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030B1 - Grat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Grat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030B1
KR101475030B1 KR1020130009587A KR20130009587A KR101475030B1 KR 101475030 B1 KR101475030 B1 KR 101475030B1 KR 1020130009587 A KR1020130009587 A KR 1020130009587A KR 20130009587 A KR20130009587 A KR 20130009587A KR 101475030 B1 KR101475030 B1 KR 101475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ub
grating
fram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5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6696A (en
Inventor
신해
Original Assignee
신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해 filed Critical 신해
Priority to KR102013000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030B1/en
Publication of KR2014009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6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10Steel gratings ; Gratings made of material other than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2Gratings; Grid-like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 F16S3/08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forming framework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배수구에 설치되는 그레이팅 구조체에 있어서, 그레이팅 구조체는, 둘레 프레임, 및 상기 둘레 프레임의 내측에 보조바가 구비되는 보강부; 상기 보조바 상에 배치되는 그레이팅부; 및 상기 보조바를 지지하는 받침축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바는,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바, 및 상기 제1 보조바와 교차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바를 포함하고, 상기 그레이팅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수통로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타공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A grating structure installed in a drain hole, the grating structure comprising: a peripheral frame; a reinforcing portion having a sub-bar inside the peripheral frame; A grating disposed on the sub-bar; And a support shaft for supporting the auxiliary bar, wherein the auxiliary bar includes at least one first auxiliary bar arranged horizontally with a gap therebetween, and at least one second auxiliary bar cross-disposed at the first auxiliary bar, The gr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frame having a drainage passag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erforated member on the support frame.

Description

그레이팅 구조체{GRATING STRUCTURE}{GRATING STRUCTURE}

본원은 그레이팅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grating structure.

스틸그레이팅은 도로에서 보행자와 차량 등을 보호하기 위한 배수구의 대표적인 뚜껑이다.Steel grating is a typical lid of a drain to protect pedestrians and vehicles on the road.

종래의 그레이팅은 배수구의 상측 유입부의 콘크리트 상에 배수통로가 구비된 그레이팅이 직접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그레이팅은 둘레만이 콘크리트 상에 지지되므로, 중심부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 및 손상이 쉽게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레이팅의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레이팅의 소재가 더 많이 들어가 비용이 높아지고 또 무거워져 관리가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Conventional gratings are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the grating having drainage passages is placed directly on the concrete of the upper inflow portion of the drainage port. 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grating is supported only on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center portion, deformation and damage easily occur. Further, in order to minimize the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grat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terial of the grating is increased more and the cost is increased and the weight is increased and the management becomes difficult.

또한, 부피가 큰 이물질을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여 배수구 내로 유입되는 경우 관로가 좁아지고 주변의 침수를 야기하며 자주 청소를 해야 하므로 막대한 유지관리비가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large-sized foreign matter can not be blocked properly, a large amount of maintenance costs are incurred because the pipeline is narrowed when it flows into the drain port, causing flooding and frequent cleaning.

본원은 그레이팅의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하중으로 인한 그레이팅의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배수구 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하고 그레이팅을 통과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이를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grating due to the load without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grating and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into the drain hole as much as possible and to easily take out the foreign matter even if the foreign matter passes through the grat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는, 둘레 프레임, 및 상기 둘레 프레임의 내측에 보조바가 구비된 보강부; 상기 보조바 상에 배치되는 그레이팅부; 및 상기 보조바를 지지하는 받침축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바는,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바, 및 상기 제1 보조바와 교차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바를 포함하고, 상기 그레이팅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수통로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타공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rating structure comprising: a reinforcing portion having a perimeter frame and an auxiliary bar inside the perimeter frame; A grating disposed on the sub-bar; And a support shaft for supporting the auxiliary bar, wherein the auxiliary bar includes at least one first auxiliary bar arranged horizontally with a gap therebetween, and at least one second auxiliary bar cross-disposed at the first auxiliary bar, The gr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frame on which a drainage passage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erforated member on the support frame.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타공부재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공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쓰레기 수납부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nctur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a garbage compartment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uncturing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그레이팅부가 직접 콘크리트 상에 설치되지 않고 보조바 상에 안치되어 보강부 및 받침축에 의해 지지되므로, 그레이팅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발생하여 그레이팅의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배수효율도 최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rating portion is not directly disposed on the concrete but is supported on the auxiliary bar and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upport shaft,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load applied to the grating occurs, And the drainage efficiency can be maximized.

또한, 타공부재와 쓰레기 수납부를 통해 부피가 큰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고, 쓰레기 수납부에 모인 이물질은 개구부를 통해 손쉽게 수거될 수 있다. In addition, foreign matter having a large volum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hrough the puncturing member and the trash storage unit, and th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trash storage unit can be easily collected through the opening.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에 포함된 그레이팅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에 포함된 보강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쓰레기 수납부가 포함된 그레이팅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차단유닛이 제2 거치대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차단유닛이 제2 거치대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타공부재의 연장부의 하부에 구비된 체결용 부재가 둘레 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둘레 프레임 돌기 및 잠금유닛에 의해 지지 프레임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rating portion included in a gr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ement portion included in a gr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rating structure including a trash storage portion.
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shielding unit is mounted on the second cradle.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blocking unit of another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second cradl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a fastening memb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n extension of the perforated member is fastened to the peripheral frame.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at the support frame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peripheral frame projection and the lock unit.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r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drain hol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 on "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when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emb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terms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taken to mean the approximation of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sense,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help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The word " step (or step) "or" step "used to the extent that it i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mean" step f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체(이하 '본 그레이팅 구조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gr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ain grat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배수구는 지하에 매설된 배수관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지상에 형성된 홀로서, 그레이팅 구조체는 이러한 배수구의 상측 유입부에 설치되어 보행자 및 이동수단의 바퀴 등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체이다.The drainage hole is a hole formed in the ground to allow water to flow into the drainage pipe buried in the underground, and the grating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upper inflow portion of the drainage hole to prevent the wheels of the pedestrian and the moving means from coming off.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보강부(10)를 포함한다.The present grating structure includes a reinforcing portion (10).

