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484B1 -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 Google Patents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484B1
KR101474484B1 KR20140045469A KR20140045469A KR101474484B1 KR 101474484 B1 KR101474484 B1 KR 101474484B1 KR 20140045469 A KR20140045469 A KR 20140045469A KR 20140045469 A KR20140045469 A KR 20140045469A KR 101474484 B1 KR101474484 B1 KR 101474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jaw
block
adjusting devic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종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덕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덕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덕산업기계
Priority to KR20140045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05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25Jaw clearance or overloa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4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single-ac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10Shape or construction of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2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reinforc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석이나 콘크리트 등을 포함한 피파쇄물을 일정 크기로 파쇄하는 죠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 유동죠와 고정죠 사이의 하부에 형성되는 출구의 간격을 조절하는 출구 간격 조절장치; 상기 유동죠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텐션제공부; 상기 출구 간격 조절장치 및 텐션제공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텐션제공부의 텐션을 자동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토글블럭의 전,후 유동이 용이하며 그에 따른 조 크러셔의 출구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기계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리어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는 텐션베이스와 텐션스프링이 배치되는 스프링서포트 간의 길이 조절을 통해 자동으로 텐션스프링의 적절한 압축력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는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조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JAW-CRUSHER HAVING DEVICE FOR CONTROLLING EXIT DISTANCE AND TENSION}
본 발명은 암석이나 콘크리트 등을 포함한 피파쇄물을 일정 크기로 파쇄하는 죠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 파쇄된 피파쇄물이 배출되는 출구의 간격을 조절하는 출구 간격 조절장치와, 이에 적절한 텐션을 제공하기 위한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죠 크러셔(JAW-CRUSHER)는 암석이나 콘크리트 등을 포함한 피파쇄물을 장치 내부로 투입시켜 반복적인 충격력을 가하여 원하는 크기로 파쇄하여 배출하는 장치로서, 파쇄된 피파쇄물이 배출되는 출구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출구 간격 조절 장치가 구비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죠 크러셔의 출구 간격 조절 장치(50)는 토글블럭(54)의 전진(출구간격 좁힘) 및 후진(출구간격 넓힘)을 통해 출구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도 1a에 따른 종래 죠 크러셔의 출구 간격 조절 장치(50)는 죠 크러샤의 출구 간격을 좁힐 때에는 리어프레임(53)의 블럭텐션너트(59)를 풀게되면 토글블럭(54)이 상기 리어프레임(53)과 느슨하게 되고, 이때 리어프레임(53) 중앙부에 유압램(55)에 수동펌프 장착 후 전진 작동시키면 상기 토글블럭(54)이 전진하게 된다. 상기 토글블럭(54)과 연동하는 토글플레이트(52)가 스윙죠(65)를 밀게되고 상기 스윙죠(65)에 장착된 동치판(71)도 스윙죠(65)와 함께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글블럭(54)과 리어프레임(53)에 발생된 공간의 양측에 심플레이트(67)를 삽입 후 유압램(55)의 압력을 제거하고 분해했던 블럭텐션너트(59)를 조이게 되면 간격조절이 완료되는 것이다.
