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402B1 -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 Google Patents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402B1
KR101478402B1 KR1020120028616A KR20120028616A KR101478402B1 KR 101478402 B1 KR101478402 B1 KR 101478402B1 KR 1020120028616 A KR1020120028616 A KR 1020120028616A KR 20120028616 A KR20120028616 A KR 20120028616A KR 101478402 B1 KR101478402 B1 KR 101478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ntom
internal
dose distribution
pelvic
confi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938A (ko
Inventor
권수일
이상훈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8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40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71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dose delivered by the treatment pl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75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alibrating, or quality assurance of the radiation treatment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75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alibrating, or quality assurance of the radiation treatment apparatus
    • A61N2005/107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alibrating, or quality assurance of the radi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a dummy object placed in the radiation field, e.g. phanto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을 위한 골반 팬텀에 관한 것으로, 애플리케이터(applicator) 삽입이 가능하고, 3차원적 선량 분포 측정 가능한 골반 팬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에 있어서, 외부 팬텀; 및 상기 외부 팬텀에 삽입 장착되는 내부 팬텀; 을 포함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하고, 이때, 상기 내부 팬텀은 중합체 겔(Gel)로 채워질 수 있고, 일 면에 방사선 치료 기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기구 삽입공; 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내부 팬텀은 삽입되는 상기 외부 팬텀의 일 면에 접촉 결합하기 위해 밑면 또는 윗면에 외주를 따라 형성된 프랜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은 실제 여성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자궁강의 길이 및 자궁경부의 폭 등)을 고려한 설계와 겔로 채워진 팬톰 내부에 의해 실제 환자에게 전달되는 선량 분포를 3차원적으로 분석 평가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PELVIC PHANTOM FOR CONFIRMING 3-DIMENSION DOSE DISTRIBUTION IN BRACHYTHERAPY}
본 발명은 방사선치료에서 선량 분포 확인을 위한 팬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접 방사선치료시 3차원으로 선량 분포를 확인하기 위한 골반 팬텀에 관한 것이다.
암을 치료하는 방법 중 방사선 치료법에서는 외부 방사선치료법와 근접 방사선치료법이 있다. 이 중 근접 방사선치료는 방사선을 생성하는 동위원소(Co-60, Ir-192, Ra-226, Cs-137 및 Th-170 등)를 병소(病巢)부위에 직접 삽입하여 방사선을 조사하는 치료방법으로 외부 방사선치료가 비교적 넓은 부위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반면, 근접 방사선치료는 동위원소로부터 가까운 거리에는 많은 방사선이 조사되지만 먼 거리에는 급격히 방사선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병소부위에만 많은 양의 방사선을 주고 정상조직에는 방사선량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높은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근접 방사선치료는 병소부위 및 시술하는 방법에 따라 강내치료, 관내치료 혹은 조직 내 치료 등으로 나누어지며, 국내의 경우 근접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대부분의 암 환자는 자궁경부암 환자로서 외부 방사선치료를 끝낸 후 또는 외부 방사선치료 중에 병행되어 시행되기도 한다.
자궁경부암에서 시행하는 근접 방사선치료를 "강내 근접 방사선치료"라고 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기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탠덤(tandem)(1)과 난형체(ovoid)(2)가 결합된 애플리케이터(applicator)라는 기구를 사용하게 된다. 탠덤은 속이 비어 있는 긴 막대기 형태로 자궁강 내로 삽입하게 되고, 난형체(2)는 끝이 동그란 기구로 자궁 경부와 질 위쪽 사이에 놓이게 된다. 이 기구들을 환자가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질을 통하여 삽입한 후 치료계획에 따라 동위원소를 기구 내로 넣어 치료를 한다.
강 내 근접 방사선치료는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종양이 있는 자궁경부에 많은 방사선을 조사함과 동시에 자궁과 인접한 방광 및 직장에는 방사선이 적게 조사함으로써, 정상 조직의 합병증을 최소화하여 종양을 제거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치료이다.
