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458B1 -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458B1
KR101474458B1 KR1020080091282A KR20080091282A KR101474458B1 KR 101474458 B1 KR101474458 B1 KR 101474458B1 KR 1020080091282 A KR1020080091282 A KR 1020080091282A KR 20080091282 A KR20080091282 A KR 20080091282A KR 101474458 B1 KR101474458 B1 KR 101474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sure
unit
sensing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2226A (ko
Inventor
안승표
류병조
김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45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2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유닛으로 물을 분사하여 분사된 물의 양을 근거로 건조기로 공급되는 물의 단수 및 저수압 여부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냉각수를 적절하게 공급하고, 그 냉각수를 이용하여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하며, 건조세탁물의 온습도가 제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덕트리스 건조기, 수압, 단수

Description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Ductless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유닛으로 물을 분사하여 분사된 물의 양을 근거로 건조기로 공급되는 물의 단수 및 저수압 여부를 판단하여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는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드럼내로 송풍하여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흡수해서 건조대상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는 기기로서, 수분을 흡수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습공기의 처리방식에 따라 크게 배기식 의류건조기와 응축식 의류건조기로 분류된다.
배기식 의류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습공기를 건조기 외부로 배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드럼내 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덕트를 필요로 하며, 특히 연소 생성물인 일산화탄소 등이 함께 배기되기 때문에 배기덕트를 실외까지 길게 연장하여 설치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응축식 의류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습공기를 열교환부에서 응 축시켜 수분을 제거한 다음에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를 다시 드럼으로 보내서 재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건조유동이 폐루프를 형성하기 때문에 열원으로 가스를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배기식 의류건조기와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단점을 극복한 건조기가 덕트리스 건조기이다. 즉, 덕트리스 건조기는 열원으로 가스를 사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가 가능하고 실외로 길게 연장되는 별도의 배기덕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덕트리스 건조기는 단수 또는 저수압을 감지하지 못하여 냉각수를 적절하게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덕트리스 건조기는 단수 또는 저수압을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냉각수를 공급하고 건조세탁물을 건조함으로써 상기 건조세탁물의 온습도가 제어되지 않은 공기를 배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유닛으로 물을 분사하여 분사된 물의 양을 근거로 건조기로 공급되는 물의 단수 및 저수압 여부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냉각수를 적절하게 공급하고, 그 냉각수를 이용하여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하며, 건조세탁물의 온습도가 제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이 수용되고, 본체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유닛과, 상기 열교환유닛으로 물을 분사하여 분사된 물의 양을 근거로 건조기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판단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본체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유닛을 구비하고, 일정 시간(t1) 동안 상기 열교환유닛에 물을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분사된 수량을 근거로 상기 건조기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덕트리스 건조기에 공급되는 물의 단수 및 저수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덕트리스 건조기에 공급되는 물의 단수 및 저수압 여부를 판단하여 적절한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적절한 냉각수가 공급되어 제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의 열교환유닛 및 감지유닛 부분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의 저장유닛 부분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이 수용되고, 본체(11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120)과, 상기 드럼(1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유닛(150)과, 상기 열교환유닛(150)으로 물을 분사하여 분사된 물의 양을 근거로 건조기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판단하는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유닛(150)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열교환유닛 외부에 흡착된 이물질을 청 소하는 청소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열교환유닛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유닛(161a)과, 상기 분사되는 물의 이동을 개폐하는 제1 밸브(161)를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분사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161a)으로 스프레이 노즐을 사용하고, 상기 제1 밸브(161)로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유사한 장치 또는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는 의류를 드럼(120)으로 투입하기 위한 도어(111)가 설치되고, 하측에는 본체(110)를 지지하는 푸트(113)가 설치된다. 본체(110) 내부에는 드럼(120)을 회전시키는 벨트(131)와, 이러한 벨트(13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35)가 설치된다. 모터(135)의 축에는 벨트(131)가 걸리는 풀리가 설치된다.
상기 드럼(120)은 건조대상물인 의류 등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한 통으로 내부에는 의류를 들어올릴 수 있는 복수개의 리프터(121)가 설치된다.
