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132B1 - Heating smart cup based on big-data analysis and smart cup service system - Google Patents

Heating smart cup based on big-data analysis and smart cup servi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132B1
KR101474132B1 KR1020130058416A KR20130058416A KR101474132B1 KR 101474132 B1 KR101474132 B1 KR 101474132B1 KR 1020130058416 A KR1020130058416 A KR 1020130058416A KR 20130058416 A KR20130058416 A KR 20130058416A KR 101474132 B1 KR101474132 B1 KR 101474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up
information
cup
smar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38411A (en
Inventor
이필규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58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132B1/en
Publication of KR20140138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4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1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03Data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스마트 컵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컵 사용자들과 관련하여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분류하는 분류기; 스마트 컵 서비스의 타깃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타깃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와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조합하여 타깃 스마트 컵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기; 및 제어 정보를 타깃 스마트 컵으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smart cup based on big data analysis. A system for providing a smart cup service based on big data analysis, comprising: a classifier for classifying mass unstructured data collected in association with smart cup users; A receiver for receiving relevant information of the target smart cup of the smart cup service; A setter for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smart cup by combining the information of the target smart cup and the mass unstructured data;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to the target smart cup.

Description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 및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HEATING SMART CUP BASED ON BIG-DATA ANALYSIS AND SMART CUP SERVICE SYSTEM}{HEATING SMART CUP BASED ON BIG-DATA ANALYSIS AND SMART CUP SERVICE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smart cup based on big data analysis.

최근, 현대인의 생활 속에서 테이크 아웃 커피는 빠질 수 없는 존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테이크 아웃 전문 커피점이 많아졌으며, 길거리에서도 테이크 아웃 커피잔을 들고 다니는 사람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Recently, take-out coffee has become an indispensable entity in modern people's lives. As a result, there are many coffee shops that specialize in takeaway coffee, and people often carry takeaway coffee cups on the streets.

따뜻한 음료는 시간이 지나면 온도가 낮아져 차가워지기 마련이다. 이에 따라 커피잔의 내용물의 온도를 따뜻하게 오래 유지하면서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Warm beverages will cool down over time as temperatures drop.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drinking beverages while keep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of the coffee cup warm and long.

따라서,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따뜻한 온도의 음료를 오래, 그리고 편안하게 마실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solve this problem, drink a warm temperature drink long, and drink comfortably.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0775518호의 자동 냉각/보온 동작이 가능한 차량용 컵 홀더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용기의 자동 냉각/보온 방법에서는 음료 용기의 무게와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음료를 냉각/보온하는 방법과 컵 홀더를 제공한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0775518 discloses a vehicle cup holder capable of automatic cooling / warming operation, and an automatic cooling / keeping method of a beverage container using the same, which automatically detects the weight and temperatur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provide a cup holder.

한편, 데이터의 생성 양, 주기, 형식이 방대한 데이터인 빅데이터는 컴퓨터 처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나타났는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할 경우 다양한 현상에 관한 새로운 시각이나 법칙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Big Data, which is a vast amount of data generation amount, cycle, and format, appeared as computer processing technology developed. When analyzing based on big data, it is possible to find new viewpoints or laws about various phenomena. Technology.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에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컵에 빅데이터를 이용한 응용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스마트 컵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lication product using Big Data in a conventional cup to solve the problem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smart cup function based on Big Data Analysis.

따라서, 센서, 통신 기능 등 여러 가지 기능을 통합하여 컵 이용자가 선호하는 차의 온도, 날씨 등의 상황에 따라 주문하게 되는 차 종류 등의 취향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개인 선호도 분석이 가능한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컵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by integrat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sensor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it is possible to collect preference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of tea to be order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car, the weather, etc. of the cup user, I would like to offer a cup.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스마트 컵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컵 사용자들과 관련하여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분류하는 분류기; 스마트 컵 서비스의 타깃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타깃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와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조합하여 타깃 스마트 컵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기; 및 제어 정보를 타깃 스마트 컵으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 system for providing a smart cup service based on big data analysis, comprising: a classifier for classifying mass unstructured data collected in association with smart cup users; A receiver for receiving relevant information of the target smart cup of the smart cup service; A setter for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smart cup by combining the information of the target smart cup and the mass unstructured data;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to the target smart cup.

