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327B1 -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6327B1 KR101476327B1 KR20140004071A KR20140004071A KR101476327B1 KR 101476327 B1 KR101476327 B1 KR 101476327B1 KR 20140004071 A KR20140004071 A KR 20140004071A KR 20140004071 A KR20140004071 A KR 20140004071A KR 101476327 B1 KR101476327 B1 KR 1014763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verse
- wall surface
- concrete wall
- spaced apart
- member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12—Removable protective covers for courts, rinks, or game pitche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체육관과 같은 체육시설 건물 내부 벽면에 설치되어 운동 중 충돌시 충격을 완충시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wal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 structure that is installed on a wall surface of a gymnasium such as an indoor gymnasium to prevent impact by buffering impacts during a movement, .
체육시설에 있어 안전성의 확보는 절대 간과해서는 안되는 중요 사항으로 실내 체육관, 야구장, 스케이트장, 아이스하키장이나 롤러 스케이트장 등 운동선수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시설이 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Ensuring safety in the athletic facilities is an important issue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t must be equipped to provide safety for athletes such as indoor gymnasium, baseball field, skating rink, ice hockey field and roller skating rink.
이를 위하여 충격을 흡수하여 운동선수들의 부상을 방지하고 안심하고 운동할 수 있는 안전시설 중 벽체 또한 중요시설 중 하나이다. 기존의 충격흡수용 벽체로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타포린 주머니에 폴리에틸렌(Poly Ethilene)이나 우레탄 판상 스폰지를 넣어 일정한 크기의 패드(Pad)상으로 만든 후 벽체 또는 능형망 휀스에 조립식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얽어매는 방식 등으로 고정하거나 벽체에 접착제로 판상 스폰지를 접착시킨 후 고무시트(일반적으로 EPDM(Ethylene Propylene-Diene terpolymer))를 스폰지 위에 접착제로 접합 고정시켜 감싸는 방법으로 충격흡수용 벽체를 만든다. For this purpose, the wall is one of the important safety facilities that can absorb injuries and prevent injuries of athletes and exercise with confidence.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the existing shock absorbing wall is to put polyethylene (Poly Ethylene) or urethane plate sponge in the tarpaulin bag and to make it into a pad of a certain size, and then to use a prefabricated adhesive on the wall or diaphragm net fence (EPDM (Ethylene Propylene-Diene terpolymer)) is bonded on the sponge by adhesive bonding and then wrapped around the sponge with an adhesive to the wall. I make it.
이러한 충격흡수용 벽체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49888호(2013년03월27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An example of such a shock absorbing wall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49888 (registered on Mar. 27, 20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충격흡수용 벽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된 패드 형태로 마련되기 때문에 충격시 패드를 통해서만 완충이 이뤄지게 되어 충격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shock absorbing wa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ad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shock absorbing wall may not be properly absorbed since the shock absorbing wall is buffered only through the pad.