또한, 덕트리스 건조기는 드럼(120)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14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열풍공급유닛(140)은 가스를 공급 및 차단하는 가스밸브(141)와 가스밸브(141)에서 배기된 가스를 외부로부터 제공된 공기와 혼합한 후 점화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는 가스연소기(143)와, 발생 된 열풍이 드럼(120)에 공급되도록 가스연소기(143)와 드럼(120)을 연결하는 열풍공급덕트(145)를 포함한다. 이러한 열풍공급유닛(140)에는 화염전류를 검출하여 이 화염전류의 수치를 통해 일산화탄소(CO)의 발생량을 간접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화염의 가장자리로 연장되어 플레임로드(Flame rod)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가스밸브(141)는 가스 분사량을 민감하게 조절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연소기(143)는 가스밸브(141)에 연결되어 가스밸브(141)에서 배기된 가스와 외부공기를 혼합시켜 연소시킨 후 이때 발생하는 열로 공기를 가열한다. 이렇게 가열되어 발생된 열풍은 열풍공급덕트(145)를 통해 드럼(120)에 제공된다.
상기 열교환유닛(150)은 핀(151)과 튜브(153)로 구성되며, 공기 대 물의 열교환방식으로 드럼(120)을 빠져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를 저온의 물에 의해 응축시켜 건조한 상태로 만들어준다. 이러한 열교환유닛(150)의 입구는 순환유닛(180)에 의해 드럼(120)과 연결되고, 그 출구는 배기덕트(181)와 연결된다. 상기 핀(151)은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박판으로 복수개의 박판이 서로 미세 간격으로 고온 다습한 공기와 수직으로 접촉, 통과하도록 적층된다. 상기 튜브(153)는 내부에 저온(예를 들어, 22℃)의 물이 순환하며, 핀(151)을 왕복으로 관통한다. 튜브(153)의 양측단은 저온의 물을 공급 및 회수하는 물호스(미도시)가 연결된다. 열교환유닛(150)의 하부에는 응축과정에서 생성되어 낙하된 응축수를 채집하는 물받이(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는 상기 청소유닛으로부터 분사된 물, 즉 청소수를 저장하는 저장유닛(17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된 수량을 근거로 상기 건조기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유닛은 저장된 수량이 기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만 수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유닛은 일정 시간(t1) 동안 저장된 수량이 기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정상수압으로 판단하고, 일정 시간(t2) 동안 저장된 수량이 기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저수압으로 판단하며, 일정 시간(t2) 동안 저장된 수량이 기설정된 기준수량 미만이면 단수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기준수량이 설정되는 설정유닛과, 상기 기설정된 기준수량과 상기 저장유닛(170)에 저장된 수량을 비교하는 비교유닛과, 상기 비교유닛의 비교결과를 근거로 단수, 저수압 또는 만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이 수용되고, 본체(11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120)과, 상기 드럼(1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유닛(150)과, 상기 열교환유닛(150)으로 물을 분사하여 분사된 물의 양을 근거로 건조기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판단하는 제어유닛(미도시)과, 상기 열교환유닛(150)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열교환유닛 외부에 흡착된 이물질을 청소하는 청소유닛과, 상기 청소유닛으로부터 분사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유닛(170)과, 상기 저장유닛(170) 내에 설치되고, 저장된 수량을 감지하는 감지유닛(17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의 구성요소 중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갈음하고, 이하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열교환유닛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유닛(161a) 과, 상기 분사되는 물의 이동을 개폐하는 제1 밸브(161)를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분사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161a)으로 스프레이 노즐을 사용하고, 상기 제1 밸브(161)로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유사한 장치 또는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170)은 제1 저장유닛(171)과, 제2 저장유닛(173)과, 저장된 수량을 감지하는 감지유닛(17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유닛(175)으로는 저장된 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저장유닛(170)에 저장되고, 상기 감지유닛(175)을 통해 감지된 수량을 근거로 상기 건조기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유닛은 감지된 수량이 기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만수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유닛은 일정 시간(t1) 동안 저장된 수량이 기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정상수압으로 판단하고, 일정 시간(t2) 동안 저장된 수량이 기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저수압으로 판단하며, 일정 시간(t2) 동안 저장된 수량이 기설정된 기준수량 미만이면 단수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기준수량이 설정되는 설정유닛과, 상기 기설정된 기준수량과 상기 저장유닛(170)에 저장된 수량을 비교하는 비교유닛과, 상기 비교유닛의 비교결과를 근거로 단수, 저수압 또는 만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면번호 163은 열교환유닛(15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제2 밸브이 고, 도면번호 165는 배수 펌프와 연결되어 냉각수, 제1 저장유닛에 열교환유닛(150)을 통해 응축된 응축수, 또는 제2 저장유닛에 저장된 청소수 등을 외부로 배수하는 제3 밸브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도면번호 171은 냉각수 또는 냉각수에 의해 건조대상물로부터 제거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제1 저장유닛이고, 도면번호 173은 열교환유닛(150)에 흡착된 린트를 제거하도록 분사된 청소수가 저장되는 제2 저장유닛이다.