일측에 있어서, 분류기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다수 개 포함되어 각각의 분류기는 복수 개의 카테고리에 따라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분류하며, 분류기의 카테고리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에 의해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할 수 있다.In one aspect, a plurality of classifiers are included in the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each classifier classifies large-capacity atypical data according to a plurality of categories. The category of the classifier is not fixed and can be variably set by large- have.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웹 마이닝(Web mining), 소셜 마이닝(Social mining), 평판 마이닝(Opinion mining)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통계적 분석 방법을 포함한 기법이 적용되어 분류기의 카테고리가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data mining, text mining, web mining, social mining, opinion mining, machine learning, statistical analysis, May be applied so that the category of the classifier can be variably set.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수신기는 스마트폰이나 PC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타깃 스마트 컵 사용자의 손가락 피부 센싱을 통해 온도 정보, 내용물의 온도 정보,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receiver may collect temperature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of content, and user preference information via the wireless network of a smartphone or a PC or through finger skin sensing of a target smart cup user.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설정기는 타깃 스마트 컵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며, 동작 모드는 타깃 스마트 컵 내용물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거나 또는 유지시키는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setter may select an operating mode of the target smart cup, and the operating mode may include an operating mode that raises or lowers or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the target smart cup contents.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스마트 컵은 온도 센서를 포함한 센서; 및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나 제어 정보를 노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In yet another aspect, the smart cup includes a sensor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And a display for exposing related information or control information of the smart cup, and can be implemented through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technology.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스마트 컵 서비스를 이용하는 스마트 컵에 있어서, 스마트 컵의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환경 정보를 송신하여 스마트 컵의 동작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스마트 컵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컵이 제공될 수 있다.A smart cup using a smart cup service based on big data analysis, comprising: a sensor unit for sensing surrounding information of the smart cup;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receiving operation mode information of the smart cup;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mart cup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통신 기능 등 여러 가지 기능을 통합하여 컵 이용자가 선호하는 차의 온도, 날씨 등의 상황에 따라 주문하게 되는 차 종류 등의 취향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개인 선호도 분석이 가능한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컵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sonal preference analysis is performed by collecting preference information such as a car type to be order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car, the weather,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rt cup based on big data as much as possible.

따라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커피 또는 차의 제품,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만족도 높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Big Data Analysis based Fever Smart Cup enables users to provide highly personalized and highly customized services by analyzing user preferences of coffee or tea products and user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나아가, 이러한 서비스는 커피 전문점에서 이용자들에게 만족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응용될 수 있다.Furthermore, such a service can be applied to provide a satisfactory service to users in a coffee shop.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의 전체적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를 제공받는 스마트 컵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ntire system including a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side a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verall flow of a Smart Cup service provis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cup that is provided with a Smart Cup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이하,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스마트 컵의 구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the smart cup based on the big data analys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ntire system including a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본적인 개념으로는 스마트 컵 제공 시스템(100)이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스마트 컵(200)과 통신하여 스마트 컵(200)의 동작을 결정하여 명령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컵(200)이 능동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컵 사용자에게 만족도 높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basic idea is that the smart cup providing system 100 communicates with the smart cup 200 through the network 10 to determine and instruct the operation of the smart cup 200 and accordingly actively operates the smart cup 200 It is intended to provide highly customized service to the cup users.

전체 시스템에서 스마트 컵 제공 시스템(100)과 스마트 컵(200)은 유선이나 무선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외의 다른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In the entire system, the smart cup providing system 100 and the smart cup 20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10 to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other systems.

