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617B1 -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 - Google Patents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617B1
KR101476617B1 KR1020120148484A KR20120148484A KR101476617B1 KR 101476617 B1 KR101476617 B1 KR 101476617B1 KR 1020120148484 A KR1020120148484 A KR 1020120148484A KR 20120148484 A KR20120148484 A KR 20120148484A KR 101476617 B1 KR101476617 B1 KR 101476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space
rotary
furniture body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028A (ko
Inventor
권수범
정수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1020120148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6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47B49/004Cabinets with compartments provided with trays revolving on a vertical axi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옷장 등과 같은 가구에서 사용효용성이 떨어지는 후면의 어느 한 부분에 회전식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옷 등을 수납하는 가구의 유휴공간에 구비되어 가구의 사용효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에 있어서, 회전식 수납공간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가구몸체;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구몸체의 측면방향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되는 회전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A FURNITURE HAVING ROTARY TYPE STORAGE}
본 발명은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옷장 등과 같은 가구에서 사용효용성이 떨어지는 후면의 어느 한 부분에 회전식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에 관한 것이다.
경기호황으로 인한 주택시장의 활황으로 대형주택에 대한 선호도가 뚜렷하던 시기에는 가구 또한 실용성보다는 화려하고 규모가 큰 가구가 인기를 누렸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이 경기불황과 1인 가구의 증가 및 소형주택이 각광을 받고 있는 시대에는 동일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구에 대하여 소비자들의 관심이 많다.
종래의 가구들은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이 거의 갖춰지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어, 옷을 보관하는 옷장의 경우에, 내부 상단에 옷걸이를 걸 수 있는 옷걸이 봉이 구비되어 있는데, 실제 옷걸이 봉에 옷걸이를 걸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가구의 천정에서부터 옷걸이 봉의 일정위치까지의 상부공간은 거의 사용되지 못하는 공간이 된다.
대부분의 옷장은 최소한 옷걸이의 가장 폭이 넓은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옷걸이나 옷장의 내부에 원활하게 수납될 수 있는 폭(또는 넓이)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그런데, 옷걸이는 일반적으로 삼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상기 옷걸이의 아랫부분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옷장의 청정에서 옷걸이봉이 있는 위치의 공간과 옷걸이 봉으로부터 옷걸이의 일부 위치가 차지하는 공간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유휴공간으로서 거의 활용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동일한 넓이의 가구에 좀더 많은 수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구의 사용효용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옷장 등의 구석공간에 회전식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활용한다며, 수납의 실용성은 물론 옷장이 변신을 하는 듯한 이미지를 주어 젊은 사람들에게 큰 호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므로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옷장의 일부 공간을 비밀공간처럼 활용할 수도 있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구의 유휴공간에 회전식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작은 물건이나 옷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옷 등을 수납하는 가구의 유휴공간에 구비되어 가구의 사용효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에 있어서, 회전식 수납공간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가구몸체;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구몸체의 측면방향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되는 회전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회전수납부는 상기 가구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의 상부에 구비되며, 부채꼴모양으로 구성되어 꼭지점이 상기 가구몸체의 측면가장자리의 어느 한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회전수납부는 상기 가구몸체의 양측에 하나씩 2개가 구비되며, 상기 각 회전수납부의 꼭지점은 대각선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회전수납부의 호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손잡이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회전수납부는 상기 가구몸체의 양측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대해 다수개의 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에 의하면, 옷장의 후면의 상부 등과 같이 종래에 거의 사용되지 않던 공간에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비교적 작은 물건이나 옷 등을 수납하여 가구의 사용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수납공간에 의하면 수납공간의 일부가 회전식으로 여닫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재미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식 수납공간이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회전식 수납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식 수납공간이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회전식 수납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수납공간(135)이 구비된 가구는, 가구몸체(100)와 상기 가구몸체(100)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어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닫히거나 열릴 수 있는 회전수납부(130)로 구성된다.
가구몸체(100)는 공지의 일반적인 가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육면체로 구성되어 전면에는 도어(110, door)가 구비되어 있으며, 몸체의 어느 한 부분에는 후술하여 설명할 회전수납부(13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40)이 구비되어 있다. 수용공간(140)은 회전수납부(130)의 형상에 대응되되, 회전수납부(130)의 개수 등에 따라 다소 변형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40)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할 회전수납부(130)의 형상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방향으로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으로 기준으로 한 방향표시이며, 도어(110)가 구비된 부분을 전면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수납공간(135)이 적용되는 가구의 일 예로서 주로 옷장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납부(130)가 적용되는 가구는 공지의 다양한 가구에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가구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유휴공간이 있는 경우에 적용이 용이하다.
회전수납부(130)는 가구몸체(100)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며,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전수납부(130)는 부채꼴모양으로 구성되어 꼭지점이 가구몸체(100)의 측면가장자리의 어느 한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납부(130)는 내부에 수납공간(135)이 구비된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수납부(130)가 가구몸체(100)의 수용공간(140)에 수용된 상태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회전수납부(130)의 꼭지점이 가구몸체(100)의 측면가장자리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꼭지점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축(150)이 구비된다. 그리하여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볼 때, 일측으로 회전하면 수용공간(140)으로 들어가면서 닫히고, 타측으로 회전하면 수용공간(140)에서 가구몸체(100)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된다. 사용자는 회전수납부(130)가 돌출된 상태에서 수납공간(135)에 작은 물품이나 옷가지를 넣고 가구몸체(100)의 수용공간(140)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회전수납부(130)는 가구몸체(100)의 전방 또는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측에 하나씩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회전수납부(130)가 2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꼭지점부분에 구비된 회전축(150)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우측방향의 회전수납부(130)의 회전축(150)이 수납공간(135)의 우측 전면(도어가 구비된 방향)에 구비될 경우에, 좌측방향의 회전수납부(130)의 회전축(150)은 수납공간(135)의 좌측의 후면(도어의 반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양측의 회전수납부(130)가 수납공간(135)에 삽입될 경우에 호(弧)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회전수납부(130)의 형상이 부채꼴 모양으로 구성되고, 호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수납되는 경우에 공간활용이 회전수납방식에서 최대의 공간활용성을 가지게 된다.
이때, 수용공간(140)은 가구몸체(100)의 폭 방향으로 따라 회전수납부(13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고, 부채꼴모양의 한 변의 길이에 대응되는 넓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전술하여 설명한 회전수납부(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부채꼴모양의 수용공간(140)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회전수납부(130)의 호 부분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손잡이홈(1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홈(170)은 회전수납부(130)가 수용공간(14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일 때, 회전축(150)의 반대쪽 벽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회전수납부(130)가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홈(170)에 손을 넣어서 회전수납부(130)를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손잡이홈(17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납부(130)의 호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외측이 개방된 홈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홈(170)은 회전수납부(130)의 설치상태를 기준으로 볼 때, 호의 일측 중 가구몸체(100)의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만 구비되어도 충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수납부(130)는 가구몸체(100)의 좌측이나 우측용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호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호의 양측에 동일한 구성의 손잡이홈(170)을 구성하여 원하는 위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수납부(130)는 가구몸체(100)의 양측에서 수용공간(140)에 대해 다수개의 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방와 같이 2개의 층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그 이상의 층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동일한 수용공간(140)에서 회전수납부(130)의 층수가 많아질 경우에 각 회전수납부(130)의 수납공간(135)의 깊이는 작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자는 회전수납부(130)의 손잡이홈(170)에 손을 삽입하여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회전수납부(130)가 꼭지점에 구비된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구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사용자는 회전수납부(130)의 수납공간(135)에 보관할 물건을 수납한 다음 상기 회전수납부(130)를 가구몸체(100)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회전수납부(130)는 가구몸체(100)의 수용공간(140)에 삽입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옷장의 경우에 내부 천정에 옷걸이 봉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옷걸이 봉에 옷걸이를 걸어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천정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공간은 사용되지 않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옷장의 상부 전후면에 회전수납부(130)를 구비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가구몸체
110: 도어(door)
130: 회전수납부
135: 수납공간
140: 수용공간
150: 회전축
170: 손잡이홈