또한, 합성수지 재질의 패드와 접착제는 환경호르몬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synthetic resin pads and adhesives are closely related to environmental hormones, they may have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 발생시 완충이 효과적으로 이뤄져 부상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l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float by effectively buffering impact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또한, 친환경 소재로 마련되어 인체에 무해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all structure which is provided with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and can provide a harmless environment to a human body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은: 콘크리트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벽면의 전방에 수평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되, 상하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 배치되게 설치된 횡간부재; 상기 한 쌍의 횡간부재의 전방에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횡간부재에 의해 지지 되게 수직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벽면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게 복수 개로 구비된 종간부재; 서로 맞대어 한 면을 이루도록 복수 개의 패널 타입으로 구비되되, 각각은 상기 콘크리트 벽면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종간부재를 가로질러 상기 종간부재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 되도록 결합 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일시적 휨 변형에 의해 완충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 마감재; 및, 상기 횡간부재에 의해 상기 종간부재가 상기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되어 형성되는 완충 이격 공간에서 상기 종간부재의 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게 복수 개로 구비되며, 각각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마감재 및 상기 종간부재의 눌림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벽면에 접촉되는 면적이 확장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최종적으로 완충시키도록 탄성 재질로 마련된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verse member installed on a concrete wall surface and horizontally longitudinally disposed in front of the concrete wall surface, A pair of transverse member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pair of transverse members so as to be vertically longitudinally coupled to one another and supported by the transverse member an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oncrete wall surface, absence; Each of which is coupled to the opposite ends of the plurality of interposed members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interposed member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oncrete wall surface, A finishing material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as to be buffered by bending deformation; An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spaced-apart spaced apart longitudinally spaced apart longitudinally spaced spaced-apart spacing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transverse member in a buffering spacing space formed forwardly spaced from the concrete wall surface, And an impact absorbing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an area of contact with the concrete wall surface is expanded by the pressing of the finishing material and the interspersed material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ultimately buffer the impact from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복수의 마감재는 서로 맞물려 결합 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nishing materials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종간부재는 탄성을 갖되 상기 마감재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labial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higher rigidity than the finishing material.
상기 마감재는 합판을 포함하는 목재 패널로 마련되고, 상기 종간부재 및 상기 횡간부재는 원목재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finishing material is provided by a wood panel including a plywood, and the weft and transverse members are formed from a raw wood.
그리고, 상기 종간부재의 상부 측 상부에는 상부 몰딩이 구비되며, 상기 종간부재의 하부 측 하부에는 상기 상부 몰딩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는 하부 몰딩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an upper molding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interspersed member, and a lower molding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molding is provided below the lower side of the interspersed member.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수평으로 길이방향을 갖는 횡간부재를 상하 한 쌍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게 콘크리트 벽면의 전방에 설치하는 단계; 수직으로 길이방향을 갖되 후면에 충격흡수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게 부착된 종간부재의 일측과 타측을 상기 한 쌍의 횡간부재의 전방에 상기 콘크리트 벽면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게 복수 개 설치하는 단계; 및,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의 패널타입으로 마련된 마감재의 양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벽면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종간부재를 가로질러 상기 종간부재에 의해 지지 되도록 상기 종간부재의 전방에 상기 마감재를 복수 개 설치하여 상기 복수의 마감재들이 서로 맞대어 한 면을 이루도록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wall structure, comprising: installing a transverse member having a horizontally long direction in front of a concrete wall surfac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terdevice attached vertic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with the impact absorbing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rranged in front of the pair of transverse membe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oncrete wall surface Installing a plurality of spaced-apart spacers; And a plurality of said finishing materials in front of said interspersed elements such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finishing material provided in a panel type of material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are supported by said interspacing members across said plurality of interspersing element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said concrete wall surface And finishing the plurality of finishing materials so as to face each other to form a single face.
여기서, 상기 횡간부재를 상기 콘크리트 벽면의 전방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횡간부재에 레벨 부재를 덧대어 상기 횡간부재에 의해 지지 될 상기 종간부재들이 설치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게 수직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step of installing the transverse member in front of the concrete wall surface comprises the step of placing a level member on the transverse member to adjust the vertical level so that the interposed members to be supported by the transverse member are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mounting surface .
그리고, 상기 마감재를 상기 종간부재의 전방에 설치하는 단계는 하부에서부터 상부를 향해 상기 복수의 마감재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tep of installing the finishing material in front of the interposed member preferably includes coupling the plurality of finishing materials to mesh with each other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본 발명에 따르면, 체육시설의 벽면에 설치되어 운동 중 충돌시 충격이 마감재, 종간부재 및 충격흡수부재를 거치는 동안 완충이 단계적으로 효과적으로 이뤄지게 됨으로써 부상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ll structure which is installed on a wall surface of a sports facility and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floors by effectively buffering impacts during impact during a movement through a finishing material, an interspin member and an impact absorbing member, Can be provided.