여기서, 네트워크(1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network 10 may be a wir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 value added network (VA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s, and the like.

더불어, 스마트 컵(200)은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회용 컵, 머그 컵, 텀블러 등의 다양한 종류의 컵에 해당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cup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may correspond to various types of cups such as a disposable cup, a mug cup, and a tumbl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컵 제공 시스템(100)은 스마트 컵과 관련하여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하여 스마트 컵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나 또는 자동으로 해당 스마트 컵의 사용자에 따라 알맞은 스마트 컵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The smart cup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large volume unstructured data related to a smart cup and utilizes the same to automatically or appropriately The smart cup operation mode can be determined.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는 빅데이터(Big Data)를 의미할 수 있는데, 빅데이터란 단순히 많은 양의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식을 가지는 데이터를 빠른 순환속도를 이용하여 종래 방식으로 수집, 저장, 검색, 분석 등이 어려운 방대한 데이터를 방대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빅데이터를 규정하는 특징으로 데이터 양(Volume), 다양한 형태(Variety), 빠른 생성/유통/이용 속도(Velocity)를 들 수 있고, 이를 빅데이터의 3V이라 한다.Big unstructured data can mean big data. Big data does not simply mean a lot of data, but collects, stores, retrieves, And massive data tha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that define Big Data are Volume, Variety, Fast Creation / Distribution / Usage Velocity, and it is called 3V of Big Data.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빅데이터는 스마트 컵 서비스를 제공받을 스마트 컵과 컵의 사용자에 대한 것으로, 예컨대 온도, 차의 농도, 차 종류에 대한 취향 정보, 위치 정보 등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충분히 많이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오류 예측을 최소화하고 만족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g data refers to the smart cup and the user of the cup to receive the smart cup servic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temperature, tea concentration, taste information about the tea type, And the like. Therefor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a large amount of atypical data related to service provis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rror prediction that can occur and to provide a highly satisfied service.

이러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는 다수 개의 스마트 컵(200)으로부터 수집된 것이거나 또는 미리 공개되어 있는 데이터, 또는 관련 업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는 각 스마트 컵과 스마트 컵 이용자마다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Such large-volume atypical data may be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smart cups 200, or may be data that has been previously disclosed or collected through a related company. In addition, the large volume of atypical data collected may be different for each Smart Cup and Smart Cup user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1의 스마트 컵 제공 시스템(100)에 해당할 수 있으며, 분류기(110), 수신기(120), 설정기(130), 그리고 송신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the smart cup providing system 100 of FIG. 1 and may include a classifier 110, a receiver 120, a setter 130, and a transmitter 140. [ As shown in FIG.

먼저, 분류기(110)는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복수 개의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시스템(100) 내엔 복수 개의 분류기(110)가 포함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분류기(110)가 복수 개의 카테고리에 따라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First, the classifier 110 may classify the collected large volume unstructured data according to a plurality of categories. A plurality of classifiers 110 may be included in the system 100, and one or more classifiers 110 may classify large-volume atypical data collected according to a plurality of categories.

이때, 카테고리는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에 의해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분류기(110)의 카테고리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아래 기술된 다양한 기법 및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에 의해 학습되어 변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tegory can be variably set by the collected large capacity unstructured data. In an embodiment, the category of the classifier 110 is not fixed and can be learned and varied by various techniques and large quantities of unstructured data described below.

분류기(110)에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웹 마이닝(Web mining), 소셜 마이닝(Social mining), 평판 마이닝(Opinion mining)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통계적 분석방법 등의 이미 알려진 다양한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구축되고 나서 일정 기간 동안에는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분류 전문가에 의해 분류기(110)의 분류 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Data mining, text mining, web mining, social mining, reputation mining machine learning, statistical analysis, etc., are performed in the classifier 110, A variety of known techniques can be applied. Alternatively, the classification operation of the classifier 110 may be performed by a classification expert for data related to the vehicle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after the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s establish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n detai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다수 개의 스마트 컵으로부터 다양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선호 차 온도, 날씨에 따른 차 온도, 사용자 별 취향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collect various large capacity unstructured data from a plurality of smart cups. For example, data including the user's preference car temperature, the ca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weather, the preference of each user, and the like can be collected.