도 3을 참조하면, 보강부(10)는 후술하는 그레이팅부(30)를 지지함으로써, 종래의 그레이팅의 중심부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 및 손상이 쉽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10)에 의해 그레이팅부(30)가 콘크리트 상에 직접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그레이팅 구조체의 배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reinforcing portion 10 supports the grating portion 3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and damage easily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ventional grating. Further, since the grating portion 30 may not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concrete by the reinforcing portion 10, the drainage efficiency of the grating structure can be improved.

종래에는 배수구 상측 유입부의 콘크리트 상에 그레이팅 둘레가 직접 얹혀짐으로써 구비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약 400 mm의 폭을 가지는 그레이팅의 경우, 양쪽 둘레가 각각 약 50 mm씩 콘크리트 상에 얹혀지게 되므로, 그레이팅부의 약 25%가 배수기능을 잃는 공간이 되며 그 공간에 흙이 쌓여 배수구가 막히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the grating is directly placed on the concrete of the upper inflow portion of the drain hole.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grating having a width of about 400 mm, since the perimeter is placed on the concrete by about 50 mm each, about 25% of the grating portion becomes a space where the drainage function is lost,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uses a clogging.

반면,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부(10)를 포함함으로써 그레이팅부(30)가 콘크리트 상에 직접 설치되지 않으므로, 그레이팅부(30)에 구비된 배수통로가 100% 활용될 수 있어 배수효율을 종래에 비해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grating structure, since the grating portion 30 is not installed directly on the concrete by including the reinforcing portion 10 as described above, the drain passage provided in the grating portion 30 can be utilized 100% The drainage efficienc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보강부(10)는 둘레 프레임(11)을 포함한다.The reinforcing portion (10) includes a peripheral frame (11).

둘레 프레임(11)은 후술하는 지지 프레임(31)의 둘레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둘레 프레임(11)의 상측에 지지 프레임(31)이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31)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31)이 둘레 프레임(11)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circumferential frame 11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frame 31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upport frame 3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frame 11, The support frame 31 may be formed to have a circumference great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ce frame 31 so that the support frame 31 is installed inside the circumference frame 11. [

보강부(10)는 둘레 프레임(11)의 내측에 보조바가 구비된다.The reinforcing part (1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bar inside the peripheral frame (11).

도 2, 도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보조바는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바(12)를 포함한다.2, 3 and 7, the sub-bar includes at least one first sub-bar 12 disposed horizontally at intervals.

더 큰 하중으로부터의 지지 프레임(31)의 변형을 방지하고, 제2 보조바(1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조바(12)는 복수개임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upport frame 31 from a larger load and stably support the second sub-bar 13,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first sub-bars 12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2 .

도 2,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보조바는 제1 보조바(12)와 교차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바(1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3 and 7, the sub-bar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sub-bar 13 cross-positioned with the first sub-bar 12.

더 큰 하중으로부터의 지지 프레임(3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조바(13)는 복수개임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upport frame 31 from a larger loa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bars 13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그레이팅부(30)가 제1 보조바(12) 및 제2 보조바(13)를 통해 이중 지지되므로, 본 그레이팅 구조체의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Since the grating portion 30 is doubly supported through the first auxiliary bar 12 and the second auxiliary bar 13,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present grating structure can be enhanced.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조바(12)와 제2 보조바(13)는 동일 평면 상에서 교차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조바(13)는 제1 보조바(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the first sub-bar 12 and the second sub-bar 13 may be cross-disposed on the same plane.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econd sub-bar 13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ub-bar 13.

보강부(10)는 한 쌍의 제1 거치대(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ortion 10 may include a pair of first cradles 14.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1 거치대(14) 각각에는 제1 보조바(12)의 양단부가 각각 거치된다.Referring to Fig. 2, both ends of the first auxiliary bar 12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pair of first cradles 14, respectively.

도 2를 참조하면, 제1 거치대(14)는 상단으로부터 함몰된 제1 거치홈(14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거치대(14)는 제1 보조바(12)의 양단부가 각각 제1 거치홈(141)에 거치되도록 둘레 프레임(11)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mounting table 14 may have a first mounting groove 141 recessed from the upper end thereof. The first stand 14 may be installed on the peripheral frame 11 such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sub-bar 12 are respectively received in the first mounting grooves 141.

이를 통해, 제1 보조바(12)는 제1 거치홈(141)에 끼워지거나 빠짐으로써, 제1 거치대(14)로부터의 분리 또는 체결이 자유롭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조바(12)가 하중을 받아 변형 또는 손상이 일어나는 경우 간단하게 교체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first auxiliary bar 12 can be separated or fastened from the first cradle 14 by being fitted into or disengaged from the first cradling groove 141. Therefore, when the first auxiliary bar 12 receives a load and deforming or damages occur, it can be simply replaced.

이때, 제1 보조바(12)가 보다 안정적으로 제1 거치대(14)에 거치될 수 있도록, 제1 거치홈(141)은 제1 보조바(12)의 단부가 높이 방향으로 모두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order that the first sub-bar 12 can be more stably mounted on the first cantilever 14, the first sub-grove 141 can receive the end of the first sub- It is preferable to form it so as to have a certain depth.

보강부(10)는 한 쌍의 제2 거치대(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ortion 10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cradles 15.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2 거치대(15) 각각에는 제2 보조바(13)의 양단부가 각각 거치된다.Referring to Fig. 2, both ends of the second auxiliary bar 13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pair of second cradles 15, respectively.

