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367B1 - Knee support fixture - Google Patents

Knee support fix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367B1
KR101481367B1 KR20140058445A KR20140058445A KR101481367B1 KR 101481367 B1 KR101481367 B1 KR 101481367B1 KR 20140058445 A KR20140058445 A KR 20140058445A KR 20140058445 A KR20140058445 A KR 20140058445A KR 101481367 B1 KR101481367 B1 KR 101481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knee
legs
knee suppor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8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6986A (en
Inventor
남희철
이성하
Original Assignee
남희철
이성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희철, 이성하 filed Critical 남희철
Publication of KR20140066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9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3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pecial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릎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다리가 벌어지지 않게 다리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대를 구비하고, 이들 양측 외측지지대가 홀딩수단에 의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무릎지지대를 구성함으로써,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 다리가 벌어지지 않고 지지되어 다리가 무기력하지 않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부(10)의 양측 단부에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다리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양측 다리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대(20)가 낫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무릎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0)가 좌우로 분할 형성되고, 좌우로 분할되는 수평부(10)에는 양측 외측지지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며, 상기 수평부(10)의 양측 하부에는 다리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대(30)가 스프링(33,34)을 탄력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외측지지대(2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고, 상기 수평부(10)의 외부에는 무릎지지대(100)를 상하로 회전하게 하는 힌지관부(41)가 설치되고, 이 힌지관부(41)의 후방에는 방석(40) 또는 의자좌판(102)이 연결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sup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ee support having an out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outside of the leg so that both legs are not opened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chair, So that both legs can be supported without being widened while sitting on a chair so that the legs can maintain a correct posture without being helples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knee support (20) including a structure in which an outer support (20) supporting outer sides of both legs is formed in a sickle shape so that both legs do not extend outward while sitting on a chair at both side ends of the horizontal part The horizontal portion 1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ortions and the horizontal portion 1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ortions and spacing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outer side supporting rods 20 is provided, The inner support rods 30 for supporting the inside of the legs ar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ortion 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pport rods 20 in a state where the springs 33 and 34 are elastically provided, A cushion 40 or a chair seat 102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hinge tube 41. The cushion 40 is connected to the hinge tube 4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

Description

무릎지지대{Knee support fixture}Knee support fixture

본 발명은 무릎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다리가 벌어지지 않게 다리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대를 구비하고, 이들 양측 외측지지대가 홀딩수단에 의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무릎지지대를 구성함으로써,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 다리가 벌어지지 않고 지지되어 다리가 무기력하지 않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sup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ee support having an out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outside of the leg so that both legs are not opened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chair, So that both legs can be supported without being widened while sitting on a chair so that the legs can maintain a correct posture without being helpless.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 제20-0129876호[(고안의 명칭 : 버스시트의 무릎 지지대),(종래고안 1이라고 칭함)]의 고안이 알려지고 있는데, 이는 버스시트에 착석후 승객이 다리를 벌리고 앉는 경우 무릎부위를 받쳐주는 무릎지지대를 제공하여 줌으로써, 승객이 무릎지지대에 무릎을 기대고 않게 되므로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옆시트에 승객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Conventionally, it has been known that the desig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29876 (name of design: a knee support of a bus seat), (Conventional design 1) is known, which means that after sitting on a bus seat, The knee support for supporting the knee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passenger does not lean against the knee support so as to be able to take a comfortable posture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passenger on the side sea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종래고안 1은, 버스시트의 측면에 받침대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무릎지지대를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축설시켜서 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ventional apparatus 1 is such that a pedestal is fixed on a side surface of a bus seat, and a knee support is rotatably supported by a hinge.

그리고,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8-0017380호[(고안의 명칭 : 자동차용 무릎지지대),(종래고안 2라고 칭함)]의 고안도 실용신안공개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In addition,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1998-0017380 [entitled "design name: automobile knee support system", "conventional design system 2") is also disclosed in a utility model publication publication.

상기 종래고안 2는 운전자의 오른발의 무릎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무릎지지대를 센터콘솔의 측방에 더 구비하여 운전자의 필요에 의하여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로드를 경감시켜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pparatus 2, a knee support capable of supporting a knee portion of a right foot of a driv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enter console, so that the knee support can be taken out according to the need of a driver, And to provide them.

이와 같은 종래고안1,2 모두가 버스시트의 측면에 설치된 받침대나, 승용차의 센터콘솔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에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2개의 무릎 중에서 1개의 무릎만을 기대는 것이다.All of the conventional designs 1 and 2 expect only one knee out of two knees of a passenger on a vehicle mounted on a vehicle such as a pedestal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a bus seat or a center console of a passenger car.

이들의 고안은 2개의 무릎 중에서 1개의 무릎외측만을 기대는 것임에 따라 차량의 구조물에 기댄 쪽의 다리는 편안할 수 있겠으나, 아무 곳에도 기대지 않은 다른 한 쪽의 다리는 무릎부분이 허공이 떠 있는 상태이므로 다리가 무기력해지고 다리가 불편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Their design is to expect only one knee out of the two knees, so that the leg of the person leaning on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may be comfortable, but the other leg, which is not leaning anywhe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g becomes weak and the leg becomes uncomfortable.

또한, 차량의 구조물에 무릎의 외측을 기대는 경우에 무릎의 외측을 기댄 다리가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지 못하고 무릎부분이 벌어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되어 의자(차량의 시트포함)자세가 삐딱해져서 신체의 균형이 맞지 않게 되는 문제를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outside of the knee is leaned against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the legs leaning outward from the knee can not be vertical from the floor surface, and the knees are inclined so that the chair (including the seat of the vehicle) I had the problem of not being right.

