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169B1 -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 및 광확산판 - Google Patents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 및 광확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169B1
KR101479169B1 KR20120064826A KR20120064826A KR101479169B1 KR 101479169 B1 KR101479169 B1 KR 101479169B1 KR 20120064826 A KR20120064826 A KR 20120064826A KR 20120064826 A KR20120064826 A KR 20120064826A KR 101479169 B1 KR101479169 B1 KR 101479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olypropylene
led
diffusing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1824A (ko
Inventor
김인태
강창규
박은랑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20064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169B1/ko
Publication of KR20130141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02Low molecular weight, e.g. <100,000 D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 및 광확산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폴리카보네이트계 광확산판에 비해 저렴한 생산단가를 가지면서도 사용후 재활용이 가능하고, 성형시 변형률이 적어 가공성이 좋고, 제조후에는 LED 광원의 열에 의한 광확산판 재질 변형률이 적고 투명도가 우수하면서도 폴리카보네이트에 비해 광 직진성이 좋은 광확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광확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 95 ~ 98 wt%, 실리콘 계열 광확산제 2 ~ 5wt%로 조성된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성형하여 제조된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판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 및 광확산판{Polypropylene-based light diffusion resin composition for LED and light diffusion plate}
본 발명은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 및 광확산판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차세대 조명장치로 대두되고 있는 LED 조명의 휘도를 낮추고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함과 동시에 광직진성이 개선되고, 종래 폴리카보네이트계 광확산판에 비해 저렴한 생산단가를 가지면서도 사용 후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적 광확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광확산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국 정부, 지자체, 회사 및 가정 등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지구온난화 및 이상기온 현상을 발생시키는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그 중 한 분야가 조명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에 사용되는 필라멘트 조명은 전력소모율이 높아 이산화탄소배출량이 높고, 이에 비해 전력소모량이 낮은 형광등 역시 수은을 이용한 광원이어서 환경 친화적이지 않다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종래 조명기구에 비해 자연광에 가깝고 에너지 절감효과가 뛰어나며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LED 조명이 최근 각광 받고 있다.
LED(발광다이오드)는 P형과 N형 반도체의 접합구조를 가지고, 전압을 인가하면 전자와 정공의 결합으로 반도체의 밴드갭(band gap)에 해당하는 에너지의 빛을 방출하는 광전자 소자이며, 반응시간이 일반 전구에 비하여 빠르고, 소비전력이 20% 수준으로 낮아 최근 들어 고효율의 조명수단을 포함하여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조명용LED는 양쪽 전극에서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에서 합쳐져 들뜬 에너지상태인 여기자를 생성하고 여기자가 안정되며 내놓는 빛을 이용한 발광체로 발광물질의 종류에 따라 유기LED와 무기LED로 분류할 수 있다.
유기LED는 발광물질을 유기분자 혹은 고분자로 사용한 LED를 말하며 색이 아름다우며 점, 선, 면광원으로 사용될수 있으나 현재 연구수준에선 청색계열의 연구가 미비하고 생산기반시설이 비싸며 공기에 의한 산화로 인하여 수명이 짧은 단점을 가지고 있어 조명으로 사용하기엔 적절하지 못하다.
