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905B1 - Portable terminals with dual screens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s with dual scre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905B1
KR101478905B1 KR20130049760A KR20130049760A KR101478905B1 KR 101478905 B1 KR101478905 B1 KR 101478905B1 KR 20130049760 A KR20130049760 A KR 20130049760A KR 20130049760 A KR20130049760 A KR 20130049760A KR 101478905 B1 KR101478905 B1 KR 101478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hollow portion
movable structure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97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31009A (en
Inventor
태경록
Original Assignee
태경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경록 filed Critical 태경록
Priority to KR20130049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905B1/en
Publication of KR2014013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0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를 구성하는 2개의 휴대용 단말기가 가동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호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동구조는 2개 휴대용 단말기의 상,하단 외주연에 상호 대치되게 형성시킨 단면상 ㅗ형 궤도 통로와, 각 휴대용 단말기의 마주보는 궤도 통로 내에 위치하며 궤도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단면상 I형 연결구로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screen portable terminal in which two portable terminals constituting a dual screen portable terminal are mutually connected by a movable structure and can freely move.
The movable structure is constituted by a cross section-shaped track passage formed so as to be opposed to the upper and lower outer circumferences of the two portable terminals, and an I-shaped connecting section in the form of a section located in the opposite track passage of each portable terminal and movable along the track passage. do.

Description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S WITH DUAL SCREENS} [0001] PORTABLE TERMINALS WITH DUAL SCREENS [0002]

본 발명은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를 구성하는 2개의 단말기가 연결되어 상호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동구조를 갖는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screen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scre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vable structure that allows two terminals constituting a dual screen portable terminal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ove freely.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인터넷까지 가능하여 컴퓨터를 대체하는 방향으로까지 진보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으로 통칭되고 있다.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은 현재 약 6인치에 근접할 정도로 대형화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 스크린은 그 크기가 일정하게 규격화되어 있지는 않으며, 스크린의 크기가 크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하여 다중작업을 하거나 태블릿 PC로서 사용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편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과도하게 큰 스크린은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와 상관없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0002] Recently,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advancing to replace the computers because they are able to access the Internet, and they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mart phones. The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a computer monitor screen is now being enlarged to about 6 inches.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screen is not uniformly standardized. If the size of the screen is large, the portable terminal screen can be used as a multi-tasking application or a tablet PC using various applications. However, an excessively large screen is a factor that hinders the us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을 듀얼로 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편의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대형 스크린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현재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을 듀얼로 하는 방법으로는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 본체에 2개의 스크린을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자신의 스크린을 갖는 2개의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함으로써 듀얼 스크린을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듀얼 스크린이라 하면 2개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되는 듀얼 스크린을 말한다.If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ual, the advantage of the large screen can be utilized without hin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portable terminal. Currently, a method of dualizing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s to implement a dual screen by configuring two mobile terminals, each having its own screen, instead of implementing two screens in the body of one mobile terminal. Thu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ual screen refers to a dual screen implemented by two portable terminals.

2013년도에 개최된 Mobile World Congress(MWC2013)에서 NEC는 2개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되는 듀얼 스크린 스마트폰을 공개하였다. NEC가 공개한 듀얼 스크린 스마트폰의 경우, 2개의 휴대용 단말기가 경첩방식으로 연결이 되어 상,하로 겹쳐진 2개의 단말기 중 1개의 단말기를 필요 각도로 전개를 하여 사용을 하는 정도였다.  At the Mobile World Congress (MWC2013) held in 2013, NEC unveiled a dual-screen smartphone that is implemented as two handheld terminals. In the case of a dual screen smartphone disclosed by NEC, two portable terminals are connected by a hinge, and one of two terminals overlapped with each other is deployed at a required angle.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에서 각 스크린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서는 각 스크린이 상호에 대해 자유로이 위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2개의 휴대용 단말기끼리 상호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또한 필요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정지될 수 있는 고정장치가 필요하다. In a dual screen handheld terminal, it is desirable for each screen to be freely positioned relative to each other for various uses of each screen. To this end, there is a need for a fastening device which is required to be able to move freely between two portable terminals, and which can be stopped while being moved to a necessary position.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스크린을 갖는 2개의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되어 상호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screen portable terminal in which two portable terminals having respective scree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an freely move.

