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019B1 - wood collec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ood collec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019B1
KR101480019B1 KR1020140084693A KR20140084693A KR101480019B1 KR 101480019 B1 KR101480019 B1 KR 101480019B1 KR 1020140084693 A KR1020140084693 A KR 1020140084693A KR 20140084693 A KR20140084693 A KR 20140084693A KR 101480019 B1 KR101480019 B1 KR 101480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bracket
timber
wood
dri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6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기
김화
Original Assignee
김석기
김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기, 김화 filed Critical 김석기
Priority to KR102014008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0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0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8Felling trees
    • A01G23/081Feller-bunchers, i.e. with bunching by felling hea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03Collecting felled tr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5/00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having hoisting gear adapted to special load-engaging elemen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structure of a wood conveyance apparatus which can be conveniently transferred and used. The wood convey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ery easily transferred and installed since the wood conveyance apparatus is transferred and installed by including a bracket (30) coupled to a clamp (2) of a hydraulic shovel, and can reduce costs when compared with the use of a separate truck or tractor to transfer the wood conveyance apparatus, by using a hydraulic shovel used in conveying logged wood. Especially, in cases where the hydraulic shovel stops at the position at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hydraulic shove is upward and a support frame (10) is inclined forward and backward, the bracket (30) can be simply perpendicular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boom.

Description

목재운반장치{wood collecting apparatus}Wood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위치이동과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목재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structure of timber conveying apparatus which is easy to move and use.

일반적으로, 산에서 목재를 벌목한 후, 산의 아래쪽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목재운반장치를 이용하여 목재를 강제로 당겨 운반하고 있다.Generally, after lumbering in the mountains, the lumber is forcibly pulled and transported using a timber transport device to transport it down the mountain.

상기 목재운반장치는 상하로 연장된 지지프레임에 1개 또는 2개의 윈치를 구비하여, 상기 윈치에서 풀려 나온 와이어를 산에 있는 나무에 고정된 도르래에 걸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잘라낸 목재에 연결하여, 상기 윈치를 이용하여 목재를 들어 운반하거나 당겨서 목재운반장치가 설치된 장소까지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above-mentioned timber transportation device has one or two winches in a vertically extending support frame, and the wire released from the winch is hooked on a pulley fixed to a tree in a mountain, and the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a cut- ,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arry the wood to the place where the wood transportation device is installed by carrying or pulling the wood using the winch.

이러한 목재운반장치의 구조 및 사용방법은 등록실용신안 20-0324058호나, 등록특허 10-0767755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struction and use of such a timber transportation device is described in detail in a number of prior documents including Registration No. 20-0324058 and Registration No. 10-0767755,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이러한 목재운반장치는 트럭을 이용하여 운반한 후 앵커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고정하거나, 트랙터에 목재운반장치를 장착하여 트랙터를 적절한 장소로 이동시켜 정차시킨 상태에서, 상기 윈치에서 풀려 나온 와이어를 이용하여 목재를 운반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timber transporting device is transported by a truck and fixed to a floor surface by using an anchor, or a timber transporting device is mounted on a tractor, and the tractor is moved to a proper place, To transport wood.

그런데, 이러한 목재운반장치를 트럭으로 운반할 경우, 트럭에 올려진 목재운반장치를 바닥면에 내려놓고, 별도의 앵커를 이용하여 고정하여야 함으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such a timber transporting apparatus is transported by a truck, the timber transporting apparatus mounted on the truck must be placed on the floor surface and fixed with a separate anchor, so that the operation is very troublesome.

또한, 이러한 목재운반장치를 트랙터에 장착할 경우, 트럭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서 목재운반장치의 운반이 용이하지만, 목재운반장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어서, 목재를 운반하는 도중에 목재운반장치가 목재의 무게에 의해 당겨져 기울어지거나, 심할 경우, 목재운반장치와 트랙터가 함께, 전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such a timber transporting apparatus is mounted on a tractor, transportation of the timber transporting apparatus is facilitated as compared with a method using trucks, but the timber transporting apparatus can not be firmly fixed.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wooden conveyor and the tractor can be turned together when they are pulled by the weight and tilted or in severe cases.

