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786B1 - Anti-eavesdropping device applied to the building's open spac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nti-eavesdropping device applied to the building's open spac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786B1
KR101475786B1 KR20140074733A KR20140074733A KR101475786B1 KR 101475786 B1 KR101475786 B1 KR 101475786B1 KR 20140074733 A KR20140074733 A KR 20140074733A KR 20140074733 A KR20140074733 A KR 20140074733A KR 101475786 B1 KR101475786 B1 KR 101475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divided
eavesdropping
informa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4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보
이현보
Original Assignee
이현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보 filed Critical 이현보
Priority to KR2014007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7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7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Rooms, e.g. ANC inside a room, office, concert hall or automobile cabi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6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46Multiple acoustic inputs, multiple acoustic outputs

Landscapes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eavesdropping device applied to an open space of a building and a method thereof. The device includes: an sectional noise collection unit (M11-M16) which transmits noise information per each sec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people are in an open space of a building; sectional anti-eavesdropping speakers (S11-S66); a noise masking generation unit (200) which generates and outputs an anti-eavesdropping noise masking signal; a central memory unit (310) which stores speaker location information; and a central control unit (300) which controls to be transmitted to the noise masking generation unit (200) after generating anti-eavesdropping speaker search list information.

Description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 및 방법{Anti-eavesdropping device applied to the building's open space and method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eavesdropping device applied to an open space of a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에 벽이 없이 내부 공간이 개방된 장소인 개방형 장소를 구획으로 음향적으로 분할하여, 그 분할된 다수의 구획 중 사람들간에 대화가 진행되는 해당 구획 주변에만 도청을 방지시켜주는 소음정보인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주요 정보를 보호하고, 도청방지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구동전력비용을 절감시켜 주는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coustically dividing an open space, which is a place where an interior space is opened without a wall inside a building, into a compartment, and prevents tapping only around the compartment where conversation is taking place among the divided compartm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preventing conversation eavesdropping applied to an open space of a building, which reduces the driving power cost required to prevent important information and prevent eavesdropping by controlling the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

현대의 사회는 정보화 시대일 만큼 개인적인 정보나 대화내용이 고급정보로 취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를 도청하거나 녹취하는 사례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In modern society, personal information and conversation contents are treated as advanced information as much as in the information age, and the cases of tapping or recording are increasing.

즉, 산업계에서는 경쟁기업의 전략 파악을 위한 토론이나 전략기술의 심도 있는 아이디어 회의가 사내에서 수시로 열리는 등 치열한 정보전이 전개되고 있기 때문에 악의적인 의도를 갖는 업체에서 도청이나 산업스파이를 통해 이를 무단으로 강탈하는 행위가 난무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의 국가정보원은 홈페이지에서 2003년∼2006년 7월까지 3년7개월동안 산업스파이로 인한 피해액(업계 추산)이 약 90조원에 달한다고 밝히고 있을 정도이다.In other words, in the industry, intense information transfer is taking place in the company, such as discussions for understanding strategies of competitors and in-depth idea meetings of strategic technologies, so that companies with malicious intent can steal unauthorized through eavesdropping or industrial espionage There is a lot of activity to do. For example,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announced that the amount of damage caused by industrial espionage (estimated by industry) is about 90 trillion won over the period from 2003 to July, 2006, for 3 years and 7 months.

도청은 통신망에서 통화내용을 가로채어 엿듣는 통화 도청 및 대화가 이루어지는 사무실 등 현지에서의 대화내용을 몰래 청취하는 대화 도청(현지 도청)으로 구분된다. The eavesdropping is divided into conversation eavesdropping (local eavesdropping) which secretly listens to conversation contents in the local area such as the office where the conversation is intercepted and the conversation eavesdropping to intercept the conversation content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이에, 통화 도청을 방지하기 위한 도청 방지 장치로 종래의 전원선을 이용한 도청 방지 장치 및 방법(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제10-0906157호)이 제안되고 있다. Accordingly, an eavesdropping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conventional power lin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06157) has been proposed as an eavesdropping preven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on the telephone.

이러한 종래의 전원선을 이용한 도청 방지 장치 및 방법은 전원선을 통하여 극히 제한된 주파수 만이 전달되어 도청신호를 탐지하고 이를 무력화 하기 위해 전원선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신호 검출부와, 상기 신호 검출부로부터 필터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노이즈 마스킹 도청신호의 존재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도청신호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선으로 노이즈 마스킹 잡음신호를 송출하는 노이즈 마스킹 잡음신호 출력부를 통하여 도청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A conventional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eavesdropping using a power supply line includes a signal detector for receiving only a very limited frequency through a power line and detecting a signal to be intercepted and for filtering the signal through at least one frequency band And a noise masking noise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noise masking noise signal to the power line according to whether the wired signal is present or no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filtered signal from the signal detection unit, And the like.

그리고 대화 도청을 방지하기 위한 도청 방지 장치로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는 잡음을 방사하여 대화 음성을 뒤덮음으로써, 대화를 도청하여도 대화 음성을 알아들을 수 없도록 도청방지용 잡음신호를 출력하여 도청을 방지하는 사운드 마스킹(Sound Masking)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A device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to prevent conversation eavesdropping. A device for preventing conversation eavesdropping covers a conversation voice by emitting noise, so that a sound that prevents eavesdropping by outputting a noise signal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so that conversation voice can not be recognized even if eavesdropping A sound masking method has been proposed.

여기서, 사운드 마스킹은 다른 소리 때문에 어떤 소리 즉, 목적음을 듣기 어려운 청각 현상을 말한다. 즉, 주위가 시끄러울 때 여간해서 전화 소리를 알아들을 수 없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듣고자 하는 소리(목적음)가 다른 소리(방해음)에 마스크(가면)가 씌워지면서 도청하지 못하게 하는 방식이다.Here, sound masking refers to a hearing phenomenon that is difficult to hear a certain sound, that is, a target sound due to another sound. That is, when the surroundings are noisy, the telephone sound can not be heard. The sound (intended sound) to be heard is masked (masked) to other sounds (interfering sound) so that it can not be eavesdropped.