상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2개의 휴대용 단말기의 상,하단 외주연에 상호 대치되게 형성시킨 단면상 ㅗ형 궤도 통로와, 각 휴대용 단말기의 마주보는 궤도 통로 내에 위치하며 궤도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단면상 I형 연결구로 구성되는 가동구조를 갖는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가동구조의 구성에 의하면, I형 연결구에 의해 2개의 휴대용 단말기는 서로 결속된 채로 상호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pair of side-by-side railway passageways formed to face each other at the upper and lower outer edges of two portable terminals;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vable structure composed of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is movable structure, the two portable terminals can be mov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while being bound to each other by the I-type connector.

상기 궤도 통로는 그 양단에 수평 치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형 연결구는 한 쌍의 원통형 동체와 이 동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서 단면상 I형상을 갖되 동체에는 동체의 각 단부 방향으로 개방되나 내부 중간의 칸막이에 의해 서로 연통하지 않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I형 부재, I형 부재 동체의 각 단부에 위치하며 일단부에는 궤도 통로의 치형과 맞물리는 수평 치형이 형성되고 다른 단부는 개방되어 중공부가 형성되되 이 중공부로 I형 동체의 단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원통형 말단 부재와, 상기 I형 부재와 말단부재의 중공부에 위치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I형 연결구는 궤도 통로를 따라 제어가능하게 선형 이동하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a horizontal tooth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orbit passage. The I-shaped connector includes a pair of cylindrical bodies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bodies. The I-shaped connector has an I-shaped cross section, and a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body so as not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e inner middle partition, I-shaped member, and I-shaped member, and at one end thereof, there is formed a horizontal tooth which engages with the teeth of the track, and the other end is opened to form a hollow portion, And a spring position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I-shaped member and the end member. With this arrangement, the I-type connector is controllably linearly moved along the track path, but can be smoothly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한편, 상기 I형 부재의 동체가 원판 형상으로 원판의 상,하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베벨 치형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가 위치되는 회전 부재와, 회전 부재의 상,하면에 위치되되 원통 형상으로 원통의 일측에는 회전 부재의 치형과 맞물리는 베벨 치형이 형성되고 원통의 다른 측은 개방되어 중공부가 형성되는 중간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I형 연결구는 궤도 통로를 따라 선형이동하면서 동시에 부드러운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of the I-shaped member has a disk shape and has a bevel tooth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k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o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positioned;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cylinder is formed with an intermediate member in which a bevel tooth to be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rotary member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of the cylinder is opened to form a hollow portion.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I-type connector can move smoothly along the track path while simultaneously moving smoothly.

상기 회전 부재의 중앙에는 지지봉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부재의 중앙에는 이 지지봉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회전 부재가 중간 부재로부터 이탈하여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중간 부재의 외측에는 중간 부재의 중공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절개띠가 형성되고, 상기 말단 부재의 중공부에는 절개띠로 삽입되는 띠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회전 부재의 회전 시에 중간 부재가 회전 부재를 따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A support ro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tary member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termediate member to insert the support bar. Such a configuration prevents the rotating member from falling off from the intermediate membe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incision strip extending from a direction in which the hollow por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is opened is formed at the outer side of the intermediate member, and a band projection is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end member to be inserted into the incision band. This configuration prevents the intermediate member from rotating together along the rotating member during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상기 가동구조는 가동구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잠금장치를 더욱 포함한다. 이때, 잠금장치는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는 원형통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선형의 잠금부재를 포함한다. 연결부재의 원형통공과 잠금부재는 나사로 맞물리되 잠금부재를 일방향으로 축회전시키면 상,하부의 상반되는 나사산으로 인해 상,하부의 연결부재가 서로 근접이동하도록 맞물린다. 따라서 잠금부재를 잠금방향으로 회전하면, 연결부재가 서로를 향해 근접이동하고, 이는 I형 연결구의 말단 부재가 궤도 통로에 밀착하도록 함으로써 가동구조의 작동이 정지하게 된다. The movable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locking device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structure. At this time,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linear locking member extending through a circular hole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The circular through-hole and the locking me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screws. When the locking membe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the upper and lower thread portions. Therefore, when the locking member is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the connecting members move closer to each other, which causes the end members of the I-type connector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rack passage, there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구조를 갖는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A-A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형 연결구의 일부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I형 연결구가 잠금장치에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I형 연결구의 제 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I형 연결구의 제 3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구조에 의해 듀얼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이 다양하게 위치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scre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v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in the AA direction of 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I-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shaped connector shown in Fig. 3 connected to a locking devic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type connector.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I-type connector.
7 to 10 are views illustrating various screens of the dual portable terminal by the mov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구조를 갖는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방향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scre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v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direction A-A of FIG.

