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443B1 - Caisson block having concavity and convexit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isson block having concavity and convexit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443B1
KR101475443B1 KR1020130066292A KR20130066292A KR101475443B1 KR 101475443 B1 KR101475443 B1 KR 101475443B1 KR 1020130066292 A KR1020130066292 A KR 1020130066292A KR 20130066292 A KR20130066292 A KR 20130066292A KR 101475443 B1 KR101475443 B1 KR 101475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walls
parallel
caisson
block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2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44415A (en
Inventor
박우선
이진학
원덕희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066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443B1/en
Publication of KR2014014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4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4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08Lowering or sinking caissons
    • E02D23/14Decreasing the skin friction while low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08Sinking workpieces into water or soil inasmuch a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5/00Joining caissons, sinkers, or other units to each other unde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Constructions, or methods of constructing, i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마운드 사석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사석을 채우기 위한 복수 개의 중공을 갖는 케이슨 블록(caisson block)이 개시된다. 이 케이슨 블록은,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과 맞물리는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가지고, 상기 케이슨 블록의 외곽을 한정하며, 각각의 쌍은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메인 벽체들; 및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갖는, 스페이스 벽체;를 포함한다.A caisson block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mound stone and has a plurality of hollows for filling stones therein. This caisson block has an upper end where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of the first pattern are formed and a lower end where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of a second pattern are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of the first pattern to define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isson block, Two pairs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air of main walls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parallel to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wherein the top and bottom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patterns are formed, And a space wall.

Description

요철을 구비한 케이슨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CAISSON BLOCK HAVING CONCAVITY AND CONVEXIT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isson block assembly having a concavo-

본 발명은 요철을 구비한 케이슨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바닥 측이 개방된 케이슨 블록의 상단 및 하단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여 마찰 계수를 높임으로써 구조물의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케이슨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isson block having irregularities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aisson block.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isson block having unevenness,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케이슨 블록은 항만의 건설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물로서, 예를 들어, 중력식 안벽, 케이슨 방파제와 같은 항만의 중요 시설들에 적용되고 있다. 항만 시설의 경우, 일반적인 육상의 건축 구조물에 비해 고려해야 할 상황들이 특히 많은데, 그 중에서도 해수면이나 파고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근래들어, 지구온난화에 의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으며, 파고도 또한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여 구조물들을 설계하지 않으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사항들을 감안하여, 마운드 사석 위에 횡방향으로 일렬로 케이슨 블록을 설치하여 수평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이 고려된 바 있다. 그 일 예는 한국등록특허 제10-1096094호(2011.12.13. 등록, 이하 종래기술 1로 약칭함)에 개시되어 있다.In general, the caisson block is an essential construction for the construction of harbors, and is being applied to important facilities of the harbor such as gravity seam, caisson breakwater. In the case of port facilities, there are a lot of situations to be considered compared to general land-based structures. In recent years, sea level has been rising due to global warming, and wave height is also increasing. If structures are not designed properly in response to such changes, the probability of leading to a major accident increases. Taking these facts into consideration, measures have been taken to increase the horizontal force by installing a caisson block in a row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mound. An example of thi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096094 (registered on December 13, 2011, abbreviated as Conventional Technology 1).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 1은 케이슨 블록의 양측면에 연직 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연결홈(12)을 형성하고, 마운드 사석(미도시) 또는 케이슨 저판(미도시) 상에 배치하되, 이 연결홈(12)이 맞닿도록 여러 개의 케이슨을 횡방향으로 일렬 설치하고, 여러 개의 케이슨이 파력과 같은 수평 외력에 연합하여 저항할 수 있도록 서로 결속시키는 방식이다.Referring to FIG. 1, in the prior art 1, a connecting groove 12, which is recessed from a surfac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a caisson block and is disposed on a mound (not shown) or a caisson bottom (not shown) A plurality of caissons are arranged in a row in a row so that the connection grooves 1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aiss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resist the horizontal external force such as a wave force.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 1과 같은 케이슨 블록의 배치 및 결속 방식을 적용하더라도, 마운드 사석과의 마찰력 부족으로 인해, 케이슨 블록 조립체에 작용하는 수평 외력을 충분히 견디기 어려운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However, even when the arrangement and binding method of the caisson block as in the prior art 1 is applied, there still exist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absorb the horizontal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caisson block assembly due to insufficient frictional force with the mound ston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in the art to solve such a problem.