그런데 대화 도청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apparatus for preventing conversation eavesdropping for preventing conversation eavesdropping has the following problems.

현재 산업 및 연구시설 기반의 사무실, 국회, 보안을 위한 정부기관 사무실,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무실 등 도청 및 녹취 방지를 필요로 하는 장소의 경우 내부공간에 벽이 없이 내부 공간이 개방된 개방형 장소가 많을 뿐만 아니라 그 규모 또한 매우 크기 때문에 24시간 내내 방대한 규모의 개방형 장소 전체에 도청방지용 잡음신호를 출력해야 함으로써 가동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Currently, industrial and research facility-based offices, the National Assembly, government offices for security, offices providing legal services, and other places that require tapping and transcription prevention require an open space with no internal wall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cost is increased because the noise signal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is outputted in the entire open space of a large scale over the 24 hours.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내부에 벽이 없이 내부 공간이 개방된 개방형 장소를 음향적으로 구획으로 분할하여, 그 분할된 다수의 구획 중 사람들간에 대화가 진행되는 해당 구획 주변에만 도청을 방지시켜주는 소음정보인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oustically dividing an open space in which an interior space is opened without a wall inside a building into acoustically divided sections, And a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which is noise information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to be output only to the vicinity of the compartment where the conversation is proceeding.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는, 건물의 내부에 벽이 없이 내부 공간이 개방된 개방형 장소를 음향적 구획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하여 구획된 장소인 분할구획장소마다 설치되는 것으로, 해당 분할구획장소에 사람의 존재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구획에서 측정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하는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들과; 상기 각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마다 설치되는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과;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들마다 개별 연결되는 것으로,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을 통해 출력시키는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와; 건물의 개방형 장소가 도면으로 표시되고, 그 도면으로 표시된 건물의 개방형 장소가 구획으로 분할되며, 그 분할된 개방형 장소의 구획마다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 및 상기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의 위치가 표시되는 건물 개방형 장소의 분할구획상 집음부 및 스피커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중앙메모리부와;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로부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상기 중앙메모리부에 저장된 건물 개방형 장소의 분할구획상 집음부 및 스피커 위치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한 해당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를 중심으로 이웃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을 검색하여 추출하며, 그 검색에 의해 추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을 표시하는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에서 상기 전송된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 상에 표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만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한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의 주변(둘레)구획을 따라 도청방지용 대화발생구역 음향적 방음층이 구축되되,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한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기 형성되는 도청방지용 대화발생구역 음향적 방음층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preventing conversation eavesdropping applied to an open spac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 space in which an inner space is opened without a wall inside a building is divided into acoustic compartments, And a noise level detector for detecting a noise level of each of the divided compartments, wherein the noise level informa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compartments, With horns; A plurality of speakers for each of the divided compartments; A noise masking generator for individually generating a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noise masking signal through the speaker for intercepting the eavesdropping of each divided block; The open position of the building is represented by a figure, the open place of the building indicated by the figure is divided into sections, and the positions of the noise collectors of the divided sections and the speakers A central memory unit for sto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plit compartment of the building open position and the speaker position information; The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is received from the noise collecting sec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and the transmitted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is matched with the speaker sec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peaker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vided open space of the building stored in the central memory section, The speaker for the eavesdropping block for each of the neighboring divided sections is searched and extracted based on the noise collecting section fo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for which the noise information per zone has been transmitted, and the designated partition for displaying the eavesdropping speaker for each divided section extracted by the search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noise masking generator to generate the noise suppression search list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noise suppression search list information to the noise masking generator, Only the loudspeakers for intercepting eavesdropping are output. The acoustic noise insulation layer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eavesdropping is constructed along the peripheral (perimeter) section of the noise collec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divisional division transmitting the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And the acoustical sound insulating layer of the conversation occurrence area for preventing the tact is form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noise collecting part according to the divided section.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는, 해당 구획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입력되는 분할구획별 마이크와; 상기 분할구획별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해당 구획에서 발생한 소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인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생성하는 분할구획별 음성변환부와; 해당 구획에서 사람이 없을 때 측정된 소음의 크기인 구획별 무인 기준 소음정보가 저장되는 분할구획별 메모리부와; 상기 분할구획별 메모리부의 무인 기준 소음정보와 상기 분할구획별 음성변환부에서 생성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무인 기준 소음정보 보다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큰 경우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해당 구획에서 측정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분할구획별 비교판단부;로 이루어진다.Wherein the noise collecting unit fo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comprises: a microphone for each divided section into which noise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is input; A voice converter configured to generate nois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which is information indicating a magnitude of noise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input through the microphones for each divided section; A memory unit for each of the divided compartments storing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compartments, which is a magnitude of noise measured when no one is present in the compartment;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erson in the case where the noise information per unattached reference is larger than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in comparison with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in the memory section according to the divided section and the noi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vided section generated by the sound converting section according to the divided s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nois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삭제delete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에는, 마스킹용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킹용 메모리부에는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와 함께 설치되는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가 위치된 해당 구획마다 개별 측정된 주파수별 측정 소음레벨을 갖는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들이 저장되며,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는 상기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에 표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을 상기 마스킹용 메모리부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상기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에 표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의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의 음압 크기만큼 상기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가 출력되도록 생성한 후 해당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마다 개별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Wherein the masking memory unit is provided with a noise masking generator which is connected to the noise collecting unit for each divided compartment, The noise masking level information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for each divided section having a measured noise level is stored and the noise masking generator recognizes speakers for eavesdropping by the divided partitions indicated in the speaker search list information for the specified section noise,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measured noise level information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of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of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for each of the divided partitions displayed in the designated partition noise canceling loudspeaker search list information extracted by matching the loudspeakers for the eavesdropping by the compartments with the masking memory part So that the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is outputted Then it controls so that the divided blocks by tapping off an individual output for each of the speakers.

