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476B1 -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476B1
KR101481476B1 KR20080081963A KR20080081963A KR101481476B1 KR 101481476 B1 KR101481476 B1 KR 101481476B1 KR 20080081963 A KR20080081963 A KR 20080081963A KR 20080081963 A KR20080081963 A KR 20080081963A KR 101481476 B1 KR101481476 B1 KR 101481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hermetically sealed
connection pipe
seal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81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283A (ko
Inventor
이용석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81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4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23Lubricat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type
    • F04B39/0276Lubricat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type the pump being of the reciprocating piston type, e.g. oscillating, free-piston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33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encapsulations
    • F04B39/0038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encapsulations of inlet or outlet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20Application within closed fluid conduits, e.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3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관과 흡입머플러로 사이를 긴밀하게 연결시켜 진동과 소음을 차단함은 물론, 상기 흡입연결관 내로 윤활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냉매의 흡입관과 토출관이 형성된 밀폐용기, 상기 밀폐용기 내에 설치되는 흡입머플러, 및 상기 흡입관과 흡입머플러 사이에 개재되는 흡입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연결관은 상기 흡입머플러측 일단과 상기 밀폐용기의 내벽면측 타단 사이에 산과 골이 교대로 반복된 신축성을 갖는 주름진 형태이며, 상기 타단에는 상기 밀폐용기의 내벽면에 대하여 복수 접촉하는 밀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흡입관으로부터 냉매 이동에 따른 맥동현상에 대응하여 신축변형이 유연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떨림과 소음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단면의 두께보다 타단면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상기 밀폐용기 내벽면과의 밀폐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밀폐형 압축기, 흡입연결관, 밀폐부, 윤활유

