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463B1 - 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Google Patents

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463B1
KR101475463B1 KR1020130043731A KR20130043731A KR101475463B1 KR 101475463 B1 KR101475463 B1 KR 101475463B1 KR 1020130043731 A KR1020130043731 A KR 1020130043731A KR 20130043731 A KR20130043731 A KR 20130043731A KR 101475463 B1 KR101475463 B1 KR 101475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ner liner
container bag
contents
join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7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5651A (en
Inventor
최용덕
Original Assignee
최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덕 filed Critical 최용덕
Priority to KR1020130043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463B1/en
Publication of KR2014012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6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4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분체류 등의 내용물이 수용될 때 마찰력을 감소시켜 내구성이 향상되며, 분체류 사이에 포함된 공기를 빠르게 배출시켜 보관효율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넓게 형성된 중심부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 및 출구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 상기 출구부 및 상기 경사부는 상기 중심부와 연결되어 절개된 부분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형성되되, 상기 각 테두리는 기설정된 유로간격으로 이격된 제1접합라인과 제2접합라인으로 접합되고, 상기 경사부에 위치된 상기 제1접합라인에는 제1공기소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접합라인에는 상기 제1공기소통부와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제2공기소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제공한다.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by rapidly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when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and to improve the storage efficiency by quickly discharging the air contained in the minute residu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nal space for storing the minute residues, Wherein the inlet portion, the outlet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are formed by joining edges of a cut portion connected to the center portion, wherein the inlet portion, the outlet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are formed by joining edges of cut portions connected to the center portion Wherein each of the rims is joined to a first joint line and a second joint lin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flow passage interval, a first air communica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first joint line located at the inclined portion, And a second air communication part formed to be offset from the first air communication 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Provide an inner liner.

Description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본 발명은 이너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체류 등의 내용물이 수용될 때 마찰력을 감소시켜 내구성이 향상되며, 분체류 사이에 포함된 공기를 빠르게 배출시켜 보관효율성이 향상된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ner l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ner liner for a container bag, which has improved durability by reducing frictional force when contents are contained, .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 bag)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 분체류를 수납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로서, 유연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분체류의 수납과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Generally, a container bag is also called a FIBC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 big bag, a bulk bag, and a container bag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fractions such as grain or synthetic resin materials As an industrial bag, a flexible material is used to facilitate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minute batch.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백에는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고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으로 운반되어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At this time, the container bag contains contents of about 500 to 2000 kg of chemical, mineral, grain, synthetic resin powder material, cement, and the like, and is stored in a crane, a hoist, Transported and stored in a warehouse or carried on a truck.

특히, 작은 입자 상태의 화학물질이나 파우더형 약품 원료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 및 운반할 때에는 원료의 품질을 유지하고, 손실 및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 이너라이너를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을 상기 컨테이너 백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손실 및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Particularly,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raw material and to prevent loss and leakage when storing and storing the contents such as chemicals in a small particle state or raw materials for powder medicine. To this end, the inner liner is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bag so that the contents do not direct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ainer bag,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and also preventing loss and leakage of contents.

한편, 종래의 이너라이너는 내용물을 투입시키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와 연결되어 투입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 그리고 수용된 내용물을 필요에 따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너라이너는 직물이나 플렉서블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콤팩트하게 접혀 보관되며, 내용물을 수용할 때는 상기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 결합하여 부피를 갖도록 상기 수용부를 펼쳐 내용물을 투입하여 보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inner liner includes a charging portion for charging the contents, a receiv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harged contents, and a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the received contents if necessary. At this time, the inner liner is formed of a fabric or a flexible synthetic resin, is normally folded compactly and stored. When the contents are received, the inner liner is join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ag to exp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to have a volume.

하지만, 종래의 이너라이너는 상기 투입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분이 내용물의 투입 시 발생하는 흐름에 의한 마찰로 손상되어 내구성이 감소하며, 연결부분에 구멍이 나거나 연결부분이 끊어져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내용물이 상기 컨테이너 백으로 유실되거나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ner liner,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input portion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damaged by the friction due to the flow generated when the contents are inserted, thereby decreasing the durability, and a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ents are lost or contaminated by the container bag.

더욱이, 분체류로 형성된 내용물은 충전될 때 입자 사이에 많은 량의 공기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 같은 공기들이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면 상기 이너라이너가 공기로 인해 부풀어 있게 된다.Moreover, the contents formed by the minute retentive contain a large amount of air between the particles when filled. If such air can not be smoothly discharg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liner to the outside, the inner liner may swell due to the air do.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백이 다단으로 적재되면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이너라이너에 직접적으로 가해지게 되어 부푼 상태의 상기 이너라이너가 터져 내용물이 유실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다단으로 적층된 백이 내부 공기층의 유동으로 쓰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At this time, when the container bag is stacked in multiple stages, the load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is directly applied to the inner liner, so that the inner liner in a swollen state may blow out and the contents may be lost. As shown in FIG.

