio media and podcast horror’s new frights
JP2016028489A (ja) 通信装置でコンテンツを受信し同期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4059211A2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time-sensitive, event-relevant interactive digital content to a user during a separate event being experienced by the user
US2019006866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eavesdropping
KR101481657B1 (ko) 음원 스트리밍 서버에서 음악 같이 듣기 방법
US8428551B1 (en) Contextual video voice message enhancement
US202202725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1863808B2 (en) Generating media queues by multiple participants
US11818427B2 (en) Adaptive media playback experiences for commercial environments
US20180270280A1 (en) Content-sharing application combined with social media and method of use
JP2020052995A (ja) プログラム及び端末
KR20170030822A (ko)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신호를 이용한 개인맞춤형 소셜 콘텐츠 배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127

Effective date: 201411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217

Effective date: 2015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