이에 반해 무기 LED는 발광물질을 무기물로 사용하여 빛의 직진성이 심하며 열을 발생시킨다는 단점이 있으나 빛이 밝으며 생산이 쉽고 다양한 색의 표현이 가능하여 조명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현재 무기LED를 이용한 광원이 개발, 발전되고 있다. 무기 LED를 이용하면 도 4와 같이 RGB색상을 조합(a)하거나 청색광이나 자외선을 형광판에 쬐는 방식(b),(c)으로 백색광이 나오는 LED를 구현할수 있음
이와 같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투광조명은 다수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기판에 조립한 모듈을 광원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간판이나 구조물 조명, 다리 등의 조명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이러한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는 직진성이 강하고 휘도가 높기 때문에 적절한 광확산판을 사용하여 조명의 휘도를 줄이게 된다. 광확산판은 LED 광원의 모습을 은폐하는 동시에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5는 일반적인 광확산판의 작용 및 적용사례를 보인 예시도인데, LED조명은 다수의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를 기판에 조립한 모듈을 사용하여 광원으로 사용한다.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는 직진성이 강하고 휘도가 높기 때문에 적절한 광확산판(시트)를 사용하여 균일한 조도를 형성하여 밝은 색상을 형성하여 조명으로 사용한다. 그 이유는 LED 조명에 사용된 발광다이오드는 산란된 빛이 그대로 눈에 들어와 기판의 패턴이 상부 그림처럼 그대로 보이게 되는데 이러한 기판에 하부 그림처럼 광확산판을 사용하면 하부 그림과 같이 패턴이 사라진 균일한 조명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최근 광확산판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여러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 기업 중 제일모직은 LCD컴퓨터 백라이트 유닛 제작 업체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판의 일면이나 양면에 합성수지계 접착제에 아주 작은 미크론 단위의 크기를 갖는 빛 확산입자를 혼합하여서 만든 빛 확산제를 일정간격으로 인쇄하여 형성되는 빛 확산층을 두게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은 상기 빛 확산층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노출표면은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빛을 굴절 및 반사시키는 엠보싱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다른 국내 기업인 지엘코리아는 엘이디 조명장치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확산판에 형성된 소정 크기를 갖는 기포에 의해 산란되면서 퍼지게 되는 확산판을 제조하는 기술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광확산판은 조망장치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빛이 확산됨과 더불어, 우수한 광투과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국 기업으로 테이진(teijin)은 노트북 컴퓨터나 공간절약형의 데스크탑 PC의 보급, 액정 디스플레이의 큰 화면화에 수반해, LCD용 광확산판을 제작 판매하고 있는데, 이러한 확산판은 높은 면 휘도(輝度)나 넓은 시야각을 가져 그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확산판의 기재 필름에도 종래품 이상의 광선 투과율, 광확산성 및 광선의 주축을 필름면과 수직 방향을 향하는 기능이 요구를 충족시키는 제품을 연구하여 돌기를 부여하기 위한 수지 비즈와의 접착성의 개량을 목표로 높은 광확산성이 있어 시야각을 크게 할 수 있는 광확산 시트용 필름의 실현을 목표로 하여 종래품보다 뛰어난 광확산성, 전광선 투과율을 겸비해, 가시광선 영역에서 반사율의 작은 수지를 개발하고 있다. 특히 광확산판의 뒷 편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설치되어 도광판과의 스팅 현상을 방지해, 액정 디스플레이의 휘도 얼룩짐을 억제하는 구조가 큰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광확산 기술이 연구되고 있지만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광확산판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는 재질의 광확산판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는 광투과성, 내충격성, 내열성등이 뛰어나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폴리카보네이트계 광확산판은 가격이 비싸고 재활용이 불가하며, 제조과정에서 다량의 CO2가 발생하여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가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점차 이에 대한 대체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국내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10-2007-0108021(2007.11.08.) 국내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10-2009-0020704(2009.02.26.) 국내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10-2005-0070289(2005.07.07.)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18909(2005.09.27.)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55010(2007.08.28.) 국내 실용신안공개공보 공개번호 20-2010-0007480(2010.07.2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카보네이트계 광확산판에 비해 저렴한 생산단가를 가지면서도 사용후 재활용이 가능하고, 성형시 변형률이 적어 가공성이 좋고, 제조후에는 LED 광원의 열에 의한 광확산판 재질 변형률이 적고 투명도가 우수하면서도 폴리카보네이트에 비해 광 직진성이 좋은 광확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광확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 95 ~ 98 wt%, 실리콘 계열 광확산제 2 ~ 5wt%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에 따라 프로필렌 (X) 90 ~ 95%, 1-헥센(Y) 5 ~ 10wt%로 조성되어 공중합할 수 있다.
