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814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814B1
KR101477814B1 KR1020080103276A KR20080103276A KR101477814B1 KR 101477814 B1 KR101477814 B1 KR 101477814B1 KR 1020080103276 A KR1020080103276 A KR 1020080103276A KR 20080103276 A KR20080103276 A KR 20080103276A KR 101477814 B1 KR101477814 B1 KR 10147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motor
side link
mai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43996A (en
Inventor
정신철
정요상
장진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3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814B1/en
Priority to PCT/KR2009/000015 priority patent/WO2010047443A1/en
Priority to EP09822119.5A priority patent/EP2350534A4/en
Priority to CN2009100053188A priority patent/CN101726080B/en
Publication of KR20100043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9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8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특히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기의 토출구를 차폐하고 공기의 토출 방향을 가이드하는 베인의 크기가 증가하더라도 구동 수단의 용량이 증가될 필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driving means even if the size of the vane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 direction is increased by shield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indoor unit. do.

섀시,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 프런트 패널 Chassis, discharge grill unit, front panel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실내가 냉방 또는 난방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Generally, an air conditioner is a home appliance that keeps the room in a cooling or heating state through heat exchange between a refrigerant and air.

상기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별도의 제품으로 제공되는 분리형과, 일체로 제공되는 일체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는 설치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상치형과, 벽면에 부착되는 벽걸이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can be divided into a separate type in which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provided as separate products, and an integral type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The indoor unit may be divided into a top-mounted typ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a wall-mounted typ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또한, 상기 벽걸이형 실내기에는 열교환기와,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및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은 원심팬 또는 횡류팬이 적용된다. The wall-mounted type indoor unit is equipped with a heat exchanger, a blower fan for sucking indoor air, and a filter for filtering intake air. A centrifugal fan or a cross flow fan is applied to the blowing fan.

본 발명은, 토출구를 차폐하는 베인 수단의 크기가 증가되는 정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의 구동 수단을 적용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apply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driving means as compared with a case where the size of a vane means for shielding a discharge port is increa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섀시; 상기 섀시의 전방에 제공되는 팬 어셈블리; 상기 팬 어셈블리의 전방에 제공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메인 베인;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베인의 회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및 일단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 베인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어느 지점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가 포함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hassis; A fan assembly provided in front of the chassis; A heat exchanger provided in front of the fan assembly; A discharge grill unit for supporting the heat exchanger and having an air discharge port; A main vein rotatably provided on the discharge grill unit to selectively shield the air discharge port; A motor mounted on the discharge grill unit for generating power for rotating the main vane; And a link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point spaced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main vane.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베인의 크기가 증가하더라도 종래의 구동 수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구동 수단이 적용 가능하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소비 전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ize of the vane increases, the driving means having a relatively small capacity can be appli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riving means, There is a reductio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에는,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섀시(11)와, 상기 섀시(1)의 전방에 결합되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런트 패널(12) 및 상기 섀시(11)와 프런트 패널(12) 사이에 개입되고, 상부면에 흡입구가 구비되는 센터 프레임(13)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팬 어셈블리(미도시)와 상기 팬 어셈블리에 의하여 흡입된 실내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전면에는 신호 수신부(14)가 제공되어,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 Referring to FIG. 1, an indoor unit 1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ssis 11 for forming a rear outer appearance, a front panel (not shown) And a center frame 13 interposed between the chassis 11 and the front panel 12 and having a suction port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In the indoor unit 1, a fan assembly (not shown) for sucking indoor air and discharging indoor air and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indoor air sucked by the fan assembly and the refrigerant are installed. A signal receiving unit 14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12 to receive an operation command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필터가 인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of an indoor unit is drawn o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는 필터가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필터를 분리하여 청소 및 교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indoor uni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lter to be automatically drawn out,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conveniently separate and clean the filter.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이젝터(15)는, 전면에 필터가 안착된 상태로 다단 인출되는 다수의 프레임과, 상기 다수의 프레임이 다단 인출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젝터 구동 장치 및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풍 차단부(1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필터 이젝터(15)의 전면에는 필터(16)가 안착된다. In detail, the filter ejector 1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rames that are drawn out in a multi-stage state with a filter mounted thereon, an ejector driving device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draw the multi- (17)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motor. A filter 16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ejector 15.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 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1)의 하측에는 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토출구 근처에는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0)가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0)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좌측과 우측으로 넓게 퍼지면서 토출된다. Referring to FIG. 3, a discharge port is provided below the indoor unit 1, and a discharge grill unit 20 is mounted near the discharge port. Air discharged by the discharge grill unit 20 is ejected while spreading widely to the left and right.

