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217B1 - A dust Intake floor mat - Google Patents

A dust Intake floor m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217B1
KR101477217B1 KR1020140034728A KR20140034728A KR101477217B1 KR 101477217 B1 KR101477217 B1 KR 101477217B1 KR 1020140034728 A KR1020140034728 A KR 1020140034728A KR 20140034728 A KR20140034728 A KR 20140034728A KR 101477217 B1 KR101477217 B1 KR 101477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pace
housing
uni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윤
장영진
Original Assignee
(주) 리드북스
주식회사 북프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리드북스, 주식회사 북프렌드 filed Critical (주) 리드북스
Priority to KR1020140034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2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2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intake floor mat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building which detects a user who walks on the floor mat and absorbs foreign materials including dust, soil, etc separated from the shoes of the user, thereby minimizing the inflow of dust into the building. The floor mat has a housing where a space part is formed and absorption holes connected to the space part are formed; head blocks which are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space part and open/close each absorption hole according to ascending or descending motion; and an absorption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space part and selectively applies an absorption force to the space part.

Description

먼지흡입 바닥 매트{A dust Intake floor mat}{A dust Intake floor mat}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구 등에 설치되는 바닥 매트에 관한 것으로, 바닥 매트를 도보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신발로부터 배출되는 먼지, 흙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작동됨에 따라 건물 내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먼지흡입 바닥 매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mat installed at an entrance or the like of a building, and is operated to suck foreign matter including dust, soil, etc. discharged from a user's shoe by detecting a user walking on the floor mat, To a dust-collecting floor mat for minimizing dust and dirt.

종래부터 공장, 병원, 또는 식료품점과 같은 시설에서는 시설내 출입시 신발 등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도록 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토록 하고 있다. 또한, 먼지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컴퓨터, 전자제품 등 각종 기기의 보급에 따라 최근에는 공장은 물론 일반 가옥, 건물에 있어서도 먼지를 제거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황사의 영향에 의해 건물내 입주자 등의 건강을 위해 실외로부터 실내로 출입시 사전에 먼지를 제거하여야 할 필요성이 더욱 대두 되고 있다. Conventionally, in facilities such as factories, hospitals, and grocery stores, dusts attached to shoes are removed when entering or leaving the facility, thereby creating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In addition, due to the spread of various devices such as computers and electronic products that can be affected by dust, it is becoming increasingly necessary to remove dust from factories as well as ordinary houses and buildings. Especially recentl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yellow dust,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dust in advanc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for the health of the residents and the like in the building.

상기와 같은 이유로 다양한 먼지흡입 매트가 제시되고 있는 바,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98142호에서는 상부에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흡입력이 전달되게 하여 상기 흡입공으로부터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흡입되게 설치되는 흡입기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각 흡입공이 개방 또는 폐쇄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기에서 전달되는 흡입 압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탄성 작동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이 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상기 탄성 작동 부재들 중 인접한 복수의 탄성 작동 부재가 단위 결속수단을 통해 한 묶음으로 결속되게 하여 상기 단위 결속수단을 통해 결속된 탄성 작동 부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탄성 작동 부재가 눌리면 상기 단위 결속수단을 통해 묶인 주변의 다른 탄성 작동 부재들도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지게 구성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제시한다.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198142 discloses a dust-absorbing mat in which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ar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suc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an elastic actuating member installed on the housing so as to open or close the suction holes to selectively transmit a suction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suction device, And a plurality of elastic actuating member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elastic actuating members ar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unit binding means so that any one of the elastic actuating members among the elastic actuating members coupled through the unit binding means And when the unit is fastened, And the other elastic actuating members of the other elastic actuating members are operated simultaneously.

그러나 본 기술의 경우 출입자가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된 헤드를 밟으면 탄성체의 상하방향 길이가 축소되면서 헤드의 하강이 이루어져 흡입공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흡입공의 개방은 헤드의 외주연과 흡입공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완전한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아 하우징으로 신발의 먼지가 흡입되는 량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is technology, when the user presses the head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body is reduced to lower the head, thereby opening the suction hole. The opening of the suction hole causes the outer periphery of the head and the suction The opening of the space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le does not allow complete opening, and thus the amount of dust sucked into the housing is limited.

또한, 상기 기술의 경우 신발로부터 상기 흡입공을 통해 하강한 먼지를 흡입기를 통해 흡입할 시에 일측의 흡입기로부터의 흡입력이 이격된 부분에까지 미치기가 어렵고 하우징의 내부에 작동부재가 구성되어 기류에 간섭이 발생하는바 흡입기로의 먼지흡입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when the dust descended through the suction hole from the shoe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it is difficult to reach the portion where the suction force from the suction unit is distanced from the suction unit, and the operation member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st suction rate to the inhaler is lowered.

한편, 신발의 먼지 흡입뿐 아니라 동시에 살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sterilization at the same time as dust suction of a shoe.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98142호Korea Patent No. 119814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 매트를 도보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신발로부터 배출되는 먼지, 흙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작동됨에 따라 건물 내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먼지흡입 바닥 매트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suction floor mat which can minimize the inflow of dust into a building by sensing a user walking on the floor mat and operating to suck foreign matter including dust, soil, .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먼지흡입 바닥 매트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각 흡입공을 개방 또는 밀폐하는 복수의 헤드블럭; 및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며 상기 공간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흡입력을 인가하는 흡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st-collecting floor mat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A plurality of head blocks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and to open or close each suction hole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And suction means in communication with the space portion and selectively applying a suction force to the space portion.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 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는 상부 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As one example, the housing includes: a lower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portion.