이렇게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는 분류기(110)를 통해 A, B, C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는 분류되기 이전에 데이터를 정제할 수 있는데,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Noise) 데이터 등의 불필요한 데이터를 여과할 수 있다.The large amount of atypical data thus collected can be classified into categories such as A, B, and C through the classifier 110. In the embodiment, the collected large amount of atypical data can be refined before classification, and unnecessary data such as noise data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large amount of atypical data can be filtered.

또한,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 중, 특정 위치에서 수집된 정보를 A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고, 특정 시간에 수집된 정보를 B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나타날 수 있다.In addition, among the large-volume unstructured data collecte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esented, such as collecting information collected at a specific location into A category, and sorting information collected at a specific time into B category.

다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대해서 설명하면, 수신기(120)는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컵 서비스가 제공될 타깃 스마트 컵으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설정기(130)로 전달할 수 있다. 타깃 스마트 컵이란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설정되는 맞춤형 스마트 컵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는 컵을 의미한다.Referring again to the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the receiver 120 may receive the relevant data from the target smart cup to which the smart cup service is to be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may forward it to the configurator 130. The target smart cup is a cup that receives data on a customized smart cup service set in the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수신기(120)는 타깃 스마트 컵과 관련하여 실시간의 날씨, 시간, 스마트 컵 사용자의 위치 정보, 차의 농도, 차의 종류 등의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센서 등의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The receiver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such as the real time weather, 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cup user, the concentration of the tea, the type of tea, etc. in relation to the target smart cup, .

설정기(130)는 수신기(120)를 통해 수집한 타깃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와 수집된 비정형 데이터를 기초로 조합하여 타깃 스마트 컵의 맞춤형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tter 130 may generate customized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smart cup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of the target smart cup and collected irregular data collected through the receiver 120.

구체적으로, 설정기(130)는 다양한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모드는 설정기(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선택하거나 타깃 스마트 컵으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에 의해 동작 모드가 선택될 수 있으며, 타깃 스마트 컵의 상황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타깃 스마트 컵을 대상으로 날씨(또는 계절이나 기온), 장소(위치), 사용자의 기분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맞춤형 차 정보(커피나 차의 종류)가 제공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tting unit 130 can select one of various operation modes and set a corresponding service. The operation mode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pre-stored in the setting unit 130 or the operation mode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target smart cup, and may be customiz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target smart cup . For example, the target smart cup may be provided with customized car information (kind of coffee or tea) in consideration of the weather (or season or temperature), the place (location), and the mood of the user.

실시예에 있어서, 발열 모드, 온도 유지 모드, 냉각 모드 등이 동작 모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취향에 기인할 수 있다. 이에, 설정기(130)는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heating mode, the temperature holding mode, the cooling mode, and the like can be included in the operation mode, which can be caused by the user's taste. The setter 130 can analyze the user's tendency and set the operation mode accordingly.

따라서, 스마트 컵은 각 동작 모드를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 장치를 스마트 컵 내부에 또는 별도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smart cup can have a hardware device that can actively perform each operation mode inside or separately from the smart cup.

또한, 설정기(130)는 타깃 스마트 컵에 맞는 스마트 컵 서비스 설정에 있어서, 타깃 스마트 컵을 위한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 가능하나,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구축된 이후 일정 기간 동안에는 관련 데이터에 대한 설정 작업이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Also, the setting unit 130 may automatically set an operation mode for the target smart cup in the setting of the smart cup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smart cup. However, after the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s established, The setting operation for the data can be performed first.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기(130)는 타깃 스마트 컵을 위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동작 모드는 두 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만약, 두 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에 해당할 경우엔, 스마트 컵은 또는 스마트 컵의 사용자는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실시간 상태에 기인하여 선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or 130 may select an operation mode for the target smart cup, and the operation mode may correspond to data for two or more services. If it corresponds to data for more than one service, the Smart Cup or the Smart Cup user can select one of them, or select it based on the real time status.