이하,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의 구성 및 첨부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의 제어 방법은 일정 시간(t1) 동안 상기 열교환유닛에 물을 분사하는 단계(SP1, SP5)와, 상기 분사된 수량을 근거로 상기 건조기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SP2-SP4, SP6-SP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기준수량을 설정하는 단계(SP2)와, 상기 분사된 수량이 상기 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만수로 판단하는 단계(SP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분사된 수량이 일정 시간(t1) 경과 전에 상기 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정상수압으로 판단하는 단계(SP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정상수압으로 판단되면, 덕트리스 건조기는 건조 행정을 수행한다(SP11).
상기 물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기준수량을 설정하는 단계(SP2)와, 상기 분사된 수량이 상기 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만수로 판단하는 단계(SP3)와, 상기 분사된 수량이 상기 설정된 기준수량 미만이면 일정 시간(t2) 동안 상기 열교환기에 물을 분사하는 단계(SP8)와, 상기 분사된 수량을 근거로 만수를 재판단하는 단계(SP6)와, 상기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건조기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재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의 압력을 재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분사된 수량이 상기 일정 시간(t2) 경과 전에 상기 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저수압으로 판단하는 단계(SP7)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물의 압력을 재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분사된 수량이 상기 설정된 기준수량 미만이면 단수로 판단하는 단계(SP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저수압 또는 상기 단수로 판단되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P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덕트리스 건조기에서 드럼(120)을 통과하여 건조 행정 후 고온, 고습한 배출 공기가 건조기 외부 실내로 직접 배출되기 전에 열교환유닛(150)을 거치면서 습기는 제거되고 온도는 감소된다. 이 과정에서 만약 여러 원인으로 응축을 유도하는 냉각수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단수가 되었을 경우에 이를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건조기가 작동하면, 실내의 온습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적절한 수압으로 냉각수가 공급되는지 또는 단수가 된 것은 아닌지를 먼저 판단하는 제어 알고리즘이 필요하며 본 발명에 따라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은 건조기 동작 이전에 열교환유닛(150)에 청소 목적의 분사유닛(161a)(예를 들어, Spray Nozzle)을 통해 미리 물을 분사하고, 감지유닛(175)(예를 들어, 전극센서, 수위센서)를 통해 분사한 수량이 적절한 수량(기준수량)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제습을 위한 냉각수로써 그 공급량이 충분한지 또는 외부 사정으로 단수가 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 표준 수압 2.5kgf/cm2의 경우, 분사유닛을 통해 5초간 분사하면 500g 정도의 수량이 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단수 및 압력 판단을 위해 분사유닛(161a)을 통해 열교환유닛(150)으로 분사한다(SP1). 상기 500g을 기준수량으로 설정하고(SP2), 일정시간(t1, 예를 들어 5초로 설정) 동안 물을 분사하여 저장유닛에 저장된 수량이 500g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분사된 물이 제2 저장유닛(173)을 먼저 채우고, 제1 저장유닛(171)을 채운다. 여기서, 제2 저장유닛(173)에 저장된 수량을 근거로 만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SP3), 기설정된 일정시간(t1) 이전에 만수가 되면 정상수압으로 판단한다(SP4). 정상수압으로 판단되면, 정상임을 알림 메시지를 통해 알리거나, 에러 메시지를 발생하지 아니함으로써 사용자가 건조 행정을 수행하도록 한다(SP11).
물을 분사한 후(SP1), 일정시간(t1)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P5). 즉, 일정시간(t1) 동안 만수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여(SP3) 일정시간(t1) 도달 전에 만수가 되면 정상수압으로 판단하고(SP4), 일정시간(t1)이 경과하면 일정시간(t2, 예를 들어 10초로 설정) 동안 물을 계속해서 분사한다(SP8).