또한, 목재와 같은 친환경 소재로 마련되어 인체에 무해한 환경을 조성하는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l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ll structure which is provided with an eco-friendly material such as wood and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벽체 구조물의 측단면도,
도 3은 콘크리크 벽면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 횡간부재의 단면 형상을 달리하여 종간부재의 수직레벨을 조절한 시공 사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콘크리크 벽면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 횡간부재의 후방에 레벨 부재를 덧대어 종간부재의 수직레벨을 조절한 시공 사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시공 흐름도이다.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ll structure of Figure 1,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example in which the vertical level of the interlayer member is adjusted by chang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ransverse member when the cone wall surface is not flat;
FIG. 4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example in which a vertical member of the interlayer member is adjusted by attaching a level member to the rear of the transverse member when the cone wall surface is not flat;
5 is a construction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체육관과 같은 체육시설을 이루는 콘크리트 벽면(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마감재(110)와, 종간부재(120)와, 콘크리트 벽면(1)의 전방에 상하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호 이격 배치되게 설치된 횡간부재(130)와, 충격흡수부재(140)를 포함한다. 1, the
마감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구조물(100)을 측 단면상으로 바라볼 때에 콘크리트 벽면(1)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구조물(100)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에 서로 맞대어 한 면을 이루도록 복수 개의 패널 타입으로 구비되며, 각각은 콘크리트 벽면(1)의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의 종간부재(120)를 가로질러 종간부재(120)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 되도록 결합 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일시적 휨 변형에 의해 1차적으로 흡수하여 완충하도록 각각은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다.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복수의 마감재(110)는 서로 맞대어 한 면을 이루도록 결합되되, 각각은 종간부재(120)의 전방에 못(10)과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마감재(110)는 서로 맞물려 결합 될 수도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복수의 마감재(110)가 서로 맞닿는 측면 중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 형상으로 돌출된 걸림부(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부(111)가 맞물리도록 함몰된 물림 홈(113)이 형성된다. 이때, 종간부재(120)에 마감재(110)를 고정시키는 못(10)은 걸림부(111)가 형성된 마감재(110)의 측면 위에서 종간부재(120)를 향해 아래로 향하는 사선 방향으로 박히도록 시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plurality of
이에 따라, 복수의 마감재(110)들을 서로 맞대어 한 면을 이루도록 결합시킬 때에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맞물림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마감재(110)들 간의 조립 및 설치 작업이 간편해질 수 있고, 시공이 완료된 후 마감재(110)의 전면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서로 맞닿은 마감재(110)들이 함께 변형되어 충격 하중이 최대한 넓은 영역으로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plurality of
종간부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면(1)과 마감재(110) 사이에서 마감재(110)의 후면에 접촉되게 배치되어 마감재(110)를 고정시켜 지지하되, 콘크리트 벽면(1)과의 사이에는 완충 이격 공간(3)이 형성되게 콘크리트 벽면(1)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구조물(100)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에 콘크리트 벽면(1)의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대략 600 mm 정도) 이격 배치되게 복수 개로 구비되며, 각각은 설치면(5)에 대해 수직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마련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종간부재(120)는 한 쌍의 횡간부재(130)의 전방에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어 횡간부재(130)에 의해 지지 됨으로써 콘크리트 벽면(1)으로부터 완충 이격 공간(3)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게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2, the