본 발명의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를 이용하여 건물의 거대한 개방형 공간 중 소음이 발생한 개방형 공간의 특정구획을 중심으로 도청방지용 대화발생구역 음향적 방음층이 구축되는 과정은, 건물의 내부에 벽이 없이 내부 공간이 개방된 개방형 장소가 구획으로 분할되고, 그 분할구획된 장소인 분할구획장소마다 설치된 각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에서 소음을 기설정된 주기마다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에서 측정된 소음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측정된 소음이 있는 경우 상기 각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에서 그 측정된 소음인 분할구획별 소음정보와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측정된 해당 구획에서 사람이 없을 때 측정된 소음의 크기인 구획별 무인 기준 소음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무인 기준 소음정보보다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큰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무인 기준 소음정보보다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큰 경우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생성한 해당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에서 그 생성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중앙메모리부에 저장된 건물 개방형 장소의 분할구획상 집음부 및 스피커 위치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한 해당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를 중심으로 이웃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을 검색하여 추출하며, 그 검색에 의해 추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을 표시하는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에서 상기 전송된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에 표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을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 정보들과 매칭하여 추출되는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에 표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의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의 주파수 크기만큼 조정된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에 상기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에 표시된 각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의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의 주파수 크기만큼 조정된 상기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들을 그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들에 대응되는 각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 별로 개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각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에서 전송되는 상기 각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들이 출력되어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한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의 주변(둘레) 구획을 따라 형성되는 도청방지용 대화발생구역 음향적 방음층을 구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acoustical sound insulation layer in the dialog generation area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around the specific compartment of the open space where the noise is generated in the huge open space of the building using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conversation tearing applied to the open space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ing an amount of noise at every predetermined interval in each of the divided compartments of the divided compartments installed in the divided compartments, which is an area where the compartments are divide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noise measured at the noise collecting part according to each of the divided partitions; The measured noises of each divided section a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noises of the divided sections and the noise information of the divided sections is measured by the noise collecting section of each divided section, Determining whether the noise information of each divided section is larger than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reference noise information; Transmitting nois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to the central controller when the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is larger than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receives the noise information of each divided section and matches the transmitted noise information of each divided section with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divided section of the open space of the building and the speaker posi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central memory unit, The speaker for the eavesdropping block for each of the neighboring divided blocks is searched and extracted based on the noise collecting portion for each of the divided subdivisions to which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Generating speaker search lis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noise masking generator; The noise masking generator recognizes the speakers for eavesdropping according to the divided partitions indicated i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of the speaker search list for blocking the noise of the specified section and transmits the measured sound level information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to each divided section Generating noise masking signal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adjusted by the frequency magnitude of the measured noise level information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by the divided partitions of the speakers for eavesdropping by the divided partitions displayed in the search list information for the designated subdivisions for matching with the specified subdivisions to be extracted, ; The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which is adjusted by the frequency magnitude of the measured noise level information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by the divided partitions of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for each of the divided partitions displayed in the designated partition noise canceling speaker search list information, Separatel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avesdropping loudspeakers for each of the divided partitions corresponding to the noise masking signals for prevention; The noise masking signals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transmitted from the speakers for intercepting the eavesdropping fo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are outputted and the eavesdropping sound is generated along the peripheral section of the noise collecting sec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And establishing an acoustically soundproofing layer for preventing a dialogue occurrence zone.

상기 무인 기준 소음정보보다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큰 경우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생성한 해당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에서 그 생성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기설정된 회수 이상 무인 기준 소음정보보다 큰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만 반복생성된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hen the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is larger than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generated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to the central control unit in the noise collecting unit for each divided partition, Wherein the noise collection unit for each divided block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repeated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block genera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only when the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block is generated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unction.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에 벽이 없이 내부 공간이 개방된 개방형 장소를 구획으로 분할하여, 그 분할된 다수의 구획 중 사람들간에 대화가 진행되는 해당 구획 주변에만 도청을 방지시켜주는 소음정보인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도청방지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구동전력비용을 절감시켜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eavesdropping, which is noise information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only in the vicinity of a compartment where conversation is taking place among a plurality of divided spaces, by dividing an open- The noise masking signal is output so that the driving power cost required for performing the eavesdropping prevention is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건물의 개방형 장소에 구획되어 분할설치되는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들 및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건물의 개방형 장소에 구획되어 분할설치되는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를 세세하게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를 이용하여 건물의 거대한 개방형 공간 중 소음이 발생한 개방형 공간의 특정구획을 중심으로 도청방지용 대화발생구역 음향적 방음층이 구축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conversation eavesdropping applied to an open space of a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noise collecting parts according to divided partitions divided and installed in an open place of a building among constituent devices for preventing conversation eavesdropping applied to an open space of a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a noise collec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artitioned and installed in an open space of a building,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n acoustical soundproofing layer for a conversation occurrence area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is constructed around a specific compartment of an open space where noise is generated in a huge open space of a building using a device for preventing conversation tearing applied to an open space of a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건물의 개방형 장소에 구획되어 분할설치되는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들 및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들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건물의 개방형 장소에 구획되어 분할설치되는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를 세세하게 나타낸 블록구성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를 이용하여 건물의 거대한 개방형 공간 중 소음이 발생한 개방형 공간의 특정구획을 중심으로 도청방지용 대화발생구역 음향적 방음층이 구축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device for preventing conversation eavesdropping applied to an open spac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preventing conversation eavesdropping applied to an open spac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conversation eavesdropping applied to an open spac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details of a noise collecting part according to a divided partition divided and installed;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details of an open space in which a noise is generated in a huge open space of a building using a device for preventing conversation e-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acoustic sound insulation layer in the dialog occurrence area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around the compartment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는 크게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들,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 중앙메모리부(310) 및 중앙제어부(30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interactive eavesdropping applied to the open space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the sound collecting units M11 ... M66 for the divided compartments, the sound intercepting speakers S11 ... S66 for the divided compartments, A generator 200, a central memory unit 310, and a central control unit 300. [

먼저,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들은 건물의 내부에 벽이 없이 내부 공간이 개방된 장소인 개방형 장소(OP)를 구획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하여 구획된 장소인 분할구획장소마다 개별 컨트롤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해당 분할구획장소에 사람의 존재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구획에서 측정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하는 부재들이다. First, the noise collecting units M11 ... M66 of the divided compartments are divided into compartments, which are open spaces (OP) where the internal space is open without a wall inside the building, and each of the divided compartments Which are installed to be able to individually control whether or not a person exists in the divided partitioning place, and transmit the noise information of the divided partition measured in the corresponding part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erson.