특히, 목재운반장치로 목재로 운반할 경우, 별도의 트럭이나 트랙터를 사용하여야 함으로,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Particularly, when a timber is transported by a timber transportation device, a separate truck or tractor must be used, which increases the cost of the operation.

또한, 이러한 목재운반장치를 바닥면에 고정할 때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목재운반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경우, 바닥면이 평면을 이루지 못하고 경사를 이루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이 수직으로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fixing the wooden carrier to the floor, the support frame should be fixed to the floor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case where the wooden carrier is installed, the floor may not be flat and may be inclined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port frame can not be vertically installed.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o solve such a problem.

한편, 이와 같이 목재를 벌목하고 목재운반장치를 이용하여 목재를 이송하는 작업에는 포크레인이 수반되어, 상기 목재운반장치를 이용하여 운반한 목재를 차량에 싣거나 기반을 다지는 등의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operation of cutting wood and transferring the wood using the timber transporting device, various operations such as loading the timber carried by the timber transporting device with the truck, .

이때, 상기 포크레인에 구비된 붐의 선단부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클램프가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에 다양한 종류의 어태치먼트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a clamp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boom provided on the forklane, so that various kinds of attachments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clamp to perform various kinds of work.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치이동과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목재운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imber transportation device having a new structure that is easy to move and u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윈치(20)를 포함하는 목재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포크레인의 붐(1) 선단부에 구비된 클램프(2)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운반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mber conveying apparatus including a support frame 10 configured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winch 20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10, 10) is provided with a bracket (30) to which a clamp (2) provided at a front end of a boom (1) of a crane is detachably coupl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 또는 매입고정되는 고정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운반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imber transport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fixing section (4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10) and being supported or embedded in the groun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40)는 금속재질의 바를 상호 고정결합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운반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unit 40 is formed by inverted triangles in which a bar of a metal material is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idths become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3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30)에 연결된 구동수단(5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브라켓(30)이 상기 포크레인의 클램프(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50)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하단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수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운반장치가 제공된다.The bracket 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0 and further includes driving means 50 connected to the bracket 30. The bracket 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0,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frame 10 ar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using the driving means 50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frame 10 is coupled to the clamp 2 of the forklra,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o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기울기감지수단(60)과,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수단(50)을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수직을 이루지 못할 경우 상기 구동수단(50)을 구동시켜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구동수단(50)을 작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운반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ilt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a tilt sensing means 60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10, a control unit 70 connected to the tilt sensing means 60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50 Wherein the control unit 70 receives the signal of the tilt sensing means 60 and drives the driving means 50 when the support frame 10 is not vertical, 1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o that the driving means (50) is controlled to operate.

본 발명에 따른 목재운반장치는 포크레인의 클램프(2)에 결합되는 브라켓(30)이 구비되어 포크레인에 고정한 상태에서 운반 및 설치할 수 있음으로, 목재운반장치를 운반 및 설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벌목된 목재를 운반하는 작업을 할 때 이용되는 포크레인을 이용함으로, 목재운반장치를 운반하기 위해 별도의 트럭이나 트랙터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wooden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bracket 30 coupled to the clamp 2 of the crane, it can be carried and installed in a fixed state on the forklane. Thus, it is very easy to convey and install the wooden conveying apparatus ,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use of a forklene used for transporting the timber to be cut can reduce the cost compared with the use of a separate truck or tractor for transporting the timber carrier.

특히, 상기 포크레인이 전방이 상향된 위치에 정차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될 경우, 상기 붐(1)의 각도를 조절하여, 간단하게 상기 브라켓(30)이 수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support frame 10 is inclin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forklra so that the angle of the boom 1 can be adjusted, the bracket 30 can be simply vertical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운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운반장치를 도시한 후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운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운반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운반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운반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od transpor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timb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side view showing a timber transpor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ood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timber transpor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timber transpor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imber transpor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운반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윈치(20)로 구성된 것은 종래의 목재운반장치와 동일하다.1 to 5 illustrate a timber trans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ber trans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frame 10 configur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winch 20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10, It is the same as the conveying device.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0)은 강도가 높은 금속바와 금속판을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박스형태로 용접결합하여 구성된 지지프레임본체(11)와, 상기 지지프레임본체(1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2)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frame 10 includes a support frame body 11 formed by welding a metal bar and a metal plate having high strength in a vertically extending box shape, and a support frame body 11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body 11 And an extension 12.