특히, 여성이나 체격이 작은 어린이를 포함한 사람들의 경우에는 차량의 구조물에 무릎의 외측을 기댄 쪽의 다리가 더욱 더 경사지게 기울여지게 되어 더욱 더 신체의 균형이 맞지 않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woman or a person including a small-sized child, the legs of the leaning side of the knee are inclined more inclinedly to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body becomes more unbalanced.

그리고, 위의 종래고안들은 차량에만 무릎을 지지할 수 있는 무릎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임에 따라, 무릎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을 탑승한 경우에만 무릎지지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문제도 함께 지니고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designs have a knee support which can support the knee only in the vehicle, the knee support can be used only when the vehicle having the knee support is mounted.

실용신안등록 제20-0129876호(고안의 명칭 : 버스시트의 무릎 지지대)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29876 (name of design: knee support of bus seat)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8-0017380호(고안의 명칭 : 자동차용 무릎지지대)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1998-0017380 (Design Name: Automotive Knee Suppor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 무릎의 외측을 지지하는 양측 외측지지대가 홀딩수단에 의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무릎지지대를 구성함으로써, 어떤 자리에 앉더라도 2개의 다리를(무릎을) 안정되고 바르게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첫 번째 기술적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nee support which allows both side outer supports for supporting the outer sides of both knees to be hel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the holding means while sitting on a chair, The first technical task is to make the legs (knees) of dogs stable and properly supported.

또한, 양측 외측지지대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부를 좌우로 분할한 뒤에 그렇게 분할된 양측 수평부를 사용자의 체격의 크기에 맞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체격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체격 크기에 맞게 무릎지지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두 번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by horizontally dividing the horizontal part formed between the both side outer supports, the divided horizontal parts can be adjusted to fit the size of the user's body. Thu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user, So that it can be adjusted in size.

그리고, 양측 외측지지대 사이의 수평부 하부에 무릎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대를 설치하되, 그 내측지지대를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하여 양측 무릎을 안쪽으로 오므리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세 번째 기술적 과제로 한다.An inner support base for supporting the inside of the knee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part between the both side outer support rods. The inner support rope is elastically provided by a spring so as to move both knees inward. It is a technical task.

또한, 상기 첫 번째부터 세 번째까지의 목적을 달성하게 하는 무릎지지대를 방석이나 의자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ee support which can achieve the objects from the first to the third to be installed in a cushion or a chai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수평부의 양측 단부에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다리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양측 다리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대가 낫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무릎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가 좌우로 분할 형성되고, 좌우로 분할되는 수평부에는 양측 외측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며, 상기 수평부의 양측 하부에는 다리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대가 스프링을 탄력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외측지지대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고, 상기 수평부의 외부에는 무릎지지대를 상하로 회전하게 하는 힌지관부가 설치되고, 이 힌지관부의 후방에는 방석 또는 의자좌판이 연결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side supporting the outer sides of both legs is bent in a sickle shape so that the two side legs do not extend outward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chairs at both side ends of the horizontal part The knee support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ortions and a horizontal portion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ortions is provided with a gap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both outer side supports. And a hinge tube portion for rotating the knee support vertically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hinge pipe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cushion or a chair seat plate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tub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릎지지대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 무릎의 외측을 지지하는 양측 외측지지대가 홀딩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으로 무릎지지대가 이루어짐에 따라, 어떤 의자나 자리에 앉더라도 양측 무릎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다리가 무기력해지는 것과 피로를 예방하는 효과와, 양측 다리가 바르게 세워진 상태로 지지되게 되어 신체의 균형으로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kne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side outer supports for supporting the outer sides of both knees are connected by holding means while sitting on a chair, The two legs are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correctly erected, and the balance is maintained in the body.

또한, 무릎지지대의 폭을 사용자의 체격의 크기(사용자가 바르게 앉았을 때 양측 무릎사이의 간격크기)에 맞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체격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체격 크기에 맞게 무릎지지대의 폭을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knee suppor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physique (the size of the gap between the knees when the user is seated correctly), so that the width of the knee support So that it can be effectively used.

그리고, 수평부의 하부에 무릎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대를 설치하되, 그 내측지지대를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하여 양측 무릎을 안쪽으로 오므리는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아울러 지니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n inner support base for supporting the inner side of the kne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inner support base is elastically provided by a spring so as to move both knees inw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지지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지지대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지지대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5에 표시된 "A", "B", "C"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5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지지대의 사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지지대의 오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지지대의 육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육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지지대의 칠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칠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지지대의 팔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지지대의 구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kne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removal of a kne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kne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 "B", and "C" portions shown in FIGS. 2 and 5;
Fig. 5 (a) and (b) are front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kne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kne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nee suppor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six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a kne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seventh embodiment shown in Fig. 9.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m embodiment of a kne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kne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릎지지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kne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FIG.

본 발명에 의한 무릎지지대(100)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 무릎의 외측을 지지하는 양측 외측지지대(20)가 홀딩수단에 의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구성되는 것이다.The knee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side outer supports 20 supporting the outer sides of the knees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a chair are hel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the holding means.