도시된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1)는 2개의 휴대용 단말기(2)로 구성되고 각 휴대용 단말기(2)는 각자의 스크린(6)이 구비되어서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1)는 모두 2개의 스크린을 갖게 된다. 이들 2개의 휴대용 단말기(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 구조에 의해 서로 결속된 채로 상호 운동할 수 있으며, 이하에 본 발명의 가동 구조를 설명한다.The illustrated dual screen portable terminal 1 is composed of two portable terminals 2 and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s 2 is provided with a respective screen 6 so that the dual screen portable terminal 1 has two screens do. These two portable terminals 2 can mutually move while being held together by the mov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vab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가동구조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휴대용 단말기(2)의 본체에 형성되는 단면상 ㅗ형 궤도 통로(5)와 이 궤도 통로 내에 위치하며 궤도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단면상 I형 연결구(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movab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anar orbital passage 5 formed in the main body of each portable terminal 2, a cross section I (i) located in the orbital passage and movable along the orbital passage, Type connector 20 as shown in FIG.

궤도 통로(5)는 각 휴대용 단말기(2)의 상,하단 외주연에 상호 대치되게 형성되며, 휴대용 단말기 표면에 ㅗ형 요함구로 연장되며 휴대용 단말기 표면으로 개방되는 통로(4)와 이 통로(4)의 내측 단부에서 양쪽으로 휴대용 단말기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로(3)로 구성된다. 통로(3)의 양단에는 수평 치형(7)이 형성된다.The orbit passage 5 is formed so as to be opposed to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each portable terminal 2 and includes a passage 4 extending to th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opening to th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assageway (3) extending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on both sides at the inn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At both ends of the passage 3, a horizontal tooth 7 is form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형 연결구(20)의 사시도로서, 그 일부는 분해 사시도로 표현된 것을 보여준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shaped connecto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rt thereof is shown i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형 연결구(20)는 I형 부재(21), 이 부재(21)의 각 단부에 위치되는 말단 부재(30), 및 스프링(27)으로 구성된다.The I-shaped connector 20 is composed of an I-shaped member 21, a terminal member 30 positioned at each end of the member 21, and a spring 27.

I형 부재(21)는 한쌍의 원통형 동체(22)와 이 동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5)로 구성되어서 단면상 I형 형상을 갖는다. 동체(22)는 각 단부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중공부(23)를 갖는다. 이 중공부(23)는 동체(22)의 단부 방향으로만 개방되므로 동체(22)에는 2개의 중공부(23)가 형성되며 이들 중공부끼리는 내부 중간의 칸막이에 의해 서로 연통하지 않는다. 연결부재(25)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잠금부재(11)가 삽입되는 원형통공(26)이 구비되며, 이 통공 내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된다.The I-shaped member 21 is composed of a pair of cylindrical bodies 22 and a connecting member 25 connecting the moving bodies, and has an I-shaped cross section. The moving body 22 has a hollow portion 23 that is opened only in each end direction. Since the hollow portion 23 is opened only in the end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22, two hollow portions 23 are formed in the moving body 22, and the hollow portions 23 do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ue to the inner intermediate partition. The connecting member 25 is provided with a circular through hole 26 into which a locking member 11 as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a screw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말단 부재(30)는 전술한 I형 부재 동체(22)의 각 단부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 원통형 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궤도 통로의 치형(7)과 맞물리는 수평 치형(33)이 형성되고 다른 단부는 개방되어 내부에 중공부(31)가 형성된다. 이 중공부(31) 내로는 상기 I형 부재 동체(22)의 단부가 삽입되어 위치된다. 따라서, I형 부재 동체(22)의 중공부(23)와 말단 부재(30)의 중공부(31)는 서로 연통하게 되며, 이들 중공부(23,3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스프링(27)이 위치된다. The end member 30 is a member located at each end of the above-described I-shaped member moving body 22 and has a cylindrical shape. At one end of the cylindrical member, a horizontal tooth 33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toothed passage 7, and the other end is opened to form a hollow portion 31 therein. An end of the I-shaped member body (22)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 the hollow portion (31). Therefore, the hollow portion 23 of the I-shaped member 22 and the hollow portion 31 of the end member 3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a spring 27 (not shown) is form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se hollow portions 23, ).