상기 윈치(20)는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본체(11)에 고정결합된다.The winch 20 is composed of two pieces and fixed to the support frame body 11.

이때, 상기 연장부(12)의 상측에는 2개의 유도휠(13)이 구비되어 상기 윈치(20)에서 연장된 케이블(21)이 상기 유도휠(13)의 둘레면을 각각 경유하여 전방으로 연장된다.At this time, two guide wheels 13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tending part 12 so that a cable 21 extending from the winch 20 extends forward through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guide wheel 13 do.

따라서, 목재운반장치의 위치에 비해 상측에 위치된 나무에 도르래를 고정하고, 1개의 윈치(20)에서 연장된 케이블(21)은 상기 도르래를 경유하여 벌목된 목재에 고정하고, 다른 1개의 윈치(20)에서 연장된 케이블(21)은 벌목된 목재에 직접 고정하여, 상기 윈치(20)를 풀거나 감음으로써, 벌목된 나무를 하측으로 운반할 수 있다.Therefore, the pulley is fixed to the tree positioned above the position of the timber transportation device, the cable 21 extending from one winch 20 is fixed to the timber cut through the pulley, and the other one winch The cable 21 extending from the cable 20 can be directly fixed to the chopped wood so that the chopped tree can be carried downward by unwinding or winding the winch 2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포크레인의 붐(1) 선단부에 구비된 클램프(2)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30)이 구비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rame 10 is provided with a bracket 30 to which a clamp 2 provided at a front end of a boom 1 of a crane is detachably coupled.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포크레인에 구비된 붐(1)의 선단부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클램프(2)가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2)에 다양한 종류의 어태치먼트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o be more specific, a clamp 2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boom 1 provided on the forklra, so that various kinds of attachments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clamp 2.

그리고, 상기 브라켓(30)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판(31)과,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양단이 상기 지지판(31)에 고정결합된 한 쌍의 지지봉(32)으로 구성되어, 상기 클램프(2)를 상기 지지봉(32)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bracket 30 includes a pair of support plates 3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pair of support rods 32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xed at both ends to the support plate 31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uple the clamp 2 to the support bar 32.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 또는 매입고정되는 고정부(40)가 구비된다.A fixing portion 4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10 to extend downward and be supported or embedded in the ground.

상기 고정부(40)는 금속재질의 바를 상호 고정결합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형으로 구성된다.The fixing portion 40 is composed of an inverted triangle in which the metal bars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idths become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2)가 상기 브라켓(30)에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붐(1)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목재운반장치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한 후, 상기 목재운반장치를 하강시켜, 지지프레임(10) 하단의 고정부(40)가 지면에 매입되도록 함으로써, 목재운반장치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상기 윈치(20)에서 풀려 나온 케이블(21)을 목재에 연결하여 목재를 운반할 수 있다.4, when the clamp 2 is coupled to the bracket 30, the angle of the boom 1 is adjusted to vertically raise the wooden conveying device, The timber conveying device is lowered and the fixing part 40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10 is embedded in the ground so that the timber conveying device is firmly fixed and the cable 21 released from the winch 20 is fastened to the wood It can be connected to transport wood.

이와 같이 구성된 목재운반장치는 포크레인의 클램프(2)에 결합되는 브라켓(30)이 구비되어 포크레인에 고정한 상태에서 운반 및 설치할 수 있음으로, 목재운반장치를 운반 및 설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벌목된 목재를 운반하는 작업을 할 때 이용되는 포크레인을 이용함으로, 목재운반장치를 운반하기 위해 별도의 트럭이나 트랙터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wooden convey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the bracket 30 coupled to the clamp 2 of the crane, it can be carried and installed in a fixed state on the forklane. Thus, it is very easy to transport and install the wooden conveying apparatus, The use of the forklans, which are used when transporting the harvested timber, has the advantage of saving costs compared to using a separate truck or tractor to transport the timber carrier.

