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107B1 -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 및 그 추정 방법 - Google Patents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 및 그 추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107B1
KR101478107B1 KR1020130085181A KR20130085181A KR101478107B1 KR 101478107 B1 KR101478107 B1 KR 101478107B1 KR 1020130085181 A KR1020130085181 A KR 1020130085181A KR 20130085181 A KR20130085181 A KR 20130085181A KR 101478107 B1 KR101478107 B1 KR 101478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shift keying
signal
phase shift
key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철
홍의현
최혁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085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04B10/61Coherent receivers
    • H04B10/616Details of the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in coherent optical receivers
    • H04B10/6165Estimation of the phase of the received optical signal, phase error estimation or phase erro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12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amplification or processing
    • H04B10/2914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amplification or processing using lumped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s [SO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04B10/61Coherent receivers
    • H04B10/616Details of the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in coherent optical receivers
    • H04B10/6161Compensation of chromatic disper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히런트 수신기로 수신된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송신단에서 위상 편이 변조 신호를 생성할 때 인위적으로 변조지수를 제한하여 수신단에서 코히런트 수신기를 이용하여 수신된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페이저도에서 샘플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도록 조정하고, 이와 같이 페이저도에서 샘플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측정함으로써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을 추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RSOA)를 기반으로 하는 코히런트 방식 광가입자망에서 변조 대역폭이 좁은 저가의 RSOA를 이용하여 초고속 위상 편이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RSOA에 인가되는 변조전류의 크기를 적절하게 제한함으로써 변조 속도에 상관없이 코히런트 수신기를 이용하여 수신된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페이저도에 항상 샘플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페이저도에서 샘플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측정함으로써 초고속 위상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을 추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 및 그 추정 방법{Carrier-phase estimation system and the method for phase shift keying signal received}
본 발명은 코히런트 수신기(coherent receiver)를 이용하여 위상 편이 변조(phase shift keying; PSK) 신호를 수신할 때 수신된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carrier-phase estimation; CPE)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비롯한 각종 데이터 서비스의 수요가 끊임없이 증가함에 따라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WDM PON)의 전송용량을 대폭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예를 들면, WDM PON의 채널당 전송속도와 전송거리를 경제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1-0064352호(2011. 06. 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 (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RSOA)를 사용한 WDM PON은 경제적이면서도 colorless한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RSOA기반 WDM PON의 초고속 동작을 위해서 RSOA를 직접 변조하여 직교 위상 편이 변조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경제성 있는 코히런트 수신기 (coherent receiver)로 수신하는 방안이 보고된 바 있다.
이와 같은 RSOA기반 coherent WDM PON에서 변조된 초고속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분산 보상, 캐리어 위상 추정(carrier-phase estimation; CPE), 전기적 등화 등을 위한 각종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직접 변조된 RSOA를 이용하여 생성된 QPSK 신호의 CPE를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금까지 M-th power algorith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10-Gb/s급 QPSK 신호를 사용하는 RSOA 기반 coherent WDM PON에서도 이러한 M-th power algorithm을 사용하여 CPE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이 이미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RSOA의 변조속도가 기 보고된 10 Gb/s 보다 훨씬 빨라지는 경우 RSOA의 좁은 변조 대역폭으로 인하여 이와 같은 기존 CPE algorithm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 가입자에게 10 Gb/s 이상의 초고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RSOA 기반 coherent WDM PON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환경에서도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을 적절하게 추정할 수 있는 새로운 CPE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10-2011-0064352A, 2011. 06. 15, 7쪽 내지 9쪽.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 및 그 추정 방법의 목적은, 변조 대역폭이 매우 좁은 저가의 RSOA를 직접 변조하여 위상 편이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코히런트 수신기로 수신된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새로운 캐리어 위상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은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페이저도를 산출하고 분석하여, 페이저도에서 샘플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측정하여, 캐리어 위상을 측정하는 코히런트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에 있어서, 인가된 변조 전류의 크기에 따라 출력된 광신호의 위상이 변화하는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RSOA)를 더 포함하며, 이를 통해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에 있어서, 코히런트 수신기(coherent receiver)는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을 추정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처리기는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를 샘플링 후, 좌표 변환으로 I-Q성분을 획득하는 샘플링부, 광섬유 색분산에 의한 영향을 보상하는 분산보상부,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의 위상을 추정하는 캐리어 위상 추정부 및 상기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의 제한된 변조 대역폭을 보상하기 위해 전기적 등화기술을 적용하는 전기적 등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방법은 (a) 코히런트 수신기(coherent receiver)를 이용하여, 위상 편이 변조 신호(PSK)를 수신하는 단계, (b) 신호처리기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페이저도(phasor diagram)를 구하는 단계 및 (c) 상기 페이저도를 분석하여,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carrier phase)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방법에 있어서, (a) 단계 이전에, (d) 가입자 장치의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를 이용하여, 인가된 변조 전류의 크기에 따라 위상 편이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방법에 있어서, (c) 단계는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페이저도에서 샘플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캐리어 위상을 측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기존의 RSOA 기반 coherent WDM PON 구조에서 RSOA의 제한된 변조 대역폭으로 인해 RSOA를 이용하여 생성한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과정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생성된 QPSK 신호의 phasor diagram에서 샘플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측정함으로써 간단하게 캐리어 위상을 추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RSOA 기반 coherent WDM PON의 고속 동작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SOA 기반 coherent WDM PON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의 (a)는 QPSK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RSOA에 인가하는 4 레벨 전기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의 (b)는 2의 (a)처럼 인가된 신호로 생성된 QPSK 신호의 constellation diagram.