이후, 송신기(140)는 설정기(130)를 통해 선택된 동작 모드를 수행하도록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타깃 스마트 컵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140 may then transmit to the target smart cup over the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perform the selected mode of operation through the configurator 130. [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제공 서비스의 제공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smart cup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타깃 스마트 컵(200)으로부터 수신된 관련 정보, 예컨대 날씨 정보,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온도 정보, 사용자의 취향 정보 등은 설정기(130)에서 스마트 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수신기(120)에서 이를 수신하여 전달할 수 있다.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arget smart cup 200 such as weather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user's taste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used to provide a Smart Cup service in the configurator 130, ) Can receive and deliver it.

이때, 설정기(130)는 동작 모드 설정 과정에서 매칭 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매칭 기준에 따라 스마트 컵 관련 정보와 다수의 카테고리 중 하나인 A 카테고리를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tting unit 130 may additionally perform a matching operation in the operation mode setting process, which may match the smart cup related information and the A category, which is one of a plurality of categories, according to the matching standar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련 정보로는 날씨 정보,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온도 정보, 사용자의 취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설정기(130)는 이러한 정보와 이에 매칭된 카테고리 A 내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깃 스마트 컵(200)을 위한 맞춤형 스마트 컵 서비스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weather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user's tast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setting unit 130 sets this information and the large capacity atypical data To set a customized smart cup service operating mode for the target smart cup 200.

이렇게 결정된 동작 모드는 송신기(140)를 통해서 관련 정보를 제공한 타깃 스마트 컵(200)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determined mode of operation may be communicated to the target smart cup 200 providing the relevant information via the transmitter 14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스마트 컵(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컵(200)의 구성은 도 5와 같이, 센서부(210), 통신부(220), 그리고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cup 200 in which a Smart Cup service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cup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sensor unit 210, a communication unit 220, and a control unit 230, as shown in FIG.

여기서, 스마트 컵(200)은 컵 장치에 물리적으로 해당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도 5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장치를 컵에 물리적으로 부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현이 가능하다.Here, the smart cup 200 may physically include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in the cup device, o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physically attaching the devic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5 to the cup.

먼저, 센서부(210)는 온도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하며, 스마트 컵에서 차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손을 센싱할 수 있으며, 주변 날씨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는 온도 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스마트 컵(200)에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First, the sensor unit 210 includes a sensor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which can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car or sense the user's hand in the smart cup, and can detect the surrounding weather. Accordingly, the sensor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suitabl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r the like, and one or more sensors may be included in the smart cup 200.

또한, 통신부(22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미 알려진 다양한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서비스의 활성 신호가 감지될 때에 스마트 컵 관련 정보를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이에 따라 설정된 동작 모드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2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over a network,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various known methods.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transmit the smart cup related information to the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when the activation signal of the service is sensed and receive the set operation mode accordingly.

제어부(230)는 설정된 동작 모드를 스마트 컵에서 능동적으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컵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 사양과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설정된 동작 모드가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30 is configured to actively operate the set operation mode in the smart cup, and the specification and the form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and the type of the cup. The set operation mode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여기서,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 제어부(230)는 스마트 컵(200) 내에 장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동작 모드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술한 맞춤형 동작 모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 제어 신호를 통해 자동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Here, in order to operate automatically, the controller 230 may be mounted in the smart cup 200. In order to operate the operation mode,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ustomized operation mode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control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signal, thereby enhancing the user's convenience.