상기 홀딩수단은 양측 외측지지대(20)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 도 1, 2, 5, 6, 9, 12에 도시된 수평부(10), 도 3에 도시된 수평밴드(12), 도 11에 도시된 버클(13)을 포함한 밴드(12a)를 홀딩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2, 5, 6, 9, and 12, the horizontal band 12 shown in FIG. 3, and the horizontal band 12 shown in FIG. , The band 12a including the buckle 13 shown in Fig. 11 can be referred to as holding means.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릎지지대(100)는, 수평부(10)의 양측 단부에 양측다리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양측 다리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대(20)가 낫 모양, 또는 "ㄱ" 자, 활모양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것이다.The knee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knee support 100 is provided at both side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10, The support 20 is formed to be sickle-shaped, or "a"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무릎지지대(100)는, 도 1에 포함되는 무릎지지대(100)의 수평부(10)를 좌우로 분할 형성한 뒤에, 좌우로 분할 형성되는 수평부(10)에는 양측 외측지지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이다.The knee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is formed by horizontally dividing the horizontal portion 10 of the knee support 100 included in FIG. 1, (10) is provided with a gap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both outer side supports (20).

이렇게 도 2와 같이 수평부(10)를 좌우로 분할 형성하는 경우에는 수평부(10)를 길게 형성하여 상하로 겹쳐질 수 있게 하며, 도 2와 같이 길이가 길어진 양측 수평부(10)에 구비되는 간격조절수단은 좌우로 분할된 양측 수평부(10)에 장공(21)이 형성되고, 이 장공(21)이 구비되는 양측 수평부(10)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서로 겹쳐져 통하는 장공(21)에 볼트(22)가 관통되고, 각각의 장공(21)을 관통한 볼트(22)의 나사부에 잠금너트(23)가 체결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이다.2, when the horizontal portion 1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ortions, the horizontal portion 10 is formed to be long and can be vertically overlapped. In the horizontal portion 10 having a long length as shown in FIG. 2, The slit 21 is formed in both side horizontal parts 10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each of the horizontal parts 10 provided with the slits 21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lock nut 23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22 passing through each of the elongated holes 21. As shown in Fig.

도 3에 도시된 삼실시예에 따른 무릎지지대(100)는, 외측지지대(20)가 구비되며 좌우로 분할되는 양측 수평부(10)의 단부에 밴드걸이구멍(11)이 각각 형성되고, 양측 밴드걸이구멍(11)에는 수평밴드(12)의 양단부가 간격조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이다.The knee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3 has band support holes 11 formed at the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s 10 on both sides where the outer support rods 20 are divided, The band hook hole 11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both end portions of the horizontal band 12 are inserted and arranged so as to be adjustable in spacing.

도 5에 도시된 사실시예에 따른 무릎지지대(100)는, 도 2에 도시된 무릎지지대(100)와 같이 외측지지대(20)가 구비되며 수평부가 분할되는 무릎지지대(100)와, 도 1에 도시된 무릎지지대(100)의 상기 수평부(10)의 양측 하부에 다리(101)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대(30)가 외측지지대(2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이다.The knee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ncludes a knee support 100 having an outer support 20 and a horizontal portion, such as the knee support 100 shown in FIG. 2, The inner support rods 30 for supporting the inside of the legs 101 ar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ortion 10 of the knee support 100 shown in Fig. .

그리고, 상기 내측지지대(30)는 도 5에서와 같이 수평부(10)의 하방에 힌지부(31)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양측 내측지지대(30) 외측의 수평부(10) 하방에는 내측지지대(30)가 외측지지대(20)측으로 젖혀지는 것을 차단하는 스톱퍼(32)가 설치되며, 각각의 내측지지대(30)에는 각각의 내측지지대(30)가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것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3,34)이 설치되어 있다.5, the inner support base 30 is hingedly provided by a hinge portion 31 below the horizontal portion 10, and is provided below the horizontal portion 10 outside the both inner support bases 30 A stopper 32 for preventing the inner support table 30 from being tilted toward the outer support table 20 is provided and each inner support table 30 is provided with a stopper 32 for resiliently supporting each inner support table 30 The springs 33 and 34 are provided.

상기 스프링은 도 5의 (가)와 같이 양측 내측지지대(30)의 사이에 압축코일 스프링(33)을 설치하거나, 도 5의 (나)와 양측 내측지지대(30)의 힌지부(31)에 비틀림 스프링(34)을 설치할 수 있다.5 (A), a compression coil spring 33 is provided between the both inner side supporting rods 30, and the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ide supporting rods 30 and the hinge portions 31 of the both inner side supporting rods 30 A torsion spring 34 can be provided.

도 6에 도시된 오실시예에 따른 무릎지지대(100)는 양측 외측지지대(20)의 사이에 연결 형성되는 수평부(10)가 좌우로 분할 형성되고, 분할된 각각의 단부에는 통공(35)이 구비된 절곡부(36)가 형성되며, 양측 절곡부(36)의 통공(35)으로 볼트(37)가 관통되고, 통공(35)을 관통한 볼트(37)에는 스프링(39)이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39) 외측의 볼트(37) 나사부에 너트(38)가 체결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이다.The knee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has a horizontal portion 10 formed to be connected between the both side outer supports 20 and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ortions. A bolt 37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 35 of the both bent portions 36 and a spring 39 is inserted into the bolt 37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35 And the nut 38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37 outside the spring 39 in the state that the spring 39 is engaged.