[화학식]
Figure 112012048093450-pat00001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는 평균 중량분자량이 25,000 ~ 30,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는 용융온도(Tm) 109.5 ~ 151.7℃이고, 결정온도(Tc)는 109.5 ~ 116.8℃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광확산 수지 조성물은 압출기내에서 230℃ 이상에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실리콘 계열 광확산제는 실리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양태로, 상기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판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광확산판의 주된 재료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 대비 80% 정도의 비용이 소용되어 저렴하게 생산할수 있어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수 있어서 LED가 사용되는 휴대폰, BLU를 제외한 상업용 조명, 주거용 조명, 도로 조명, 자동차 헤드라이트 등 전체 LED 시장의 절반에 육박하는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는 경제적인 장점과,
또한 사용후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달리 재활용이 가능하고, 제조시 온실가스를 절 발생하여 친환경적이라는 장점과,
또한 용융점과 재결정온도가 높아 성형시 변형률이 적어 가공성이 좋고, 제조후에는 LED 광원의 열에 의한 광확산판 재질 변형률이 적고 투명도가 우수하면서도 폴리카보네이트에 비해 광 직진성이 좋아 폴리카보네이트를 대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의 분자식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 수지 조성물 고분자칩을 압출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이축압출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광확산판 및 비교대상 광확산판의 조도 측정 조건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백색 LED의 구현방식을 보인 예시도이고((a) RGB 색상 조합, (b)청색LED+형광체, (C)자외선LED+형광체),
도 5는 일반적인 광확산판의 작용 및 적용사례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광확산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 95 ~ 98 wt%, 실리콘 계열 광확산제 2 ~ 5wt%로 조성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90 ~ 95%, 1-헥센 5 ~ 10wt%로 조성되어 공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조성이유는 프로필렌과 1-헥센을 공중합함으로써 좋은 열 안정성과 광확산판에 사용되기 좋은 투명도를 가지게 되며, 또한 이러한 공중합체의 광확산이 효과적으로 일어나게 하기위하여 실리콘 계열의 광확산제를 첨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프로필렌은 기존 광확산재인 폴리카보네이트가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제조과정에서 다량의 CO2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카보네이트보다 저가이며, 재활용이 가능하고 공중합체 제조시나 광확산판 성형시 녹는점과 재결정 온도가 높아 LED 광원 또는 기타 광원에 의한 변형률이 낮아 광확산판의 내구성이 좋기 때문에 폴리카보네이트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다.
상기 1-헥센(1-Hexene)은 LED조명용 광확산 수지의 투명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다. 즉, 프로필렌만으로는 투명도가 약하여 광확산판으로 사용하기에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1-Hexene을 프로필렌과 공중합체를 형성하였다.
상기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에서 1 헥센의 혼합비율을 한정한 이유는 5 wt% 미만이었을 경우, 열안정성은 우수하지만 매우 불투명하기 때문에 조도가 좋지 않았으며, 10 wt%를 초과할 경우 너무 투명하여 LED 조명이 비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열안정성 또한 매우 떨어지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열안정성은 광확산판 제조시 LED광에 의한 열변형과 관계있는 것으로 열에 약하면 쉽게 변형되어 내구성이 떨어져 상품 가치가 없어지게 되고, 변형에 따른 LED 광원의 불균일한 투과가 이루어져 광 직진성이 떨어지므로 중요한 요소이다. 예시적으로 프로필렌이 95wt%이고, 1 헥센이 5wt% 조성시 용융온도(Tm)는 158.7℃이고 결정온도(Tc)는 116.8℃이다. 또한 프로필렌이 90wt%이고, 1 헥센이 10wt% 조성시 용융온도(Tm)는 151.7℃이고 결정온도(Tc)는 109.5℃로 용융온도는 150℃보다 높고, 결정온도 역시 109℃보다 높아 최소한 100℃까지는 딱딱한 고체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LED광원 열에 장시간 노출시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아 되어 상품 가치가 높게 된다. 참고로 종래 광확산재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용용온도는 140℃ 까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융온도가 훨씬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와 광확산제간의 혼합비율을 한정한 이유는 2 wt%보다 적을때는 너무 조도가 높아 광확산 성질이 떨어지고, 5wt% 보다 많으면 종래 광확산재인 폴리카보네이트보다 조도가 너무 낮아 LED 조명의 성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즉, 광확산제는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에 첨가되는 광확산제가 증가할수록 LED 광원에 대한 은폐성과 확산성을 좋아지게 되지만 동시에 빛의 투과율(전광선투과율)이 낮아지게 되어 휘도의 감소를 가져오고, LED 광원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에 의해 확산판에 황변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한 수치 구간을 벗어나면 열적 안정성이 나빠져 너무 높아서 제조비가 올라가거나 너무 낮아 광확산판 제조후 재질 변경에 따른 굴곡 등으로 광확산 능력이 떨어져 내구성이 저하 되기 때문이다.