또한, 상기 토출구에는 메인 베인(18)과 서브 베인(19)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패널(12)과 상기 토출구 사이의 틈새는 상기 회풍 차단부(17)에 의하여 차폐된다. The main vane 18 and the sub vane 19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A clearance between the front panel 12 and the discharge port is shielded by the wind blocking portion 17.

상세히, 실내기(1) 내부에 장착된 팬 어셈블리가 구동하면, 상기 실내기(1)의 상부면으로부터 대부분의 실내 공기가 흡입되지만, 실내기(1)의 전면으로도 소량의 공기가 흡입된다. 이러한 소량의 공기는 상기 프런트 패널(12)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서 흡입되는데,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도 상기 틈새로 재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회풍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153)의 하단에 회풍 차단부(17)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풍 차단부(17)는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하단부와 토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회풍 차단부(17)에 부딪혀서 실내기 내부로 재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fan assembly mounted in the indoor unit 1 is driven, most indoor air is suck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door unit 1, but a small amount of air is also sucked into the front surface of the indoor unit 1. [ Such a small amount of air is sucked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front panel 12 and the discharge port, and a part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can also be re-introduced into the gap. In order to prevent such a phenomenon, a blower block 17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moving frame 153. The wind blocking portion 17 shields a gap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12 and the ejection opening. Therefore, a phenomenon that a part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hits against the wind blocking portion 17 and is re-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is prevented.

한편, 상기 메인 베인(18)은 상기 회풍 차단부(17)까지 완전히 덮는 정도의 폭과, 상기 토출구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 베인(18)의 후단부 및 상기 서브 베인(19)의 후단부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메인 베인(18)이 닫히면 상기 회풍 차단부(17)와 상기 서브 베인(19)을 완전히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의 작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서브 베인(19)과 메인(18)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출구를 개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브 베인(19)은 상기 메인 베인(18)이 완전히 개방된 후에 회전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메인 베인(18)이 상기 서브 베인(19)과 간섭되지 않는 범위의 각도까지 회전한 직후에 서브 베인(19)이 회전을 시작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vane 18 has a width enough to completely cover the blower block 17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discharge port. The rear end of the main vane 18 and the rear end of the sub vane 19 ar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ischarge grill unit 20. When the main vane 18 is closed, the whirl wind block 17 and the sub vane 19 are completely shielded. When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indoor unit 1 is input, the sub vane 19 and the main unit 18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open the discharge port. Here, the sub vane 19 may start rotating after the main vane 18 is completely opened. Alternatively, the subvane 19 may begin to rotate immediately after the main vane 18 has rotated to an angl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ubvane 19.

또한, 상기 서브 베인(19)은 냉방 모드와 난방 모드에서 회전 각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난방 모드에서는 상기 서브 베인(19)의 회전 각도가 냉방 모드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토출되는 따뜻한 공기가 실내 바닥 쪽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냉방 모드에서는 서브 베인(19)의 회전 각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실내의 상측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여름철에는 더운 공기가 상측에 분포하고, 겨울철에는 차가운 공기가 바닥쪽에 분포하기 때문에, 더운 공기를 신속히 냉각하고, 차가운 공기를 신속하게 데우기 위한 목적에 따른 것이라 하겠다.In addition, the sub vane 19 may be set to have a different rotation angle in the cooling mode and the heating mode. For example, in the heating mode, the rotation angle of the sub vane 19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in the cooling mode, so that the discharged warm air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indoor floor. On the contrary, in the cooling mode, the rotation angle of the sub vane 19 becomes relatively large,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into the upper space of the room. This is due to the purpose of rapidly cooling the hot air and warming the cold air quickly, because hot air is distributed in the upper part in summer and cold air is distributed in the bottom part in winter.