도 2를 참조하면, 제2 거치대(15)는 상단으로부터 함몰된 제2 거치홈(15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거치대(15)는 제2 보조바(13)의 양단부가 각각 제2 거치홈(151)에 거치되도록 둘레 프레임(11)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econd mounting table 15 may have a second mounting groove 151 that is recessed from the top. The second holder 15 may be installed on the peripheral frame 11 such that the opposite ends of the second auxiliary bar 13 are respectively received in the second holder 151.

이를 통해, 제2 보조바(13)는 제2 거치홈(151)에 끼워지거나 빠짐으로써, 제2 거치대(15)로부터의 분리 또는 체결이 자유롭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보조바(13)가 하중을 받아 변형 또는 손상이 일어나는 경우 간단하게 교체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econd sub-bar 13 is fitted into or disengaged from the second mounting groove 151, so that the second sub-bar 13 can be separated or fastened from the second mounting base 15. Therefore, when the second auxiliary bar 13 receives a load and is deformed or damaged, it can be simply replaced.

이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보조바(13)가 보다 안정적으로 제2 거치대(15)에 거치될 수 있도록, 제2 거치홈(151)은 제2 보조바(13)의 단부가 높이 방향으로 모두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4 and 5, the second mounting groove 151 is formed in the second auxiliary bar 13 so that the second auxiliary bar 13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base 15,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portion is formed so as to have a depth enough to be accommodated all in the height direction.

제2 거치홈(151)은 제2 보조바(13)의 하면이 제1 보조바(12)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함몰될 수 있다.The second mounting groove 151 may be recessed such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bar 13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bar 12.

이를 통해, 제2 보조바(13)는 제1 보조바(12)가 제1 거치홈(1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조바(12)가 제1 거치홈(1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sub-bar (13) can prevent the first sub-bar (12)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rst sub-groove (141). Therefore, a separate member for preventing the first sub-bar 12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rst mounting groove 141 may not be provided.

또한, 제2 거치홈(151)의 함몰 깊이가 짧아 제2 보조바(13)가 제1 보조바(12)와 접촉될 수 없는 경우, 그레이팅부(30)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제2 보조바(13)만이 그레이팅부(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1 보조바(12)는 그레이팅부(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보조바(12)가 제2 보조바(13)와 맞닿도록 하여 제1 보조바(12)와 제2 보조바(13)가 그레이팅부(30)를 이중으로 지지함으로써, 그레이팅 구조체의 구조적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When the second sub-bar 13 can not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ub-bar 12 due to the short depth of the second mounting groove 151,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grating portion 30, Only the bar 13 serves to support the grating portion 30 and the first auxiliary bar 12 can not serve to support the grating portion 30. [ Accordingly, the first auxiliary bar 12 and the second auxiliary bar 13 doubly support the grating portion 30 such that the first auxiliary bar 12 abuts the second auxiliary bar 13, Can be increased.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보강부(10)는 제2 거치홈(151)으로부터 제2 보조바(13)의 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유닛(16)을 포함할 수 있다.2, 4 and 5, the reinforcing portion 10 may include a blocking unit 16 for preventing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auxiliary bar 13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econd mounting groove 151 have.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보조바(13)는 제1 보조바(12)와 접촉됨으로써, 제1 보조바(12)가 제1 거치홈(1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 보조바(12)의 이탈 방지를 위한 별도의 부재는 필요하지 않다.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sub-bar 13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ub-bar 12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b-bar 1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sub-groove 141, A separate member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auxiliary bar 12 is not required.

차단유닛(16)을 통해 제2 보조바(13)가 제2 거치홈(151)에 밀착 체결될 수 있어, 그레이팅 구조체 상으로 차 또는 사람이 지나가더라도 보조바의 흔들림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단유닛(16)이 제2 보조바(13)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보조바의 도난이 방지될 수 있다.The second auxiliary bar 13 can be tightly fixed to the second mounting groove 151 through the cutoff unit 16 so that no noise due to the shaking of the auxiliary bar is generated even when a car or a person passes over the grating structure can do. Also, since the blocking unit 16 prevents the second auxiliary bar 13 from being released, theft of the auxiliary bar can be prevented.

제2 보조바(13)의 단부에는 차단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단유닛(16)은 차단홈(131) 상으로 일부가 이동 가능할 수 있다.A blocking groove 131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sub-bar 13. In addition, the blocking unit 16 may be partially movable on the blocking groove 131.

여기서, 차단홈(131)은 제2 보조바(13)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함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함몰된 형상을 가지되 일측면이 개방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Here, the blocking groove 131 is not only denoted by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bar 13, but may also mean that the lower side has a recessed shape and one side is opened.

차단유닛(16)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조바(13)의 단부가 이탈될 수 있는 통로인 제2 거치홈(151)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제2 거치대(15)와 체결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거치홈(151)의 상부에 끼워짐으로써, 제2 보조바(13)의 단부가 제2 거치홈(1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4, the cut-off unit 16 includes a second holding table 15 and a second holding table 15 so as to traverse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lacing groove 151,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second auxiliary bar 13 can be detached, 5 or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groove 151 as shown in FIG. 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auxiliary bar 13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econd mounting groove 151.

차단유닛(16)의 일부(161)는 차단홈(131) 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할 수 있다.The portion 161 of the blocking unit 16 can be slidably moved on the blocking groove 131. [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2 거치대(15)에는 차단유닛(16)의 일부(1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유닛(16)의 일부(161)가 제2 거치대(15)의 홀에 삽입되도록 파지부(163)를 이동시킴으로써, 차단유닛(16)의 일부(161)가 제2 거치홈(15)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제2 거치홈(151) 상을 가로질러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유닛(16)은 제2 보조바(13)가 제2 거치홈(1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a hol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holder 15 so that a part 161 of the shielding unit 16 can be inserted. Therefore, by moving the grip portion 163 so that the portion 161 of the shielding unit 16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second mount 15, the portion 161 of the shielding unit 16 is moved to the second mount groove 15 And can be moved across the second mounting groove 151. 4 (b), the blocking unit 16 can prevent the second sub-bar 13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econd mounting groove 151. As shown in Fig.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차단유닛(16)은 복수개의 제2 거치대(15)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차단유닛(16)은 복수개의 보조바(1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one blocking unit 16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radles 15. Accordingly, one blocking unit 16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plurality of auxiliary bars 13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다른 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차단유닛(16)의 일부(161)는 차단홈(131)을 향해 삽입됨으로써 차단홈(131) 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를 참조하면 둘레 프레임(11)의 외측에서 파지부(163)를 제2 보조바(13)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유닛(16)이 제2 거치홈(151)의 상부에 끼워져 제2 보조바(1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5, a portion 161 of the blocking unit 16 may be moved onto the blocking groove 131 by being inserted toward the blocking groove 131. 5 (a), by moving the grip portion 163 toward the second auxiliary bar 13 from the outside of the peripheral frame 11, as shown in FIG. 5 (b) The blocking unit 16 is fit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groove 151 to prevent the second auxiliary bar 13 from being separated.