한편, 근접 방사선치료는 선량률에 따라 고선량률(HDR; High Dose Rate)과 저선량률(LDR; Low Dose Rate) 근접 치료로 나뉘며, 지난 몇 년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막론하고 HDR 근접치료가 LDR 근접치료를 대체하면서 빠르게 성장해 왔다. HDR 근접치료 기술은 1.6~5.0 Gy/min 정도의 매우 높은 선량(률)을 부여하므로 실수는 임상적 악영향 우려가 있는 과선량이나 부족선량을 초래할 수 있다.
ICRP(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국제 방사선 방호위원회)의 97년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500,000 절차(치료 실시) 정도가 HDR 치료기로 수행되는 것으로 추산되며, 선원 포장에서부터 선량 부여까지 전 절차 연계에서 한 사람의 사망을 포함하여 500 건 이상의 HDR 사고가 보고되어 있다. 사람 실수가 방사선 사건의 주원인이다. 이 보고서에서 ICRP는 의료진이 감시장비를 갖추고 그 결과에 주의를 기울였다면 많은 사고가 예방될 수 있었다고 결론짓고 있다. 이처럼 근접 방사선치료는 방사선 발생 장치를 사용하는 외부 방사선치료와 달리 방사성 동위원소를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선원 관리부터 선량 평가까지 정도 관리에 더욱 주의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취약한 것이 현실이다. 외부 방사선치료의 경우 예전부터 치료기의 도입단계, 치료기의 사용단계, 전산화 치료계획 단계 등 다양한 정도 관리 프로토콜과 장비 등을 통해 모든 사용기관에서 주기적인 정도 관리를 시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환자에게 전달되는 선량을 직접 측정하고 평가하고자 하는 방법과 장비들이 속속 개발 및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환자에게 전달되는 방사선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이온전리함 또는 다이오드를 2차원적으로 배열하여 만든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3차원적으로 분포하는 선량을 평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필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선행기술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8-057336호(1998년 03월 03일 공개)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9-073096호(1999년 03월 16일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을 위한 골반 팬텀에 관한 것으로, 애플리케이터(applicator) 삽입이 가능하고, 3차원적 선량 분포 측정 가능한 골반 팬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에 있어서, 외부 팬텀; 및 상기 외부 팬텀에 삽입 장착되는 내부 팬텀; 을 포함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 팬텀의 일 면과 상기 일 면의 반대 면에 결합된 고정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두 개의 고정 플레이트 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 결합된 지지봉;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 팬텀이 조직 등가 물질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 팬텀은 아크릴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부 팬텀의 내부는 중합체 겔(Gel)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 팬텀이 일 면에 방사선 치료 기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기구 삽입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구 삽입공의 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구 삽입공이 폭이 4cm 내지 6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구 삽입공이 적어도 일 측 단면이 깊이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단차진 형상이거나,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구 삽입공이 적어도 일 측 단면이 깊이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단차진 형상인 경우, 좁아진 구멍은 길이가 6cm 내지 8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 팬텀이 내부에 일정 물질을 채우고 덮을 수 있도록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뚜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 팬텀은 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형인 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 팬텀이 상기 외부 팬텀에 삽입되는 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내부 팬텀은, 상기 개방된 면에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 팬텀이 상기 캡이 장착된 경우, 내부 물질이 밖으로 새거나 외부 물질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이 상기 내부 팬텀에 장착된 경우, 상기 내부 팬텀의 내부 물질이 밖으로 새거나 외부 물질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 팬텀이 삽입되는 상기 외부 팬텀의 일 면에 접촉 결합하기 위해 상기 내부 팬텀의 밑면 또는 윗면에 외주를 따라 형성된 프랜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제공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은 근접 치료용 애플리케이션의 삽입이 가능하여, 선량 분포 측정이 정확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은 실제 여성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자궁강의 길이 및 자궁경부의 폭 등)을 고려한 설계를 통해 실제 환자에게 전달되는 선량 분포를 3차원적으로 분석 평가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은 팬텀 내부를 겔로 채움으로써, 1차원 또는 2차원의 선량 분포가 아닌 3차원의 선량 분포를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탠덤과 난형체가 결합된 애플리케이터의 형상과 자궁경부에 삽입된 X-선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팬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ICRU 프로토콜 38에 따른 선량 평가 지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구현한 사진이다.