Description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HERMETIC COMPRESSOR MOUNTED WITH ABSORPTION CONNECTING TUBE}
본 발명은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관과 흡입머플러로 사이를 긴밀하게 연결시켜 진동과 소음을 차단함은 물론, 상기 흡입연결관 내로 윤활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형 압축기는 냉장고나 공기조화기 등에 사용되는 냉동사이클에서 냉매를 압축하기 위해 채용되는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밀폐용기와,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장치와, 상기 압축장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로 구성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대표적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밀폐용기(1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를 거친 저압의 냉매를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관(1)과, 압축된 고압의 냉매를 응축기 측으로 안내하는 토출관(2)이 설치된다.
또한, 압축장치(20)는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실(21a)을 형성하는 실린더(21)와, 상기 압축실(21a) 내부에서 직선왕복 운동하며 냉매를 압축하는 피스톤(22)과, 압축실(21a)을 밀폐시키도록 실린더(21)에 결합되며 냉매흡입실과 냉매토출실이 구획 형성된 실린더헤드(23)와, 실린더(21)와 실린더헤드(23) 사이에 개재되는 밸브장치(VA)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헤드(23)의 냉매흡입실 측에는 압축실(21a)로 흡입되는 흡입냉매의 유동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흡입머플러(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머플러(40)에는 흡입관(1)을 통해 유입되는 저온의 냉매가 밀폐용기(10) 내부의 윤활유와 혼합되지 않도록 원활하게 안내하는 흡입연결관(11)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30)는 피스톤(22)이 압축실(21a)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31)과, 상기 구동축(31)을 회전시키는 고정자(32)와 회전자(3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31)이 구동하면 압축실(21a) 내부는 피스톤(22)이 직선왕복운동 하는 과정에서 압축실(21a) 내부에 압력차를 발생시키고, 이 압력차에 의해 증발기를 통과한 저압의 냉매가 흡입관(1), 흡입머플러(40) 및 냉매흡입실을 순차적으로 거쳐 압축실(21a)로 흡입되어 압축되며, 이후 고압의 상태로 압축된 냉매는 냉매토출실과 토출관(2)을 거쳐 응축기 측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어 일단이 상기 밀폐용기 내벽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저온의 냉매가 흡입연결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맥동이 발생하여 흡입연결관과 밀폐용기 주변에 진동 및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흡입연결관과 밀폐용기 주변의 강한 진동이 장기간 계속됨에 따라 상호간의 결속력이 약화되어 갭이 발생할 수 있고, 결국 상기 갭 사이로 냉매가 누설되거나 압축장치를 윤활시키기 위한 윤활유가 유입되어 압축기의 압축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온의 냉매가 흡입연결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맥동에 따른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입연결관이 밀폐용기의 내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는 냉매의 흡입관과 토출관이 형성된 밀폐용기, 상기 밀폐용기 내에 설치되는 흡입머플러, 및 상기 흡입관과 흡입머플러 사이에 개재되는 흡입연결관을 포함 하되,
상기 흡입연결관은 상기 흡입머플러측 일단과 상기 밀폐용기의 내벽면측 타단 사이에 산과 골이 교대로 반복된 신축성을 갖는 주름진 형태이며, 상기 타단에는 상기 밀폐용기의 내벽면에 대하여 복수 접촉하는 밀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연결관의 타단면 두께는 일단면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밀폐부는 상기 흡입연결관의 타단면에 노치를 만들어 형성되고, 상기 노치를 중심으로 바깥쪽의 제1 밀폐부와, 안쪽의 제2 밀폐부로 나뉜 이중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밀폐부의 단면두께는 제2 밀폐부의 단면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연결관의 일단 외주면에는 결속밴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연결관을 주름관의 형태로 형성함으써, 흡입관으로부터 냉매 이동에 따른 맥동현상에 대응하여 신축변형이 유연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떨림과 소음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단면의 두께보다 타단면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상기 밀폐용기 내벽면과의 밀폐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흡입연결관의 타단면에는 이중구조의 밀폐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밀폐용기 내부에서 비산된 윤활유의 유입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기술에 앞서, 밀폐형 압축기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100)은 외부 저온의 냉매를 밀폐용기(10)의 내부로 연결시키는 흡입관(1)과, 상기 밀폐용기(10) 내에 설치되는 흡입머플러(4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밀폐용기(10)는 상부용기(10a)와 하부용기(10b)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폐용기(10)의 일측에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를 거친 저압의 냉매를 밀폐용기(10)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관(1)이 결합되어 있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타측에는 압축된 고압의 냉매를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측으로 안내하는 토출관(2, 도 1참조)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용기(10) 내부에는 흡입관(1)을 통해 흡입되는 냉매의 유 동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흡입머플러(4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머플러(40)는 상기 압축실(21a) 측과 연계되는 상부 측의 제1 몸체(40a)와 상기 흡입관(1) 측과 연계되는 하부 측의 제2 몸체(40b)가 상호 결합되어 내부공간이 하나의 공명공간을 형성하며, 이러한 상기 제1 몸체(40a)와 제2 몸체(40b)는 각각 사출물로 제작된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흡입연결관(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연결관(100)은 흡입관(1)과 흡입머플러(40)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흡입관(1)으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이동압력에 신축이 가능토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산(100a)과 골(100b)이 교대로 형성되어 주름지도록 형성되되, 그 일단은 상기 흡입머플러(40)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흡입관(1)이 연통된 밀폐용기(10)의 내벽면 주변을 밀봉하는 상태로 밀착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연결관(100)은 측방향에서 바라볼 때 전체가 산(100a)과 골(100b)로 이루어진 주름진 형상을 가지는 동시에, 정면에서 바라볼 때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흡입연결관(100)은 외부의 압력에 용이하게 신축변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고무, 실리콘 등)로 제작되며, 그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흡입머플러(40)에 끼워지는 상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탄성소재가 갖는 탄력적인 저항력을 이용하여 상기 밀폐용기(10)의 내벽면에 밀착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탄성소재로 제작된 상기 흡입연결관(100)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작된 것에 비하여 냉매와의 접촉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연결관(100)은 냉매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로 산(100a)과 골(100b)의 직경이 점차 확장되도록 하고, 타단 단면 두께는 일단의 단면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밀폐용기(10)의 내벽면에 대하여 상기 흡입연결관(100)이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밀폐용기(10)의 내벽면에 대한 타단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밀폐력이 보다 크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연결관(100)의 일단 외주면에는 흡입머플러(40)와의 결합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결속밴드(110)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흡입연결관(100)의 타단면에는 노치(notch)를 형성하여 밀폐용기(10)의 내벽면에 대한 접촉을 복수개로 하는 밀폐부(120)를 형성한다.
즉, 상기 밀폐부(120)는 타단면에서 상기 노치를 중심으로 바깥쪽의 제1 밀폐부(121)와 안쪽의 제2 밀폐부(122)로 나뉜 이중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중구조로 형성된 상기 밀폐부(120)는 밀폐용기(10) 내부에 설치된 압축장치를 윤활시키는 과정에서 윤활유가 비산되어 상기 흡입연결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연결관(100)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흡입연결관(100)의 타단면은 노치 를 복수개로 형성하여 밀폐부(120)를 다중구조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밀폐부(121)의 단면두께는 제2 밀폐부(122)의 단면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연결관(100)은 주름관의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흡입관(1)으로부터 냉매 이동에 따른 맥동현상에 대응하여 신축변형이 유연하게 이루어져 떨림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폐용기(10) 내면에 접하는 타단의 단면 두께를 두껍게 하여 밀폐용기(10)와의 밀폐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흡입연결관(100)의 타단면에는 이중구조의 밀폐부(12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밀폐용기(10) 내부에서 비산된 윤활유의 유입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흡입연결관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입관 10 : 밀폐용기
40 : 흡입머플러 100 : 흡입연결관
110 : 결속밴드 120 : 밀폐부
121 : 제1 밀폐부 122 : 제2 밀폐부