또한, 부풀어 있는 상태의 이너라이너가 수용된 상기 컨테이너 백은 유동적인 공기부분으로 인해 외형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안정된 지지력을 형성하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보관과 운반에 불편을 가중시키고 공간적인 낭비를 발생시키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bag in which the inner liner in a swollen state is accommodated can not be fixed firmly due to the fluid air portion, so that a stable supporting force can not be formed. Accordingly, inconvenience to storage and transportation is increased, .

따라서, 포장단계에서 상기 이너라이너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분체류의 입자 크기와 무게에 따라 공기를 배출시키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소비되어 작업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the air contained in the inner liner in the packaging step. However, the time required for discharging the air is excessively consumed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and weight of the pulp stream, There was a problem.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2780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2780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체류 등의 내용물이 수용될 때 마찰력을 감소시켜 내구성이 향상되며, 분체류 사이에 포함된 공기를 빠르게 배출시켜 보관효율성이 향상된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need to provide an inner liner for a container bag, which is improved in durability by reducing frictional force when contents of minute fractions are accommodated, The problem is solv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넓게 형성된 중심부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 및 출구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 상기 출구부 및 상기 경사부는 상기 중심부와 연결되어 절개된 부분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형성되되, 상기 각 테두리는 기설정된 유로간격으로 이격된 제1접합라인과 제2접합라인으로 접합되고, 상기 경사부에 위치된 상기 제1접합라인에는 제1공기소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접합라인에는 상기 제1공기소통부와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제2공기소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ner liner for a container bag, the inner liner including a central portion formed to accommodate therein minute particles, and a sloped portion formed at a portion where an inlet portion and an outlet portion, Wherein the outlet and the slope are joined to each other by a rim of a cut portion connected to the center portion, wherein the rims are joined by a first bonding line and a second bonding line spaced by a predetermined flow channel spacing, Wherein a first air communication part is formed in the first joint line located at an inclined part and a second air communication part formed in a staggered interval with the first air communication part is formed in the second joint line. Provides an inner liner for back.

더욱이, 상기 제1공기소통부 및 상기 제2공기소통부는 비접합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소통부를 지나 상기 제1접합라인과 상기 제2접합라인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1공기소통부로 배출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air communic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ir communicating portion are formed as non-joining portions,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passes through the second air communicating portion and passes between the first joining line and the second joining line And is discharged to the first air communication portion.

삭제delete

그리고, 상기 입구부와 상기 경사부의 테두리 사이의 안식각도는 110~150° 범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angle of inclination between the inlet and the edge of the inclined portion may be in a range of 110 to 150 degrees.

삭제delet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solution, the container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접힘부는 상기 각 베이스부와 상기 제1접합라인과 상기 제2접합라인으로 보다 확실하게 결합되어 내용물의 하중으로 인한 망가짐 없이 견고하게 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접합라인에 구비된 제1공기소통부 및 제2공기소통부를 통해 내부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포장단계에서 공기배출시간이 절감되므로 작업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First, the folded portion is firmly coupled to each of the base portions, the first bonding line and the second bonding line,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firmly maintained without being damaged due to the load of the contents, The internal air is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air communication unit, and the air discharge time is reduced in the packaging step, so that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둘째, 상기 제1공기소통부는 상기 제2공기소통부와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이격되므로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기소통부가 상기 제2공기소통부의 하측에 형성되므로 외측이 이물질이 상기 제2공기소통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first air communicating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ir communicating part at a predetermined spacing interval, it is possible to limit the discharged contents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air communicating part is formed below the second air communicating part So that the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communication unit.

셋째, 내부에 포함된 공기가 상기 입구부 및 각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제2공기소통부에서 상기 제1공기소통부로 이어지는 복수 개의 공기 유로로 배출되므로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가 빠르게 감소될 수 있어 포장 중인 컨테이너 백의 보관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Thirdly, since the air contained in the inside is discharged to the plurality of air flow paths leading from the second air communication portion formed at the inlet portion and the respective corners to the first air communication portion, the volume occupied by the air can be rapidly reduced, The storage efficiency of the bag can be improved.