한국등록특허 10-1096094(등록일자 : 2011년 12월13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96094 (Registered Date: December 13, 20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석 마운드와 케이슨 블록 내부의 사석간 또는 사석 마운드와 케이슨 블록 간의 마찰계수를 증가시켜, 전체 구조물이 서로 연대하여 외부 하중에 대해 저항할 수 있도록 요철을 구비한 케이슨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a sandstone masonry and a caisson masonry or between a sandstone masonry and a caisson block so that the entire structure can co- Block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마운드 사석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사석을 채우기 위한 복수 개의 중공을 갖는 케이슨 블록(caisson block)은,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과 맞물리는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가지고, 상기 케이슨 블록의 외곽을 한정하며, 각각의 쌍은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메인 벽체들; 및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갖는, 스페이스 벽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isson block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a mound stone and having a plurality of cavities for filling stones therein, the upper and lower unevenness of the first pattern being formed Two pairs of main walls having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in which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a second pattern engage with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pattern are formed and define an outer periphery of the caisson block and each pair is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air of main walls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parallel to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wherein the top and bottom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patterns are formed, And a space wall.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케이슨 블록은, 상기 스페이스 벽체와 상기 스페이스 벽체에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의 공간들 각각에서, 상기 스페이스 벽체와 교차하는 방향 또는 상기 스페이스 벽체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중공들을 구획하는, 서브 벽체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 서브 벽체들은,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하단을 갖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isson block is arranged in a space between the space wall and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the space wall,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space wall o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pace wall Wherein at least some sub-walls of the sub-walls are formed with upper and lower concave-convex upper ends of the first pattern and lower and upper concave-convex portions of the second pattern,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따라, 마운드 사석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사석을 채우기 위한 복수 개의 중공을 갖는 케이슨 블록 유닛들(caisson block units)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조합으로 조립되는 케이슨 블록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 각각은,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과 맞물리는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가지고, 하나의 케이슨 블록 유닛의 외곽을 한정하며, 각각의 쌍은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메인 벽체들; 및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갖는, 스페이스 벽체;를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스 벽체의 두께는, 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 중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마주하는 두 개의 메인 벽체들의 두께와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배치 간격의 합과 동일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ement block assembly comprising caisson block units installed on top of a mound stone and having a plurality of cavities for filling stones therein, Wherein each of the caisson block units has a top end on which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a first pattern are formed and a lower end on which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a second pattern are engaged with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pattern, Two pairs of main walls defining an enclosure of the unit, each pair being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air of main walls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parallel to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wherein the top and bottom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patterns are formed,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pace wall is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two opposing main walls of two vertically adjacent caisson block units of the caisson block units and the thickness of the two adjacent caisson block units of the adjacent caisson block units, This is equal to the sum of the placement intervals of the unit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 중 상하로 배치되는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중공은 서로 통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llows of the caisson block units disposed above and below one of the caisson block units are threaded to each othe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 각각은, 상기 스페이스 벽체와 상기 스페이스 벽체에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의 공간들 각각에서, 상기 스페이스 벽체와 교차하는 방향 또는 상기 스페이스 벽체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중공들을 구획하는, 서브 벽체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 서브 벽체들은,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하단을 갖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of the caisson block units is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space wall or parallel to the space wall, in each of the spaces between the space wall and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the space wall Wherein at least some subwalls of the subwalls are formed by a plurality of subwalls which are formed in one direction and partition the plurality of hollows, wherein at least some subwalls of the subwalls are formed with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of the first pattern,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 마운드 사석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사석이 채워지는 복수 개의 중공을 갖는 케이슨 블록 유닛들(caisson block units)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조합으로 조립되는 케이슨 블록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은,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과 맞물리는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가지며, 각각의 쌍은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메인 벽체들과,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갖는 스페이스 벽체를 구비하는, 미들 블록 유닛(middle block unit); 및 상기 마운드 사석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평평한 패턴(flat pattern)이 형성되는 하단을 가지며, 각각의 쌍은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메인 벽체들과,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평평한 패턴이 형성되는 하단을 갖는 스페이스 벽체를 구비하는, 바텀 블록 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isson block unit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 mound stone and having a plurality of cavities filled with stones are assembled in a combination of horizontal direction and vertical direction, In the block assembly, the caisson block units each have an upper end where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pattern are formed and a lower end where a vertical concave and a convex of the second pattern is engaged with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pattern,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between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the top and bottom of which the top and bottom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first pattern are formed, A middle block unit having a space wall having a lower end in which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of two patterns are formed; And a pair of main wall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d stone and having a top and a bottom, respectively, wherein the top and bottom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first pattern are formed and a flat pattern is formed, A space wall formed parallel to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between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and having a top surface in which the top and bottom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first pattern are formed and a bottom surface in which the flat pattern is formed; And a bottom block unit provided with the bottom block unit.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들 블록 유닛의 스페이스 벽체 및 상기 바텀 블록 유닛의 스페이스 벽체의 두께는 동일하며, 스페이스 벽체들 각각의 두께는, 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 중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마주하는 두 개의 메인 벽체들의 두께와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배치 간격의 합과 동일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space wall of the middle block unit and the thickness of the space wall of the bottom block unit are the same, and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space walls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two caisson blocks Is equal to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two facing main walls of the units and the spacing distance of the adjacent two caisson block unit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은 최상부에 배치되는 탑 블록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탑 블록 유닛은, 평평한 패턴(flat pattern)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가지며, 각각의 쌍은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메인 벽체들과,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평평한 패턴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갖는 스페이스 벽체를 구비하며, 스페이스 벽체의 두께는 상기 미들 블록 유닛의 스페이스 벽체와 동일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isson block units further include a top block unit disposed at the top, wherein the top block unit has a top and bottom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a flat pattern formed thereon, Wherein each pair is formed in parallel to two pairs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between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bottom wall having upper and lower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second pattern are formed, and the thickness of the space wall is the same as the space wall of the middle block unit.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탑 블록 유닛의 상부에 타설되는 캡 콘크리트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p block further includes cap concrete placed on the top block unit.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들 블록 유닛, 상기 바텀 블록 유닛 및 상기 탑 블록 유닛 각각은, 스페이스 벽체와 스페이스 벽체에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의 공간들 각각에서, 스페이스 벽체와 교차하는 방향 또는 스페이스 벽체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중공들을 구획하는, 서브 벽체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들 블록 유닛의 서브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 서브 벽체들은,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하단을 가지며, 상기 바텀 블록 유닛의 서브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 서브 벽체들은,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상단과, 상기 평평한 패턴이 형성된 하단을 가지며, 상기 탑 블록 유닛의 서브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 서브 벽체들은, 상기 평평한 패턴이 형성된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하단을 갖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of the middle block unit, the bottom block unit, and the top block unit includes, in each of spaces between a space wall and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the space wall,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space wall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efining a plurality of hollows, wherein at least some of the subwalls of the middle block unit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asperity- And at least some of the sub-walls of the sub-walls of the bottom block unit have upper and lower concave portions of the first pattern and a lower end of the flat pattern, , At least some sub-walls of the sub-walls of the top block unit have a top surface with the flat pattern formed thereon, Has the bottom up and down irregularities of the second pattern is formed.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요철 패턴이 형성된 케이슨 블록 유닛을 포함하는 케이슨 블록 조립체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시공 방법은, (a)방파제 또는 안벽을 설치할 해상의 지반을 개량하고 마운드 사석을 설치하는 단계; (b)마운드 사석 위에 바텀 블록 유닛들을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되, 상기 바텀 블록 유닛들 간의 간격은, 하나의 바텀 블록 유닛의 스페이스 벽체 두께와, 이웃하는 두 개의 바텀 블록 유닛들의 마주하는 두 개의 메인 벽체들의 두께와의 차가 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c)상기 바텀 블록 유닛들 위에 미들 블록 유닛들을 설치하되,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미들 블록 유닛들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 하나의 바텀 블록 유닛의 스페이스 벽체가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d)상기 미들 블록 유닛들 위에 탑 블록 유닛들을 설치하되,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탑 블록 유닛들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 하나의 미들 블록 유닛의 스페이스 벽체가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및 (e)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 각각의 중공을 사석으로 채우고 다지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aisson block assembly including a caisson block unit having a concavo-convex pattern formed thereon, comprising the steps of: (a) improving marine ground on which a breakwater or a quay wall is to be installed, ; (b) installing the bottom block units horizontally side by side on the mound slab, wherein the gap between the bottom block units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ace wall thickness of one bottom block unit and the two main sides of the adjacent two bottom block units A wall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the walls; (c) installing middle block units on the bottom block units, wherein a space wall of one bottom block unit is located between main walls of two horizontally adjacent middle block units; (d) installing top block units on the middle block units so that a space wall of one middle block unit is positioned between main walls of two horizontally adjacent top block units; And (e) filling and solidifying the cavities of each of the caisson block units with stone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시공 방법은,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탑 블록 유닛들 위에 캡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fter step (e), placing cap concrete over the top block units.