이때, 상기 하부 하우징의 공간부는, 상기 공간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흡입공간; 및 적어도 둘 이상의 구획벽에 의해 분리 구성되며 상기 흡입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복수의 헤드블럭이 배치되는 작동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e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includes a suction space formed along the rim of the space portion; And an operating spac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at least two partition walls and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space and in which the plurality of head blocks are disposed.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는, 분리 구성된 각 작동공간의 상부에 체결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over may be separated into at least two or more separate parts so as to be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separate operation spaces.

또한, 상기 상부 커버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흡입공은 그 단면에 경사면이 구성되어 외부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over is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and the suction hole has an inclined surface at its end face, and the diameter of the suction hole can be enlarged toward the outer direction.

하나의 예로써, 인접하는 둘 이상의 헤드블럭은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단위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As one example, two or more adjacent head blocks may be constituted by a unit module having a mutually connected structure.

하나의 예로써, 상기 헤드블럭은, 그 상부의 일부가 상기 흡입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직경이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누름돌기; 상기 공간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누름돌기의 하부면과 결합되되, 그 상부면에 상기 누름돌기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는 밀착테두리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공간부의 상면과 밀착되어 상기 흡입공을 밀폐시키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 일측이 접하며, 타측이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의 하강 시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one example, the head block may include a pushing protrusion, the diameter of which is reduced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block passes through the suction hol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rotrusion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essing protrus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rotrus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A body for sealing the suction hole; And a restoration spring configured to abu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other side to abut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to give restoring force when the body is lowered.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밀착테두리의 둘레를 따라 부착되는 기밀패킹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Here, the body may include a hermetic packing attach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tact edge.

그리고, 상기 몸체는, 상기 밀착테두리가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edge is protruded toward the upper side.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하우징과 연통되며, 상기 흡입수단과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로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sterilizing means communicating with the housing, and disinfecting means interlocked with the suction means to spray the disinfectant into the space of the housing.

하나의 예로써, 상기 흡입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에 사용자의 출입 유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흡입수단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c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presence / absence of a user in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And a driving unit for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sensor and selectively operating the suction unit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이때,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하우징 전단에 설치되는 제 1 감지센서와, 상기 하우징 후단에 설치되는 제 2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선행 입력 신호가 상기 제 1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일 경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흡입수단을 작동시키며, 제 2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일 경우 상기 흡입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Here, the sensing sensor may include a first sensing sensor disposed at a front end of the housing and a second sensing sensor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housing, and the driving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preceding input signal is a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 The suction means may be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eans may be stopped in case of a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detection senso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 횟수를 합산하여 누적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의 누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unit for calculating cumulative data by summing up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driving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umulative data of the oper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먼지흡입 바닥 매트는 바닥 매트를 도보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신발로부터 배출되는 먼지, 흙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작동됨에 따라 건물 내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dust-absorbing floor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 user walking on a floor mat and operates to suck foreign matter including dust, soil, etc. discharged from a user's shoe, thereby minimizing the inflow of dust into the building .

또한, 사용자를 감지함에 있어 사용자의 진입 및 퇴출을 파악하고 진입 및 퇴출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닥 매트의 흡입 공정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sensing a user, it is possible to grasp the entry and exit of the user, and to selectively perform the suction process of the floor mat according to entry and exit, thereby preventing consumption of unnecessary energy.

도 1은 본 발명의 먼지흡입 바닥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커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헤드블럭의 실시 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먼지흡입 바닥 매트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감지센서의 실시 예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suction floor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B are diagrams showing an embodiment of a head block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ni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ust-suction floo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and 7B are diagram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detection senso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출입구 등에 설치되는 바닥 매트에 관한 것으로, 바닥 매트를 도보하는 사용자의 신발로부터 배출되는 먼지, 흙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건물 내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mat to be installed at an entrance or the like and minimizes the inflow of dust into a building by sucking foreign matter including dust, earth, etc. discharged from a user's footwear on the floor mat.

이러한 바닥 매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헤드블럭(20) 및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며 상기 공간부에 대한 흡입력을 인가하는 흡입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floor mat includes a housing 10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 head block 20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the housing 10, And suction means (30) for applying a suction force.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흡입공(111)이 형성되는 것으로,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도 1 등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11 are formed in the housing 10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portion. The shape of the suction holes 111 is not limited, but may b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 1 and the like. .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바닥 매트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 그 재질은 상재하중 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가 사용됨으로써 상기 흡입공(111)을 포함한 바닥 매트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한다.The housing 10 constitutes the outer shape of the floor mat. The material of the housing 1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a metal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upper load so as to minimize deformation of the outer shape of the floor mat including the suction hole 111 do.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0)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내구성과 함께 내식성을 보강하여 눈, 비 등을 포함한 자연 환경으로부터 바닥 매트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Preferably, the housing 10 is made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thereby enhancing dur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to prevent corrosion of the floor mat from natural environments including snow, rain,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00)과 상부 커버(110)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바, 상기 하부 하우징(100)은 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블럭(20)이 배치됨과 더불어 신발로부터 낙하되는 이물질 등이 흡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2, the lower housing 100 and the upper cover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lower housing 100, A space is formed therein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head block 20 is disposed and in which foreign matter falling from the shoe can be sucked.