넷째, 상기 이너라이너는 외측에 결합되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측 형태에 형합되게 형성되어 불필요한 원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입구부와 상기 경사부의 테두리 사이가 110~150° 범위로 완만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내용물의 입자와 닿을 때의 마찰력이나 충격을 분산하여 상쇄하여 내용물의 투입에 따른 손상이 감소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Fourthly, the inner liner is formed to match with the inner shape of the container bag to be coupled to the outside, so that unnecessary cost of raw materials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inner liner can be formed gently in a range of 110 to 150 degrees between the edges of the inlet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So that frictional force or impact when the particl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particles are dispersed and canceled, so that the damage due to the input of the contents is reduced,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B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경사부에 형성된 유로 구조를 나타낸 부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경사부를 나타낸 부분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ner liner for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ner liner for a container ba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B section of Fig.
4 is a partial view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formed in an inclined portion of an inner liner for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view showing an inclined portion of an inner liner for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inner liner for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B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경사부에 형성된 유로 구조를 나타낸 부분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ner liner for a container bag is unfol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folded inner liner for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 view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formed in an inclined portion of the inner liner for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100)는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넓게 형성된 중심부(17)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14) 및 출구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17)와 상기 입구부(14) 및 상기 출구부(13)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경사부(18)를 포함한다.1 to 4, the inner liner 100 for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minute particles therein, and includes a wide central portion 17 and an inlet portion 14 And an inclined portion 18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central portion 17 is connected to the inlet portion 14 and the outlet portion 13.

그리고, 상기 입구부(14), 상기 출구부(13) 및 상기 경사부(18)는 상기 중심부(17)와 연결되어 절개된 부분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형성되되, 상기 각 테두리는 기설정된 유로간격으로 이격된 제1접합라인(40)과 제2접합라인(30)으로 접합된다.The inlet part 14, the outlet part 13 and the inclined part 18 are formed by joining the edges of the incised part connected to the center part 17, To the first bonding line (40) and the second bonding line (30).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백은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로 하여 보관하고, 내용물을 수납할 때는 물류비의 경감을 위해 정해진 공간에 많은 양의 화물을 수납하도록 외형의 변형이 용이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컨테이너 백은 주로 천연 섬유재, PVC(polyvinyl chloride), 합성수지재(polypropylene, polyethylene)로 직조하여 컨테이너 백의 외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Here, the container bag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volume is kept to a minimum while the contents are not stored, and when the contents are stored, a large amount of cargo is accommodated in a predetermined space Is easily formed. Such a container bag is formed to maintain strength of the container bag while maintaining the outer shape of the container bag by woven with natural fiber material, PVC (polyvinyl chloride) or synthetic resin material (polypropylene, polyethylene).

그리고, 상기 이너라이너(100)는 상기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 및 운반할 때 원료의 품질을 유지하고, 손실 및 누출을 방지하도록, 내용물을 상기 컨테이너 백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손실 및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inner liner 100 is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bag to keep the quality of the raw material when the contents are received, stored, and transported, and prevent the contents from being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bag Not only prevents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from the outside, but also serves to prevent the loss of contents and leakage.

이때, 상기 이너라이너(10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되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내용물과 반응성 낮은 섬유재나 합성수지재(polyeth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다층 필름, 그리고 알루미늄 필름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ner liner 100 is preferabl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formed of a fiber material,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 multilayer film, an aluminum film, or the like which is chemically stable and less reactive with the content.

상세히, 상기 이너라이너(100)는 일체형의 필름으로 형성되되, 양측단부를 접합하고 상측과 하측의 일부를 절개하여 제거하고, 절개된 부분을 접합하여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출구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In detail, the inner liner 100 is formed as an integral film. The inner liner 100 is formed by joining both end portions, cut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nd joining the cut portions to form the inlet portion 14 and the outlet portion 13 )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이너라이너(100)가 알루미늄 필름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소재의 특성으로 인해, 좁은 입구부와 출구부, 넓은 중심부, 그리고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를 상기 중심부와 연결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복수 장의 필름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when the inner liner 100 is formed of an aluminum film or the lik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 narrow entrance portion and an exit portion, a wide central portion, and a plurality of inclined portions connecting the entrance portion and the exit portion with the center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is formed by connecting a film of a sheet.

먼저, 상기 이너라이너(100)가 복수 장의 필름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하기의 설명과 같다.First, a case where the inner liner 100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ilms is described as follows.

상기 내부 공간은 베이스부(10)와 접힘부(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에는 대칭되는 쌍으로 구비된 전면과 후면에 상기 내부 공간의 양측면을 형성하도록 대칭되는 쌍으로 구비된 접힘부의 중앙이 접혀 양측단부가 각각 상기 전면과 후면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와 테두리를 따라 접합된다.The inner space may be a combination of the base portion 10 and the folded portion 20. In the base 10, a pair of symmetrical folded portions are folded so that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symmetrical to form both sides of the inner space. And is joined to the other end along the rim.