상기 메인 베인(18)의 결합 관계와 작동 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The coupling relationship 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main vane 18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를 구성하는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grill unit constituting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의 토출구 측에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0)가 장착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좌측 및 우측으로 넓게 토 출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ischarge grill unit 20 is mounted on the discharge port side of the indoor uni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discharged air can be widely discharged to left and right sides.

상세히,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6)에는 토출구(202)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열교환기 안착부(201)가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 안착부(201)는 열교환기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열교환기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드레인팬(drain pan)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 안착부(201)는 드레인 팬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02)의 바닥면에는 루버 장착 홀(203)이 다수개 형성된다. In detail, the discharge grill unit 26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202,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formed with a heat exchanger seating part 201. The heat exchanger seat 201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heat exchanger and functions as a drain pan for collect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Therefore, the heat exchanger seating portion 201 may be referred to as a drain fan. A plurality of louver mounting holes 203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202.

또한, 상기 토출구(202)는 상기 서브 베인(19)과 메인 베인(18)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세히, 상기 메인 베인(18)과 상기 서브 베인(19)의 양 단부에는 회전축(181,191)이 각각 돌출된다. 특히, 상기 메인 베인(18)의 회전축(181)은 하단부에 돌출되고, 상기 서브 베인(19)의 회전축(191)는 상단부에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베인(18)과 서브 베인(19)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라 함은, 상기 실내기(1)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두 개의 베인이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discharge port 202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sub vane 19 and the main vane 18. Rotation shafts 181 and 191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main vane 18 and the sub vane 19, respectively. Particularly, the rotation axis 181 of the main vane 18 protrudes to the lower end portion, and the rotation axis 191 of the sub vane 19 protrudes to the upper end portion. Accordingly, the main vane 18 and the sub vane 19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Here, the rot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means that the two vanes rotat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respectively,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indoor unit 1.

한편,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0)의 측면에는 상기 회전축(181,191)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0)의 측면에는 상기 메인 베인(18)과 서브 베인(19)의 회전축들과 각각 연결되는 메인 베인 모터(30)와 서브 베인 모터(29)가 각각 장착된다. Meanwhile, an insert hole for inserting the rotary shafts 181 and 191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discharge grill unit 20. A main vane motor 30 and a sub vane motor 29 are mounted on the sides of the discharge grill unit 2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main vane 18 and the sub-vane 19, respectively.

또한, 상기 메인 베인(18)의 양 측단부에는 베인 링크 연결단(182)이 더 형 성되며, 상기 베인 링크 연결단(182)은 상기 회전축(181)으로부터 이격되는 어느 지점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베인 모터(30)의 회전축에는 베인 링크(31)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베인 링크(31)의 타단은 상기 베인 링크 연결단(182)에 연결된다. A vane link connection end 182 is furth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vane 18 and the vane link connection end 182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axis 181. One end of the vane link 31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ain vane motor 30 and the other end of the vane link 31 is connected to the vane link connection end 182.

또한,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0)에는 공기의 좌우 방향 토출을 가이드하는 루버 어셈블리가 더 포함된다. The discharge grill unit 20 further includes a louver assembly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air in the left-right direction.