이때, 건물의 개방형 장소(OP)가 적용되는 시설에는 산업 및 연구시설 기반의 사무실, 국회, 보안을 위한 정부기관 사무실,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무실, 병원 및 상담실 등 정보통제 및 보안을 요하는 장소이다. In this case, the facilities to which the open space (OP) of the building is applied include offices based on industrial and research facilities, government offices for security, offices providing legal services, offices requiring hospitals and counseling rooms, to be.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의 세부구성은 해당 구획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입력되는 분할구획별 마이크(110), 분할구획별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된 해당 구획에서 발생한 소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인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단위:dBA)를 생성하는 분할구획별 음성변환부(120), 해당 구획에서 사람이 없을 때 측정된 소음의 크기인 구획별 무인 기준 소음정보(단위:dBA)가 저장되는 분할구획별 메모리부(130) 및 분할구획별 메모리부(130)의 무인 기준 소음정보와 상기 분할구획별 음성변환부(120)에서 생성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무인 기준 소음정보 보다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큰 경우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해당 구획에서 측정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상기 중앙제어부(3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분할구획별 비교판단부(140)로 이루어진다.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noise collecting units M11 ... M66 of the divided compartments to perform the functions is as follows.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compartments is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s 110 and the dividing compartments 110, A sound converting unit 120 for each divided section to generate noise information (in units of dBA) per divided section, which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ize of noise generated in the relevant section, The noise level information of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of the memory unit 130 according to the divided partition and the memory unit 130 according to the divided partition in which the reference noise information (unit: dBA)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erson in the case where the noise information per the divided section is larger than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in preparation for the noise information so that the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measured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300 It comprises a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140 by a split pane.

여기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사람들 간의 대화가 아닌 일시적 소음(예를 들어, 문이 닿히는 소음이거나 물건이 떨어져 발생하는 단발성 소음)일 경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의 분할구획별 비교판단부(140)는 측정되는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기설정된 시간(일예로, 1분)동안 기설정된 회수(일예로 10회) 이상 무인 기준 소음정보보다 큰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만 반복생성된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송되도록 프로그래밍화 함으로써, 도청방지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구동전력비용의 절감이 극대화될 수 있게 제공한다. In this case, when the noise information of each divided section is not a conversation among people but a temporary noise (for example, a door noise or a single noise in which an object falls), the comparative judgment unit 140) generates only repeatedly generated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compartment that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10 times)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one minute) And the noise information of each divided section is programmed to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thereby maximizing the reduction of the driving power cost required to perform the eavesdropping prevention.

그리고 구획별 무인 기준 소음정보의 단위로 'dBA'를 이용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The reason for using 'dBA' as a unit of the noise information of unmanned reference by each zone is as follows.

소음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는 "데시벨(dB)"을 사용하며,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음압 레벨은 0 - 120 dB 이상이면 통증을 느끼게 된다. 소음을 측정할 때는 "dB"라는 물리적인 수치만으로는 불충분하기 때문에 소음에 노출된 사람의 피해 평가와 사회적인 반응을 보다 더 적절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보정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음이라 할지라도 듣는 사람의 상태, 조건, 작업 환경 등에 따라 그 소리를 체감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DB" is used as the unit of the intensity of the noise, and the sound level that the human can hear is 0 to 120 dB or more. Since the physical value of "dB" is insufficient to measure noise, several factors are considered to compensate for the damage assessment and social response of people exposed to noise more appropriately. In other words, even if the same note is heard, the degree of feeling of the sound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condition, and working environment of the listener.

이를 위해, 기계로써 측정되는 수치 레벨에 많은 보정인자를 가감하여 소음 레벨을 보정해야 한다. 보통 소리의 감각적인 크기의 레벨을 그 특성에 따라 주파수 보정을 하여 A, B, C, D로 표시하게 되는데, 그 중 A 특성은 사람의 귀가 고주파수 일수록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는 청감 특성을 고려하여 보정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소음도를 평가 할 때, 사용되며 dB(A)와 같은 단위로 사용한다.To do this, the noise level must be corrected by adding or subtracting many correction factors to the numerical level measured by the machine. A, B, C, and D indicate the level of the sensory level of the normal sound by frequency corre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Among them, the A characteristic is correct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uditory characteristic which indicates a sensitive response It is generally used to evaluate the noise level and is used in units such as dB (A).

상기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은 상기 각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와 같은 구획에 한조로 설치되어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가 출력됨으로써,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제공한 해당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의 주변으로 도청방지용 대화발생구역 음향적 방음층(SP)이 구축되어 사람들 간에 대화가 진행되는 구획에만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가 출력됨으로써, 도청방지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구동전력비용을 절감시켜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 S66) fo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are installed in the same compartment as the noise collecting sections (M11 ... M66) for the respective divided sections, and a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is output, An acoustic sound-proofing layer SP is formed around the noise collecting sections M11 ... M66 provided for the respective divided sections, and a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is outputted only to the section where the conversation proceeds between the people, Thereby reducing the driving power cost required to perform the protection.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는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들마다 음향적으로 구획된 구간에 한 대의 기계로 개별 채널을 할당하여 개별 연결되는 것으로,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를 채널 별로 생성하여 이를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통해 출력시키는 부재이다.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is connected individually by allocating individual channels to one acoustically partitioned section of the noise collecting units M11 ... M66 of the divided part, And outputs it through the speaker for interception blocking (S11 ... S66) according to the divided partitions.

이를 위해,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에는 마스킹용 메모리부(210)가 구비된다. To this end,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is provided with a masking memory unit 210.

이처럼 구비되는 마스킹용 메모리부(210)에는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와 함께 설치되는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가 위치된 해당 구획마다 개별 측정된 주파수별 측정 소음레벨을 갖는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들이 저장된다.In the masking memory unit 21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individual measured frequency-by-frequency measurement is performed for each of the compartments in which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through S66 for the divided compartments, which ar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sound collecting units M11 through M66 for the divided compartments, Measured noise level information for prevention of eavesdropping by a divided section having a noise level is stored.

