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863B1 -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sour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sour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863B1
KR101474863B1 KR20130075672A KR20130075672A KR101474863B1 KR 101474863 B1 KR101474863 B1 KR 101474863B1 KR 20130075672 A KR20130075672 A KR 20130075672A KR 20130075672 A KR20130075672 A KR 20130075672A KR 101474863 B1 KR101474863 B1 KR 101474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ource
power supply
supply un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56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제상
사공석진
미야자끼유이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to KR20130075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8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8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A power source managing apparatus is provided. A first power source supply apparatus is connected to a second power source supply apparatus. If failure of the first or second power source supply apparatus is sensed, a power source managing unit switches the second or first power source supply apparatus. In case a first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a second power source and the first or second power source is turned off, a power source managing unit switches the second or first power source. A sensing unit monitors the voltage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source supply apparatuses and monitors the on/off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sources.

Description

전원 관리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POWER SOURCE}[0001]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SOURCE [0002]

본 발명은 전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을 이중으로 구성하여 비상 상황에서도 전관방송 시스템이 구동될 수 있는 전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capable of operating a public address system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by having a dual power source.

최근 건물이나 각종 시설물에는 공지사항 방송, 일반 방송, 비상통제 방송, 원격방송을 통하여 비상상황 발생시에 안전지대로 대피를 유도하거나, 일반 안내 멘트를 제공하는 전관방송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Recently, buildings and various facilities are provided with a public hall broadcasting system for guiding evacuation to safety zones or providing general information when an emergency occurs through announcement broadcasting, general broadcasting, emergency control broadcasting, and remote broadcasting.

이때, 전관방송 시스템은 각 구성요소와의 통신 단절을 방지하여 비상시에도 방송을 실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152225호(2012.05.25 공개)에는 메인 컨트롤러와 리모트 그룹, 리모트 컨트롤 앰프 간 제어를 캔(CAN) 통신 방식으로 구성하여 장비간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고, 이를 통해 고장 유무를 체크하여 비상시에 장비 고장으로 인한 장애를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public address system is configured in such a way as to prevent communication disconnection from each component and to broadcast even in an emergency.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No. 10-1152225 (published May 25, 2012) discloses a method of controlling real-time monitoring between devices by configuring a CAN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main controller, the remote group, and the remote control amplifier, A technique for preventing a failure due to equipment failure in an emergency is disclosed.

다만, 전관방송 시스템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소스나 전원 공급 장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지라도 전관방송 시스템 전체가 오프 상태이기 때문에, 캔 통신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비상 방송을 할 수 없으며, 이 상황에 대비한 기술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However, if a failure occurs in a power source or a power supply that supplies power to the public address system, even if an emergency occurs, the entire public address system is in an off state, so emergency broadcasting can not be performed even using the can communication method , But does not disclose a technique for this situation.