이때, 차단유닛(16)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차단유닛(16)이 하나의 제2 보조바(1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차단유닛(16)의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차단유닛(16)이 복수개의 제2 보조바(13)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blocking unit 16 can prevent one of the blocking units 16 from being separated from one second auxiliary bar 13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when a plurality of the blocking units 16 shown in Fig. 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e blocking unit 16 may prevent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bars 13 from escaping as shown in Fig. 4 have.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둘레 프레임(11)은 외면에 차단유닛(16)의 파지부(163)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블록(111)을 포함할 수 있다.2, 4 and 5, the peripheral frame 11 may include a storage block 111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which can receive the grip portion 163 of the blocking unit 16.

이를 통해, 둘레 프레임(11)의 외측에서 차단유닛(16)의 파지부(163)를 이동시킴으로써,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제2 보조바(13)의 탈부착이 가능하다.By this, the grip portion 163 of the blocking unit 16 is moved outside the peripheral frame 11, so that the second auxiliary bar 13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by a simple operation.

도 1,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보강부(10)는 배수구의 내측 벽면을 지지하도록 둘레 프레임(11)의 외면에 형성된 지지부재(17)를 포함할 수 있다.1, 3 and 8, the reinforcing portion 10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17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eripheral frame 11 to support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rain hole.

종래의 그레이팅은, 배수구의 상측 유입부의 콘크리트 상에 배수통로가 형성된 그레이팅의 둘레가 직접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콘크리트 상에 얹혀지는 배수통로는 배수 유입부의 역할을 할 수 없으므로, 그레이팅의 배수 효율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grating, the periphery of the grating formed with the drainage passage on the concrete of the upper inflow portion of the drainage port is directly mounted. However, in such a case, the drainage passage laid on the concrete can not serve as a drainage inflow portion, which causes a problem of lowering the drainage efficiency of the grating.

반면, 도 8을 참조하면,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지지부재(17)를 통해 배수구의 벽면에 둘레 프레임(11)을 설치하고, 둘레 프레임(11)의 내측 또는 상측에 그레이팅부(30)를 설치하여 그레이팅부(30)가 둘레 프레임(1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상에 얹혀지는 배수통로를 없애 그레이팅부(30)의 배수효율을 최대로 할 수 있다.8, the present grating structure includes a peripheral frame 11 provided on a wall surface of a drain port through a support member 17 and a grating portion 30 provided on an inner side or an upper side of the peripheral frame 11 The grating portion 30 can be supported by the peripheral frame 11, thereby eliminating the water drain passage on the concrete and maximizing the drainage efficiency of the grating portion 30. [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그레이팅부(30)를 포함한다.The present grating structure includes a grating portion (30).

도 1을 참조하면, 그레이팅부(30)는 이물질은 차단시키고 빗물만이 배수구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grating portion 30 blocks foreign matter and allows only rainwater to flow into the drain port.

그레이팅부(30)는 보조바 상에 배치된다.The grating portion 30 is disposed on the auxiliary bar.

그레이팅부(30)는 보조바 상에 배치되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 프레임(11)의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둘레 프레임(11)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grating portion 30 is disposed on the auxiliary bar, and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peripheral frame 11 or on the peripheral side of the peripheral frame 11, as shown in FIG.

그레이팅부(30)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수통로(312)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31)이 구비된다.The grating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 support frame 31 having a drainage passage 312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도 1을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31)은 복수개의 판이 배수통로(312)를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upport frame 31 may be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plates form a drainage passage 312.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31)은 사각틀의 내측에 복수개의 판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지지 프레임(31)은 사각틀의 내측에 복수개의 판이 격자 무늬를 가지도록 서로 교차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frame 31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inside the frame. Alternatively, the support frame 31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 are arranged crosswise to each other so as to have a grid pattern o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그레이팅부(30)에는 지지 프레임(31) 상에 타공부재(33)가 구비된다.The grating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 perforated member (33) on the support frame (31).

도 1을 참조하면, 타공부재(33)는 지지 프레임(31)에 구비된 다수개의 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erforated member 33 may b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plates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31.

도 1을 참조하면, 타공부재(33)에 형성된 홀(332)의 크기는 지지 프레임(31)에 형성된 배수통로(312)의 크기에 비해 작을 수 있다.1, the size of the hole 332 formed in the perforated member 33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drainage passage 312 formed in the support frame 31. [

타공부재(33)는 상면에 다수의 홀(332)이 형성됨으로써, 빗물만이 배수구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낙엽이나 돌과 같은 부피가 큰 이물질이 배수구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The perforated member 3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332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only rain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drain port and bulky foreign substances such as leaves and stones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drain port.

이때, 타공부재(33)에 형성된 홀(332)의 크기는 약 20 mm 이하임이 바람직하고, 이를 테면 약 7 mm 내지 약 14 mm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ze of the hole 332 formed in the perforated member 33 is preferably about 20 mm or less, for example, about 7 mm to about 14 mm.