이를 통해,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는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에 표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마스킹용 메모리부(210)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에 표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의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의 주파수별 음압의 크기만큼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가 출력되도록 생성한 후 해당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마다 개별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ccordingly,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recognizes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 S66) for each of the divided partitions indicated in the speaker search list information for the designated partition noise reduction, and detects the loudspeakers (S11 ... S66) are matched with the masking memory unit 210, and the frequencies of the measured noise level information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of the divided sections of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 S66) So as to output a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by the magnitude of the respective sound pressure, and then controls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to S66) fo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to be individually output.

이처럼,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에서 건물의 개방형 장소(OP)가 분할된 각 구획마다 주파수 특성 및 음압의 크기가 다른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가 출력되는 주된 이유는 해당 구획마다 놓여지는 구조물(일예로, 책상이나 의자, 관상용 식물 등)의 설치 또는 배치에 따라 소음발생패턴이 변화되기 때문이다. The main reason why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outputs the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which is different i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and the sound pressure magnitude from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of the open space OP of the building is that the structure , A desk, a chair, an ornamental plant, etc.), the noise generation pattern is changed.

이에, 해당 구획마다 놓여지는 구조물이 가감 설치되거나 또는 배치가 변경된 경우 해당 구획에서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를 재차 측정하고, 재차 측정된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를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의 마스킹용 메모리부(210)에 등록저장하여 항시 최적의 도청방지용 소음레벨을 갖는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가 출력될 수 있게 제공한다. If the structure placed on each of the compartments is added or subtracted or the arrangement is changed, the measured noise level information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by each divided block is measured again in the corresponding compartment, and the measured noise level information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And a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an eavesdropping sound having an optimal eavesdropping noise level at all times is output.

그리고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에서 생성되는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의 종류로 거의 모든 주파수 범위에서 주파수 성분의 강도가 같은 세기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또는 가청 주파수대역에서 모든 소리를 고르게 가지고 있는 핑크 노이즈(Pink Noise), 사용자가 원하는 별도의 입력신호 등 다양한 노이즈를 적용할 수 있다. The noise masking signal generated by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is a type of a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In the white noise or the audibl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intensity of the frequency component is distributed uniformly in almost all frequency ranges, You can apply various noise such as pink noise (Pink Noise) that you have and separate input signal that you want.

또한 각 채널별 1/6 밴드 이상의 이퀄라이즈가 내장되어 각 채널을 주파수별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1/6 band or more equalization is built in each channel, and each channel is controlled by frequency.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와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 사이에는 증폭기가 구비되어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n amplifier is provided between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and the speaker for intercepting tapes S11 to S66 for each divisional section to amplify and output a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an eavesdropping.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로부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받고, 그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한 해당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를 중심으로 이웃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검색하여 추출되는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식별하는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에서 상기 전송된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 상에 표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만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가 출력되도록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The central control unit 300 receives the noise information of each divided compartment from the noise collecting units M11 ... M66 of the divided compartments and transmits the noise information of the divided compartments to the noise collecting units M11 ... M66 of the corresponding divided compartments (S11 ... S66) for each of the divided subdivisions by searching for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 S66) for each subdivision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divided subdivision, The sound masking generator 200 controls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to transmit the sound signal to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detects the sound signal of the sound signal from the speaker S11 ... S66 ) Are individually controlled so as to output a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이를 위해, 중앙제어부(300)에는 중앙메모리부(310)가 구비된다. To this end, the central control unit 300 is provided with a central memory unit 310.

이처럼, 구비되는 중앙메모리부(310)에는 건물의 개방형 장소(OP)가 도면으로 표시되고, 그 도면으로 표시된 건물의 개방형 장소(OP)가 구획으로 분할되며, 그 분할된 개방형 장소(OP)의 구획마다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 및 상기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의 위치가 표시되는 건물 개방형 장소의 분할구획상 집음부 및 스피커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In this way, the open space OP of the building is displayed in the figure, the open space OP of the building shown in the figure is divided into the compartments, and the divided open space OP And a divided compartment wind part and speaker position information of a building open place where the positions of the sound collecting parts M11 ... M66 for the divided partitions and the speakers S11 ... S66 for the respective divided partitions are displayed are stored for each compartment.

이를 통해, 중앙제어부(300)는 상기 중앙메모리부(310)에 저장된 건물 개방형 장소의 분할구획상 집음부 및 스피커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entral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generation of the speaker search list information for the designated section noise by referring to the speaker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vided compartment of the building open space and the speaker posi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central memory unit 310 .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를 이용하여 건물의 거대한 개방형 공간 중 소음이 발생한 개방형 공간의 특정구획을 중심으로 도청방지용 대화발생구역 음향적 방음층이 구축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By using a device for preventing conversation eavesdropping applied to an open space of a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n acoustic soundproofing layer for a conversation occurrence area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is formed around a specific compartment of an open space where noise is generated in a large open space of a building The process of building is as follows.

먼저, 건물의 내부에 벽이 없이 내부 공간이 개방된 개방형 장소(OP)가 음향적인 구획으로 분할되고, 그 분할구획된 장소인 분할구획장소마다 설치된 각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에서는 해당 구획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기설정된 주기마다 측정(S100)한다. First, an open space (OP) in which an inner space is opened without a wall inside a building is divided into acoustic compartments, and noise collecting units (M11 ... M66) for each divided compartment installed in each divided compartment, The noise generated in the compartment is measur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100).

만약 각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에서 측정된 소음이 있는지 확인(S110)되면, 그 소음이 측정된 해당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는 그 측정된 소음인 분할구획별 소음정보와 분할구획별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구획별 무인 기준 소음정보를 대비하여 무인 기준 소음정보보다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큰지 확인(S120)하여 아닌 경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에서는 해당 구획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기설정된 주기마다 계속 측정(S100)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noise measured in the sound collecting units M11 ... M66 for each divided section S110, the noise collecting units M11 ... M66 of the corresponding divided compartments for which the noise is measured, If the noise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noise information with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of the compartments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according to the divided partition (S120), the noise collecting unit (M11 ... M66) performs the function of continuously measuring the noise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S100).