한편, 상기 베이스부(10)는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의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도록 대칭되는 쌍으로 구비되되, 넓게 형성된 중심부(17)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14) 및 출구부(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중심부(17)와 상기 입구부(14), 상기 중심부(17)와 상기 출구부(13)가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18)가 형성된다.The base portion 10 is symmetrically formed so as to form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inute fractions. The base portion 10 includes a wide central portion 17, an inlet portion 14 and an outlet portion 13, . An inclined portion 18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se portion 10 at a portion where the central portion 17 and the inlet portion 14 and the central portion 17 and the outlet portion 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이때, 상기 중심부(17)와 상기 입구부(14), 상기 중심부(17)와 상기 출구부(13)를 연결하는 상기 경사부(18)의 상하측으로 절곡부(18a,18b)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10)는 면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bent portions 18a and 18b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clined portion 18 connecting the center portion 17, the inlet portion 14, the central portion 17 and the outlet portion 13, The base 10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ane center line.

한편, 상기 접힘부(20)는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의 양측면을 형성하도록 대칭되는 쌍으로 구비되되, 각 면의 중심부가 접혀 양측단부(22)가 상기 각 베이스부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와 테두리를 따라 접합된다.The folded portions 20 are symmetrically formed so as to form both side surfaces of the internal space for storing the minute particles. The center portions of the folded portions 20 are folded so that the opposite side ends 22 are bent at one side end and the other end side And are joined along the rim.

여기서, 상기 접힘부(20)는 반복적인 접힘과 펴짐으로 면의 중심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화학적인 안정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folded portion 2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face is not damaged by repetitive folding and spreading,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chemical stability.

상세히,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접힘부(20)는 각각의 양측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10)는 마주보는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접힘부(20)는 마주보는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양측면을 형성한다. In detail, the base portion 10 and the folded portion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both ends thereof to form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minute particles. At this time, the base portion 10 is formed as a pair facing each other to form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internal space, and the folded portions 20 are formed as facing pairs to form both side surfaces of the internal space.

그리고, 상기 각 베이스부(1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양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각각의 상기 접힘부(20)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힘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되 면의 중심부에 상기 이너라이너(100)의 접힘 형상을 가이드하기 위한 접힘가이드부(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folded portions 20 is connected to both the end portions and the other end portions of the base portions 10 in a state where the base portions 1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olded portion 2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base portion 10, and a folding guide portion 21 for guiding the folded shape of the inner liner 10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ace.

여기서, 상기 접힘가이드부(21)는 상기 이너라이너(100)가 보관될 때 내측으로 절곡되어 접힘으로써 상기 각 베이스부(10) 사이가 밀착되어 납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Here, the folding guide portion 21 may be folded inward when the inner liner 100 is stored, and may be folded into a flat shape by closely contacting the base portions 10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이너라이너(100)가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부피를 가지고 펴진 형태가 되면 상기 접힘부(20)에서 상기 경사부(18) 상측의 절곡부(18a)가 연결되는 지점(23)은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경사부(18) 하측의 절곡부(18b)가 연결되는 지점(24)은 외측으로 절곡된다. When the inner liner 100 has a bulky shape to accommodate the contents, the point 23 at which the bent portion 18a on the upper side of the inclined portion 18 is connected to the folded portion 20 is inwardly And the point 24 to which the bent portion 18b at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portion 18 is connected is bent outwardly.

이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은 상측와 하측은 좁고 중심측은 넓은 형태가 된다. 즉, 상기 이너라이너(100)는 외측에 결합되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측 형태에 형합되게 형성되어 입구부(14)와 출구부(13)의 면적차이가 없는 원통형의 이너라이너를 제조하는 데에 비해 원재료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space are narrow and the central side is wide. That is, the inner liner 100 is formed so as to match with the inner shape of the container bag to be coupled to the outer side, so that the inner liner 100 i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inner liner 100, Can be reduced.

또한, 원통형의 이너라이너의 경우에 넓은 입구를 억지로 줄여 상기 컨테이너백에 집어넣어야 하므로 내측에 중첩되게 접히는 부분이 다수 발생되어 상기 컨테이너백에 집어넣고 내측을 펴주는 작업이 필요했다.Further, in the case of a cylindrical inner liner,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wide inlet to be forced into the container bag, so that a large number of folded parts overlapping inside are requir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ag and the inner side is required to be opened.