상기 상부 커버(110)는 상기 하부 하우징(100) 상부면에 볼트 결합 등을 통해 체결되며, 그 상면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100)의 공간부와 연통되고 상기 헤드블럭(20)이 노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흡입공(111)이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cover 110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00 through a bolt connection or the lik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10 communicates with the space of the lower housing 100 and the head block 20 is exposed.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11 are formed.

여기서 상부 커버(110)는 상기 흡입공(111)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110)의 흡입공(111)은 그 단면이 테이퍼(taper) 형상을 갖도록 경사면(112)이 형성됨으로써 외부방향으로 흡입공(111)이 확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경사면(112)에 의해 확장된 흡입공(111)은 상기 헤드블럭(20)이 하강하게 될 경우 기존보다 많은 흡입공간을 확보함에 따라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Here, the upper cover 1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suction hole 111 is increased toward the upper side. 3, the suction hole 111 of the upper cover 110 is formed to have a tapered shape in cross section so that the suction hole 111 extends in the outward direction When the head block 20 is lowered, the suction hole 111 extended by the inclined surface 112 secures more suction space than the conventional suction hole 111, so that the su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커버(110)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한 바, 이는 종래 금형 사출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공의 단점 예를 들면 내구성이 약한 플라스틱 소재로 인한 흡입공의 변형 및 파손 위험은 물론 이로 인해 흡입공을 상부 커버(110) 상에서 조밀하게 배치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over 110 is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which is a drawback of a suction hole formed by a conventional mold injection method, for example, a risk of deformation and breakage of a suction hole due to a plastic material having low durability, This is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 that the suction holes can not be densely arranged on the upper cover 110.

즉, 상기 상부 커버(110)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어 내구성이 확보됨으로써 흡입공(111)을 상부 커버(110)에 조밀하게 배치 및 가공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흡입공(111)이 확장형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흡입력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since the upper cover 110 is made of aluminum material and durability is ensured, the suction holes 111 can be densely arranged and processed in the upper cover 110, and the suction holes 111 are formed in an expandable structure The suction force can be doubled.

본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흡입공(111)은 복수의 가공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전용공구 예를 들면, 테이퍼 형상의 엔드밀 공구 등을 통해 가공하도록 함으로써 상부 커버(110)의 제조 공정이 용이하고 간소화되도록 한다.The expandable suction hole 1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processing steps. However, as shown in FIG. 3, a special tool such as a tapered end mill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upper cover 110 is simplified and simplified.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100)의 공간부는 상기 공간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흡입공간(101)과 적어도 둘 이상의 구획벽(104)에 의해 분리 구성되는 작동공간(102)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흡입공간(101)의 경우에는 상기 작동공간(102)과 연통하기 위하여 작동공간(102)과 접하게 되는 측면을 따라 복수의 통공(103)이 형성됨으로써 흡입수단(30)의 구동 시, 각각의 작동공간(102)에서 존재하는 먼지 등이 상기 통공(103)을 통해 흡입공간(10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space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100 includes a suction space 101 formed along an edge of the space portion and a working space 102 separated from the suction space 101 by at least two partition walls 104,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03 are formed along the side surface contacting with the operating space 102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perating space 102 in the case of the operating space 102 So that dust or the like existing in the suction space 101 can b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space 101 through the through hole 103.

또한 상기 흡입공간(101)은 상기 흡입수단(30)과 연통되어 흡입수단(30)의 구동 시 실질적으로 흡입력이 작용하는 공간으로, 상기 작동공간(102)을 둘러싸도록 구성됨에 따라 작동공간(102)에 대한 다방향의 흡입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uction space 101 is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unit 30 to substantially act as a suction force when the suction unit 30 is driven. The suction space 101 surrounds the operation space 102, So that a multidirectional suction force can be applied.

그리고, 상기 각 작동공간(102)은 복수의 헤드블럭(20)의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헤드블럭(20)이 승강 작용하는 공간으로, 상기 헤드블럭(20)의 배치 구조는 앞서 설명한 상부 커버(110)의 흡입공(111)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배열되도록 한다.The operation space 102 is a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head blocks 20 are arranged and the head block 20 moves upward and downward. The arrangement of the head blocks 20 is the same as that of the upper cover 110 And the suction holes 111 of the suction holes 111. [

특히 상기 구획벽(104)은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작동공간(102) 내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에 따라 작동공간(102)을 복수로 분리 구획함과 더불어 상기 상부 커버(11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으로부터 견딜 수 있는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Particularly, the partition wall 104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Since the partition wall 104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operation space 102, the operation space 102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110 as a support that can withstand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it.