한편, 무인 기준 소음정보보다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큰 경우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생성한 해당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는 그 생성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기설정된 회수 이상 발생한 경우에 해당되면 중앙제어부로 전송(S130)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noise information of each divided sec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the noise collecting units (M11 ... M66) If it occurs more than the preset number of times, it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S130).

이후, 중앙제어부(300)는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중앙메모리부(310)에 저장된 건물 개방형 장소의 분할구획상 집음부 및 스피커 위치정보와 매칭하여 해당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를 중심으로 이웃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검색하여 추출되는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식별하는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로 전송(S140)한다. The central control unit 300 then compares the noise information of each divided compartment with the sound information of the divided compartments of the building open space and the speaker posi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central memory unit 310, (S11 ... S66) for each of the subdivisions by searching for the neighboring divided subdivisions (S11 ... S66) for each of the subdivision subdivisions, generates a subdivision sound-isolating speaker search list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ubdivision- And transmits it to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S140).

이후,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는 전송된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에 표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마스킹용 메모리부(210)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에 표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의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의 음압 크기만큼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가 출력되도록 생성(S150)한다. Thereafter,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recognizes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 S66) for the divided partitions indicated in the sent speaker search list information for noise reduction for the designated subdivision, ... S66) of the eavesdropping prevention speaker (S11 ... S66) fo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which are extracted by matching with the masking memory 210, And generates a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an eavesdropping by a sound pressure level (S150).

이후,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는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에 표시된 각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의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의 주파수 크기만큼 조정된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들을 그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들에 대응되는 각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 별로 개별 전송(S160)한다. Thereafter,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generates the noise suppression signal for the eavesdropping intercepting speaker (S11 ... S66) for each of the divided subdivisions indicated in the speaker search list information for the specified subdivision noise- (S160) for each of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 S66) fo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corresponding to the noise masking signals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이후, 각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는 전송되는 각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들이 출력되어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한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의 주변으로 도청방지용 대화발생구역 음향적 방음층(SP)이 구축(S170)됨으로써, 대화가 발생하는 구역에서만 도청방지용 대화발생구역 음향적 방음층(SP)이 형성되어 도청방지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구동전력비용을 절감시켜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Thereafter,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 S66) fo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are outputted to the periphery of the noise collecting sections (M11 ... M66) for the divided sections, from which the transmitted noise masking signal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are outputted and transmitted the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The acoustic sound-proofing layer SP is formed (S170) so that the acoustic sound-proofing layer SP is formed only in the area where the conversation occurs, and the driving power cost Which can be advantageous.

이후,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의 분할구획별 비교판단부(140)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측정되는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무인 기준 소음정보보다 작을 경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의 전송이 중단되고, 중앙제어부(300)는 분할구획별 소음정보의 전송이 중단되면 이를 토대로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로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의 전송을 중지함으로써,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에서 더이상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를 생성하지 않아, 대화가 발생할 때에만 도청방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제어함으로써, 도청방지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구동전력비용을 절감시켜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The comparative determination unit 140 of each of the divided compartments of the noise collecting units M11 ... M66 of the divided compartments transmits the noise information of the divided compartments when the noise information of the divided compartments measured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is smaller than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300 suspends transmission of the speaker search list information for the designated partition noise reduction to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based on the interruption of the transmission of the noise information for each partition, The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is no longer generated, thereby controlling the eavesdropping function only when a conversation occurs, thereby reducing the driving power cost required for performing eavesdropping prevention.

110 : 분할구획별 마이크 120 : 분할구획별 음성변환부
130 : 분할구획별 메모리부 140 : 분할구획별 비교판단부
200 :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 210 : 마스킹용 메모리부
300 : 중앙제어부 310 : 중앙메모리부
OP : 개방형 장소
SP : 도청방지용 대화발생구역 음향적 방음층
M11…M66 :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
S11…S66 : 분할구획별 도청 차단용 스피커
110: Microphone according to dividing section 120:
130: Memory part for each divided part 140: Comparison part for each divided part
200: Noise masking generator 210: Memory for masking
300: central control unit 310: central memory unit
OP: Open place
SP: Acoustic sound insulation layer
M11 ... M66: Sound collector for each division
S11 ... S66: Speaker for intercepting by divisional partition

Claims (7)