이러한, 제어부(230)는 스마트 컵(200)에 내장하기 위해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내장된 전자 소자 간의 연결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해당 기술을 응용함으로써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입술 화상 방지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30 may use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technology for embedding in the smart cup 200, or may be realized through connection between embedded electronic devices. By applying the technique,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to realize functions such as lip prevention.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200)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에게 실시간 동작 모드를 인지하도록 하거나 실시간의 컵의 상태, 예컨대 차의 온도, 차의 농도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n embodiment, the smart cup 200 may include a display to allow the user to be aware of the real time operation mode or to provide information such as the state of the cup in real time, e.g., the temperature of the car, .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센서, 통신 기능 등 여러 가지 기능을 통합하여 컵 이용자가 선호하는 차의 온도, 날씨 등의 상황에 따라 주문하게 되는 차 종류 등의 취향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개인 선호도 분석이 가능한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컵을 제공할 수 있다.The personal preference analysis is performed by collecting preference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of tea to be order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car, the weather, etc., which the cup user prefers, by integrat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sensor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rt cup based on big data as much as possible.

따라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커피 또는 차의 제품,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만족도 높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Big Data Analysis based Fever Smart Cup enables users to provide highly personalized and highly customized services by analyzing user preferences of coffee or tea products and user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내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in the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which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분류기 120: 수신기
130: 설정기 140: 송신기
200: 스마트 컵
210: 센서부 220: 통신부
230: 제어부
100: Smart Cup service delivery system
110: classifier 120: receiver
130: Configurator 140: Transmitter
200: Smart Cup
210: sensor unit 220: communication unit
230:

Claims (8)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스마트 컵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컵 사용자들과 관련하여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분류하는 분류기;
스마트 컵 서비스의 타깃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타깃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와 상기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타깃 스마트 컵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기; 및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타깃 스마트 컵으로 전송하는 송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기는 스마트 컵의 내용물인 차의 종류와 온도에 대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가 수집된 날씨와 시간 및 위치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타깃 스마트 컵으로부터 수신된 날씨 정보와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기는 상기 타깃 스마트 컵의 사용자와 관련하여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 중 상기 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타깃 스마트 컵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차의 종류와 온도에 대한 맞춤형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system for providing a smart cup service based on big data analysis,
A classifier for classifying large unstructured data collected in association with smart cup users;
A receiver for receiving relevant information of the target smart cup of the smart cup service;
A setting unit for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smart cup by combining the target smart cup related information and the large capacity atypical data;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to the target smart cup
Lt; / RTI >
The classifier classifies large-volume atypical data on the type and temperature of the tea, which is the content of the smart cup, according to the weather, time, and location of large-volume atypical data,
Wherein the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weather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arget smart cup,
The configurer may use customized control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car and the temperature preferred by the user of the target smart cup by using the large volume unstructured data corresponding to the related information among the large volume unstructured data collected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of the target smart cup Creating
A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기는 상기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다수 개 포함되어 각각의 분류기는 복수 개의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분류하며,
상기 분류기의 카테고리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기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에 의해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assifier is comprised of a plurality of classes in the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each classifier classifies the large capacity atypical data according to a plurality of categories,
Wherein the category of the classifier is not fixed but can be variably set by the large capacity atypical data
A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제2항에 있어서,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웹 마이닝(Web mining), 소셜 마이닝(Social mining), 평판 마이닝(Opinion mining)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통계적 분석 방법을 포함한 기법이 적용되어 상기 분류기의 카테고리가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echniques including data mining, text mining, web mining, social mining, opinion mining, machine learning,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applied. Wherein the category of the classifier can be variably set
A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스마트폰이나 PC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상기 타깃 스마트 컵 사용자의 손가락 피부 센싱을 통해 온도 정보, 내용물의 온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er collects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of contents, and taste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of a smart phone or a PC or through finger skin sensing of the target smart cup user
A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기는 타깃 스마트 컵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며,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타깃 스마트 컵 내용물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거나 또는 유지시키는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tter selects an operation mode of the target smart cup,
Wherein the operating mode includes an operating mode for raising, lowering 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target smart cup contents
A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컵은
온도 센서를 포함한 센서; 및
상기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나 상기 제어 정보를 노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cup
Sensors including temperature sensors; And
And a display for exposing related information of the smart cup or the control information,
Implemented through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technology
A smart cup service provid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58416A 2013-05-23 2013-05-23 Heating smart cup based on big-data analysis and smart cup service system KR1014741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16A KR101474132B1 (en) 2013-05-23 2013-05-23 Heating smart cup based on big-data analysis and smart cup servi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16A KR101474132B1 (en) 2013-05-23 2013-05-23 Heating smart cup based on big-data analysis and smart cup servic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411A KR20140138411A (en) 2014-12-04
KR101474132B1 true KR101474132B1 (en) 2014-12-18