반면, 본 발명의 이너라이너(100)의 경우에는 컨테이너 백에 삽입하여 내용물을 충전시키면 상기 컨테이너 백의 내부 형태에 맞게 내용물이 채워지므로 이너라이너(100)를 삽입하고 교체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nner l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ents are filled in the container bag, the content is filled in accordance with the inner shape of the container bag, so that the operation of inserting and replacing the inner liner 100 is smoothly performed,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고정부(16)는 상기 베이스부(20)에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라이너(100)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6)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리에 결합될 수 있는 끈(rope)이나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측면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접착테이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fixing portions 16 are provided on the base portion 20 and ar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ag to fix the inner liner 100. The fixing portion 16 may be formed of a rope that can be coupled to a ring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ag or an adhesive tape selectively attachabl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ag.

그리고, 상기 고정부(16)는 상기 베이스부(20)의 중심부 상측 및 중심부 하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라이너(100)에서 내용물이 가장 많이 수납되는 중심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컨테이너백과 상기 이너라이너(100)의 결합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의 투입 및 배출 시 상기 컨테이너백과 상기 이너라이너(100)의 분리를 방지하여 원활하게 내용물을 투입되고 배출되므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16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20 and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portion. Accordingly, sin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liner 100 in which the contents are stored most is firmly fixed,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ntainer bag and the inner liner 100 can be remarkably improved. Accordingly, when the contents are introduced and discharged, the container bag and the inner liner 100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contents are smoothly introduced and discharged,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work efficiency.

물론, 상기 고정부(16)는 상기 베이스부(20)의 중심부 상측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중심부의 하부는 충전되는 내용물의 하중으로 상기 컨테이너백으로 밀착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fixing portion 16 may be provided only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2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is closely attached to the container bag by a load of the contents to be filled.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면과 상기 이너라이너(100)의 입구부(14) 내지 출구부(13) 외면 사이는 실링수단을 이용하여 접착되거나 봉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백과 상기 이너라이너(100)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카로운 이물질 등이 상기 컨테이너백과 상기 이너라이너(100) 사이에서 유동되어 상기 이너라이너(100)를 손상하여 내용물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a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14) to the outlet portion (13) of the inner liner (100) are bonded or stuck using sealing means. As a result, not only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etween the container bag and the inner liner 100, but also sharp foreign matter flows between the container bag and the inner liner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being lost due to damage.

또한, 상기 입구부(14) 내지 상기 출구부(13)측 컨테이너백 외주에는 내부에 수용된 분체류의 밀봉을 위한 조임끈 또는 케이블타이가 구비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ag on the side of the inlet (14) to the outlet (13) may be provided with a string or cable tie for sealing the minute sieve contained therein.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경사부(18)의 테두리 사이의 안식각도(θ1)는 110~150° 범위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입구부(14)를 통해 투입되는 내용물은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경사부(18)의 내측면에 마찰력을 형성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angle of repose (.theta.1) between the edges of the inlet portion 14 and the inclined portion 18 is in a range of 110 to 150 degrees. In detail, the contents inputted through the inlet portion 14 form a frictional for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14 and the inclined portion 18.

이때, 상기 내용물은 상기 입구부(14)의 상측에서 투입되어 상기 경사부(18)의 내측면을 지나 상기 중심부(17)로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내용물의 입자는 이미 쌓여있는 내용물과 충돌하여 상측으로 튀어오르거나, 떨어지는 내용물의 입자 사이의 반발력으로 상기 경사부(18)의 내측면과 마찰하기도 한다.At this time, the contents are introduc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let portion 14 and are accommodated in the central portion 17 throug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18. The particles of the contents collide with the contents already accumulated and rub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18 by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particles of the content which sprang up or fall down.

여기서,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경사부(18)의 테두리 사이는 110~150° 범위로 완만하게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의 입자와 닿을 때의 마찰력이나 충격을 분산하여 상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경사부(18)의 테두리 사이 내면은 상기 내용물의 입자와의 마찰이나 충격으로 인한 손상이 감소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is case, a gap between the edge of the inlet part 14 and the inclined part 18 is gently formed in a range of 110 to 150 degrees, so that frictional force or impact when the particl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particles can be dispersed and offset. Accordingly, the inner surface between the inlet 14 and the rim of the inclined portion 18 is less likely to be damaged due to friction or impact with the particles of the contents, so that dur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경사부(18)가 형성하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면이 피라미드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내용물을 더 높게 채울 수 있어 같은 규격의 이너라이너에 비해 보관 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컨테이너백을 적층하는 경우에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 상면이 아래로 꺼지게 되더라도 내용물의 상측이 평평한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적층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inlet portion 14 and the inclined portion 18 has a pyramid shape, the contents can be filled higher and the storage efficiency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inner liner of the same size 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bag is stacked, even if the inside air escapes and the top surface is turned downward, the top of the contents becomes flat, so that the lamination stability can be improved.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접힘부(20)는 상기 각 베이스부(10)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기설정된 유로간격으로 이격된 제1접합라인(40)과 제2접합라인(30)으로 접합된다. 3, the folded portion 20 includes a first bonding line 40 and a second bonding line 30 spaced from each other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ase 10, ).