건물의 내부에 벽이 없이 내부 공간이 개방된 개방형 장소(OP)를 음향적 구획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하여 구획된 장소인 분할구획장소마다 설치되는 것으로, 해당 분할구획장소에 사람의 존재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구획에서 측정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하는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들과;
상기 각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마다 설치되는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과;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들마다 개별 연결되는 것으로,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통해 출력시키는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와;
건물의 개방형 장소(OP)가 도면으로 표시되고, 그 도면으로 표시된 건물의 개방형 장소(OP)가 구획으로 분할되며, 그 분할된 개방형 장소(OP)의 구획마다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 및 상기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의 위치가 표시되는 건물 개방형 장소의 분할구획상 집음부 및 스피커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중앙메모리부(310)와;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로부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상기 중앙메모리부(310)에 저장된 건물 개방형 장소의 분할구획상 집음부 및 스피커 위치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한 해당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를 중심으로 이웃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검색하여 추출하며, 그 검색에 의해 추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표시하는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300);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에서 상기 전송된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 상에 표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만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한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의 주변(둘레)구획을 따라 도청방지용 대화발생구역 음향적 방음층(SP)이 구축되되,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한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의 설치위치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도청방지용 대화발생구역 음향적 방음층(SP)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
(OP)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opened without a wall inside a building is divided into acoustical compartments, and each compartmen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compartments. (M11 ... M66) for each of the divided compartments to transmit the noise information of the divided compartments measured in the compart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erson;
(S11 ... S66) for each of the divided compartments, each of which is provided for each of the sound collecting units (M11 ... M66) for each of the divided compartments;
A noise masking generator 200 for generating a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noise masking signal through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 S66 fo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Wow;
The open area OP of the building is represented by a figure and the open area OP of the building shown in the figure is divided into sections, and the perforations of the divided open spaces OP are divided into the sound collecting sections M11 ... M66), and a central memory unit (310) for storing the speaker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vided section of the building open space where the positions of the loudspeakers (S11 ... S66) for dividing the divided sections are displayed;
M66, ..., M66, ..., M66, ..., M66, ..., M66, ..., M66, ..., M66, ..., M66, M66, M66, M63, M63, M63, M63, M63, M63, M63, M63, M63, M63, M63, A central control unit (not shown) for generating speaker search list information for designating a specific partition for noise suppression indicating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 S66) for each divided section extracted by the search,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arch list information to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300), so that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can prevent the speaker from interfering with each of the divided compartments (S11 ... S66) to output a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and a dialog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is genera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noise collecting units M11 ... M66 of the divided compartments Wherein the acoustic acoustic insulation layer (SP) is constructed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noise collecting parts (M11 ... M66) of the divided compartments transmitting the noise information of the divided compartments, (SP) of the building is vari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는,
해당 구획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입력되는 분할구획별 마이크(110)와;
상기 분할구획별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된 해당 구획에서 발생한 소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인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단위:dBA)를 생성하는 분할구획별 음성변환부(120)와;
해당 구획에서 사람이 없을 때 측정된 소음의 크기인 구획별 무인 기준 소음정보(단위:dBA)가 저장되는 분할구획별 메모리부(130)와;
상기 분할구획별 메모리부(130)의 무인 기준 소음정보와 상기 분할구획별 음성변환부(120)에서 생성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무인 기준 소음정보 보다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큰 경우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해당 구획에서 측정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상기 중앙제어부(3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분할구획별 비교판단부(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ise collectors M11 ... M66 of the divided sections are,
A microcomputer 110 for dividing the microcomputer into a noise generated in the compartment;
A speech segment converting section 120 for generating noise information (unit: dBA) according to the divided segment, which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magnitude of noise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segment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s 110 according to the segment segment;
A memory unit 130 for each divided section in which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unit: dBA) for each of the compartments, which is the magnitude of the noise measured when there is no person in the compartment, is stored;
Comparing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of the divided partition memory unit 130 with the noise information of the divided partition generated by the speech converting unit 120 of each divided block to determine that the noise information per divided partition is larger than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140) for determining that there is a person and controlling the noise to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300) based on the measured noise level of the divided zone in the corresponding zone Applied conversation eavesdropping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에는, 마스킹용 메모리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킹용 메모리부(210)에는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와 함께 설치되는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가 위치된 해당 구획마다 개별 측정된 주파수별 측정 소음레벨을 갖는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들이 저장되며,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는 상기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에 표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상기 마스킹용 메모리부(210)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상기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에 표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의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의 주파수별 음압의 크기만큼 상기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가 출력되도록 생성한 후 해당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마다 개별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includes a masking memory 210,
The masking memory unit 210 is provided with a nois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frequency of each measured frequency for each of the compartments in which the loudspeaker interception loudspeakers S11 ... S66 for each of the divided compartments installed along with the sound collecting units M11 ... M66 for the divided compartments are located, The measured noise level information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of each divided segment having the level is stored,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recognizes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 S66 according to the divided partitions indicated in the speaker search list information for blocking the noise in the designated section, Of the measured noise level information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of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of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 S66 according to the divided partitions, which are extracted by matching with the masking memory unit 210, (S11 ... S66) for each of the divided subdivisions is output after the generation of the noise masking signal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by the magnitude of the sound pressure per frequency, Device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건물의 내부에 벽이 없이 내부 공간이 개방된 개방형 장소(OP)가 구획으로 분할되고, 그 분할구획된 장소인 분할구획장소마다 설치된 각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에서 소음을 기설정된 주기마다 측정하는 단계(S100)와;
상기 각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에서 측정된 소음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10)와;
측정된 소음이 있는 경우 상기 각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에서 그 측정된 소음인 분할구획별 소음정보와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측정된 해당 구획에서 사람이 없을 때 측정된 소음의 크기인 구획별 무인 기준 소음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무인 기준 소음정보보다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큰지 확인하는 단계(S120)와;
상기 무인 기준 소음정보보다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큰 경우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생성한 해당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에서 그 생성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S130)와;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중앙메모리부(310)에 저장된 건물 개방형 장소의 분할구획상 집음부 및 스피커 위치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한 해당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를 중심으로 이웃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검색하여 추출하며, 그 검색에 의해 추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표시하는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140)와;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에서 상기 전송된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에 표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을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 정보들과 매칭하여 추출되는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에 표시된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의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의 주파수 크기만큼 조정된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S150)와;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에 상기 지정 구획 소음 차단용 스피커 검색리스트정보에 표시된 각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의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의 주파수 크기만큼 조정된 상기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들을 그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들에 대응되는 각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 별로 개별 전송하는 단계(S160)와;
상기 각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들에서 전송되는 상기 각 도청방지용 노이즈 마스킹 신호들이 출력되어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전송한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의 주변(둘레) 구획을 따라 형성되는 도청방지용 대화발생구역 음향적 방음층(SP)을 구축하는 단계(S1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 방법.
(OP) in which the interior space is opened without a wall in the inside of the building is divided into sections, and noise is generated in the sound collecting sections (M11 ... M66) for each divided section installed in each divided partitioning place Measuring (S100) every set period;
A step (S110)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noise measured at the sound collecting parts (M11 ... M66) of the divided partitions;
If the measured noise is present, the measured noises of the divided zones according to the divided zones and the noise information of the divided zones are measured by the noise collecting units M11 ... M66 of the respective divided zones, (S120) checking whether the noise information of each divided section is larger than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in comparison with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of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If the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is larger than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the generated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M11 ... M66)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S130);
The center control unit receives the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and matches the transmitted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with the speaker sec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speaker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pen space of the building stored in the central memory unit 310, (S11 ... S66) for each of the neighboring divided sections around the noise collecting sections (M11 ... M66) for the respective divided sections to which the noise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has been transmitted, and extracts the divided sections (S140) of generating a noise suppression search list information for a designated partition for displaying separate eavesdropping shielding speakers (S11 ... S66) and transmitting it to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recognizes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through S66 of the divided partitions indicated in the sentence search list information for blocking the noise transmitted to the designated section, ... S66) to be detected by matching with the measured noise level information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by each divided block Speaker for the noise suppression Test noise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by the divided sections of the eavesdropping speakers (S11 ... S66) Generating (S150) noise-masking signal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adjusted by the frequency magnitude of the level information;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adjusts the frequency of the measured noise level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of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of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 S66 fo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indicated by the speaker search list information for the designated section noise- A step (S160) of individually transmitting noise masking signal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to the respective eavesdropping speakers S11 ... S66 for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corresponding to the noise masking signals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The noise masking signals for preventing the respective eavesdroppers transmitted from the eavesdropping loudspeakers (S11 ... S66) for each of the divided partitions are outputted to the noise collectors (M11 ... M66) (S170) constructing an acoustic sound-proofing layer (SP) in which a conversation occurrence area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i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perimeter) section (S17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기준 소음정보보다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큰 경우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생성한 해당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에서 그 생성된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기설정된 회수 이상 무인 기준 소음정보보다 큰분할구획별 소음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만 반복생성된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정보를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f the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is larger than the unmanned reference noise information, the generated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section (M11 ... M66)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In this step,
Wherein the noise collection unit for each divided block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repeated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block genera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only when the noise information for each divided block is generated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마스킹 발생기(200)에는 상기 분할구획별 소음집음부(M11…M66)와 함께 설치되는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가 위치된 해당 구획마다 개별 측정된 주파수별 측정 소음레벨을 갖는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들이 저장된 마스킹용 메모리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분할구획별 도청차단용 스피커(S11…S66)가 설치된 해당 개방형 장소(OP)의 구획에 설치되는 구조물이 가감 설치되거나 또는 배치가 변경된 경우 해당 구획에서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를 재차 측정하고, 재차 측정된 분할구획별 도청방지용 측정 소음레벨정보를 상기 마스킹용 메모리부(210)에 갱신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noise masking generator 200 is provided with a sound level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sound levels of individual measured frequencies for each of the compartments in which the loudspeaker interception loudspeakers S11 ... S66 for each of the divided compartments installed with the sound collecting units M11 ... M66 for the divided compartments are located, And a masking memory unit 210 for storing measured noise level information for preventing an eavesdropping by each divided section,
If the structure installed in the compartment of the corresponding open area (OP) in which the loudspeakers (S11 ... S66) for intercepting the divided partitions are installed is installed or changed in arrangement, the measured noise level information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for each divided compartment is re- And the measured noise level information for preventing the eavesdropping by the divided partitions, which are measured again, is updated and stored in the masking memory unit (210).
KR20140074733A 2014-06-19 2014-06-19 Anti-eavesdropping device applied to the building's open space and method thereof KR1014757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4733A KR101475786B1 (en) 2014-06-19 2014-06-19 Anti-eavesdropping device applied to the building's open spa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4733A KR101475786B1 (en) 2014-06-19 2014-06-19 Anti-eavesdropping device applied to the building's open spac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786B1 true KR101475786B1 (en) 2014-12-31