이에 따라, 종간부재(120)가 마감재(1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 및 완충시키며 충격에 대한 지지력이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종간부재(120)는 탄성을 갖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마감재(110)를 지지하며 버틸 수 있도록 마감재(110)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종간부재(120)가 마감재(110)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마련되더라도 벽체 구조물(100)의 측 단면상 종간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마감재(110)들의 외부 충격에 따른 변형량은 종간부재(120)의 길이에 비하면 미미할 수 있기 때문에 종간부재(120)의 강성이 어느 정도 확보된다면 구조해석상 종간부재(120)는 부러지지 않고 오히려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외부 충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110)는 전면에 천연 무늬 마감 처리된 합판을 포함하는 목재 패널로 마련되고, 종간부재(120)는 미송과 같은 침엽수 원목 각재(건조목)로 마련된다. Meanwhile, the
이에 따라, 마감재(110)가 전면에 무늬 마감 처리된 합판 목재로 마련됨으로써 벽체 구조물(100)의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마감재(110)의 휘어짐 특성이 우수해지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시공 비용도 절감되도록 할 수 있으며, 마감재(110)와 종간부재(120)가 친환경 소재인 나무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벽체 구조물(100)이 시공되는 체육시설이 인체에 무해한 환경으로 조성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finishing
또한, 마감재(110)는 전면에 무늬 마감 처리된 합판을 포함하는 목재 패널로 마련되되 방염 난연성을 더 갖도록 별도로 가공 처리되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마감재(110)가 전면에 천연 무늬 마감 처리된 합판을 포함하는 목재 패널로 마련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마감재(110)는 원목 패널로 마련될 수도 있다.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종간부재(120)가 원목 각재 중 미송과 같은 침엽수 원목 각재로 마련된 이유는 침엽수 원목재가 활엽수 원목재보다 다소 유연성을 더 갖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에 따른 종간부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간부재(130)의 전방에 콘크리트 못(11)과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The
횡간부재(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면(1)과 종간부재(120) 사이에 구비되되 각각은 수평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며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게 복수 개로 구비되어 완충 이격 공간(3)이 확보되도록 종간부재(120)를 고정시켜 지지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간부재(120)들이 각각 설치면(5)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여 마감재(110)가 평탄하게 설치되게 각각의 단면 크기 또는 형상이 서로 상이하게 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된다. 1 and 2, the
이에 따라, 횡간부재(130)에 의해 종간부재(120) 및 마감재(110)가 콘크리트 벽면(1)에 대해 완충 이격 공간(3)을 확보하도록 이격 배치되며 충격에 대한 지지력이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횡간부재(130)는 종간부재(120)의 상부 측과 하부 측이 각각 고정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횡간부재(130)는 종간부재(120)와 마찬가지로 원목재들 중 미송과 같은 침엽수 원목재(건조목)로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이에 따라, 마감재(110), 종간부재(120) 및 횡간부재(130)가 친환경 소재인 나무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벽체 구조물(100)이 시공되는 체육시설이 인체에 무해한 환경으로 조성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면(1)의 평탄도가 불량한 경우 종간부재(120)의 상부 측과 하부 측 각각에 배치된 횡간부재(130)들 간의 단면 크기나 형상이 서로 상이해지도록 하여 종간부재(120)들이 각각 설치면(5)에 대해 이루는 수직레벨을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간부재(130)들 중 어느 하나의 후방 또는 전방에 레벨 부재(170)(대략 두께 3 mm 정도의 합판으로 마련된)를 덧대어 종간부재(120)들이 각각 설치면(5)에 대해 이루는 수직레벨을 조절할 수도 있다. 3, when the flatness of the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간부재(130)는 콘크리트 벽면(1)에 콘크리트 못(11)과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때, 벽체 구조물(100)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에 횡간부재(130)에서 종간부재(120)가 횡간부재(130)의 전면에 결합되는 부위는 콘크리트 못(11)이 종간부재(120)와 횡간부재(130)를 관통하여 콘크리트 벽면(1)에 박히고, 전면에 종간부재(120)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은 콘크리트 못(11)이 횡간부재(130) 만을 관통하여 콘크리트 벽면(1)에 박히도록 시공될 수 있다. 2 to 4, the