여기서, 상기 제1접합라인(40)은 상기 접힘부(20)의 양측단부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양측단부에서 기설정된 접합간격만큼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접합라인(30)은 상기 제1접합라인(40)에서 기설정된 유로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접합라인(4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The first bonding line 40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is inwardly inward by a predetermined bonding distance at both side ends of the folded portion 20 and both side ends of the base portion 10. [ The second bonding line 30 is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bonding line 4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nding line 40 by a predetermined flow channel spacing.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접힘부(20)는 이중의 접합라인(30,40)으로 결합되므로 내용물이 가득 찬 상태에서도 내용물의 팽창으로 인한 압력과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망가짐 없이 상기 이너라이너(100)의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base portion 10 and the folded portion 20 are joined by the double bonding lines 30 and 40, so that even when the contents are filled, the pressure and the loa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contents are firmly supported, The structure of the inner liner 100 can be maintained.

이때, 상기 기설정된 접합간격은 상기 제1접합라인(40)과 상기 제2접합라인(30)을 열압착이나 초음파 공법으로 접합할 때 지그 등으로 고정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bonding interval is set so that the first bonding line 40 and the second bonding line 30 can be fixed with a jig or the like when they are bond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or ultrasonic bonding.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유로간격은 상기 제1접합라인(40)과 상기 제2접합라인(30) 사이로 공기는 유동되되, 이물질이나 분체류 등의 내용물은 유동되지 않는 미세한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flow path spacing may be set at a minute interval at which air flows between the first bonding line 40 and the second bonding line 30 and the contents such as foreign matter and minute particles do not flow.

물론, 상기 이너라이너(1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일체로 구비된 필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필름의 양측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단부와 하단부의 측면 일부를 절개하여 제거하고 절개된 부분을 테두리를 접합하여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출구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Of course, the inner liner 100 may be formed of an integrally formed film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both side ends of the film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ner space. The inlet portion 14 and the outlet portion 13 may be formed by cutting and removing a portion of a side surface of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and joining edges of the incised portion.

상세히,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측면 일부를 절개할 때,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 양측에 마주보는 두 부분을 절개하여 절개된 부분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출구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 측면의 90°마다 절개된 부분을 형성하여 인접한 두 절개된 부분의 테두리을 접합하여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출구부(13)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detail, when cutting the side portions of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two opposite portions of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are cut, and the rim of the cut portion is joined to the inlet portion 14 and the outlet portion 13, Can be forme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incised portion at every 90 degrees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side to join the edges of two adjacent incised portions to form the inlet portion 14 and the outlet portion 13.

그리고, 상기 절개된 부분의 테두리는 기설정된 유로간격으로 이격된 제1접합라인과 제2접합라인으로 접합된다. The rim of the incised portion is joined to the first bonding line and the second bonding line spaced by a predetermined flow channel spacing.

물론, 이때에도 상기 제1접합라인과 상기 제2접합라인에 후술되는 제1공기소통부 및 제2공기소통부가 형성됨과 상기 입구부(14)와 경사부(18)의 테두리 사이의 안식각도가 110~150°범위로 형성됨을 포함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내부 공간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과 복수 개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Of course, even at this time, the first junction line and the second junction line are provided with the first air communication section and the second air communication section, and a rest angle between the edges of the inlet section 14 and the slope section 18 is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inner spac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is formed by a plurality of couplings.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부(12)에 위치된 상기 제1접합라인(40)에는 제1공기소통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접합라인(30)에는 상기 제1공기소통부(41)와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제2공기소통부(31)가 형성된다.4, a first air communication part 41 is formed in the first joint line 40 located at the slope part 12, and a second air communication part 41 is formed in the second joint line 30, The air communicating part 41 and the second air communicating part 31 formed to be stagger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formed.

이때, 상기 기설정된 이격간격은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근접하게 설정되되, 내부에 소용되는 분체류의 입자크기에 따라 공기가 포함되는 공극율이 다르기 때문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spacing interval is set to be close to the air flow smoothly, and is set to a corresponding interval because the porosity of the air differs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of the particulate matter used therein.