특히, 상기 포크레인이 전방이 상향된 위치에 정차되어 도 5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이 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될 경우, 상기 붐(1)의 각도를 조절하여, 도 5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간단하게 상기 브라켓(30)이 수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5, when the support frame 10 is tilted in the rearward direction, the angle of the boom 1 is adjusted so that the ang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racket 30 can be made to be vertical simply as shown by a solid line in FIG.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단에는 고정부(40)가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됨으로, 상기 포크레인의 클램프(2)에 상기 고정부(40)가 지면에 지지되거나 매입되도록 상기 포크레인의 붐(1)을 조절하여, 지지프레임(10)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ixing part 40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10 so that the clamp part 2 of the forklra is supported or embedded in the ground by the boom 1 of the support frame 10 is adjusted so that the support frame 10 can be more firmly fixed.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브라켓(3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30)에는 구동수단(50)이 연결된다.6 to 8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racket 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0 and a drive means 50 is connected to the bracket 30, do.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결합고정되며 구동축이 지지프레임(10)의 후방으로 연장된 유압모터를 이용하며, 상기 브라켓(3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유압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다.The driving means 50 uses a hydraulic motor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0 and having a drive shaft extending rearward of the support frame 10. The bracket 30 supports the support frame 10, 10 to the rear of the drive shaft of the hydraulic motor.

따라서, 상기 브라켓(30)이 포크레인 붐(1)의 클램프(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50)이 구동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8, when the bracket 30 is fixed to the clamp 2 of the crane boom 1, when the driving means 50 is driven, the support frame 10 rotates clockwise Direction or counterclockwise.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수직을 이루는 지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수단(60)이 구비되며,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에는 기울기감지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수단(50)을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70)이 더 구비된다.The support frame 10 is provided with a tilt sensing means 60 for sensing whether the support frame 10 is vertical or not and a tilt sensing means 60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tilt sensing means 60 And a control unit (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50).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기울기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 8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이 구동수단(50)인 유압모터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The tilt sensing means 60 uses a tilt sensor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10 so that the support frame 10 is supported by the center of the hydraulic motor serving as the drive means 50, And when it tilts to the left or right about the axis, it detects it and outputs a signal.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의 신호를 감시하여, 도 8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도 8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50)을 정역회전시켜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수직을 이루도록 조절한다.The control unit 70 monitors the signal of the tilt sensing means 60 and when the support frame 10 is tilted to the left or right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8, As shown in the figure, the support frame 10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so as to be vertical by rotating the driving unit 5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이와 같이 구성된 목재운반장치는 상기 브라켓(3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제어유닛(70)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수단(50)을 구동제어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수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support frame 10 is tilted sideways in a state where the bracket 30 is fixed, the control unit 70 senses the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10 to drive the drive unit 50 So that the support frame 10 can be vertical.

즉, 이러한 목재운반장치가 설치되는 곳은 바닥면이 전방쪽으로 상향되는 것 뿐 아니라, 좌우방향 역시 기울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In other words, where the wooden conveying device is installed, not only the bottom surface is raised to the front but als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often inclined.

이러한 경우, 상기 목재운반장치가 장착된 포크레인 역시 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목재운반장치가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In this case, the forklans equipped with the timber conveying device are also tilted laterally, whereby the timber conveying device is laterally inclined.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30)은 지지프레임본체(11)에 구비된 구동수단(50)에 결합됨으로, 상기 브라켓(30)을 포크레인의 붐(1)에 구비된 클램프(2)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측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구동수단(50)을 구동시켜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수직을 이루도록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cket 30 is coupled to the driving means 50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body 11, so that the bracket 30 is connected to the clamp 2 When the support frame 10 is tilted sideways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frame 10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10, the drive unit 50 may be driven to adjust the support frame 10 to be vertical.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붐(1)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전후방향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50)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10)이 측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완전히 수직을 이루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angle of the boom 1 is adjusted so that the support frame 10 is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support frame 10 10 can be vertically aligned without til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 frame 10 can be adjusted to be perfectly vertical.

특히,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기울기감지수단(60)이 구비되고,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에는 상기 구동수단(50)을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70)이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측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제어유닛(70)이 구동수단(50)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수직이 되도록 제어함으로, 지지프레임(10)이 수직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support frame 10 is provided with a tilt sensing means 60, and the tilt sensing means 60 i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50,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driving unit 50 so that the supporting frame 10 is vertically moved so that the supporting frame 10 is vertically controlled It is advantageous that it becomes easier.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어유닛(70)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50)이 자동으로 작동제어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작업자가 상기 구동수단(50)에 연결된 조작레버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수단(50)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5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operator uses the operating lever connected to the driving means 50 to operate the driving means 50 ) Can be manually operated.

