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177B1 -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177B1
KR101474177B1 KR1020137009077A KR20137009077A KR101474177B1 KR 101474177 B1 KR101474177 B1 KR 101474177B1 KR 1020137009077 A KR1020137009077 A KR 1020137009077A KR 20137009077 A KR20137009077 A KR 20137009077A KR 101474177 B1 KR101474177 B1 KR 101474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ty cycle
dwell time
time duration
state
radio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422A (ko
Inventor
야두난다나 엔. 라오
스콧 엠. 알라즈라키
아푸르브 차우드리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3005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장치의 ON-OFF 세팅을 토글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토글링은 고정된 OFF-시간 듀레이션, 및 캐리어 검출기가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드웰 시간 듀레이션을 갖는 제1 드웰 시간을 갖는 제1 듀티 사이클에 따라 수행된다. 디바이스는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하고, 제1 듀티 사이클은 제2 듀티 사이클로 변경된다. 토글링은 제1 듀티 사이클의 동일한 고정된 OFF-시간 듀레이션, 및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이 수행되는 제1 드웰 시간 듀레이션보다 더 긴 제2 드웰 시간 듀레이션을 갖는 제2 드웰 시간을 갖는 제2 듀티 사이클에 따라 수행된다.

Description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A DEVICE}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는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긴 배터리 수명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들을 통한, 최소의 레이턴시를 갖는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실시간 통신은 현장응급 처치자들 및 다른 공공 안전 전문가들에 대한 핵심적인 요구조건이다. 이를 위해, 통신산업협회(TIA)는 예를 들면 TIA 102-시리즈 문서들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25(P25)로 명명된 육상 모바일 무선(LMR) 표준들의 슈트(suite)를 채택하고 표준으로 삼았다.
출현하고 있는 표준들은 예를 들면 무선 통신들 및 상호운용성을 개선시켰지만, 무선 배터리 수명은 여전히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구현에 대한 주요한 도전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디바이스에서 배터리 수명을 개선하기 위한 통상적인 기술은 캐리어 신호의 처리를 제한하거나 축소하는 집적 회로들(ICs)의 듀티-사이클링의 구현을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 예에서,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배터리 절감 시스템의 현재의 구현들은 고정된 50% 레이트에서,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트랜시버 IC와 같은 장치의, ON-시간(또한 여기에서 드웰 시간으로도 지칭됨) 및 OFF-시간(또한 여기에서 오프-시간으로 지칭됨) 사이의 사이클링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수의 상황들에서, 고정된 듀티 사이클링 레이트는 최적의 솔루션이 아니다. 예를 들면, 고정된 듀티 사이클의 경우에, 낮은 펄싱(falsing) 레이트를 동시에 유지하면서도 검출기가 캐리어를 찾아내려고 시도하므로, 캐리어 검출기는 시간-제한된다. 그러므로, 트랜시버 IC의 고정된 듀티 사이클링을 채용하는 배터리 절감 시스템은 결과적으로 캐리어 검출시의 지연들로 인한 증가된 시스템 액세스 시간들, 누락된 캐리어 검출로 인한 증가된 누락된 호들, 및 바쁜 채널 상의 송신의 조합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유사한 참조번호들이 분리된 도면들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 첨부된 도면들은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형성하며, 청구된 발명을 포함하는 개념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더 예시하고 이들 실시예들의 다양한 원리들 및 장점들을 설명하도록 기능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예시하고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캐리어 검출을 담당하는 집적 회로(IC)에 대한 일련의 타이밍 다이어그램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을 도시하는 논리적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상태 다이어그램을 예시하고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숙련자들이라면 도면들의 구성요소들이 단순성 및 명백성을 위해 예시되어 있고 반드시 스케일링되도록 그려질 필요가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면들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치수들은 다른 구성요소들에 비해 과장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해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 뿐만 아니라,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예시된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일부 액션들 및/또는 단계들은 특정 발생 순서로 기재되거나 도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이라면 시퀀스에 대한 그러한 특수성이 실제로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라는 것은 자명하다.
장치들 및 방법 컴포넌트들은 적절한 경우에 도면들에서 종래의 심볼들에 의해 표현되어 있고, 본 상세한 설명의 이점을 갖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한 세부사항들로 본 개시를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들을 이해하는 것에 관련된 일부 특정 세부사항들만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예시의 단순성 및 명료성을 위해, 상용으로 실시가능한 실시예에 유용하거나 필요한 공지되고 주지된 구성요소들은 이들 다양한 실시예들의 덜 차단된 뷰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본 개시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더구나,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용어들 "디바이스", "통신 디바이스" 및 "가입자"는 무선 주파수(RF) 신호와 같은 캐리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지칭하는데 이용되고, 예를 들면 아날로그 및 디지털 휴대용 라디오들, 기지국들, 리피터들, 및 RF 서브시스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들의 일부 장점들은 통신 네트워크 상의 임의의 타입의 가입자에게 유리하다.