도 3의 (a)는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구한 RSOA를 이용하여 생성된 10.3-Gb/s QPSK 신호의 phasor diagram.
도 3의 (b)는 도 3의 (a)의 QPSK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인가된 4-레벨 전기신호의 eye diagram.
도 3의 (c)는 도 3의 (a)의 data로 부터 center sample을 취한 phasor diagram.
도 3의 (d)는 도 3의 (c)의 data를 4제곱함으로써 얻은 phasor diagram.
도 3의 (e)는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구한 RSOA를 이용하여 생성된 25.78-Gb/s QPSK 신호의 phasor diagram.
도 3의 (f)는 도 3의 (e)의 QPSK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인가된 4-레벨 전기신호의 eye diagram.
도 3의 (g)는 도 3의 (e)의 data로 부터 center sample을 취한 phasor diagram.
도 3의 (h)는 도 3의 (g)의 data를 4제곱함으로써 얻은 phasor diagram.
도 4는 실험적으로 측정된 RSOA를 이용하여 생성한 25.78-Gb/s QPSK 신호의 phasor diagram.
도 5는 도 1과 같은 RSOA 기반의 coherent WDM PON에서 본 발명을 이용하여 25.78-Gb/s급 고속 QPSK 상향 신호 전송을 위한 실험 구성도.
도 6의 (a)는 측정된 25.78-Gb/s QPSK 신호의 비트오율 곡선.
도 6의 (b)는 60 km 전송 후의 25.78-Gb/s QPSK 신호의 constellation diagram.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OA 기반 coherent WDM PON의 구조는 파장이 서로 다른 하향 광신호 및 상향 광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시드광 (seed light)들을 다중화하여 송신하고, 파장이 서로 다른 상향 광신호들을 수신하여 역다중화하는 중앙기지국(10), 상기 중앙기지국(10)으로부터의 하향 광신호 및 시드광을 수신 받아 파장별로 역다중화하여 각 가입자 장치(30)로 전송하고, 상기 가입자 장치(30)들로부터 파장이 서로 다른 상향 광신호들을 수신 받아 다중화하여 상기 중앙기지국(10)으로 전송하는 지역기지국(20) 및 상기 지역기지국(20)으로부터 하향 광신호를 수신하고 시드광을 위상 편이 변조하여 위상 편이 변조 신호를 전송하는 가입자 장치(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히런트 수신기(11)는 상기 중앙기지국(10)에 포함되어,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페이저도를 산출하고 분석하여, 페이저도에서 샘플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측정하여, 캐리어 위상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중앙기지국(10)에서는 연속파(continuous wave; cw) 레이저를 사용하여 상향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시드광(seed light)을 보내고, 이 신호는 광섬유(fiber)를 지나 가입자 장치(30)의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RSOA)로 들어가고, 상기 RSOA는 입력된 시드광을 직접 변조하여 상향신호를 만든다.