전술한 바와 같이, 동체(22)의 각 단부는 말단 부재(3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I형 연결구(20)의 양단, 즉 말단 부재(30)와 동체(22)가 궤도 통로(5)의 통로(3)에 위치하게 되면 I형 연결구(20)는 궤도 통로(5)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며, 연결부재(25)가 통로(4)를 통해 연장되므로 2개의 휴대용 단말기는 서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2 참조). 나아가서 I형 연결구(20)의 말단 부재(30)는 궤도 통로(5)의 통로(3)를 따라 선형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선형 이동은,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2)을 손으로 잡고 다른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2)을 이동시키면, I형 연결구(20)의 말단 부재(30)가 궤도 통로(5)의 통로(3)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동체(22)의 각 단부가 말단 부재(30)에 삽입되되, 삽입된 채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치수를 조정하면,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2)는 다른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2)에 대해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ends of the body 22 are inserted into the end members 30 as described above, both ends of the I-shaped connector 20, that is, the end members 30 and the body 22 are inserted into the passages of the orbital passages 5 Type connecting port 20 is not separated from the track 5 and the connecting member 25 extends through the passageway 4 so that the two portable terminals are held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each other (See Fig. 2). Furthermore, the end members 30 of the I-shaped connector 20 can make a linear movement along the passage 3 of the orbital passageway 5. 2, when the other portable terminal 2 is moved while holding one portable terminal 2 by hand, the end member 30 of the I-type connector 20 is moved to the orbit passage (not shown) 5 along the passageway 3 thereof. When one end of the body 22 is inserted into the end member 30 and the dimensions thereof are adjusted so as to smoothly rotate while being inserted, one portable terminal 2 is moved to the other portable terminal 2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rotational mo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궤도 통로(5)의 양단에 치형(7)이 구비되고 I형 연결구(20)의 말단부재(30)에도 치형(7)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수평 치형(33)이 구비되어서, 말단 부재(30)가 궤도 통로(5)의 통로(3)를 따라 이동할 때, 치형들(7,33) 간에 마찰저항이 있게 된다. 따라서 I형 연결구(20)는 궤도 통로(5)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 한편, 치형들(7,33) 간의 마찰저항은 중공부(23,31) 내에 위치한 스프링(27)에 의해 탄력적으로 수용되므로, I형 연결구(20)는 궤도 통로(5)를 따라 어느 정도 제어되면서 부드럽게 이동하게 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tooth 7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rbit passage 5 and a horizontal tooth 33 is formed in the end member 30 of the I-shaped connector 2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tooth 7 So that there is a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teeth 7, 33 when the end piece 30 moves along the passage 3 of the orbital passageway 5. Thus, the I-shaped connector 20 does not move freely along the orbital passageway 5,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teeth 7, 33 is resiliently received by the spring 27 located in the hollow portions 23, 31, the I-shaped connector 20 is controlled to some extent along the track path 5 And move smoothly.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동구조(5;20)는 이 가동구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휴대용 단말기(2)의 상,하단에 위치하는 2개의 I형 연결구(20)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잠금부재(11)에 의해 잠금장치가 구현되는 가동구조체(1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The movable structure 5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preferably includes a locking device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struct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structure 10 in which a locking device is realized by a locking member 11 extending through two I-shaped connecting ports 20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ortable terminal 2. [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I형 연결구(20)의 연결부재(25)에 형성되는 원형통공(26)으로 선형의 잠금부재(11)가 삽입되되 통공(26)의 내주면과 잠금부재(11)의 외주면에는 서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통공(26)과 잠금부재(11)가 나사로 맞물리게 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잠금부재(11)의 상,하부 외주면의 나사산은 서로 상반되는 나사산으로 잠금부재(11)를 일방향으로 축회전시키면 상,하부 연결부재(25), 즉 I형 연결구(20)가 서로 근접하게(또는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하부 잠금부재(11)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은 좌회전 나사, 다른 일측은 우회전 나사를 형성하고, 통공(26) 내측에는 동일 방향의 나사를 형성하거나, 잠금부재(11)에는 동일 방향의 나사를 형성시키고 통공(26) 내측에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를 형성시킨다. 따라서, 손잡이(13)를 잡고 잠금부재(11)를 일 방향으로 축회전 시켜서 I형 연결구(20)가 근접하게(또는 멀어지게) 이동하면, I형 연결구(20)의 말단부재(30)의 어느 하나는 궤도 통로(5)의 통로(3)의 양단 중 어느 하나와 밀착하게 된다. 이는 가동구조가 이동할 수 없도록 그 작동을 정지시킨다.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linear locking member 11 is inserted into a circular through hole 26 formed in a connecting member 25 of an I-type connecting port 20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And the through hole 26 and the lock member 11 are screwed into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25, i.e., the I-type connecting ports 20 are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when the locking member 1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screws whose threads on the upper and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locking member 11 are opposite to each other. (Or away) from the surface. Fo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lock pieces 11 may be provided with a left turn screw on one side and a right turn screw on the other side around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lock pieces 11, A screw in the same direction is formed and a screw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formed inside the through hole 26. Therefore, when the locking member 11 is pivoted in one direction by holding the knob 13 and the I-shaped coupling 20 is moved close to (or away from) the I-shaped coupling 20, One of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either one of the ends of the passage 3 of the orbit passage 5. This stops the operation so that the movable structure can not move.