여기서 상기 상부 커버(110)는 상기 작동공간(102)이 분리 구성됨에 따라 각 작동공간(102)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공간(102)의 수와 대응하여 적어도 둘 이상 분리 구성되며, 상기 작동공간(102)의 부분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추후 헤드블럭(20)의 유지 관리에 있어서도 이상이 있는 헤드블럭(20)이 배치된 해당 작동공간(102)만을 개방하여 보수 작업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cover 110 may have at least two or more separation structur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operation spaces 102 so that the upper cover 110 can be parti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each operation space 102 as the operation space 102 is separated. By partially opening the operating space 102, it is possible to open the corresponding working space 102 in which the abnormal head block 20 is disposed in the maintenance of the head block 20, .

한편, 상기 헤드블럭(20)은 상기 공간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각 흡입공(111)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의 일부분이 상기 흡입공(111)을 통과하여 노출되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하우징(10)의 상부면을 밟고 지나갈 때 접촉되는 헤드블럭(20) 만이 하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흡입공(111)과의 유격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흡입공(111)이 개방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발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이 사기 공간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하에서 설명 흡입수단(3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head block 2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space and to open and close the suction holes 111.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block 20 is exposed through the suction holes 111, Only the head block 2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when the user step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flows downward and a clearance with the suction hole 111 is generated. As the suction hole 111 is opened, So that the foreign matter can be suck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king means 3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러한 헤드블럭(20)은 기본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돌기(200)와 몸체(210) 및 복원 스프링(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3, the head block 20 may include a pressing projection 200, a body 210, and a restoring spring 220.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돌기(200)는 그 상부의 일부가 상기 흡입공(1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직경이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게 구성된다. 즉, 상기 누름돌기(200)는 직경 작은 상부측은 흡입공(111)을 통과하여 노출되는 것이며, 상기 흡입공(111)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하부측은 상기 흡입공(111)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pushing protrusion 200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ushing protrusion 200 becomes smaller as the diameter of the pushing protrusion 200 in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pushing protrusion 20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hole 111.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pushing projection 200 having a smaller diameter is exposed through the suction hole 111. The lower side having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suction hole 111 can not pass through the suction hole 111, It is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상기 몸체(210)는 상기 공간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누름돌기(200)의 하부면과 결합된다.The body 210 is arrang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space and is coupl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ushing projection 200.

그리고 상기 몸체(210)는 그 상부면에 상기 누름돌기(20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는 밀착테두리(21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밀착테두리(211)가 상기 공간부의 상면(131)과 밀착되어 상기 흡입공(111)을 밀폐시킴과 더불어 몸체(210)가 흡입공(11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body 210 has a contact frame 2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essing protrusion 200 so that the contact frame 211 contacts the upper surface 131 To close the suction hole 111 and to prevent the body 210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hole 111. In addition,

상기 복원 스프링(220)은 상기 몸체(210)의 하부면에 일측이 접하며, 타측이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132)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210)의 하강 시 복원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복원 스프링(220)의 안정적인 장착 및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210)의 저면에는 수용홈(240)이 형성되어 상기 복원 스프링(220)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한다.The restoring spring 220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10 and the other side contacts the bottom surface 132 of the space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when the body 210 is lowered. A receiving groove 240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ody 210 to allow the restoring spring 220 to be stably mounted and flow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storing spring 220 is received.

이에 더하여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132)에는 가이드 턱(230)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턱(230)이 형성된 부위에 상기 복원 스프링(220)이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복원 스프링(220)이 원위치를 유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승강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guide jaw 23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32 of the space and the restoring spring 220 is mounted on a portion where the guide jaw 230 is formed, so that the restoring spring 220 maintains the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한편, 본 발명의 누름돌기(200)는 상기 몸체(21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몸체(210)와 함께 연동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곡선 형상(200-1)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누름돌기(200)는 실질적으로 신발의 바닥이 접하게 되는 구성인 바 그 상부에 요철면(201)을 구성하여 신발바닥 틈새에 고착된 흙 등이 원활하게 털릴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pressing projecti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10 and interlocked with the body 2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the pressing projection 200 has a trapezoidal cross- Or may have a curved shape 200-1 in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4B. It is preferable that the pushing protrusion 200 constitute an uneven surface 201 on the upper part of the bar, which is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of the shoe is substantially contacted, so that the soil adhering to the shoe bottom clearance can be smoothly shaved.

이렇게 누름돌기(200)의 상부가 흡입공(111)을 통해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누름돌기(200)를 밟게 되면 상기 누름돌기(200)는 물론 상기 몸체(210)가 함께 하강하여 상기 흡입공(111)과의 틈새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흡입공(111)이 개방되는 되는 것이며, 발을 떼면 상기 복원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흡입공(111)을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user pushes the pressing projection 200 as the upper part of the pressing projection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hole 111, the body 210 as well as the pressing projection 200 descends together, The suction hole 111 is opened as a gap with the suction hole 111 is generated and when the foot is released, the suction hole 11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220, It will be done.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블럭(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210)의 상부면에 밀착테두리(211)가 구성된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head block 20 is formed with a close-up rim 21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10.