상기 오실시예에 따른 무릎지지대(100)는 수평부(10)가 좌우로 분할 형성되고, 좌우로 분할된 양측 수평부가 스프링(39)에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양측 무릎을 외측으로 벌리면서 다리의 근력을 키울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양측 수평부의 하부에 내측지지대(30)를 탄력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knee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portion 1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ortions, and the left and right divided horizontal portions are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spring 39 to open the knee joints to the outside, And the inner support base 30 can be resiliently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s on both sides.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육실시예는 일 내지 오실시예에 따른 무릎지지대(100)를 방석(40)의 일측 전방에 힌지식으로 설치하는 것으로써, 이는 상기 수평부(10)의 외부에 무릎지지대(100)를 상하로 회전되게 하는 힌지관부(41)가 설치되고, 힌지관부(41)의 후방에는 방석(40)이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7 and 8, the knee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cushion 40, And a cushion 40 is connected to a rear portion of the hinge tube portion 41. The cushion 40 is connected to the hinge tube portion 41. [

이때, 상기 힌지관부(41)는 플랙시블한 직물지나, 합성피혁, 판형 연질합성수지재를 수평부(10)를 감싼 뒤에 후방으로 겹쳐지는 단부를 방석(40)과 재봉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합성수지관의 외측 후방에 방석(40)과 연결하는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hinge tube portion 41 may be provided with a flexible fabric, a synthetic leather, a plate-shaped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n end portion overlapping the rear portion after the horizontal portion 10 is wrapped,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cushion 40 to the outside of the outside of the synthetic resin pipe can be formed.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칠실시예는 일 내지 오실시예에 따른 무릎지지대(100)를 의자좌판(102)의 전방에 힌지식으로 설치하는 것으로써, 이는 상기 수평부(10)의 외부에 무릎지지대(100)를 상하로 회전하게 하는 힌지관부(41)가 설치되고, 이 힌지관부(41)의 후방에는 의자좌판(102)에 볼트로서 설치하는 장공(42)을 구비한 설치대(43)가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9 and 10, the knee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inged to the front of the chair seat 102 so that the knee support 100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10 And a hinge tube portion 41 for rotating the knee support 10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provided at a rear side of the hinge tube portion 41. A mounting table 43 ).

도 11에 도시된 팔실시예에 따른 무릎지지대(100)는, 무릎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대(20)가 좌우로 분할되고, 이렇게 좌우로 분할 형성되는 양측 외측지지대(20)가 홀딩수단이 되는 버클(13)을 구비한 밴드(12a)에 의해 감싸지게 홀딩된다.In the knee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the outer support 20 supporting the outer side of the knee is divided into right and left, and the right and left split side support rods 20 are held by the holding means And is held by a band 12a having a buckle 13 to be wrapped.

이때, 상기 외측지지대(20)의 외부에는 밴드(12a)가 끼워지는 밴드걸이부(11a)가 구비되며, 밴드(12a)의 소정위치에는 탄력부재(14)가 개재되어 밴드(12a)가 탄력적으로 신축될 수 있게 되어 있다.At this time, a band hanging portion 11a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support 20 and a band 12a is inserted. A resilient member 14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nd 12a, As shown in Fig.

도 12에 도시된 구실시예에 따른 무릎지지대(100)는, 무릎의 외측을 지지하는 양측 외측지지대(20)의 내측에 무릎(다리)의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패드(27)를 설치하는 것으로써, 도 12에는 지지패드(27)가 조절나사(25)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조절나사 없이 외측지지대(20)의 내측에 지지패드를 직접 설치해도 무방하다.The knee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 has a support pad 27 for supporting the outside of the knee (leg) on the inside of the both side outer supports 20 supporting the outside of the knee 12, the support pads 27 are provided at the inner ends of the adjustment screws 25. However, the support pads may be directly installed inside the outer supports 20 without adjusting screws.

그리고, 상기 양측 외측지지대(20)에는 암나사부(24)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그 암나사부(24)를 통하여 외측에 핸들(26)이 설치된 조절나사(25)가 나사식으로 체결되고, 암나사부(24)와 체결되어 내향 설치되는 조절나사(25)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지지패드(27)가 설치되어 외측의 핸들(26)을 풀고 조이는 것에 따라 양측 지지패드(27)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 female screw part 24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both side outer support rods 20 and an adjusting screw 25 provided with a handle 26 on the outside through a female screw part 24 is threadedly fastened, The support pads 27 are provided at the inner ends of the adjustment screws 25 which are coupled with the support members 24 to be installed inward and the spacing of the support pads 27 can be adjusted by unlocking and tightening the outer handle 26 It will be.

도면 부호 중 미설명부호 "30" 은 내측지지대이다.In the reference numerals, 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n inner support.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FIG.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릎지지대(100)는 가정이나 학교, 사무실 등과 같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의자나, 차량과 같은 교통수단에 설치되어 있는 시트(의자)와 같은 앉을 것(이하, 의자라고 통칭함)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양측 무릎 위에 무릎지지대(100)를 올려놓거나, 또는 의자나 방석에 무릎지지대(100)를 설치한 경우에는 양측 무릎의 하부에서 무릎지지대(100)가 양측 무릎을 잡아주어 양측 다리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First, the knee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chair used in a place such as a home, a school, or an office, or a sea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hair) installed in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vehicle When the knee support 100 is placed on both knees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knee support or the knee support 100 is installed on a chair or a cushion, the knee support 100 catches both knees at the bottom of both knees So that both legs do not spread outward.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릎지지대(100)를 도 5와 같이 양측 무릎 위쪽 다리부분의 다리(101)의 위에 올려놓거나, 또는 도 8, 10과 같이 무릎지지대(100)를 무릎의 아래 부분의 다리(101)에서 상측으로 끼우게 되면, 무릎지지대(100)의 양측에 낫 또는 활모양을 절곡되게 형성된 양측 외측지지대(20)가 양측 다리(101)의 외측을 지지해주어 양측 무릎을 포함한 다리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knee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the leg 101 of the upper leg of the both knees, or the knee support 100 may be placed on the leg of the lower part of the knee, The knee support 100 supports the outer sides of the legs 101 on both sides of the knee support 101 so as to be bent in a sickle or an arched shape so that the legs including the knees on both sides So that it is maintained at a constant interval.