반대로, 죠 크러샤의 출구 간격을 넓힐 때에는 좁힐 때와 유사하다. 상기 리어프레임(53)의 블럭텐션너트(59)를 풀고 중앙부의 유압램(55)에 수동펌프 장착 후 전진작동 후 상기 토글블럭(54)을 전진시킨 후 삽입되어 있던 양측의 심플레이트(67)를 제거하고 유압램(55)의 압력을 제거하면 토글블럭(54)이 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블럭텐션너트(59)를 다시 잠그게 되면 출구 간격의 조절이 완료된다. 이러한 종래 출구 간격 조절장치(50)는 상기 토글블럭(54)이 메인프레임(51)의 후방에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경사 방향에 대한 쐐기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며 토글블럭(54)은 상부에 토글블럭 브라켓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텐션로드(64)가 스윙죠 (65)하부와 핀으로 고정되며 텐션로드 스프링(62)과 텐션로드 스프링 브라켓이 토글블럭(54) 하부에 조립되어 있어서 별도의 텐션 조정 작업 또한 필요 없이 자동 조절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죠 크러셔의 출구 간격 조절장치(50)는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는 바, 첫 번째로 상기 토글블럭(54)을 상부에서 누르는 토글블럭 브라켓의 고정볼트가 전단파괴로 인한 토글블럭(54)의 확실한 고정에 문제가 있다. 즉, 상기 토글블럭(54) 하부와 전면은 상기 리어프레임(53)과 경사지면서 밀착하게 되지만 그 상부는 OPEN 구조로 되어있어서 상기 토글블럭 브라켓으로 OPEN 되는 공간을 보완해야 하는데 계속적으로 토글블럭(54)의 마찰 및 운동으로 발생되는 누적하중으로 인하여 조립볼트가 전단 파괴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두 번째로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상기 토글블럭(54)이 확실하게 고정이 되지 않으므로 토글블럭(54) 상부에 양측으로 삽입 조립되는 상기 심플레이트(67)의 고정이 불확실하게 되어 이탈 현상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그리고, 세 번째로 출구 간격의 조절 후에 블럭텐션너트(59)의 너트를 다시 조임으로써 토글블럭(54)과 리어프레임(53)이 밀착되는 구조이나 죠 크러샤의 운동 후 시간이 지나면 블럭텐션너트(59)의 내부의 스프링이 제 역할을 못함으로써 출구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 질 수 있으므로 작업 시와 실제의 생산량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경우가 발생 시에도 동일한 문제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출구 간격의 조정 작업의 불편함이다. 즉, 항시 블럭텐션너트(59)를 풀어주고 유압램(55)을 수동펌프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일련의 작업방식으로 인하여 매 작업시마다 소요되는 시간과 또한 작업자의 경험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며, 이 부분은 차후 생산량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아울러 텐션로드 스프링(62)은 동치판(71)을 향해 일정한 압축력이 유지되어야 하는데, 일례로 텐션로드 스프링(62)의 압축력이 증가하면 스윙죠(65)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고 각 부품 간에 마모가 발생하여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반대로 텐션로드 스프링(62)의 압축력이 감소하면 스윙죠(65)와 토글플레이트(52) 간에 유격이 발생하여 토글플레이트(52)가 스윙죠(65)로 부터 이탈할 수 있으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가동할 경우 각종 부품간에 마찰 또는 타격 현상이 발생하므로 이 역시 장치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조 크러셔에 있어서, 텐션스프링의 적절한 압축력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77481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조 크러셔의 출구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기계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출구 간격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를 제공함에 제 1목적이 있다.
아울러, 텐션스프링의 적절한 압축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를 제공함에 제 2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는 유동죠와 고정죠 사이의 하부에 형성되는 출구의 간격을 조절하는 출구 간격 조절장치; 상기 유동죠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텐션제공부; 상기 출구 간격 조절장치 및 텐션제공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텐션제공부의 텐션을 자동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텐션 조절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출구 간격 조절장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유동죠를 향해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며 내측에는 3면이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는 리어프레임;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블럭이송장치; 상기 수용홈의 내측 하면 또는 상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가이드 되며 상기 블럭이송장치의 작동에 의해 전후로 유동하는 토글블럭; 일측이 상기 토글블럭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유동죠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동죠와 연동하는 토글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텐션제공부는 일측은 상기 유동죠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텐션스프링이 장착되는 텐션로드; 내부에 상기 텐션스프링이 안치되는 스프링지지구와 끝단에 'ㄱ'자 형상의 텐션로드스토퍼와 상단에 제 1결합공 및 제 2결합공이 형성되는 스프링서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텐션조절장치는 상기 리어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는 텐션베이스; 일단은 상기 텐션베이스에, 타단은 상기 제 1결합공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틸팅암; 일단은 상기 텐션베이스에, 타단은 상기 제 2결합공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틸팅레버; 상기 텐션베이스와 상기 스프링서포트 간의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텐션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일단 및 타단이 상기 텐션베이스 및 스프링서포트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실린더장치; 상기 유압실린더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유입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례로, 상기 