상기 밀착테두리(211)는 상기 누름돌기(200)가 상기 몸체(210)의 상부면에 결합됨에 따라 실질적으로는 상기 누름돌기(200)가 차지하는 결합면을 제외하여 상기 몸체(210) 상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밀착테두리(211) 역시 몸체(210)와 마찬가지로 상기 흡입공(1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바, 상기 헤드블럭(20)이 상승할 때 상기 밀착테두리(211)가 상기 공간부의 상면(131)에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헤드블럭(20)이 흡입공(111)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한다.As the pressing protrusion 2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10, the pressing protrusion 200 is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edg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10 except for the engaging surface occupi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200. [ Like the body 210,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ction hole 111. When the head block 20 is lifted up, the contact edge 211 is formed along the contact edge 211, So that the head block 20 can completely seal the suction hole 111. [0050] A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몸체(210)에 대한 다른 실시 예들을 제시하고 있는 바, 먼저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몸체(210)는 상기 밀착테두리(211-1)의 외주면이 상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됨에 특징이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ther embodiments of the body 210. In the body 2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ct edge 211-1 protrudes upwar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밀착테두리(211-1)가 상측을 향해 균일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복원 스프링(220)의 탄성력이 작용될 때, 비교적 작은 면적으로 공간부의 상면(131)에 밀착되어 밀착력이 강화되고, 도시된 바에서와 같이 헤드블럭(20)의 하강시 흡입수단(30)이 작동하여 먼지를 흡입함에 있어 밀착테두리(211-1)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공간부의 상면(131)과 밀착테두리(211-1) 간에 공기통로가 좁아지게 되므로 공기의 흐름이 빨라져 그에 따른 강한 부압을 유도함으로써 흡입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4C, when the resilient force of the restoring spring 220 is applied, the close-up rim 21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trudes upward with a uniform height, And the suction unit 30 is operated when the head block 20 is lowered, as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the close-up rim 211-1 protrudes when the dust is sucked The air passage is narrowed between the upper surface 131 of the space portion and the close-up rim 211-1, so that the flow of air is accelerated and the strong negative pressure is induced thereby to further improve the suction force.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몸체(210)의 경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테두리(211)의 둘레를 따라 기밀패킹(212)이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body 2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hermetic packing 212 may be attach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lose-up rim 211 as shown in Fig. 4d.

이러한 기밀패킹(212)은 기밀을 요하는 구조에 있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소재로서 상기 기밀패킹(212)의 구성에 의해 상기 밀착테두리(211)는 상기 공간부의 상면(131)과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기밀패킹(212) 역시 밀착테두리(211)로부터 상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됨에 따라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구조와 동일한 작용 효과 즉, 강한 부압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The hermetic packing 212 is a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or urethane which is commonly used in a structure requiring airtightness. The hermetic packing 211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31 And the hermetic packing 212 is also protruded from the close-up rim 211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strong negative pressure can be generated .

본 발명에서 상술한 헤드블럭(20)은 도 2에서와 같이 각기 배치되어 독립적으로 승강 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둘 이상의 헤드블럭(20)은 상호 연결되어 구조를 갖는 단위 모듈(20-1)로도 구성될 수 있다.2, each of the head blocks 20 may be independently moved up and down as shown in FIG. 2. However, as shown in FIG. 5, two or more adjacent head blocks 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이러한 단위 모듈(20-1)은 복수의 헤드블럭(20)이 직렬 내지 병렬 구조로 상호 연결됨에 따라 하나의 헤드블럭(20)이 승강 작용하게 되면 인접하는 타 헤드블럭(20)이 연동되어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헤드블럭(20)을 가압하고 있는 신발 바닥에 대한 직접적인 흡입뿐만 아니라 연동하는 타 헤드블럭(20)이 흡입공(111)을 개방하기 때문에 신발 주위의 미세 먼지도 흡입공(111)을 통해 함께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When a plurality of head blocks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erial or parallel structure, when one head block 20 moves up and down, the adjacent unit blocks 2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not only the direct suction to the shoe sole which is pressing the head block 20 but also the interlocking other head block 20 opens the suction hole 111 so that the fine dust around the shoe is also sucked into the suction hole 111 To be sucked together.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어 공간부의 먼지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suction means (30)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portion and sucking foreign matter including dust and the like of the space portion.

상기 흡입수단(30)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흡입펌프, 필터 등이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수단(30)은 공간부에 대한 흡입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종래의 공지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uction means 30 is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include a suction pump, a filter, and the like. Since the suction means 30 imparts a suction force to the space portion, it can be variously practiced through conventional technique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수단(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suction unit 30 is included.

상기 제어부(50)는 감지센서(501a, 501b, 502a, 502b)와 구동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감지센서(501a, 501b, 502a, 502b)는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출입 유무를 감지하고 출입에 따라 각각 감지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The controller 50 may include sensing sensors 501a, 501b, 502a and 502b and a driving unit 510. The sensing sensors 501a, 501b, 502a, and 502b may be formed on the housing 10 It is installed and detects whether or not the user enters or exits,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entrance and exit.

이러한 감지센서(501a, 501b, 502a, 502b)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하여 압력센서 또는 누름(push)센서가 적용된 누름 발판 구조로 구성되어 물리적 반응에 의해 감지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감지의 정확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적외선 등을 포함하여 빛을 이용한 광센서를 적용한 예들을 제시하고 있다.The sensing sensors 501a, 501b, 502a, and 502b may be formed of a pressure sensor or a push sensor to sense a user and may be sensed by a physical re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ensor, a light sensor including an infrared ray is applied.