이는, 양측 외측지지대(20)가 양측 다리(101)의 외측을 지지하면서 양측 외측지지대(20)의 사이에는 수평부(10)를 포함한 홀딩수단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양측 다리(101)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양측 무릎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고 무릎지지대(100)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무릎아래의 두 다리가 바닥면으로부터 무릎까지 자연스럽게 수직하게 세워지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holding means including the horizontal portion 10 is connected between the both side outer supports 20 while the both side outer supports 20 support the outer sides of the both legs 101, The two knees are supported by the knee support 100 without being open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two legs under the knee are naturally vertically er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knee .

이렇게 무릎아래의 두 다리가 수직방향으로 바르게 세워지게 될 때, 양측 무릎이 무릎지지대(100)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지지된 상태이므로, 양측 두 다리의 발바닥이 바닥면이 닿아서 발바닥이 안정되게 지지되게 되고, 위와 같이 양측 무릎이 무릎지지대(100)에 의해 지지되게 되며, 엉덩이는 의자에 앉아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엉덩이 아래의 다리 전체가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가 된다.When the two legs under the knee are correctly rai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ince both knees are supported by the knee support 100 at a constant interval, the sole of both legs touches the floor and the sole is stable And both knees are supported by the knee support 10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ips are supported on the seat, the entire legs under the hips are stably supported.

이는, 예전에 일반적으로 의자에 앉았을 때 양측 무릎부분의 다리가 지지되지 못하고 허공에 떠서 옆으로 기울여지거나, 또는 양측 무릎이 벌어지던 현상이 생기지 않게 교정하게 되며, 양측 다리가 바르게 세워짐에 따라 엉덩이부터 상측까지도 바르게 세워지게 되어 신체를 바른 자세가 되게 하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legs of both knees can not be supported when sitting on a chair in the past, and they are calibrated so as not to be tilted to the side or to be widened in both knees. As the two legs are correctly erected, So that the body is properly positioned.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릎지지대(100)는, 사용자의 양측 무릎 위의 다리부분에 올려놓는 것으로, 양측 외측지지대(20)와 수평부(10)가 일체로 형성되어 1개의 일정한 크기로만 만든다면 사용자의 신체크기에 맞지 않으므로 소형부터 대형까지 다양한 크기로 제작해야 할 것이다.The knee suppor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s placed on a leg portion on both knees of a user so that both side outer supports 20 and the horizontal portion 10 are integrally formed If you only make one size, it will not fit your body size, so you will have to make various sizes from small size to large siz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경우는 양측 외측지지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간격조절수단이 구비된 것으로서, 이들은 간격조절수단을 조절하여 양측 외측지지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체격이 크고 작음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case shown in FIGS. 2 and 3, there is provided a gap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both outer side supports 20, which adjusts the gap between the both side outer supports 20 by adjusting the gap adjusting means It is possible to use i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 and the size of the user.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경우는 서로 겹쳐져 통하는 상하측 장공(21)을 관통한 볼트(22)와 잠금너트(23)를 풀어서 양측 수평부(10)를 느슨하게 한 뒤에, 사용자의 체격의 크기 즉, 사용자의 양측 무릎사이의 간격에 맞게 양측 외측지지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상태에서 볼트(22)와 잠금너트(23)를 조여서 양측 외측지지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다.2 and 4, the bolts 22 and the locknuts 23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longated holes 21 which are mutually overlapped are loosened to loosen the horizontal portions 10 on both sides, and then the size of the user's body That is, the interval between the both side outer supports 20 is adjusted by tightening the bolts 22 and the lock nuts 23 in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ide outer supports 20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 between the knees of the user .

도 3에 도시된 간격조절수단은 양측 외측지지대(20) 내측의 수평부(10)의 단부에 밴드걸이구멍(11)이 형성된 것임에 따라 양측 밴드걸이구멍(11)으로 끼워지는 수평밴드(12)를 가방이나 허리벨트에서 길이를 조절하는 것과 동일하게 길이를 조절하여 양측 외측지지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e gap adjusting means shown in Figure 3 has a band bore 11 form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10 inside the both side outer supports 20 so that the horizontal bands 12 Can be adjusted in the same way as the length of the bag or waist belt is adjust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ide outer supports 20. [

도 5에 도시된 무릎지지대(100)의 경우는 수평부(10)의 하측 내부에 다리(101)의 안쪽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대(30)를 설치함에 따라 양측 다리의 내외측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음을 물론이고, 이 내측지지대(30) 들이 스프링(33,34)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서 양측 다리(101)를 내측으로 오므리면서 다리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The knee support 100 shown in Fig. 5 is provided with an inner support base 30 for supporting the inside of the leg 101 in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10 so as to suppor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th legs simultaneously In addition, the inner supports 30 are resiliently mounted by the springs 33 and 34, so that the legs 101 can be moved inward while the two legs 101 are pushed inward.

이는, 양측 무릎을 안쪽으로 오므리는 힘에 의해 스프링(33,34)이 압축되면서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다리에 근력을 키우게 되는 것이며, 이 내측지지대(30)는 스톱퍼(32)에 걸려 있어서 내측지지대(30)가 외측지지대(20)측으로 가지 못하게 되어 외측지지대(20)와 내측지지대(30)는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고, 그로인하여 무릎지지대(100)를 다리에 끼우거나 뺄 때, 걸림이 없이 간편하게 다리에 착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springs 33 and 34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orces acting on the both knees to move inward, there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legs. The inner support 30 is hooked on the stopper 32, The outer support 20 and the inner support 30 are always kept at a constant spacing by preventing the support 30 from coming to the side of the outer support 20 so that when the knee support 100 is inserted into or pulled from the leg, So that i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o / from the leg.