상세히, 상기 루버 어셈블리에는, 루버 모터(28)와, 상기 루버 모터(28)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루버 구동바(27)와, 상기 루버 구동바(27)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루버(2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루버(26)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0)의 토출구(202)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루버(26) 각각은 상기 루버 구동바(27)와 상기 루버 장착홀(203)에 모두 연결된다. In detail, the louver assembly includes a louver motor 28, a louver driving bar 27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louver motor 28, and a plurality of louvers (not shown) 26). The plurality of louvers 26 are located at the discharge port 202 of the discharge grill unit 20. Each of the plurality of louvers 26 is connected to the louver driving bar 27 and the louver mounting hole 20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메인 베인과 서브 베인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main vein and a sub-vane of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의 메인 베인(18)과 서브 베인(19)은 각각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0)의 토출구(202)를 선택적으로 차폐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토출구(202)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방향 흐름을 제어한다. 5, the main vane 18 and the sub vane 19 of the indoor unit 1 selectively shield the discharge ports 202 of the discharge grill unit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trols the flow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2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베인(18)의 양 측면부 후단은 회전축(181)에 의하여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베인 링크(31)의 일단이 상기 메인 베인(18)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 베인 모 터(30)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rear ends of both side portions of the main vane 18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grill unit 20 by the rotation shaft 181. [ One end of the vane link 31 is connected to the main vane 18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ain vane motor 30. [

상세히, 상기 베인 링크(31)는, 일단이 상기 메인 베인 모터(30)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모터측 링크(311)와, 일단이 상기 베인 링크 연결단(182)에 연결되는 베인측 링크(3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모터측 링크(311)와 베인측 링크(312)의 타단은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In detail, the vane link 31 includes a motor side link 31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ain vane motor 30, and a vane side link 31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vane link connection end 182 ). The motor-side link 311 and the other end of the vane-side link 312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베인 모터(30)가 상기 메인 베인(18)의 회전축(181)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별도의 베인 링크(31)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메인 베인(18)을 회전하기 위한 토크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main vane motor 30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181 of the main vane 18 but is connected to a separate vane link 31 by rotating the main vane 18 So as to minimize the torque required for the operation.

상세히, 상기 메인 베인(18)은 상기 서브 베인(19)이나 종래의 일반적인 베인에 비하여 폭과 길이가 크기 때문에, 자체 하중이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구동 모터가 상기 메인 베인(18)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회전 토크가 큰 구동 모터가 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구동 모터의 크기가 커질 뿐 아니라 실내기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detail, since the main vane 18 is larger in width and length than the sub vane 19 or the conventional vane, its own load is relatively large. Therefore, when the driving moto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ain vane 18, a driving motor having a large rotational torque is required. As a result, there arise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size of the driving motor is increased but also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indoor unit is increased.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베인 링크(31)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베인(18)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 회전 토크가 작용하도록 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의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베인(18)이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owev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using a separate vane link 31 to allow the rotation torque to act at a point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main vane 18, a relatively small capacity drive motor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in vane 18 can be turned.

상세히, 상기 베인 링크(31)는 모터측 링크(311)와 베인측 링크(312)의 단부들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메인 베인 모터(30)가 작동하면 상기 모터측 링크(311)가 회전하면서 상기 베인측 링크(312)를 잡아당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베인(18)이 회전하면서 상기 모터측 링크(311)와 베인측 링크(312)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단일의 직선 형태의 링크가 사용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회전 토크가 작용하더라도 상기 베인 링크(18)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In detail, the vane link 3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nds of the motor side link 311 and the vane side link 312 are rotatably connected. Accordingly, when the main vane motor 30 is operated, the motor side link 311 rotates to pull the vane side link 312. As the main vane 18 rotates,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motor side link 311 and the vane side link 312 becomes small. Therefore, the vane link 18 becomes rotatable even if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rotational torque is appli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single linear link is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필터 인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lter drawing structure of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를 구성하는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grille unit constituting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메인 베인과 서브 베인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peration of a main vein and a sub-vane of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Claims (7)