Family

ID=52679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4733A KR101475786B1 (en) 2014-06-19 2014-06-19 Anti-eavesdropping device applied to the building's open spac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78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691B1 (en) * 2017-04-14 2018-02-21 동광전자 주식회사 Sound masking system
KR102300425B1 (en) * 2021-05-20 2021-09-09 주식회사 아큐리스 Noise masking method through variable masking sound level conversion
KR20220082227A (en) * 2020-12-10 2022-06-1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protecting voice information in roo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7174A (en) * 2005-03-22 2006-10-05 Yamaguchi Univ Device for protection of speech privacy
JP2008209785A (en) * 2007-02-27 2008-09-11 Yamaha Corp Sound mask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7174A (en) * 2005-03-22 2006-10-05 Yamaguchi Univ Device for protection of speech privacy
JP2008209785A (en) * 2007-02-27 2008-09-11 Yamaha Corp Sound masking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691B1 (en) * 2017-04-14 2018-02-21 동광전자 주식회사 Sound masking system
KR20220082227A (en) * 2020-12-10 2022-06-1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protecting voice information in rooms
KR102410962B1 (en) * 2020-12-10 2022-06-20 광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rotecting voice information in rooms
KR102300425B1 (en) * 2021-05-20 2021-09-09 주식회사 아큐리스 Noise masking method through variable masking sound level conver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96877B (en) On/off-head detection of personal audio devices
US85384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lized noise cancellation
KR100901772B1 (en) Device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through speakers
US8103007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speech intelligibility of audio announcement systems in noisy and reverberant spaces
KR101647974B1 (en) Smart earphone, appliance and system having smart mixing module, and method for mixing external sound and internal audio
KR101475786B1 (en) Anti-eavesdropping device applied to the building's open space and method thereof
JP2020197712A (en) Context-based ambient sound enhancement and acoustic noise cancellation
CN105247885A (en) Providing ambient naturalness in ANR headphones
CN104871556A (en) User interface for ANR headphones with active hear-through
JP2006267174A (en) Device for protection of speech privacy
CN105052170A (en) Reducing occlusion effect in ANR headphones
CN104871557A (en) Providing audio and ambient sound simultaneously in anr headphones
US10721562B1 (en) Wind noise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WO2016153149A2 (en) Auditory information security system
CN102754148A (en) Method, system and item
JP2008124918A (en) Masking device and masking system
KR101535112B1 (en) Earphone and mobile apparatus and system for protecting hearing,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JP2019507387A (en) Acoustic wall assembly with active noise disturbance characteristics and / or method of manufacture and / or use thereof
CN110612570A (en) Voice privacy system and/or associated method
CN110753961A (en) Voice privacy system and/or associated method
CN109889300B (en) Anti-eavesdropping and anti-stealing recording device and interference control method
US8760271B2 (en) Methods and systems to support auditory signal detection
KR100731816B1 (en) Eavesdropping preven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sound wave
US10405082B2 (en) Automatic keyword pass-through system
Peretti et al. Headphone noise: occupational noise exposure assessment for communication perso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