도 6에 도시된 오실시예의 경우는 좌우로 분리된 양측 수평부(10)의 단부가 스프링(39)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스프링(39)의 탄력을 강하게 함에 따라 양측 무릎을 외측으로 강하게 벌리지 않으면, 양측 외측지지대(20)에 양측 무릎의 외측이 지지되게 되고, 양측 무릎을 강하게 벌리면 스프링(39)이 압축되면서 양측 외측지지대(20)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다리의 근력을 단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6, the end portions of both side horizontal portions 10 which are separated to the left and right are resiliently provided by the spring 39. However, as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39 is strengthened, When both knees are strongly spaced apart, the springs 39 are compressed, and the both side outer supports 20 extend outward so that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legs can be improved. It will be.

그리고, 스프링(39)이 탄력적으로 외측에 삽입된 볼트(37)의 나사부에 체결된 너트(38)을 풀거나 조이면, 너트(38)가 나사식으로 외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39)의 탄력이 약해지거나 강해져서 스프링(39)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nut 38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37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of the spring 39 is loosened or tightened and the nut 38 is moved outward or screwed inward,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39 is weakened or stronger, and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39 can be controlled.

따라서, 사용자의 다리 근력에 맞게 스프링(39)의 탄력을 조절하면서 다리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leg motion can be performed while adjusting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39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leg strength.

다음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무릎지지대(100)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방석(40)의 전방 일측에 무릎지지대(100)가 상하로 회전되게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의자좌판(102) 상에 무릎지지대(100)가 달린 방석(40)를 얹은 상태에서 무릎부분의 다리(101) 아래쪽으로 내려져 있던 무릎지지대(100)를 상측으로 올리면서 양측 다리(101)에 끼워서 다리를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knee support 100 shown in FIGS. 7 and 8 is described below because the knee support 100 is hinged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ushion 40 so as to be rotated up and down, The knee support 100 which has been lowered below the leg 101 of the knee portion is placed on both legs 101 while lifting the cushion 40 with the knee support 100 on the upper leg 102, To do so.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경우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유사한데, 단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경우와 다른 점은 무릎지지대(100)가 의자좌판(102)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점이다.9 and 10 are similar to those shown in Figs. 7 and 8, except that only the knee support 100 is hinged to the chair seat 102 It is installed point.

위의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경우는 무릎지지대(100)의 수평부(10)가 힌지관부(41)에 힌지식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무릎지지대(100)를 다리에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외측지지대(20)의 무게에 의해 외측지지대(20)가 가상선처럼 아래로 내려와 있는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자좌판(102)에 앉은 뒤에 무릎지지대(100)를 힌지관부(41)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다리에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7 to 10, since the horizontal portion 10 of the knee support 100 is hinged to the hinge tube portion 41, the knee support 100 is not worn on the legs The outer support 20 is lower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outer support 20 so that the user can sit on the chair seat 102 and the knee support 100 can be moved to the hinge tube 41 And is worn on the legs.

그리고, 의자좌판(102)에서 사용자가 일어나고자 할 때는 양측 다리(101)에서 무릎지지대(100)를 밑으로 내리면서 무릎지지대(100)를 다리에서 분리시키면, 무릎지지대(100)가 힌지관부(41)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내려와서 다리에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When the knee support 100 is separated from the leg while the knee support 100 is lowered from both legs 101 when the user wants to wake up from the chair seat 102, 41), so that they are not caught by the legs.

도 11에 도시된 팔실시예는 외측지지대(20)의 외부에 각각 형성된 밴드걸이부(11a)에 밴드(12a)가 끼워져서 밴드(12a)의 양측에 한 쌍의 외측지지대(20)가 끼워진 상태에서 밴드(12a)를 이용해서 양쪽 다리를 감싼 뒤에 버클(13)를 체결하여 양측 다리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11, a band 12a is fitted in a band hook portion 11a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side support 20, and a pair of outer side supports 20 are fitted on both sides of the band 12a It is possible to support both legs by fastening the buckle 13 after wrapping both legs using the band 12a.

밴드(12a)의 단부에 설치되는 버클(13)은 가방이나 벨트에 사용하는 공지된 것으로 착탈이 용이하고 밴드(12a)의 길이조절이 자유로워 착용자의 신체크기에 맞게 밴드(12a)의 전체 둘레 길이를 신축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e buckle 13 provided at the end of the band 12a is known to be used for a bag or a belt and is easily detachable and freely adjustable in length of the band 12a, You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stretch.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팔실시예의 무릎지지대(100)에서 밴드(12a)의 소정위치에 탄력부재(14)를 설치하여 양측 다리를 외측으로 힘을 주어 벌리게 되면, 탄력부재에 의해 밴드(12a)가 탄력적으로 신축되어 다리의 압박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며, 약간의 다리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elastic member 14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nd 12a in the knee support 100 of the arm embodiment shown in Fig. 11 and the two legs are spread outwardly by force, the band 12a ) Is elastically stretched and contracted to minimize the pressure feeling on the leg,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little leg motion.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1에 도시된 팔실시예의 경우에도 밴드(12a)의 소정위치를 방석이나 의자시트에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팔실시예에 따른 무릎지지대(100)를 다리에서 분리시켰을 때, 방석 또는 의자시트에 매달려 있게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11, whe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nd 12a is connected to the cushion or the seat of the chair by a connecting member to separate the knee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rom the legs , A cushion or a seat of a chair.

도 12에 도시된 구실시예의 경우에도 사용자의 체격이 크고 작음에 맞추어 양측 외측지지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간격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다.12, a gap adjusting means is provided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outer side supports 20 on both sides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user's body.