한국등록특허 제10-1152225호(2012.05.25 공개)에는 "CAN 통신방식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1152225 (published May 25, 2012) discloses a "public address broadcasting system using CAN communication metho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원 공급 장치를 듀얼로 배치하고, 전원 공급 장치에 전원을 입력하는 파워 소스도 이중으로 연결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전원 공급기에 이상이 발생할지라도, 전원 공급 차단으로 인하여 비상 방송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전원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any one of the power supply units, the power supply units are arranged in a dual manner and the power source for inputt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is doubly connec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occurrence of situations in which broadcasting can not be performed.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전원 공급 장치 및 제 2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되고, 제 1 전원 공급 장치 또는 제 2 전원 공급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면, 제 2 전원 공급 장치 또는 제 1 전원 공급 장치로 스위칭하는 전원 관리부, 제 1 파워 소스 및 제 2 파워 소스와 연결되고, 제 1 파워 소스 또는 제 2 파워 소스의 전력이 오프되는 경우, 제 2 파워 소스 또는 제 1 파워 소스로 스위칭하는 파워 소스 관리부, 제 1 전원 공급 장치 및 제 2 전원 공급 장치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제 1 파워 소스 및 제 2 파워 소스의 온/오프를 모니터링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a first power supply unit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detecting a failure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or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A first power source and a second power source, and when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source or the second power source is turned off, the second power source or the first power source is switched to the second power source, A power source management unit for switching to a power source or a first power source, a sensing unit for monitoring the voltages of the first power source and the second power source, and monitoring on / off of the first power source and the second power source do.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전원 공급 장치를 듀얼로 배치하고, 전원 공급 장치에 전원을 입력하는 파워 소스도 이중으로 연결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전원 공급기에 이상이 발생할지라도, 전원 공급 차단으로 인하여 비상 방송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any one of the power supply units by disposing the power supply units in a dual manner and also connecting the power sources for inputt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emergency broadcast can not be performed due to the power supply cut-of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원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도 1의 전원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도 1의 전원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FIG. 1. FIG.
FIG. 3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FIG. 1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B is a rear view illustrating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FIG. 1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as other elemen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원 관리 시스템(1)은 전원 관리 장치(100),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 제 1 파워 소스(310), 제 2 파워 소스(320), 배터리(400), 배터리 충전기(500), 다이렉트 박스(Direct Box, 600), 단말(7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전원 관리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power management system 1 includes a power management device 100, a first power supply 210, a second power supply 220, a first power source 310, A battery 400, a battery charger 500, a direct box 600, and a terminal 700,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ower management system 1 of FIG. 1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IG.

이때, 도 1의 전원 관리 장치(100)와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0,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관리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이렉트 박스(600) 및 단말(7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단말(700)은 전원 관리 장치(100)를 경유하여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와 연결될 수 있다.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10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20 through a network.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also be connected to a direct box The terminal 700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20 via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be connected.

여기서, 네트워크는 단말들, 장치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RS-485, USB, 직렬 통신,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전원 관리 시스템(1)은 전원 관리 장치(100),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 제 1 파워 소스(310), 제 2 파워 소스(320), 배터리(400), 배터리 충전기(500), 다이렉트 박스(Direct Box, 600), 단말(7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between each node such as terminals, devices, and servers.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is RS-485, USB, serial communication, ,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Wide Area Network (WA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3G, 4G, LTE, Wi-Fi and the like. 1 also includes a power management device 100, a first power supply 210, a second power supply 220, a first power source 310, a second power source 310, The battery 400, the battery charger 500, the direct box 600, and the terminal 700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또는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가 고장이 나더라도, 전관 방송 시스템 전체가 오프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라도 비상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와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를 연결하여,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가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전원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또는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로부터 스위치드 교류 전압 출력과, 스위치드 직류 및 언스위치드 직류 전압 출력을 받고,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또는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의 직류 전압을 검출하여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또는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의 동작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와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하면, 정상 동작하는 장치로 전환(Switching)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관리 장치(100)는 스위치드 교류 전압, 스위치드 직류 전압, 언스위치드 직류 전압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전관 방송 시스템의 기기들이 오프되지 않고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 공급 장치의 이중화를 제공할 수 있다.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prevent the entire publicity broadcasting system from being turned off even if the first power supply apparatus 210 or the second power supply apparatus 220 fails, . Also,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connect the first power supply 2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220 to each other so that even if one power supply fails, To be supplied smoothly.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receives the switched AC voltage output, the switched DC and un-switched DC voltage outputs from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10 or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20, 210 or the second power supply 220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operation of the first power supply 210 or the second power supply 220. [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switch to a device that operates normally when any one of the first power supply device 2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device 220 fails. Accordingly,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provide redundancy of the power supply unit so that devices of the public address system connected to the switched AC voltage, the switched DC voltage, and the unshown DC voltage terminal are not turned off and used without any problem have.