섀시;Chassis; 상기 섀시의 전방에 제공되는 팬 어셈블리;A fan assembly provided in front of the chassis; 상기 팬 어셈블리의 전방에 제공되는 열교환기;A heat exchanger provided in front of the fan assembly;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A discharge grill unit for supporting the heat exchanger and having an air discharge port;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메인 베인;A main vein rotatably provided on the discharge grill unit to selectively shield the air discharge port; 상기 디스차지 그릴 유니트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베인의 회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및A motor mounted on the discharge grill unit for generating power for rotating the main vane; And 일단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 베인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어느 지점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가 포함되며,A link member which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motor and at the other end to a point away from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main vane, 상기 링크는, The link includes: 일단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모터측 링크와, 일단이 상기 메인 베인에 연결되는 베인측 링크를 포함하며,A motor side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rotation axis of the motor and a vane side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ain vane, 상기 모터측 링크의 타단과 상기 베인측 링크의 타단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And the other end of the motor side link and the other end of the vane side link are rotatably connect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메인 베인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축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Wherein a rotation axis of the motor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hinge axis which is a rotation center of the main va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메인 베인이 개폐되는 과정에서, 상기 모터측 링크와 상기 베인측 링크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Wherein an angle formed by the motor side link and the vane side link is variable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va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메인 베인이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모터측 링크와 상기 베인측 링크가 이루는 각도가 증가하고, The angle between the motor side link and the vane side link increases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main vane, 상기 메인 베인이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모터측 링크와 상기 베인측 링크가 이루는 각도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Wherein an angle between the motor-side link and the vane-side link decreases in a process of closing the main va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메인 베인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어느 지점에서 상기 디스차지 그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베인이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Further comprising a subvane rotatably connected to said discharge grill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a center of rotation of said main van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서브 베인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서브 베인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축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Wherein a rotation axis of a motor for driving the sub vane is directly connected to a hinge axis which is a rotation center of the sub vane.
KR1020080103276A 2008-10-21 2008-10-21 air conditioner KR1014778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276A KR101477814B1 (en) 2008-10-21 2008-10-21 air conditioner
PCT/KR2009/000015 WO2010047443A1 (en) 2008-10-21 2009-01-02 Air conditioner
EP09822119.5A EP2350534A4 (en) 2008-10-21 2009-01-02 Air conditioner
CN2009100053188A CN101726080B (en) 2008-10-21 2009-02-05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276A KR101477814B1 (en) 2008-10-21 2008-10-21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996A KR20100043996A (en) 2010-04-29
KR101477814B1 true KR101477814B1 (en) 2014-12-31

Family

ID=4221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276A KR101477814B1 (en) 2008-10-21 2008-10-21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81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5425A (en) * 2016-08-12 2018-02-23 佛山市南海南洋电机电器有限公司 A kind of tubular upper air inlet air curtain
CN113864870B (en) * 2017-09-06 2023-04-14 Lg电子株式会社 Air conditio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642A (en) * 2001-10-26 2003-05-0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a regulator vane of air-conditio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642A (en) * 2001-10-26 2003-05-0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a regulator vane of air-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996A (en)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939B1 (en) An air conditioner
EP1607689B1 (en) Air conditioner
EP299731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891409B2 (en) Interlock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ir inlet and outlet for air conditioner
KR100770710B1 (en) Room air conditioner
KR100596254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1726080A (en) Air conditioner
KR100845241B1 (en) Air-conditioner
KR101477814B1 (en) air conditioner
KR100714591B1 (en) Inner-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0512679B1 (en) Air conditioner
JPH062888A (en)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KR100564440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381160B1 (en) An air conditioner
CN215260238U (en) Kitch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770719B1 (en) Upper air discharge flap driving device of room air conditioner
KR20090008629A (en) Air conditioner
KR101477813B1 (en) air conditioner
KR10127061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0895074B1 (en) Air conditioner
KR102343464B1 (en)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KR20030045442A (en)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inlet grill of air conditioner
KR100925585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CN220061915U (en) Air conditioner for sentry box
CN215260239U (en) Kitchen air cond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