아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고도 명확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a)에 정면도, 도 2(b)에 배면도, 도 2(c)에 측면도, 도 2(d)에 내부 팬텀(200)이 외부 팬텀(100)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도면을 도시하였다.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은 외부 팬텀(100) 및 외부 팬텀(100)에 삽입 장착되는 내부 팬텀(200)을 포함한다.
외부 팬텀(100)은 여성 자궁암 환자의 체표 윤곽과 같은 모양의 골반 형태를 갖을 수 있고, 상기 외부 팬텀(100)의 내부는 조직 등가 물질(tissue-equivalent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팬텀(100)에 채워지는 조직 등가 물질은 방사선(radiation)에 대해서 생체조직과 동등한 흡수(absorption)와 전리(ionizing)를 나타내는 물질로서, 일 예로, 아가(Agar)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조직 등가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전산화단층촬영장치(X-ray CT; Computed Tomography), 자기공명영상장치(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광학단층촬영장치(Optical-CT) 등과 같은 장치를 이용한 촬영시 인체의 조직과 유사한 단일 밀도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치료계획시스템(TPS; Treatment Planning System)을 통해 방사선 선량 분포를 계산할 때에도 이러한 전자밀도를 고려하여 실제 임상 상황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은 외부 팬텀(100)을 지지하기 위해, 외부 팬텀(100)의 일 면과 그 반대 면에, 외부 팬텀(100)의 해당 면과 평행하도록 편평한 아크릴 소재의 고정 플레이트(10)가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10)를 고정하고, 외부 팬텀(100)을 지지하기 위해 두 개의 고정 플레이트(10) 간을 연결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아크릴 소재의 지지봉(200)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0)와 상기 지지봉(200)을 외부 팬텀(100)에 고정함으로써, 전산화단층촬영장치를 이용한 촬영시 또는 실제 선원을 통한 방사선 조사시 외부 팬텀(100)의 자세를 동일하게 유지시키고, 외부 팬텀(100)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외부 팬텀(100)에 삽입 장착되는 내부 팬텀(200)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팬텀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 및 도 3(b)에 사시도, 도 3(c)에 및 도 3(d)에 일 측 단면도, 도 3(e)에 배면도, 도 3(f)에 투과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3(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팬텀(200)은 기구 삽입공(210), 플랜지(220), 캡(23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팬텀(200)은 전체적인 형상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원형인 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단면이 다각형인 기둥 형상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기둥 형태의 내부 팬텀(200)은 외부 팬텀(100)에 삽입하기 용이하고, 길쭉한 형태의 방사선 치료 기구가 삽입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내부 팬텀(200)은 상기 외부 팬텀(100)의 일 면을 향해 삽입 장착되는 팬텀으로, 내부 팬텀(200)은 외부 팬텀(100)과 독립적으로 분리되되, 상기 내부 팬텀(200)은 선량 및 선량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내부는 중합체 겔(Gel)로 채워질 수 있다.
중합체 겔은 방사선이나 빛에 의해 아크릴 단량체가 연쇄 중합 반응을 일으켜 중합체로 형성되며, 방사선 조사에 의해 형성된 중합체의 미세 입자를 통해서 입자의 크기 및 농도로 흡수된 방사선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중합체 겔은 3차원 선량 분포를 획득하기 위해,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과 구리염(Cu(Ⅱ)SO4·5H2O)의 항산화제와 방사선 조사 전에 발생하는 중합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히드로퀴논(hydroquinone)을 사용한 겔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팬텀(200)의 그 틀은 중합체 겔과 전자밀도가 유사한 아크릴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선은 물질의 전자밀도에 따라 감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상기의 중합체 겔을 내부 팬텀(200) 내부에 채우거나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내부 팬텀(200)의 적어도 일 면에 뚜껑(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뚜껑은 여닫이 방식 또는 미닫이 방식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중합체 겔을 내부 팬텀(200) 내부에 채우거나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면 족하다.