또한, 전원 관리 장치(100)는 서로 다른 전원 파워 소스, 즉 제 1 파워 소스(310) 및 제 2 파워 소스(320)를 연결하여, 하나의 파워 소스가 오프되면, 즉 제 1 파워 소스(310) 또는 제 2 파워 소스(320)가 오프되면, 다른 하나의 파워 소스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원 관리 장치(100)에 연결된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와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가 오프되지 않고 정상 동작하도록 전원의 이중화를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connect different power power sources, i.e., a first power source 310 and a second power source 320, so that when one power source is turned off, that is, ) Or the second power source 320 is turned off, it is possible to switch to another power source. Accordingly,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provide power redundancy so that the first power supply 2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220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are normally operated without being turned off .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와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는 제 1 파워 소스(310) 또는 제 2 파워 소스(320)의 교류 전압을 입력으로 하고, 스위치드 교류 전압(Switched AC Voltage), 스위치드 직류 전압(Switched DC Voltage), 언스위치드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와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는 제 1 파워 소스(310) 및 제 2 파워 소스(320)가 오프되면 배터리(400)로부터 직류 전원인 스위치드 직류 전압과 언스위치드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와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는 전관방송 시스템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기기로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2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220 receive the AC voltage of the first power source 310 or the second power source 320 and generate a switched AC voltage, A switched DC voltage, and an unshown DC voltage. When the first power source 310 and the second power source 320 are turned off, the first power supply 2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220 supply the switched DC voltage, which is the DC power, It is possible to output an un-switched DC voltage. Here,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20 may be used as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public address system.

제 1 파워 소스(310) 및 제 2 파워 소스(320)는 전원 관리 장치(100)와 연결되고, 전원 관리 장치(100)로 교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 1 파워 소스(310) 또는 제 2 파워 소스(320)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전원 관리 장치(100)에 의해 전원 관리 장치(100)와의 연결이 스위칭될 수도 있다.The first power source 310 and the second power source 320 are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and can supply AC power to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At this time, when a failure occurs in either the first power source 310 or the second power source 320, the connection with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be switched by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

배터리(400)는 배터리 충전기(500)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충전기(500)는 비상 전압으로 배터리(400)에 비축하는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이면 자동으로 충전을 시작하고, 일정 전압 이상이면 자동으로 충전을 정지할 수 있는 과충전 방지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기(500)는 디지털 미터를 이용하여 충전시 전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배터리(400)와 연결되었을 때 배터리(400)의 상태, 즉 정상, 주의, 경고, 충전 상태 등을 알 수 있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battery 400 may be charged by the battery charger 500. At this time, the battery charger 500 may have an overcharge prevention function that can automatically start charging if the voltage stored in the battery 400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by the emergency voltage, and stop charging automatically when the voltage exceeds a predetermined voltage . In addition, the battery charger 500 can use a digital meter to check the current state during charging. When connected to the battery 400, the state of the battery 400, i.e., normal, And a display unit for recognizing the display unit.

다이렉트 박스(Direct Box, 600)는 언밸런스 신호(Unbalance Signal)를 밸런스 신호(Balance Signal)로 변환할 수 있고, 밸런스 신호를 언밸런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다이렉트 박스(600)는 단말(7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단말(700)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단말(700)은 단말(7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원 관리 시스템(1)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단말(7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rect box 600 can convert an unbalance signal into a balance signal and convert the balance signal into an unbalanced signal. The terminal 700 may be controlled by an administrator or a user and the terminal 70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system 700 through the user interface of the terminal 700. [ 1) can be controlled. At this time, the terminal 700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otebook,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on which a WEB browser is installed.

도 2는 도 1의 전원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원 관리부(110), 파워 소스 관리부(120), 감지부(130), 검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관리 장치(100)는 표시부(150), 제 1 출력부(160), 제 2 출력부(170) 및 제 3 출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FIG. 1. FIG. 2,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unit 110, a power source management unit 120, a sensing unit 130, and a detection unit 140 have.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150, a first output unit 160, a second output unit 170, and a third output unit 18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 장치(100) 또는 전원 관리 장치(10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전원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단말(700)로 전송하면, 단말(7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전원 관리 프로그램이 단말(7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When a power management application 100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transmits a power management application, a program, a web page, etc. to the terminal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inal 700 can install or open an application, a program, a web page, and the like for the service. Also, the power management program may be driven in the terminal 7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the web browser. Here, a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a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is a program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hypertext described in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for example, Netscape (Netscape) An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Further, the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for example, an app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 phone). An app can be downloaded and installed from the mobile app marketplace, a virtual marketplace where mobile content can be bought and sold freely.