여기서, 상기 제1공기소통부(41) 및 상기 제2공기소통부(31)는 비접합 부분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접합라인(40)과 상기 제2접합라인(30)은 열압착이나 초음파 공법 혹은 레이저를 통해, 상기 제1접합라인(40)과 상기 제2접합라인(30)을 따라 연속적으로 접합을 수행한다. Here, the first air communicating portion 41 and the second air communicating portion 31 are formed as non-joint portions. That is, the first bonding line 40 and the second bonding line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first bonding line 40 and the second bonding line 30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ultrasonic bonding, .

이때, 상기 제1공기소통부(41) 및 상기 제2공기소통부(31)가 형성될 부분에 열압착 공법의 경우에는 단열제를 구비하여 접합을 방지하고, 레이저 가열의 경우에는 산란제를 설치하여 접합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1공기소통부(41) 및 상기 제2공기소통부(31)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method, a heat insulating agent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air communicating portion 41 and the second air communicating portion 31 are to be formed to prevent the bonding, and in the case of laser heating, So that the first air communication part 41 and the second air communication part 31 can be formed.

한편, 상기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내용물은 분체류 등으로 형성되어 수용될 때 내용물의 입자 사이에 공기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공기가 차지한 부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용물의 입자가 들어가 차지하게 되고, 공기는 상기 이너라이너의 외부로 배출되려고 한다.Meanwhile, the contents to be filled in the inner space are formed of minute fractions or the like and contain air between the particles of the contents when they are received. The portion of the air occupied by the load of the contents is occupied by particles of the contents over time, and the air tend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liner.

이때, 상기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a)는 상기 제2공기소통부(31)를 지나 상기 제1접합라인(40)과 상기 제2접합라인(30)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1공기소통부(41)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기소통부(41)는 상기 제2공기소통부(31)와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이격되므로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어 내용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At this time, air (a)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passes through the second air communication part (31) and passes between the first bonding line (40) and the second bonding line (30) (41). Since the first air communicating unit 41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ir communicating unit 31 at predetermined intervals, it is possible to limit the discharged contents to the outside, thereby minimizing the loss of contents.

상기 이너라이너(100) 내의 분체류 입자 사이에 포함된 공기는 상기 컨테이너 백을 적재하고 보관할 때 공간적인 낭비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내부에 포함된 공기가 상기 입구부(14)의 개구부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부(12)에 형성된 상기 제1공기소통부(41) 및 상기 제2공기소통부(31)로 배출되므로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빠르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공간적인 손실을 방지하여 보관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Air contained between the minute particles in the inner liner 100 causes a spatial waste when the container bag is loaded and stored. At this time, since the air contained in the inside is discharged to the first air communicating portion 41 and the second air communicating portion 31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12 as well as the opening of the inlet portion 14, The air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spatial loss can be prevented and the stora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포장단계에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작업은 7시간 내지 10시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지만, 상기 이너라이너(100)의 경우에는 상기 입구부(14) 및 네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제2공기소통부(31)에서 상기 제1공기소통부(41)로 이어지는 복수 개의 공기 유로가 구비되어 포장단계에서 공기배출 시간을 절감하여 작업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inner liner 100, the inlet portion 14 and the second air communication portion (not shown) formed at four corners require a time period of about 7 hours to about 10 hours. 31) to the first air communication part (41) is provided, so that the air discharge time is reduced in the packaging step, so that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포장단계에서 공기 배출 작업 없이 상기 이너라이너(100)를 바로 밀봉하더라도 상기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상기 컨테이너 백에서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가 감소되므로 보관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Furthermore, even if the inner liner 100 is directly sealed without air discharge operation in the packaging step,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volume occupied by the air in the container bag is reduced, .

물론, 상기 제1공기소통부(41)는 상기 제2공기소통부(3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제1공기소통부(41)로 이물질(b)이 유입될 경우에 상기 제1접합라인(40)과 상기 제2접합라인(30) 사이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제2공기소통부(31)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ir communication part 41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air communication part 31. Therefore, when foreign matter (b) flows into the first air communication part (41), the foreign matter is moved downward along the first bonding line (40) and the second bonding line (30)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preventing the inflow to the communication portion 31.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경사부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부 상측의 상기 제2접합라인의 절곡을 제외한 기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5 is a partial view showing an inclined portion of an inner liner for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bending of the second bonding line on the upper side of the inclined por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that th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200)의 경사부(212) 상측에 형성된 상기 제2접합라인(230)의 절곡은 곡선형의 만곡(230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5, the bending of the second joint line 230 formed on the slant portion 212 of the inner liner 200 for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rved in a curved shape 230a Lt; / RTI >