본 발명은 요철을 구비한 케이슨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케이슨 블록을 포함하는 전체 구조물이 서로 연대하여 외부의 하중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고, 사석 마운드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isson block having unevenness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aisson block, so that all the structures including the caisson block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effectively resist external loads and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rock mass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슨 블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철을 구비한 하나의 케이슨 블록(케이슨 블록 유닛)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슨 블록 유닛을 이용하여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조합으로 조립된 케이슨 블록 조립체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케이슨 블록 조립체의 상부에 캡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케이슨 블록 유닛을 이용하여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조합으로 조립된 케이슨 블록 조립체의 다른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케이슨 블록 조립체의 상부에 캡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블록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aisson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caisson block (caisson block unit) having uneven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aisson block assembly assembled in combina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the caisson block unit of FIG. 2.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ap concrete is laid on an upper part of the caisson block assembly of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aisson block assembly assembled in combina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the caisson block unit of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ap concrete is laid on an upper part of the caisson block assembly of FIG.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isson block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와 관련된 설명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해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이므로, 첨부된 도면들, 관련 설명 및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ssociated description are provided to assis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make and use the sam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righ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철을 구비한 하나의 케이슨 블록(케이슨 블록 유닛)을 보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caisson block (caisson block unit) having uneven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슨(caisson block)(100)은 마운드 사석(본 명세서 내에서, '사석 마운드'로 표현하기도 함, 미도시)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도 2에서는 16개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 개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의 중공(160)을 갖는다. 케이슨 블록의 시공시 이 중공(160) 내부로 사석(미도시)이 투입된다. 중공(160)의 내부에 사석 대신에 모래나 다른 채움재로 채울 수 있으나, 케이슨 블록 중공(160) 내부의 사석과 사석 마운드 간의 마찰력을 최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최하단부로부터 일정높이까지는 사석으로 채워져야 한다.2, a caisson block 100 is installed on top of a mound stone (also referred to herein as a "mound stone",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caisson blocks 100 But not limited to this number).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caisson block, stones (not shown) are introduced into the hollow 160. The hollow 160 may be filled with sand or other filler material instead of the sandstone, but at least from the lowermost portion to a certain height should be filled with sandstone to maximiz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andstone and masonry mound within the caisson block hollow 160 .

케이슨 블록(100)(본 명세서 내에서 하나의 케이슨 블록을 '케이슨 블록 유닛'으로 표현함)은 외곽을 한정하는 두 쌍의 메인 벽체들(main walls)(110, 120, 130, 140)를 포함한다. 두 쌍의 메인 벽체들 중 한 쌍씩(110과 130, 120과 140)은 서로 평행하다. 이들 두 쌍의 메인 벽체들(110, 120, 130, 140) 각각은 제1 패턴의 상하 요철(110a, 120a, 130a, 140a)이 형성되는 상단과 제2 패턴의 상하 요철(110b, 120b, 130b, 140b)이 형성되는 하단을 갖는다. 참조부호 130b, 140b는 도면상에서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각각 벽체들(130, 140)의 하단을 의미한다. 제1 패턴의 상하 요철(110a, 120a, 130a, 140a)과 제2 패턴의 상하 요철(110b, 120b, 130b, 140b)은 서로 맞물리도록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다른 하나의 케이슨 블록 유닛을 케이슨 블록 유닛(100)의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립하는 경우), 상부 케이슨 블록 유닛(미도시)의 하단의 패턴이 하부 케이슨 블록 유닛(100)의 상단의 패턴에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패턴은 사다리꼴 형상의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직사각형상, 반구형상, 타원형상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내에서 상하 요철이라 함은, 수평 방향의 요철이 아니라 수직 방향의 요철을 의미하는 것이다.The caisson block 100 (represented herein as a caisson block unit) includes two pairs of main walls 110, 120, 130, 140 defining an enclosure . One pair (110 and 130, 120 and 140) of the two pairs of main walls are parallel to each other. Each of the two pairs of main walls 110, 120, 130 and 140 is formed with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110b, 120b, and 130b of a second pattern, in which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110a, 120a, And 140b are formed. Reference numerals 130b and 140b denote the lower ends of the walls 130 and 140, respectively, although they are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es 110a, 120a, 130a and 140a of the first pattern and the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es 110b, 120b, 130b and 140b of the second pattern are formed in corresponding patterns to mesh with each other. For example, when another caisson block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isson block unit 100 (for example, when assembling as shown in Fig. 3 or 5), an upper caisson block unit Is formed so as to engage with the pattern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isson block unit 100. Although the illustrated pattern is formed in a continuous trapezoidal shape,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a hemispherical shape, an elliptical shape, and the like. In this specification, the vertical irregularity means not vertical irregularities but horizontal irregularities.