이때, 네트워크(200) 연결은 전원 관리 장치(100)와 단말(700), 또는 그 외의 구성 요소가 통신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것은 전원 관리 장치(100)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원 관리 장치(1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connection of the network 200 means that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and the terminal 700 or other compon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Means that a communication object is created at a communication contact for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object.

전원 관리부(110)는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및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와 연결되고,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또는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의 고장을 감지하면,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 또는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로 스위칭한다. 즉, 전원 관리부(110)는 어느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면, 다른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로 연결함으로써 전관방송 시스템으로의 전원을 끊기지 않도록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관리부(110)는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및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의 고장을 감지하면, 배터리(400)가 연결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관리 장치(100)는 배터리(400)의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배터리(400)의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 미만인 경우, 배터리(400)가 충전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충전기(5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power management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20. Whe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10 or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20 detects a failure, And switches to the second power supply 220 or the first power supply 210. [ That is, when the power management unit 110 detects a failure of any one of the power supply units, the power management unit 110 can supply power to the public address system by not connecting the other power supply units. Also, when the power management unit 110 detects a failure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20,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10 may switch the battery 400 to be connected.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a battery charger 500 that monitors the voltage of the battery 400 and supplies power to the battery 400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400 is less than a preset voltage have.

파워 소스 관리부(120)는 제 1 파워 소스(310) 및 제 2 파워 소스(320)와 연결되고, 제 1 파워 소스(310) 또는 제 2 파워 소스(320)의 전력이 오프되는 경우, 제 2 파워 소스(320) 또는 제 1 파워 소스(310)로 스위칭한다. 즉, 파워 소스 관리부(120)도 전원 관리부(110)와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의 파워 소스의 고장이나 오프 상태를 감지하면, 다른 하나의 파워 소스로 연결함으로써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또는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로의 전원을 끊기지 않도록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ource management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ource 310 and the second power source 320. When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source 310 or the second power source 320 is turned off, And switches to the power source 320 or the first power source 310. That is, the power source management unit 120, like the power management unit 110, detects the failure or the off state of any one of the power sources, and connects the first power source 210 or the second power source 210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the power supply 220 without interruption.

감지부(130)는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및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제 1 파워 소스(310) 및 제 2 파워 소스(320)의 온/오프를 모니터링한다. 즉,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또는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나 전류를 이용하여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가 정상 동작 상태인지의 유무를 감지하고, 제 1 파워 소스(310) 및 제 2 파워 소스(32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나 전류를 이용하여 제 1 파워 소스(310) 및 제 2 파워 소스(320)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30)는 배터리(400)의 출력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monitors the voltages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20 and monitors the ON / OFF of the first power source 310 and the second power source 320 do. That is, the first power supply 210 detects whether the first power supply 210 is operating normally or not by using the voltage or current output from the first power supply 210 or the second power supply 220, The on / off state of the first power source 310 and the second power source 320 can be sensed by using the voltage or current output from the source 310 and the second power source 320.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30 may monitor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400.

검출부(140)는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 제 1 파워 소스(310) 및 제 2 파워 소스(320)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접점(Dry Contact)을 붙여서 폴트(Fault)임을 외부에 접점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The detection unit 140 detects a contact of the first power source 210, the second power source 220, the first power source 310, and the second power source 320, And it can be informed through a contact point to the outside that it is a fault.

표시부(150)는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및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의 동작 상태와, 제 1 파워 소스(310)와 제 2 파워 소스(320)의 입력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50)는 LED, PDP, LCD, OLE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700)에서도 장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may output the operation states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1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20 and the input states of the first power source 310 and the second power source 320 .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50 may be any one of an LED, a PDP, an LCD, and an OLED. The terminal 700 can also check the status of the equipment.