충격흡수부재(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간부재(130)에 의해 종간부재(120)가 콘크리트 벽면(1)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되어 형성되는 완충 이격 공간(3)에서 종간부재(120)의 후면에 종간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대략 600 mm 정도)으로 이격 배치되게 복수 개로 구비되되, 횡간부재(130)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며, 각각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마감재(110) 및 종간부재(120)의 눌림에 의해 콘크리트 벽면(1)에 접촉되는 면적이 확장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최종적으로 완충시키도록 탄성 재질로 마련된다. 2,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충격흡수부재(140)는 콘크리트 벽면(1)을 향하는 후면에 복수의 완충 돌기부(141)가 돌출 형성된 방진고무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흡수부재(140)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종간부재(12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공지의 충격흡수물(예컨대,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토오션 스프링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 수지 화합물 등)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따라, 마감재(11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그 충격이 1차적으로 마감재(110)에서 완충 된 후, 종간부재(120)를 거쳐 충격흡수부재(140)로 전달될 때에 충격흡수부재(140)의 완충 돌기부(141)가 콘크리트 벽면(1)과 탄성 접촉 또는 탄성적으로 미세하게 슬라이딩 상대 이동되게 구비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마감재(110)의 전면 외측에 부딪힌 사람의 부상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간부재(120)의 상부 측 후방에 배치된 횡간부재(130)의 상부에는 상부 몰딩(150)이 구비되며, 종간부재(120)의 하부 측 후방에 배치된 횡간부재(130)의 하부에는 상부 몰딩(150)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는 하부 몰딩(160)이 구비된다. 1 and 2, an
이에 따라, 상부 몰딩(150) 및 하부 몰딩(160)에 의해 벽체 구조물(100)의 상부 및 하부에서의 시공 상태가 깔끔하게 마무리 되도록 할 수 있고, 하부 몰딩(160)의 단면적이 상부 몰딩(150)보다 더 크게 마련됨으로써 벽체 구조물(100)이 설치면(5)에 대해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되게 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부 몰딩(150) 및 하부 몰딩(160) 또한 원목재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부 몰딩(150) 및 하부 몰딩(160)은 라왕 각재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몰딩(160)은 측 단면상으로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설치면(5)과 만나는 하부 몰딩(160)의 하단부를 따라 하부 몰딩(160)을 보호하고 장식하도록 테돌림 된 걸레받이부(161)를 포함한다.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벽체 구조물(100)을 시공하는 방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ith this structure,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우선, 벽체 구조물(100)이 설치되는 콘크리트 벽면(1)이 시공되고 충분히 양생된 후, 콘크리트의 습도가 3 % 이내로 유지되는 상태(실내 체육관인 경우, 평균 실내 습도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변동폭은 15% 이내로 유지되어야 함)에서 상부 몰딩(150)이 설치될 부분을 미리 먹 메김을 해 놓고, 먹 메김 된 부분 아래에 수평으로 길이방향을 갖는 횡간부재(130)가 놓이도록 횡간부재(130)를 벽체 구조물(100)이 시공되는 콘크리트 벽면(1)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에 콘크리트 벽면(1)의 상부에 배치하고, 설치면(5)에 가까운 위치에 하부 몰딩(160)이 설치될 부분을 고려하여 그 위에 횡간부재(130)가 놓이도록 또 다른 횡간부재(130)를 하부에 배치한다(S10). 즉, 단계 10에서는 수평으로 길이방향을 갖는 횡간부재(130)를 상하 한 쌍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게 콘크리트 벽면(1)의 전방에 설치한다. First, when the
이때, 횡간부재(130)의 전면에서 종간부재(120)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은 콘크리트 못(11)으로 횡간부재(130)를 콘크리트 벽면(1)에 미리 고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region where the
본 발명에 따른 단계 10은 횡간부재(130)의 후방 또는 전방에 레벨 부재(170)를 덧대어 횡간부재(130)에 의해 지지 될 종간부재(120)들이 설치면(5)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게 수직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 벽면(1)의 평탄도가 불량한지의 여부를 레이저 빔 측정 방법 등을 통해 미리 알아내어 콘크리트 벽면(1)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 횡간부재(130)들 간의 단면 크기나 형상이 서로 상이해지도록 하여 종간부재(120)들이 각각 설치면(5)에 대해 이루는 수직레벨을 조절할 수도 있다. 만약, 콘크리트 벽면(1)의 평탄도가 양호한 경우(수직레벨의 편차가 3 mm 이하인 경우)라면, 단계 30은 생략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if the
레이저 빔을 이용해 콘크리트 벽면(1)의 평탄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부의 횡간부재(130)의 전면에서 설치면(5)에 가까운 하부의 횡간부재(130)의 전면을 향해 수직 하향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거나 하부의 횡간부재(130)의 전면에서 상부의 횡간부재(130)의 전면을 향해 수직 상향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다. In order to measure the flatness of the
단계 10에서 횡간부재(130)를 콘크리트 벽면(1)에 배치하고 난 후에, 수직으로 길이방향을 갖는 복수의 종간부재(120)들의 후면에 충격흡수부재(140)를 각각의 종간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게 부착하고 난 뒤, 횡간부재(130) 또는 레벨 부재(170)를 통한 수직레벨이 조절된 상태에서 종간부재(120)의 상부 측과 하부 측이 한 쌍의 횡간부재(130)를 통해 콘크리트 벽면(1)에 각각 고정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종간부재(120)를 횡간부재(130)의 전방에 설치하되, 콘크리트 벽면(1)의 수평방향을 따라 종간부재(120)들이 상호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게 종간부재(120)들을 복수 개 설치한다(S20). After placing the