따라서,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들은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을, ON-세팅과 OFF-세팅 사이에서 토글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개시를 위해, 구문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을 토글링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캐리어 검출기를 "직접적으로"제어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을 토글링하거나, 캐리어 검출기를 "간접적으로"제어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을 토글링하는 것을 설명하는데 이용되고, 여기에서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한다"는 것은 캐리어 검출기가 캐리어 검출 기능을 수행할 지 여부를 달성하고 따라서 캐리어 검출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달성한다는 것의 일반적인 의미이다. 캐리어 검출기를 "간접적으로"제어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을 토글링하는 예는 통신 디바이스의 트랜시버 IC 또는 다른 관련된 IC들 중 하나 이상을 토글링하는 것이고, 이는 또 하나의 박스(예를 들면, 도 1의 프로세서(120)와 같은 프로세서)가 캐리어 검출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캐리어 검출기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을 토글링하는 예는 트랜시버 IC, 또는 캐리어 검출기를 포함하는 다른 관련된 IC들의 하나 이상을 토글링하는 것이다.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력 세팅을 ON-세팅과 OFF-세팅 사이에서 토글링하는 것은 등가적으로 "ON-OFF 세팅을 토글링하는 것"으로 지칭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검출기는 트랜시버 IC의 일부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검출기는 단독 IC를 포함한다. 더구나,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을 토글링하는 것에 덧붙여, 전압 제어된 오실레이터들, 전방 엔드 필터들, 전력 증폭기들, 등을 포함하는/제어하는 IC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의 추가적인 IC들의 전력 세팅이 토글링될 수 있다. 다르게는, 캐리어 검출기는 통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한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세팅의 토글링은 고정된 OFF-시간 듀레이션, 및 제1 드웰 시간 듀레이션을 갖는 제1 드웰 시간을 갖는 제1 듀티 사이클에 따라 수행된다. 본 개시의 목적상, 용어 "드웰 시간"은 용어 "ON-시간 듀레이션", "온-시간" 및 "ON-시간"과 상호교환가능하게 이용된다. 뿐만 아니라, 제1 드웰 시간 동안에, 캐리어 검출기는 캐리어 검출 기능을 수행한다.
디바이스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한다. 예시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오프-채널 검출기 입력, 주파수 오프셋 측정 결과, 페이딩 특성, 차선 캐리어 검출(CD) 결과, 무선 퍼스널리티 데이터, 전개 지형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제1 듀티 사이클은 제2 듀티 사이클로 변경되고, 전력 세팅의 토글링은 제2 듀티 사이클에 따라 수행된다. 제2 듀티 사이클은 제1 듀티 사이클의 동일한 고정된 OFF-시간 듀레이션, 및 제2 드웰 시간 듀레이션을 갖는 제2 드웰 시간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2 드웰 시간 듀레이션은 제1 드웰 시간 듀레이션보다 더 길다. 제2 드웰 시간 동안에,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제1 듀티 사이클을 제2 듀티 사이클로 변경하는 경우에,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에 의한 캐리어 검출의 확률이 증가된다.
선택적으로는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으로 지칭되는,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은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태 머신을 통해 제어된다.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태 머신은, 제1 상태에서,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을 제어하여, 고정된 OFF-시간 듀레이션, 및 제1 드웰 시간 듀레이션을 갖는 제1 드웰 시간을 갖는 제1 듀티 사이클에 따라 ON-OFF 세팅 사이에서 토글링한다. 제1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태 머신을 제2 상태로 전이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이 수신된다. 제2 상태 동안에, 상태 머신은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을 제어하여, 제1 듀티 사이클의 동일한 고정된 OFF-시간 듀레이션을 가지고 있고 제1 드웰 시간 듀레이션보다 더 긴 제2 드웰 시간 듀레이션을 갖는 제2 드웰 시간을 갖는 제2 듀티 사이클에 따라 ON-OFF 세팅 사이에서 토글링한다.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장치에 결합된 상태 머신 회로를 구비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캐리어 검출기는 RF 캐리어 검출 기능을 수행하고, 상태 머신 회로는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을 구현한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은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디바이스(100)를 예시하고 있다. 디바이스(10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물리적 구현의 일반적인 예시를 제공한다. 다른 기능들 중에서, 디바이스(100)는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을 구현하는 상태 머신(125)을 특징으로 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실제화하는데 적합한 범용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들 및 그 연관된 기능들은 예를 들면 휴대용 라디오, 기지국, 또는 다른 적합한 고정형 또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실시된다.
특히, 범용 컴퓨터 시스템은 중앙 프로세서 유닛 또는 CPU로 종종 지칭되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0)는 보조 스토리지(150), 판독 전용 메모리(ROM, 140),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130), 복수의 입력/출력(I/O) 디바이스들(110), 및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들(160)을 포함하여 다양한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통신한다.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CPU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감소된 명령 세트 컴퓨터 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도 2-5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에 대해 이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상태 머신(125)은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을 구현한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머신(125)의 하나의 실시예는 프로세서(120) 내의 상태 머신(125C)으로 정의된다. 특히, 상태 머신(125C)은 제어 신호(132)를 트랜시버(142, 캐리어 검출기(144)를 포함함)에 제공하여, 트랜시버(142)의 듀티 사이클을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에서, 정보는 제1 통신 디바이스에서 캐리어 파를 변조하고 변조된 캐리어 파를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함으로써,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전송된다. 제2 통신 디바이스 내의 회로는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송신된 변조된 캐리어 파를 검출할 수 있게 하는 기능 또는 프로세스로서 정의된 "캐리어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캐리어 검출기(예를 들면, 캐리어 검출기(144))를 제어한다. 캐리어 검출 기능을 제어하는 회로의 ON-OFF 세팅을 토글링하는 것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을 보존하기 위해 수행된다.