네 개의 메인 벽체들(110, 120, 130, 140) 중, 메인 벽체 110과 메인 벽체 130이 서로 평행하고, 메인 벽체 120과 메인 벽체 140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즉, 케이슨 블록(100)은 각각의 쌍이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메인 벽체(110, 130; 120, 140)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슨 블록(100)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110, 130) 사이에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110, 130)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110a, 120a, 130a, 140a)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110b, 120b, 130b, 140b)이 형성되는 하단을 갖는, 스페이스 벽체(150)를 포함한다.Of the four main walls 110, 120, 130 and 140, the main wall 110 and the main wall 130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main wall 120 and the main wall 140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That is, the caisson block 100 includes two pairs of main walls 110, 130 (120, 140), each pair of which is parallel to each other. The caisson block 100 is formed parallel to a pair of main walls 110 and 130 parallel to each other between a pair of main walls 110 and 130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space wall 150 having an upper end where the concave and convexes 110a, 120a, 130a and 140a are formed and a lower end where the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es 110b, 120b, 130b and 140b of the second pattern are formed.

더 나아가, 케이슨 블록 유닛(100)은 네 개의 메인 벽체(110, 120, 130, 140)를 외곽으로 하여, 중공을 격실 형태로 구획하는 서브 벽체들(170, 180, 대표적으로 두 개만 지시하는 것으로 도시됨)을 구비한다. 즉, 서브 벽체들(170, 180)은 스페이스 벽체(150)와 이 스페이스 벽체(150)에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110, 130) 사이의 공간들(즉, 110과 150 사이, 150과 130 사이) 각각에서, 스페이스 벽체(150)와 교차하는 방향 또는 스페이스 벽체(150)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중공들을 구획한다. 그리고, 이 서브 벽체들(170, 180) 중 적어도 일부 서브 벽체들에는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하단을 가질 수 있다. 서브 벽체들(170, 180)의 개수는 중공의 크기 또는 케이슨 블록 유닛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서브 벽체들 전부가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상단과,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하단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제1,2 패턴의 상하 요철은 전단키(활동방지벽)의 역할을 하고 있다.Further, the caisson block unit 100 is provided with sub walls (170, 180, which represent only two of the sub walls) 180 dividing the cavity into a compartment with four main walls 110, 120, 130, (Not shown). That is, the subwalls 170 and 18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pace between the space wall 150 and a pair of main walls 110 and 130 parallel to the space wall 150 And 130),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space wall 150 o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pace wall 150, to define a plurality of hollows. At least some sub-walls of the sub-walls 170 and 180 may have a top formed by the top and bottom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pattern and a bottom formed by the top and bottom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second pattern. The number of the sub-walls 170 and 180 can be adjusted as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hollow or the size of the caisson block unit. Of course, all of the sub-walls may have an upper end where the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of the first pattern are formed and a lower end where the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of the second pattern are formed. The top and bottom concave and convex patterns of the first and second patterns serve as shear keys (anti-activity walls).

이와 같은 케이슨 블록 유닛(100)을 사석 마운드 위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열하여 케이슨 블록 조립체를 이루도록 설치할 수 있다.Such a caisson block unit 100 may be arrang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on a masonry mound to form a caisson block assembly.

도 3은 도 2의 케이슨 블록 유닛을 이용하여 수직방향(상하) 및 수평방향(좌우)의 조합으로 조립한 케이슨 블록 조립체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케이슨 블록 조립체의 상부에 캡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aisson block assembly assembled in a combination of a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left and right) using the caisson block unit of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isson block assembly In which the cap concrete is laid.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슨 블록 조립체는 케이슨 블록 유닛들(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을 이용하여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조합으로 조립하여 만들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케이슨 블록 조립체는 마운드 사석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공의 내부에는 사석 마운드와의 마찰력 증가를 위해 사석이 채워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caisson block assembly is assembled in a combina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aisson block units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As described above, the caisson block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d stone, and the hollow interior can be filled with stones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ith the mound stone.

각각의 케이슨 블록 유닛은 모두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제작되었으므로, 예를 들어, 케이슨 블록 유닛 200과 300, 그리고 케이슨 블록 유닛 600 및 700을 중심으로 이웃하는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배치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케이슨 블록 유닛들 간의 좌우 배치 간격은 d이고, 스페이스 벽체의 두께는 a이며, 메인 벽체들의 두께는 b와 c로 나타내었으나, b와 c는 동일하다. 케이슨 블록 유닛들 간을 d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하는 이유는, 외력에 대해 케이슨 블록 조립체가 연대하여 저항하는 경우, 케이슨 블록 유닛들 간에 완충작용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Since each of the caisson block units is manufactured in the same size and shape, the arrangement of the caisson block units 200 and 300 and the neighboring caisson block units around the caisson block units 600 and 700 will be described. The left and right spacing between the caisson block units is d, the thickness of the space wall is a, and the thickness of the main walls is represented by b and c, but b and c are the same. The reason why the caisson block uni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interval of d is to have a buffer action between the caisson block units when the caisson block assembly against the external force resists against the age.