제 1 출력부(160)는 스위치드 직류(Switched DC)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 1 출력부(160)의 전압은 24V일 수 있다. 또한, 제 2 출력부(170)는 스위치드 교류(Switched AC) 전압과 언스위치드 교류(Unswitched AC) 전압을 출력할 수 있고, 이때의 전압은 220V일 수 있다. 그리고, 제 3 출력부(180)는 제 1 파워 소스(310) 및 제 2 파워 소스(3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비상 직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고, 이때의 전압은 24V일 수 있다. 또한, 제 1 출력부(160)는 단말(700)에 의해 또는 다른 단말에 의한 원격 조정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The first output unit 160 may output a switched DC voltage. At this time, the voltage of the first output unit 160 may be 24V. In addition, the second output unit 170 may output a Switched AC voltage and an Unswitched AC voltage, and the voltage at this time may be 220V. The third output unit 180 may output the emergency DC power when no power is supplied from the first power source 310 and the second power source 320, and the voltage at this time may be 24V. Also, the first output unit 160 can be turned on or off by the terminal 700 or by remote control by another terminal.

또한,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와 배터리 충전기(500)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는 RS-485, RS-422, RS-232, CAN, TCP/IP일 수 있다.Also, the first power supply 210, the second power supply 220, and the battery charger 500 may be connected through an interface. In this case, the interface may be RS-485, RS-422, RS-232, CAN, or TCP / IP.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관리 시스템은, 파워 소스와 전원 공급 장치를 이중으로 연결하고, 파워 소스와 전원 공급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비상시에도 전원이 끊기지 않고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어느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비상 상황이 발생할지라도, 전관방송 시스템으로의 전력 차단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전원 공급 차단으로 인하여 비상 방송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power source and the power supply unit in a double manner and monitors the state of the power source and the power supply unit,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broadcast without interruption even in an emergency. In addition, even i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which one of the power supply units does not oper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power shutdown to the public address system beforehand, thereby preventing a situation in which emergency broadcast can not be performed due to power supply interruption .

이와 같은 도 2의 전원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전원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power management system of FIG. 2, which is not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deduc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s of the power management system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도 1의 전원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도 1의 전원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이하, 도 3a와 도 3b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구현된 전원 관리 장치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구성이나 장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 3A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FIG. 1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front view of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of FIG. 1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A and 3B,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or apparatus shown in FIG. 3B can be changed.

도 3a를 참조하면, 전원 관리 장치(100)의 정면을 도시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표시부(150)는 적어도 6 개의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①은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가 동작중인 경우 온 되고, 동작하지 않는 상태인 경우 오프될 수 있다. ②는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가 동작중인 경우 온 되고, 동작하지 않는 상태인 경우 오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a front view of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is shown. Referring to FIG. 3A, the display unit 150 may include at least six LEDs. Here, (1) may be turned on when the first power supply apparatus 210 is in operation, and turned off when the first power supply apparatus 210 is in an inoperative state. 2 is turned on when the second power supply 220 is in operation, and turned off when the second power supply 220 is not operating.

또한, ③은 배터리(400)가 전원 관리 장치(1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온 되고,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오프된다. ④는 제 1 파워 소스(310)가 입력된 경우 온 되고, 입력되지 않은 상태이면 오프되고, ⑤는 제 2 파워 소스(320)가 입력된 경우 온 되고, 입력되지 않은 상태이면 오프될 수 있다. ⑥은 전원 관리 장치(100)가 동작중인 경우를 알려줄 수 있도록, 전원 관리 장치(100)가 동작중인 경우 온 되고, 전원은 연결되어 있지만 운용 프로그램에서 파워를 오프하면, 오프될 수 있다.3 is turned on when the battery 400 is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and turned off when the battery 400 is not connected. 4 is turned on when the first power source 310 is input, off when the first power source 310 is not input, and 5 is turned on when the second power source 320 is input. 6 is turned on when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is in operation so that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is operating, and can be turned off when the power is off but the power is off in the operation program.