도 12에 도시된 간격조절수단은, 양측 외측지지대(20)의 암나사부(24)에 조절나사(25)가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있으며, 이 조절나사(25)의 내외측에는 지지패드(27)와 핸들(26)이 각각 설치되어서 외측의 핸들(26)을 돌리는 방향에 따라 조절나사(25)가 암나사부(24)와의 나사체결에 의해 내측이나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여 양측 지지패드(27) 사이의 간격을 조절 할 수 있는 것이다.12 is an example in which the adjustment screw 25 is threadably fastened 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 24 of the both side outer supports 20 and the support pads 27 are provided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adjustment screw 25, The adjusting screw 25 is moved inwardly or outwardly by screwing the female screw portion 24 to the side between the both side support pads 27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26 is turned, Can be adjusted.

상기 양측 지지패드(27)에는 쿠션재를 설치하게 되면, 지지패드(27)에 접촉하는 다리가 베기지 않고 안락한 쿠션감을 줄 수 있은 당연한 것이다.If the cushioning material is provided on the both side support pads 27, it is natural that the legs contacting the support pads 27 do not slip and can provide a comfortable cushioning feeling.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무릎지지대의 수평부에 손수건과 같은 커버를 설치하면, 치마를 입은 여성의 양다리 사이를 커버할 수 있고, 또 다른 경우로 본 발명의 무릎지지대 상측에 스마트폰을 끼울 수 있는 스마트폰 지지대를 끼워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영상을 볼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cover such as a handkerchief o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knee support can cover between the legs of a woman wearing a skirt, and in other cases, a smartphone can be fitted on the upper side of the kne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 can see the video of my smartphone while sitting on a chair with a smartphone support.

10 : 수평부 11 : 밴드걸이구멍 11a : 밴드걸이부
12 : 수평밴드 12a : 밴드 13 : 버클
14 : 탄력부재 20 : 외측지지대 21 : 장공
22 : 볼트 23 : 잠금너트 24 : 암나사부
25 : 조절나사 26 : 핸들 27 : 지지패드
30 : 내측지지대 31 : 힌지부 32 : 스톱퍼
33,34 : 스프링 35 :통공 36 : 절곡부
37 : 볼트 38 : 너트 39 : 스프링
40 : 방석 41 : 힌지관부 42 : 장공
43 : 설치대 100 : 무릎지지대 101 : 다리
102 : 의자좌판
10: Horizontal part 11: Band hook hole 11a: Band hook part
12: Horizontal band 12a: Band 13: Buckle
14: Elastic member 20: Outer support 21: Slot
22: bolt 23: lock nut 24: female thread portion
25: adjusting screw 26: handle 27: supporting pad
30: inner side support 31: hinge 32: stopper
33, 34: spring 35: through hole 36:
37: bolt 38: nut 39: spring
40: cushion 41: hinge tube 42:
43: mounting table 100: knee support 101: leg
102: Chair seat

Claims (13)

삭제delete 수평부(10)의 양측 단부에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다리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양측 다리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대(20)가 낫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무릎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0)가 좌우로 분할 형성되고, 좌우로 분할되는 수평부(10)에는 양측 외측지지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지지대.
The knee support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support rods (20) for supporting the outer sides of both legs are bent in a sickle shape so that the both legs do not extend outward whe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ortion (10)
Wherein the horizontal part (10) is divided into right and left parts and a horizontal part (10)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arts is provided with a gap adjusting part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side outer supports (20) support fixtu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0)가 좌우로 분할 형성되고, 분할된 각각의 단부에는 통공(35)이 구비된 절곡부(36)가 형성되며, 양측 절곡부(36)의 통공(35)으로 볼트(37)가 관통되고, 통공(35)을 관통한 볼트(37)에는 스프링(39)이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39) 외측의 볼트(37) 나사부에 너트(38)가 체결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지지대.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horizontal part (1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arts, and each of the divided ends has a bending part (36) having a through hole (35) The nut 38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37 outside the spring 39 in the state where the spring 39 is inserted into the bolt 37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35 Wherein the knee support comprises a knee suppor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좌우로 분할되는 양측 수평부(10)에 장공(21)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좌우로 분할된 양측 수평부(10)가 서로 겹친 상태에서 서로 겹쳐진 장공(21)에 볼트(22)가 관통되고, 겹쳐진 장공(21)을 관통한 볼트(22)의 나사부에 잠금너트(23)가 체결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지지대.[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gap adjusting means comprises a pair of horizontally elongated holes (21) formed in both horizontal portions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 (22) is passed through the overlapping long hole (21) and the lock nut (23)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22) passing through the overlapping slot (2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좌우로 분할되는 양측 수평부(10)의 단부에 밴드걸이구멍(11)이 각각 형성되고, 양측 밴드걸이구멍(11)에는 수평밴드(12)의 양단부가 간격조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지지대.The ban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gap adjusting means comprises a band hook hole (11) formed at an end portion of each of the horizontal portions (1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a space-adjustable mann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0)의 하부에는 다리(101)의 내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내측지지대(30)가 외측지지대(2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지지대.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pair of inner supports (30) for supporting the inner side of the legs (101) ar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10) Knee suppor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대(30)는 수평부(10)의 하방에 힌지부(31)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양측 내측지지대(30) 외측의 수평부(10) 하방에는 내측지지대(30)가 외측지지대(20)측으로 젖혀지는 것을 차단하는 스톱퍼(32)가 설치되며, 각각의 내측지지대(30)에는 각각의 내측지지대(30)가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것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3,34)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지지대.The hinge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ner support base (30) is hingedly provided by a hinge portion (31) below the horizontal portion (10) A stopper 32 for preventing the support table 30 from being bent toward the outer support table 20 is provided and each inner support table 30 is provided with a stopper 32 for elastically supporting each inner support table 30 from being pushed inward Wherein a spring (33, 34) is provided.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0)의 외부에는 무릎지지대(100)를 상하로 회전하게 하는 힌지관부(41)가 설치되고, 이 힌지관부(41)의 후방에는 방석(40)이 연결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지지대.The kne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a hinge tube portion (41) for rotating the knee support (100) up and down is provided outside the horizontal portion (10) 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0)의 외부에는 무릎지지대(100)를 상하로 회전하게 하는 힌지관부(41)가 설치되고, 이 힌지관부(41)의 후방에는 의자좌판(102)에 볼트로서 설치하는 장공(42)을 구비한 설치대(43)가 연결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지지대.The hinge tube portion (41)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a hinge tube portion (41) for rotating the knee supporter (100) up and down is provided outside the horizontal portion (10) And a mounting base (43) provided with a slot (42) for mounting as a bolt to the base (10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외측지지대(20)의 내측에는 양측 다리의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패드(27)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지지대.3. The knee suppor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support pad (27) for supporting the outer sides of both legs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oth side outer supports (2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외측지지대(20)에는 암나사부(24)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 암나사부(24)에는 외측에 핸들(26)이 설치된 조절나사(25)가 나사식으로 내향 체결되고, 각각의 조절나사(25)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지지패드(27)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지지대.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 female screw portion (24)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both side outer supports (20), and an adjusting screw (25)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female screw portion (24)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ads (27) are provided at the inner ends of the respective adjustment screws (25).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40058445A 2014-03-05 2014-05-13 Knee support fixture KR10148136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308 2014-03-05
KR1020140027308A KR20140038496A (en) 2014-03-05 2014-03-05 Knee support fix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986A KR20140066986A (en) 2014-06-03
KR101481367B1 true KR101481367B1 (en) 2015-01-14