프로세서-실행가능한 코드, 프로그램들, 명령들, 또는 스크립트들로서 실시되는 경우에,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을 구현하는 상태 머신은 RAM(130), ROM(140), 보조 스토리지(150) 또는 원격 로케이션 중 하나 이상에 저장되어 로딩되고, 여기에서 이들 저장 디바이스들은 임의의 적합한 장기 및/또는 단기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들(160)의 하나 이상에 의해 액세스된다.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들(160)은 다른 것들 중에서, 모뎀들, 모뎀 뱅크들, 이더넷 카드들, 범용 직렬 버스(USB) 인터페이스 카드들,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들, 병렬 포트 인터페이스들, 파이어와이어 인터페이스, 토큰 링 카드들, 파이버 분산된 데이터 인터페이스(FDDI) 카드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카드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수신기, 무선 트랜시버 카드들, 및 임의의 하나 이상의 표준 또는 독자적 인터페이스들에 따라 동작가능한 다른 공지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대안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들(160)은 여기에 기재된 방법들에 따라, 트랜시버의 듀티 사이클을 제어함으로써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 머신(125B)을 구현하는 회로를 구비하는 트랜시버(142), 및 선택적으로 다른 관련된 IC들(예를 들면, 전압 제어되는 오실레이터들, 전방 엔드 필터들, 전력 증폭기들, 등을 포함함)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122)에 상주하는 상태 머신(125A)은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을 구현하고 제어 신호(134)를 통해 트랜시버(142)의 듀티 사이클에 대한 제어를 제공한다.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들(160)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가 글로벌 정보 시스템 또는 하나 이상의 인트라넷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네트워크 접속을 이용하여, 프로세서(120)는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접속된 네트워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정보를 네트워크에 출력한다. 특히, 다른 것들 중에서도, 처리, 복조 및 트랜시버 요소들의 일부 기능은 디바이스(100)의 메모리 요소들 중 하나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펌웨어와 같은 프로그래밍된 로직을 통해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된 로직 또는 코드를 통해 구현된 상기 언급된 기능뿐만 아니라,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20)는 이하에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들과 같이, 본 가르침들에 따라 방법들을 용이하게 하는 시그널링 및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 또는 코드로 더 프로그래밍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파형들의 세트가 예시되어 있다. 특히,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검출기(144)를 포함하는 트랜시버(142)와 같이 캐리어 검출을 담당하는 적어도 장치의 ON-OFF 세팅을 토글링하기 위한 일련의 타이밍 다이어그램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트랜시버(142)에 대해 설명되어 있지만, ON-OFF 세팅의 토글링은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 내의 트랜시버 IC들 또는 다른 관련된 IC들에도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파형(210)은 고정된 ON-시간, 또는 드웰 시간, 듀레이션 TON-A 및 고정된 OFF-시간 듀레이션 TOFF-A를 갖는 "정상 수신기 듀티 사이클"을 예시하고 있다. 드웰 시간 TON-A는 트랜시버(142)가 ON-위치(212)에 있는 시간이고, OFF 시간 TOFF-A는 파형(210)이 OFF-위치(214)에 있는 시간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트랜시버(142)의 ON-시간 및 OFF-시간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시적으로, 트랜시버(142)의 듀티 사이클은 실질적으로 50%이다.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의 구현을 제공하고, 여기에서 고정 및 다이나믹 입력들의 조합에 응답하여, 정상 수신기 듀티 사이클의 드웰 시간은 OFF-시간 듀레이션을 유지하면서도 더 긴 드웰 시간으로 대체된다. 더 긴 드웰 시간 듀레이션, 더 긴 드웰 시간들의 발생 레이트, 및 더 긴 드웰 시간들의 반복 회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고정 및 다이나믹 입력들에 의해 결정된다.
이하에 더 설명된 입력들은 예를 들면, 이하, 오프-채널 검출기에 의해 측정된 오프-채널 액티비티, 측정된 주파수 오프셋, 페이딩 특성들, 무선 퍼스널리티 데이터, 무선 전개 데이터, 및 최적 캐리어 검출 기능보다 더 높은 펄싱(falsing) 레이트(캐리어가 오류되게 검출되는 레이트로 정의됨)를 갖는 차선 캐리어 검출 기능의 결과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실제로, 여기에 기재된 방법들에 따라 구현된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은 결과적으로 RF 캐리어 액티비티의 증가된 검출로 나타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본 사상들의 예시적 이점들을 통해, 고정된 듀티 사이클링을 채용하는 통신 디바이스들에 비해 더 적은 누락된 호들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도 2는 트랜시버(142)의 듀티 사이클이 정상 수신기 듀티 사이클(파형(210)으로 표현됨)로부터, 파형(220)에 의해 또는 대안적으로 파형(230)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더 긴 드웰 시간 듀레이션을 갖는 듀티 사이클로 적응형으로 수정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파형(220)은 트랜시버(142)의 고정된 ON-시간 TON-A보다 더 큰 고정된 ON-시간 TON-B를 갖는 "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을 특징으로 한다. 드웰 시간 TON-B는 트랜시버(142)가 ON-위치(222)에 있는 시간을 나타내고, OFF-시간 TOFF-A는 파형(220)이 OFF-위치(224)에 있는 시간이다. 도 2에서, 파형(220)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은 파형(210)에 의해 표현된 정상 수신기 듀티 사이클의 것과 동일한 고정된 OFF-시간 TOFF-A를 갖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주기적", "주기적으로" 또는 "주기적인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파형(220)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레이트 타이머 및 반복 타이머에 의해 결정된 규칙적인 간격으로 발생하는 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화살표(226)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레이트 타이머 신호는 파형(220)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로의 전이를 제어한다. 더 긴 드웰 시간 TON-B의 드웰 시간 듀레이션, 레이트 및 반복은 고정 및 다이나믹 입력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더 긴 드웰 시간 TON-B를 갖는 선정된 개수의 사이클들 또는 "반복들" 후에, 캐리어 검출을 담당하는 장치(예를 들면, 트랜시버(142))의 듀티 사이클링은 파형(210)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정상 수신기 듀티 사이클로 리턴한다. 특히, 반복 타이머 신호는 화살표(22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상태로부터 정상 수신기 듀티 사이클로의 전이를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파형(210)에 의해 표현된 정상 수신기 듀티 사이클과 파형(220)에 의해 표현된 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포함하는 일부 추가 실시예들은 도 3-5를 참조하여 이하에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여전히 도 2를 참조하면, 파형(230)은 파형(210)의 고정된 ON-시간 TON-A보다 큰 고정된 ON-시간 TON-B를 갖는 "비-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을 특징으로 한다. ON-시간 TON-B는 트랜시버(142)가 ON-위치(232)에 있는 시간들로서 취해지고, OFF-시간 TOFF -A는 파형(230)이 OFF-위치(234)에 있는 시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230)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비-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은 파형(210)에 의해 표현된 정상 수신기 듀티 사이클의 것과 동일한 고정된 OFF-시간 TOFF-A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비-주기적", "비-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인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파형(230)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비-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의 불규칙적인 발생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여기에서, 비-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은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캐리어가 차선 CD(차선 CD=1)에 의해 검출되는 한 지속된다. 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과 대조적으로, 비-주기적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의 발생은 레이트 타이머 또는 반복 타이머에 기반하지 않고, 오히려 차선 CD(차선 CD=1)에 의한 캐리어의 검출에 기초하고 있다. 더구나, 비-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은 차선 CD=0일 때까지, 즉 캐리어가 차선 CD에 의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계속되거나 지속될 것이다.