블럭이송장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각 경사면이 형성되되, 경사면이 상호 맞닿도록 배치되는 테이퍼블럭; 일측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타측은 상기 테이퍼블럭과 각각 힌지결합되며 한 쌍의 테이퍼블럭을 상호 간에 경사면이 맞닿은 상태로 유동시키는 유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유동수단은 피스톤의 양쪽에 유압이 작용하여 출력이 신장 및 수축 양쪽으로 작용하는 복동식 유압실린더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블럭이송장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각 경사면이 형성되되, 경사면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테이퍼블럭; 상기 경사면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레크부; 각각의 레크부에 맞물리고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양 방향 회전가능한 피니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테이퍼블럭은 경사면에 각각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에 따르면 출구 간격 조절장치에 블럭이송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토글블럭의 전,후 유동이 용이하며 그에 따른 조 크러셔의 출구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기계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리어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는 텐션베이스와 텐션스프링이 배치되는 스프링서포트 간의 길이 조절을 통해 자동으로 텐션스프링의 적절한 압축력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죠 크러셔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죠 크러셔의 요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출구 간격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텐션제공부 및 텐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블럭이송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블럭이송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블럭이송장치의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수단 및 실린더장치로 유압이 공급되는 구조를 나타낸 계략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죠 크러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죠 크러셔의 요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출구 간격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텐션제공부 및 텐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블럭이송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울러,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블럭이송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블럭이송장치의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으로 죠 크러셔는(JAW-CRUSHER)는 암석이나 콘크리트 등을 포함한 피파쇄물을 장치 내부로 투입시켜 반복적인 충격력을 가하여 원하는 크기로 파쇄하여 배출하는 장치로서 메인프레임(M), 편심축, 유동죠(S), 고정죠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메인프레임(M)은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면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되 양 메인프레임(M)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설치되고, 상기 편심축은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M)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양측에 각각 풀리와 플라이휠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풀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게 되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편심축에는 편심축의 편심운동에 의해 왕복운동을 함으로서 소정 각도로 요동을 행하는 유동죠(S)가 결합되며, 이와 일정한 각도로 마주보는 대향측에는 고정죠가 설치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출구 간격 조절장치(100) 및 텐션조절장치(300)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는 도 2 및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간격 조절장치(100), 텐션제공부(200) 및 텐션조절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구 간격 조절장치(100)는 유동죠(S)와 고정죠 사이의 하부에 형성되는 출구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텐션제공부(200)는 유동죠(S)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동죠(S)와 출구 간격 조절장치(100)간에 밀착을 유지시킴과 아울러 유동죠(S)의 요동 또는 반동에 대하여 출구 간격 조절장치(100)에 가해지는 충력을 완화시켜주는 것이며, 상기 텐션조절장치(300)는 텐션제공부(200)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구 간격 조절장치(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구 간격 조절장치(100)는 리어프레임(110), 블럭이송장치(120), 가이드플레이트(130), 토글블럭(140) 및 토글플레이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먼저, 상기 리어프레임(11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메인프레임(M) 사이에서 상기 유동죠(S)를 향해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됨으로써 경사방향인 상기 토글플레이트(150) 및 유동죠(S)를 향한 쐐기 효과를 갖게 되며 그 내측에는 수용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11)은 'ㄷ'자 형상의 홈에 의해 3면이 개방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홈(111)에 상기 블럭이송장치(120), 가이드플레이트(130) 및 토글블럭(140)이 내재되도록 하여 유동 가능토록 설치되는 토글블럭(140) 등의 전,후,상,하면이 모두 밀착되므로 유동죠(S)의 지속적인 무브먼트 등에 대한 누적하중에 기인한 고정 볼트 등의 전단파괴 등,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길이방향이 전방과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수용홈(111)의 내측 하면과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전방이라 함은 리어프레임(110)에서 토글플레이트(150)를 향하는 방향이라 정의하고 후방이라 함은 그 반대방향인 토글플레이트(150)에서 리어프레임(110)을 향하는 방향이라 정의한다.