타공부재(33)에 형성된 홀(332)의 크기가 20 mm 이상인 경우, 도시의 가장 많은 쓰레기인 담배꽁초가 쉽게 빠져 쓰레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 자체가 상실될 수 있다.When the size of the hole 332 formed in the perforated member 33 is 20 mm or more, the cigarette butt, which is the largest amount of waste in the city, easily slips and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entry of the trash can be lost.

도 1을 참조하면, 타공부재(33)의 상면에는 홀(332)과 홀(332) 사이를 따라 돌출라인(331)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rotruding line 33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ed member 33 along the hole 332 and the hole 332.

돌출라인(331)은 타공부재(33)의 상면에 흐르는 물이 쉽게 월류되지 못하도록 그 흐름을 제한하여 약화시키고, 이에 따라 돌출라인(331)의 사이에 자연히 수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물이 이를 따라 흐르게 유도함으로써, 물이 돌출라인(331) 사이에 형성된 홀(332)을 통해 배수구 내로 보다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한다. The protruding line 331 restricts and weakens the flow of wa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ed member 33 so that it can not easily flow, thereby allowing water to flow naturally between the protruding lines 331 The water can flow more smoothly into the drain hole through the hole 332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lines 331. [

도 1을 참조하면, 돌출라인(331)은 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protruding lines 331 may b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흐르는 물이 배수구 내로 보다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As a result, water flowing in various directions can flow into the drain hole more smoothly.

이때, 타공부재(33)는 제1 방향을 따라 돌출라인(331)이 형성된 제1 영역(3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공부재(33)는 제2 방향을 따라 돌출라인(331)이 형성된 제2 영역(335)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erforated member 33 may include a first region 333 having a protrusion line 331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puncturing member 33 may include a second region 335 having a protrusion line 331 form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여기서, 방향이라 함은 돌출라인(331)을 다수개의 구간으로 분할했을 때, 각 구간의 라인이 일정하게 향하는 방향뿐만 아니라, 일정하지는 않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간의 라인이 대략적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projecting line 33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the direction is not limited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ines in each section are constantly directed, Can be used to refer to the direction to which it is directed.

도 1을 참조하면, 돌출라인(331) 상에는 이물질의 부착이 방지되도록 간격을 두고 엠보싱(3313)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embossing 3313 may be formed on the protruding line 331 at intervals so as to prevent adhesion of foreign matter.

돌출라인(331) 상에 이물질이 부착되면 물이 돌출라인(331)을 월류하여 다른 수로로 이동하는 것을 막게 되므로, 돌출라인(331) 사이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수로에 물이 몰리게 되는 경우, 배수가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When foreign matter adheres on the protruding line 331,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over the protruding line 331 to the other water channel. Therefore, when water is poured into any one of the water channels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lines 331, May not occur smoothly.

이에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라인(331) 상에 엠보싱(3313)을 형성시킴으로써, 엠보싱(3313) 상에 이물질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물질과 돌출라인(331) 사이에 물이 월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 돌출라인(331) 사이에 형성된 수로 중 어느 하나의 수로에 물이 몰리는 경우, 물이 돌출라인(331)을 월류함으로써 다른 수로를 따라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by forming the embossing 3313 on the protruding line 331, foreign matter can be adhered on the embossing 3313. As a result, a space can be provided between the foreign object and the protruding line 331 so that water can flow over the protruding line 331. When water is poured into any one of the water channels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lines 331, 331) over the other channe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rain more smoothly.

도 3을 참조하면, 타공부재(33)에는 개구부(3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타공부재(33)의 하측에는 개구부(334)에 대응하는 위치에 쓰레기 수납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쓰레기 수납부(60)는 타공 또는 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34)는 타공부재(33)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erforation member 33 may have an opening 334 formed therein. At this time, the garbage receiving portion 6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erforated member 3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334. For example, the waste storage portion 60 may be formed of a pore or a net. Further, the opening 334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erforated member 33.

쓰레기 수납부(60)는 개구부(334)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수납될 수 있어, 이물질이 배수구 내에 쌓여 배수로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oreign matter entering through the opening 334 can be received in the refuse receiving portion 60,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accumulating in the drain to block the drainage passage.

또한, 개구부(334)를 통해 쓰레기 수납부(60)를 꺼낼 수 있어,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Further, the waste accommodating portion 60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opening portion 334, so that the foreign matter can be easily removed.

이때, 개구부(334)는 지지 프레임(31) 상에 구비된 타공부재(33)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지지 프레임(31) 상의 일부에만 타공부재(33)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The opening 334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art of the perforated member 33 provided on the supporting frame 31 or by providing the perforated member 33 on only a part of the supporting frame 31 It is possible.

개구부(334)는 쓰레기, 낙엽 등의 이물질이 많이 모이는 곳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반 차량용 도로의 사이드에 설치되는 그레이팅 구조체인 경우, 이물질은 차량용 도로와 보도의 높이차로 인해 형성된 턱에 많이 쌓이게 되므로, 개구부(334)는 턱이 형성된 곳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334 is preferably formed at a place where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such as garbag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grating structure installed on a side of a road for a general automob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334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jaw is formed, since foreign matter accumulates in the jaw formed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road for vehicles and the sidewalk.

도 3을 참조하면, 쓰레기 수납부(60)는 보강부(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refuse receiving portion 60 may be disposed below the reinforcing portion 10.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31)의 하부에는 보강부(10)와 체결되는 체결용 부재(319)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3, a fastening member 319 fastened to the reinforcing portion 1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31.

이를 통해, 지지 프레임(31)은 보강부(10)에 고정될 수 있어, 그레이팅 구조체 상에 차 또는 사람이 지나가는 경우 지지 프레임(31)이 흔들려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31)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그레이팅 구조체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Thus, the support frame 31 can be fixed to the reinforcement portion 10, thereby preventing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support frame 31 is shaken when a car or a person passes over the grating structure. In addition, theft of the support frame 31 can be prevented, and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grating structure can be enhanced.