이는, 상기 입구부와 상기 경사부의 테두리 사이가 110~150° 범위로 완만하게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의 입자와 닿을 때의 마찰력이나 충격을 분산하여 상쇄함과 더불어, 실질적으로 상기 내용물의 입자와 마찰하는 상기 제2접합라인(230)과 상기 내용물의 입자와의 마찰력 및 충격을 상쇄하는 효과를 제공하여 상기 제2접합라인(230)의 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This is because gaps between the edges of the inlet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are gently formed in the range of 110 to 150 DEG to disperse frictional force or impact when the particl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particles to thereby cancel out the particles, The effect of canceling frictional force and impact between the second bonding line 230 and the particles of the contents is provided to prevent the second bonding line 230 from being burned,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200 :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10,210: 베이스부
20: 접힘부 30,230: 제2접합라인
40,240: 제1접합라인 18,212: 경사부
21: 접힘가이드부 16: 고정부
θ1,θ2: 안식각 14: 입구부
13: 출구부 31,231: 제2공기소통부
41,241: 제1공기소통부 a: 공기
b: 이물질
100, 200: Inner liner for container bag 10, 210:
20: folded portion 30, 230: second joint line
40,240: first bonding line 18,212: inclined part
21: folding guide portion 16:
&thetas; 1, &thetas; 2: an angle of repose 14:
13: outlet portion 31, 231: second air communication portion
41, 241: first air communication part a: air
b: Foreign matter

Claims (5)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넓게 형성된 중심부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 및 출구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 상기 출구부 및 상기 경사부는 상기 중심부와 연결되어 절개된 부분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형성되되, 상기 각 테두리는 기설정된 유로간격으로 이격된 제1접합라인과 제2접합라인으로 접합되고,
상기 경사부에 위치된 상기 제1접합라인에는 제1공기소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접합라인에는 상기 제1공기소통부와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제2공기소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The inner liner for a container bag having an inclined portion formed at a central portion formed to be wider and a narrow portion formed at an inlet portion and an outlet portion,
The inlet portion, the outlet portion, and the slope portion are formed by joining edges of a cut portion connected to the center portion. The edges are joined to a first joint line and a second joint lin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flow passage interval ,
Wherein a first air communication part is formed on the first joint line located at the inclined part and a second air communication part formed to be staggered from the first air communication 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s formed on the second joint line Inner liner for container bag.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소통부 및 상기 제2공기소통부는 비접합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소통부를 지나 상기 제1접합라인과 상기 제2접합라인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1공기소통부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ir communic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ir communicating portion are formed as non-joint portions,
Where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passes through the second air communicating portion, passes between the first joint line and the second joint line, and is discharged to the first air communica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와 상기 경사부의 테두리 사이의 안식각도는 110~150° 범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gle of inclination between the inlet portion and the edge of the inclined portion is in the range of 110 to 150 °.
삭제delete
KR1020130043731A 2013-04-19 2013-04-19 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KR1014754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731A KR101475463B1 (en) 2013-04-19 2013-04-19 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731A KR101475463B1 (en) 2013-04-19 2013-04-19 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651A KR20140125651A (en) 2014-10-29
KR101475463B1 true KR101475463B1 (en) 2014-12-23

Family

ID=5199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731A KR101475463B1 (en) 2013-04-19 2013-04-19 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4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427B1 (en) * 2021-10-22 2022-03-21 최용덕 manufacturing method of 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694B1 (en) * 2020-04-16 2020-11-17 최용덕 supply system using carton con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191A (en) * 2010-01-19 2011-07-27 김광호 Ton 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191A (en) * 2010-01-19 2011-07-27 김광호 Ton 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427B1 (en) * 2021-10-22 2022-03-21 최용덕 manufacturing method of 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651A (en)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8470B2 (en) Flexible container with support members
US6196719B1 (en) Tip-over dischargeable bulk bag
US20070086681A1 (en)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KR101696884B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JP2007254024A (en) Container bag for containing powdered matter classification
KR101475463B1 (en) 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KR101475465B1 (en) 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KR101491820B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KR101459113B1 (en) container bag
KR101459114B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multistage hyrid belt
KR102010193B1 (en) A container bag
KR101459115B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KR101303847B1 (en) Air discharge structure for packing receptacle
KR101964076B1 (en) Container bag
KR101214121B1 (en) Discharging system of flexible container liner for preventing inflow of foreign substance and faciliating safe discharge thereof
KR101476400B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US8167159B2 (en) Collapsible and reusable drum
JP5725645B2 (en) Double flexible container discharge structure
JP6127027B2 (en) Double structure flexible container bag
KR102165313B1 (en) A container bag having a reinforce sheet
KR102107637B1 (en) inner bag apparatus for container
KR10237742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CN220683536U (en) Top opening type container lining bag special for dry bulk container
KR101377054B1 (en) 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KR102151927B1 (en) A container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