이어서, 상기 수용홈(111)의 후방에는 블럭이송장치(120)가 배치되어 이후 설명하게 될 토글블럭(140)을 전후로 유동시키게 되는데 블럭이송장치(120)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하기로 한다.
상기 토글블럭(140)은 상기 토글플레이트(150)를 전방을 향하여 가압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전방에는 토글플레이트(150)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0)가 맞물릴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블럭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블럭이송장치(120)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0)에 가이드 된 상태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토글플레이트(150)는 일측이 상기 토글블럭(140)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유동죠(S)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죠(S)와 연동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블럭이송장치(120)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 예로써, 상기 블럭이송장치(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블럭(121) 및 유동수단(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이퍼블럭(121)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각 경사면(121a)이 형성되되, 경사면(121a)이 상호 맞닿도록 상기 리어프레임(110)의 후단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유동수단(122)은 피스톤의 양쪽에 유압이 작용하여 출력이 신장 및 수축 양쪽으로 작용하는 복동식 유압실린더로서, 상기 메인프레임(M)에 고정되는 실린더브라켓(123)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테이퍼블럭(121)에 힌지결합되어 한 쌍의 유동수단(122)이 신장 및 수축함에 따라 상기 테이퍼블럭(121)은 상호간에 경사면(121a)이 맞닿은 상태로 유동하면서 상기 토글블럭(140)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6a는 유압실린더가 각각 신장하여 상기 토글블럭(140)이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토글블럭(140)이 전진함에 따라 토글플레이트(150)를 밀어내어 토글플레이트(150)와 연동하는 유동죠(S)를 밀게 됨으로써 출구 간격을 좁히게 된다.
또한, 도 6b는 상기 유동수단(122)인 유압실린더가 각각 수축하여 토글블럭(140)이 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토글블럭(140)이 후진함에 따라 토글플레이트(150)와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나 이는 장치 작동시 유동죠(S)의 회전 자중에 의해 토글플레이트(150)가 안쪽으로 밀리게 되어 토글블럭(140)과 맞닿게 되면서 출구 간격이 넓히게 된다.
한편, 제 2실시 예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이송장치(120')는 테이퍼블럭(121), 레크부(124) 및 피니언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이퍼블럭(121)은 제 1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각 경사면(121a)이 형성되되, 경사면(121a)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레크부(124)는 상기 경사면(121a)과 평행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피니언부(125)는 한 쌍의 레크부(124)에 맞물리는 것으로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양 방향 회전 가능토록 구성된다.
도 8은 블럭이송장치(120')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a는 피니언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각각 맞물려 이송하는 레크부(124)에 의해 토글블럭(140)이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토글블럭(140)이 전진함에 따라 토글플레이트(150)를 밀어내어 토글플레이트(150)와 연동하는 유동죠(S)를 밀게 됨으로써 출구 간격을 좁히게 된다.
또한, 도 8b는 상기 피니언이 도 8a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각각 맞물려 이송하는 레크부(124)에 의해 토글블럭(140)이 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토글블럭(140)이 후진함에 따라 토글플레이트(150)와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나 이는 장치 작동시 유동죠(S)의 회전 자중에 의해 토글플레이트(150)가 안쪽으로 밀리게 되어 토글블럭(140)과 맞닿게 되면서 출구 간격이 넓히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블럭이송장치(120,120')를 통한 출구 간격의 조절에 기해 종래 기술에서 언급했었던 출구간격을 넓히거나 좁히게 되면서 발생되는 공간에 개재되는 심플레이트의 구성이 필요치 않게 됨과 아울러 번거로운 텐션너트를 풀어 토글블럭(140)과 리어프레임(110) 간에 유격을 확보한 후 유압램에 수동펌프를 장착하여 토글블럭(140)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킨고 심플레이트의 착탈 후 다시 텐션너트를 조이는 등의 일련 과정들이 생략됨으로써 작업이 간단하여 소요시간이 절약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테이퍼블럭(121)의 각각 경사면(121a)에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호 간에 맞물리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하중이 상당한 암석 등을 파쇄하는 죠 크러셔에 있어서 견고성을 부여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텐션제공부(200) 및 텐션조절장치(3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텐션제공부(200)는 유동죠(S)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동죠(S)와 출구 간격 조절장치(100)간에 밀착을 유지시킴과 아울러 유동죠(S)의 요동 또는 반동에 대하여 출구 간격 조절장치(100)에 가해지는 충력을 완화시켜주는 것으로, 텐션로드(210) 및 스프링서포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텐션로드(210) 및 스프링서포트(220)는 한 쌍이 구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나 이상이 구성되어 것이라면 무방하다.