a, b, c, d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a=b+c+d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페이스 벽체의 두께(a)는 케이슨 블록 유닛들 간의 배치 간격(d)과 스페이스 벽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고 있는 벽체들의 두께(b, c)의 합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서로 마주하고 있는 벽체들의 상부에 또 다른 케이슨 블록 유닛의 스페이스 벽체가 위치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슨 블록 유닛의 상단의 제1 패턴의 상하 요철과 그 위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케이슨 블록 유닛의 하단의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슨 블록 유닛들 중 상하로 배치되는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중공은 서로 통공되도록 조립된다. 그리하여, 추후에 사석 등의 채움재로 중공을 채우는 작업시, 상하의 중공들 사이에 빈공간 없이 채움재로 잘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도 또한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lationship between a, b, c and d is preferably a = b + c + d. That is, the thickness a of the space wall is preferably equal to the sum of the spacing d between the caisson block units and the thicknesses b and c of the walls facing each other with the space wall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is case, the space wall of another caisson block unit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lls facing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es of the first pattern at the upper end of one caisson block unit and the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es of the second pattern at the lower end of the other caisson block unit located thereon are formed to intermesh with each other. Further, the cavities of the caisson block units disposed upside and downside of the caisson block units are assemb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hollow is filled with filler such as stonewall, it is possible to fill the hollow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llows with the filler material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케이슨 블록 조립체의 상부에 캡 콘크리트(1000a, 1000b, 1000c, 1000d)를 타설하여 상치시킨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캡 콘크리트(1000a, 1000b, 1000c, 1000d)는 케이슨 블록 유닛과 달리 케이슨 블록 조립체를 설치한 후, 현장 타설할 수 있다. 물론 육상 제작된 캡 콘크리트를 운반해와 케이슨 블록 조립체 상부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A state in which cap concrete 1000a, 1000b, 1000c, 1000d is laid on the upper part of the caisson block assembly and shown in FIG. 4 is shown. The cap concrete (1000a, 1000b, 1000c, 1000d), unlike the caisson block unit, can be laid in situ after installing the caisson block assembly. Of course, land-based cap concrete can also be transported and bonded to the top of the caisson block assembly.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 2의 케이슨 블록 유닛(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을 이용하여 조립된 케이슨 블록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블록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케이슨 블록 조립체의 상부에 캡 콘크리트(1000a', 1000b', 1000c', 1000d')를 타설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5 and 6, the caisson block units 100 ', 200', 300 ', 400', 500 ', 600', 700 ', 800' Another embodiment of the caisson block assembly will now be describ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isson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cap concrete 1000a ', 1000b', 1000c ', and 1000d' This is a perspective view.

이 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예와 비교할 경우, 수평방향의 배치는 동일하나, 수직방향의 배치가 다르다. 즉, 서로 상하로 이웃하는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메인 벽체들이 일치하도록 배치하였다. 이 경우, 앞서의 실시예와 비교할 경우, 외력에 대해 서로 연대하여 저항하는 힘은 약할 수 있으나, 케이슨 블록 조립체의 설치로 인한 중력의 작용 및 중공들에 채워지는 사석과 마운드 사석과의 마찰력 증가 등으로 충분한 효과를 낼 수 있는 장소에 적용될 수 있다.In this example, as compared with the example shown in Figs. 3 and 4, the arrang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the same, but the arrang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fferent. That is, the main walls of the upper and lower neighboring caisson block units are arrang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 the force of resistance against the external force can be weak, but the force of gravity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caisson block assembly and the increase in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andstone and the moundstone filled in the hollows Can be applied to places where sufficient effect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슨 블록 조립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케이슨 블록 조립체는 미들 블록 유닛(100a)과 바텀 블록 유닛(100b)을 포함한다. 미들 블록 유닛(100a)은 제1 패턴의 상하 요철(100a2)이 형성되는 상단과 제1 패턴의 상하 요철(100a2)과 맞물리는 제2 패턴의 상하 요철(100a1)이 형성되는 하단을 가지며, 각각의 쌍이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메인 벽체들(110과 130이 평행하고, 120과 140이 평행함; 도 2 참조)과, 스페이스 벽체(150; 도 2 참조)를 구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들 블록 유닛(100a)의 스페이스 벽체(150)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110, 130) 사이에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110, 130)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갖는다.A caisson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Referring to Fig. 7 together with Fig. 2, the caisson block assembly includes a middle block unit 100a and a bottom block unit 100b. The middle block unit 100a has an upper end where the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100a2 of the first pattern are formed and a lower end where the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100a1 of the second pattern are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100a2 of the first pattern, Two parallel pairs of main walls 110 and 130 parallel to each other, 120 and 140 parallel to each other, see FIG. 2), and a space wall 150 (see FIG. 2). The space wall 150 of the middle block unit 100a is parallel to a pair of main walls 110 and 130 parallel to each other between a pair of main walls 110 and 130 parallel to each other And has an upper end where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pattern are formed and a lower end where up and down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second pattern are formed.

나아가, 미들 블록 유닛(100a)은, 스페이스 벽체(150)와 스페이스 벽체(150)에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110, 130) 사이의 공간들 각각에서, 스페이스 벽체(150)와 교차하는 방향 또는 스페이스 벽체(150)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중공들을 구획하는, 서브 벽체들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결국 복수 개의 중공들은, 최종적으로는 메인 벽체들과 서브 벽체들, 또는 스페이스 벽체와 서브 벽체들에 의해 구획된다. 미들 블록 유닛의 서브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 서브 벽체들은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하단을 갖는다. 그리하여, 상하로 또는 좌우로 다른 블록 유닛이 배치되어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Further, the middle block unit 100a is arranged so as to intersect the space wall 150 and the space wall 150 in the spaces between the pair of main walls 110 and 130 parallel to the space wall 150 and the space wall 150, respectively. Direction o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pace wall 150, to define a plurality of hollows. Thus, eventually, the plurality of hollows are eventually partitioned by the main walls and the subwalls, or by the space walls and the subwalls. At least some of the sub-walls of the sub-walls of the middle block unit have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of the first pattern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pattern. Thus, other block units can be arranged and engag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바텀 블록 유닛(100b)은, 제1 패턴의 상하 요철(100b2)이 형성되는 상단과 평평한 패턴(flat pattern)이 형성되는 하단을 가지며, 각각의 쌍이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메인 벽체들과, 스페이스 벽체(150; 도 2 참조)를 구비한다. 바텀 블록 유닛(100b)의 스페이스 벽체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평평한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갖는다. 그리하여,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에는 상부에 놓이는 미들 블록 유닛(100a)의 하단의 제2 패턴의 상하 요철과 맞물리도록 한다.The bottom block unit 100b has two pairs of main walls each having a pair of upper and lower concave portions 100b2 of a first pattern and a lower end where a flat pattern is formed and parallel to each other, Wall 150 (see Figure 2). The space wall of the bottom block unit 100b is formed in parallel with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between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And has a lower end where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are formed. Thus, the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of the first pattern are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of the second pattern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middle middle block unit 100a.