화살표(236)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차선 CD에 의한 캐리어의 검출은 파형(230)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비-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로의 전이를 제어한다. 더 긴 드웰 시간 TON-B의 드웰 시간 듀레이션은 고정 및 다이나믹 입력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 CD=0 신호는 화살표(238)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비-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로부터 외부로의 전이를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과 비-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방법들뿐만 아니라, 파형(210)에 의해 표현된 정상 수신기 듀티 사이클과 파형(230)에 의해 표현된 비-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이하에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300)을 예시하는 논리적 플로우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참조번호 302에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검출기(144)를 포함하는 트랜시버(142)와 같은,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은 ON-세팅과 OFF-세팅 사이에서 토글링된다. 캐리어 검출기는 무선 주파수(RF) 캐리어 검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전력 세팅은 예를 들면 도 2의 파형(210)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정상 수신기 듀티 사이클과 같은, 제1 듀티 사이클에 의해 제어되는 대로 토글링된다. 제1 듀티 사이클은 고정된 OFF-시간 듀레이션(예를 들면, TOFF -A) 및 제1 드웰 시간 듀레이션(예를 들면, TON-A)을 가지고 있다. 캐리어 검출기에 의해 수행되는 RF 캐리어 검출 기능은 제1 드웰 시간 듀레이션 동안에 실행된다. 즉, RF 캐리어 검출 기능은 트랜시버(142)의 전력 세팅이 ON-위치에 있는 경우에 실행된다.
참조번호 304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RF 캐리어 검출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한다. (참조번호 304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한 결과로서, 참조번호 306에서 제1 듀티 사이클은 예를 들면 파형(220)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 또는 도 2에서 파형(230)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비-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과 같은 제2 듀티 사이클로 변경된다.
제2 듀티 사이클은 제1 듀티 사이클과 동일한 고정된 OFF-시간 듀레이션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듀티 사이클은 제1 듀티 사이클의 제1 드웰 시간 듀레이션보다 긴 제2 드웰 시간 듀레이션(예를 들면, TON-B)을 가지고 있다. 또한, RF 캐리어 검출 기능은 제2 드웰 시간 듀레이션 동안에 실행된다. 참조번호 308에서, 트랜시버(142)의 전력 세팅은 제2 듀티 사이클에 의해 제어되는 대로 ON-세팅과 OFF-세팅 사이에서 토글링된다.
도 4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상태 머신의 거동을 도시하는 상태 다이어그램(400)을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적응형 배터리 절감 상태 머신은 상태(402)에서 초기화되고, 여기에서 예를 들면 통신 디바이스는 양쪽 모두 전력 업되고 하나 이상의 고정된 입력들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된 입력은, 무선 채널이 디지털 사설 라인(DPL) 또는 톤 사설 라인(TPL)을 포함하는지 여부, 통신 디바이스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 또는 무선 채널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퍼스널리티 데이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무선 퍼스널리티는 예를 들어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들(160)의 하나로서 구현되는 GPS 수신기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결정되는 전개 지형 데이터를 포함한다.
다른 무선 모드들 및/또는 선험적으로 결정된 다른 무선 퍼스널리티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른 고정된 입력들뿐만 아니라, 그러한 고정된 입력들은 더 긴 드웰 시간들의 듀레이션, 레이트 및 반복들을 조정하고 상태 머신을 연장된 드웰 시간을 갖는 상태로 전이하는데 필요한 대로 이용된다. 예시적으로, 연장된 드웰 시간은 DPL 상에서 캐리어를 신뢰성있게 검출한다. 유사하게, 도시 지역들 또는 산악 및 숲 지역들과 같은 일부 전개 지형들은 신뢰성있는 캐리어 검출을 위해 더 긴 드웰 시간들을 요구한다.
상태(404)로의 상태 머신 전이들 및 캐리어 검출을 담당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은 예를 들면 도 2의 파형(210)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고정된 OFF-시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고정된 드웰 시간을 갖는 정상 수신기 듀티 사이클에 따라 토글링된다. 상태(404)에 있는 동안에, 통신 디바이스는 더 긴 드웰 시간들의 듀레이션, 레이트 및 반복들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대로 또한 이용되는 다이나믹 입력들을 수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다이나믹 입력들은, 오프-채널 검출기 입력, 주파수 오프셋 측정 결과, 페이딩 채널 특성, 또는 차선 캐리어 검출(CD)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예를 들면, 오프-채널 검출기에 의해 간섭이 검출된다면, 모니터링되고 있는 채널에 대해 신호-대-잡음 비(SNR)를 증가시키기 위해 더 긴 드웰 시간이 적용된다. 유사하게, 페이딩 채널은 신뢰성있는 캐리어 검출을 위해 더 긴 드웰 시간을 요구한다.