상기 텐션로드(210)는 일측은 상기 유동죠(S)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텐션스프링(212)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서포트(220)는 내부에 상기 텐션스프링(212)이 안치되는 스프링지지구(222)와 끝단에 'ㄱ'자 형상의 텐션로드스토퍼(224)와 상단에 제 1결합공(226) 및 제 2결합공(228)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지지구(222)는 텐션스프링(212)을 구속하여 텐션스프링(212)이 텐션로드(210)의 끝단에 머무른 상태로 텐션스프링(212)의 압축력이 유동죠에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텐션로드스토퍼(224)는 유동죠(S)의 요동 또는 반동에 의하여 연동하는 텐션로드(21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며 상기 제 1결합공(226) 및 제 2결합공(228)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될 텐션조절장치(300)와 연결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조절장치(3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술하였던 바에 따른 출구 간격 조절장치(100)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짐에 따라 유동죠(S)가 유동하고 유동죠(S)와 연결된 텐션로드(210)도 연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텐션로드(210)의 끝단에 구성된 텐션스프링(212) 역시 압축 또는 이완되므로 텐션스프링(212)의 압축력 역시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되는데, 일례로 출구 간격이 좁아지면 텐션스프링(212)의 압축력이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출구 간격이 넓어지면 텐션스프링(212)의 압축력은 감소하게 된다.
텐션스프링(212)의 압축력이 기준값 이상으로 증가된 상태로 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유동죠(S)를 구동하는 구동모터(402)에 부하가 걸리게 되며 그에 따른 각종 결합부품(핀, 볼트 등)들의 마모가 발생하여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게 된다.
반대로 텐션스프링(212)의 압축력이 기준값 이하로 감소된 상태로 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유동죠(S)와 토글블록 사이에 배치된 토글플레이트(150)에 적절한 압축력이 작용하지 않아 토글플레이트(150)가 이격 또는 이탈할 수 있으며, 이격된 상태로 작동하게 되면 각종 결합부에 미세한 타격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 역시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상기 텐션조절장치(300)는 텐션제공부(200)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텐션베이스(310), 틸팅암(320), 틸팅레버(330) 및 텐션조절수단(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텐션베이스(310)는 상기 리어프레임(110)의 하부에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틸팅암(320)은 일단이 상기 텐션베이스(310)에, 타단은 상기 제 1결합공(226)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틸팅레버(330)는 일단이 상기 텐션베이스(310)에, 타단은 상기 제 2결합공(228)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상기 텐션조절수단(340)은 상기 텐션베이스(310)와 상기 스프링서포트(220) 간의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텐션스프링(212)의 압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텐션조절수단(340)은 실린더장치(342), 압력센서(344) 및 제어부(3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압실린더는 일단 및 타단이 상기 텐션베이스(310) 및 스프링서포트(220)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압력센서(344)는 상기 유압실린더, 또는 상기 텐션스프링(212)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46)는 상기 압력센서(344)와 연결되어 감지된 압력값을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도록 실린더장치(342)의 수축 신장을 통해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럭이송장치(120)의 유동수단(122) 및 텐션조절수단(340)인 실린더장치(342)로 유압이 공급되는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죠 크러셔의 유압공급구조는 유압펌프(403), 제 1공급라인(410), 제 2공급라인(420) 및 제어부(346)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펌프(403)는 모터(402)에 의해 구동하면서 유압탱크(401)의 유체를 펌핑하여 제 1공급라인(410) 또는 제 2공급라인(420)으로 유체를 공급한다.