도 3b를 참조하면, 전원 관리 장치(100)의 배면을 도시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①은 제 1 파워 소스(310) 또는 제 2 파워 소스(320) 중 주(Main)로 사용할 교류 전원이 입력될 수 있고, ②는 제 1 파워 소스(310) 또는 제 2 파워 소스(320) 중 보조(Sub)로 사용할 교류 전원이 입력될 수 있다. ③은 ①로 입력된 제 1 파워 소스(310) 또는 제 2 파워 소스(320)의 출력 단자일 수 있고,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④는 ②로 입력된 제 1 파워 소스(310) 또는 제 2 파워 소스(320)의 출력 단자일 수 있고,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a back surface of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is shown. Referring to FIG. 3B, an AC power source to be used as a main power source of the first power source 310 or the second power source 320 may be input, and the power source may be a first power source 310 or a second An AC power source to be used as a sub of the power source 320 may be input. 3 may be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power source 310 or the second power source 320 inputted to the first power source 3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ource 210. 4 may be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power source 310 or the second power source 320 inputted in step 2,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220.

또한, ⑤는 기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전원 제어를 위한 통신 단자이고, ⑥은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 전원 관리 장치(100), 제 1 파워 소스(310), 제 2 파워 소스(320), 배터리(400)의 폴트(Fault) 접점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⑦은 어드레스 셋(Address Set) 스위치로, 장비 번호를 설정하는 스위치일 수 있고, 어드레스 아이디를 설정할 수 있다.(5) is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apparatus and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6) is a first power supply device 210, a second power supply device 220, a power management device 100, 310, the second power source 320, and the battery 400 may be output. 7 is an address set switch, which can be a switch for setting the equipment number, and can set an address ID.

⑧은 배터리 직류 24V 입력 단자로, 비상 전원용 배터리 전원을 연결하는 단자이다. 이때,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제 1 파워 소스(310) 및 제 2 파워 소스(320)의 입력에 문제가 발생하면, 배터리(400)의 출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 ⑨는 직류 퓨즈(DC Fuse)로, 직류 전원에 대한 퓨즈로서 기기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직류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 관리 장치(100)를 보호할 수 있다.  ⑧ is battery direct current 24V input terminal, and it is a terminal to connect battery power for emergency power. At this time,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switch to the output of the battery 400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input of the first power source 310 and the second power source 320. [ (9) is a DC fuse, which can protect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by shutting off the DC power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apparatus as a fuse to the DC power source.

⑩은 교류 전원 입력 단자로서,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에서 출력된 스위치드 교류 1, 2, 3이 입력되는 단자일 수 있고, ⑪은 역시 교류 입력 단자로서,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에서 출력된 스위치드 교류 1, 2, 3이 각각 입력되는 단자이다. ⑫는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로부터 출력된 스위치드/언스위치드 직류 24V가 입력될 수 있고, 언스위치드 직류 24V로 제 1 전원 공급 장치(210)의 정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⑬은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로부터 출력된 스위치드/언스위치드 직류 24V가 입력될 수 있고, 언스위치드 직류 24V로 제 2 전원 공급 장치(220)의 정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10 is an AC power input terminal and may be a terminal to which switched alternating currents 1, 2 and 3 output from the first power supply device 210 are input, 11 is an AC input terminal, and a second power supply device 220, And the switched alternating currents 1, 2, The switched-on / unshielded DC 24 V output from the first power supply 210 can be input and the normal power of the first power supply 210 can be determined by the unshifted DC 24 V. The switched-on / unshielded direct current 24 V output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220 can be input, and the unshielded direct current 24 V can determine the normal state of the second power supply 220.

⑭는 제 1 파워 소스(310) 또는 제 2 파워 소스(320)가 오프 상태, 즉 정전시에 비상 직류 전원이 출력되는 단자이고, ⑮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이며, 원격 조정으로 온오프가 가능하다.