상기 실리콘 계열 광확산제는 광확산 수지의 광 확산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다. 실리콘 계열 광확산제는 분말 형태로 폴리프로필렌 1 헥센 공중합체 분말과 혼합된다.
실리콘 계열 광확산제로는 상용의 실리콘 계열 광확산제를 사용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리카(SiO2)를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와 광확산제가 혼합된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수지 조성물은 광확산판으로 성형되게 된다. 광확산판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압출 성형법 또는 사출 성형법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법을 이용하는 편이 성형품인 광확산판의 치수정밀도가 우수하고,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외형 가공 비용의 저감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판의 두께는 1 ~ 5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광확산판의 두께가 1mm 이하이면 LED광의 세기가 너무 강해 광확산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고, 또한 광확산판의 강도가 약화되어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5mm 이상이면, 오히려 광투과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LED 광원의 높은 휘도를 얻기 힘들기 때문이다.
광확산판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평판형, 튜브형 또는 돔형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의 분자식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광확산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는 단량체(Monomer)인 프로필렌과 1 헥센이 중합된 평균 중량분자량 25,000 ~ 30,000의 공중합체이다. 도면 중 X는 Propylene + 1-Hexene 공중합체에서 프로필렌(Propylene)이 90 ~ 95wt%의 중량%를 가지도록 투입되는 모노머 수이고, Y는 1-헥센(1-Hexene)이 5 ~ 10wt%가 가지도록 투입되는 단량체(monomer) 수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의 중합방법은 기본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중합 공정으로 미쯔이 공법이며, 현탁중합(Slurry 중합) 중의 한 종류이다. 중합시 촉매는 배위중합 촉매를 사용하므로, 개시제는 없으며, 공촉매로 알킬알루미늄을 사용하며, 대표적으로 Tri-ethyl Aluminum을 사용하고 폴리프로필렌 중합시 조촉매로 외부전자주게(Donor)를 사용하며, CMDMS(Cyclo Methyl Di-Methyl Silane)을 사용하여 중합한 것으로 한 실시예에 따라 촉매 1당, 공촉매 10~15g, 조촉매 1~2g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실시예 1) - Propylene+1-Hexene Copolymer (PP1H)
중합은 공중합으로 두개의 단량체를 반응기 내에 프로필렌 95wt%, 1-Hexene 5wt%의 비율로 중합될 수 있는 조건으로 공급(Feed)한 후 중합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고분자) 내에 Hexene 함량이 5wt%가 공중합된 형태로 얻어진다. 중합된 분자식 형태는 도 1과 같다.
이와 같이 공중합된 Propylene95wt%+1-Hexene5wt%(이하 'PP1H-1'라 함)의 용융온도(Tm)는 158.7℃이고 결정온도(Tc)는 116.8℃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2) Propylene90wt%+1-Hexene10wt% (PP1H-2)
중합은 공중합으로 두개의 단량체를 반응기 내에 프로필렌 90wt%, 1-Hexene 10wt%의 비율로 중합될 수 있는 조건으로 공급(Feed)한 후 중합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고분자) 내에 Hexene 함량이 10wt%가 공중합된 형태로 얻어진다. 중합된 분자식 형태는 도 1과 같다.