고정된 입력들 및 오프-채널 검출기 입력의 임의의 조합, 주파수 오프셋 측정 결과, 또는 페이딩 채널 특성은 결과적으로 더 긴 드웰 시간의 듀레이션, 더 긴 드웰 시간의 발생 레이트 및 더 긴 드웰 시간의 반복 회수의 업데이트로 나타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들 입력들은 결과적으로 도 2의 파형(220)에 의해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을 갖는 상태(408)로의 전이로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레이트 타이머의 만료는 또한 상태(404)로부터 상태(408)로의 전이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상태(408)는 더 긴, 고정된 드웰 시간을 갖는 듀티 사이클에 대응한다. 또한, 더 긴 드웰 시간을 갖는 N개의 사이클들의 만료 이후에, 즉 선정된 반복 회수 후에, 상태 머신은 상태(404)로 리턴한다.
상태(404)에 있는 동안에, 통신 디바이스는 최적 CD 기능 및 차선 CD 기능을 동시에 실행한다. 여기에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동시"또는 "동시에"는 예를 들면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일부 시간 주기에 대해 동일한 시각에 수행되는 기능을 설명하는데 이용된다. 최적 CD 기능은 원하는 펄싱 레이트를 갖는 정상 검출 시간에 대응하는데 대해, 차선 CD 기능은 원하는 펄싱 레이트와 비교할 때 더 높은 펄싱 레이트의 결과로서 더 빠른 검출 시간에 대응한다. 캐리어가 차선 CD 기능(차선 CD=1)을 통해 검출된다면, 드웰 시간은 정상 수신기 듀티 사이클에 비해 증가된다. 시스템의 설계에 기초하여, 차선 CD(차선 CD=1)에 의해 검출된 캐리어는 결과적으로 비-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을 갖는 상태(406)로의 전이로 나타난다. 도 4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선 CD=1은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도 2의 비-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듀티 사이클 파형(230)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비-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을 갖는 상태(406)로의 전이로 나타난다.
대안적으로, 상태(404)에 있는 동안에, 차선 CD 기능(차선 CD=1)에 의해 검출된 캐리어는 결과적으로 진실한 캐리어가 검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상태(410)로의 전이로 나타난다. 캐리어 "미검출"(차선 CD=0) 시에, 상태 머신은 초기화 상태(402)로 전이한다. 더구나,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퍼스널리티, 페이딩 특성, 및 전개 지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변경하는 조건들에 적응하도록 재구성된다.
유사하게, 상태(408)에 있는 동안에, 최적 CD 기능(최적 CD=1)에 의해 검출된 캐리어는 진실한 캐리어가 검출되었고 어떠한 오류 알람도 없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상태(410)로의 전이로 나타난다. 캐리어 미검출(최적 CD=0) 시에, 상태 머신은 초기화 상태(402)로 전이한다.
또한, 상태(408)에 있는 동안에, 캐리어가 차선 CD(차선 CD=1)에 의해 검출되고 최적 CD(최적 CD=0)에 의해서는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상태 머신은 상태(406)로 전이한다. 상태(406)에 있는 동안에, 최적 CD 기능(최적 CD=1)에 의해 검출된 캐리어는 결과적으로 진실한 캐리어가 검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상태(410)로의 전이로 나타나고, 최적 CD 기능은 상태 머신이 초기화 상태(402)로 전이함에 따라 자체적으로 리셋한다(최적 CD=0). 그러나, 다양한 실시에들에서, 차선 CD가 더 이상 캐리어를 검출하지 않고(차선 CD=0) 캐리어가 최적 CD에 의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최적 CD=0), 상태 머신은 정상 수신기 듀티 사이클을 갖는 상태(404)로 리턴한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는데 유용한 방법(500)이 도시되어 있다. 고정 또는 다이나믹 입력의 임의의 조합에 기초하여, 방법(500)은 더 긴 드웰 시간의 듀레이션, 더 긴 드웰 시간의 발생 레이트, 또는 더 긴 드웰 시간의 반복 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업데이트한다. 본 개시의 목적상, 더 긴 드웰 시간의 듀레이션은 "듀레이션"과 등가적으로 지칭되고, 더 긴 드웰 시간의 발생 레이트는 "레이트"와 등가적으로 지칭되며, 더 긴 드웰 시간의 반복 회수는 "반복들"과 등가적으로 지칭된다. 정상 듀티 사이클 상태, 예를 들면 도 4의 상태(404) 내에 있는 동안에, 방법(500)은 입력들(504)에 의해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정된 또는 "원래의" 듀레이션, 레이트 및 반복들을 갖는 듀티 사이클에 따라 트랜시버 또는 캐리어 검출기 IC를 동작시킨다. 방법(500)은 입력들(502)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및 다이나믹 입력의 조합을 수신한다. 따라서, 각 입력은 오프-채널 검출기 입력, 주파수 오프셋 측정 결과, 페이딩 특성, 차선 CD 결과, 무선 퍼스널리티 데이터 또는 전개 지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입력들의 하나 이상에 대한 특정 조건들은 결과적으로 업데이트된 듀레이션, 레이트 또는 반복들의 하나 이상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듀레이션, 레이트 또는 반복들의 업데이트는 오프-채널 검출기 입력이 선정된 수신 신호 세기 표시자(RSSI) 임계값을 통과하는 때에 발생한다. 유사하게, 듀레이션, 레이트 또는 반복들은 주파수 오프셋 측정값이 선정된 수의 헤르쯔(Hz)보다 더 큰 때에 업데이트된다. 페이딩 특성에 관한 통계들은 통신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는 페이딩 환경에 관련되어 유지된다. 그러한 통계들의 선정된 함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듀레이션, 레이트 또는 반복들이 업데이트된다. 무선 퍼스널리티 데이터는 또한 듀레이션, 레이트 또는 반복들의 업데이트를 유발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사설 라인(DPL)은 신뢰성있는 캐리어 검출을 위해 더 긴 드웰 시간을 요구한다. 예를 들면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GPS 수신기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결정된 전개 지형 데이터는 또한 듀레이션, 레이트 및 반복들을 업데이트하는데 이용된다. 예시적으로, 도시 지역들 또는 산악 및 숲 지역들은 신뢰성있는 캐리어 검출을 위해 더 긴 드웰 시간들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더 높은 펄싱 레이트 및 더 빠른 검출 성능을 갖는 차선 CD에 의한 캐리어 검출은 듀레이션, 레이트 및 반복들의 하나 이상에서 업데이트를 유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주지된 입력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다른 입력들(502)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들(50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더 긴 드웰 시간의 듀레이션, 더 긴 드웰 시간의 발생 레이트, 또는 더 긴 드웰 시간의 반복 회수의 적어도 하나가 업데이트되었다. 그러므로, 방법(500)은 업데이트된 듀레이션, 업데이트된 레이트, 또는 업데이트된 반복 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듀티 사이클에 따라 트랜시버 또는 캐리어 검출기 IC를 동작시킨다.