1. 붐 2. 클램프
10. 지지프레임 20. 윈치
30. 브라켓 40. 고정부
50. 구동수단 60. 기울기감지수단
70. 제어유닛
1. Boom 2. Clamp
10. Support frame 20. Winch
30. Bracket
50. Driving means 60. Tilt sensing means
70. The control unit

Claims (5)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윈치(20)를 포함하는 목재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포크레인의 붐(1) 선단부에 구비된 클램프(2)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30);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 또는 매입고정되는 고정부(40); 및
상기 브라켓(30)에 연결된 구동수단(50); 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30)은 상기 포크레인의 클램프(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50)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하단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조정가능하며,
상기 고정부(40)는 금속재질의 바를 상호 고정결합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전후방향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운반장치.
A support frame 10 configur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timber transporting apparatus including a winch (20)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10)
A bracket 30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0 and detachably coupled to a clamp 2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boom 1 of the crane;
A fixing part 4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10 and supported or fixed on the ground; And
Driving means (50) connected to said bracket (30); / RTI >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frame 10 ar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using the driving means 50 in a state where the bracket 30 is coupled to the clamp 2 of the crane, (10) i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erein the fixing part (40) is formed of an inverted triangle in which the metal bars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to narrow the wid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ward the lower 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기울기감지수단(60)과,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수단(50)을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수직을 이루지 못할 경우 상기 구동수단(50)을 구동시켜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구동수단(50)을 작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운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ilt sensing means 60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10,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70) connected to the tilt sensing means (60) and operable to control the driving means (50)
The control unit 70 receives the signal of the inclination sensing means 60 and drives the driving means 50 when the supporting frame 10 is not vertical so that the supporting frame 10 is vertica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e means (50).
KR1020140084693A 2014-07-07 2014-07-07 wood collecting apparatus KR1014800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693A KR101480019B1 (en) 2014-07-07 2014-07-07 wood coll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693A KR101480019B1 (en) 2014-07-07 2014-07-07 wood collec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019B1 true KR101480019B1 (en) 2015-01-07

Family

ID=5258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693A KR101480019B1 (en) 2014-07-07 2014-07-07 wood collec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01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889A (en) * 1999-11-16 2001-06-15 곽양진 Apparatus for replanting tree
KR100855452B1 (en) * 2007-06-28 2008-09-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Tower-yarder with tra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889A (en) * 1999-11-16 2001-06-15 곽양진 Apparatus for replanting tree
KR100855452B1 (en) * 2007-06-28 2008-09-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Tower-yarder with tra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2937B2 (en) Tracked radial stacker with wheels
US11208023B2 (en) Trailer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US3563364A (en) Portable conveyor
US10414599B2 (en) Tracked radial stacker with wheels
KR102326550B1 (en) Trolley with articulated arm
US10414598B2 (en) Tracked radial stacker with wheels
EP3572359B1 (en) Tracked radial stacker with wheels
CA2511797A1 (en) Ride on platform for small loader
KR101685223B1 (en) A storage wagon for transporting bulk material and a method
KR101480019B1 (en) wood collecting apparatus
US4171040A (en) Side mover wheel for grain auger
EP3459882B1 (en) Tracked radial stacker with wheels
US2798622A (en) Truck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with leveling means
US2339020A (en) Elevator truck
US2025284A (en) Hoisting crane
CN210152647U (en) Hole mining device and hole mining machine
SE456452B (en) DEVICE FOR TRANSPORTING A CANON OR SIMILAR WITH A VEHICLE
US2592480A (en) Portable conveyer and gatherer for grain
JP4199737B2 (en) Backhoe with transport means
US2200020A (en) Loading, hauling, and dumping apparatus
US2062227A (en) Conveying equipment
CA3064414C (en) Tracked radial stacker with wheels
US20030140526A1 (en) Universal trailer for a longwall roof support for longwall underground mining
US2022145A (en) Scraper loader
JP6735256B2 (en) Mounting table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work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