또한, 일정시간(t2) 동안 만수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여(SP6) 일정시간(t2) 도달 전에 만수가 되면 저수압으로 판단하고(SP7), 일정시간(t2)이 경과하면 단수가 된 것으로 판단한다(SP9).
저수압 또는 단수가 된 경우에 사용자 화면이나, 또는 기타 통신 수단을 통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P10).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의 열교환유닛 및 감지유닛 부분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의 저장유닛 부분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의 제어 알고리즘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본체 111: 도어
113: 푸트 114: 순환덕트
120: 드럼 131: 벨트
133: 팬 135: 모터
140: 열풍공급유닛 141: 밸브
143: 가스연소기 145: 열풍공급덕트
150: 열교환유닛 151: 핀
153: 튜브 161, 163, 165: 밸브
170, 171, 173: 저장유닛 175: 감지유닛
180: 순환유닛 181: 배기덕트

Claims (16)

  1. 건조대상물이 수용되고, 본체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유닛; 및
    상기 열교환유닛으로 물을 분사하여 분사된 물의 양을 근거로 건조기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판단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닛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열교환유닛 외부에 흡착된 이물질을 청소하는 청소유닛;을 더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열교환유닛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유닛; 및
    상기 분사되는 물의 이동을 개폐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유닛으로부터 분사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유닛;을 더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저장된 수량을 근거로 상기 건조기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판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저장된 수량이 기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만수로 판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일정 시간(t1) 동안 저장된 수량이 기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정상수압으로 판단하고,
    일정 시간(t2) 동안 저장된 수량이 기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저수압으로 판단하며,
    일정 시간(t2) 동안 저장된 수량이 기설정된 기준수량 미만이면 단수로 판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8. 제4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 내에 설치되고, 저장된 수량을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저장된 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10. 본체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유닛을 구비하는 덕트리스 건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일정 시간(t1) 동안 상기 열교환유닛에 물을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사된 수량을 근거로 상기 건조기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의 제어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기준수량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사된 수량이 상기 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만수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의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 시간(t1) 경과 전, 상기 분사된 수량이 상기 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정상수압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의 제어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분사된 수량이 상기 설정된 기준수량 미만이면 일정 시간(t2) 동안 상기 열교환유닛에 물을 분사하는 단계;
    상기 분사된 수량을 근거로 만수를 재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건조기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재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의 제어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압력을 재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 시간(t2) 경과 전, 상기 분사된 수량이 상기 설정된 기준수량 이상이면 저수압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의 제어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압력을 재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분사된 수량이 상기 설정된 기준수량 미만이면 단수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의 제어 방법.
  16. 제14 항 또는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압력을 재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저수압 또는 상기 단수로 판단되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의 제어 방법.
KR1020080091282A 2008-09-17 2008-09-17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474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282A KR101474458B1 (ko) 2008-09-17 2008-09-17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282A KR101474458B1 (ko) 2008-09-17 2008-09-17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26A KR20100032226A (ko) 2010-03-25
KR101474458B1 true KR101474458B1 (ko) 2014-12-30

Family

ID=4218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282A KR101474458B1 (ko) 2008-09-17 2008-09-17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4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929A (ko) * 2008-09-16 201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KR20100032227A (ko) * 2008-09-17 201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929A (ko) * 2008-09-16 201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KR20100032227A (ko) * 2008-09-17 201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26A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7014B2 (en)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KR100700780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 제어 방법
EP2037034B1 (en) Ductless type clothes drier
KR101549861B1 (ko) 덕트리스 건조기
US20100126032A1 (en) Ductless dryer
KR100866884B1 (ko) 건조기의 포량 결정 제어방법 및 그 건조기
KR100898930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US2011013864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machine
KR100901716B1 (ko) 덕트리스 건조기
US20120096739A1 (en) Clothes dryer
JP2008212170A (ja) 乾燥機
KR100902564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JP2008212169A (ja) 乾燥機
KR101513626B1 (ko)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920981B1 (ko) 의류건조기
KR101474458B1 (ko)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965649B1 (ko) 건조기의 드럼 지지 장치
US20240110328A1 (en) Corrosion resistance in heat pump and laundry appliances
KR101502009B1 (ko) 열교환기의 동파방지수단을 구비한 의류 건조기 및 그 운전방법
KR100923259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KR20100090088A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23360A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080075718A (ko) 덕트리스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