Claims (6)

  1. 냉매의 흡입관과 토출관이 형성된 밀폐용기,
    상기 밀폐용기 내에 설치되는 흡입머플러, 및
    상기 흡입관과 흡입머플러 사이에 개재되는 흡입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연결관은 상기 흡입머플러측 일단과 상기 밀폐용기의 내벽면측 타단 사이에 산과 골이 교대로 반복된 신축성을 갖는 주름진 형태이며, 상기 타단에는 상기 밀폐용기의 내벽면에 대하여 복수 접촉하는 밀폐부가 형성되되,
    상기 밀폐부는 상기 흡입연결관의 타단면에 노치를 만들어 형성되고, 상기 노치를 중심으로 바깥쪽의 제1 밀폐부와, 안쪽의 제2 밀폐부로 나뉜 이중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연결관의 타단면 두께는 일단면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폐부의 단면두께는 제2 밀폐부의 단면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
  5.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연결관의 일단 외주면에는 결속밴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
  6. 냉매의 흡입관과 토출관이 형성된 밀폐용기,
    상기 밀폐용기 내에 설치되는 흡입머플러, 및
    상기 흡입관과 흡입머플러 사이에 개재되는 흡입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연결관은 상기 흡입머플러측 일단과 상기 밀폐용기의 내벽면측 타단 사이에 산과 골이 교대로 반복된 신축성을 갖는 주름진 형태이며, 상기 타단에는 상기 밀폐용기의 내벽면에 대하여 복수 접촉하는 밀폐부가 형성되되,
    상기 흡입연결관의 일단 외주면에는 결속밴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
KR20080081963A 2008-08-21 2008-08-21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 KR10148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1963A KR101481476B1 (ko) 2008-08-21 2008-08-21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1963A KR101481476B1 (ko) 2008-08-21 2008-08-21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283A KR20100023283A (ko) 2010-03-04
KR101481476B1 true KR101481476B1 (ko) 2015-01-13

Family

ID=4217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81963A KR101481476B1 (ko) 2008-08-21 2008-08-21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4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518B1 (ko) * 2006-03-10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머플러 가스흡입 안내장치
KR20070028168A (ko) * 2005-09-07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작동유체 흡입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8168A (ko) * 2005-09-07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작동유체 흡입구조
KR100677518B1 (ko) * 2006-03-10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머플러 가스흡입 안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283A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6454B1 (en) Suction muffler for compressor
KR101745471B1 (ko) 소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실린더 결합 구조
CN100353057C (zh) 封闭式压缩机及制冷空调系统
EP3346127A1 (en) Linear compressor
US8459964B2 (en) Noise reducing device for hermetic type compressor
EP3242018B1 (en) Linear compressor
KR101958310B1 (ko)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101481482B1 (ko)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
US7344366B2 (en) Hermetic compressor having a high pressure chamber
KR20040022787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가스 흡입장치
US20040009077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a discharge pulsation reducing structure
KR101481476B1 (ko) 흡입연결관이 설치된 밀폐형 압축기
CN1218543A (zh) 往复式密封压缩机的抽吸设备
KR102495256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0508834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1313551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1996488B1 (ko) 밀폐형 압축기용 흡입 머플러
CN204692045U (zh) 线性压缩机
US6835050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788423B1 (ko) 흡입머플러 및 이를 갖는 압축기
KR20180037538A (ko) 토출 머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KR20080012710A (ko) 리니어 압축기의 진동 흡수 구조
KR0130213Y1 (ko) 밀폐형 전동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JP2004324635A (ja) 密閉型圧縮機
KR20090008592A (ko) 밀폐형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