이와 같이 공중합된 Propylene90wt%+1-Hexene10wt%(이하 'PP1H-2'라 함)의 용융온도(Tm)는 151.7℃이고, 결정온도(Tc)는 109.5℃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3) 열안정성과 투명도
상기 실시예 1, 2와 같은 방법으로 Propylene + 1-Hexene Copolymer를 합성한 후, 열안정성과 투명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2048093450-pat00002
열안정성(1 매우불안정 ~ 5 매우안정) 투명성(1 매우투명 ~ 5 매우 불투명)
상기 표 1과 같이 1-Hexene의 함량이 5 wt% 미만이었을 경우, 열안정성은 우수하지만 매우 불투명하기 때문에 조도가 좋지 않았으며, 10 wt%를 초과할 경우 너무 투명하여 LED 조명이 비칠 수 있는 단점이 있었고, 열안정성 또한 매우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조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2와 같은 방법으로 Propylene + 1-Hexene Copolymer를 합성한 후, 광확산제로 실리카를 이용 압출기 내에서의 열을 가하여 물리적인 혼합을 통하여 고분자 칩이 제조하였다. 고분자 제조칩은 도 2와 같은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도시된 Twin Screw Extruder는 BAUTEK社 제품으로 20A , L/D는 40 사용하였다. 보통 200℃ 정도에서 진행하지만 확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230℃에서 혼합(블랜딩)하여 제조하였다.
이후 Propylene 95wt% + 1-Hexene 5wt%(PP1H 5wt%)와 Propylene 90wt% + 1-Hexene 10wt%(PP1H 10wt%)를 선택하여 조도 측정을 수행했다. 이때 비교예로 종래 광확산재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광확산제가 포함되지 않은 순수 폴리프로필렌과 본 발명의 수치 조건을 벗어나는 광확산제 함량의 광확산제도 함께 측정하였다.
도 3은 실시예 4에서 이용한 본 발명의 광확산판 및 비교대상 광확산판의 조도 측정 조건을 보인 예시도로, 도면에서 A=35mm B=460mm 직경 50mm 조건, LED 200lx에서 측정을 진행하였다. 도면 중 A는 LED 광원이고, B는 조도 센서이고, 직경은 가운데 광확산판이 장치되는 판의 가운데 뚫린 관통홀의 직경을 말한다.
Figure 112012048093450-pat00003
Figure 112012048093450-pat00004
비교예로 쓰인 폴리카보네이트는 [O-R-O-CO]n 형태 고분자로 디옥시화합물과 탄산아릴 등을 원료로써 합성한 신형의 열 가소성 수지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내열성, 내 노화성이 우수하고 충격에 극히 강해 금속을 대신하는 것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고온에서나 저온에서나 매우 강하며 열 안정성이 우수해 140℃ 까지 견디며, 저온강도도 우수해 -100℃ 이하에서도 강도가 변하지 않으며 내후성이 우수해 가혹한 직사일광, 풍우, 기온변화에도 견딘다. 투명도가 광택을 가지며, 성형수축율이 작고 장기사용중의 시간에 따른 변화도 적다.
하지만 재료의 단가가 비싸고 재활용이 불가능 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어서 본 발명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로 대체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와 광학산제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의 Tm인 151.7℃~ 158.7℃ 보다 높은 160 ~ 161℃의 Tm값을 가지며, PC보다 열적으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의 투명도를 위하여 1-Hexene과의 공중합체를 형성하였고, 이를 LED조명용 광확산판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리콘 계열의 실리카 광확산제를 함량별로 상기 표 2, 3과 같이 블랜딩 한 결과, PP1H-2, 광확산제 2wt%일 때 가장 좋은 조도를 나타내었지만, PP1H-1보다 열적인 안정성 면에서 조금 떨어짐을 보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수치한정 구간인 5wt%까지는 폴리카보네이트보다 좋은 조도를 보였다.