상기 구동부(510)는 상기 감지센서(501a, 501b, 502a, 502b))의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흡입수단(30)을 구동시킨다. 즉, 상기 구동부(510)는 사용자의 진입과 퇴출에 각각 반응하여 상기 흡입수단(30)을 구동시키는 것이다.The driving unit 510 receives the sensing signals of the sensing sensors 501a, 501b, 502a, and 502b and selectively drives the suction unit 30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s. That is, the driving unit 510 drives the suction unit 30 in response to the user's entering and leaving, respectively.

일 예로써, 상기 감지센서(501a, 502a)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매입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감지할 수 있는 바, 이러한 감지센서(501a, 502a)는 상기 하우징(10) 전단에 매입 설치되는 제 1 감지센서(501a)와, 상기 하우징(10) 후단에 매입 설치되는 제 2 감지센서(502a)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 1 감지센서(501a)는 사용자의 진입을 감지하고 제 2 감지센서(502b)는 사용자의 퇴출을 감지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7A, the sensing sensors 501a and 502a are embedded i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housing 10, respectively, to sense the user's sole. The first sensing sensors 501a and 502a include a first sensing sensor 501a embedded in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10 and a second sensing sensor 502a embedded in the rear end of the housing 10, The sensor 501a detects the user's entry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502b detects the user's exit.

다른 예로써, 상기 감지센서(501b, 502b)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전단 및 후단의 측면에서 일정 높이로 각각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감지센서(501b, 502b)는 사용자의 감지 부위에 있어 차이점이 있을 뿐,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감지센서(501a, 502a)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10) 전단 측면에 설치되는 제 1 감지센서(501b)가 사용자의 진입을 감지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10) 후단 측면에 설치되는 제 2 감지센서(502b)가 사용자의 퇴출을 감지하도록 한다.As another example, the sensing sensors 501b and 502b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housing 1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7B, have. The sensing sensors 501b and 502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similar to the sensing sensors 501a and 502a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ensing area of the user, The sensor 501b detects the entrance of the user and the second sensing sensor 502b install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housing 10 senses the user's exit.

한편, 상기 구동부(510)는 선행 입력 신호가 상기 제 1 감지센서(501a, 501b)의 감지신호 즉 사용자의 진입에 해당되는 감지신호일 경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흡입수단(30)을 작동시키도록 하며, 제 2 감지센서(502a, 502b)의 감지신호 즉 사용자의 퇴출에 해당되는 감지신호일 경우 상기 흡입수단(30)이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한다.Meanwhile, when the preceding input signal is a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s 501a and 501b, that is,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 entry, the driving unit 510 operates the suction unit 30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ontrols the suction unit 30 to be inoperative if it is a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detection sensors 502a and 502b, that is,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exit.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출입을 각각 감지하고 선택적으로 흡입수단(30)을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ects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user and selectively controls the suction unit 30 to prevent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50)는 연산부(520)와 표시부(5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연산부(520)는 상기 구동부(510)의 작동 횟수를 합산하여 누적 데이터를 연산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unit 520 and a display unit 530. The operation unit 520 sums the operation times of the driving unit 510 and calculates cumulative data.

상기 연산부(520)는 상기 감지센서(501, 502)와 연계되는 것으로, 상기 감지센서(501, 502)에서 생성되는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누적 데이터를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The operation unit 520 is connected to the detection sensors 501 and 502 and receives detection signals generated by the detection sensors 501 and 502 to obtain acces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o calculate cumulative data based on the information .

그리고 상기 표시부(530)는 상기 연산부(520)에서 산출된 누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한다. The display unit 530 displays the accumulated data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520. FIG.

이렇게 구동부(510)의 누적 작동 횟수가 표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흡입수단에 구비될 수 있는 필터부 내지 교체 시기를 요하는 복원 스프링(220) 등 주요 부품에 대한 교체 주기를 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장치의 유지 보수의 주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cumulative operation frequency of the driving unit 510 is displaye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eplacement cycle for the major components such as the filter unit that can be provided in the suction unit and the restoration spring 220 that requires replacement time, So that it can be utilized as main information of maintenance of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과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로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수단(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rilization means (40) communicating with the housing (10) and spraying the disinfectant to the space of the housing (1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소독수단(40)은 상기 흡입수단(30)과 연동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하우징(10)의 상면을 밟고 지나갈 때 해당 헤드블럭(20)을 하강시켜 흡입공(111)이 개방된 상태로 사용자의 신발 바닥에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하여 신발바닥을 살균시키게 된다.The disinfection means 40 is interlocked with the suction means 30 and when the user step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corresponding head block 20 is lowered so that the suction hole 111 is opened, So that the bottom of the shoe is sterilized.

상기 소독수단(40)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된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를 공간부로 공급하기 위한 유동관 및 상기 공간부에 장착되어 유동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액을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한다.The disinfecting means 40 is not specifically shown but includes a storage tank in which a disinfectant solution is stored therein, a flow pipe for supplying the storage tank to the space portion, and a disinfectant solution And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for spraying.