상기 상향신호는 중앙기지국(10)의 상향신호 수신기로 입력되고, 신호처리기(12)에 의해 캐리어 위상을 추정된다. 이 때 수신기는 코히런트 수신기(11, coherent receiver)로 시드광의 일부를 국부발진지 (local oscillator; LO) 신호로 이용하는 self-homodyne coherent 수신기 구조이며, 신호처리기(12)는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를 샘플링 후, 좌표 변환으로 I-Q성분을 획득하는 샘플링부, 광섬유 색분산에 의한 영향을 보상하는 분산보상부,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의 위상을 추정하는 캐리어 위상 추정부 및 상기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의 제한된 변조 대역폭을 보상하기 위해 전기적 등화기술을 적용하는 전기적 등화부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과 같은 구조에서 RSOA를 이용하여 QPSK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RSOA에 걸어준 전류를 데이터에 따라서 변조하게 되면, RSOA 활성층의 캐리어 밀도가 변하게 되어 출력 신호의 진폭과 위상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의 (a)처럼 4 레벨 전기 신호를 RSOA에 인가하여 직접 변조함으로써 도 2의 (b)처럼 QPSK 신호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QPSK 신호는 coherent 수신기를 이용하여 수신한 뒤, 분산 보상, 캐리어 위상 추정(carrier-phase estimation), 전기적 등화 등을 위한 각종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QPSK 신호의 변조 속도가 RSOA의 변조 대역폭보다 훨씬 큰 경우 일반적인 M-th power algorithm을 이용하면 변조된 QPSK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다.
도 3은 RSOA를 이용하여 생성된 10.3-Gb/s 및 25.78-Gb/s QPSK 신호에 대한 종래 M-th power algorithm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한 결과이다.
이 시뮬레이션에서 RSOA는 본 발명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변조 대역폭과 roll-off 특성이 각각 3.2 GHz 및 -20 dB/decade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RSOA를 직접 변조할 때 출력신호의 세기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4-레벨 전기신호에 RSOA의 변조 대역폭과 동일한 통과대역 특성을 갖는 lowpass filter를 적용함으로써 변조 대역폭이 매우 좁은 RSOA를 고속으로 동작시킴으로써 발생하는 M-th power algorithm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도 3의 (a)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해진 10.3-Gb/s QPSK 신호의 phasor diagram을 보여준다. 도 3의 (b)는 이 때 인가된 4-레벨 전기신호의 eye diagram을 보여준다. M-th power algorithm의 적용을 위하여 도 3의 (c)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oversample된 data로부터 center sample을 취하였다. 도 3의 (d)는 수신된 데이터의 위상정보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 샘플들을 4제곱함으로써 얻은 것이다. 이렇게 구해진 complex amplitude들의 벡터합을 구함으로써 위상의 평균이 0으로 계산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0.3-Gb/s QPSK 신호의 경우 이와 같이 M-th power algorithm을 적용함으로써 변조된 신호의 캐리어 위상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25.78-Gb/s QPSK 신호의 경우 RSOA의 제한된 대역폭으로 인하여 도 3-(f)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eye diagram이 거의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 QPSK 신호의 위상은 도 3의 (g)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넓게 퍼지게 된다. 또한, 이 그림에서 상자로 표시된 부분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퍼진 위상성분의 일부분이 점선으로 표시된 경계선 (즉, 각 constellation point에서 ± π/4만큼 떨어진 지점)마저 넘어가게 되고, 이러한 성분들로 인하여 도 3-(h)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4제곱 후 평균화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실험적으로 측정한 RSOA를 이용하여 생성한 25.78-Gb/s QPSK 신호의 phasor diagram을 나타낸다. RSOA의 변조 대역폭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도 3의 (e)처럼 QPSK 신호의 위상이 넓게 퍼지게 된다. 하지만 QPSK 신호의 변조 속도에 상관없이 도 3의 (a)와 3의 (e)와 같이 RSOA에 인가되는 변조전류의 크기를 알맞게 설정하면 phasor diagram은 변조 속도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모양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는 인가되는 변조 전류의 크기를 제한하여, 변조된 출력 신호의 위상이 3π/2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phasor diagram 상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것처럼 sample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되고 block별로 측정한 이 값을 이용하여 전송된 신호의 캐리어 위상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변조 대역폭이 제한된 RSOA를 이용하여 25.78 Gb/s급 이상의 초고속 QPSK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도 캐리어 위상 추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1과 같은 RSOA 기반의 coherent WDM PON에서 본 발명을 이용하여 25.78-Gb/s급 고속 QPSK 상향 신호 전송을 위한 실험 구성도이다. 고속 신호의 전송을 위해 가입자 장치(30)에서는 RSOA를 이용하여 25.78-Gb/s QPSK 신호를 생성하였다.