전술한 바와 같이, 듀얼 휴대용 단말기(1)가 본 발명에 따른 가동구조(5;20)를 구비하면 각 휴대용 단말기(2)는 서로에 대해 자유로이 선형 및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되므로, 듀얼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각 휴대용 단말기(2)의 스크린(6)을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스크린(6)이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 도 1과 같은 상태(이 상태에서는 하나의 스크린만을 사용할 수 있음)에서, 상,하의 휴대용 단말기(2)를 서로에 대해 선형이동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을 펼친 것과 같은 상태로 스크린(6)이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두개의 스크린(6)을 하나의 대형 스크린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2)를 다른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2)에 대해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축 회전시킨 후에 잠금장치를 사용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휴대용 단말기(2)의 스크린(6)이 서로 필요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아래의 휴대용 단말기 스크린(6)을 키보드로 활용할 수 있어 마치,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를 초소형 노트북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 선형운동과 회전운동을 적절히 조합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말기의 스크린이 마주보도록 정지된 상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말기의 스크린이 위를 향하도록 정지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두 개의 휴대용 단말기를 각각 필요 용도에 따라 독립된 단말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동구조를 구비하면, 듀얼 휴대용 단말기(1)의 스크린이 원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어 듀얼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ual portable terminal 1 is provided with the movable structure 5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s 2 can freely linearly and rotationally move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2 can position the screen 6 of each portable terminal 2 at a desired position. For example, in the state shown in Fig. 1 in which each screen 6 is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is state, only one screen can be used), the upper and lower portable terminals 2 are moved linearly , The screen 6 can be positioned in the same state as the book is opened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the two screens 6 can be used as one large screen. When the locking device is used after rotating any one of the portable terminals 2 in the desired direction in the desir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portable terminal 2 in the state shown in FIG. 7, as shown in FIG. 8, The screen 6 of the portable terminal 2 can be kept rotated at the necessary ang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is state, the following portable terminal screen 6 can be used as a keyboard, so that a dual screen portable terminal can be used as a very small notebook. Furthermore, when the linear motion and the rotational motion are properly combined, the screen of each terminal is stopped so as to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 9, and the screen of each terminal is stopped as shown in FIG. 10 Lt; / RTI > In the state shown in FIG. 10, the two portable terminals can be used as independent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need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v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e screen of the dual portable terminal 1 can be positioned at a desired position, and the usability of the dual portable terminal can be remarkably increas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구조의 I형 연결구의 제2 실시예로서 도 3에 상응하는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3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I-shaped connector of the mov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I형 연결구(20')는 I형 부재(21'), 이 부재(21')의 각 단부에 위치되는 말단 부재(30'), 및 스프링(27)으로 구성된다.The illustrated I-shaped connector 20 'consists of an I-shaped member 21', a distal member 30 'located at each end of the member 21', and a spring 27.