다시 말해, 바텀 블록 유닛(100b)은 전체적으로는 하단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미들 블록 유닛(100a)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평평한 패턴이라 함은 상하 요철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바텀 블록 유닛(100b)은 그 아래에 다른 케이슨 블록 유닛이 배치되지 않고, 마운드 사석 바로 위에 배치되므로, 조립을 위한 제1 패턴 또는 이와 상응하는 제2 패턴이 굳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고, 또한 사석 마운드와 접촉 면적 확보에도 더 유리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bottom block unit 100b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iddle block unit 100a except that the lower end is formed flat as a whole. Here, the flat pattern means that no vertical irregularities are formed. Since the bottom block unit 100b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mound slab without the other caisson block units disposed under the bottom block unit 100b, the first pattern for assembling or the corresponding second pattern may not be formed, And the contact area can be more advantageously secured.

이 실시예에서도, 앞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미들 블록 유닛(100a)의 스페이스 벽체 및 바텀 블록 유닛(100b)의 스페이스 벽체들 각각의 두께(a)는,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마주하는 두 개의 메인 벽체들의 두께(b,c)와, 이웃하는 두 개의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배치 간격(d)의 합과 같다(즉, a=b+c+d; 도 3 참조).3 and 4, the thickness a of each of the space walls of the middle block unit 100a and the space walls of the bottom block unit 100b is equal to the thickness 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e., a = b + c + c) of the two main walls facing each other of the two adjacent caisson block units (i.e., d; see Fig. 3).

이 실시예에서는, 케이슨 블록 유닛들은 최상부에 탑 블록 유닛(100c)이 배치된다. 따라서, 탑 블록 유닛(100c)은 미들 블록 유닛(100a)과 캡 콘크리트 사이에 위치한다. 탑 블록 유닛(100c)은, 평평한 패턴(100c2)이 형성되는 상단과, 미들 블록 유닛(100a)의 제2 패턴(100a1)의 상하 요철과 동일한 제2 패턴(100a1)이 형성되는 하단을 가지며, 각각의 쌍이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메인 벽체와, 스페이스 벽체를 구비한다. 앞서 바텀 블록 유닛(100b)과 유사하게, 탑 블록 유닛(100c)의 메인 벽체들 및 스페이스 벽체는 상단이 평평하게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메인 블록 유닛(100a)의 그것들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탑 블록 유닛(100c)의 상측에 캡 콘크리트가 타설되므로, 상측에는 굳이 상하 요철 패턴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op block unit 100c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caisson block units. Accordingly, the top block unit 100c is positioned between the middle block unit 100a and the cap concrete. The top block unit 100c has an upper end where a flat pattern 100c2 is formed and a lower end where a second pattern 100a1 which is the same as the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second pattern 100a1 of the middle block unit 100a is formed, Two pairs of main walls, each pair of which is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space wall. Similar to the bottom block unit 100b, the main walls and the space wall of the top block unit 100c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ose of the main block unit 100a except that the top is flat. Since the cap concrete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p block unit 100c, the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 patterns need not be formed on the upper side.

나아가, 미들 블록 유닛과 마찬가지로, 탑 블록 유닛(100c)은 스페이스 벽체와 스페이스 벽체에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의 공간들 각각에서, 스페이스 벽체와 교차하는 방향 또는 스페이스 벽체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중공들을 구획하는, 서브 벽체들을 더 포함한다. 탑 블록 유닛(100c)의 서브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 서브 벽체들은, 상기 평평한 패턴이 형성된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하단을 갖는다. 물론, 서브 벽체들 전부에 평평한 패턴이 형성된 상단과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Further, similarly to the middle block unit, the top block unit 100c is arranged in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the space wall and the space wall,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space wall o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pace wall To define a plurality of hollows. At least some of the sub-walls of the sub-walls of the top block unit 100c have an upper end on which the flat pattern is formed and a lower end on which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and recesses of the second pattern are formed. Of course, all of the sub-walls may be provided with a top having a flat pattern and a bottom having a top and bottom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a second patter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요철을 구비한 케이슨 블록 유닛을 이용하여 방파제 또는 안벽을 설치할 해상에 케이슨 블록 조립체를 설치하는 경우, 소형의 장비로도 시공이 가능하여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중공에 채워진 사석과 마운드 사석과의 관계에서 마찰계수를 높여, 외력에 대해 서로 연대하여 저항력을 발휘하므로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caisson block unit having irregular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install a breakwater or a caisson block assembly to be installed on the sea wall, it is possible to construct even a small equipment, The friction coefficient is increas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let and the mound slab, and the mutual resistance against the external force is exerted,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entire structure can be improv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요철을 구비한 복수 개의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조립에 의한 케이슨 블록 조립체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시공 방법은을 첨부된 도면들(도 2, 도 3, 도 4 및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a caisson block assembly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caisson block units having concavo-conv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2, 3, 4, 7).

상기 시공 방법은, (a)방파제 또는 안벽을 설치할 해상의 지반을 개량하고 마운드 사석(미도시)을 설치하는 단계, (b)마운드 사석 위에 바텀 블록 유닛들(100b;도 7 참조)을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되, 바텀 블록 유닛들(100b) 간의 간격(d: 도 3 참조)은, 하나의 바텀 블록 유닛의 스페이스 벽체 두께(a)와, 이웃하는 두 개의 바텀 블록 유닛들의 마주하는 두 개의 메인 벽체들의 두께(b+c)와의 차가 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c)바텀 블록 유닛들(100b) 위에 미들 블록 유닛들(100a)을 설치하되,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미들 블록 유닛들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 하나의 바텀 블록 유닛(100b)의 스페이스 벽체가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d)상기 미들 블록 유닛들(100a) 위에 탑 블록 유닛들(100c)을 설치하되,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탑 블록 유닛들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 하나의 미들 블록 유닛(100a)의 스페이스 벽체가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및 (e)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 각각의 중공을 사석으로 채우고 다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공 방법은,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탑 블록 유닛들(100c) 위에 캡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B) arranging the bottom block units 100b (see FIG. 7) on the mound stone in a horizontal direction (see FIG. 7) (See FIG. 3) between the bottom wall unit 100b and the bottom wall unit 100b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space wall thickness a of one bottom block unit and the two main walls (B + c), (c) installing middle block units (100a) on the bottom block units (100b), wherein the middle block units (100a) (D) installing top block units (100c) on the middle block units (100a), wherein two neighboring two horizontally adjacent block units (100b) Main of the top block units Further comprising: a space provided to a wall of the middle unit block (100a) is located between chedeul, and (e) comprises the steps Dodge filling the caisson block unit of each of the hollow riprap.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lacing cap concrete on the top block units 100c after step (e).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슨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에 의해, 전체 구조물이 함께 외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고, 케이슨 블록 조립체와 사석 마운드 사이의 마찰계수를 증가시켜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The caisson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an resist the external force together with the entire structure and increas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caisson block assembly and the masonry moun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entire structure .