Family

ID=5245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416A KR101474132B1 (en) 2013-05-23 2013-05-23 Heating smart cup based on big-data analysis and smart cup servi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1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212B1 (en) * 2016-12-30 2017-12-21 (주)씽크포비엘 Method and apparatus for diy usability te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4563B (en) * 2016-12-22 2019-02-01 永康市久久科技有限公司 It is a kind of can set temperature fast cooling vacuum cup
CN106579966A (en) * 2016-12-22 2017-04-26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Thermos cup
CN106724572B (en) * 2016-12-26 2019-02-22 王海南 A kind of vacuum cup with suction pipe
CN106579970B (en) * 2016-12-26 2019-02-22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A kind of vacuum cup of Childproof
CN106820854B (en) * 2016-12-29 2019-02-22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The vacuum cup opened under child-resistant high temperature
CN106579972B (en) * 2016-12-29 2019-02-22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The vacuum cup of Childproof
CN106724583B (en) * 2016-12-30 2019-02-22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A kind of convenience adds the vacuum cup of water
CN106724582B (en) * 2016-12-30 2019-01-04 庄志斌 It is a kind of can it is remotely located open temperature vacuum cu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382B1 (en) * 2012-02-22 2012-09-12 주식회사 시솔 User-oriented beverage management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382B1 (en) * 2012-02-22 2012-09-12 주식회사 시솔 User-oriented beverage management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태수 외 3인, ‘유비쿼터스 환경 실현을 위한 3 Keywords와 시스템 설계: 스마트 컵 구현’, 대한전자공학회 2007년 하계종합학술대회, 2007.0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212B1 (en) * 2016-12-30 2017-12-21 (주)씽크포비엘 Method and apparatus for diy usability t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411A (en)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132B1 (en) Heating smart cup based on big-data analysis and smart cup service system
US20180082038A1 (en) Sensor based reordering system
US11681295B2 (en) Robot and method of delivering articles by the robot
KR101741592B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location-based digital signage services
CN108574944B (en) Environment measuring system and environment measuring method
WO2014172313A2 (en) Creating targeted advertising profiles based on user behavior
US20140309789A1 (en) Vehicle Location-Based Home Automation Triggers
US20140310075A1 (en) Automatic Payment of Fees Based on Vehicle Location and User Detection
CN107209019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US20140309862A1 (en) User profile exchange via vehicle supported communications protocol
US20140310031A1 (en) Transfer of user profile data via vehicle agency control
KR102403062B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service
US106533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alking path guidance service based on measurement of motion of user
CN106575142A (en) Multi-device sensor subsystem joint optimization
KR201100890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4102344A (en) Wearable device,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of wearable device
CN105282221A (en) Mesh network applied to fixed establishment with movable items therein
KR1015214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ed menu information
JP2005100313A (en) Article managemen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4823433B (en) Infer in semantically integrating context
JP2019138493A (en) Refrigerator, commodity order placement method and commodity order placement system
KR1021723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entric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9034980B (en) Collocation commodity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and user terminal
JP6907063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CN105513298A (en) Prompt method and promp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5