I형 부재(21')는 I형 연결구(20)의 I형 부재(21)에 대응하는 부재로, 양자의 차이점은 I형 부재(21)의 동체(22)에 해당하는 부분이 회전 부재(22')와 중간 부재(35)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The I-shaped member 21 'corresponds to the I-shaped member 21 of the I-shaped connector 20.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th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body 22 of the I- 22 'and an intermediate member 35 as shown in FIG.

회전부재(22')는 원판 형상으로 그 상,하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베벨 치형(29)이 형성되며 원형통공(26)을 갖는 연결부재(25)가 측면에 위치된다. 이 회전 부재의 중앙에는 중앙 지지봉(24)이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다. The rotary member 22 'is disk-shaped and has a bevel tooth 29 formed on its lower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connecting member 25 having a circular hole 26 is located on the side surface. At the center of the rotary member, a central support rod (24) projects upwardly and downwardly.

중간 부재(35)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회전 부재(22')의 상,하면에 위치된다. 중간 부재(25)의 원통의 일측에는 회전 부재의 치형(29)과 맞물리는 베벨 치형(37)이 형성되고 원통의 다른 측은 개방되어 중공부(36)가 형성된다. 중간 부재(25)의 일측, 즉 회전 부재(22')를 향하는 치형(37)이 형성되는 측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봉(24)이 삽입되는 중앙 관통공(39)이 형성된다. 중간 부재(35)의 외측에는 중간 부재의 중공부(36)가 개방되는 방향으로부터 외측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절개띠(38)가 형성된다.The intermediate member 35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otary member 22 '. On one side of the cylinder of the intermediate member 25 is formed a bevel tooth 37 engaging with the tooth 29 of the rotary member and the other side of the cylinder is opened to form the hollow portion 36. A central through hole 39 into which the support rod 24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ide of the intermediate member 25 on which the tooth 37 facing the rotary member 22 'is formed. A cutout band 38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termediate member 35 and extends along the outer side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low portion 36 of the intermediate member is opened.

I형 연결구(20')의 말단 부재(30')는 I형 연결구(20)의 말단 부재(3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말단 부재(30')의 중공부(31) 내측에 상기 중간 부재(35)의 절개띠(38)로 삽입되는 띠 돌기(32)가 형성된다는 점에서만 다르다.The end member 30 'of the I-shaped connector 2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end member 30 of the I-shaped connector 20 and is formed inside the hollow portion 31 of the end member 30 ' Only the band protrusion 32 is formed which is inserted into the cut-off band 38 of the cutter 35.