100 : 케이슨 블록 유닛 110, 120, 130, 140 : 메인 벽체
110a : 제1 패턴의 상하 요철 110b : 제2 패턴의 상하 요철
150 : 스페이스 벽체 160 : 중공
170, 180 : 서브 벽체
a : 스페이스 벽체 두께 b, c : 메인 벽체의 두께
d : 케이슨 블록 유닛의 배치 간격
100: Caisson block unit 110, 120, 130, 140: Main wall
110a: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of the first pattern 110b: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of the second pattern
150: Space wall 160: hollow
170, 180: Sub-wall
a: Space wall thickness b, c: Thickness of the main wall
d: spacing of the caisson block units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마운드 사석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사석을 채우기 위한 복수 개의 중공을 갖는 케이슨 블록 유닛들(caisson block units)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조합으로 조립되는 케이슨 블록 조립체로서, 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 각각은,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과 맞물리는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가지고, 하나의 케이슨 블록 유닛의 외곽을 한정하며, 각각의 쌍은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메인 벽체들; 및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갖는, 스페이스 벽체;를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스 벽체의 두께는, 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 중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마주하는 두 개의 메인 벽체들의 두께와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배치 간격의 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블록 조립체.
A caisson block assembly mounted on top of a mound stone and having caisson block units having a plurality of hollows for filling stones therein are assembled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combination, silver,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which the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pattern are formed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attern of which the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es of the second patter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wo parallel main walls; And
A pair of main walls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parallel to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lower end where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of the first pattern are formed and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of the second pattern are formed, A space wall,
The thickness of the space wall is equal to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two facing main walls of the two adjacent caisson block uni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pacing distance of the adjacent two caisson block units, ≪ / RTI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 중 상하로 배치되는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중공은 서로 통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블록 조립체.4. The caisson block assembly of claim 3, wherein the cavities of the upper and lower caisson block units of the caisson block units are hollowed each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 각각은,
상기 스페이스 벽체와 상기 스페이스 벽체에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의 공간들 각각에서, 상기 스페이스 벽체와 교차하는 방향 또는 상기 스페이스 벽체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중공들을 구획하는, 서브 벽체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 서브 벽체들은,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블록 조립체.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caisson block units comprises:
Wherein each of the spaces between the space wall and the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the space wall is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space wall o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pace wall, Further comprising walls,
Wherein at least some sub-walls of the sub-walls have upper and lower concave portions of the first pattern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pattern.
마운드 사석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사석이 채워지는 복수 개의 중공을 갖는 케이슨 블록 유닛들(caisson block units)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조합으로 조립되는 케이슨 블록 조립체로서, 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은,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과 맞물리는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가지며, 각각의 쌍은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메인 벽체들과,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갖는 스페이스 벽체를 구비하는, 미들 블록 유닛(middle block unit); 및
상기 마운드 사석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평평한 패턴(flat pattern)이 형성되는 하단을 가지며, 각각의 쌍은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메인 벽체들과,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평평한 패턴이 형성되는 하단을 갖는 스페이스 벽체를 구비하는, 바텀 블록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미들 블록 유닛의 스페이스 벽체 및 상기 바텀 블록 유닛의 스페이스 벽체의 두께는 동일하며, 스페이스 벽체들 각각의 두께는, 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 중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마주하는 두 개의 메인 벽체들의 두께와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케이슨 블록 유닛들의 배치 간격의 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블록 조립체.
A caisson block assembly, installed on top of a mound stone, wherein caisson block units having a plurality of cavities filled with stones are assembled in a combina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and recesses of the first pattern are formed and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and protrusions of the second pattern are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and recesses of the first pattern, and each pair has two pairs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second pattern are formed parallel to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between a pair of parallel main walls, A middle block unit having a space wall; And
A pair of main wall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d stone and having a top and a bottom surface in which the top and bottom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first pattern are formed and a flat pattern is formed, And a space wall formed parallel to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between a pair of parallel main walls and having a top at which the top and bottom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first pattern are formed and a bottom at which the flat pattern is formed A bottom block unit,
Wherein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space walls of the middle block unit and the bottom block unit is the same and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space wall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two facing vertically adjacent two caisson block units of the caisson block units Is equal to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main walls and the spacing distance of the two neighboring caisson block units.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은 최상부에 배치되는 탑 블록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탑 블록 유닛은, 평평한 패턴(flat pattern)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가지며, 각각의 쌍은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메인 벽체들과,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평평한 패턴이 형성되는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되는 하단을 갖는 스페이스 벽체를 구비하며, 스페이스 벽체의 두께는 상기 미들 블록 유닛의 스페이스 벽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블록 조립체.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caisson block units further comprise a top block unit disposed at the top,
Wherein the top block unit has two pairs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each pair having a top surface on which a flat pattern is formed and a bottom surface on which top and bottom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second pattern are formed, And a space wall formed parallel to a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between the pair of main walls and having a top at which the flat pattern is formed and a bottom at which the top and bottom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second pattern are formed, Wherein the wall thickness is the same as the space wall of the middle block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탑 블록 유닛의 상부에 타설되는 캡 콘크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블록 조립체.The caisson block assembly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cap concrete disposed on top of the tower block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블록 유닛, 상기 바텀 블록 유닛 및 상기 탑 블록 유닛 각각은,
스페이스 벽체와 스페이스 벽체에 평행한 한 쌍의 메인 벽체들 사이의 공간들 각각에서, 스페이스 벽체와 교차하는 방향 또는 스페이스 벽체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중공들을 구획하는, 서브 벽체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들 블록 유닛의 서브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 서브 벽체들은,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하단을 가지며,
상기 바텀 블록 유닛의 서브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 서브 벽체들은, 상기 제1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상단과, 상기 평평한 패턴이 형성된 하단을 가지며,
상기 탑 블록 유닛의 서브 벽체들 중 적어도 일부 서브 벽체들은, 상기 평평한 패턴이 형성된 상단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하 요철이 형성된 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블록 조립체.
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each of the middle block unit, the bottom block unit,
Further comprising subwalls in each of the spaces between the pair of main walls parallel to the space wall and the space wall, which are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space wall o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pace wall and defining a plurality of hollows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sub-walls of the sub-walls of the middle block unit have upper and lower concave portions of the first pattern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pattern,
At least some of the sub-walls of the sub-walls of the bottom block unit have upper and lower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first pattern and a lower end formed with the flat pattern,
At least some sub-walls of the sub-walls of the top block unit have a top with the flat pattern formed thereon and a bottom end with the top and bottom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second pattern.
제 8 항에 기재된 케이슨 블록 조립체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시공 방법으로서,
(a)방파제 또는 안벽을 설치할 해상의 지반을 개량하고 마운드 사석을 설치하는 단계;
(b)마운드 사석 위에 바텀 블록 유닛들을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되, 상기 바텀 블록 유닛들 간의 간격은, 하나의 바텀 블록 유닛의 스페이스 벽체 두께와, 이웃하는 두 개의 바텀 블록 유닛들의 마주하는 두 개의 메인 벽체들의 두께와의 차가 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c)상기 바텀 블록 유닛들 위에 미들 블록 유닛들을 설치하되,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미들 블록 유닛들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 하나의 바텀 블록 유닛의 스페이스 벽체가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d)상기 미들 블록 유닛들 위에 탑 블록 유닛들을 설치하되,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탑 블록 유닛들의 메인 벽체들 사이에 하나의 미들 블록 유닛의 스페이스 벽체가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및
(e)상기 케이슨 블록 유닛들 각각의 중공을 사석으로 채우고 다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방법.
A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using the caisson block assembly according to claim 8,
(a) improving the marine ground on which breakwaters or quays are to be installed and installing mound rocks;
(b) installing the bottom block units horizontally side by side on the mound slab, wherein the gap between the bottom block units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ace wall thickness of one bottom block unit and the two main sides of the adjacent two bottom block units A wall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the walls;
(c) installing middle block units on the bottom block units, wherein a space wall of one bottom block unit is located between main walls of two horizontally adjacent middle block units;
(d) installing top block units on the middle block units so that a space wall of one middle block unit is positioned between main walls of two horizontally adjacent top block units; And
(e) filling and solidifying the hollows of each of said caisson block units with sandston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탑 블록 유닛들 위에 캡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fter step (e), placing cap concrete over the top block units.
KR1020130066292A 2013-06-11 2013-06-11 Caisson block having concavity and convexit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475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292A KR101475443B1 (en) 2013-06-11 2013-06-11 Caisson block having concavity and convexit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292A KR101475443B1 (en) 2013-06-11 2013-06-11 Caisson block having concavity and convexit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415A KR20140144415A (en) 2014-12-19
KR101475443B1 true KR101475443B1 (en) 2014-12-22