이때, 횡간부재(130)가 종간부재(120)와 콘크리트 벽면(1)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못(11)이 종간부재(120)와 횡간부재(130)를 관통하여 콘크리트 벽면(1)에 박히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crete pegs 11 penetrate through the
단계 20에서 종간부재(120)들을 횡간부재(130)의 전방에 설치한 이후에,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의 패널타입으로 마련된 마감재(110)의 양단부가 콘크리트 벽면(1)의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의 종간부재(120)를 가로질러 종간부재(120)에 의해 지지 되도록 종간부재(120)의 전방에 마감재(110)를 복수 개 설치하여 복수의 마감재(110)들이 서로 맞대어 한 면을 이루도록 마감한다(S30).After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마감재(110)를 종간부재(120)의 전방에 설치하는 단계 30은 하부에서부터 상부를 향해 복수의 마감재(110)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30 of installing the finishing
이때, 어느 하나의 마감재(110)의 걸림부(111)가 위로 향하게 배치하고, 다른 하나의 마감재(110)의 물림 홈(113)이 아래로 향하게 배치하여 걸림부(111)가 물림 홈(113)에 끼워지도록 어느 하나의 마감재(110) 위에 다른 하나의 마감재(110)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한다. 그리고, 걸림부(111)가 형성된 마감재(110)의 측면 위에서 종간부재(120)를 향해 아래로 향하는 사선 방향으로 못(10)을 박아 종간부재(120)에 마감재(110)를 고정한다. At this time, the engaging
단계 30에서 마감재(110)를 종간부재(120)의 전방에 설치한 이후에, 종간부재(120)의 상부 측 후방에 배치된 횡간부재(130)의 상부에는 상부 몰딩(150)을 설치하고, 종간부재(120)의 하부 측 후방에 배치된 횡간부재(130)의 하부에는 하부 몰딩(160)을 설치한다(S40). An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부 몰딩(150)을 먼저 설치하고 하부 몰딩(160)을 나중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 몰딩(160)을 먼저 설치하고 상부 몰딩(150)을 나중에 설치할 수도 있다.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체육시설의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학생이나 선수들이 운동 중 충돌시 충격이 마감재(110), 종간부재(120) 및 충격흡수부재(140)를 거치는 동안 완충이 단계적으로 효과적으로 이뤄지게 됨으로써 학생이나 선수들의 부상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벽체 구조물(100)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tudent or the athlete is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sports facility, the impact is absorbed by the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 벽체 구조물 110 : 마감재
120 : 종간부재 130 : 횡간부재
140 : 충격흡수부재 150 : 상부 몰딩
160 : 하부 몰딩 170 : 레벨 부재 100: wall structure 110: finishing material
120: interspring member 130: transverse member
140: shock absorbing member 150: upper molding
160: lower molding 170: level member
Claims (8)
상기 콘크리트 벽면의 전방에 수평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되, 상하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 배치되게 설치된 횡간부재;
상기 한 쌍의 횡간부재의 전방에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횡간부재에 의해 지지 되게 수직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며, 탄성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벽면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게 복수 개로 구비된 종간부재;
서로 맞대어 한 면을 이루도록 복수 개의 패널 타입으로 구비되되, 각각은 수직방향의 길이보다 수평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면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종간부재에 양단부가 지지 되도록 결합 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일시적 휨 변형에 의해 완충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 마감재; 및
상기 횡간부재에 의해 상기 종간부재가 상기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되어 형성되는 완충 이격 공간에서 상기 종간부재의 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게 복수 개로 구비되며, 각각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마감재 및 상기 종간부재의 눌림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벽면에 접촉되는 면적이 확장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최종적으로 완충시키도록 탄성 재질로 마련된 충격흡수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물. In a wall structure provided on a concrete wall surface,
A transverse member provided horizontally longitudinally in front of the concrete wall surface and provided in a pair of upper and lower portion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air of transverse member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pair of transverse members so as to be vertically longitudinally coupled to the transverse member and supported by the transverse member and be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oncrete wall surface An interspacing member provided so as to be plural;