체결용 부재(319)는 둘레 프레임(11)의 내측면에 볼트 등을 통해 고정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체결용 부재(319)는 제2 보조바(13)와 체결될 수도 있다.The fastening member 319 can be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frame 11 through bolts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fastening member 319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auxiliary bar 13.

예를 들어, 체결용 부재(319)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319 may be provided in an annular shape as shown in FIGS.

이와는 다른 예로서, 타공부재(33)는 지지 프레임(31)의 둘레를 감싸도록 지지 프레임(31)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37)를 포함할 수 있고, 연장부(337)의 하부에는 보강부(10)와 체결되는 체결용 부재(339)가 구비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erforated member 33 may include an extension 337 extending downwardly of the support frame 31 to surround the perimeter of the support frame 31, A fastening member 339 fastened to the reinforcing portion 10 may be provided.

이러한 경우, 타공부재(33)만이 보강부(10)와 체결됨으로써, 타공부재(33)의 하측에 위치한 지지 프레임(31)도 보강부(10)와 밀착 체결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In this case, only the piercing member 33 is fastened to the reinforcing portion 10, so that the supporting frame 31 located under the piercing member 33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portion 10.

도 6을 참조하면, 체결용 부재(339)가 볼트(340)를 통해 둘레 프레임(11)의 내측면에 체결됨으로써, 타공부재(33)는 보강부(10)와 결합될 수 있다. 6, the fastening member 339 is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frame 11 through the bolts 340, so that the perforated member 33 can be engaged with the reinforcing portion 10.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체결용 부재(339)가 제2 보조바(13)와 체결됨으로써, 타공부재(33)는 보강부(10)와 결합될 수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astening member 339 is fastened to the second auxiliary bar 13, so that the perforated member 33 can be engaged with the reinforced portion 10.

이와는 다른 예로서, 도 7을 참조하면, 둘레 프레임(11)의 내측에서 보조바 상에 안치되는 지지 프레임(31)의 외면에는 제1 돌기(315) 및 제2 돌기(3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둘레 프레임(11)의 내면에는 지지 프레임(31)의 안치시 제1 돌기(315)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제1 돌기(315) 상에 둘레 프레임 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7, a first projection 315 and a second projection 316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31, which is placed on the auxiliary bar inside the peripheral frame 11 have. A peripheral frame protrusion 115 may be formed on the first protrusion 315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frame 11 so as to prevent the first protrusion 315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frame 31 when the main body 31 is placed on the support frame 31.

도 7을 참조하면, 둘레 프레임(11)의 내측에 지지 프레임(31)이 장착되는 경우의 제1 돌기(315)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둘레 프레임 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둘레 프레임(11)의 내측에 지지 프레임(31)이 장착되는 경우, 제1 돌기(315)의 상면과 둘레 프레임 돌기(115)의 하면이 접촉됨으로써 제1 돌기(315)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peripheral frame protrusion 11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protrusion 315 when the support frame 31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peripheral frame 11. Therefore, when the support frame 31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peripheral frame 11,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on 315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eripheral frame projection 115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

또한, 보강부(10)는 제2 돌기(316)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 프레임(31)의 안치시 제2 돌기(316) 상으로 일부가 이동 가능한 잠금유닛(18)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ortion 10 may include a locking unit 18 that is partly movable on the second projection 316 when the supporting frame 31 is positioned so as to prevent the second projection 316 from being separated.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유닛(18)이 삽입되기 전에 둘레 프레임 돌기(115)의 하면과 제1 돌기(315)의 상면이 접촉되도록 지지 프레임(31)을 둘레 프레임(11)의 내측에 장착한다. 이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유닛(18)을 둘레 프레임(11)의 외측에서 제2 돌기(316) 상으로 삽입함으로써 잠금유닛(18)의 일부의 하면이 제2 돌기(316)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둘레 프레임(11)으로부터 지지 프레임(3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7A, before the lock unit 18 is inserted, the support frame 31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peripheral frame 11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peripheral frame projection 11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on 315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7B, the lower surface of a portion of the lock unit 18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rojection 316 by inserting the lock unit 18 from the outside of the peripheral frame 11 onto the second projection 316. Then, So that the support frame 3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eripheral frame 11.

이를 통해, 지지 프레임(31)의 도난 및 지지 프레임(31)의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이 방지될 수 있고,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As a result, the noise generated due to theft of the support frame 31 and the shaking of the support frame 31 can be prevented, and the structural strength can be increased.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315)와 제2 돌기(316)는 지지 프레임(31)의 외면 중 서로 대향하는 부재의 외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7, the first protrusion 315 and the second protrusion 316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mber facing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31. [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받침축(50)을 포함한다.The present grating structure includes a support shaft (50).

받침축(50)은 보조바를 지지한다.The support shaft 50 supports the auxiliary bar.

이를 통해,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그레이팅부(30)는 보조바뿐만 아니라 받침축(50)을 통해서도 지지될 수 있다.3 and 8, the grating portion 30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support shaft 50 as well as the auxiliary bar.

도 2를 참조하면, 받침축(50)의 상단은 제1 보조바(12)와 제2 보조바(13)의 교차 지점을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50 may support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sub-bar 12 and the second sub-bar 13.

제1 보조바(12)와 제2 보조바(13)의 교차 지점에 가장 많은 하중이 걸리게 되므로, 이를 지지함으로써 그레이팅 구조체의 구조적 강도를 보다 확보할 수 있다.The greatest load is applied to the intersection points of the first auxiliary bar 12 and the second auxiliary bar 13,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grating structure by supporting it.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축(50)의 하단은 배수구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수구의 내측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50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hole or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rain hole 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받침축(50)의 상단에는 제1 보조바(12)와 제2 보조바(13)가 교차 지점에 장착되는 고정유닛(51)이 구비될 수 있다.A fixing unit 51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shaft 50 to mount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rs 12 and 13 at intersecting points.