하나의 예시적 예로서, 정상 듀티 사이클 상태에 있는 동안에, 레이트는 'x', 예를 들면 250ms와 동일하고, 듀레이션은 'y', 예를 들면 25ms와 동일하며, 반복들은 'z', 예를 들면 일(1)과 동일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반복들 'z'는 일(1)보다 크거나 같은 임의의 정수값과 동일하다. 입력들(502)의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경우에, 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 상태로 전이하기 위한 하나의 옵션은 예를 들면 듀레이션 'y'를 25ms에서 50ms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캐리어 검출을 담당하는 IC가 방법(500)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주기적 연장된 드웰 시간에 따라 이미 동작하고 있다면, 하나 이상의 입력들(502)이 검출되는 경우에, 레이트, 듀레이션 및 반복들의 기존의 값들이 업데이트된다. 하나의 예에서, 레이트 'x'는 250ms에서 125ms로 변경되고, 듀레이션 'y'는 50ms에서 75ms로 변경되며, 반복들 'z'는 일(1)에서 오(5)로 변경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입력들(502)의 실제 값들에 따라, 출력들(506) 중 하나 이상은 임의의 적합한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 임의의 다른 값으로 업데이트된다.
출력들(506)은 또한 라디오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의 다양한 다른 파라미터들을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출력들(506)은 자동 주파수 제어(AFC) 상태 머신에 전송되어, 라디오가 원하는 검출 주파수로 튜닝되어 유지되는 것에 도움을 준다. 출력들(506)은 또한 자동 이득 제어(AGC) 상태 머신에 전송되어, 온-채널 신호의 변동들을 보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출력들(506)은 RFIC의 시퀀스들을 최적화하는데 이용된다. 뿐만 아니라, 출력들(506)은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과 공유하기 위해 최종 알려진 듀티 사이클 레이트, 듀레이션 및 반복들을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청구항들에 제시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들은 제한적 의미라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모든 그러한 수정들은 본 사상들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점들, 장점들,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들, 및 임의의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이 발생하거나 더 현저하게 되도록 유발하는 임의의 요소(들)는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청구항들의 핵심적이고, 요구되거나 필수적인 특징들 또는 요소들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본 출원서의 계류 동안에 만들어지는 임의의 보정을 포함하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발행된 이들 청구항들의 모든 등가물들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더구나, 이러한 문헌에서, 제1 및 제2, 상부 및 기저부, 등과 같은 관계 용어들은 그러한 실체들 또는 액션들 사이에 임의의 실제적인 그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함축하지 않고 하나의 실체 또는 액션을 또 하나의 실체 또는 액션과 구별하는데에만 이용될 수 있다. 용어들 "포함한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구비한다(has)", "구비하는(having)", "포함한다(includes, contains)", "포함하는(including, containing)", 또는 그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커버하려는 것으로, 하나의 요소들의 리스트를 포함하거나 구비하는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장치는 단지 이들 요소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장치에 명시적으로 리스트되지 않거나 이들에 내재된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포함하는(comprise ... a)(includes ... a)(contains ... a)" 또는 "구비하는(has ... a)"에 뒤따르는 요소는 더 이상의 제한없이, 그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구비하는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장치에 추가적인 동일한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전제하는 것은 아니다. 용어들 하나(a 및 an)는 여기에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으로 정의된다. 용어들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본질적으로(essentially)", "거의(approximately)", "약(about)", 또는 그 임의의 다른 버전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근접한 것으로 정의되고, 하나의 비-제한적 실시예에서 그 용어는 10% 이내,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5% 이내,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1% 이내, 및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0.5% 이내인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에 이용된 용어 "결합된"은 반드시 직접적으로 그리고 반드시 기계적으로는 아니더라도, 접속된 것으로 정의된다. 특정 방식으로 "구성된" 디바이스 또는 구조는 적어도 그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리스트되지 않은 방식들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흐름도에서의 단계들 또는 청구항들의 구성요소들의 시퀀스는 문자에 의해 선행되는 경우라도, 그 시퀀스를 함축하거나 요구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처리기들, 커스터마이징된 프로세서들 및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들(FPGA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일반적이거나 특별화된 프로세서들(또는 "처리 디바이스들"),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일부 비-프로세서 회로들과 조합하여, 여기에 기재된 방법 및 시스템의 기능들의 일부, 대부분 또는 모두를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고유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양쪽 모두를 포함함)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대안으로, 일부 또는 모든 기능들은 어떠한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도 가지지 않는 상태 머신에 의해, 또는 각 기능 또는 일부 기능들의 일부 조합들은 관례적인 로직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2개의 접근법들의 조합도 이용될 수 있다.