또한 PP1H-1, 광확산제 2%일 때 좋은 조도를 나타내었으며, 열안정성이 PP1H-2보다 뛰어나고, 여기서 본 발명의 수치한정 구간인 5wt%까지는 폴리카보네이트보다 좋은 조도를 보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광확산판은 종래 폴리카보네이트 광확산판과 비교시 조명용 광확산판으로 사용하기 좋은 투명도를 가졌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7)

  1.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 95 ~ 98 wt%, 실리콘 계열 광확산제 2 ~ 5wt%로 조성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는 평균 중량분자량이 25,000 ~ 30,000이고, 하기 화학식에 따라 프로필렌 (X) 90 ~ 95%, 1-헥센(Y) 5 ~ 10wt%로 조성되어 공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
    [화학식]
    Figure 112014061560018-pat00005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1 헥센 공중합체는 용융온도(Tm) 109.5 ~ 151.7℃이고, 결정온도(Tc)는 109.5 ~ 116.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수지 조성물은 압출기내에서 230℃ 이상에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계열 광확산제는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
  7. 청구항 1, 4, 5,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판.
KR20120064826A 2012-06-18 2012-06-18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 및 광확산판 KR101479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4826A KR101479169B1 (ko) 2012-06-18 2012-06-18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 및 광확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4826A KR101479169B1 (ko) 2012-06-18 2012-06-18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 및 광확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824A KR20130141824A (ko) 2013-12-27
KR101479169B1 true KR101479169B1 (ko) 2015-01-05

Family

ID=49985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4826A KR101479169B1 (ko) 2012-06-18 2012-06-18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 및 광확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4808A (zh) * 2013-12-30 2014-04-16 安徽科聚新材料有限公司 光扩散抗菌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照明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3416A1 (en) 2001-06-14 2002-12-27 Skc Co., Ltd. The light-diffusing film and composition for the same
KR20100102906A (ko) * 2009-03-12 2010-09-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Led용 투광성 확산 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led 조명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3416A1 (en) 2001-06-14 2002-12-27 Skc Co., Ltd. The light-diffusing film and composition for the same
KR20100102906A (ko) * 2009-03-12 2010-09-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Led용 투광성 확산 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led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824A (ko) 201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8952B2 (ja) 改善されたヘイズ度及び透光率を有する樹脂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CN101084458B (zh) 光反射体及使用该光反射体的面光源装置
KR102035546B1 (ko) 광확산 중합체 조성물, 이의 생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
US9163805B2 (en) LED lens and LED module for two-sided lighting, and LED two-sided lighting apparatus using same
KR20130102105A (ko) 광확산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KR101219602B1 (ko) 광확산판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확산판 및 그 제조방법
CN103645525A (zh) 一种集光高透过率、高雾度及高韧性于一体的光扩散板
CN105446008A (zh) 显示装置
JP2011216271A (ja) 面発光ユニット
KR101448897B1 (ko)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가진 led 조명기구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판
JP2012114081A (ja) グレア低減照明装置
US20090279306A1 (en) Lighting Apparatus
KR20110088130A (ko) 양면 조명용 led 렌즈와 led 모듈 및 이를 이용한 led 양면 조명장치
KR101479169B1 (ko) Led용 폴리프로필렌계 광확산 수지 조성물 및 광확산판
CN205807285U (zh) 双面微结构增强型光学薄膜及led照明装置
CN109721849A (zh) 一种具有光扩散效果的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208720118U (zh) 一种导光模组及照明装置
CN203880439U (zh) 具有多层微结构光学薄膜的led照明装置
CN207895098U (zh) 一种多层密度的扩散板
KR101952833B1 (ko) 차폐성이 향상된 단일층 구조의 폴리스티렌계 고휘도 광확산판
JP2011034816A (ja) 蛍光灯互換性の白色led照明灯
TWI384283B (zh) 發光二極體之背光模組
KR101980734B1 (ko) 청색 led용 단일층 구조의 형광확산판 및 그 제조방법
CN208832142U (zh) 圆锥凸起微结构光学薄膜/板材及led照明装置
EP2466343B1 (en) Light e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