Family

ID=5064676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308A KR20140038496A (en) 2014-03-05 2014-03-05 Knee support fixture
KR1020140052946A KR20140088848A (en) 2014-03-05 2014-04-28 Knee support fixture
KR20140058445A KR101481367B1 (en) 2014-03-05 2014-05-13 Knee support fixture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308A KR20140038496A (en) 2014-03-05 2014-03-05 Knee support fixture
KR1020140052946A KR20140088848A (en) 2014-03-05 2014-04-28 Knee support fix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4003849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740B1 (en) * 2015-08-13 2016-12-22 오종찬 Knee support with hold for conclusion
KR101722873B1 (en) * 2016-03-24 2017-04-03 이성하 Knee support for smart phone deferment
KR20190133542A (en) 2018-05-23 2019-12-03 박영광 Apparatus for posture correction to building core muscle
US11471358B1 (en) 2020-09-29 2022-10-18 Meena McCullough Fascia activation and train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739B1 (en) * 2021-03-22 2023-05-31 김은경 A Sitting Cush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715A (en) * 1997-04-30 1998-11-10 Iwao Kasahara Bowleg corrector and leg slimmer
JP2002315769A (en) 2001-04-20 2002-10-29 Shinwa Kogyo Kk Foot joint correction device
KR20100094054A (en) * 2009-02-18 2010-08-26 이엑스메디칼 주식회사 The organization which tightens knees
KR20110082977A (en) * 2010-01-13 2011-07-20 유동호 Portable legs lo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715A (en) * 1997-04-30 1998-11-10 Iwao Kasahara Bowleg corrector and leg slimmer
JP2002315769A (en) 2001-04-20 2002-10-29 Shinwa Kogyo Kk Foot joint correction device
KR20100094054A (en) * 2009-02-18 2010-08-26 이엑스메디칼 주식회사 The organization which tightens knees
KR20110082977A (en) * 2010-01-13 2011-07-20 유동호 Portable legs loc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740B1 (en) * 2015-08-13 2016-12-22 오종찬 Knee support with hold for conclusion
KR101722873B1 (en) * 2016-03-24 2017-04-03 이성하 Knee support for smart phone deferment
KR20190133542A (en) 2018-05-23 2019-12-03 박영광 Apparatus for posture correction to building core muscle
US11471358B1 (en) 2020-09-29 2022-10-18 Meena McCullough Fascia activation and train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986A (en) 2014-06-03
KR20140038496A (en) 2014-03-28
KR20140088848A (en) 2014-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367B1 (en) Knee support fixture
KR101658486B1 (en) Chair Having Apparatus For Body Streching
GB2504592A (en) Travel Head Support Structure
US671638A (en) Stool and cane.
US10136732B2 (en) Seat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8622880B1 (en) Stretching assistance system
US20170361747A1 (en) Portable lumbar support apparatus
US20150051529A1 (en) Therapy Device
US4788969A (en) Stationary seat crutch
NO20170920A1 (en) Back rest to be used with seat or chair
US5529383A (en) Posture support
AU2019245481A1 (en) Orthopedic baby seat
KR101775573B1 (en) Armpit support for protecting spine and preventing varicose vein
GB2561703A (en) Chair assembly
US9682325B2 (en) Clip-on attachment that provides back support for children when on a swing that does not have back support
KR102141819B1 (en) Sleeping aids for chairs
RU2677355C1 (en) Head supporting pillow for sitting position
RU177334U1 (en) Pillow to support the head while sitting
CN208301359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baby seat
KR101794922B1 (en) Chair for protecting spine and preventing varicose vein
US20190126793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sitting posture
JP3195625U (en) rucksack
KR101334014B1 (en) Body supporter for sink
KR200476173Y1 (en) Cushion structure in chair
JPH0632094Y2 (en) Local stre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