도 2를 참조하면, 고정유닛(51)은 속이 빈 십자가 형태일 수 있고, 십자가의 빈 속에 제1 보조바(12)와 제2 보조바(13)의 교차 지점이 끼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보조바(12)와 제2 보조바(13)를 고정시켜 그레이팅 구조체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xing unit 51 may be in the form of a hollow cross, and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sub-bar 12 and the second sub-bar 13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cross. Accordingly, the strength of the grating structure can be enhanced by fixing the first auxiliary bar 12 and the second auxiliary bar 13.

종래의 그레이팅은 둘레만이 배수구의 상측 유입부의 콘크리트 상에 지지되므로 중심부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 및 손상이 쉽게 일어나고, 일부 배수통로가 콘크리트 상에 얹혀지게 되므로 배수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conventional grating is supported only on the concrete of the upper inflow portion of the drain port,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center portion, deformation and damage easily occur, and a part of the drain passage is placed on the concrete.

반면,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그레이팅부(30)가 직접 콘크리트 상에 설치되지 않고, 보조바(12, 13) 상에 배치되어 보강부(10) 및 받침축(50)에 의해 이중으로 지지되므로, 배수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레이팅의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grating structure, since the grating portion 30 is not directly disposed on the concrete but is disposed on the auxiliary bars 12 and 13 and is doubly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portion 10 and the support shaft 50, The drainage efficiency can be maximized and the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grating can be minimized.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타공부재(33)와 쓰레기 수납부(60)를 통해 부피가 큰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쓰레기 수납부(60)에 모인 이물질은 개구부(334)를 통해 간단하게 수거될 수 있다.The present grating structure can prevent the introduction of bulky foreign matter through the perforation member 33 and the trash storage portion 60. Further,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refuse storage portion 60 can be simply collected through the opening portion 334. [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보조바(12, 13)가 각각 거치대(14, 15)로부터 자유롭게 탈착될 수 있으므로, 보조바(12, 13)의 손상시 교체가 편리하다. Since the auxiliary bars 12 and 13 can be freely detached from the cradles 14 and 15, the present grating structure can be easily replaced when the auxiliary bars 12 and 13 are damaged.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타공부재(33) 또는 지지 프레임(31)이 각각 체결용 부재(339, 319)를 통해 보조바와 결합될 수 있으므로, 도난 방지 및 강도 확보가 가능하다.The present grating structure allows the perforated member 33 or the support frame 31 to be coupled to the auxiliary bar via the fastening members 339 and 319, respectively, so that theft prevention and strength can be secured.

본 그레이팅 구조체는 타공부재(33)의 상면의 홀(332)과 홀(332) 사이를 따라 형성된 돌출라인(331)을 통해 수로를 형성하여 물이 홀(332)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돌출라인(331) 상에 형성된 엠보싱(3313)을 통해 물이 다른 수로로 월류될 수 있도록 하여, 배수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The present grating structure forms a channel through a protrusion line 331 formed between the hole 332 and the hole 33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ed member 33 to guide water into the hole 332, The water can be flowed to other water channels through the embossing 3313 formed on the protruding line 331, so that the drainage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보강부 30: 그레이팅부
50; 받침축 60: 쓰레기 수납부
11: 둘레 프레임 12: 제1 보조바
13: 제2 보조바 14: 제1 거치대
15: 제2 거치대 16: 차단유닛
17: 지지부재 31: 지지 프레임
33: 타공부재 131: 차단홈
141: 제1 거치홈 151: 제2 거치홈
161: 차단유닛의 일부 163: 파지부
111: 수납블록 312: 배수통로
331: 돌출라인 332: 타공부재의 홀
333: 제1 영역 335: 제2 영역
3313: 엠보싱 337: 연장부
319, 339: 체결용 부재 315: 제1 돌기
316: 제2 돌기 115: 둘레 프레임 돌기
18: 잠금유닛
10: reinforcing portion 30: grating portion
50; Support shaft 60: Garbage compartment
11: Perimeter frame 12: First auxiliary bar
13: second auxiliary bar 14: first holder
15: second stand 16: interrupting unit
17: support member 31: support frame
33: piercing member 131: blocking groove
141: first mounting groove 151: second mounting groove
161: part of the blocking unit 163:
111: Storage block 312: Drain passage
331: protruding line 332: hole of perforated member
333: first region 335: second region
3313: Embossing 337: Extension
319, 339: fastening member 315: first projection
316: second projection 115: peripheral frame projection
18: Locking unit

Claims (20)