이와 같은 뚜껑 이외에도, 도 3(c) 및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팬텀(200)이 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형인 기둥 형상인 경우 윗면 또는 밑면 중 어느 한 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면에 장착 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높이가 형성된 캡(230)을 구비할 수 있다.
캡(230)은 윗면 또는 밑면이 개방된 내부 팬텀(200)과 장/탈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캡(230)의 내주면 및 캡(230)과 밀착되는 외주면에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나사산을 이용한 결합 수단 이외에도 자석 등을 이용한 다양한 결합 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캡(230)이 결합된 내부 팬텀(200)의 경우 내부에 채워지는 중합체 겔과 같은 내부 물질이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거나 정상산소 중합체 겔의 경우 산소와 반응하여 중합반응을 일으키므로 외부로부터의 산소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윗면 또는 밑면이 개방된 내부 팬텀(200)은 개방된 면의 외주를 따라 또는 결합되는 캡(230)의 내주를 따라 방수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방수 수단은 캡(230)과 일 면이 개방된 내부 팬텀(200) 간의 긴밀한 결합을 위한 것으로 공지의 다양한 방수 수단이 채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결합된 이후, 방수 테이프와 같은 형태의 접착 부재가 캡(230)의 결합 틈을 중심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내부 팬텀(200)은 외부 팬텀(100)의 내부 팬텀 삽입공(110)에 삽입된다. 이때, 내부 팬텀(200)이 외부 팬텀(100)에 고정 결합하도록, 상기 내부 팬텀(200)이 기둥 형태인 경우에, 밑면 또는 윗면 중 어느 한 면 즉, 삽입되지 않는 면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프랜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프랜지(220)는 체결 수단을 통해 내부 팬텀(200)이 외부 팬텀(100) 또는 외부 팬텀(100)에 고정 결합된 고정 플레이트(10)에 고정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내부 팬텀(200)의 전체 폭이 외부 팬텀(100)의 내부 팬텀 삽입공(110)의 폭과 다르더라도, 내부 팬텀(200)이 외부 팬텀(100)의 정확하게 같은 위치에 항상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부 팬텀(200)은 일 면에 방사선 치료 기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기구 삽입공(21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치료 기구는 근접 치료용 기구로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미 알려진 탠덤(tandem)과 난형체(ovoid)가 결합된 애플리케이터(applicator)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방사선 치료 기구는 기구 삽입공(210)을 통해 내부 팬텀(200)에 삽입되어, 치료 계획에 따라 동위원소는 기구를 통해 기구 삽입공(210) 내로 주입할 수 있게 된다.
기구 삽입공(210)의 단면은 도 3(a) 및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각형 내지는 원형일 수 있다.
이러한 기구 삽입공(210)은 상기의 방사선 치료 기구가 삽입되어, 탠덤과 난형체의 조절이 가능한 크기여야 하므로, 기구 삽입공(210)은 길쭉한 기둥 형상의 구멍일 수 있고, 실제 환자와 유사한 환경을 구비하기 위해, 상기 기구 삽입공(210)의 어느 하나의 폭(도 3(c) 및 도 3(d)의 w로 표시한 길이)은 실제 환자들의 자궁경부의 폭을 고려하여 3cm 내지 5cm, 바람직하게는 4cm(실제 환자들의 자궁경부의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구 삽입공(210)은 여성의 질과 자궁을 모사(模寫)하여, 적어도 일 측 단면은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깊이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단차진 형상이거나, 테이퍼(taper)진 형상일 수 있다.