Claims (5)

  1. 옷 등을 수납하는 가구의 유휴공간에 구비되어 가구의 사용효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에 있어서,
    회전식 수납공간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가구몸체; 및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구몸체의 측면방향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되는 회전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납부는 상기 가구몸체의 양측에 구비되며, 각각 부채꼴모양으로 구성되어 꼭지점이 상기 가구몸체의 측면가장자리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납부의 호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손잡이홈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납부는 상기 가구몸체의 양측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대해 다수개의 층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
KR1020120148484A 2012-12-18 2012-12-18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 KR10147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484A KR101476617B1 (ko) 2012-12-18 2012-12-18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484A KR101476617B1 (ko) 2012-12-18 2012-12-18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028A KR20140079028A (ko) 2014-06-26
KR101476617B1 true KR101476617B1 (ko) 2014-12-26

Family

ID=5113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484A KR101476617B1 (ko) 2012-12-18 2012-12-18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6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725A (ja) * 1994-09-30 1996-04-16 Sekisui Chem Co Ltd 玄関収納具
KR200357290Y1 (ko) * 2004-04-21 2004-07-27 김상현 회전식 선반
US7967355B2 (en) * 2005-10-26 2011-06-28 Steelworks Hardware, Llc Vertical tool storage device with a curved hand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725A (ja) * 1994-09-30 1996-04-16 Sekisui Chem Co Ltd 玄関収納具
KR200357290Y1 (ko) * 2004-04-21 2004-07-27 김상현 회전식 선반
US7967355B2 (en) * 2005-10-26 2011-06-28 Steelworks Hardware, Llc Vertical tool storage device with a curved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028A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55041U (zh) 洗衣机
CN104937355B (zh) 冰箱
KR101476617B1 (ko) 회전식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
JP2018123489A (ja) 建具
US6238030B1 (en) Hollow-door closet
KR20120045345A (ko) 천장 매립형 수납장
JP3160036U7 (ko)
CN218105282U (zh) 一种配有隐藏门的橱柜
JP3160035U7 (ko)
CN208318708U (zh) 一种档案柜
CN220308876U (zh) 墙面置物装置
JP3160035U (ja) 仏壇
KR20200095811A (ko) 자유자재 크기 조절 회전 옷장
KR20200001622U (ko) 가구 결합형 옷장
KR200475343Y1 (ko) 물품보관 및 장식장 겸용 가구
KR102259000B1 (ko) 공간 활용 회전 신발장
CN220344161U (zh) 置物墙面
KR101239697B1 (ko) 가변형 수납 기능이 있는 건축물의 벽체구조
JPH0332268Y2 (ko)
CN213572606U (zh) 一种铝制吊顶扣板
CN108253712A (zh) 多功能翻转瓶座
CN212233651U (zh) 一种家居定制的镶嵌壁挂式翻转调节衣柜
KR102033012B1 (ko) 광각 개방형 욕실용 코너장
KR200270715Y1 (ko) 신발장
JPH0598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