Figure 112013058424933-pat00001
은 원격으로 전원 관리 장치(100)의 동작을 시키기 위한 접점 입력 단자이고, 이 단자가 오픈(Open)되는 경우, PC로 전원 관리 장치(100)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Figure 112013058424933-pat00002
은 직류 24V 전원이 항상 출력되는 단자로서, 비상시에도 전원이 항상 출력될 수 있다.Reference numeral 14 denotes a terminal to which an emergency DC power is output when the first power source 310 or the second power source 320 is off, that is, a power failure, 15 denotes a terminal for supplying DC power, It is possible.
Figure 112013058424933-pat00001
Is a contact input terminal for remotely operating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When the terminal is opened, the operation of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be controlled on / off by the PC. Also,
Figure 112013058424933-pat00002
Is a terminal to which DC 24V power is always output, and power can be always outputted even in an emergency.

Figure 112013058424933-pat00003
은 교류 전원 공급 단자로서, 전원 관리 장치(100)가 전원이 온 되었을 때, 교류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온 된 경우 순차적으로 교류 전원이 출력되며, 전원 오프시에는 역순으로 오프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드 각 그룹(총 3 포트)당 최대 15A가 출력될 수 있고, 전체 9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 최대 20A 사용가능하다.
Figure 112013058424933-pat00004
는 교류 전원이 항상 공급되는 단자로서, 전원이 오프되면 안되는 기기들, 즉 항상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 기기들이 연결될 수 있다.
Figure 112013058424933-pat00003
Is an AC power supply terminal. When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is powered on, AC power can be output. In addition,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AC power is sequentially output, and when the power is off, it can be turned off in the reverse order. In addition, up to 15A can be output per switched group (total 3 ports), and up to 20A can be used when using all 9 ports.
Figure 112013058424933-pat00004
Is a terminal to which AC power is always supplied, and devices that should not be turned off, that is, devices to which power is always supplied, may be connected.

이와 같은 도 3a 및 도 3b의 전원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 전원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power management system of FIGS. 3A and 3B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s of the power management system through FIGS. 1 and 2, .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 장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programmed by a computer or a program module.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8)

제 1 전원 공급 장치 및 제 2 전원 공급 장치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 1 전원 공급 장치 또는 제 2 전원 공급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면, 상기 제 2 전원 공급 장치 또는 제 1 전원 공급 장치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1 전원 공급 장치 및 제 2 전원 공급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면 직접 연결된 배터리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전원 관리부;
제 1 파워 소스 및 제 2 파워 소스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 1 파워 소스 또는 제 2 파워 소스의 전력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 2 파워 소스 또는 제 1 파워 소스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1 파워 소스 및 제 2 파워 소스의 전력이 오프되는 경우 직접 연결된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파워 소스 관리부; 및
상기 제 1 전원 공급 장치 및 제 2 전원 공급 장치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1 파워 소스 및 제 2 파워 소스의 온/오프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감지부
를 포함하고,
전원 관리 장치와, 상기 제 1 전원 공급 장치, 제 2 전원 공급 장치, 제 1 파워 소스, 제 2 파워 소스, 배터리 충전기 및 배터리는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 1 전원 공급 장치 또는 제 2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이 배터리 충전기를 통하여, 언밸런스 신호와 밸런스 신호를 밸런스 신호와 언밸런스 신호로 전환하는 다이렉트 박스를 경유하여 부하인 단말로 공급되도록, 상기 배터리 충전기의 일측 노드 및 타측 노드는 각각 전원 관리 장치 및 다이렉트 박스와 연결되고, 상기 다이렉트 박스의 일측 노드 및 타측 노드는 배터리 충전기 및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전원 관리 장치는, 스위치드 직류(Switched DC) 전압과 언스위치드 직류(Unswitched DC) 전압을 출력하며 원격조정으로 온오프되는 제 1 출력부, 스위치드 교류(Switched AC) 전압과 언스위치드 교류(Unswitched AC) 전압을 출력하는 제 2 출력부 및 상기 제 1 파워 소스 및 제 2 파워 소스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비상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제 3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관리 장치는, 스위치드 직류 전압 및 언스위치드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제 1 전원 공급 장치 및 제 2 전원 공급 장치의 직류 전압을 통하여 상기 제 1 전원 공급 장치 및 제 2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인, 전원 관리 장치.
Wherei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or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whe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or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detects a failure, A power management unit for switching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to be connected to a directly connected battery when a failure is detected;
The first power source and the second power source being switched directly to the second power source or the first power source when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source or the second power source is turned off, And a power source management unit for switching the second power source to be connected to the battery when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source is turned off; And
A first power source and a second power source for monitoring the voltage of the first power source and the second power source and for monitoring on /
Lt; / RTI >
A first power source, a second power source, a first power source, a second power source, a battery charger and a battery are directly connected, and the first power source, the second power source, The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load terminal via the battery charger through the direct box for converting the unbalanced signal and the balanced signal into the balanced signal and the unbalanced signal, the one node and the other node of the battery charger are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device and the direct box One of the nodes and the other node of the direct box are connected to the battery charger and the terminal,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first output unit that outputs a switched DC voltage and an unswept DC voltage and that is turned on and off by remote control, a switched AC voltage, and an Unswitched AC And a thir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emergency DC power when no power is supplied from the first power source and the second power source, And a power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the un-switched DC voltage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operation abnormality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through the DC voltage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 미만인 경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충전기와 연결되는 것인, 전원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management unit is connected to a battery charger that monitors a voltage of the battery and supplies power to the battery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것인, 전원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nsing unit monitors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 공급 장치 및 제 2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 상태와, 상기 제 1 파워 소스와 제 2 파워 소스의 입력 상태를 출력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원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operational states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and an input state of the first power source and the second power source;
The power manage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 공급 장치, 제 2 전원 공급 장치 및 배터리 충전기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인, 전원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ower supply, the second power supply, and the battery charger are connected through an interface.
KR20130075672A 2013-06-28 2013-06-28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source KR1014748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672A KR101474863B1 (en) 2013-06-28 2013-06-28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sou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672A KR101474863B1 (en) 2013-06-28 2013-06-28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sour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863B1 true KR101474863B1 (en) 2014-12-30