이때, 기구 삽입공(210)의 일 측 단면이 단차진 형상인 경우, 기구 삽입공(210)의 깊이 방향으로 그 폭이 좁아질 수 있으며, 단차에 의해 좁아진 구멍은 실제 환자들의 자궁강의 길이를 고려하여, 좁아진 구멍의 길이(도 3(c) 및 도 3(d)의 l로 표시한 길이)를 6cm 내지는 8cm, 바람직하게는 7cm(실제 환자들의 자궁강의 최대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깊이 방향으로 폭이 좁아진 기구 삽입공(210)은 상기와 같은 제원(諸元)에 의해 난형체(ovoid)는 상기 단차의 턱에 걸쳐질 수 있고, 폭이 좁아진 구멍으로 텐덤(tandem)은 깊이 방향으로 더 삽입되어, 동위원소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ICRU 프로토콜 38에 의한 근접치료시 A점, B점에서의 선량을 3차원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상기 기준에 따르면, A점은 처방 선량의 100%, B점은 보통 A점의 30% 정도, 방광 및 직장은 A점의 80% 이하의 선량이 조사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A점은 자궁외구(External OS)에서 자궁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수직 위쪽으로 2cm, 양쪽 수평으로 2cm지점으로서, 요관 및 자궁 맥이 교차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지점이기도 하여, 원 발병소의 치유 선량을 평가할 수 있는 지점이고, 아울러 방광 및 직장의 선량 평가의 기준이 되는 지점이며, 그리고 B점은 자궁외구에서 자궁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수직 위쪽으로 2cm, 양쪽 수평으로 5cm지점으로서, 각종 림프절(inguinal, iliac, paracervical node)가 지나가고 있어, 골반벽의 침윤 전이의 기준이 되는 지점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에 의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기준에 만족하는지 판단 가능한 3차원 선량 분포 계산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탠덤 2: 난형체
10: 고정 플레이트 20: 지지봉
100: 외부 팬텀 110: 내부 팬텀 삽입공
200: 내부 팬텀 210: 기구 삽입공
220: 플랜지 230: 캡

Claims (16)

  1.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에 있어서,
    환자의 체표 윤곽 모양의 골반 형태에 대응하는 외부 팬텀; 및
    상기 외부 팬텀에 삽입 장착되고, 자궁강내에 인접하는 기관에 대응하는 내부 팬텀;
    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 팬텀은 조직 등가 물질로 채워지고,
    상기 내부 팬텀은 일 면에 근접 방사선치료 기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기구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기구 삽입공을 제외한 내부는 중합체 겔(Gel)로 채워져 상기 내부 팬텀의 내부 전체에서 방사선 검출이 가능하여, 상기 기구 삽입공으로 삽입된 상기 근접 방사선치료 기구로부터 근접 방사선 조사 시 상기 내부 팬텀의 내부 전체에 대한 선량 분포를 평가할 수 있고,
    상기 기구 삽입공은 적어도 일 측 단면이 깊이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단차진 형상이거나,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팬텀의 일 면과 상기 일 면의 반대 면에 결합된 고정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고정 플레이트 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 결합된 지지봉;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팬텀은 아크릴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삽입공의 단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삽입공은, 폭이 3cm 내지 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삽입공은, 적어도 일 측 단면이 깊이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단차진 형상인 경우, 좁아진 구멍은 길이가 6cm 내지 8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팬텀은,
    내부에 일정 물질을 채우고 덮을 수 있도록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뚜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팬텀은 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형인 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팬텀은 상기 외부 팬텀에 삽입되는 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내부 팬텀은,
    상기 개방된 면에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팬텀은,
    상기 캡이 장착된 경우, 내부 물질이 밖으로 새거나 외부 물질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내부 팬텀에 장착된 경우, 상기 내부 팬텀의 내부 물질이 밖으로 새거나 외부 물질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팬텀은,
    삽입되는 상기 외부 팬텀의 일 면에 접촉 결합하기 위해 밑면 또는 윗면에 외주를 따라 형성된 프랜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KR1020120028616A 2012-03-21 2012-03-21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KR101478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616A KR101478402B1 (ko) 2012-03-21 2012-03-21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616A KR101478402B1 (ko) 2012-03-21 2012-03-21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938A KR20130106938A (ko) 2013-10-01
KR101478402B1 true KR101478402B1 (ko) 2014-12-31

Family