제 1공급라인(410)에는 제 1밸브(412)가 구비되고 제어부(346)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블럭이송장치(120)의 유동수단(122)이 피스톤의 양쪽에 유압이 작용하는 복동식 유압실린더이므로 제어부(346)의 명령에 의해 제 1밸브(412)가 작동하여 유동수단(122)의 양측에 선택적으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 2공급라인(420)은 텐션조절수단(340)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라인으로 제 2공급라인(420)에는 제 2밸브(422), 압력센서(344), 어큐뮬레이터(426) 및 압력제어밸브(428)가 구비되며 제어부(346)와 연결된다.
제 2공급라인(420)은 텐션스프링(212)의 압축력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되면 이 압축력은 스프링서포트(220)를 통하여 텐션조절수단(340)에 전달되어 실린더장치(342)의 인출 또는 삽입동작에 의해 실린더 내부의 유압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되는데, 텐션스프링(212)의 압축력이 증가하여 실린더장치(342)가 삽입되면 유압이 초기 설정 압력보다 증가하고, 이때 증가된 압력은 초기 설정된 텐션스프링(212)의 압축력에 도달할 때까지 압력제어밸브(428)를 통하여 유압 탱크로 배출되면서 텐션스프링(212)의 압축력과 텐션조절수단(340)에서 발생한 힘이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된다.
반대로 텐션스프링(212)의 압축력이 감소되어 실린더장치(342)가 인출되면 유압이 초기 설정 압력보다 감소하게 되는데 이때는 압력센서(344)가 제 2공급라인(420)의 유체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한 압력값을 제어부(346)에 송신하며, 제어부(346)는 압력센서(344)로부터 입력된 압력값을 기준 설정된 압력값과 비교하여 제 2밸브(422)를 통해 제 2공급라인(420)에 유압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하고, 유압 펌프와 연결된 모터(402)를 가동시킨다. 이렇게 되면, 유체가 제 2밸브(422)를 거쳐 제 2공급라인(420)을 통하여 텐션조절수단(340)의 일측(로드의 인출방향)에 공급됨으로써 로드가 인출되어 텐션스프링(212)의 압축력을 증가시킨다.
이후, 제 2공급라인(420) 내의 유체압력이 기준치에 도달하면 압력센서(344)가 유압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346)에 송신하며, 제어부(346)는 모터(402)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솔레노이드 밸브를 닫아 텐션스프링(212)의 압축력이 초기 설정된 텐션스프링(212)의 압축력과 동일하게 자동 조절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출구 간격 조절장치 110 : 리어프레임
120 : 블럭이송장치 130 : 가이드플레이트
140 : 토글블럭 150 : 토글플레이트
200 : 텐션제공부 210 : 텐션로드
220 : 스프링서포트 300 : 텐션조절장치

Claims (9)

  1. 유동죠와 고정죠 사이의 하부에 형성되는 출구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한 쌍의 메인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유동죠를 향해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며 내측에는 3면이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는 리어프레임;과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블럭이송장치;와 상기 수용홈의 내측 하면 또는 상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가이드 되며 상기 블럭이송장치의 작동에 의해 전후로 유동하는 토글블럭; 및 일측이 상기 토글블럭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유동죠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동죠와 연동하는 토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구 간격 조절장치;
    일측은 상기 유동죠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텐션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유동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텐션로드; 및 내부에 상기 텐션스프링이 안치되는 스프링지지구와 끝단에 'ㄱ'자 형상의 텐션로드스토퍼와 상단에 제 1결합공 및 제 2결합공이 형성되는 스프링서포트;를 포함하는 텐션제공부;
    상기 출구 간격 조절장치 및 텐션제공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리어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는 텐션베이스;와 일단은 상기 텐션베이스에, 타단은 상기 제 1결합공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틸팅암;과 일단은 상기 텐션베이스에, 타단은 상기 제 2결합공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틸팅레버; 및 상기 텐션베이스와 상기 스프링서포트 간의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텐션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텐션제공부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장치;
    를 포함하는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일단 및 타단이 상기 텐션베이스 및 스프링서포트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실린더장치;
    상기 유압실린더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유입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이송장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각 경사면이 형성되되, 경사면이 상호 맞닿도록 배치되는 테이퍼블럭;