더구나, 실시예는 컴퓨터(예를 들면, 프로세서를 포함함)가 여기에 기재되고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를 구비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의 예들은 하드 디스크, CD-ROM, 광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ROM(판독 전용 메모리), PROM(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삭제가능한 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EPROM(전기적으로 삭제가능한 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및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여기에 공개된 개념들 및 원리들에 의해 가이드되는 경우에, 예를 들면 가용 시간, 현재 기술 및 경제적 고려사항들에 의해 동기가 되는 가능한 상당한 노력 및 다수의 설계 선택들에도 불구하고, 최소의 실험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 명령들 및 프로그램들 및 IC들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공보의 요약서는 독자가 기술적 공개의 특성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것은 청구항들의 범주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는데 이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해로 제출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들은 본 개시를 합리화할 목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함께 그룹화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개시 방법은 청구된 실시예들이 각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인용된 것보다 더 많은 특징들을 필요로 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하의 청구항들이 반영됨에 따라, 발명상 주제는 단일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 더 적은데 있다. 그러므로, 이하의 청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고, 각 청구항은 그 자신이 하나의 분리되어 청구된 주제로서 존재한다.

Claims (20)

  1.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디바이스에서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캐리어 검출기를 구비하는 단계;
    고정된 오프-시간 듀레이션,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이 수행되는 제1 드웰(dwell) 시간 듀레이션을 갖는 제1 드웰 시간을 구비하는 제1 듀티 사이클에 따라, 온 세팅과 오프 세팅 사이에서,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을 토글링(toggling)하는 단계;
    상기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듀티 사이클을 제2 듀티 사이클로 변경하는 단계 - 제2 듀티 사이클은 상기 제1 듀티 사이클의 동일한 고정된 오프-시간 듀레이션,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이 수행되는 상기 제1 드웰 시간 듀레이션보다 더 긴 제2 드웰 시간 듀레이션을 갖는 제2 드웰 시간을 가짐 -; 및
    상기 제2 듀티 사이클에 따라, 상기 온 세팅과 상기 오프 세팅 사이에서, 상기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상기 장치의 전력 세팅을 토글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오프-채널 검출기 입력, 주파수 오프셋 측정 결과, 페이딩 특성, 차선(suboptimal) 캐리어 검출(CD) 결과, 무선 퍼스널리티 데이터 또는 전개 지형 데이터(deployment terrain dat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듀티 사이클의 발생 레이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발생 레이트에 따라 상기 제1 듀티 사이클과 상기 제2 듀티 사이클 사이에서 교대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드웰 시간의 반복 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1 펄싱 레이트(falsing rate)를 갖는 제1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제2 펄싱 레이트를 갖는 제2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펄싱 레이트는 상기 제1 펄싱 레이트보다 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웰 시간 듀레이션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상기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은 상기 제2 듀티 사이클에 따라 상기 온 세팅과 상기 오프 세팅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토글링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웰 시간 듀레이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되고,
    상기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은 상기 제2 듀티 사이클에 따라 상기 온 세팅과 상기 오프 세팅 사이에서 비-주기적으로 토글링되는 방법.
  8.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태 머신으로 하여금,
    제1 상태에 있는 동안에, 고정된 오프-시간 듀레이션, 및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이 수행되는 제1 드웰 시간 듀레이션을 갖는 제1 드웰 시간을 구비하는 제1 듀티 사이클에 따라, 온 세팅과 오프 세팅 사이에서 토글링하도록,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상태 머신이 제2 상태로 전이하도록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제1 듀티 사이클의 동일한 고정된 오프-시간 듀레이션,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이 수행되는 상기 제1 드웰 시간 듀레이션보다 더 긴 제2 드웰 시간 듀레이션을 갖는 제2 드웰 시간을 갖는 제2 듀티 사이클에 따라, 상기 온 세팅과 상기 오프 세팅 사이에서 토글링하도록, 상기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상기 장치의 전력 세팅을 제어하는 단계
    를 수행하게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오프-채널 검출기 입력, 주파수 오프셋 측정 결과, 페이딩 특성, 차선 캐리어 검출(CD) 결과, 무선 퍼스널리티 데이터, 레이트 타이머, 또는 전개 지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웰 시간 듀레이션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상태 머신은 상기 온 세팅과 상기 오프 세팅 사이에서 주기적인 방식으로 토글링하도록 상기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상기 장치의 전력 세팅을 제어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웰 시간 듀레이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기초하여 가변적으로 조절되고,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상태 머신은 상기 온 세팅과 상기 오프 세팅 사이에서 비-주기적인 방식으로 토글링하도록 상기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상기 장치의 전력 세팅을 제어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동안에,
    제1 펄싱 레이트를 갖는 제1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제2 펄싱 레이트를 갖는 제2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캐리어 검출기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계 - 상기 제2 펄싱 레이트는 상기 제1 펄싱 레이트보다 더 큼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에 의한 캐리어의 검출 시에, 상기 상태 머신을 상기 제2 상태로 전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에 의해 캐리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머신을 초기화 상태로 전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에 의해 캐리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머신을 초기화 상태로 전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상태 머신을 상기 제1 상태로 전이하도록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머신을 상기 제1 상태로 전이하도록 지시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은 반복 타이머 또는 차선 캐리어 검출(CD)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8.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상기 장치에 결합되는 상태 머신 회로 - 상기 상태 머신 회로는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을 제어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은 고정된 오프-시간 듀레이션,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이 수행되는 제1 드웰 시간 듀레이션을 갖는 제1 드웰 시간을 갖는 제1 듀티 사이클에 따라, 온 세팅과 오프 세팅 사이에서, 캐리어 검출기를 제어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을 토글링하고,
    상기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듀티 사이클을 제2 듀티 사이클로 변경하며, 상기 제2 듀티 사이클은 상기 제1 듀티 사이클의 동일한 고정된 오프-시간 듀레이션,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이 수행되는 상기 제1 드웰 시간 듀레이션보다 더 긴 제2 드웰 시간 듀레이션을 갖는 제2 드웰 시간을 구비하고,
    상기 적응형 배터리 절감 기능은 상기 제2 듀티 사이클에 따라 상기 온 세팅과 상기 오프 세팅 사이에서 캐리어 검출기를 포함하는 장치의 전력 세팅을 토글링하는 전력 소비 관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입력은 오프-채널 검출기 입력, 주파수 오프셋 측정 결과, 페이딩 특성, 차선 캐리어 검출(CD) 결과, 무선 퍼스널리티 데이터 또는 전개 지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소비 관리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검출기는 제1 펄싱 레이트를 갖는 제1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 및 제2 펄싱 레이트를 갖는 제2 무선 주파수 캐리어 검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상기 제2 펄싱 레이트는 상기 제1 펄싱 레이트보다 더 큰, 전력 소비 관리 시스템.