ID=4963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616A KR101478402B1 (ko) 2012-03-21 2012-03-21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621A1 (ko) * 2016-04-28 2017-11-02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팬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702Y1 (ko) * 2004-01-13 2004-04-13 학교법인 가톨릭학원 고선량률 근접치료계획 정확성평가를 위한 팬텀 및 상기팬텀을 갖는 팬텀장치
KR100964647B1 (ko) * 2007-10-24 2010-06-25 (주)바텍이우홀딩스 엑스 레이 씨티 촬영 장치의 중심축 이동을 보정하기 위한피지컬 팬텀 및 이를 이용하여 보정 방법
KR20120011575A (ko) * 2010-07-29 2012-02-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뇌 정위 방사선 수술의 목표점 및 방사선 분포의 검증장치
KR101185067B1 (ko) * 2011-03-03 2012-09-20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체적 기반 입체조형 활꼴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선량 검증을 위한 팬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량 오차 분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702Y1 (ko) * 2004-01-13 2004-04-13 학교법인 가톨릭학원 고선량률 근접치료계획 정확성평가를 위한 팬텀 및 상기팬텀을 갖는 팬텀장치
KR100964647B1 (ko) * 2007-10-24 2010-06-25 (주)바텍이우홀딩스 엑스 레이 씨티 촬영 장치의 중심축 이동을 보정하기 위한피지컬 팬텀 및 이를 이용하여 보정 방법
KR20120011575A (ko) * 2010-07-29 2012-02-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뇌 정위 방사선 수술의 목표점 및 방사선 분포의 검증장치
KR101185067B1 (ko) * 2011-03-03 2012-09-20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체적 기반 입체조형 활꼴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선량 검증을 위한 팬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량 오차 분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938A (ko)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shio et al. The development and clinical use of a beam ON-LINE PET system mounted on a rotating gantry port in proton therapy
Tillner et al. Pre-clinical research in small animals using radiotherapy technology–a bidirectional translational approach
US7831016B2 (en) Radiation dosimetry apparatus and method, and dosimeter for use therein
Pantelis et al. Radiation dose to the fetus during CyberKnife radiosurgery for a brain tumor in pregnancy
KR101739915B1 (ko) 근접방사선치료를 위한 환자선량 정도관리용 팬텀
US11294076B2 (en) Deformable dosimeter
KR101478402B1 (ko) 근접 방사선치료에서 3차원 선량 분포 확인용 골반 팬텀
Hayashi et al. A disposable OSL dosimeter for in vivo measurement of rectum dose during brachytherapy
Miralbell et al. Target repositioning optimization in prostate cancer: is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under stereotactic conditions feasible?
EP1958665A1 (en) Ionizing radiations
Coffey et al. A tissue equivalent phantom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localization and dose verification
US9403037B2 (en) Method of dose comparison for in vivo dosimetry
Kawamura et al. Evaluation of three-dimensional polymer gel dosimetry using X-ray CT and R2 MRI
GB2522240A (en) Minimally invasive applicator for in-situ radiation dosimetry
Moraleda et al. A MCNP-based calibration method and a voxel phantom for in vivo monitoring of 241Am in skull
KR20200134417A (ko) 근접 치료를 위한 정도 관리 팬텀 장치
Walters et al. Characterization of differences in calculated and actual measured skin doses to canine limbs during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Gafchromic film
Joelsson et al. Determination of dose distribution in the pelvis by measurement and by computer in gynecologic radiation therapy
Bour et al. Dose assessment in high dose rate brachytherapy with cobalt-60 source for cervical cancer treatment: a phantom study
Tomita et al. Direct radiation dose measurement of rectum during High-Dose-Rate 192Ir brachytherapy for cervical cancer treatment
Abdullah et al. Measurement of dosimetric parameters and dose verification in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Holodny et al. Bone-marrow dose produced by radioactive isotopes
RU2723055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глощенной дозы протонного излучения
Vidovic On the feasibility of a novel in-vivo dosimeter for brachytherapy
KR101777499B1 (ko) 자기공명영상유도 방사선 치료기기의 정도관리를 위한 팬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