    일측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타측은 상기 테이퍼블럭과 각각 힌지결합되며 한 쌍의 테이퍼블럭을 상호 간에 경사면이 맞닿은 상태로 유동시키는 유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수단은 피스톤의 양쪽에 유압이 작용하여 출력이 신장 및 수축 양쪽으로 작용하는 복동식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이송장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각 경사면이 형성되되, 경사면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테이퍼블럭;
    상기 경사면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레크부;
    각각의 레크부에 맞물리고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양 방향 회전가능한 피니언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9.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블럭은
    경사면에 각각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KR20140045469A 2014-04-16 2014-04-16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KR101474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469A KR101474484B1 (ko) 2014-04-16 2014-04-16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469A KR101474484B1 (ko) 2014-04-16 2014-04-16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484B1 true KR101474484B1 (ko) 2014-12-23

Family

ID=5267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5469A KR101474484B1 (ko) 2014-04-16 2014-04-16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4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177B1 (ko) * 2016-04-21 2016-12-20 삼영플랜트주식회사 부하 감응형 모바일 죠 크러셔
KR102116931B1 (ko) 2019-12-02 2020-05-29 황선중 고속 이동 파쇄부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5757A (ja) * 1995-09-20 1997-03-25 Gou Tekkosho:Kk ジョークラッシャーにおける開度調整装置
JP3362354B2 (ja) * 1991-06-03 2003-01-07 ノードベルグ−ロコモ オサケ ユキチュア ジョークラッシャーのセッテング調整用クサビ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2354B2 (ja) * 1991-06-03 2003-01-07 ノードベルグ−ロコモ オサケ ユキチュア ジョークラッシャーのセッテング調整用クサビ装置
JPH0975757A (ja) * 1995-09-20 1997-03-25 Gou Tekkosho:Kk ジョークラッシャーにおける開度調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177B1 (ko) * 2016-04-21 2016-12-20 삼영플랜트주식회사 부하 감응형 모바일 죠 크러셔
KR102116931B1 (ko) 2019-12-02 2020-05-29 황선중 고속 이동 파쇄부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8427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ー
US8322643B2 (en) Rock crusher attachment
CA3068499C (en) Advance and retreat automatic control method based on hydraulic sensing conversion and advance and retreat automatic control system based on hydraulic sensing conversion
KR101474484B1 (ko)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GB2502610B (en) Jaw crusher
US9718062B2 (en) Crusher with adjustable closed side setting
US8905337B2 (en) Jaw crusher
US8833353B2 (en) Air gun firing operating system
US20150352555A1 (en) Moveable jaw mounting assembly
EP0642832B1 (en) Crushing machine with jaws, particularly adapted to the recycling of materials
CN112041080A (zh) 颚式破碎机
DE102018110267A1 (de) Hochdruckpumpe
KR100765853B1 (ko) 죠 크러셔의 출구 간극 자동 조절장치
JP2014513221A (ja) 岩盤及びコンクリートの機械掘り用装置及び方法
KR102424923B1 (ko) 출구 간격 및 텐션 조정을 연동한 죠크라셔 유압 시스템
JP2005538843A (ja) スクラップシャーまたはこれに類するものに設けられた、閉鎖運動の途中で粉砕材料の作用を受けて出現する摩擦力を減少させるための装置
US5878969A (en) Sliding mechanism for a jaw crusher toggle block
KR200292658Y1 (ko) 콘 크러셔용 콘케이브와 맨틀 교체 장치
US20210060571A1 (en) Crusher with resettable relief system
KR100634742B1 (ko) 죠 크러셔의 토글 블럭 수평위치 조절장치
JPH0545300B2 (ko)
DE202004001960U1 (de) Regelfederpulser
KR101893528B1 (ko) 죠 크러셔용 유압식 간극 조절 및 유지 시스템
EP0701866A1 (en) Toggle block sliding mechanism for a jaw crusher
JP3362354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ーのセッテング調整用クサ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