KR1020137009077A 2010-09-10 2011-08-19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74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79,053 US8295893B2 (en) 2010-09-10 2010-09-10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a device
US12/879,053 2010-09-10
PCT/US2011/048352 WO2012033627A1 (en) 2010-09-10 2011-08-19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a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422A KR20130054422A (ko) 2013-05-24
KR101474177B1 true KR101474177B1 (ko) 2014-12-17

Family

ID=4580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077A KR101474177B1 (ko) 2010-09-10 2011-08-19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95893B2 (ko)
EP (1) EP2614596B1 (ko)
KR (1) KR101474177B1 (ko)
CN (1) CN103109466B (ko)
WO (1) WO20120336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87B1 (ko) * 2019-03-26 2019-07-23 (주)토페스 다차선 차량속도 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차선 차량속도 검지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1622B2 (en) * 2008-05-23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ystem acquisition while maintaining a defined battery life span
WO2012117266A1 (en) * 2011-03-01 2012-09-07 Freescale Semiconductor, Inc. Integrated circuit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requency detection
US9572106B2 (en) 2014-10-31 2017-02-14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bandwidth switching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W201803289A (zh) * 2016-07-11 2018-01-16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可利用較小電路面積並同時考量節能省電以偵測空氣中之干擾訊號之功率來控制放大器之增益值的無線收發機裝置及方法
US10020834B2 (en) * 2016-09-14 2018-07-10 Persistent Systems, Llc Radio over internet protocol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operability with land mobile radio devices
CN109795347B (zh) * 2019-01-08 2022-06-21 狐灵灵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自行车无线智能充电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8861A1 (en) 2006-03-17 2007-09-20 Allen Walsto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power savings in a DOCSIS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518A (en) 1895-03-12 Leopold weiss
US4955038A (en) * 1988-12-09 1990-09-04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power RF receiver
US5144296A (en) 1990-09-07 1992-09-01 Motorola, Inc. Adaptive battery saving controller with signal quality detecting means
US5448756A (en) 1992-07-02 1995-09-05 Motorola, Inc. High frequency battery saver for a radio receiver
US5794137A (en) 1995-07-17 1998-08-11 Ericsson Inc. Method for increasing stand-by time in portable radiotelephones
US5845204A (en) 1995-08-11 1998-12-01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wakeup logic of a radio receiver in sleep mode
FI20030660A0 (fi) * 2003-05-02 2003-05-02 Nokia Corp Menetelmä päätelaitteen tehonsäästöön langattomassa lähiverkossa ja päätelaite
US7650522B2 (en) * 2005-06-28 2010-01-19 Symbol Technologies, Inc. Mobility policy manager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KR20070075666A (ko) 2006-01-14 2007-07-24 김영식 보조 증폭기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의 유연한 전력제어 기술
FI20065457A0 (fi) * 2006-06-30 2006-06-30 Nokia Corp Tehovahvistimen kytkentätoimisen tehonsyötön kontrollointi
CN101368401B (zh) * 2008-10-10 2011-01-12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隐藏式感应装置以及安装隐藏式感应装置的小便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8861A1 (en) 2006-03-17 2007-09-20 Allen Walsto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power savings in a DOCSIS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87B1 (ko) * 2019-03-26 2019-07-23 (주)토페스 다차선 차량속도 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차선 차량속도 검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4596A4 (en) 2014-09-17
US8295893B2 (en) 2012-10-23
EP2614596B1 (en) 2016-04-06
CN103109466B (zh) 2016-01-06
KR20130054422A (ko) 2013-05-24
CN103109466A (zh) 2013-05-15
WO2012033627A1 (en) 2012-03-15
US20120064853A1 (en) 2012-03-15
EP2614596A1 (en)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177B1 (ko)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0961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power by transmission interv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428400B1 (en) Selecting paging channel mode
AU20193481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wake-up signal, and base sta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9832788B2 (en) Detection of data scheduling activity for receiver selection
US10014900B2 (en) Wi-Fi adaptive transmit antenna selection
US11304144B2 (en) Techniques of paging occasion burst handling
KR20130031283A (ko) 이웃한 기지국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유휴 모드 전력 소비 감소
CN117202330A (zh) 用于功率节省信号的发射分集机制
JP2016516347A (ja) 低電力の単一チェーンリッスンと複数チェーン復調の間で切り換え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257112B2 (en) Receiver directed power management for WLAN receiver
CN102106094B (zh) 接收数据值的确定
US202204178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06653B2 (en) Enhanced opportunistic mobile receive diversity for dual-SIM dual-active mobile device
KR20170033306A (ko) 멀티-sim 디바이스들에서의 수신기 전용 튠 어웨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
CN101730298A (zh) 一种控制移动终端选择天线的方法、系统及基站
JP2016201647A (ja) 半導体装置、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US11984963B2 (en) Radio devices with switchable antennas
WO201602551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efficient access in congested networks
CN108811113B (zh) 下行控制信道接收的方法及用户设备
CN107306435B (zh) 异频系统信息与寻呼信息的接收方法、装置及终端
US20150271822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ing system acquisition performance in multi-sim wireless devices
US20170187403A1 (en) Method for selection between vamos receiver and non-vamos receiver in user equipment
JP2012165164A (ja) 無線装置およびノイズ処理方法
JP2011114596A (ja) 無線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