Each of which has a longer length in a horizontal direction than a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interposed member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 portions thereof are support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oncrete wall surface, A finish material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as to buffer the impact from a temporary bending deformation; An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spaced apart spaced apart longitudinally spaced spaced apart longitudinally spaced spacers are provided in the buffer spacing space formed by the transverse members spaced forward from the concrete wall surface, An impact absorbing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an area contacted with the concrete wall surface due to the pressing of the finishing material and the interspersed material is applied so as to ultimately cushion an impact from outside;
≪ / RTI >
상기 복수의 마감재는 서로 맞물려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plurality of finishe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종간부재는 상기 마감재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terlabial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rigidity than the finishing material.
상기 마감재는 합판을 포함하는 목재 패널로 마련되고, 상기 종간부재 및 상기 횡간부재는 원목재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ing material is provided by a wood panel comprising plywood, the interspersed material and the transverse material being made of a raw wood material.
상기 종간부재의 상부 측 상부에는 상부 몰딩이 구비되며, 상기 종간부재의 하부 측 하부에는 상기 상부 몰딩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는 하부 몰딩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물.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 upper molding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interposed member and a lower molding is provided on a lower side lower portion of the interposed member with a cross sectional area larger than a cross sectional area of the upper molding.
수직으로 길이방향을 갖되 후면에 충격흡수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게 부착된 탄성 재질의 종간부재의 일측과 타측을 상기 한 쌍의 횡간부재의 전방에 상기 콘크리트 벽면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게 복수 개 설치하는 단계; 및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의 패널타입으로 마련된 마감재가 수직방향의 길이보다 수평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구비되어 양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벽면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종간부재에 지지 되도록 상기 종간부재의 전방에 상기 마감재를 복수 개 설치하여 상기 복수의 마감재들이 서로 맞대어 한 면을 이루도록 마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Installing horizontally transverse members having a lengthwise direction in front of a concrete wall surfac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irs;
A pair of transverse member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transverse members and having an elastic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pair of transverse members so that the impact absorbing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talling a plurality of unit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onstant interval; And
A finishing material provided in a panel typ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is provided so as to be long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on the interspecie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oncrete wall surface,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finishing materials so as to face each other to form one face;
Wherein the wall structure comprises a plurality of walls.