배수구에 설치되는 그레이팅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벽면에 설치되는 둘레 프레임, 및 상기 둘레 프레임의 내측에 보조바가 구비된 보강부;
상기 보조바 상에 배치되는 그레이팅부; 및
상기 보조바의 중간을 지지하는 받침축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바는,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바, 및 상기 제1 보조바와 교차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바를 포함하고,
상기 그레이팅부는 상기 보조바를 통해 상기 둘레프레임 및 상기 받침축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그레이팅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수통로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타공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단으로부터 함몰된 제1 거치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보조바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 거치홈에 거치되도록 상기 둘레 프레임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거치대; 및
상단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제2 보조바의 하면이 상기 제1 보조바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함몰되는 제2 거치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보조바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2 거치홈에 거치되도록 상기 둘레 프레임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In a grating structure provided in a drain hole,
A peripheral frame provided on a wall surface of the drain hole, and a reinforcing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peripheral frame;
A grating disposed on the sub-bar; And
And a support shaft for supporting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The sub-
At least one first sub-bar disposed at an interval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second sub-bar cross-disposed at the first sub-bar,
Wherein the grat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peripheral frame and the support shaft through the auxiliary bar,
Wherein the grat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having a drainage passag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erforated member on the support frame,
The reinforcing portion
A pair of first cradles provided on the peripheral frame so that both ends of the first sub bars are respectively received in the first cradles; And
And a second mounting groove that is recessed from the upper end and is recessed such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bar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bar,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second sub- And a pair of second holders mounted on the perimeter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바는 상기 제1 보조바 상에 배치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sub-bar is disposed on the first sub-b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2 거치홈으로부터 상기 제2 보조바의 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portion
And a blocking unit for preventing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sub-bar from separating from the second mounting groov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바의 단부에는 차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차단홈 상으로 일부가 이동 가능한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6. The method of claim 5,
A cut-off groove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sub-bar,
Wherein the blocking unit is partially movable on the blocking groov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유닛의 일부는 상기 차단홈 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part of the blocking unit is slidable on the blocking groov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프레임은 외면에 상기 차단유닛의 파지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블록을 포함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eripheral frame includes a storage block capable of receiving a grasping portion of the shielding unit on an outer surface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축의 상단은 상기 제1 보조바와 상기 제2 보조바의 교차 지점을 지지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supports an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auxiliary bar and the second auxiliary ba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축의 상단에는 상기 제1 보조바와 상기 제2 보조바의 교차 지점에 장착되는 고정유닛이 구비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fixed unit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at an intersection of the first auxiliary bar and the second auxiliary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재의 상면에는 홀과 홀 사이를 따라 돌출라인이 형성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ojecting lin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ed member along the hole and the hol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라인은 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타공부재는,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라인이 형성된 제1 영역, 및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라인이 형성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truding lines are formed in an opposite direction,
Wherein the perforation member
A first region in which the protruded lines are formed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region in which the protruded lines are formed along a second direc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라인 상에는 이물질의 부착이 방지되도록 간격을 두고 엠보싱이 형성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n embossing is formed on the protruding line at intervals so as to prevent adhesion of foreign mat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보강부와 체결되는 체결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reinforcing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재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그레이팅 본체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는 상기 보강부와 체결되는 체결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forating member includes an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of the grating body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frame,
And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reinforcing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de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재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공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쓰레기 수납부가 구비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forated memb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a garbage compartment is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perforated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납부는 상기 보강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garbage storage portion is disposed below the reinforc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배수구의 내측 벽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둘레 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portion
And a support membe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eripheral frame to support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drain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재에 형성된 홀의 크기는 상기 배수통로의 크기에 비해 작은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ize of the hole formed in the perforated member is smaller than a size of the drain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둘레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보조바 상에 안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면에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둘레 프레임의 내면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안치시 상기 제1 돌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돌기 상에 둘레 프레임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2 돌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안치시 상기 제2 돌기 상으로 일부가 이동 가능한 잠금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그레이팅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frame is positioned on the auxiliary bar inside the perimeter frame,
A first projection and a second projection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 circumferential fram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frame so as to prevent the first protrus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protrusion when the support frame is laid,
Wherein the reinforcing portion includes a lock unit that is partly movable on the second projection when the support frame is laid so as to prevent the second projection from being separated.
KR1020130009587A 2013-01-29 2013-01-29 Grating structure KR101475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587A KR101475030B1 (en) 2013-01-29 2013-01-29 Grat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587A KR101475030B1 (en) 2013-01-29 2013-01-29 Grat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696A KR20140096696A (en) 2014-08-06
KR101475030B1 true KR101475030B1 (en) 2014-12-24

Family

ID=5174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587A KR101475030B1 (en) 2013-01-29 2013-01-29 Grat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03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148B1 (en) 2018-05-17 2019-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drooping for grating
KR20200002094A (en) 2018-06-29 2020-0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ark fixing structure for grating
KR20200002095A (en) 2018-06-29 2020-0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ark fixing structure for grat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206A (en) * 2016-06-30 2018-01-09 강이국 a filter for grating
KR101969859B1 (en) 2018-11-09 2019-08-13 (주)포위스 Detachable t-joint for grating and top cov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11Y1 (en) * 2005-02-28 2005-05-25 (주) 미도랜드 Steel plate grating for decoration
KR100700019B1 (en) * 2006-04-04 2007-03-26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Safety gra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11Y1 (en) * 2005-02-28 2005-05-25 (주) 미도랜드 Steel plate grating for decoration
KR100700019B1 (en) * 2006-04-04 2007-03-26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Safety grat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148B1 (en) 2018-05-17 2019-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drooping for grating
KR20200002094A (en) 2018-06-29 2020-0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ark fixing structure for grating
KR20200002095A (en) 2018-06-29 2020-0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ark fixing structure for gr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696A (en)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030B1 (en) Grating structure
US5403474A (en) Curb inlet gravel sediment filter
US20130186811A1 (en) Filter
JP5845132B2 (en) Drainage gutter
KR101277785B1 (en) Filter having rain water box
KR100976852B1 (en) Drain box
KR101102576B1 (en) Collecting apparatus of adulteration for manhole
JP5537530B2 (en) Road drainage cover plate
KR100681845B1 (en) Box structure installed at road
KR101626502B1 (en) Drain System for road having plug-prevent function
JP2016044390A (en) Infiltration system
JP2017166204A (en) Street drainage ditch device
KR101673823B1 (en) Retaining wall system
KR20160093976A (en) Grating filter apparatus of drain-outlet
KR20190053752A (en) A prefabricated infiltration sump for surface water
KR200409448Y1 (en) The Steel Structure for Water Gathering Hole
KR101217390B1 (en) Purifier for manhole
KR20210026717A (en) Hybrid type debris collecting device attached to Grating
KR20090118211A (en) Manhole apparatus
KR20180063520A (en) Grating filter apparatus of drain-outlet
KR20160121676A (en)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and method thereof
KR101524682B1 (en) Jointed facilities keeping rainwater using gmt material and detachable filter element
JP2005120713A (en) Road concrete ditch
KR200489600Y1 (en) Hybrid type debris collecting device attached to Grating
JP5201766B2 (en) Covering structure of grating lid in permeable side gro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