I형 연결구(20')에서는 스프링(27)이 중간 부재(35)와 말단 부재(30')의 중공부(36,3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며 회전 부재(22')와 중간 부재(35)는 지지봉(24)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 부재가 중간 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회전 부재(22')의 회전 시, 회전 부재와 중간 부재의 치형들(29,37)이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중간 부재(35)에 대한 회전 부재(22')의 회전 운동은 치형들 간의 마찰로 어느 정도 제어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운동은 스프링(27)에 의해 탄력적으로 수용된다. 한편, 중간 부재의 절개띠(38)와 말단 부재(30')의 삽입 띠(32)가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중간 부재(35)는 그 일단이 말단 부재(30')의 중공부(31)로 삽입된 상태에서 말단 부재(30')의 길이 방향을 따른 탄성 운동만을 할 뿐 중간 부재가 회전 부재를 따라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I형 연결구(20')를 사용하는 가동 구조에서는 I형 연결구(20')가 궤도 통로(5)를 따라 어느 정도 제어되면서도 부드러운 선형이동 및 부드러운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In the I type connector 20 ', the spring 27 is locat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intermediate member 35 and the hollow portions 36 and 31 of the end member 30', and the rotational member 22 ' (35) is connected by the support rods (24) to prevent the rotary member from separating from the intermediate member. Since the teeth 29 and 37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intermediate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rotating member 22 'is rotated,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member 22' relative to the intermediate member 35 is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teeth It is rotated with a certain degree of control. This rotational motion is accommodated by the spring 27 in a resilient manner.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utting member 38 of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insertion band 32 of the distal member 3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intermediate member 35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31 of the distal member 30' The intermediate member is prevented from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ry member only by elastic mov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d member 30 '. Accordingly, in the movable structure using the I-type connector 20 ', the I-shaped connector 20' can be smoothly linearly moved and smoothly rotated while being controlled to some extent along the orbital passage 5.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구조의 I형 연결구의 제3 실시예로서 도 4에 상응하는 상태로 도시하되 그 구성부의 일부를 분해 사시도로 표시한 것이다.Fig. 6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I-shaped connector of the mov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corresponding to Fig. 4, in which a part of its constituent parts is shown i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 6에 도시된 I형 연결구(20'')는 I형 연결구(20')와 동일하나, 하나의 중간 부재(35'')가 다른 하나의 중간 부재(35')에 비해 길며, 긴 중간 부재(35'')의 중공부로 수용되는 스프링(27')이 짧은 중간 부재(35')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스프링(27)보다 길게 구성되는 점에서만 차이가 난다. 이때, 긴 중간 부재(35'')는 2개의 I형 연결구(20'')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 또는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한다. 즉, 긴 중간 부재(35'')가 우측 I형 연결구(20'')의 좌측에 그리고 좌측 I형 연결구(20'')의 우측에 위치하거나(도 6), 우측 I형 연결구(20'')의 우측에 그리고 좌측 I형 연결구(20'')의 우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I형 연결구(20'')로 이루어진 가동구조체(10')의 경우, 잠금장치(11)를 축회전 할 때, 약간의 축회전 만으로도 긴 중간 부재(35'')가 말단 부재(30')를 가압하여 말단 부재(30')가 신속하게 궤도 통로(5)의 통로(3)와 밀착하게 됨으로써, 가동 구조의 작동을 신속하게 중지시킬 수 있다. The I-shaped connector 20 '' shown in FIG. 6 is the same as the I-shaped connector 20 'except that one intermediate member 35' 'is longer than the other intermediate member 35' Except that the spring 27 'receiv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member 35' 'is longer than the spring 27 receiv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short intermediate member 35'. At this time, the long intermediate members 35 " are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or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two I-shaped connectors 20 ". That is, the long intermediate member 35 ''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right I-shaped connector 20 '' and on the right side of the left I-shaped connector 20 '' (FIG. 6) ') And to the right of the left I-shaped connector 20' '. In the case of the movable structure 10 'composed of the I-shaped connector 2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locking device 11 is rotat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long intermediate member 35'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structure can be quickly stopped by urging the movable member 30 'so that the end member 30' quick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assage 3 of the orbital passage 5.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4)