상기 횡간부재를 상기 콘크리트 벽면의 전방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횡간부재에 레벨 부재를 덧대어 상기 횡간부재에 의해 지지 될 상기 종간부재들이 설치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게 수직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of installing the transverse member in front of the concrete wall includes the step of padding the transverse member with a level member to adjust the vertical level such that the interposed members to be supported by the transverse member ar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surface Wherein said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상기 마감재를 상기 종간부재의 전방에 설치하는 단계는 하부에서부터 상부를 향해 상기 복수의 마감재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installing the finishing material in front of the interposed member comprises engaging the plurality of finishing materials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04071A KR101476327B1 (en) | 2014-01-13 | 2014-01-13 |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04071A KR101476327B1 (en) | 2014-01-13 | 2014-01-13 |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6327B1 true KR101476327B1 (en) | 2014-12-24 |
Family
ID=5267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04071A KR101476327B1 (en) | 2014-01-13 | 2014-01-13 |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632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587A (en) * | 2018-06-29 | 2020-01-08 | 오영래 | Install Method of Module Structure construction for Piping Alignment installation site |
KR20200045421A (en) | 2018-10-22 | 2020-05-04 | 김민태 |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of a wall having anti-vibration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46786A (en) * | 1996-08-08 | 1998-02-17 | Sanyo Kogyo Kk | Installing structure and installing method of interior trim member |
KR101079835B1 (en) * | 2011-02-16 | 2011-11-03 | (주)필드테크 | Artificial wall for absorbing a shock of collision |
-
2014
- 2014-01-13 KR KR20140004071A patent/KR10147632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46786A (en) * | 1996-08-08 | 1998-02-17 | Sanyo Kogyo Kk | Installing structure and installing method of interior trim member |
KR101079835B1 (en) * | 2011-02-16 | 2011-11-03 | (주)필드테크 | Artificial wall for absorbing a shock of collisio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587A (en) * | 2018-06-29 | 2020-01-08 | 오영래 | Install Method of Module Structure construction for Piping Alignment installation site |
KR102146581B1 (en) * | 2018-06-29 | 2020-08-20 | 오영래 | Install Method of Module Structure construction for Piping Alignment installation site |
KR20200045421A (en) | 2018-10-22 | 2020-05-04 | 김민태 |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of a wall having anti-vibration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93440B (en) | Treadmill running board | |
US7735280B2 (en) | Shock absorber for sports floor | |
US20030172608A1 (en) | Flooring construction | |
US8622169B2 (en) |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rubber pad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floor using same | |
KR101476327B1 (en) |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WO2018204292A1 (en) | Modular sprung floor | |
US8931226B2 (en) | Shock-absorbing prefabricated wood flooring | |
CN109718499B (en) | Gymnastic balance beam comprising multilayer composite | |
KR101603096B1 (en) | Gymnastics mat having improved elastic swing floor | |
KR101269503B1 (en) | Wall Of Building Having Impact Absorption Member | |
US10731359B2 (en) | Modular sprung floor | |
EP4067601B1 (en) | Flooring-material system | |
KR101208485B1 (en) | A wood deck for impact absorber | |
EP1611930B1 (en) | Gymnastics exercise floor | |
US20210396025A1 (en) | Modular flooring system and subfloor assembly | |
KR100720809B1 (en) | Floor structure | |
ES2907006T3 (en) | floating floor | |
JP6063974B2 (en) | Shock absorbers, shock absorbing cosmetics, flooring and wall materials | |
KR102500147B1 (en) | Wood deck assembly | |
CN209179415U (en) | A kind of sub-floor assemblies for sports flooring systems | |
KR200465641Y1 (en) | Mat for golf training | |
KR101115065B1 (en) | structure for flooring single line underfloor support bea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thereof | |
KR20150080892A (en) | building material to noise prevention | |
JP5441251B2 (en) | Shock absorbing floor post | |
JPH11210212A (en) | Floor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