이 때 실험에 사용된 RSOA의 변조 대역폭은 3.2 GHZ로 측정되었다. CO에서는 광섬유에 입력되는 seed light의 광출력은 2.2 dBm이 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self-homodyne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향 신호를 수신하였다. 이 수신기는 seed light의 일부를 LO로 이용하였고, 고가의 90° optical hybrid 대신 3x3 coupler를 120° optical hybrid로 사용하였다. 또한, RSOA 앞에 faraday rotator(FR)를 설치함으로서 상향 신호의 편광을 자동적으로 안정화시켰으므로, 이 수신기에서는 가격이 비싼 polarization diversity 기술을 사용할 필요가 없었다.
CO는 3x3 coupler(15)의 출력 신호들은 3개의 PIN 광검출기(16)를 이용하여 수신된 뒤 샘플링 오실로스코프(17)를 이용하여 40 GS/s의 속도로 샘플링하였다. 그 후, 좌표변환을 통해 I-Q성분을 획득하고, Rayleigh 역산란에 의한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대역 통과필터 (HPF)를 사용하여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였다. 광섬유의 색분산에 의한 영향은 광섬유의 색분산 함수의 역함수를 적용하여 보상하였다. 그 후, 제안된 CPE 방법을 이용하여 수신된 QPSK 신호의 캐리어 위상을 추정하고, RSOA의 제한된 변조 대역폭을 보상하기 위해 전기적 등화기술을 적용하였다.
도 6의 (a)는 측정된 비트오율 곡선을 나타내고, 도 6의 (b)는 60 km 전송 후의 상향신호의 constellation diagram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전송거리가 60 km인 장거리 coherent WDM PON에서 대역폭이 3.2 GHz에 불과한 RSOA를 이용하여 25 Gb/s급 상향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을 이용한 캐리어 위상 추정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기지국(10)에서 연속파(CW)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향 신호 생성을 위한 시드광(seed light)을 전송하면 광섬유를 거쳐 상기 가입자 장치(30)에 수신되는 단계(S10)를 수행하고, 상기 가입자 장치(30)의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RSOA)를 통해 인가된 변조 전류의 크기에 따라 위상 편이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0)를 수행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는 직교 위상 편이 변조 (QPSK) 신호이다.
다음으로, 중앙기지국(10)의 코히런트 수신기(coherent receiver)를 이용하여, 위상 편이 변조 신호(PSK)를 수신하는 단계(S30)를 수행하고, 상기 신호처리기(12)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페이저도(phasor diagram)를 구하는 단계(S40)를 수행하고, 상기 페이저도를 분석하여,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carrier phase)을 측정하는 단계(S50)를 수행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50 단계는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페이저도에서 샘플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캐리어 위상을 측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 및 그 추정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10 : 중앙기지국
11 : 코히런트 수신기
12 : 신호처리기
20 : 지역기지국
30 : 가입자장치
31 :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RSOA)
100 : WDM PON

Claims (10)

  1. 광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인가된 변조 전류의 크기에 따라 위상 편이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RSOA) 및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페이저도를 산출하고, 페이저도에서 샘플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각도를 측정하여, 캐리어 위상을 추정하는 코히런트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는,
    변조된 출력 신호의 위상이 3π/2를 초과하지 않도록 인가되는 변조 전류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는 직교 위상 편이 변조 (QPSK)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히런트 수신기(coherent receiver)는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을 추정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기는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를 샘플링 후, 좌표 변환으로 I-Q성분을 획득하는 샘플링부;
    광섬유 색분산에 의한 영향을 보상하는 분산보상부;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의 위상을 추정하는 캐리어 위상 추정부 및
    상기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의 제한된 변조 대역폭을 보상하기 위해 전기적 등화기술을 적용하는 전기적 등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
  7. (a) 가입자 장치의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를 이용하여, 인가된 변조 전류의 크기에 따라 위상 편이 변조 신호(PSK)를 생성하는 단계;
    (b) 코히런트 수신기(coherent receiver)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신호처리기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페이저도(phasor diagram)를 구하는 단계 및
    (d) 상기 페이저도에서 샘플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각도를 측정하여,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carrier phase)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변조된 출력 신호의 위상이 3π/2를 초과하지 않도록 인가되는 변조 전류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편이 변조 신호는 직교 위상 편이 변조(QPSK)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방법.