2개의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되는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2개의 휴대용 단말기가 가동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호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 가동구조가 2개 휴대용 단말기의 상,하단 외주연에 상호 대치되게 형성시킨 단면상 ㅗ형 궤도 통로와, 각 휴대용 단말기의 마주보는 궤도 통로 내에 위치하며 궤도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단면상 I형 연결구로 구성되며,
상기 I형 연결구는 한 쌍의 원통형 동체와 이 동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서 단면상 I형상을 갖되 동체에는 동체의 각 단부 방향으로 개방되나 내부 중간의 칸막이에 의해 서로 연통하지 않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I형 부재, I형 부재 동체의 각 단부에 위치하되 일단부는 궤도 통로와 맞물리고 다른 단부는 개방되어 중공부가 형성되며 이 중공부로 I형 동체의 단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원통형 말단 부재와, 상기 I형 부재와 말단부재의 중공부에 위치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
1. A dual screen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wo portable terminals,
The two or more portable termina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movable structure so that they can mutually move. The movable structure is formed so as to be opposed to the upper and lower outer edges of the two portable terminals, It consists of an I-shaped connecting section on the cross section which can be moved along the orbital path,
The I-shaped connector is composed of a pair of cylindrical bodies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bodies. The I-shaped connector has an I-shaped cross section, and a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body so as to be opened in each end direction of the body, A cylindrical end member which is located at each end of the I-shaped member and the I-shaped member and in which one end is engaged with the orbit passage and the other end is opened to form a hollow portion and the end of the I- Shaped member and a spring positioned in a hollow portion of the terminal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 통로는 그 양단에 수평 치형이 형성되며, 상기 I형 연결구의 원통형 말단 부재의 상기 궤도 통로와 맞물리는 단부에는 상기 궤도 통로의 수평 치형과 맞물리는 수평 치형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 [3]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a horizontal tooth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orbital passage, and a horizontal tooth to be engaged with a horizontal tooth of the orbital passage is formed at an end of the cylindrical end member of the I- Features a dual screen handheld termin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I형 부재의 동체가 원판 형상으로 원판의 상,하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베벨 치형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가 위치되는 회전 부재와, 회전 부재의 상,하면에 위치되되 원통 형상으로 원통의 일측에는 회전 부재의 치형과 맞물리는 베벨 치형이 형성되고 원통의 다른 측은 개방되어 중공부가 형성되는 중간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 부재의 중앙에는 중앙 지지봉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부재의 중앙에는 이 지지봉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 부재의 외측에는 중간 부재의 중공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절개띠가 형성되고, 상기 말단 부재의 중공부에는 상기 절개띠로 삽입되는 삽입 띠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
[3]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body of the I-shaped member has a disk shape and has a bevel tooth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isk, A bevel tooth shape engaging with the teeth of the rotary memb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ylinder and an intermediate member o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cylinder is opened to form a hollow portion,
A center support ro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tary member, a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termediate member,
Wherein the hollow portion of the end membe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band to be inserted into the incision band, the incision ba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low por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is opened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termediate member, .
제 1항 내지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구조가 이 가동구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잠금장치를 더욱 포함하며,
잠금장치는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는 원형통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되 연결부재의 원형통공과 잠금부재는 나사로 맞물리되 상,하부의 상반되는 나사산으로 인해 잠금부재를 일방향으로 축회전시키면 각 연결부재가 서로 근접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크린 휴대용 단말기.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movable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locking device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structure,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locking member extending through a circular hole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circular hol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screws, and the locking membe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herein each of the connecting members moves close to each other.
KR20130049760A 2013-05-03 2013-05-03 Portable terminals with dual screens KR101478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9760A KR101478905B1 (en) 2013-05-03 2013-05-03 Portable terminals with dual scre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9760A KR101478905B1 (en) 2013-05-03 2013-05-03 Portable terminals with dual scre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009A KR20140131009A (en) 2014-11-12
KR101478905B1 true KR101478905B1 (en) 2015-01-02

Family

ID=5245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9760A KR101478905B1 (en) 2013-05-03 2013-05-03 Portable terminals with dual scre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9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3758A (en) * 2016-07-14 2018-0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Rotating shaft connector and there is its mobile terminal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306A (en) * 2010-06-14 201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306A (en) * 2010-06-14 201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009A (en)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080B1 (en) Folding Hing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KR102108151B1 (en) Folding Hing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JP6403891B2 (en) Flexible screen expansion structure, flexible screen assembly and terminal
US8763206B1 (en) Hinge
US20160102487A1 (en) Biaxial Hing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US9104381B2 (en) Biaxial hinge
US9051951B2 (en) Threaded post structure and assembling structure having the same
US20150047152A1 (en) Hinge assembly
KR20150037383A (en) Foldable device
US9147984B2 (en) Power device having rotating outlet unit
JP6273765B2 (en) Clamp device and infusion pump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US20190270519A1 (en) Drop box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11365573B2 (en) Double-screen rotary shaft structure
CN110657155A (en) Rotating shaft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478905B1 (en) Portable terminals with dual screens
KR20200141820A (en) Hinge Apparatus And Foldab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5158712A (en) Device having usb terminal
KR20090105623A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use in portable device having two units sliding and rotating each other
JP6717574B2 (en) Protective case
TWM483149U (en) Ratchet wrench for single-hand operation and direction switching
JP6978873B2 (en) Stand automatic switchgear of terminal equipment and terminal equipment using this switchgear
TWM468875U (en) Opening angle control apparatus for dual-axis torsion hinge device
US9594400B2 (en) Electronic device
US11365846B2 (en) Rotation mechanism
CN204099853U (en) Sli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