이러한 소독수단(40)은 상기 흡입수단(3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50)의 제어로 구동되는 바, 상기 사용자의 진입 및 퇴출에 각각 반응하여 사용자의 진입 시에만 작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disinfecting means 40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like the suction means 30, and is operated only upon entry of the user in response to the entry and exit of the user.

여기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흡입수단(30)과 소독수단(40)을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흡입수단(30)을 먼저 가동시켜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의 흡입 공정을 완료된 직후에 상기 소독수단(40)을 가동시켜 상기 공간부는 물론 흡입공(111)을 통해 사용자의 신발바닥에 대한 소독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Here, the control unit 50 preferably operates the suction unit 30 and the sterilizing unit 40 sequentially. That is, the control unit 50 operates the sterilizing unit 40 immediately after the suction unit 30 is first operated to complete the suction process of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ust, so that the sterilizing unit 40 can be operated through the suction hole 111, So that the disinfecting process can be performed on the shoe sol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 하우징 20 : 헤드블럭
30 : 흡입수단 40 : 소독수단
50 : 제어부 100 : 하부 하우징
101 : 흡입공간 102 : 작동공간
103 : 통공 104 : 구획벽
110 : 상부 커버 111 : 흡입공
200 : 누름돌기 210 : 몸체
220 : 복원 스프링
10: housing 20: head block
30: Suction means 40: Sterilization means
50: control unit 100: lower housing
101: Suction space 102: Working space
103: through hole 104: partition wall
110: upper cover 111: suction hole
200: pushing projection 210: body
220: Restoring spring

Claims (13)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 및 알루미늄 재질로 상기 하부 하우징 상부에 체결되며, 그 단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외부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흡입공이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복수로 구성되는 상부 커버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각 흡입공을 개방 또는 밀폐하는 복수의 헤드블럭; 및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며 상기 공간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흡입력을 인가하는 흡입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하우징의 공간부는,
상기 공간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흡입공간 및 적어도 둘 이상의 구획벽에 의해 분리 구성되며 상기 흡입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복수의 헤드블럭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작동공간 및 상기 흡입공간과 작동공간을 연통하기 위해 상기 작동공간과 접하게 되는 흡입공간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블럭은,
그 상부의 일부가 상기 흡입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직경이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누름돌기와, 상기 공간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누름돌기의 하부면과 결합되되 상기 누름돌기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며, 노출된 상부면의 외주면은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밀착테두리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공간부의 상면과 밀착되어 상기 흡입공을 밀폐시키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 일측이 접하며 타측이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의 하강 시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흡입 바닥 매트.
And an upper cover which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by an aluminum material and has an inclined surface in a cross section so that a su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portion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portion in the outer direction, A housing;
A plurality of head blocks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and to open or close each suction hole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And
And suction means for selectively applying a suction force to the space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space portion,
The space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A suction space formed along the rim of the space portion and an operating space separated by at least two partition walls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space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head blocks can be disposed,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along a side surface of the suction space,
The head block includes:
A pressing protrusion which is form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space and which is engaged with a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rotrusion and is relatively more in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essing protrus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osed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contact edge formed by a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pace to seal the suction hole, And a restoring spring configured to abut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and to provide restoring force when the body is lower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분리 구성된 각 작동공간의 상부에 체결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흡입 바닥 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cover comprises:
Wherein at least two of the separate working spac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be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respective separated working space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둘 이상의 헤드블럭은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단위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흡입 바닥 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adjacent two or more head blocks are constituted by a unit module having a mutually connected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연통되며, 상기 흡입수단과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로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흡입 바닥 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infect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housing and intervening with the suction unit to spray the disinfectant into the space of the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에 사용자의 출입 유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흡입수단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흡입 바닥 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ction unit,
Wherein,
A sensing sensor for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in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sensing signal; And
And a driving unit that receives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sensor and selectively operates the suction unit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하우징 전단에 설치되는 제 1 감지센서와, 상기 하우징 후단에 설치되는 제 2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선행 입력 신호가 상기 제 1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일 경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흡입수단을 작동시키며, 제 2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일 경우 상기 흡입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흡입 바닥 매트.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etection sensor includes:
A first sensing sensor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housing, and a second sensing sensor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housing,
The driv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uction means to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preceding input signal is the sensing signal of the first sensing sensor an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eans when the sensing signal is the second sensing sensor. mat.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 횟수를 합산하여 누적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의 누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흡입 바닥 매트.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cumulative data by summing the number of times of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umulative data of the operation unit.
KR1020140034728A 2014-03-25 2014-03-25 A dust Intake floor mat KR1014772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728A KR101477217B1 (en) 2014-03-25 2014-03-25 A dust Intake floor m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728A KR101477217B1 (en) 2014-03-25 2014-03-25 A dust Intake floor m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217B1 true KR101477217B1 (en) 2014-12-29