  10. 삭제
KR1020130085181A 2013-07-19 2013-07-19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 및 그 추정 방법 KR101478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181A KR101478107B1 (ko) 2013-07-19 2013-07-19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 및 그 추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181A KR101478107B1 (ko) 2013-07-19 2013-07-19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 및 그 추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107B1 true KR101478107B1 (ko) 2015-01-02

Family

ID=52587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181A KR101478107B1 (ko) 2013-07-19 2013-07-19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 및 그 추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767B1 (ko) * 2016-11-18 2018-02-2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광 생성 장치
KR101906056B1 (ko) 2017-06-08 2018-10-10 한국과학기술원 유한한 처프를 동반하는 변조 장비를 변조하여 생성한 광 신호의 반송파 위상 추정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772A (ko) * 2005-08-15 2008-05-1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코히런트 위상-시프트-키잉을 위한 코히런트 검출 방법 및 코히런트 검출용 수신기
KR20090102759A (ko) * 2006-12-22 2009-09-30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광 수신기를 포함하는 장치 및 광 수신기 작동 방법
KR101168761B1 (ko) * 2009-12-18 2012-07-26 한국과학기술원 위상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위상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망
KR20120106814A (ko) * 2009-12-18 2012-09-26 알까뗄 루슨트 코히어런트 광 시스템들에서 비-선형 손상 모니터링 및 완화를 위한 캐리어 위상 추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772A (ko) * 2005-08-15 2008-05-1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코히런트 위상-시프트-키잉을 위한 코히런트 검출 방법 및 코히런트 검출용 수신기
KR20090102759A (ko) * 2006-12-22 2009-09-30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광 수신기를 포함하는 장치 및 광 수신기 작동 방법
KR101168761B1 (ko) * 2009-12-18 2012-07-26 한국과학기술원 위상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위상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망
KR20120106814A (ko) * 2009-12-18 2012-09-26 알까뗄 루슨트 코히어런트 광 시스템들에서 비-선형 손상 모니터링 및 완화를 위한 캐리어 위상 추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767B1 (ko) * 2016-11-18 2018-02-2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광 생성 장치
US10027426B2 (en) 2016-11-18 2018-07-17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Photon generating apparatus
KR101906056B1 (ko) 2017-06-08 2018-10-10 한국과학기술원 유한한 처프를 동반하는 변조 장비를 변조하여 생성한 광 신호의 반송파 위상 추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1600B2 (en) In-band supervisory data modulation
Tsukamoto et al. Coherent demodulation of optical multilevel phase-shift-keying signals using homodyne detection and digital signal processing
US8989572B2 (en) Optical path establishing method and optical node apparatus
US9264144B2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quad-subcarrie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signals
US10044444B2 (en) Photonic vector signal generation without precoding
US9667347B2 (en) Optical transmitter, optical receiver, method of compensating non-linear distortion, and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6051410A1 (en) All-optical silicon-photonic constellation conversion of amplitude-phase modulation formats
US1164681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rrier phase recovery
WO2021086578A1 (en) Asymmetric direct detection of optical signals
Ishimura et al. SSBI-free direct-detection system employing phase modulation for analog optical links
US20220045766A1 (en) Rapid polarization tracking in an optical channel
Mehra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coherent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for higher order dual polarization modulation formats
Bai et al. A WDM-PON compatible wavelength-reused bidirectional in-band full-duplex radio-over-fiber system
US20140241722A1 (en) PDM-(M) Ask Optical Systems And Methods For Metro Network Applications
Yekani et al. Experimental comparison of PAM vs. DMT using an O-band silicon photonic modulator at different propagation distances
KR101478107B1 (ko) 위상 편이 변조 신호의 캐리어 위상 추정 시스템 및 그 추정 방법
Lyu et al. SiP alternative to enhanced KK for OFDM
US9479252B2 (en) Pre-equalization using phase correction
Mohapatra et al. Performance analysis and monitoring of various advanced digital modulation and multiplexing techniques of FOC within and beyond 400 GB/s
Li et al. Flexible photonic generation of frequency multiplication millimeter-wave vector signal based on dynamic pre-coding algorithm with dispersion compensation
Shantha Selva Kumari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hybrid modulation techniques for high speed radio over fiber communication system
Pakala et al. Joint compensation of frequency offset, phase and amplitude noise using two stage extended Kalman filtering
Lawrence et al. Next generation WDM-radio over fiber passive optical network: deep neural network based performance analysis
Yang et al. Fiber nonlinearity and tight filtering impairments mitigation of DP-16QAM Nyquist-WDM systems using multiplier-free MAP detection
Hong et al. A simple carrier-phase estimation technique for high-speed RSOA-based coherent WDM P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