Family

ID=5267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5672A KR101474863B1 (en) 2013-06-28 2013-06-28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sour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8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464B1 (en) * 2019-04-04 2019-11-27 주식회사 엘앤비기술 Broadcasting apparatus for evergy sav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773A (en) * 2000-12-04 2002-06-12 이구택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having function for monitoring power supply unit
JP2007181258A (en) * 2005-12-27 2007-07-12 Hitachi Ltd Power control system and power supply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773A (en) * 2000-12-04 2002-06-12 이구택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having function for monitoring power supply unit
JP2007181258A (en) * 2005-12-27 2007-07-12 Hitachi Ltd Power control system and power suppl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464B1 (en) * 2019-04-04 2019-11-27 주식회사 엘앤비기술 Broadcasting apparatus for evergy sav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7034B2 (en) UPS system with network monitoring and attached battery pack information sensing functions
CN102113270B (en) Battery backed power-over-ethernet system
EP2842212B1 (en) Energy saving and/or safety device
JP6569791B2 (en) Maintenance operation system for storage battery equipment
EP2939130B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ommunication
US10379166B2 (en) Cabinet and battery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for use with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JP6637597B2 (en) Relay architecture for migrating from redundant power
EP2485366A1 (en) Smart Substation Management
US20200099251A1 (en) Asts-less block redundant electrical topology with variable ups walk-ins
KR1009059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power control based on IP
KR101474863B1 (en)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source
CN103984616A (en) Server monitoring method and server
KR101227537B1 (en) Cabinet panel of built-in neutral line repair function
CN114051583A (en) Standby bus power distribution system testing
US9018797B2 (en) Power distribution management
CN201682328U (en) Intelligent control terminal of leakage protector remote control system
CN108388332A (en) A kind of server power-off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CN114138567A (en) Substrate management control module maintenance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0965149B2 (en) Electrical power restoration system for a circuit assembly and method
JP2022047353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JP3890592B2 (en) Power network system
KR101552798B1 (en) Power Control System by using L2 Switches
CN211479072U (en) UPS power supply additiona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multiple servers to be automatically turned on and turned off
KR10164170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operating automatic transfer switch controller
JP2016082732A (en) Sequence re-interconnection device and sequence re-interconn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