Family

ID=5267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292A KR101475443B1 (en) 2013-06-11 2013-06-11 Caisson block having concavity and convexit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44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418A (en) 2020-06-18 2021-12-27 여수광양항만공사 Apparatus for combine caisson wall using a shear key and bol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097B1 (en) * 2016-08-24 2017-06-13 (주)유주 Construction method for caisson block and structure of caisson block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030A (en) * 1999-06-14 2000-12-19 Port & Harbour Res Inst Ministry Of Transport Lightweight concrete caisson and work execu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363225B1 (en) * 2000-05-02 2002-12-02 원 회 양 Upright block break water having the function of removing waves and cycling seawa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030A (en) * 1999-06-14 2000-12-19 Port & Harbour Res Inst Ministry Of Transport Lightweight concrete caisson and work execu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363225B1 (en) * 2000-05-02 2002-12-02 원 회 양 Upright block break water having the function of removing waves and cycling seaw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418A (en) 2020-06-18 2021-12-27 여수광양항만공사 Apparatus for combine caisson wall using a shear key and bo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415A (en) 2014-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160B1 (en) Harbor structure using interlocked caisson
JP2008231900A (en) Building
KR101475443B1 (en) Caisson block having concavity and convexit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180087230A1 (en) Stabilized damping element, as well as water barrier having such damping elements
CN212103878U (en) Breakwater component and breakwater structure thereof
JP2002242157A (en) Tire form coating block
KR101234042B1 (en) Caiss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caisson with friction increased structure
JP2013170404A (en) Retaining wall block,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JP6444151B2 (en)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enhanced mating
KR101239000B1 (en) Breakwater structure removed riprap
KR101338834B1 (en) Concrete pile using waisted tire and a wave dissipating concrete block and seashore structure using thereof
CN111519583A (en) 8-shaped interlocking face protection block and dike protection face
KR20190006651A (en) Breakwat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08688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lot of concrete blocks
KR102153322B1 (en) Compound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04957B1 (en)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277467B1 (en) Constructing Method of Breakwater Structure using Tetrapod and Grout Bag
JP6274462B2 (en) Retaining wall block and artificial island
KR102211097B1 (en) Sofa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426766B1 (en)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580747B1 (en) assembling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high durability and waterp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495313B1 (en) Port structures using the caiss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5789176B2 (en) Foam resin block for architectural civil engineering
US20230080283A1 (en) Embankment wall structure of monolithic facing panels, changer panels, standard facing panels and said panels thereof
CN219731866U (en) Seepage-proofing structure of river cour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