Family

ID=5268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728A KR101477217B1 (en) 2014-03-25 2014-03-25 A dust Intake floor m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217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333B1 (en)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The dust inhale pannel
KR101627330B1 (en)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The dust inhale equipment
KR101682451B1 (en) * 2016-05-04 2016-12-05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Prevention installations for foreign substance inflow on front door nonslip of apartment house
KR20180115409A (en) 2017-04-13 2018-10-23 (주)테스토닉 Apparatus for suctioning dust using bead
KR102118994B1 (en) * 2019-06-27 2020-06-04 주식회사 아이에스종합건축사사무소 Floor panel for remove foreign substance of front door in apartment house
KR20210004311A (en) 2019-07-04 2021-01-13 오경재 Embedded floor mat system
KR20210004309A (en) 2019-07-04 2021-01-13 오경재 Embedded floor mat construction method
KR20220057474A (en) 2020-10-29 2022-05-09 (주)테스토닉 Dust suction mat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20220001471U (en) * 2020-12-17 2022-06-24 이명국 Dust suction mat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20230115814A (en) 2022-01-27 2023-08-03 (주)테스토닉 Air circulation type dust suction mat
KR20230172284A (en) 2022-06-15 2023-12-22 (주)테스토닉 Field-tailored prefabricated dust suction ma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142B1 (en) * 2010-04-27 2012-11-12 신원철 Apparatus for sucking dusts on shoes
KR101310888B1 (en) * 2013-03-28 2013-09-25 (주) 리드북스 Device for removing dust
KR101330699B1 (en) * 2013-07-15 2013-11-18 이수영 System for suctioning dus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142B1 (en) * 2010-04-27 2012-11-12 신원철 Apparatus for sucking dusts on shoes
KR101310888B1 (en) * 2013-03-28 2013-09-25 (주) 리드북스 Device for removing dust
KR101330699B1 (en) * 2013-07-15 2013-11-18 이수영 System for suctioning dusts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66173B (en) * 2015-08-12 2019-06-04 大信Mc株式会社 Dust exhaust apparatus
US10159399B2 (en) 2015-08-12 2018-12-25 Daeshin Mc Corporation Dust suction apparatus
KR101627333B1 (en)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The dust inhale pannel
US20170042405A1 (en) * 2015-08-12 2017-02-16 Daeshin Mc Corporation Dust suction apparatus
EP3132734A1 (en) 2015-08-12 2017-02-22 Daeshin MC Corporation Dust suction apparatus
CN106466173A (en) * 2015-08-12 2017-03-01 大信Mc株式会社 Dust exhaust apparatus
KR101627330B1 (en)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The dust inhale equipment
KR101682451B1 (en) * 2016-05-04 2016-12-05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Prevention installations for foreign substance inflow on front door nonslip of apartment house
KR20180115409A (en) 2017-04-13 2018-10-23 (주)테스토닉 Apparatus for suctioning dust using bead
US11432692B2 (en) 2017-04-13 2022-09-06 Testonic Co., Ltd. Dust suction device utilizing beads
KR102118994B1 (en) * 2019-06-27 2020-06-04 주식회사 아이에스종합건축사사무소 Floor panel for remove foreign substance of front door in apartment house
KR20210004309A (en) 2019-07-04 2021-01-13 오경재 Embedded floor mat construction method
KR20210004311A (en) 2019-07-04 2021-01-13 오경재 Embedded floor mat system
KR102606170B1 (en) * 2020-10-29 2023-11-24 (주)테스토닉 Dust suction mat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20220057474A (en) 2020-10-29 2022-05-09 (주)테스토닉 Dust suction mat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20220001471U (en) * 2020-12-17 2022-06-24 이명국 Dust suction mat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200495904Y1 (en) * 2020-12-17 2022-09-16 이명국 Dust suction mat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20230115814A (en) 2022-01-27 2023-08-03 (주)테스토닉 Air circulation type dust suction mat
KR20230172284A (en) 2022-06-15 2023-12-22 (주)테스토닉 Field-tailored prefabricated dust suction m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217B1 (en) A dust Intake floor mat
KR102033114B1 (en) Apparatus for suctioning dust using bead
JP6854393B2 (en) Dust suction air mat with air inflow valve
US10342400B2 (en) Autonomous cleaner
KR101627330B1 (en) The dust inhale equipment
KR101330699B1 (en) System for suctioning dusts
KR101255054B1 (en) A device for suctioning a dusts
KR101198142B1 (en) Apparatus for sucking dusts on shoes
WO2017003320A1 (en) Pneumatic shoe cleaner
KR101287946B1 (en) Apparatus for suctioning a dusts
KR20010090313A (en) cleaner for shoes bottom
KR20150074780A (en) A mat for removing dust and bacteria
KR101533259B1 (en) A mat for removing dust
KR101310888B1 (en) Device for removing dust
KR101428802B1 (en) Footing board using vacuum
JP6170741B2 (en) Vacuum cleaner
KR102338485B1 (en)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gate with vacuum suction type scaffolding mat to remove dirt from shoes
KR101609864B1 (en) Safety floor panel institution of entry hall for building
JP4277742B2 (en) Vacuum cleaner
KR200469804Y1 (en) Dust intake device for shoes
KR101445227B1 (en) Pressure-type suctioning device for foreign substance
KR200495904Y1 (en) Dust suction mat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20050102254A (en) Vacuum-cleaner for front door
TWI745857B (en) Cleaning module and robot having cleaning module
KR20110033429A (en) A cleaning device of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